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902B1 - 다이오드를 내장한 mos 구조의 사이리스터 소자 - Google Patents

다이오드를 내장한 mos 구조의 사이리스터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902B1
KR102463902B1 KR1020180049302A KR20180049302A KR102463902B1 KR 102463902 B1 KR102463902 B1 KR 102463902B1 KR 1020180049302 A KR1020180049302 A KR 1020180049302A KR 20180049302 A KR20180049302 A KR 20180049302A KR 102463902 B1 KR102463902 B1 KR 1024639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ls
region
conductivity type
disposed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9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8400A (ko
Inventor
원종일
박건식
곽창섭
손성훈
최동혁
조두형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68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8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9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9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01L27/1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 H01L27/1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components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including bipolar components
    • H01L27/1027Thyr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27/0203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 H01L27/0248Particular design considerations for integrated circuits for electrical or thermal protection, e.g. electrostatic discharge [ESD] protection

Abstract

본 발명은 다잉드 내장형 사이리스터 소자를 개시한다. 그의 소자는, 제 1 도전형 갖는 기판과,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된 애노드 층과,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 2 도전형을 갖고,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2 영역을 갖는 불순물 층과, 상기 불순물 층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웰들과, 상기 제 1 웰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도전형을 갖는 제 2 웰들과, 상기 제 2 웰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3 웰들과, 상기 제 1 내지 제 3 웰들과 상기 불순물 층 상의 산화막과, 상기 산화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상의 상기 제 3 웰들에 각각 연결되는 케소드; 및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웰 상의 상기 산화막 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상기 제 2 영역 상의 제 3 웰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게이트 배선을 구비하는 게이트 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다이오드를 내장한 MOS 구조의 사이리스터 소자{MOS structure thyristor device built in diode}
본 발명은 사이리스터 소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전압 대전력용 사이리스터 소자는 IGBT, power BJT, power MOSFET등의 전력반도체 소자에 비하여 순간 전류 구동 능력에서 매우 우수한 특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상기 사이리스터 소자는 모터 드라이브, UPS (uninterrupted power suppliers), capacitor discharge ignition system, flash lamps, industrial welding 등의 산업용 및 차량용 시스템의 스위칭 소자로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소자의 스위칭 속도 증가에 기인하는 ESD (Electrostatic Discharge) 신호에 의해 상기 사이리스터의 오 동작이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EDS 신호로부터 게이트 산화막을 보호할 수 있는 사이리스터 소자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사이리스터 소자를 개시한다. 그의 소자는, 제 1 도전형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된 애노드 층;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 2 도전형을 갖고,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으로부터 분리된 제 2 영역을 갖는 불순물 층; 상기 불순물 층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웰들; 상기 제 1 웰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도전형을 갖는 제 2 웰들; 상기 제 2 웰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3 웰들; 상기 제 1 내지 제 3 웰들과 상기 불순물 층 상의 산화막; 상기 산화막을 관통하여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상의 상기 제 3 웰들에 각각 연결되는 케소드; 및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웰 상의 상기 산화막 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상기 제 2 영역 상의 제 3 웰들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게이트 배선을 구비하는 게이트 층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사이리스터 소자는 백투백 다이오드 구조를 갖는 제 2 웰들과 제 3웰들을 이용하여 ESD 신호로부터 제 1 웰과 게이트 층 사이의 게이트 산화막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사이리스터 소자의 일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선상을 절취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 1 내지 제 4 웰들과 게이트 전극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 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장치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것이기 때문에, 설명의 순서에 따라 제시되는 참조부호는 그 순서에 반드시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일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도 1의 I-I' 선상을 절취하여 보여준다. 도 3은 도 2의 제 1 내지 제 4 웰들(40, 50, 60, 62)과 게이트 전극(92)을 보여준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이리스터 소자(100)는 기판(10), 애노드 층(12), 제 1 불순물 층(20), 제 2 불순물 층(30), 제 1 웰들(40), 제 2 웰들(50), 제 3 웰들(60), 제 4 웰(62), 필드 산화막(70), 캐소드(80), 및 게이트 층(9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판(10)은 제 1 도전형(ex, P형)을 갖는 실리콘 웨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기판(10)은 제 1 도전형(ex, P형)을 갖는 3-5족 또는 2-6족 반도체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애노드 층(12)은 상기 기판(10)의 아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불순물 층들(20, 30)은 상기 기판(10) 상에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불순물 층들(20, 30)은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 2 도전형(ex, N형)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불순물 층(20) 내의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은 상기 제 2 불순물 층(30)의 제 2 도전형의 불순물의 농도보다 높은 농도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불순물 층(20)이 N+ 도펀트로 도핑되면, 상기 제 2 불순물 층(30)은 N- 도펀트로 도핑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불순물 층(30)은 사이리스터 영역(32), 다이오드 영역(34) 및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36)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은 상기 다이오드 영역(34)과 상기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36)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은 상기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36)과 접할 수 있다.
상기 제 1 웰들(40)은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및 상기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36)의 상기 제 2 불순물 층(30) 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웰들(40)은 상기 제 1 도전형(ex, P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및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1 웰들(40)은 상기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36)의 제 1웰(40)보다 낮은 농도의 제 1 도전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36)은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항복 전압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 2 웰들(50)은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및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1 웰들(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웰들(50)은 제 2 도전형(N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3 웰들(60)은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및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1 웰들(4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3 웰들(60)은 상기 제 1 도전형(P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4 웰(62)은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드 산화막(70)은 상기 제 1 내지 제 3 웰들(40, 50, 60) 및 상기 제 2 불순물 층(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드 산화막(70)은 실리콘 산화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소드(80)는 상기 필드 산화막(70)을 관통하여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및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3 웰들(60) 상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80)는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내의 상기 제 3 웰(60)과 상기 제 4 웰(6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캐소드(80)는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3 웰들(60) 중의 하나에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캐소드(80)는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층(90)은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 및 상기 다이오드 영역(34)의 상기 캐소드(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르면, 상기 게이트 층(90)은 메몰(buried) 게이트 전극(92)과 게이트 배선(9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전극(92)은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의 상기 제 1 웰(40) 일부 상의 필드 산화막(7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배선(94)은 상기 게이트 전극(92)을 상기 다이오드 영역(34)의 상기 제 3 웰(60)에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제 3 웰들(60)과 상기 제 2 웰(50)은 상기 게이트 층(90)과 상기 캐소드(80) 사이의 백투백(back to back)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사이리스터 영역(32)의 제 1 내지 제 4 웰들(40, 50, 60, 62)에 ESD 신호가 입력될 경우,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백투백(back to back) 다이오드 구조의 상기 제 3 웰들(60)과 상기 제 2 웰(50)은 게이트 전극(92)과 제 1웰(40) 사이의 필드 산화막(70)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드 산화막(70)의 두께가 변화되더라도, 상기 필드 산화막(70)은 백투백 다이오드 구조의 상기 제 2 웰(50)과 제 3 웰들(60)의 항복 전압의 조절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캐소드(80)와 연결되는 다이오드 영역(34)의 제 1 웰(40) 상의 제 3 웰(6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3 웰들(60)은 백투백 구조의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 애노드 층(12), 제 1 및 제 2 불순물 층(20, 30), 제 1 웰들(40), 제 2 웰들(50), 제 2 웰들(50) 상의 제 3 웰들(60), 제 4 웰(62), 필드 산화막(70), 캐소드(80) 및 게이트 층(90)은 도 2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이리스터 소자(100)는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복수개의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2 웰들(50) 내의 제 3 웰들(60)과 제 4 웰들(62),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4 웰들(62)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전극(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3 웰들(60)은 게이트 배선(94)과 캐소드(8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전극(82)는 상기 게이트 배선(94)과 상기 캐소드(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3 웰들(60)은 백투백 구조의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 애노드 층(12), 제 1 및 제 2 불순물 층(20, 30), 제 1 웰들(40), 사이리스터 영역(32) 내의 제 2 웰(50), 제 2 웰(50) 상의 제 3 웰(60), 제 4 웰(62), 필드 산화막(70), 캐소드(80) 및 게이트 층(90)은 도 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이리스터 소자(100)는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복수개의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2 웰들(50) 내의 제 3 웰들(60), 상기 제 3 웰들(60)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배선(84), 상기 제 2 웰들(50) 내의 제 4 웰들(6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3 웰들(60)은 백투백 구조의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4 웰들(62)은 게이트 배선(94)과 캐소드(80)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 애노드 층(12), 제 1 및 제 2 불순물 층(20, 30), 제 1 웰들(40), 사이리스터 영역(32) 내의 제 2 웰(50), 제 2 웰(50) 상의 제 3 웰(60), 제 4 웰(62), 필드 산화막(70), 캐소드(80) 및 게이트 층(90)은 도 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도 2의 사이리스터 소자(100)의 또 다른 예를 보여준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사이리스터 소자(100)는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복수개의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2 웰들(50) 및 상기 제 1 웰(40) 내의 제 3 웰들(60)과 제 4 웰들(62),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4 웰들(62)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전극(8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이오드 영역(34) 내의 상기 제 2 웰들(50)과 상기 제 3 웰들(60)은 백투백 구조의 다이오드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기판(10), 애노드 층(12), 제 1 및 제 2 불순물 층(20, 30), 제 1 웰들(40), 사이리스터 영역(32) 내의 제 2 웰(50), 제 2 웰(50) 상의 제 3 웰(60), 제 4 웰(62), 필드 산화막(70), 캐소드(80) 및 게이트 층(90)은 도 1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실시 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0)

  1. 제 1 도전형 갖는 기판;
    상기 기판 아래에 배치된 애노드 층;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과 반대되는 제 2 도전형을 갖고, 제 1 영역과 상기 제 1 영역에 인접한 제 2 영역을 갖는 불순물 층;
    상기 불순물 층의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제 2 영역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1 웰들;
    상기 제 1 웰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2 도전형을 갖는 제 2 웰들;
    상기 제 2 웰들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도전형을 갖는 제 3 웰들;
    상기 제 1 내지 제 3 웰들과 상기 불순물 층 상의 산화막;
    상기 산화막을 통과하여 상기 제 1 영역 및 상기 제 2 영역 상의 상기 제 3 웰들을 연결하는 케소드; 및
    상기 제 1 영역의 상기 제 1 웰들 중의 하나 상의 상기 산화막 내에 배치되는 게이트 전극과, 상기 게이트 전극을 상기 제 2 영역 상의 상기 제 3 웰들 중의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게이트 배선을 구비하는 게이트 층을 포함하는 다이오드 내장형 사이리스터 소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들 내에 제공되는 제 4 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4 웰들 중의 하나는 상기 제 1 영역 내에 제공되어 상기 제 3 웰들 중의 하나에 접하는 사이리스터 소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웰들은 상기 제 2 영역 내에서 서로 분리되고,
    상기 제 4 웰들은 상기 제 2 영역 내의 상기 제 2 웰들 내에 개별적으로 제공되는 사이리스터 소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웰들 내의 상기 제 4 웰들을 서로 연결하는 제 1 연결 전극을 더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소자.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층은 상기 제 2 영역에 인접하는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 더 갖는 사이리스터 소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셀들 중의 어느 하나는 상기 제 2 영역의 상기 제 2 웰들 중의 하나와, 상기 에지 터미네이션 영역 사이의 상기 제 2 영역 내의 상기 제 1 웰들 중의 하나 내에 배치되는 사이리스터 소자.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불순물 층은:
    제 1 불순물 층; 및
    상기 제 1 불순물 층 상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도전형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은 불순물 농도를 갖는 제 2 불순물 층을 포함하는 사이리스터 소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도전형은 P형이고,
    상기 제 2 도전형은 N형인 사이리스터 소자.

KR1020180049302A 2017-12-08 2018-04-27 다이오드를 내장한 mos 구조의 사이리스터 소자 KR1024639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8234 2017-12-08
KR20170168234 2017-12-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00A KR20190068400A (ko) 2019-06-18
KR102463902B1 true KR102463902B1 (ko) 2022-11-08

Family

ID=67102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9302A KR102463902B1 (ko) 2017-12-08 2018-04-27 다이오드를 내장한 mos 구조의 사이리스터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90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80B1 (ko) 2009-04-30 2013-02-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1878B1 (ko) 2010-04-06 2015-01-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력용 반도체 장치, 파워 모듈 및 전력용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4910A (ko) * 1998-03-16 1999-10-05 김덕중 반도체 장치의 사이리스터
GB0312514D0 (en) * 2003-05-31 2003-07-09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Termination structures for semiconductor devices and the manufacture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0680B1 (ko) 2009-04-30 2013-02-07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481878B1 (ko) 2010-04-06 2015-01-12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력용 반도체 장치, 파워 모듈 및 전력용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8400A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64368B2 (en) Low capacitance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including a punch-through silicon controlled rectifier as low-side steering diode
US11456596B2 (en) USB type-C load switch ESD protection
US10043790B2 (en) Diode device of transient voltage suppress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20080013231A1 (en) Esd protection circuit
JP5340018B2 (ja) 半導体装置
US9159719B2 (en) ESD protection
WO2006013211A1 (en) A semiconductor switch arrangement and an electronic device
US9373614B2 (en) Transistor assembly as an ESD protection measure
JP2015012184A (ja) 半導体素子
US20140070367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130334665A1 (en) Semiconductor device
EP3916806B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160104700A1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device
US9165919B2 (en) Semiconductor device
US10325905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semiconductor circuit device
KR102463902B1 (ko) 다이오드를 내장한 mos 구조의 사이리스터 소자
US20160079232A1 (en) Semiconductor device
US20210320195A1 (en) Semiconductor device
US9202907B2 (en) Protection diode
CN1713379A (zh) 半导体保护装置
JP2015179776A (ja) 半導体装置
US11837600B2 (en)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apparatus and its operating method
US20150333119A1 (en) Semiconductor device
JP2021150355A (ja) 半導体装置
US9698139B1 (en) Integrated circuits with electrostatic discharge prote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