KR102466270B1 -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270B1
KR102466270B1 KR1020220105284A KR20220105284A KR102466270B1 KR 102466270 B1 KR102466270 B1 KR 102466270B1 KR 1020220105284 A KR1020220105284 A KR 1020220105284A KR 20220105284 A KR20220105284 A KR 20220105284A KR 102466270 B1 KR102466270 B1 KR 1024662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rinting
rayon
primer
impro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52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진
장대덕
이정호
김현재
Original Assignee
성민기업 주식회사
한국섬유소재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민기업 주식회사, 한국섬유소재연구원 filed Critical 성민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05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2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2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2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2Effecting variation of dye affinity on textile material by chemical means that react with the fib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06P3/60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는 물성변화공정으로 레이온 원단의 물성을 변화시킨 후 프라이머공정을 실시하여 레이온 섬유의 색상의 견뢰도와 균일성 및 선명한 인쇄가 가능하게 하여 염색성 향상과 형태안정성 및 터치감 향상 등의 제품성 향상 효과가 있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인바, 본 발명은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에 있어서,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여 레이온 섬유를 팽윤시켜 염착성을 향상시키는 물성변화공정과; 상기 물성변화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물로 세척 및 중화하는 수세공정과; 상기 수세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프라이머용액에 침지시켜 염료의 고착성, 견뢰도, 색상균일성,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프라이머공정 및 상기 프라이머공정이 완료된 원단에 프린팅하는 DTP프린팅공정 순에 의해 제조되는 것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Digital printing method for enhancing printing quality of rayon fabric}
본 발명은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는 물성변화공정으로 레이온 원단의 물성을 변화시킨 후 프라이머공정을 실시하여 레이온 섬유의 색상의 견뢰도와 균일성 및 선명한 인쇄가 가능하게 하여 염색성 향상과 형태안정성 및 터치감 향상 등의 제품성 향상 효과가 있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원단을 염색하는 방법으로 크게 침염과 날염이 있다. 침염은 염료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키고 조제(助劑) 등을 부가하여 염색액을 만들고, 이의 염색액 속에 피염물을 넣어 염색하는 방법으로, 대개 무지(無地) 또는 단색(單色)의 염색물을 얻고자할 때 사용한다.
반면, 날염은 무늬염 혹은 프린팅(printing)이라고도 불리우는데, 침염이 피염물의 전체면에 동일한 염색이 되는데 비해서, 부분적으로 착색하여 무늬, 형태, 그림, 글자 등을 나타내는 염색방법을 말하는데, 염료나 안료를 풀 또는 합성수지와 혼합하여 점조(粘稠)한 호료(糊料)에 첨가하여 호액(糊液)을 제조하고, 이의 호액으로 무늬가 조각된 형지(型紙), 스크린(screen) 혹은 롤러(roller) 위에서 피염물 전부 혹은 일부를 여러 색상으로 찍어내어 인쇄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전통적으로 형지, 스크린, 롤러 등을 사용하여 원단에 인날(印捺)하는 날염방법은 날염디자인 작업(CAD 혹은 수작업으로 행함) → 제도(製圖) → 제판(製版) → 염료배합 → 인날(印捺) → 예비건조 →증열 → 수세 → 건조등의 복잡한 과정을 거치게 됨으로써 각종 부산물 및 폐수가 많이 배출되는 환경오염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 날염 방법은 원단에 대해 얇거나 치수안정성 불안정해도 날염물을 대량생산하는 데는 유용한 방법이나, 최근 제품 교체 주기가 빨라지고 다품종 소량 생산을 요구하는 시장의 변화에 적응하기에는 어려운 단점이 있다. 이는 생산라인이 가동하게 되면 자동화에 의한 제도 및 제판 공정의 변경이나 수정이 쉽지가 않기 때문이다.
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디지털 프린팅 기술을 접목시킨 잉크젯 프린팅 방법(InkjetPrinting system)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잉크젯 프린팅 방법은 상술한 전통적인 날염방법과는 달리, 제도, 제판 및 염료배합 등의 공정이 필요 없고,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염료를 제외한 호료와 여러가지 조제를 혼합한 전처리제를 원단에 도포하는 전처리공정과, 간단하게 인쇄하고자 하는 내용을 디지털로 컴퓨터에 입력한 다음 컴퓨터와 연결된 잉크젯 플로터를 통하여 액상의 염료를 전처리된 원단에 분사(噴射)하여 인쇄하는 공정 등 최소한의 공정만으 로도 종래의 날염효과를 낼 수가 있어, 이로인해 제품 생산시 소요시간 단축, 원가절감이 가능하게 되었고, 환경오염물질의 배출량도 줄일 수 있게 되었으며, 특히 제품 교체 주기가 빨라지고 다품종 소량 생산을 요구하는 최근 시장의 요
구에도 충분히 부응할 수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종래의 날염방법으로는 표현이 불가능한 사진 이미지를 원본과 동일한 해상도로 원단에 직접 출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잉크젯 프린팅 방법은 이미 선진국에서는 많은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실용화 단계에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의 연구개발 수준은 미비한 상태이다.
그러나, 잉크젯 프린팅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여러 가지 장점들을 보유하고 있지만, 출력된 원단의 섬유제품들은 염착성, 선명성 및 첨예도 등의 면에서 종래 방식의 전통적인 날염 제품보다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특히 검은색 계열의 색상이 선명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이는 원단에 전처리제를 균일하게 도포되지 못하거나 전처리제 자체 특성의 문제로 염료의 번짐 현상, 미고착 및 견뢰도 등이 저하되고 특히 검은색 계열의 심색성 향상을 위해 염료의 농도를 높이면 점도의 증가로 카트리지 분사구가 막히는 문제 등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잉크젯 프린팅 시스템에서 새로운 전처리제와 이를 원단에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는 공정의 개발과 원단의 염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가공기술의 개발은 날염물의 품질을 평가하는 결정적인 요소로 작용하므로, 현재 각국에서는 원단에 쉽게 가공처리할 수 있으며, 날염된 원단의 색상에 대한 염착성, 선명성 및 첨예도 등이 개선된 전처리 공정의 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잉크젯(inkjet)을 포함하여 디지털 인쇄는 컴퓨터로부터 직접 매질 상에, 전형적으로 통상적인 기재 상에 이미지 또는 데이터를 재생하는 방법이다. 잉크가 매질 상에 적용되는 경우, 이는 조밀한 대칭점으로 머물러야 하고; 그렇지 않으면, 잉크의 점은 수용 매질로 침투되기 시작하거나, 피더(feather)되거나, 불규칙적인 방식으로 확산되어 의도된 디지털 인쇄기 구성보다 약간 더 큰 면적을 덮을 것이다(점 증가). 결과물은 특히 물체 및 텍스트 등의 에지에서 흐릿한 낮은 색 강도를 지니는 것으로 보이는 이미지 또는 데이터이다(색 번짐(color bleeding) 또는 색끼리의 번짐(color to color bleeding)). E.I. Du Pont de Nemours의 EP 1 924 658호에는 폴리머 분산제 및 가교된 폴리우레탄 결합제 첨가제(폴리머 분산제와 상이함)와 함께 분산된 이산화티탄 안료가 그 중에 분산되어 있는 수성 비히클(잉크)이 기재되어 있다.
백색 잉크가 비-백색 텍스타일 상에 이미지를 인쇄하는데 특히 적합한 것으로 여겨졌다. E.I. Du Pont de Nemours의 US 2008/0092309 A1호에는 비이온성 라텍스 폴리머 및 다가 양이온성 염을 포함하는 수성 잉크젯 인쇄 전처리제가 기재되어 있다. Kornit의 US 2007/0103528호에는, 세척을 저해하거나 접촉에 약하고 취성이지 않은, 디지털 인쇄로 고품질 및 내구성 연마-견뢰성 이미지를 생성시키기 위한 잉크에 관한 것이다.
Kimberly-Clark Worldwide, Inc.의 EP 1 356 155호에는 흡수 용액(imbibing solution)과 함께 사용되는 잉크젯 인쇄를 위한 양이온성 폴리머 코팅 포뮬레이션에 관한 것이다. 흡수 용액은 우레아(산 염료-기반 잉크) 또는 암모늄 염, 예컨대, 암모늄 옥살레이트 및 암모늄 타르트레이트일 수 있다. 한 가지 구체예에서, 포뮬레이션은 5-95%의 양이온성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및 약 5-20%의 섬유 유연제를 포함한다. 양이온성 폴리머는 참조로 도 1A-1C에 나타나 있고, 예컨대, 디알릴 암모늄 모노머로부터 자유 라디칼 중합된 폴리머인 것으로 보인다.
Kimberly Clark Worldwide, Inc.의 EP 1 240 383호는 양이온성 폴리머 또는 코폴리머 및 섬유 유연제와 같은 기재를 처리하기 위한 흡수 용액을 포함하는 코팅 포뮬레이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는 또한 세탁견뢰도(washfastness)를 증가시키는 폴리머 라텍스 결합제의 기능이 기재되어 있다.
US 6,291,023호에는 a) 아제티디늄 폴리머, b) 구아니딘 폴리머, c) 아제티디늄 폴리머와 구아니딘 폴리머의 혼합물, 및 d) 아제티디늄 모노머와 구아니딘 모노머의 코폴리머 중 하나로부터 선택된 제제를 포함하는 코팅제가 교시되어 있다. 코팅은 반응성 염료로 인쇄되는 경우에 고품질 인쇄 이미지를 제공하기 위해 텍스타일 상에서 사용된다.
WO92/07124호에는 이미다졸린 및 아제티디늄 기를 지니는 폴리머를 사용하는 섬유를 위한 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WO98/29530호에는 외관 이점을 제공하기 위한 폴리아미드-폴리아민을 지니는 세탁 세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아디프산-디에틸렌트리아민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반응 생성물이 초록에 개시되어 있다. US7,429,558호에는 염색 고착 및 염료 흡착을 방지하는 아제티디늄 개질된 폴리머 및 이로부터의 섬유 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US 4,954,395호에는 잉크-수송 층 및 잉크-보유 층을 포함하는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EP 0 947 350호에는 임의로 양이온성 수지를 포함하는 잉크 젯 기록 매체가 개시되어 있다. US 2004/0263598호에는 Danfix TM723와 같은 고착제를 포함할 수 있는 전처리제를 포함하는 텍스타일 인쇄를 위한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US2009/0191383호에는 텍스타일 기재를 착색시키는 방법 및 전처리 배쓰가 개시되어 있다. US2008/0024536호에는 양이온성 유기 화합물과 함께 이미지 형성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참조 문헌에는 다양한 배경 상에서 이미지의 특성을 개선시키는 여러 방법이 교시되어 있다. 어떠한 문헌에는 양이온성 폴리머가 필요하고, 어떠한 문헌에는 섬유 유연제가 필요하고, 어떠한 문헌에는 가교제 입자가 필요하고, 어떠한 문헌에는 이산화티탄 안료가 기재되어 있고, 다른 문헌들에는 반응성 염료가 사용된다. 이들 모두는 우수한 색 강도를 지니는 텍스타일 상의 부드러운 느낌의 이미지, 빳빳하게 뚜렷한 이미지(crisp well defined image), 및 텍스타일의 기계적 세척 동안 우수한 색 보유를 추구하는 듯하다.
상기한 종래 잉크젯 프린팅 방법(InkjetPrinting system)에 있어서 레이온계 DTP 적용 소재들의 대부분은 외부에서 전처리를 시행하여 생지원단이 입고되어 호제 처리 후 DTP날염 진행을 하였으나 정련 처리의 불균일성으로 컬러의 품질 관리가 어렵고 색상의 경시변화문제가 많이 발생하고 있어 첨부도면 도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온 섬유의 색상의 견뢰도와 균일성이 저하되어 및 선명한 인쇄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따라서 염색성이 저하되며 코팅처리된 면에 DTP프린팅을 실시함으로 터치감이 떨어지는 문제로 인해 전체적인 제품성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6-000549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2255266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739352호
상기한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는 물성변화공정으로 레이온 원단의 물성을 변화시킨 후 프라이머공정을 실시하여 레이온 섬유의 색상의 견뢰도와 균일성 및 선명한 인쇄가 가능하게 하여 염색성(발생성) 향상과 형태안정성 및 터치감 향상 등의 제품성 향상 효과가 있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더 인쇄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있어서,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여 레이온 섬유를 팽윤시켜 염착성을 향상시키는 물성변화공정과; 상기 물성변화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물로 세척 및 중화하는 수세공정과; 상기 수세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프라이머용액에 침지시켜 염료의 고착성, 견뢰도, 색상균일성,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프라이머공정 및 상기 프라이머공정이 완료된 원단에 프린팅하는 DTP프린팅공정 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물성변화공정은 3~1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침투제를 혼합한 15~50℃의 온도를 갖는 혼합용액에 1~3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프라이머공정은 물 82.05~75.55 중량%, 알긴 1~2 중량%, 요소 13~17 중량%, 환원방지제 1.5~2.5 중량% 방부제 0.15~0.25 중량%로 이루어진 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프라이머공정은 15~40℃의 온도를 갖는 수용액에 1~3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여 레이온 섬유를 팽윤시켜 염착성을 향상시키는 물성변화공정과, 상기 물성변화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물로 세척 및 중화하는 수세공정을 한번에 실시하는 물성변화전처리공정으로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작업공정 단순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는 물성변화공정으로 레이온 원단의 물성을 변화시킨 후 프라이머공정을 실시하여 레이온 섬유의 색상의 견뢰도와 균일성 및 선명한 인쇄가 가능하게 하여 염색성(발생성) 향상과 형태안정성 및 터치감 향상 등의 제품성 향상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생지원단이 입고된 후 종래 디지털 프린팅 인쇄방법과 본 발명의 디지털 프린팅 인쇄방법을 비교하는 비교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프린팅 인쇄방법과 종래 디지털 프린팅 인쇄방법에 의해 인쇄된 인쇄물의 인쇄 상태를 비교한 사진.
도 3은 생지원단이 입고된 후 종래 디지털 프린팅 인쇄방법과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디지털 프린팅 인쇄방법을 비교하는 비교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1은 생지원단이 입고된 후 종래 DTP 프린팅 인쇄방법과 본 발명의 DTP 프린팅 인쇄방법을 비교하는 비교도로써 이에 따른 본 발명의 DTP 프린팅 인쇄방법은 먼저 권취되어 있는 생지원단을 구입 후 생지원단을 풀면서 알카리 용액이 저정된 수조를 통과시켜 레이온 섬유를 팽윤시켜 염착성을 향상시키는 물성변화공정(S100)을 수행하며, 상기 물성변화공정(S100)은 3~1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상황에 따라 침투제를 혼합한 15~50℃의 온도를 갖는 혼합용액에 1~3초 침지시켜 수행한다.
상기 물성변화공정(S100)시 사용되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의 농도가 3% 이하를 사용하면 팽윤되지 않는 문제가 있고, 10% 이상의 농도를 갖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사용하면 원단이 경화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물성변화공정(S100)은 온도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공정 진행시 혼합용액의 온도가 15℃ 이하의 온도를 가질 때 생지원단을 침지시키면 침투압이 높아져 팽윤도가 더 높아지는 문제가 있고 혼합용액의 온도가 50℃ 이상일 때 생지원단을 침지시키면 침투압이 급격하게 감소하여 팽윤도가 감소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온도의 변화가 크면 원단 내 테일링 현상이나 원단 간 로트차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품질관리를 위해 일정한 온도를 유지한다.
상기한 물성변화공정(S100)은 셀룰로오스 분자 Cell-OH가 수산화나트륨에 의하여 알칼리셀룰로오스로 변하면서 레이온 섬유 분자간의 강력한 수소결합이 깨져 레이온 섬유 분자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하나의 거대한 이온이 된다.
(반응식 1)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1
이 결과 밀집되어 있던 레이온 섬유 분자 사이로 수산화나트륨 용액이나 물 등이 비교적 쉽게 침투할 수 있게 되어 섬유는 팽윤된다. 즉,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을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일정 시간 침지시켜 섬유을 팽윤시킨 뒤 긴장 상태에서 세척공정을 수행하면 셀룰로오스-Ⅰ의 구조를 셀룰로오스-Ⅱ로 변화시킬 수 있어 염색성의 개선, 형태안정성, 광택의 증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레이온 섬유의 단면은 팽윤에 의해 원형으로 변하면서 천연꼬임이 풀려 섬유가 원통모양의 측면을 갖게 되어 빛을 정반사하므로 광택이 증가하게 된다.
또한 알칼리의 작용에 의해 섬유 내의 미세분자 배열이나 결정부분이 재배열되어 비결정부분이 울어나게 되므로 흡습성이 증가하고 염색성과 기타 약품에 대한 반응성도 좋아진다. 충분히 팽윤된 상태에서 수세를 하여 알칼리셀룰로오스를 Cell-OH(셀룰로오스)로 환원시켜 주게 되므로 한번 변형된 원형의 단면과 원통현의 측면이 고정되어 어느 정도의 형태안정성이 얻어진다.
상기 레이온 섬유는 4°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2
~ 6°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3
, 큐프라 암모늄레이온은 3°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4
~ 4°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5
, 폴리노직은 6°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6
~ 10°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7
, 텐셀은 10°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8
~15°Β
Figure 112022088032773-pat00009
등 레이온의 물성에 따라 다양한 조건으로 물성변화공정(S100)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물성변화공정(S100)이 완료된 원단을 물로 세척하는 수세공정(S200)을 실시한다. 상기 수세공정(S200)은 95℃ 이상 온도의 세척수를 이용하여 수세를 실시하며 상기 수세를 실시하는 이유는 알칼리 제거 및 pH 조절의 목적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수세공정(S200)이 완료된 원단을 프라이머용액에 침지시켜 염료의 고착성, 견뢰도, 색상균일성,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프라이머공정(S300)을 실시한다. 상기 프라이머용액은 염료의 고착성, 견뢰도, 색상균일성,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프라이머용액은 증류수 82.05~75.55 중량%, 알긴 1~2 중량%, 요소 13~17 중량%, 환원방지제 1.5~2.5 중량% 방부제 0.15~0.25 중량%로 이루어진 수용액인 것을 사용한다.
한편 프라이머공정(S300)은 15~40℃의 온도를 갖는 프라이머용액에 1~3초 침지시킨 후 건조시키고 상기 프라이머공정(S300)이 완료된 원단에 프린팅하는 DTP프린팅공정(S400)을 실시한다.
상기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원단에 프린터된 제품에 대하여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DTP 프리팅에 의한 원단과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DTP 프리팅에 의한 원단을 비교하여 보았다.
실험 예1 : 인쇄된 원단의 색상 선명도 실험
<종래(비교예) 실험 조건>
70℃의 온도에서 수세 후 증류수 79.55 중량%, 알긴 1.8 중량%, 요소 12%, 소다회 3%, 환원방지제 3중량% 농염제 0.5%, 방부제 0.15% 로 이루어진 DTP 전처리액을 도포하여 코팅 및 건조 한 후 건조한 원단에 DTP 프린터 실시
<본 발명(실시예)의 실험 조건 >
레이온 원단을 NaOH 5% 농도를 갖는 용액에 침투제(침투제 종류 : 내알카리성 침투제)를 2g/L을 혼합하고 30℃의 온도를 갖는 혼합액에 2초 동안 침지한 후 수세하여 증류수 78.80 중량%, 알긴10% 1.5 중량%, 요소 15 중량%, 환원방지제 2.00 중량%, 방부제(FL) 0.20 중량%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용액에 2초 동안 침지시킨 후 건조한 원단에 DTP 프리터 실시
상기와 같은 원단을 사용하여 첨부도면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DTP 프리팅에 의한 원단과 본 발명의 기술이 적용된 DTP 프리팅에 의한 염색된 원단을 비교하여 보았더니 본 발명에 의해 인쇄된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원단의 색상 견뢰도와 균일성 및 선명한 인쇄가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고 또한 염색성 향상과 형태안정성 및 제품성 향상 등의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 예2 : 인쇄된 원단의 터치감에 대한 관능평가
본 발명에 의해 염색된 원단과 비교예에서 염색된 원단을 이용하여 20, 30대, 40, 50 여성 60명에게 터치감을 관능 평가하였으며, 평가기준은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으로 하였고 그 결과는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비교예 본 발명
20대 보통 좋음
30대 보통 좋음
40대 보통 매우 좋음
50대 보통 매우 좋음
한편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여 레이온 섬유를 팽윤시켜 염착성을 향상시키는 물성변화공정(S100)과, 상기 물성변화공정(S100)이 완료된 원단을 물로 세척 및 중화하는 수세공정(S200)을 한번에 실시하는 물성변화전처리공정(S500)으로 공정을 단순화시키는 작업공정 단순화를 괴할 수 있다.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에 있어서 물성변화공정(S100)과 수세공정(S200)을 별개의 공정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첨부도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성변화공정(S100)과 수세공정(S200)을 물성변화전처리공정(S500)으로 통합하여 실시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는 물성변화공정으로 레이온 원단의 물성을 변화시킨 후 프라이머공정을 실시하여 레이온 섬유의 색상의 견뢰도와 균일성 및 선명한 인쇄가 가능하게 하여 염색성(발색성) 향상과 형태안정성 및 터치감 향상 등의 제품성 향상 효과가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5)

  1.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에 있어서,
    생지원단에 알카리 용액을 사용하여 레이온 섬유를 팽윤시켜 염착성을 향상시키는 물성변화공정과;
    상기 물성변화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물로 세척 및 중화하는 수세공정과;
    상기 수세공정이 완료된 원단을 프라이머용액에 침지시켜 염료의 고착성, 견뢰도, 색상균일성,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프라이머공정 및
    상기 프라이머공정이 완료된 원단에 프린팅하는 DTP프린팅공정 순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며,
    상기 프라이머공정은 증류수 82.05~75.55 중량%, 알긴 1~2 중량%, 요소 13~17 중량%, 환원방지제 1.5~2.5 중량% 방부제 0.15~0.25 중량%로 이루어진 프라이머용액에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성변화공정은 3~10% 농도의 수산화나트륨 용액과 침투제를 혼합한 15~50℃의 온도를 갖는 혼합용액에 1~3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지는 15~40℃의 온도를 갖는 프라이머용액에 1~3초 침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 방법.
  5. 삭제
KR1020220105284A 2022-08-23 2022-08-23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KR1024662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284A KR102466270B1 (ko) 2022-08-23 2022-08-23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5284A KR102466270B1 (ko) 2022-08-23 2022-08-23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270B1 true KR102466270B1 (ko) 2022-11-11

Family

ID=84042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5284A KR102466270B1 (ko) 2022-08-23 2022-08-23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27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496A (ko) 2004-07-13 2006-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키토산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1739352B1 (ko) 2016-10-19 2017-05-24 (주)제라원 천연섬유원사의 본염 및 DTP(digital textile printing)용 표면처리제, 이 표면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인쇄된 천연섬유원사 인쇄물
KR20180097667A (ko) * 2015-12-30 2018-08-31 매니패튜라 델 세베소 에스.피.에이. 디지털 인쇄를 위한 고성능을 갖는 천을 얻기 위한 공정과, 관계된 천
KR102044218B1 (ko) * 2017-08-31 2019-12-05 박종헌 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 소자 전열 시트
KR102255266B1 (ko) 2013-12-18 2021-05-2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인쇄를 위한 패브릭 전처리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5496A (ko) 2004-07-13 2006-01-18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키토산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용 원단의 제조방법
KR102255266B1 (ko) 2013-12-18 2021-05-21 루브리졸 어드밴스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디지털 인쇄를 위한 패브릭 전처리제
KR20180097667A (ko) * 2015-12-30 2018-08-31 매니패튜라 델 세베소 에스.피.에이. 디지털 인쇄를 위한 고성능을 갖는 천을 얻기 위한 공정과, 관계된 천
KR101739352B1 (ko) 2016-10-19 2017-05-24 (주)제라원 천연섬유원사의 본염 및 DTP(digital textile printing)용 표면처리제, 이 표면처리제 제조방법 및 이 표면처리제를 이용하여 인쇄된 천연섬유원사 인쇄물
KR102044218B1 (ko) * 2017-08-31 2019-12-05 박종헌 열회수 환기장치의 열교환 소자 전열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266B1 (ko) 디지털 인쇄를 위한 패브릭 전처리제
JP4088526B2 (ja) 画像の視覚化及び保持性を向上させるための浸染溶液を含むインクジェット印刷用の基材を処理するコーティング、該基材を処理する方法、及びそれで生成された物品
WO1994002679A1 (en) Printed clo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415035A (zh) 用于处理在喷墨印刷中使用的底材的含有提高图象的显示和保留的吸液溶液的涂料、处理所述底材的方法及所制得的制品
Hassabo et al. Evaluation of various printing techniques for cotton fabrics
KR102466270B1 (ko) 레이온 원단의 인쇄품질을 향상시키는 디지털 프린터 인쇄방법
JP3474814B2 (ja) セルロース系繊維及び/又は蛋白質繊維の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処理剤、捺染用布帛及び捺染方法
KR100947128B1 (ko) 나일론 직물의 디지털 날염용 전처리제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전처리방법
JP2607446B2 (ja) 布帛の捺染方法
CN114687227A (zh) 一种棉/聚酰胺织物喷墨印花处理工艺及预处理剂
KR100624396B1 (ko) 키토산을 이용한 잉크젯 프린트용 원단의 제조방법
CN1863961A (zh) 吸液溶液、用吸液/涂布溶液预处理基材以备数字打印的方法,和用该方法制备的基材
JPH0253976A (ja) 布はくの染色方法
JP2593830B2 (ja) 布帛の捺染方法
US20020138920A1 (en) Process for printing textile material
KR100415934B1 (ko) 카티온화제를 함유한 잉크젯 날염용 면섬유 전처리제 및그 처리방법
JP2607451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およびその捺染法
JPH10183481A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及び捺染方法
JPH05148775A (ja) インクジエツト方式による布帛の捺染方法
EP0990732B1 (en) Ink jet dyeing method
RU2212482C2 (ru) Способ нанесения печатного изображения на тканый материал
JP2005264370A (ja) 布帛の改質捺染方法
JPH05148776A (ja) 捺染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JP2774042B2 (ja) 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
HOSSAIN SUSTAINABLE DIGITAL REACTIVE INKJET PRINTING ON CELLULOSIC KNIT FABRIC MODIFYING PRE-COATING PARAME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