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197B1 - 유성기어장치 및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유성기어장치 및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197B1
KR102466197B1 KR1020180097436A KR20180097436A KR102466197B1 KR 102466197 B1 KR102466197 B1 KR 102466197B1 KR 1020180097436 A KR1020180097436 A KR 1020180097436A KR 20180097436 A KR20180097436 A KR 20180097436A KR 102466197 B1 KR102466197 B1 KR 102466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mount
carrier
casing
rolling element
ax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147A (ko
Inventor
슌 아베
šœ 아베
준 타메나가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5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comprising a carrier with pins guiding at least one orbital gear with circular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with orbital gear sets comprising an internally toothed r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2057/085Bearings for orbital ge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 Retarders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케이싱과 캐리어의 선팽창계수가 다른 경우에, 환경온도가 변화해도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내치기어가 마련된 케이싱과,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외치기어와, 외치기어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 캐리어와, 케이싱과 캐리어의 사이에 배치된 주베어링을 구비한 유성기어장치로서, 주베어링은, 예압이 부여되는 타입의 베어링이며, 케이싱과 캐리어는, 선팽창계수가 다른 소재로 구성되고, 케이싱과 캐리어와 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유닛에 있어서, 캐리어에 대하여 케이싱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주베어링의 전동체에 부여되는 하중을 전동체기동하중(Fbrg)로 했을 때, 캐리어유닛은,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3.0kgf~25.0kgf의 허용범위(Rb)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성기어장치 및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Planetary Gea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lanetary Gear Device}
본 출원은 2017년 11월 27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제2017-226510호에 근거하여 우선권을 주장한다. 그 출원의 전체 내용은 이 명세서 중에 참고로 원용되어 있다.
본 발명은 유성기어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1에는, 내치기어가 마련된 케이싱과,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외치기어와, 외치기어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 캐리어와, 케이싱과 캐리어의 사이에 배치된 주(主)베어링을 구비한 유성기어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유성기어장치는, 철계(鐵系)재료로 외치기어가 구성되고, 외치기어보다 선팽창계수가 큰 알루미늄합금으로 케이싱이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4-9808호
주베어링에는,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얻기 위하여 예압을 부여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의 필요한 베어링 특성이란, 예를 들면 주베어링의 모멘트강성이다.
또, 케이싱과 캐리어는, 선팽창계수가 다른 소재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기어장치 주위의 환경온도가 변화하면, 케이싱과 캐리어의 온도변화에 따른 체적변화량의 차이에 기인하여, 주베어링에 부여되는 예압이 변화하고,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특허문헌 1의 기어장치는, 이와 같은 문제에 대한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아니라, 그 개선이 요망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이러한 상황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의 하나는, 케이싱과 캐리어의 선팽창계수가 다른 경우에, 환경온도가 변화해도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쉽게 얻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유성기어장치에 관한 것이며, 내치기어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외치기어와, 상기 외치기어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 캐리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의 사이에 배치된 주베어링을 구비한 유성기어장치로서, 상기 주베어링은, 예압이 부여되는 타입의 베어링이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는, 선팽창계수가 다른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와 상기 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유닛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케이싱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주베어링의 전동체에 부여되는 하중을 전동체기동하중으로 했을 때, 상기 캐리어유닛은, -10℃~5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이 3kgf~25kgf의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케이싱과 캐리어의 선팽창계수가 다른 경우에, 환경온도가 변화해도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얻기 쉬워진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도 2는 제1 실시형태의 캐리어유닛의 일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3은 캐리어유닛의 유닛온도와 전동체기동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액시얼수축양과 전동체기동하중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이하, 실시형태, 변형예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 각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요소의 일부를 적절히 생략하거나, 구성요소의 치수를 적절히 확대, 축소하여 나타낸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제1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10)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10)은,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외치기어를 요동시킴으로써, 내치기어 및 외치기어의 일방의 자전을 발생시키고, 그 발생된 운동성분을 출력부재로부터 피구동장치에 출력하는 편심요동형 기어장치이다.
유성기어장치(10)은, 주로, 입력축(12)와, 외치기어(14)와, 내치기어(16)과, 캐리어(18, 20)과, 케이싱(22)와, 주베어링(24, 26)과, 수축양조정부재(28)을 구비한다. 이하,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에 따른 방향을 "축방향"이라고 하고, 그 중심축선(La)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방향, 반경방향을 각각 "둘레방향", "직경방향"이라고 한다. 또, 이하, 편의적으로, 축방향의 일방측(도면 중 우측)을 입력측이라고 하고, 타방측(도면 중 좌측)을 입력반대측이라고 한다.
입력축(12)는, 구동장치(도시하지 않음)로부터 입력되는 회전동력에 의하여 회전중심선 둘레로 회전된다. 본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10)은, 입력축(12)의 회전중심선이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와 동축선 상에 마련되는 센터크랭크 타입이다. 구동장치는, 예를 들면 모터, 기어모터, 엔진 등이다.
본 실시형태의 입력축(12)는, 외치기어(14)를 요동시키기 위한 복수의 편심부(12a)를 갖는 크랭크축이다. 편심부(12a)의 축심(軸芯)은, 입력축(12)의 회전중심선에 대하여 편심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편심부(12a)가 마련되고, 인접하는 편심부(12a)의 편심위상은 180° 어긋나 있다.
외치기어(14)는, 복수의 편심부(12a)의 각각에 대응하여 개별적으로 마련된다. 외치기어(14)는, 편심베어링(30)을 통하여 대응하는 편심부(12a)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외치기어(14)에는, 핀부재(32)가 관통하는 핀구멍(14a)가 형성된다. 핀부재(32)와 핀구멍(14a)의 사이에는 외치기어(14)의 요동성분을 흡수하기 위한 여유가 되는 간극이 마련된다. 핀부재(32)와 핀구멍(14a)의 내벽면은 일부에서 접촉한다.
내치기어(16)은, 외치기어(14)와 맞물린다. 본 실시형태의 내치기어(16)은, 케이싱(22)의 내주부에 지지됨과 함께 내치기어(16)의 내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외측핀(16a)를 갖는다. 내치기어(16)의 내치수(외측핀(16a)의 수)는,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외치기어(14)의 외치수보다 1개 많다.
케이싱(22)는, 전체적으로 통형상을 이루고, 그 내주부에는 내치기어(16)이 마련된다. 케이싱(22)의 외주부에는 원환형상의 플랜지부(22a)가 마련된다. 플랜지부(22a)는, 내치기어(16)과 외치기어(14)가 맞물리는 개소에 대하여 직경방향외측에 마련된다. 플랜지부(22a)에는, 나사부재를 체결가능한 암나사구멍(22b)가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캐리어(18, 20)은, 외치기어(14)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다. 캐리어(18, 20)에는, 외치기어(14)의 입력측의 측부에 배치되는 입력측캐리어(18)과, 외치기어(14)의 입력반대측의 측부에 배치되는 입력반대측캐리어(20)이 포함된다. 캐리어(18, 20)은 원반형상을 이루고 있고, 입력축베어링(34)를 통하여 입력축(1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입력측캐리어(18)과 입력반대측캐리어(20)은 핀부재(32)를 통하여 연결된다. 핀부재(32)는, 외치기어(14)의 축심으로부터 직경방향으로 오프셋한 위치에 있어서, 복수의 외치기어(14)를 축방향으로 관통한다. 본 실시형태의 핀부재(32)는, 입력반대측캐리어(20)과 동일한 부재의 일부로서 마련되지만, 캐리어(18, 20)과 별체로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핀부재(32)는,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 둘레에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의 핀부재(32)에는, 축방향의 단면에 개구하는 암나사구멍(32a)가 형성된다. 입력측캐리어(18)에는, 입력측캐리어(18)을 사이에 두고 핀부재(32)와는 반대측으로부터 나사부재(36)이 삽통되는 단차를 가진 삽통구멍(38)이 형성된다. 핀부재(32)는, 나사부재(36)을 암나사구멍(32a)에 체결함으로써 입력측캐리어(18)에 고정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의 입력측캐리어(18)에는, 핀부재(32)의 선단부가 삽입되는 핀구멍(40)이 형성된다.
피구동장치에 회전동력을 출력하는 부재를 출력부재로 하고, 유성기어장치(10)을 지지하기 위한 외부부재에 고정되는 부재를 피고정부재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출력부재는 케이싱(22)이며, 피고정부재는 입력반대측캐리어(20)이다. 출력부재는, 피고정부재에 주베어링(24, 26)을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도 2는, 주베어링(24, 26)을 주변구조의 일부와 함께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주베어링(24, 26)에는, 입력측캐리어(18)과 케이싱(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입력측 주베어링(24)와, 입력반대측캐리어(20)과 케이싱(22)의 사이에 배치되는 입력반대측주베어링(26)이 포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한 쌍의 주베어링(24, 26)은, 이른바 배면조합의 상태로 배치되고, 각각의 작용선(Lw)(후술함)가 주베어링(24, 26)에 대하여 직경방향외측으로 오프셋한 위치에서 교차한다.
본 실시형태의 주베어링(24, 26)은, 복수의 전동체(42) 외에, 리테이너(44)를 구비한다. 복수의 전동체(42)는,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체(42)는 구체이다. 리테이너(44)는, 복수의 전동체(42)의 상대위치를 유지함과 함께 복수의 전동체(42)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한다.
본 실시형태의 주베어링(24, 26)은, 전동체(42)가 전동하는 외측전동면(46)이 마련되는 외륜(48)을 구비하지만, 전동체(42)가 전동하는 내측전동면(50)이 마련되는 내륜을 구비하지 않는다. 이 대신에, 내측전동면(50)은 캐리어(18, 20)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외측전동면(46)은 전동체(42)의 직경방향외측에 마련되고, 내측전동면(50)은 전동체(42)의 직경방향내측에 마련된다. 외륜(48)은, 억지끼워맞춤, 중간끼워맞춤 등의 끼워맞춤에 의하여, 케이싱(22)와 일체화된다.
주베어링(24, 26)은, 예압(Fp)가 부여되는 타입의 베어링이다. 주베어링(24, 26)은 예압(Fp)의 조절을 필요로 하는 타입의 베어링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이 타입의 베어링으로서, 앵귤러볼베어링을 예시한다. 이 타입의 베어링으로서, 이 외에도, 후술하는 테이퍼롤러베어링, 앵귤러롤러베어링 등의 구름베어링을 들 수 있다. 예압(Fp)는, 주로 주베어링(24, 26)의 모멘트강성 등의 베어링 특성의 확보를 위하여 부여된다.
예압(Fp)는, 전동체(42)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선(Lw)를 따른 방향에 부여된다. 이 작용선(Lw)는, 전동체(42)가 구체인 경우, 전동체(42)와 내측전동면(50)의 접촉점과, 전동체(42)와 외측전동면(46)의 접촉점을 연결하는 직선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주베어링(24, 26)은, 축방향으로 직교하는 직교면에 대하여 작용선(Lw)가 경사져 있고, 그 직교면에 대하여 작용선(Lw)가 이루는 접촉각(θ)가 0도를 초과하게 된다. 본 실시형태의 접촉각(θ)는, 40°~55°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45°~55°의 범위이다.
수축양조정부재(28)은, 주베어링(24, 26)의 예압(Fp)의 조절에 이용된다. 주베어링(24, 26)의 내부틈새가 0이 된 후, 상술한 작용선(Lw)를 따른 방향으로 전동체(42)가 수축되는 양(줄어드는 양)을 수축양으로 하고, 수축양의 축방향 성분을 액시얼수축양으로 한다. 주베어링(24, 26)의 예압(Fp)는, 수축양조정부재(28)을 이용하여 액시얼수축양을 조정함으로써 조절된다.
수축양조정부재(28)은, 케이싱(22) 및 캐리어(18, 20)과는 별체로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축양조정부재(28)은 주베어링(24, 26)의 구성부품과는 별체의 판형상의 심(shim)이며, 그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액시얼수축양이 조정된다. 본 실시형태의 수축양조정부재(28)은, 핀부재(32)의 축방향의 단면과 입력측캐리어(18)의 사이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개소에 배치되는 경우, 수축양조정부재(28)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액시얼수축양을 증대시킬 수 있다.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은, 선팽창계수[1/K]가 다른 소재로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싱(22)는 알루미늄계의 소재로 구성되고, 입력측캐리어(18) 및 입력반대측캐리어(20)의 양방은 철계의 소재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알루미늄계의 소재의 선팽창계수는 20×10-6~25×10-6[1/K]이며, 철계의 소재의 선팽창계수는 10×10-6~15×10-6[1/K]이다. 케이싱(22)는, 캐리어(18, 20)보다 선팽창계수가 큰 소재로 구성되게 된다. 다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주베어링(24, 26)의 구성부품(본 예에서는 전동체(42), 외륜(48))도 캐리어(18, 20)과 동일한 철계의 소재로 구성된다. 자세하게는, 캐리어(18), 주베어링(24, 26)의 구성부품은 베어링강으로 구성되고, 캐리어(20)은 JIS에 SCM420에서 규정되는 크로뮴몰리브데넘강으로 구성된다.
이상의 유성기어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장치로부터 입력축(12)에 회전동력이 전달되면, 입력축(12)의 편심부(12a)가 입력축(12)를 통과하는 회전중심선 둘레로 회전하고, 그 편심부(12a)에 의하여 외치기어(14)가 요동한다. 이때, 외치기어(14)는, 자신의 축심이 입력축(12)의 회전중심선 둘레를 회전하도록 요동한다. 외치기어(14)가 요동하면, 외치기어(14)와 내치기어(16)의 맞물림위치가 차례로 어긋난다. 이 결과, 입력축(12)가 1회전할 때마다, 외치기어(14)와 내치기어(16)의 치수차(齒數差)에 상당하는 만큼, 외치기어(14) 및 내치기어(16)의 일방의 자전이 발생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케이싱(22)가 출력부재가 되고, 입력반대측캐리어(20)이 외부부재에 고정되는 경우, 내치기어(16)의 자전이 발생한다. 한편, 입력반대측캐리어(20)이 출력부재가 되고, 케이싱(22)가 외부부재에 고정되는 경우, 외치기어(14)의 자전이 발생한다. 입력축(12)의 회전은, 외치기어(14)와 내치기어(16)의 치수차에 따른 감속비로 감속되고, 출력부재로부터 피구동장치에 출력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10)에서는, 전동체(42)에 부여되는 예압(Fp)를 관리하기 위하여, 캐리어유닛(52)의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이용하고 있다. 이 캐리어유닛(52)는, 케이싱(22)와, 한 쌍의 캐리어(18, 20)과, 한 쌍의 주베어링(24, 26)으로 이루어지는 유닛이다. 도 2는, 캐리어유닛(52)의 일부를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기도 하다. 캐리어유닛(52)에는, 한 쌍의 캐리어(18, 20)을 연결하는 핀부재(32)나 나사부재(36) 외에, 수축양조정부재(28)이 포함된다. 캐리어유닛(52)는, 이들 캐리어유닛(52)의 구성부품 이외의 유성기어장치(10)의 구성부품을 제외한 것이며, 입력축(12), 외치기어(14), 입력축베어링(34), 오일시일(도시하지 않음) 등을 포함하지 않는다. 캐리어유닛(52)는, 유성기어장치(10)을 분해한 후에, 이들 입력축(12), 외치기어(14) 등을 제거한 후, 캐리어유닛(52)의 구성부품을 조합함으로써 얻어진다.
전동체기동하중(Fbrg)란, 이 캐리어유닛(52)에 있어서, 한 쌍의 캐리어(18, 20)에 대하여 케이싱(22)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주베어링(24, 26)의 전동체(42)에 부여되는 하중을 말한다. 이 전동체기동하중(Fbrg)는, 주베어링(24, 26)의 전동체(42)에 부여되는 예압(Fp)와의 사이에서 양의 상관관계를 갖는다. 이로 인하여, 이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이용함으로써, 전동체(42)에 부여되는 예압(Fp)를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캐리어유닛(52)의 온도인 유닛온도(Tu)와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의 캐리어유닛(52)는,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소정의 허용범위(Rb)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에서의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의"란, -10℃~50℃의 온도범위(Ra) 중 어느 온도에 있어서도, 언급하고 있는 조건을 충족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이 -10℃~50℃의 온도범위(Ra)는, 유성기어장치(10)을 사용할 때에 충족시킨다고 상정되는 환경온도범위에서 사용했을 때에, 유성기어장치(10)의 구성부품이 층족시킨다고 상정되는 온도범위로서 정해져 있다. 여기에서의 환경온도범위는, -10℃~40℃의 범위를 상정하고 있다. 이 환경온도범위에서 사용했을 때, 내치기어(16)과 외치기어(14)의 맞물림 개소나, 주베어링(24, 26)의 전동면(46, 50)에서의 발열의 영향에 의하여, 유성기어장치(10)의 구성부품은, 그 환경온도에서 가열되는 것이 상정된다. 따라서, 여기에서의 온도범위(Ra)는, 그 상정되는 환경온도범위의 상한값에 대하여, 미리 상정되는 최대가열온도(10℃)를 가산한 -10℃~50℃의 온도범위를 설정하고 있다.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허용범위(Rb)는, 3kgf~25kgf로 설정하고 있다.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3kgf 미만이 되면, 치수공차 등의 편차의 영향을 받아, 주베어링(24, 26)에 거의 또는 전혀 예압이 부여되지 않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한 모멘트강성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25kgf 초과가 되면, 주베어링(24, 26)에 부여되는 예압이 과대해지고, 주베어링(24, 26)의 수명 저하에 의하여, 필요한 수명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3kgf~25kgf의 경우, 편차의 영향을 받아도 주베어링(24, 26)에 예압이 부여된 상태로 할 수 있어, 필요한 모멘트강성을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다. 또, 과대한 예압이 주베어링(24, 26)에 부여되는 사태를 피할 수 있어, 필요한 주베어링(24, 26)의 수명을 확보할 수 있다.
주베어링(24, 26)이 앵귤러볼베어링인 경우,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바람직한 허용범위(Rc)는, 3kgf~15kgf로 설정된다. 전동면(46, 50)에 전동체(42)가 점접촉하는 앵귤러볼베어링의 경우, 전동면(46, 50)에 전동체(42)가 선접촉하는 롤러베어링과 비교하여, 전동면(46, 50)과 전동체(42)의 접촉개소에 큰 하중이 부여된다. 따라서, 앵귤러볼베어링의 경우, 주베어링(24, 26)의 수명 저하를 피하는 관점에서, 후술하는 롤러베어링과 비교하여, 주베어링(24, 26)에 부여해야 할 예압이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관점에서, 허용범위의 상한값을 15kgf로 설정하고 있다. 바람직한 허용범위(Rc)의 하한값의 이유는, 상술과 동일하다.
본 도면에서는, 특정의 캐리어유닛(52)로부터 측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유닛온도(Tu)와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관계를 나타내는 온도-하중 특성(C1)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캐리어유닛(52)의 온도-하중 특성(C1)은 특정의 상관관계를 갖고 있다. 본 예에서는, 유닛온도(Tu)의 증대에 따라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감소하는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예를 나타낸다. 이로 인하여, 상술한 온도범위(Ra)에서 전동체기동하중을 허용범위(Rb) 내에 들어가도록 하는 하중조건을 충족시킨 후에, 캐리어유닛(52)는, 이 온도범위의 최솟값과 최댓값에서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에 들어가면 된다. 바꾸어 말하면, 캐리어유닛(52)는, -10℃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내이며, 또한 50℃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면 된다.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시키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첫번째로, 수축양조정부재(28)에 의하여 액시얼수축양을 조정하는 수법이 있다. 예를 들면, 유닛온도(Tu)와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음의 상관관계를 갖는 경우, -10℃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의 상한값을 상회할 때에는, 액시얼수축양을 감소시키도록 조정함으로써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감소시킨다. 또, 50℃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의 하한값을 하회할 때에는, 액시얼수축양을 증대시키도록 조정함으로써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증대시킨다. 이 조정수법을 이용한 경우, 도 3의 예에서 말하면, 전체 온도범위에 있어서 온도-하중 특성(C1)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균일하게 증감하도록 변화한다.
또,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하도록 구성함에 있어서, 두번째로, 캐리어유닛(52)의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생각되는 케이싱(22) 및 캐리어(18, 20)의 선팽창계수, 캐리어유닛(52)의 치수조건을 조정하는 수법이 있다. 여기에서의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란, 유닛온도(Tu)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을 말한다. 이들 선팽창계수, 치수조건 등의 파라미터와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의 관계는 후술한다. 예를 들면, -10℃, 50℃ 중 어느 일방 또는 양방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밖이 되는 경우, 그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내에 들어가도록, 이들 파라미터를 조정함으로써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를 작게 한다.
첫번째의 조정수법을 이용한 경우, 케이싱(22) 및 캐리어(18, 20)의 소재, 치수를 조정하지 않고,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두번째 조정수법을 이용한 경우, 액시얼수축양의 조정에 의하여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할 수 없는 경우이더라도,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의 조정을 통하여,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의 캐리어유닛(52)는, 환경온도의 변화를 고려하여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선팽창계수가 다른 경우에, 환경온도가 변화해도, 주베어링(24, 26)의 모멘트강성 등에 관하여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다음으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캐리어유닛(52)를 이용하여, 한 쌍의 캐리어(18, 20)의 회전을 규제한 상태에서, 한 쌍의 캐리어(18, 20)에 대하여 케이싱(22)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 케이싱(22)의 소정의 계측개소에 부여되는 케이싱기동하중(Fm)[kgf]를 계측한다. 이 계측개소는, 케이싱(22)의 암나사구멍(22b)에 체결함으로써 케이싱(22)에 고정된 나사부재(54)의 두부(頭部)(54a)(도 1 참조)로 한다. 케이싱기동하중(Fm)은 푸시풀게이지를 이용하여 계측한다. 푸시풀게이지는, 케이싱(22)에 고정된 나사부재(54)의 두부(54a)에 장착하여,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를 중심으로 하여 나사부재(54)의 두부(54a)를 통과하는 원의 접선방향을 향하여 당긴다. 푸시풀게이지를 당기기 시작한 후부터 케이싱(22)가 회전하기 시작할 때까지동안, 푸시풀게이지에 의하여 계측된 최대인장하중을 케이싱기동하중(Fm)의 계측값으로 한다.
주베어링(24, 26)의 전동체(42)의 피치원직경의 절반의 값을 Rbrg[m]으로 한다.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로부터 케이싱기동하중(Fm)의 계측개소까지의 직경방향거리를 Rm[m]으로 한다. 이때, 케이싱기동하중(Fm)의 계측값과, 다음의 식 (A)를 이용하여, 전동체(42)의 피치원을 통과하는 개소에 부여되는 하중(Fbrg)로 환산하고, 그 환산값(Fbrg)를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으로 한다.
Fbrg=Fm×(Rm/Rbrg)…(A)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측정함에 있어서, 캐리어유닛(52)의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온도가 동일한 정도의 온도가 될 때까지, 캐리어유닛(52)의 온도를 가열 또는 냉각에 의하여 변화시킨다. 그리고, 케이싱(22)의 소정의 측온개소의 온도측정값에 대하여, 캐리어(18, 20)의 소정의 측온개소의 온도측정값이 ±1℃의 범위 내가 되었을 때, 케이싱(22)의 온도측정값을 유닛온도(Tu)의 측정값으로서 이용한다. 여기에서의 케이싱(22)의 측온개소는, 내치기어(16)과 외치기어(14)의 맞물림 개소에 대하여 직경방향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케이싱(22)의 외주면(22c)로서 정한다. 또, 캐리어(18, 20)의 측온개소는, 캐리어(18, 20)의 축방향의 단면으로서 정한다. 이들 측온개소에 접촉식 온도계를 댐으로써, 측온개소의 온도를 측정한다.
다만,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측정함에 있어서, 다음의 순서를 거쳐 얻어지는 온도측정값을 유닛온도(Tu)의 측정값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먼저, 소정의 온도로 유지된 폐쇄공간에 캐리어유닛(52)를 배치하고, 캐리어유닛(52)의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온도가 폐쇄공간의 온도가 되기에 충분한 소정의 유지시간에 걸쳐 유지한다. 이로써,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온도가 폐쇄공간의 온도와 동일한 정도의 온도가 되기 때문에, 그때의 폐쇄공간의 온도측정값을 유닛온도(Tu)의 측정값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다음으로,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시키기 쉽게 하기 위하여 고안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관리범위(Rma)(도 3 참조)의 설정방법을 설명한다. 이 방법에서는, 다음의 2개의 파라미터를 구하고, 그 2개의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를 구하며, 그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에 근거하여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들어갈 수 있는 범위로서 관리범위(Rma)를 설정한다. 이 2개의 파라미터란, 유닛온도(Tu)의 단위량(예를 들면, 1℃)당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과, 액시얼수축양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이다.
먼저, 유닛온도(Tu)의 단위량당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을 설명한다. 이것은, 다음으로 설명하는 식을 이용한 계산에 의하여 산출된다.
도 2를 참조한다. 주베어링(24, 26)의 축방향변위를 규제하고 있는 주베어링(24, 26)에 대한 케이싱(22)의 접촉개소를 케이싱(22)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6)이라고 한다. 주베어링(24, 26)의 축방향변위를 규제하고 있는 주베어링(24, 26)에 대한 캐리어(18, 20)의 접촉개소를 캐리어(18, 20)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8)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싱(22)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6)은, 주베어링(24, 26)의 외륜(48)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개소에서 케이싱(22)에 마련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18, 20)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8)은, 캐리어(18, 20)의 내측전동면(50)의 전동체(42)와의 접촉점이다.
한 쌍의 주베어링(24, 26)의 각각에 대응하는 케이싱(22)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6)의 사이의 축방향거리를 Lo라고 한다. 유닛온도(Tu)가 ΔT만큼 변화했을 때의 케이싱(22)의 축방향거리(Lo)의 변화량을 케이싱(22)의 축방향팽창량 δLo라고 한다. 이때, δLo는, 다음의 식 (1)로 나타난다. 다만, ΔT는 유닛온도(Tu)의 소정의 기준온도로부터의 변화량[℃], αo는 케이싱(22)의 선팽창계수[1/K]이다.
δLo=Lo×αo×ΔT … (1)
한 쌍의 주베어링(24, 26)의 각각에 대응하는 캐리어(18, 20)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8)의 사이의 축방향거리를 Li라고 한다. 유닛온도(Tu)가 ΔT만큼 변화했을 때의 캐리어(18, 20)의 축방향거리(Li)의 변화량을 캐리어(18, 20)의 축방향팽창량 δLi라고 한다. 이때, δLi는, 다음의 식 (2)로 나타난다. 다만, αi는 캐리어(18, 20)의 선팽창계수[1/K]이다.
δLi=Li×αi×ΔT … (2)
케이싱(22)의 축방향팽창량 δLo와 캐리어(18, 20)의 축방향팽창량 δLi의 차 δL은, 이들을 이용하여, 다음의 식 (3)으로 나타난다. 케이싱(22)의 축방향팽창량 δLo가 캐리어(18, 20)의 축방향팽창량 δLi보다 커질수록, 이 차 δL이 커져, 그만큼, 전동체(42)의 액시얼수축양이 커진다고 파악할 수 있다.
δL=δLo-δLi … (3)
주베어링(24, 26)의 직경방향변위를 규제하고 있는 주베어링(24, 26)에 대한 케이싱(22)의 접촉개소를 케이싱(22)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0)이라고 한다. 주베어링(24, 26)의 직경방향변위를 규제하고 있는 주베어링(24, 26)에 대한 캐리어(18, 20)의 접촉개소를 캐리어(18, 20)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2)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싱(22)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0)은, 주베어링(24, 26)의 외륜(48)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개소에서 케이싱(22)의 내주면에 마련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18, 20)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2)는, 캐리어(18, 20)의 내측전동면(50)의 전동체(42)와의 접촉점이다.
케이싱(22)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0)의 직경방향치수를 Do라고 한다(도 1도 참조). 유닛온도(Tu)가 ΔT만큼 변화했을 때의 케이싱(22)의 직경방향치수(Do)의 변화량을 케이싱(22)의 직경방향팽창량 δDo라고 한다. 이때, δDo는, 다음의 식 (4)로 나타난다.
δDo=Do×αo×ΔT … (4)
캐리어(18, 20)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2)의 직경방향치수를 Di라고 한다(도 1도 참조). 유닛온도(Tu)가 ΔT만큼 변화했을 때의 캐리어(18, 20)의 직경방향치수(Di)의 변화량을 캐리어(18, 20)의 직경방향팽창량 δDi라고 한다. 이때, δDi는, 다음의 식 (5)로 나타난다.
δDi=Di×αi×ΔT … (5)
케이싱(22)의 직경방향팽창량 δDo와 캐리어(18, 20)의 직경방향팽창량 δDi의 차 δD는, 이들을 이용하여, 다음의 식 (6)으로 나타난다.
δD=δDo-δDi … (6)
주베어링(24, 26)의 수축양의 직경방향성분을 레이디얼수축양이라고 한다.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직경방향팽창량의 차 δD만큼 레이디얼수축양이 변화했을 때, 그 변화의 전후로 주베어링(24, 26)의 접촉각(θ)가 변화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이때, 주베어링(24, 26)의 액시얼수축양은, 주베어링(24, 26)의 접촉각(θ)의 탄젠트값(tanθ)와 레이디얼수축양 δD의 곱만큼 변화한다. 이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직경방향팽창량의 차 δD에 기인하는 축방향팽창량의 변화량을 δ'L이라고 하면, 이 δ'L은 다음의 식 (7)로 나타난다. δD에 마이너스 부호를 붙인 것은, 케이싱(22)나 캐리어(18, 20)이 온도상승했을 때, 축방향팽창량의 차 δL에 기인하여 전동체(42)가 축방향으로 수축되는 반면, 직경방향팽창량의 차 δD에 기인하여 전동체(42)가 축방향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고려했기 때문이다.
δ'L=-δD×tanθ …(7)
이상의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의 축방향팽창량의 차 δL과, 직경방향팽창량의 차 δD에 기인하는 축방향팽창량의 변화량 δ'L을 이용하여, 유닛온도(Tu)가 ΔT만큼 변화했을 때의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 δLtotal은, 다음의 식 (8)로 나타난다.
δLtotal=δL+δ'L … (8)
δLtotal은, 식 (1)~(8)을 이용하여, 다음의 식 (9)로 나타난다. 이와 같이,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 δLtotal은, 케이싱(22) 및 캐리어(18, 20)의 선팽창계수(αo, αi), 주베어링(24, 26)의 접촉각(θ), 한 쌍의 주베어링(24, 26)의 축방향거리(Lo, Li), 주베어링(24, 26)의 직경방향치수(Do, Di), 유닛온도(Tu)의 기준온도로부터의 변화량(ΔT)를 이용한 관계식에 의하여 나타난다. 이 변화량(ΔT)를 유닛온도(Tu)의 단위량(예를 들면, 1℃)으로 했을 때, 하기의 식 (9)는, 유닛온도(Tu)의 단위량당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 δLtotal을 나타내게 된다.
δLtotal=ΔT×{(Lo×αo-Li×αi)-(Do×αo-Di×αi)×tanθ} … (9)
다음으로, 액시얼수축양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을 설명한다. 이것은, 이하에서는 실험적 수법에 의하여 구하는 예를 설명하지만, 해석적 수법 등에 의하여 구해도 된다.
먼저, 미리 준비해 둔 캐리어유닛(52)를 이용하여, 액시얼수축양을 변경한 복수의 조건하에서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측정한다. 액시얼수축양은, 수축양조정부재(28)을 이용함으로써 조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축양조정부재(28)의 두께를 변경함으로써 액시얼수축양을 조정한다.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다. 즉, 액시얼수축양을 변경한 복수의 조건하에서 케이싱기동하중(Fm)을 계측하고, 그 계측값에 근거하여, 복수의 조건하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을 취득한다. 도 4는,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결과를 동그라미 표시로 플롯하여 나타낸다.
다음으로, 복수의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회귀분석 등의 분석수법을 이용하여, 액시얼수축양(L)과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관계를 나타내는 관계식을 산출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복수의 측정값으로부터 최소제곱법 등에 의하여, 이와 같은 관계식의 일례가 되는 회귀직선(Lr)(Fbrg=a×L+b 절편 b는 상수)을 구하고 있다. 이 관계식의 기울기는, 액시얼수축양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의 변화율(dFbrg/dL)을 나타낸다. 이 변화율(dFbrg/dL)은, 본 예와 같은 회귀직선(Lr)을 관계식으로 하여 산출한 경우, 그 회귀직선(Lr)의 기울기 a(상수)에 의하여 나타난다.
이상에 의하여, 유닛온도(Tu)의 단위량당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δLtotal)과, 액시얼수축양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의 변화율(dFbrg/dL)이 얻어진다. 이들 파라미터를 이용함으로써, 이하의 식 (10)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유닛온도(Tu)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를 나타내는 관계식이 얻어진다. 이 변화율(ΔFbrg)는, δLtotal과 dFbrg/dL에 근거하여 산출되게 된다. 이 관계식은, 상술한 αo, αi, θ, Lo, Li, Do, Di를 이용하여 나타난다. 이 비율은, 상술한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를 나타낸다.
ΔFbrg=(dFbrg/dL)×δLtotal … (10)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이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ΔFbrg)를 이용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관리범위(Rma)의 설정방법을 설명한다. 이 관리범위(Rma)는, 상술한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ΔFbrg)에 따라, 유닛온도(Tu)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관리상한값(Rmax)와 관리하한값(Rmin)의 사이에 있는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범위로서 설정된다. 이 관리범위(Rma)는,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 상술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허용범위(Rb)에 들어가도록 설정된다. 관리범위(Rma)의 관리상한값(Rmax)로부터 관리하한값(Rmin)까지의 폭인 관리폭(Rw)는, 예를 들면 2~5kgf로 설정된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이 설정되는 관리범위(Rma)를 이용하여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를 양호한 정밀도로 예측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의 실험적 검토를 행했다. 먼저, 미리 준비해 둔 캐리어유닛(52)를 이용하고, 상술한 식 (10)을 이용하여 유닛온도의 변화에 대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를 구하여, 도시의 관리범위(Rma)를 설정했다.
다음으로, 동일한 캐리어유닛(52)를 이용하여, 그 캐리어유닛(52)의 유닛온도(Tu)를 변경한 복수의 조건하에서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측정했다. 도면 중의 온도-하중 특성(C1) 상의 플롯은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에 근거하여 설정한 관리범위(Rma)의 관리상한값(Rmax)나 관리하한값(Rmin)의 기울기는, 이 복수의 측정값이 나타내는 온도-하중 특성(C1)의 기울기와 대체로 일치하고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로써, 상술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에 근거하여 설정한 관리범위(Rma)를 이용함으로써 온도-하중 특성을 양호한 정밀도로 예측할 수 있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하, 이 관리범위(Rma)를 이용한 유성기어장치(10)의 제조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상술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에 근거하여,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 소정의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허용범위(Rb)에 들어갈 수 있다고 상정되는 범위로서 관리범위(Rma)를 설정한다. 이 관리범위(Rma)의 설정에 있어서, 상술한 αo, αi, Lo, Li, Do, Di는, 유성기어장치(10)에 장착하려고 하는 캐리어유닛(52)에 대하여, 소정의 기준온도에 있을 때의 위치관계를 바탕으로 설정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기준온도는 실온을 상정하고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0℃이다.
이 관리범위(Rma)는, 전체 온도범위에서 관리범위(Rma)의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증감시키거나, 관리폭(Rw)를 증감시킴으로써, 상술한 온도범위(Ra)에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허용범위(Rb)에 들어가는 하중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한다. 이 수법을 이용해도,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파라미터(αo, αi 등)도 조정함으로써,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시키도록 설정한다.
다음으로, 유성기어장치(10)에 장착하려고 하는 캐리어유닛(52)를 이용하여, 캐리어유닛(52)의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기준온도에서 측정하고, 그 측정값이 기준온도에서 관리범위 내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이 기준온도에서 관리범위(Rma) 밖에 있는 경우, 캐리어유닛(52)를 분해하여 액시얼수축양을 조정한다. 한편,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이 기준온도에서 관리범위(Rma) 내에 있는 경우, 그때의 액시얼수축양을 적정수축양으로서 특정한다. 즉,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이 기준온도에서 관리범위(Rma)에 들어갈 때까지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과 액시얼수축양의 조정을 반복한다.
이 기준온도에서의 관리범위(Rma)에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값이 들어가지 않는 경우, 수축양조정부재(28)에 의한 액시얼수축양의 조정을 통하여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조정한다. 예를 들면,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관리하한값(Rmin)을 하회하는 경우, 액시얼수축양이 증대하도록 조정하고, 기준온도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증대시킨다. 또,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관리상한값(Rmax)를 상회하는 경우, 액시얼수축양이 감소하도록 조정하고, 기준온도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감소시킨다. 어느 경우에도, 캐리어유닛(52)를 분해하고, 기존의 수축양조정부재(28)을 두께가 다른 수축양조정부재(28)과 교환하여, 캐리어유닛(52)를 다시 조립한 후에, 상술한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을 한다.
다음으로, 주베어링(24, 26)의 액시얼수축양이 적정수축양이 되도록 유성기어장치(10)을 조립한다. 이때,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측정에 이용된 캐리어유닛(52)를 분해한 후에, 그 분해한 캐리어유닛(52)의 구성부품과, 입력축(12), 외치기어(14) 등의 유성기어장치(10)의 다른 구성부품을 조합하여, 유성기어장치(10)을 조립한다. 이때, 주베어링(24, 26)의 액시얼수축양을 적정수축양으로 하기 위하여, 수축양조정부재(28)에 의한 액시얼수축양의 조정량은, 적정수축양이 얻어졌을 때의 조건과 동일하게 한다. 이로써,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내에 안정적으로 들어간다.
다만, 적정수축양을 특정한 후에 유성기어장치(10)을 조립하는 것은, 캐리어유닛(52)에 의하여 치수공차 등의 영향에 의하여 전동체기동하중(Fbrg)에 편차가 있기 때문에, 그 편차의 영향을 받지 않고 필요한 베어링 특성을 얻기 위해서이다.
상술한 하중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제2 조정수법을 보충한다. 캐리어유닛(52)의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에는, 식 (9),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2) 및 캐리어(18, 20)의 선팽창계수(αo, αi), 주베어링(24, 26)의 접촉각(θ), 한 쌍의 주베어링(24, 26)의 축방향거리(Lo, Li), 주베어링(24, 26)의 직경방향치수(Do, Di)가 영향을 주고 있다. 따라서, 이들 치수조건의 조정, 설정을 통하여, 캐리어유닛(52)의 온도-하중 특성의 기울기를 조정함으로써, -10℃~50℃의 온도범위(Ra)에서 전동체기동하중(Fbrg)가 허용범위(Rb)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2 실시형태)
도 5는, 제2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10)을 나타내는 측면단면도이다. 제1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는 센터크랭크 타입의 편심요동형 기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의 유성기어장치는, 이른바 배분 타입의 편심요동형 기어장치이다.
유성기어장치(10)은, 제1 실시형태와 비교하여, 주로 복수의 입력기어(70)을 구비하는 점이나, 입력축(12), 주베어링(24, 26)의 점에서 다르다.
복수의 입력기어(70)은,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 둘레에 배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1개의 입력기어(70)만 나타낸다. 입력기어(70)은, 그 중앙부에 삽통되는 입력축(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입력축(12)와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입력기어(70)은,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 상에 마련되는 회전축(도시하지 않음)의 외치부와 맞물린다. 회전축에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그 회전축의 회전에 의하여 입력기어(70)이 입력축(12)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본 실시형태의 입력축(12)는,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로부터 오프셋한 위치에 둘레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예를 들면, 3개) 배치된다. 본 도면에서는 1개의 입력축(12)만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주베어링(24, 26)은, 테이퍼롤러베어링, 즉, 롤러베어링이다. 본 실시형태의 전동체(42)는 원뿔형상의 롤러이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주베어링(24, 26)이 롤러베어링인 경우, 주베어링(24, 26)은, 통상, 외측전동면(46)이 마련되는 외륜(48) 외에, 내측전동면(50)이 마련되는 내륜(72)를 구비한다. 상술한 작용선(Lw)는, 전동체(42)가 롤러인 경우, 내치기어(16)의 중심축선(La)를 따른 절단면에 있어서, 롤러(롤러베어링)의 자전축방향의 중앙을 통과하는 직선이자, 자전축선(Lb)에 직교하는 직선을 말한다.
이상의 유성기어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한다. 구동장치로부터 회전축에 회전동력이 전달되면, 회전축으로부터 복수의 입력기어(70)에 회전동력이 배분되고, 각 입력기어(70)이 동일 위상으로 회전한다. 각 입력기어(70)이 회전하면, 입력축(12)의 편심부(12a)가 입력축(12)를 통과하는 회전중심선 둘레로 회전하고, 그 편심부(12a)에 의하여 외치기어(14)가 요동한다. 외치기어(14)가 요동하면,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게, 외치기어(14)와 내치기어(16)의 맞물림위치가 차례로 어긋나, 외치기어(14) 및 내치기어(16) 중 일방의 자전이 발생한다. 입력축(12)의 회전은, 외치기어(14)와 내치기어(16)의 치수차에 따른 감속비로 감속되고, 출력부재로부터 피구동장치에 출력된다.
본 실시형태와 같이 주베어링(24, 26)이 롤러베어링인 경우,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바람직한 허용범위는, 5kgf~25kgf로 설정된다. 5kgf 미만이 되면, 롤러베어링의 경우, 주베어링(24, 26)의 예압이 불충분해져, 오히려 주베어링(24, 26)의 수명 저하를 초래하거나, 혹은 모멘트강성의 저하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허용범위의 상한값의 이유는, 상술과 동일하게 주베어링(24, 26)의 수명의 관계로 설정하고 있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베어링(24, 26)이 내륜을 구비하지 않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베어링(24, 26)이 내륜(7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캐리어(18, 20)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8)은, 주베어링(24, 26)의 내륜(72)와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개소에 있어서 캐리어(18, 20)에 마련된다. 캐리어(18, 20)의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2)는, 주베어링(24, 26)의 내륜(72)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개소에 있어서 캐리어(18, 20)의 외주면에 마련된다. 또, 이에 따라, 상술한 Di, Li의 위치가 제1 실시형태와 다르다. 다른 파라미터의 취급은 제1 실시형태와 동일하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의 구체예를 나타낸 것에 지나지 않는다. 실시형태의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청구범위에 규정된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변경, 추가, 삭제 등의 다양한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이와 같은 설계변경이 가능한 내용에 관하여, "실시형태의" "실시형태에서는" 등의 표기를 붙여 설명하고 있지만, 그와 같은 표기가 없는 내용에 설계변경이 허용되지 않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의 단면에 그린 해칭은, 해칭을 그린 대상의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유성기어장치(10)은, 편심요동형 기어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단순유성기어장치 등이어도 된다.
실시형태의 출력부재는 케이싱(22)이며, 외부부재에는 캐리어(18, 20)이 고정되는 예를 설명했다. 이 외에도, 출력부재는 캐리어(18, 20)이며, 외부부재에는 케이싱(22)가 고정되어도 된다.
케이싱(22)와 캐리어(18, 20)은, 선팽창계수가 다른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면 되고, 그 구체적인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일방의 소재를 수지계의 소재로 하고, 타방의 소재를 금속계의 소재로 해도 된다. 또, 양방의 소재를 철계의 소재로 하고, 소재의 함유 탄소량을 다르게 함으로써 선팽창계수를 다르게 해도 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케이싱(22)는, 캐리어(18, 20)보다 선팽창계수가 큰 소재로 구성되는 예를 설명했지만, 캐리어(18, 20)보다 선팽창계수가 작은 소재로 구성되어도 된다.
제1 실시형태에서는, 주베어링(24, 26)이 외륜(48)을 구비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주베어링(24, 26)이 외륜(48)을 구비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전동체(42)의 외측전동면(46)은 케이싱(22)의 내주면에 마련된다. 이 경우, 케이싱(22)의 액시얼변위규제개소(56) 및 레이디얼변위규제개소(60)은, 케이싱(22)의 외측전동면(46)의 전동체(42)와의 접촉점이 된다.
수축양조정부재(28)은, 주베어링(24, 26)의 구성부품과는 별체인 예를 설명했지만, 주베어링(24, 26)의 구성부품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주베어링(24, 26)의 외륜(48)이 수축양조정부재(28)을 구성하는 경우, 외륜의 두께가 되는 축방향치수를 변경함으로써 액시얼수축양이 조정된다. 또, 수축양조정부재(28)이 심인 경우, 그 배치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형태에서는, -10℃~50℃의 온도범위(Ra)에 있어서의 전동체기동하중(Fbrg)를 허용범위(Rb)에 들어갈 수 있는 범위로 하여 관리범위(Rma)를 설정함으로써,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를 이용하는 예를 설명했다. 이 외에도, 전동체기동하중(Fbrg)의 변화율(ΔFbrg)를 이용하지 않고, 실험 등에 의하여, 그 조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기준온도에서의 전동체기동하중의 범위를 구하여, 그 구한 범위를 관리범위(Rma)로서 설정해도 된다.
10…유성기어장치
14…외치기어
16…내치기어
18, 20…캐리어
22…케이싱
24, 26…주베어링
28…수축양조정부재
42…전동체
52…캐리어유닛

Claims (8)

  1. 내치기어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외치기어와,
    상기 외치기어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 캐리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의 사이에 배치된 주베어링을 구비한 유성기어장치로서,
    상기 주베어링은, 예압이 부여되는 타입의 베어링이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는, 선팽창계수가 다른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와 상기 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유닛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케이싱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주베어링의 전동체에 부여되는 하중을 전동체기동하중으로 했을 때,
    상기 캐리어유닛은, -10℃~5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이 3kgf~25kgf의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구성되는 유성기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선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전동체가 수축되는 양을 수축양으로 하며,
    상기 수축양의 축방향성분을 액시얼수축양으로 했을 때,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캐리어와는 별체로 마련되고, 상기 액시얼수축양을 조정가능한 수축양조정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캐리어유닛은, 상기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이 상기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수축양조정부재에 의하여 액시얼수축양이 조정되어 있는 유성기어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외치기어의 축방향양측부에 배치된 한 쌍의 캐리어가 포함되고,
    상기 주베어링에는, 상기 한 쌍의 캐리어 각각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주베어링이 포함되며,
    상기 캐리어유닛은, 상기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이 상기 허용범위 내에 들어가도록,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캐리어의 선팽창계수, 상기 주베어링의 접촉각, 상기 한 쌍의 주베어링의 축방향거리, 및 상기 주베어링의 직경방향치수가 설정되어 있는 유성기어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베어링은, 앵귤러볼베어링이며,
    상기 허용범위는, 3kgf~15kgf로 설정되는 유성기어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주베어링은, 테이퍼롤러베어링이며,
    상기 허용범위는, 5kgf~25kgf로 설정되는 유성기어장치.
  6. 내치기어가 마련된 케이싱과,
    상기 내치기어와 맞물리는 외치기어와,
    상기 외치기어의 축방향측부에 배치된 캐리어와,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의 사이에 배치된 주베어링을 구비한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주베어링은, 예압이 부여되는 타입의 베어링이며,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는, 선팽창계수가 다른 소재로 구성되고,
    상기 케이싱과 상기 캐리어와 상기 주베어링으로 이루어지는 캐리어유닛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 대하여 상기 케이싱이 회전하기 시작할 때에 상기 주베어링의 전동체에 부여되는 하중을 전동체기동하중으로 하며,
    상기 전동체에 작용하는 하중의 작용선을 따른 방향으로 상기 전동체가 수축되는 양을 수축양으로 하고,
    상기 수축양의 축방향성분을 액시얼수축양으로 했을 때,
    소정의 기준온도에서 상기 캐리어유닛의 전동체기동하중을 측정하며, 그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관리범위에 들어갈 때까지 액시얼수축양을 조정하고, 그 관리범위에 들어갈 때의 액시얼수축양을 적정수축양으로서 특정하는 단계와,
    상기 주베어링의 액시얼수축양이 적정수축양이 되도록 상기 유성기어장치를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관리범위는, -10℃~50℃의 온도범위에 있어서의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을 3kgf~25kgf의 허용범위에 들어갈 수 있는 범위로서 설정되는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범위는, 미리 구해진 상기 캐리어유닛의 유닛온도의 변화에 대한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의 변화율에 따라, 상기 캐리어유닛의 유닛온도의 변화에 따라 증감하는 관리상한값과 관리하한값의 사이의 범위로서 설정되고,
    상기 변화율은, 미리 구해진 상기 유닛온도의 단위량당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과, 미리 구해진 상기 액시얼수축양의 변화에 대한 상기 전동체기동하중의 변화율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에는, 상기 외치기어의 축방향 양측부에 배치된 한 쌍의 캐리어가 포함되고,
    상기 주베어링에는, 상기 한 쌍의 캐리어 각각과 상기 케이싱의 사이에 배치된 한 쌍의 주베어링이 포함되며,
    상기 유닛온도의 단위량당 액시얼수축양의 변화량은, 상기 케이싱 및 상기 캐리어의 선팽창계수, 상기 주베어링의 접촉각, 상기 한 쌍의 주베어링의 축방향거리, 및, 상기 주베어링의 직경방향치수에 근거하여 산출되는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KR1020180097436A 2017-11-27 2018-08-21 유성기어장치 및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KR1024661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26510A JP6863882B2 (ja) 2017-11-27 2017-11-27 遊星歯車装置及び遊星歯車装置の製造方法
JPJP-P-2017-226510 2017-11-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147A KR20190062147A (ko) 2019-06-05
KR102466197B1 true KR102466197B1 (ko) 2022-11-10

Family

ID=66442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436A KR102466197B1 (ko) 2017-11-27 2018-08-21 유성기어장치 및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863882B2 (ko)
KR (1) KR102466197B1 (ko)
CN (1) CN109838508B (ko)
DE (1) DE102018121739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9937B2 (ja) * 2020-03-04 2023-09-25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47B1 (ko) 2012-07-03 2017-01-03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47601B2 (ja) * 1988-02-09 1996-10-23 マツダ株式会社 物品の組付け方法
JPH01133549U (ko) * 1988-03-04 1989-09-12
JP2002054630A (ja) * 2000-08-09 2002-02-20 Nsk Ltd 転がり軸受装置およびその予圧設定方法
JP2003172341A (ja) * 2001-09-28 2003-06-20 Nsk Ltd ボールねじ支持用多点接触玉軸受
JP2003148596A (ja) 2001-11-16 2003-05-21 Koyo Seiko Co Ltd 変速機の軸受装置
US20060018582A1 (en) * 2004-07-26 2006-01-26 Mircea Gradu Bearing having thermal compensating capability
JP4362455B2 (ja) * 2005-04-11 2009-11-1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遊星歯車装置のフランジの位置決め構造
US7997804B2 (en) * 2007-02-06 2011-08-16 Jtekt Corporation Rolling bearing apparatus
US8794843B2 (en) * 2009-11-19 2014-08-05 Nsk Ltd. Rotation support device for pinion shaft
JP2013029195A (ja) 2011-06-24 2013-02-07 Jtekt Corp モータ駆動力伝達装置
JP5822392B2 (ja) * 2011-12-15 2015-11-24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偏心揺動型減速機
JP5417481B2 (ja) * 2012-04-20 2014-02-12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伝動装置
JP5941349B2 (ja) 2012-06-25 2016-06-2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5466739B2 (ja) 2012-08-24 2014-04-09 ナブテスコ株式会社 偏心揺動型歯車装置
JP6137875B2 (ja) * 2013-03-01 2017-05-31 住友重機械工業株式会社 遊星歯車減速装置
JP6039478B2 (ja) * 2013-03-25 2016-12-07 ナブテスコ株式会社 歯車伝動装置
CN105848951B (zh) * 2014-01-08 2019-04-19 Ntn株式会社 轮内电动机驱动装置
JP2017226510A (ja) 2016-06-22 2017-12-28 株式会社Screenホールディングス 巻取装置および巻取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2647B1 (ko) 2012-07-03 2017-01-03 나부테스코 가부시키가이샤 편심 요동형 기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838508B (zh) 2022-06-10
CN109838508A (zh) 2019-06-04
KR20190062147A (ko) 2019-06-05
DE102018121739A1 (de) 2019-05-29
JP6863882B2 (ja) 2021-04-21
DE102018121739B4 (de) 2022-01-13
JP2019095017A (ja)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0312B2 (en) Eccentric oscillation type speed reducer
US9316266B2 (en) Parallel link mechanism, constant velocity universal joint, and link actuator
JP7088790B2 (ja) 撓み噛み合い式歯車装置
DK2388489T3 (en) Bearing, main shaft-team structure to a wind power generator, extension piece and retainer
US9784309B2 (en) Angular contact self-aligning toroidal rolling element bearing
ITTO20111007A1 (it) Rotismo epicicloidale
US20120171017A1 (en) Anti-rotation for thrust washers in planetary gear system
US10428801B2 (en) Wind power generation device
KR102466197B1 (ko) 유성기어장치 및 유성기어장치의 제조방법
US20200325976A1 (en) Gea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gear device
US11015682B2 (en) Fixed-ratio planetary traction gear
US20060018582A1 (en) Bearing having thermal compensating capability
JP2012510029A (ja) 大型舶用変速機のための軸受配置
JP4429265B2 (ja) ころ軸受および風力発電機の主軸支持構造
JP2023054008A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の製造方法
US10197094B2 (en) Double-row spherical roller bearing
JP2007120658A (ja) 回転直動変換機構
EP2821658B1 (en) Gearbox
US11286976B2 (en) Axially hyperstatic system softener
JP4818424B2 (ja) 風力発電機の主軸支持構造
CN215890974U (zh) 减速机
JP7462412B2 (ja) 撓み噛合い式歯車装置
JP2007146936A (ja) 予圧を付与した転がり軸受
JP2010090952A (ja) ボールねじ軸の支持構造
WO2023094168A1 (en) An angular contact self-aligning toroidal rolling element bea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