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6108B1 -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6108B1
KR102466108B1 KR1020200179478A KR20200179478A KR102466108B1 KR 102466108 B1 KR102466108 B1 KR 102466108B1 KR 1020200179478 A KR1020200179478 A KR 1020200179478A KR 20200179478 A KR20200179478 A KR 20200179478A KR 102466108 B1 KR102466108 B1 KR 102466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distance
unit
double needle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4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3018A (ko
Inventor
슈 후이 첸
Original Assignee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치 시앙 인더스트리얼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10113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3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 D05B55/12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with provision for varying the distance between the needl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4Control of needle movement, e.g. varying amplitude or period of needle movement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4Needle-bar drives
    • D05B55/16Needle-bar drives with provision for disengaging individual needle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재봉틀은 상부 샤프트, 바늘 바 및 2개의 바늘들을 갖는 재봉 헤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상부 샤프트는 바늘 바가 상하로 이동하게 하여서, 바늘 바에 연결된 2개의 바늘들이 동시에 이동하도록 한다.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는 바늘 바를 통하여 연장되고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 조절 스템, 및 조절 스템과 2개의 바늘들 사이에 위치된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조절 스템은 회전시 조절 유닛이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측방으로 이동시키게 할 수 있어서, 2개의 바늘들은 서로 더 가깝게 또는 더 멀리 떨어져 위치된다. 이런 배열들로, 재봉틀의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는 상이한 이중 바늘 거리들을 요구하는 작업물 재봉 과정에서 언제든지 조절가능하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 {SEWING MACHINE WITH ADJUSTABLE DOUBLE NEEDLE DISTANCE}
본 발명은 이중 바늘 재봉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재봉 작업 중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에 관한 것이다.
자동화된 고속 재봉틀 분야의 발달로 인해, 많은 현재 이용가능한 산업용 재봉틀들은 노동력을 절감하고 생산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상이한 목적들을 충족하는 기능들을 제공하는 다양한 모델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재봉 작업물을 자동으로 움직이고 자유롭게 변화가능한 재봉 경로들을 가능하게 하는 XY-축 구동부를 가지는 단일 바늘 패턴 재봉틀; 상이한 방향들의 재봉 선들에 일관된 스티치들을 또한 유지할 수 있는 단일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 및 2개의 등간격의 곡선형 재봉 선들을 형성할 수 있는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이 있다.
그 중에서도, 이중 바늘 재봉틀을 사용해 형성된 2개의 평행한 재봉 선들은 재봉 작업물에 더 나은 미적 효과를 만들어서, 이중 바늘 재봉은 사람들의 일상 생활에서 다양한 옷에 패턴들을 형성하는데 자주 적용된다. 도 1a 및 도 1b는 컴퓨터 제어된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80)을 도시한다.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80) 상부에, 재봉 헤드 회전 유닛(81)이 있고; 베이스 회전 유닛(82) 및 XY-축 이송 유닛(83)은 재봉 헤드 회전 유닛(81) 하부에 위치된다. 재봉 헤드 회전 유닛(81)은 바늘 바(84)를 회전시킬 수 있어서, 바늘 바(84)의 하단부에 장착된 바늘 홀더(85)는 동시에 2개의 상호 이격된 바늘들(86)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바늘 바(84)가 회전하고 있을 때, 베이스 회전 유닛(82)은 또한 바늘 판(87) 및 재봉틀의 베이스(미도시)를 회전시켜서, 바늘 판(87) 상의 2개의 바늘 구멍들(871)은 항상 일대일 대응으로 2개의 바늘들(86)과 정렬될 수 있다. XY-축 이송 유닛(83)은 지그를 포함하고, 지그를 통하여 재봉 작업물은 도 1a에 나타낸 것처럼 x-축 방향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런 식으로, 재봉 헤드 회전 유닛(81), 베이스 회전 유닛(82) 및 XY-축 이송 유닛(83)은 서로 협동작용하여서 2개의 나란히 놓인 병렬 재봉 선들을 재봉 작업물에 형성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재봉틀(80)은 종래의 수동 작동 이중 재봉틀을 대체하여 재봉 작업의 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그러나, 다양한 타입의 재봉 작업물 재료들이 있다. 작업물 재료들 중 일부는 비교적 두껍고 일부는 비교적 얇으며; 작업물 재료들 중 일부는 비교적 연성이고 일부는 비교적 강성이다. 상이한 재봉 작업물 재료들은 상이한 이중 바늘 거리들 및 상이한 스티치 길이들을 요구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80)의 2개의 바늘들(86) 사이 거리는, 비교적 두껍거나 강성인 작업물 재료들을 재봉할 때 더 커야 한다. 한편,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80)의 2개의 바늘들(86) 사이 거리는, 비교적 얇거나 연성인 작업물 재료들을 재봉할 때 더 작아야 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80)을 사용해 다른 재료 조건들의 작업물들을 재봉할 때, 재봉틀(80)은 재봉 작업자가 바늘 홀더(85) 및 바늘 판(87)을 다른 적합한 것들로 수동으로 교체하기 위해서 일시적으로 정지해야 한다. 즉, 종래의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80)이 다른 타입의 작업물 재료를 재봉하기 위해 사용되어야 할 때마다, 재봉 작업자는 바늘 홀더(85) 및 바늘 판(87)을 교체하는 데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고, 이는 재봉 효율성과 생산성을 개선하는데 악영향을 미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측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재봉틀의 2개의 바늘들과 바늘 바 사이에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를 제공하여서, 2개의 바늘들이 그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서로 더 가깝게 또는 더 멀리 위치시킴으로써 개선된 이중 바늘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로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재봉틀은 단독으로 상이한 이중 바늘 거리들을 요구하는 작업물들을 재봉하도록 작동될 수 있고, 이는 재봉틀의 개선된 생산 효율성을 가능하게 할 뿐만 아니라, 종래의 이중 바늘 재봉틀의 경우에서처럼 바늘 홀더 및 바늘 판을 교체하기 위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 바늘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재봉틀의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는 2개의 재봉 선들을 형성하는 동안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직선 이동가능하고, 상기 재봉틀의 재봉 헤드는 재봉하는 동안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서로에 대한 2개의 바늘들의 거리 및 각도상 위치는 재봉하는 동안 자유롭게 제어가능하다. 이런 식으로, 재봉틀은 개선된 미적 외관을 갖는 다양한 재봉 패턴들을 형성하도록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이중 바늘 재봉틀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재봉틀의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는, 바늘 바가 상하로 이동할 때,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측방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재봉틀은 동일한 작업물에 평행한 재봉 선들의 복수의 패턴들을 형성하거나, 동일한 재봉 경로를 따라 가변 폭들을 가지는 2개의 평행한 재봉 선들을 형성하도록 작동될 수 있다.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은 재봉 헤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를 포함한다. 재봉 헤드는 상부 샤프트 및 바늘 바를 포함한다. 상부 샤프트는 바늘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가능하여서, 상기 바늘 바의 하단부에 위치한 2개의 바늘들은 상기 바늘 바와 동시에 움직인다.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는 바늘 바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조절 스템 및 상기 조절 스템과 상기 2개의 바늘들 사이에 위치된 조절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조절 스템은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절 스템은 회전시 상기 조절 유닛이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서, 상기 2개의 바늘들은 서로 더 가까워지거나 더 멀어지게 위치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은 2개의 후크 베이스들, 북 구동 기구 및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한다. 2개의 후크 베이스들 각각은 회전가능한 북 및 상기 북 위에 위치된 바늘 판을 포함하고; 바늘 판들 각각은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하나와 정렬된 바늘 구멍을 갖는다. 북 구동 기구는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의 북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2개의 바늘들이 서로 더 가까워지거나 더 멀어지게 이동할 때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서, 상기 2개의 바늘 구멍들 사이 거리가 상기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와 동일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조절 스템에 연결된 기어 및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첫 번째 바늘에 연결된 제1 랙을 포함한다. 상기 기어는 상기 조절 스템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랙은 상기 기어와 맞물리게 되어서,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첫 번째 바늘을 상기 제1 랙에 의해 상기 바늘 바를 가로질러 제1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는 변위가능한 제1 가동 블록 및 회전가능한 제1 전달 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동 블록은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첫 번째 후크 베이스에 연결된다. 제1 스크류 로드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블록과 상기 제1 전달 로드 사이에 제공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상기 제1 전달 로드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스크류 로드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블록이 상기 후크 베이스들 중 첫 번째 후크 베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랙에 대향한 상기 기어의 일 측면은 제2 랙과 맞물리고, 상기 제2 랙은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두 번째 바늘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제1 랙이 상기 제1 바늘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랙은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두 번째 바늘을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한 제2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킨다.
게다가,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두 번째 후크 베이스에 연결된 제2 가동 블록 및 상기 제1 전달 로드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전달 로드를 더 포함한다. 제2 스크류 로드 유닛은 상기 제2 가동 블록과 상기 제2 전달 로드 사이에 제공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회전 방향을 다른 회전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 유닛은 상기 제2 전달 로드와 상기 제1 전달 로드 사이에 제공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달 로드가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변환 유닛은 상기 제2 전달 로드가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한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서, 상기 제1 가동 블록 및 상기 제2 가동 블록을 2개의 대향한 방향들로 이동시킨다.
상기 2개의 실시예들에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바늘 바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조절 스템이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재봉 헤드 회전 기구는 상기 재봉 헤드에 장착되고, 이는 상기 재봉 헤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가 상기 재봉 헤드와 동시에 회전한다. 상기 재봉틀은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가동 착좌부, 및 상기 가동 착좌부에 장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한다.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기 북 구동 기구 및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가 상기 가동 착좌부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 착좌부를 통하여, 상기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는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기 북 구동 기구 및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바늘 바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한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에 연결된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을 포함한다.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은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과 상기 조절 스템 사이에 위치된다. 이중 거리 동기화 유닛은 상기 조절 스템이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유닛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은,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 중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로 측방으로 연장되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조절 스템이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는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에서 상하로 왕복 이동가능하다.
또한, 북 구동 기구는 회전가능한 북 회전 샤프트를 포함한다. 북 동기화 유닛은 북 회전 샤프트와 후크 베이스들 사이에 제공되어 후크 베이스들이 북 회전 샤프트에 대해 이동한다. 북 동기화 유닛은 또한 북들 및 북 회전 샤프트가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북 동기화 유닛은 스플라인 샤프트 및 스플라인 슬리브를 포함하고; 그 중 하나는 북 회전 샤프트에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는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대응하는 후크 베이스에 형성된다. 스플라인 샤프트는 스플라인 슬리브에 위치되어서, 대응하는 후크 베이스가 이동할 때마다 스플라인 샤프트와 스플라인 슬리브 사이 축방향 상대 위치는 변한다.
본 발명의 재봉틀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기 위해 조절 유닛이 바늘 바와 2개의 바늘들 사이에 제공되어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가 조절 스템을 회전시킬 때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가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측방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런 배열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어서, 바늘 홀더를 수동으로 교체할 필요 없이 본 발명의 재봉틀이 상이한 이중 바늘 거리들을 요구하는 작업물들에서 재봉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하고, 이는 결국 재봉틀의 개선된 생산 효율성을 가능하게 하고 바늘 홀더 및 바늘 판을 수동으로 교체하기 위한 시간 및 노동력을 절감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재봉틀은 또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이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과 바늘 바 사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은 조절 스템이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런 2개의 구성요소들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보장한다. 이런 식으로, 바늘 바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조절 스템이 회전할 수 있어서,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가변 폭들을 갖는 2개의 재봉 선들은 재봉틀을 사용해 동일한 작업물에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재봉 헤드는 재봉 헤드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가능하다.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을 사용해 작업물에 2개의 재봉 선들을 형성하는 동안, 재봉 헤드는 재봉 헤드 회전 기구에 의해 회전될 수 있고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조절 스템이 회전하여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를 변화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서로에 대한 2개의 바늘들의 거리 및 각도상 위치는 재봉하는 동안 자유롭게 제어가능하다.
상기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도록 본 발명에 의해 채택된 구조 및 기술적 수단은 첨부 도면들 및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하기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가장 잘 이해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이중 바늘 회전가능한 헤드 패턴 재봉틀의 사시도이다.
도 1b는 종래의 이중 바늘 재봉틀의 2개의 바늘들이 바늘 홀더를 통하여 바늘 바에 연결된 것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재봉틀의 재봉 헤드에 장착된 재봉 헤드 회전 기구,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재봉틀의 재봉 헤드에 위치된 바늘 바 구동 유닛, 바늘 바 유닛, 및 내부 노루발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바늘 바 유닛 상에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분해도이다.
도 6은 바늘 바 유닛의 바늘 바 상에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는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의 조절 스템이 바늘 바에 의해 움직여서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7b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가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의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에서 왕복 이동가능한 것을 도시한다.
도 8a 및 도 8b는 이중 바늘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8c 및 도 8d는 이중 바늘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2의 재봉틀의 가동 착좌부 상에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 북 구동 기구 및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의 장착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가동 착좌부에 위치한 2개의 후크 베이스들을 도시한다.
도 11은 북 구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북 구동 기구의 제1 북 동기화 유닛을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13은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회전시 제1 북 및 제2 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5a 내지 도 15c는 바늘 구멍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5d 내지 도 15f는 바늘 구멍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늘 바 유닛으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의 조립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의 2개의 랙들이 동시에 이동하여서 이중 바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의 2개의 랙들이 동시에 이동하여서 이중 바늘 거리를 감소시키는 것을 도시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북 구동 기구의 제2 북 동기화 유닛을 도시한 절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바늘 구멍 거리를 증가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0d 내지 도 20f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바늘 구멍 거리를 감소시키는 방식을 도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의 조절 스템으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의 조립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설명될 것이다. 이해를 용이하게 할 목적으로, 바람직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도면 부호들로 나타낸다.
또한 재봉틀로서 간단히 지칭되고 본원에서 일반적으로 도면 부호 1로 나타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의 사시도인 도 2를 참조한다. 도시된 대로, 재봉틀(1)은, 재봉 헤드(11), 필러(12) 및 베이스(13)를 포함하는 본체(10)를 갖는다. 도 3 및 도 4도 참조한다. 바늘 바 구동 유닛(14), 바늘 바 유닛(15) 및 내부 노루발 유닛(16)은 도 4에 도시된 대로 재봉 헤드(11)에 장착되고; 재봉 헤드 회전 기구(20),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는 도 3에 도시된 대로 재봉 헤드(11)에 장착된다. 여기에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를 도 5a 및 도 5b에서 보다 명확하게 볼 수 있다.
도 3과 함께 도 4를 참조한다. 바늘 바 구동 유닛(14)은 재봉 헤드(11)에 고정된 바늘 바 구동원(141) 및 재봉 헤드(11)에 대해 회전가능한 상부 샤프트(142)를 포함한다. 바늘 바 구동원(141)은, 재봉 헤드(11) 외측에 위치되고 그 둘레에 권취된 바늘 바 전달 벨트(144)를 가져서 상부 샤프트(142)에 장착되는 제2 바늘 바 벨트 풀리(145)에 제1 바늘 바 벨트 풀리(143)를 연결하는 제1 바늘 바 벨트 풀리(143)에 조립된다. 제1 바늘 바 벨트 풀리(143), 바늘 바 전달 벨트(144) 및 제2 바늘 바 벨트 풀리(145)를 통하여, 제1 바늘 바 구동원(141)은 회전하도록 상부 샤프트(142)를 구동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바늘 바 벨트 풀리(145)에 대향한 상부 샤프트(142)의 단부는 바늘 바 유닛(15)에 연결하기 위한 크랭크샤프트 링키지(146)를 구비한다.
도 4,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한다. 바늘 바 유닛(15)은, 중공 요소이고 바늘 바 구동 기구(14)의 크랭크샤프트 링키지(146)에 연결되는 수직으로 배열된 바늘 바(151)를 포함하여서, 바늘 바가 바늘 바 구동원(14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될 때 바늘 바 구동 유닛(14)의 상부 샤프트(142)는 바늘 바(151)를 구동하여서 상하로 이동시킨다. 바늘 베이스(152)는 바늘 바(151)의 하단부에 장착되고, 2개의 평행하게 이격된 바늘들(153)은 바늘 바(151)에 대향한 바늘 베이스(152)의 일 측면에 제공된다. 도 4에 도시된 대로, 2개의 바늘들(153) 중 하나는 제1 바늘(153a)로서 지칭되고, 다른 하나는 제2 바늘(153b)로서 지칭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도 5b에 나타낸 것처럼, 제1 바늘(153a)의 축이 바늘 바(151)의 축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제1 바늘(153a)은 바늘 베이스(152)에 형성된 세장형 슬롯(152a)으로 상향 연장된다. 또한, 제1 바늘(153a)은 바늘 베이스(152)에 대해 변위가능하고, 제2 바늘(153b)은 바늘 베이스에 대해 변위되지 않고 바늘 베이스(152)에 고정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대로, 내부 노루발 유닛(16)은 바늘 바(151)에 평행하게 배열된 내부 노루발(161), 및 내부 노루발(161)을 상부 샤프트(142)에 연결하기 위한 내부 노루발 전달 유닛(162)을 포함하여서, 상부 샤프트(142)가 바늘 바 구동원(141)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동될 때 내부 노루발 전달 유닛(162)은 내부 노루발(161)를 상하로 이동시킨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한다. 재봉 헤드(11)는, 필러(12)에 고정된 재봉 헤드 기어박스(21), 기어박스(21)에 조립된 재봉 헤드 구동원(22), 및 재봉 헤드 기어박스(21)를 재봉 헤드(11)의 상부에 연결하기 위한 중공 재봉 헤드 회전 칼럼(23)을 포함하는, 재봉 헤드 회전 기구(20)를 통하여 필러(12)에 연결된다. 기어박스(21)를 통하여, 재봉 헤드 구동원(22)은 재봉 헤드(11)를 바늘 바(151)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킬 수 있어서, 재봉 헤드(11)는 필러(12)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재봉 헤드(11)가 회전 중일 때, 바늘 바(151),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는 전부 재봉 헤드(11)와 동시에 회전된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한다.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는 수직으로 배열된 조절 스템(31), 및 조절 스템(31)에 연결된 조절 유닛(32)을 포함한다. 조절 스템(31)은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바(151)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축방향으로 연장되고 조절 유닛(32)은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베이스(152)에 배열되어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는 조절 스템(31)과 바늘 바 유닛(15)의 2개의 바늘들(153) 사이에 위치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조절 유닛(32)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하는 기능을 하고 조절 스템(31)의 하단부에 고정된 기어(321) 및 기어(321)와 맞물린 제1 랙(322)을 포함한다. 기어(321) 및 제1 랙(322)은 전부 바늘 베이스(152)에 위치된다. 기어(321)는 중공 바늘 바(151)의 보어 크기보다 큰 외경을 가지고; 제1 랙(322)은 바늘 바(151)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바늘 바 유닛(15)의 제1 바늘(153a)에 연결된다.
도 6을 참조한다.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이중 바늘 구동원(41)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에 연결된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42)을 포함한다.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은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바(151)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본체(10)의 재봉 헤드(11)에 고정 연결된다.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42)은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에 연결된 제1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1), 및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조절 스템(31) 둘레에 끼워진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를 포함한다. 제1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1)는 제1 이중 바늘 거리 전달 벨트(423)를 통하여 중간 풀리 조립체(424)에 연결된다. 연결 착좌부(425)는 재봉 헤드 회전 칼럼(23) 하부에 위치하도록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에 장착된다.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는 제2 이중 바늘 거리 전달 벨트(426)를 통하여 중간 풀리(424)에 연결된다. 도 6에 도시된 대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427)은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에 대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연결 착좌부(425)와 조절 스템(31)용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조절 스템(31) 사이에 제공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427)은 또한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 및 조절 스템(31)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427)은,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42)의 연결 착좌부(425)에 형성되고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조절 스템(31)과 평행하게 배열되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 및 조절 스템(31)의 측면에 연결되는 롤러 형태인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를 포함한다.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는 돌출하여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의 내벽면과 선 접촉한다. 그러나, 연결 착좌부(425)에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을 형성하고 조절 스템(31)에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을 형성하는 것은 본 발명의 용이한 설명을 위해 예시로 든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된다. 다른 작동 실시예들에서, 조절 스템(31)의 일부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을 형성하도록 홈을 구비할 수 있고 롤러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를 형성하도록 연결 착좌부(425)에 장착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한다. 재봉틀(1)에서 재봉 작업을 수행할 때, 바늘 바 구동 기구(40)의 바늘 바 구동원(41)은 상부 샤프트(142)를 회전시킨다. 크랭크샤프트 링키지(146)를 통하여, 회전하는 상부 샤프트(142)는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바(151)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한다. 한편,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베이스(152)는 조절 유닛(32; 도 5b 참조)의 기어(321)가 상하로 변위하는 것을 제한한다. 이런 배열들로, 조절 스템(31)은 바늘 바(151)와 동시에 상하로 이동할 것이다. 한편, 조절 스템(31)이 상하로 이동할 때, 연결 착좌부(425)와 조절 스템(31) 사이에 제공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의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427)은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42)의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에 대해 조절 스템(31)이 상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한편,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베이스(152) 및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조절 유닛(32)(도 5b 참조)을 통하여, 바늘 바(151)는 바늘 바 유닛(15)의 2개의 바늘들(15)이 상하로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조절 스템(31)의 이동 코스 중,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에서 상하로 이동하여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에 대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의 위치는 항상 변화가능하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한다. 재봉틀(1)에서 2개의 바늘들(153)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의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이 작동하여서,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42)의 제1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1)가 회전하기 시작한다. 제1 이중 바늘 거리 전달 벨트(423), 중간 풀리(424) 및 제2 이중 바늘 거리 전달 벨트(426)를 통하여, 제1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1)의 회전력이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에 전달되어서, 이 풀리를 회전시킨다. 한편,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427a)로 연장되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427b)를 갖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427)을 통하여, 제2 이중 바늘 거리 벨트 풀리(422)는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조절 스템(31)이 바늘 바(15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이 때,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기어(321)는 바늘 바(151)의 축을 중심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는 상부 샤프트(142)에 평행한 제1 방향(F1)으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제1 랙(322)이 측방으로 그리고 직선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1 바늘(153a)은 2개의 바늘들(153) 사이 거리를 증가시키도록 바늘 바 유닛(15)의 제2 바늘(153b)로부터 더 멀리 이동된다. 도 8c 및 도 8d를 참조한다. 반대로, 조절 스템(31)이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될 때, 기어(321)는 바늘 바(151)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방향(F1)에 대향한 제2 방향(F2)으로 제1 랙(322)이 측방으로 그리고 직선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1 바늘(153a)은 2개의 바늘들(153) 사이 거리를 감소시키도록 제2 바늘(153b)에 더 가깝게 이동된다. 이런 식으로, 바늘 바(151)가 상부 샤프트(142)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코스 중,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은 언제라도 조절 스템(3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바늘 바(151)가 회전하면서 이동하고 있을 때, 재봉 헤드 회전 기구(20)는 본체(10)의 재봉 헤드(11)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를 다시 참조한다. 본체(10)의 필러(12)는 베이스(13)에 연결된다. 가동 착좌부(17)는 필러(12)에서 더 멀리 떨어진 베이스(13)의 단부에 제공된다. 가동 착좌부(17)는 내부에 2개의 후크 베이스들(18)을 구비하고, 외부에서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50), 북 구동 기구(60) 및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에 연결된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한다. 2개의 후크 베이스들(18) 중 하나는 가동 착좌부(17)에 가동 장착되는 제1 후크 베이스(181)로서 지칭되고, 다른 하나는 가동 착좌부(17)에 고정 장착되는 제2 후크 베이스(182)로서 지칭된다. 제1 후크 베이스(181)는 가동 착좌부(17)에 가동 연결되는 제1 연결 브라켓(181a) 및 제1 연결 브라켓에 조립된 제1 바늘 판(181b)을 포함한다. 제1 연결 브라켓(181a)은 수직으로 배열된 제1 북 샤프트(181c)에 피봇 선회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북 샤프트의 상단부는 제1 연결 브라켓(181a)과 제1 바늘 판(181b) 사이에 위치된 제1 북(181d)에 연결된다. 제1 북 샤프트(181c)는 타 단부에서 제1 베벨 기어 세트(181e)에 연결된다. 제1 바늘 판(181b)은 제1 연결 브라켓(181a) 위에 위치되고 가동 착좌부(17)로부터 노출된다. 제1 바늘 판(181b)은, 제1 바늘(153a)과 정렬되어 위치되는 제1 바늘 구멍(181b1)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제2 후크 베이스(182)는 제2 연결 브라켓(182a), 제2 바늘 판(182b), 제2 북 샤프트(182c), 제2 북(182d), 및 제2 베벨 기어 세트(182e)를 포함한다. 제2 후크 베이스(182)는 제1 후크 베이스(181)와 구조적으로 유사하여서, 제2 연결 브라켓(182a), 제2 바늘 판(182b), 제2 북 샤프트(182c), 제2 북(182d) 및 제2 베벨 기어 세트(182e)는 제1 후크 베이스(181)의 대응하는 구성요소들과 동일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여기에서, 제1 바늘 판(181b)처럼, 제2 바늘 판(182b)은 또한 가동 착좌부(17)로부터 노출되고 제2 바늘(153b)과 정렬되어 위치되는 제2 바늘 구멍(182b1)을 가지고 형성된다.
도 9를 참조한다. 가동 착좌부(17)는, 후크 베이스(18)에 고정된 바닥 기어박스(51) 및 바닥 기어박스(51)에 조립된 후크 베이스 구동원(52)을 포함하는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50)를 통하여 베이스(13)에 연결된다. 도시된 대로, 후크 베이스 회전 칼럼(53)은 바닥 기어박스(51) 위에 위치되어서 가동 착좌부(17)에 연결된다. 바닥 기어박스(51)를 통하여, 후크 베이스 구동원(52)은 가동 착좌부(17)가 후크 베이스 회전 칼럼(53)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하여서, 가동 착좌부(17)는 베이스(13)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가동 착좌부(17)가 회전하고 있을 때, 북 구동 기구(60) 및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는 또한 재봉 헤드(11)와 동시에 회전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재봉틀(1)의 본체(10)의 재봉 헤드(11)가 회전하고 있을 때,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50)는 가동 착좌부(17)가 동시에 회전하게 할 것이다.
도 11을 참조한다. 북 구동 기구(60)는 가동 착좌부(17)에 고정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북 구동원(61), 및 북 구동원(61)에 조립되고 북 구동원(61)에 연결된 제1 북 벨트 풀리(621) 및 가동 착좌부(17)에 피봇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제2 북 벨트 풀리(622)를 포함하는 북 전달 유닛(62)을 포함한다. 북 전달 벨트(623)는 제1 및 제2 북 벨트 풀리(621, 622)에 장착된다. 수평으로 배열된 북 회전 샤프트(624)는 제1 베벨 기어 세트(181e)에 형성된 제1 연장 보어(181e1) 및 제2 베벨 기어 세트(182e)에 형성된 제2 연장 보어(182e1)를 통하여 연장하도록 제2 북 벨트 풀리(622)에 장착된다.
도 12를 참조한다. 제1 북 동기화 유닛(625)은 북 구동 기구(60)의 북 회전 샤프트(624)와 제1 후크 베이스(181)의 제1 베벨 기어 세트(181e) 사이에 제공되어서, 제1 후크 베이스(181)는 북 회전 샤프트(624)의 축 방향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제1 북 동기화 유닛(625)은 또한 북 회전 샤프트(624) 및 제1 후크 베이스(181)의 제1 북(181d)이 동시에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도시된 대로, 제1 북 동기화 유닛(625)은 제1 스플라인 슬리브(625a) 및 제1 스플라인 샤프트(625b)를 포함한다. 제1 스플라인 슬리브(625a)는 제1 베벨 기어 세트(181e)의 제1 연장 보어(181e1)에 형성되고; 제1 스플라인 샤프트(625b)는 외부에서 북 회전 샤프트(624) 둘레에 형성된다.
도 9 및 도 10과 함께 도 13을 참조한다.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는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 및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에 연결된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을 포함한다.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은 북 구동 기구(60)의 북 구동원(61)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위치되고 가동 착좌부(17)에 연결되어서,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 및 북 구동원(61)은 가동 착좌부(17)의 2개의 대향한 단부에 분리되어 위치된다.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은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에 연결된 제1 바늘 구멍 거리 벨트 풀리(721) 및 가동 착좌부(17)에 피봇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제2 바늘 구멍 거리 벨트 풀리(722)를 포함한다. 제1 바늘 구멍 거리 벨트 풀리(721)는 바늘 구멍 거리 전달 벨트(723)를 통하여 제2 바늘 구멍 거리 벨트 풀리(722)에 연결된다. 제2 바늘 구멍 거리 벨트 풀리(722)는, 북 구동 기구(60)의 북 회전 샤프트(624)와 평행하고 제1 후크 베이스(181)에 연결된 제1 가동 블록(725)을 통하여 연장되는 수평으로 배열된 제1 전달 로드(724)에 연결된다. 도 15b에 도시된 대로,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제1 스크류 로드 유닛(726)은 제1 전달 로드(724)와 제1 가동 블록(725) 사이에 제공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제1 스크류 로드 유닛(726)은 제1 전달 로드(724)에 형성된 제1 수나사산(726a) 및 제1 수나사산(726a)과 맞물리는 제1 암나사산(726b)을 포함한다. 제1 암나사산(726b)은, 제1 가동 블록(725)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내부 보어(725a)에 제공된다.
도 14를 참조한다. 바늘 바 유닛(15)의 바늘 바(151)가 상하로 이동될 때, 북 구동 기구(60)의 북 구동원(61)은 동시에 회전하고 북 전달 유닛(62)의 제1 북 벨트 풀리(621)가 회전하도록 한다. 북 전달 벨트(623)를 통하여, 제1 북 벨트 풀리(621)는 회전력을 제2 북 벨트 풀리(622)에 전달한다. 제1 스플라인 슬리브(625a)를 통하여 내부에 연장되는 제1 북 동기화 유닛(625)의 제1 스플라인 샤프트(625b)로 인해, 회전하는 제2 북 벨트 풀리(622)에 연결된 북 회전 샤프트(624)는, 제1 후크 베이스(181)의 제1 베벨 기어 세트(181e)를 통하여, 제1 북(181d)이 제1 북 샤프트(181c)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그리고, 제1 북(181d)이 회전할 때, 북 회전 샤프트(624)는 또한, 제2 후크 베이스(182)의 제2 베벨 기어 세트(182e)를 통하여, 제2 북(182d)이 제1 북(181d)과 동일한 방향으로 제2 북 샤프트(182c)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도 15a, 도 15b, 및 도 15c를 참조한다. 재봉틀(1)의 제1 및 제2 바늘 구멍(181b1, 182b1)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의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을 작동하여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1 바늘 구멍 거리 전달 벨트 풀리(721)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바늘 구멍 거리 전달 벨트(723)를 통하여, 제1 바늘 구멍 거리 전달 풀리(721)는 제2 바늘 구멍 거리 전달 벨트 풀리(722)에 반시계방향 회전력을 전달하고, 이는 또한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1 전달 로드(724)가 그 자신의 축을 중심으로 제1 회전 방향(F3)으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때, 제1 스크류 로드 유닛(726)으로 인해,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1 가동 블록(725)은 제1 방향(F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제1 후크 베이스(181)가 제2 후크 베이스(182)로부터 더 멀리 이동하도록 하여서, 제1 및 제2 바늘 구멍(181b1, 182b1) 사이 거리는 증가된다. 한편, 도 15d, 도 15e, 및 도 15f에 도시된 대로,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은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이 제1 회전 방향(F3)에 대향한 제2 회전 방향(F4)으로 제1 전달 로드(724)를 회전시킬 수 있을 때, 제1 스크류 로드 유닛(726)은 제1 가동 블록(725)이 제2 방향(F2)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제1 후크 베이스(181)가 제2 후크 베이스(182)에 더 가깝게 이동하도록 하여서, 제1 및 제2 바늘 구멍(181b1, 182b1) 사이 거리가 감소된다.
도시된 제1 실시예에서, 북 구동 기구(60)가 제1 후크 베이스(181)의 제1 북(181d) 및 제2 후크 베이스(182)의 제2 북(182d)을 회전시킬 때, 제1 북 동기화 유닛(625)은, 제1 및 제2 바늘 구멍(181b1, 182b1) 사이 거리를 변화시키도록,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가 동시에 제1 후크 베이스(181)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제1 북(181d)이 회전하면서 이동할 때,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50)는 재봉틀 본체(10)의 가동 착좌부(17)가 회전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1)은, 본체(10) 상의 바늘 바 유닛(15), 베이스(13) 상의 제2 후크 베이스(182),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 북 구동 기구(60), 및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를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제1 실시예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제1 실시예와 유사한 제2 실시예의 부분들은 본원에서 반복하여 설명되지 않는다. 도 16을 참조한다. 제2 실시예의 바늘 바 유닛(15)에서, 제1 바늘(153a)처럼, 제2 바늘(153b)은 또한 바늘 베이스(152)의 세장형 슬롯(152a)으로 연장된다. 제2 실시예의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는 제2 랙(323)을 추가로 포함하고, 제2 랙은 기어(321) 및 제1 랙(322)과 함께 조절 유닛(32)을 형성한다. 도시된 대로, 제2 랙(323)은 기어(321)와 맞물리고 제2 바늘(153b)에 연결된다.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랙(322, 323)은 기어(321)의 2개의 대향 측들에 분리되어 위치되고; 제1 및 제2 바늘(153a, 153b)은 바늘 바(151)의 축에 대해 2개의 대향한 단부들에 대칭으로 배열된다.
도 17a를 참조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1)의 2개의 바늘들(153)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의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이 작동하여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42)이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조절 스템(31)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는 차례로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30)의 기어(321)가 바늘 바(151)의 축을 중심으로 동시에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한다. 따라서, 제1 랙(322)은 제1 방향(F1)으로 측방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2 랙(323)은 동시에 제2 방향(F2)으로 측방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제1 및 제2 바늘(153a, 153b)이 동시에 그러나 2개의 대향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하고, 따라서 제1 및 제2 바늘(153a, 153b) 사이 거리를 증가시킨다. 한편, 도 17b에 도시된 대로,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이 바늘 바(151)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킬 때, 기어(321)는 제1 랙(322)을 제2 방향(F2)으로 측방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하고 제2 랙(323)을 동시에 제1 방향(F1)으로 측방으로 직선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제1 바늘(153a) 및 제2 바늘(153b)이 서로 더 가까워지게 이동하여 그들 사이에 감소된 거리를 갖도록 한다.
도 18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북 구동 기구(60)는 제2 북 동기화 유닛(626)을 추가로 포함하고, 이 제2 북 동기화 유닛은 제1 북 동기화 유닛(625)과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북 회전 샤프트(624)와 제2 후크 베이스(182)의 제2 베벨 기어 세트(182e) 사이에 배열된다. 제2 북 동기화 유닛(626)은 제2 후크 베이스(182)가 북 회전 샤프트(624)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하고, 이는 차례로 제2 후크 베이스(182)가 가동 착좌부(17)에 대해 이동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제2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북 동기화 유닛(625, 626)은 기능이 동일하므로, 제2 북 동기화 유닛(626)은 또한 북 회전 샤프트(624) 및 제2 후크 베이스(182)의 제2 북(182d)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게 한다. 도시된 대로, 제2 북 동기화 유닛(626)은 제2 스플라인 슬리브(626a) 및 제2 스플라인 샤프트(626b)를 포함한다. 제2 스플라인 슬리브(626a)는 제2 베벨 기어 세트(182e)의 제2 연장 보어(182e1)에 형성되고; 제2 스플라인 샤프트(626b)는 외부에서 북 회전 샤프트(624) 둘레에 형성된다.
도 19를 참조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의 제1 전달 로드(724)는 회전 방향을 다른 회전 방향으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제1 전달 로드에 조립된 변환 유닛(727)을 갖는다. 변환 유닛(727)은 제1 전달 로드(724)에 장착된 제1 변환 기어(727a), 및 제1 전달 로드(724)와 평행하고 제2 후크 베이스(182)에 연결된 제2 가동 블록(729)을 통하여 연장되는 제2 전달 로드(728)에 장착되고 제1 변환 기어(727a)와 맞물리는 제2 변환 기어(727b)를 포함한다. 도 20b에 도시된 대로, 제1 스크류 로드 유닛(726)에 기능적으로 유사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제2 스크류 로드 유닛(730)은 제2 전달 로드(728)와 제2 가동 블록(729) 사이에 제공된다. 제2 스크류 로드 유닛(730)은 제2 전달 로드(728)에 형성된 제2 수나사산(730a) 및 제2 수나사산(730a)와 맞물린 제2 암나사산(730b)을 포함한다. 제2 암나사산(730b)은, 제2 가동 블록(729)을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내부 보어(729a)에 제공된다.
도 20a, 도 20b, 및 도 20c를 참조한다. 재봉틀(1)의 제1 바늘 구멍(181b1)과 제2 바늘 구멍(182b1) 사이 거리를 조절하기 위해서,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70)의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을 작동하여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1 전달 로드(724)를 제1 회전 방향(F3)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변환 유닛(727)은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2 전달 로드(728)이 제2 회전 방향(F4)으로 회전하도록 하여서, 제1 전달 로드(724) 및 제2 전달 로드(728)는 2개의 대향한 방향들로 회전한다. 제1 스크류 로드 유닛(726)으로 인해,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1 가동 블록(725)은 제1 방향(F1)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추가로 제1 후크 베이스(181)가 제1 바늘 판(181b)을 방향(F1)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스크류 로드 유닛(730)으로 인해, 바늘 구멍 거리 전달 유닛(72)의 제2 가동 블록(729)은 제2 방향(F2)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는 추가로 제2 후크 베이스(182)가 제2 바늘 판(182b)을 제2 방향(F2)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바늘 구멍(181b1)과 제2 바늘 구멍(182b1) 사이 거리가 증가된다. 한편, 도 20d, 도 20e, 및 도 20f에 도시된 대로, 바늘 구멍 거리 구동원(71)이 제1 전달 로드(724)를 제2 회전 방향(F4)으로 회전시킬 때, 변환 유닛(727)은 또한 제2 전달 로드(728)가 제1 회전 방향(F3)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서, 제1 가동 블록(725)은 제1 후크 베이스(181)를 제2 방향(F2)으로 이동시키고 제2 가동 블록(729)은 제2 후크 베이스(182)를 제1 방향(F1)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1 바늘 구멍(181b1)과 제2 바늘 구멍(182b1) 사이 거리는 감소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재봉틀(1)에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를 보여주는 도 21을 참조한다. 제3 실시예는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를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와 구조적으로 유사하다. 도시된 제3 실시예에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40)는 단지 축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427) 및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에 연결된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을 포함한다.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은 조절 스템(31)의 축 위에 직접 장착되어 이를 회전시킨다. 이런 배열로,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41)은 조절 스템(31)이 회전하게 할 수 있고 바늘 바 구동 유닛(14)의 바늘 바 구동원(141)은 바늘 바(151)가 상하로 이동하게 한다.
본 발명은 몇몇 바람직한 실시예들로 설명되었고 설명된 실시예들의 많은 변화들 및 수정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는 본 발명의 범주 및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실시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된다.

Claims (11)

  1.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로서,
    상부 샤프트 및 바늘 바를 포함하는 재봉 헤드로서, 상기 상부 샤프트는 바늘 바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가능하여서, 상기 바늘 바의 하단부에 위치한 2개의 바늘들은 상기 바늘 바와 동시에 움직이는, 상기 재봉 헤드;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 및
    상기 바늘 바를 통하여 축방향으로 연장된 조절 스템 및 상기 조절 스템과 상기 2개의 바늘들 사이에 위치된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로서, 상기 조절 스템은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조절 스템은 회전시 상기 조절 유닛이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적어도 하나를 측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서, 상기 2개의 바늘들은 서로 더 가까워지거나 더 멀어지게 위치되는,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 유닛은 상기 조절 스템에 연결된 기어 및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첫 번째 바늘에 연결된 제1 랙을 포함하고; 상기 기어는 상기 조절 스템에 의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제1 랙은 상기 기어와 맞물리게 되어서,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첫 번째 바늘은 상기 제1 랙에 의해 상기 바늘 바를 가로질러 제1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되는, 재봉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바늘 바가 상하로 이동하는 동안 상기 조절 스템이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재봉틀.
  3. 제1항에 있어서,
    재봉 헤드 회전 기구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재봉 헤드에 장착되고; 상기 재봉 헤드 회전 기구는 상기 재봉 헤드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어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조절 기구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가 상기 재봉 헤드와 동시에 회전하는, 재봉틀.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랙에 대향한 상기 기어의 일 측면은 제2 랙과 맞물리고, 상기 제2 랙은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두 번째 바늘에 연결되어서; 상기 기어가 회전하고 상기 제1 랙이 상기 첫 번째 바늘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킬 때 상기 제2 랙은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두 번째 바늘을 상기 제1 방향에 대향한 제2 방향으로 측방으로 이동시키는, 재봉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바늘 바로부터 더 멀리 떨어져 위치한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 상기 이중 바늘 거리 구동원에 연결된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과 상기 조절 스템 사이에 위치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이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이중 거리 동기화 유닛을 포함하는, 재봉틀.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유닛은,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된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 및 상기 이중 바늘 거리 전달 유닛 및 상기 조절 스템 중 나머지 하나에 선택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로 측방으로 연장되는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를 포함하여서; 상기 조절 스템이 상하로 이동할 때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돌기는 상기 이중 바늘 거리 동기화 채널에서 상하로 이동가능한, 재봉틀.
  8. 제1항에 있어서,
    2개의 후크 베이스들로서, 각각은 회전가능한 북 및 상기 북 위에 위치된 바늘 판을 포함하고; 바늘 판들 각각은 상기 2개의 바늘들 중 하나와 정렬된 바늘 구멍을 가지는,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의 북들을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북 구동 기구; 및
    상기 2개의 바늘들이 서로 더 가까워지거나 더 멀어지게 이동할 때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어서, 상기 2개의 바늘 구멍들 사이 거리가 상기 2개의 바늘들 사이 거리와 동일해지도록 하는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는, 재봉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기 북 구동 기구 및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가 연결되는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가동 착좌부, 및 상기 가동 착좌부에 장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 착좌부를 통하여, 상기 후크 베이스 구동 기구는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상기 북 구동 기구 및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는, 재봉틀.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는 변위가능한 제1 가동 블록 및 회전가능한 제1 전달 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동 블록은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첫 번째 후크 베이스에 연결되고; 제1 스크류 로드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블록과 상기 제1 전달 로드 사이에 제공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어서; 상기 제1 전달 로드가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제1 스크류 로드 유닛은 상기 제1 가동 블록이 상기 후크 베이스들 중 첫 번째 후크 베이스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는, 재봉틀.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구멍 거리 구동 기구는 상기 2개의 후크 베이스들 중 두 번째 후크 베이스에 연결된 제2 가동 블록 및 상기 제1 전달 로드로부터 평행하게 이격된 제2 전달 로드를 더 포함하고; 제2 스크류 로드 유닛은 상기 제2 가동 블록과 상기 제2 전달 로드 사이에 제공되고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고; 회전 방향을 다른 회전 방향으로 변환할 수 있는 변환 유닛은 상기 제2 전달 로드와 상기 제1 전달 로드 사이에 제공되어서; 상기 제1 전달 로드가 상기 제1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변환 유닛은 상기 제2 전달 로드가 상기 제1 회전 방향에 대향한 제2 회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여서, 상기 제1 가동 블록 및 상기 제2 가동 블록을 2개의 대향한 방향들로 이동시키는, 재봉틀.
KR1020200179478A 2020-03-04 2020-12-21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 KR102466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109107028A TWI722814B (zh) 2020-03-04 2020-03-04 可變針距縫紉機
TW109107028 2020-03-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3018A KR20210113018A (ko) 2021-09-15
KR102466108B1 true KR102466108B1 (ko) 2022-11-10

Family

ID=730430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478A KR102466108B1 (ko) 2020-03-04 2020-12-21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3875654B1 (ko)
JP (1) JP7098704B2 (ko)
KR (1) KR102466108B1 (ko)
TW (1) TWI7228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03472A1 (de) * 2022-04-07 2023-10-12 Dürkopp Adler GmbH Nähmaschine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9507A (en) * 1963-10-27 1967-09-05 Taketomi Bunsaku Double needle action, needle-bar device in fancy-stitching sewing machine and flat-tang needle therefor
JP3156574B2 (ja) * 1995-11-20 2001-04-16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
JP5859248B2 (ja) * 2011-08-31 2016-02-10 Juki株式会社 二本針ミシン
CN102605560B (zh) * 2012-04-05 2013-03-06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能调节旋梭位置的双针钉襻机
CN208533066U (zh) * 2018-04-18 2019-02-22 浙江美机缝纫机有限公司 缝纫机的可变针距机构
CN208857455U (zh) * 2018-07-27 2019-05-14 上海瑞逸服饰有限公司 一种双针平缝机
CN109989185B (zh) * 2019-05-08 2021-05-28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上针距的控制调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134498A (zh) 2021-09-16
EP3875654B1 (en) 2023-07-19
TWI722814B (zh) 2021-03-21
KR20210113018A (ko) 2021-09-15
EP3875654A1 (en) 2021-09-08
JP7098704B2 (ja) 2022-07-11
JP2021137550A (ja) 2021-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209B2 (en) Embroidery machine
KR100860191B1 (ko) 다두 자수 미싱
KR102466108B1 (ko) 조절가능한 이중 바늘 거리를 갖는 재봉틀
JP2017184983A (ja) ミシン
US9027488B2 (en) Direct drive cloth feeding mechanism of sewing machine
JP2008011915A (ja) ミシン
JP2015073742A (ja) ミシンのダイレクトドライブ布送り機構
JP4177162B2 (ja) ミシンの送り装置
JPH09140970A (ja) ミシン
JP3145469B2 (ja) 刺繍ミシンの刺繍材案内装置
CN211921865U (zh) 可变针距缝纫机
JP3202791U (ja) ミシンのダイレクトドライブ布送り機構
US6615757B2 (en) Over lock sewing machine
JPH09140971A (ja) ミシン
US3313258A (en) Needle jogging mechanisms
US7677187B2 (en) Pattern genera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CN113373605B (zh) 可变针距缝纫机
US5313900A (en) Feed direction and stitch length cam for zigzag sewing machine
US1773638A (en) Sewing-machine feeding mechanism
JP3106338U (ja) 横式直筒ミシン
US11946182B2 (en) Sewing machine with adjustable stepping height and related methods
US2533293A (en) Filler feed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s
US1137654A (en) Sewing-machine.
US1792722A (en) Sewing machine
JP3392610B2 (ja) ミシ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