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445B1 -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 Google Patents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445B1
KR102463445B1 KR1020160169649A KR20160169649A KR102463445B1 KR 102463445 B1 KR102463445 B1 KR 102463445B1 KR 1020160169649 A KR1020160169649 A KR 1020160169649A KR 20160169649 A KR20160169649 A KR 20160169649A KR 102463445 B1 KR102463445 B1 KR 102463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cover
shock absorber
present
rigidity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96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8065A (ko
Inventor
박종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696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3445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8Covers for protection or appear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3/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vibration dam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DUST COVER USE IN A SHOCK ABSORBER}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는, 유체가 채워진 실린더와, 그 실린더 내에 수용된 피스톤밸브와, 그 피스톤 밸브에 연결된 채 실린더 외부로 연장된 피스톤로드를 구비하며, 실린더와 피스톤로드가 차체와 차축 사이에서 상대 운동하고, 그 상대운동에 의해, 실린더 내에 왕복 운동하는 피스톤밸브가 노면으로부터 차체로 전해지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쇼크 업소버에 있어서, 외부 이물질에 의해 피스톤로드의 외주면이 오염 또는 손상되거나 또는 그 외부 이물질이 피스톤로드를 거쳐 실린더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며, 이는 쇼크 업소버의 성능, 특히, 감쇠력과 관련된 쇼크 업소버의 성능을 크게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따라서, 이물질로부터 피스톤로드 및 실린더 내부를 보호하기 위한 더스트 커버가 쇼크 업소버에 구비된다.
쇼크 업소버는, 피스톤로드의 왕복운동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되므로, 그 길이 변화에 대처하면서 오염방지가 필요한 쇼크 업소버의 부분을 항상 덮고 있을 수 있는 더스트 커버가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개발된 것이 수축과 확장 변형이 가능한 벨로우즈형 더스트커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는 인슐레이터(4)가 압입되어 고정되고, 하단에는 스트라이크 캡(6)이 압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상하단이 쇼크 업소버에 고정되는 벨로우즈형 더스트 커버(2)는 수축된 상태로부터 자체 복원력에 의하여 다시 확장되도록 구성되지만, 장기간 사용에 의해 수축과 확장의 반복 회수가 증가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 커버(2)의 이상 변형 및 좌굴이 발생하게 되어 더스트 커버(2)와 스트라이커 캡(6) 접촉에 의한 이음이 발생하게 되며, 동일 현상이 반복될 경우 스트라이커 캡(6)과 접촉되는 더스트 커버(2)의 접촉부 두께가 국부적으로 얇아져 더스트 커버(2)의 파손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16504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도록 구성하여, 조향에 의해 차축 회전 시 더스트 커버에 이상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더스트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스트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상단부와 하단부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상단부보다 하단부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스트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상단부와 하단부의 재질은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하단부에 적용된 재질의 강성이 상단부에 적용된 재질의 강성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와 하단부는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스트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하단부의 돌출부에는 강성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부에서 어느 하나의 돌출부에 형성된 강성홈은, 어느 하나의 돌출부에 인접해 있는 다른 하나의 돌출부에 형성된 강성홈과 둘레 방향으로 서로 교번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단부는 더스트 커버를 구성하는 다층의 주름부에서 스트라이크 캡 측 끝 단으로부터 스트라이크 캡의 상단보다 1 내지 2층 높은 곳에 위치하는 주름부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단부는 하단부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에는 인슐레이터가 압입되고, 하단부에는 스트라이크 캡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조향에 의해 차축 회전 시 더스트 커버에 이상변형이 발생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더스트 커버 좌굴 시 발생되는 더스트 커버와 스트라이크 캡 접촉에 의한 이음이 개선되어 차량 상품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개념도.
도 2는 종래의 더스트 커버와 스트라이커 캡의 접촉으로 인한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쇼크 업소버 더스트 커버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의 제1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의 제2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의 제3실시예.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본 발명은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와 하단부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도록 구성된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에 관한 발명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쇼크 업소버 더스트 커버 개념도를 도시하고 있고, 도 4는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의 제1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5는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의 제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은 본 발명의 더스트 커버의 제3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벨로우즈형 더스트 커버(8)는 상기 더스트 커버(8)의 외측에서 바라보았을 때 돌출된 부분인 다수 개의 돌출부(16)와 어느 하나의 돌출부(16)와 상기 다른 하나의 돌출부(16) 사이의 부분인 다수 개의 골부(18)가 길이방향으로 서로 번갈아 위치하도록 구성된 다층의 주름부(14)로 구성된다.
다층의 상기 주름부(14)는 길이방향으로 상단부(10)와 하단부(12)로 나누어지는 것으로, 상기 상단부(10)에는 인슐레이터(4)가 압입되고, 상기 하단부(12)에는 스트라이크 캡(6)이 압입되어 상기 상단부(10)와 하단부(12)가 쇼크 업소버에 고정되도록 하였다.
본 발명의 상기 더스트 커버(8)는, 종래 더스트 커버(2)의 좌굴 시 발생되는 상기 더스트 커버(2)와 상기 스트라이크 캡(6) 사이의 접촉 이음 및 반복 접촉으로 인한 더스트 커버(2)의 국부적인 파손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가 서로 다른 강성을 갖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하단부(12)는 상기 스트라이크 (6)캡 측 끝 단으로부터 상기 스트라이크 캡(6)의 상단보다 일정 높이 이격된 높이까지를 포함하는 것으로, 바람직하게는 다층의 상기 주름부(14)에서 상기 스트라이크 캡(6) 측 끝 단으로부터 상기 스트라이크 캡(6) 상단보다 1층 내지 2층 정도 높은 곳에 위치하는 주름부(14)까지를 포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단부(10)의 길이방향 길이는 상기 하단부(12)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의 강성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의 두께를 서로 다르게 적용하여 구성하였다.
상기 더스트 커버(8)의 압축 시 상기 하단부(12)가 상기 상단부(10) 보다 먼저 압축되어 상기 하단부(12)에 좌굴이 발생하게 되면 상기 하단부(12)와 상기 스트라이크 캡(6) 사이의 접촉 이음 및 국부적인 손상이 발생되기 때문에 상기 더스트 커버(8)의 압축 시 상기 하단부(12)보다 상기 상단부(10)가 먼저 압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상단부(10) 보다 상기 하단부(12)의 두께를 더 두껍게 적용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상단부(10)의 두께를 1t, 상기 하단부(12)의 두께를 1.5t로 적용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상단부(10) 보다 상기 하단부(12)의 두께가 더 두껍게 적용된다면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의 두께는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의 강성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서는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의 재질을 서로 다르게 적용하고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를 이중사출하여 형성하였다.
상기 더스트 커버(8)의 압축 시 상기 하단부(12)보다 상기 상단부(10)가 먼저 압축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단부(12)에 적용되는 재질이 상기 상단부(10)에 적용되는 재질 보다 더 강한 강성을 갖는 재질이 되도록 적용하였다.
상기 상단부(10)와 상기 하단부(12)의 강성을 서로 다르게 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단부(12)의 돌출부(16)에 강성홈(20)을 형성하여 상기 하단부(12)의 강성이 상기 상단부(10)의 강성보다 더 강하도록 구성하였다.
상기 강성홈(20)은 상기 하단부(12) 돌출부(16)의 둘레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16)의 둘레와 수직인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는 것으로, 어느 하나의 돌출부(16)에 형성된 상기 강성홈(20)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16)에 인접해있는 다른 하나의 돌출부(16)에 형성된 상기 강성홈(20)과 둘레 방향으로 서로 교번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즉, 어느 한 층의 상기 돌출부(16)에 90도 간격으로 상기 강성홈(20)이 형성되면, 상기 어느 한 층의 상기 돌출부(16)의 위층과 아래층에 위치하는 상기 돌출부(16)에 형성되는 상기 강성홈(20)은 상기 어느 한 층의 상기 돌출부(16)에 형성되는 상기 강성홈(20)과 45도 이격된 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에서 다수 개의 상기 강성홈(20)은 상기 돌출부(16)의 둘레방향으로 서로 90도 간격이 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돌출부(16)의 개수 및 간격은 변형될 수 있다.
상기 하단부(12)가 압축되더라도 상기 강성홈(20)에 의해 좌굴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하단부(12)와 상기 스트라이크 캡(6) 사이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 제2실시예, 제3실시예와 같이 형성된 상기 더스트 커버(8)는 상기 상단부(10)의 강성보다 스트라이크 캡(6)과 가까운 위치의 상기 하단부(12)의 강성이 더 강하기 때문에 조향에 의한 차축 회전 시 상기 상단부(10)가 먼저 압축되어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상기 하단부(12)에 압축이 가해지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더스트 커버(2) 하단의 좌굴로 인해 발생되는 더스트 커버(2)와 스트라이크 캡(6) 사이의 접촉 이음 문제 및 반복 접촉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더스트 커버(2)의 국부적인 파손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단부(12)의 강성보다 상기 하단부(10)의 강성이 더 강해 험로 등의 주행으로 인한 일정 변위 이상의 범프 발생 시에만 상기 하단부(10)가 압축되기 때문에 일정 변위 이상의 범프 발생 시 발생되는 상기 하단부(10)와 상기 스트라이크 캡(6)의 접촉 이음은 타이어 충격음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 묻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의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2 : 종래의 더스트 커버
4 : 인슐레이터
6 : 스트라이크 캡
8 : 더스트 커버
10 : 상단부
12 : 하단부
14 : 주름부
16 : 돌출부
18 : 골부
20 : 강성홈

Claims (9)

  1. 상하단이 쇼크 업소버에 고정된 벨로우즈형 더스트 커버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는 길이 방향으로 상단부와 하단부로 나누어지며,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재질은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상기 하단부에 적용된 재질의 강성이 상기 상단부에 적용된 재질의 강성보다 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의 두께는 서로 다르게 적용되어,
    상기 상단부 보다 상기 하단부의 두께가 더 두꺼운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와 상기 하단부는 이중 사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의 돌출부에는 강성홈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에서 어느 하나의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강성홈은, 상기 어느 하나의 돌출부에 인접해 있는 다른 하나의 돌출부에 형성된 상기 강성홈과 둘레 방향으로 서로 교번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7.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는 상기 더스트 커버를 구성하는 다층의 주름부에서 스트라이크 캡 측 끝 단으로부터 상기 스트라이크 캡의 상단보다 1 내지 2층 높은 곳에 위치하는 주름부까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하단부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9.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더스트 커버의 상단부에는 인슐레이터가 압입되고, 하단부에는 스트라이크 캡이 압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0160169649A 2016-12-13 2016-12-13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KR102463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9A KR102463445B1 (ko) 2016-12-13 2016-12-13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9649A KR102463445B1 (ko) 2016-12-13 2016-12-13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5A KR20180068065A (ko) 2018-06-21
KR102463445B1 true KR102463445B1 (ko) 2022-11-04

Family

ID=62806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9649A KR102463445B1 (ko) 2016-12-13 2016-12-13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344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0896B1 (ja) * 2014-03-20 2015-04-15 株式会社ショーワ カバー部材および緩衝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896B2 (ko) * 1972-11-08 1982-01-08
US5954168A (en) * 1997-05-28 1999-09-21 American Showa, Inc. Dust cover for shock absor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65049B1 (ko) 2007-02-15 2012-07-13 주식회사 만도 벨로우즈형 더스트커버를 갖는 쇽업소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700896B1 (ja) * 2014-03-20 2015-04-15 株式会社ショーワ カバー部材および緩衝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065A (ko) 2018-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57270B2 (en) Cover member and suspension
JP6340233B2 (ja) シリンダ装置
US10203014B2 (en) Cover member and shock absorber
JP6708640B2 (ja) 金属ベローズ型アキュムレータ
US20120241267A1 (en) Dust cover structure of hydraulic shock absorber
KR102463445B1 (ko) 쇼크 업소버의 더스트 커버
US20160208917A1 (en) Cover member
JP2018003931A (ja) 筒部材及び緩衝器
WO2016072426A1 (ja) シリンダ装置及びカバー部材
US20190293145A1 (en) Cylinder-End-Cap
US10107350B2 (en) Folding bellows for use with a vehicle subassembly
KR101165049B1 (ko) 벨로우즈형 더스트커버를 갖는 쇽업소버
JP2009162356A (ja) ダストカバー、及び、ショックアブソーバ
WO2015141047A1 (ja) カバー部材および緩衝装置
JP2015055298A (ja) ダストカバー
JP6542845B2 (ja) テレスコピックカバー及び工作機械
KR101682921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어셈블리
KR101815598B1 (ko) 쇽업소버의 더스트 캡 구조
KR101740643B1 (ko) 비 공기입 타이어
JP6929807B2 (ja) シール材
KR102067890B1 (ko) 차량의 현가 장치용 스트라이커 캡
KR100766857B1 (ko) 더스트 커버
JP7068909B2 (ja) ボトル
JPWO2021117706A5 (ko)
KR101273564B1 (ko) 쇽업소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