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3312B1 -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 Google Patents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3312B1
KR102463312B1 KR1020197027370A KR20197027370A KR102463312B1 KR 102463312 B1 KR102463312 B1 KR 102463312B1 KR 1020197027370 A KR1020197027370 A KR 1020197027370A KR 20197027370 A KR20197027370 A KR 20197027370A KR 102463312 B1 KR102463312 B1 KR 102463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etary gear
planet carrier
planetary
roll stabilizer
g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7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7744A (ko
Inventor
레네 슈바르체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1277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77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3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3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60G21/0553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 B60G21/0555Mounting means therefor adjustable including an actuator inducing vehicle ro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60G2204/4191Planetary or epicyclic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60Y2400/73Planetary 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제1 유성기어단(5)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롤 스태빌라이저(1)를 위한 유성기어장치(2)에 관한 것이며, 상기 제1 유성기어단은 제1 선기어(6), 제1 링기어(7), 반경 방향으로 제1 선기어와 제1 링기어 사이에서 치합되는 복수의 제1 유성기어(8), 유격을 가지면서 가용한 유격의 범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 및/또는 경동될 수 있는 제1 유성 캐리어(9), 및 소음 감소를 위한 스프링 메커니즘(24)을 포함한다.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제1 유성 캐리어(9)에 맞물리며, 그리고 유성기어장치(2)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상기 제1 유성 캐리어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자신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외로 변위시키고, 그리고/또는 경동시키며, 그럼으로써 제1 유성 캐리어의 제1 유성기어들(8)은 제1 선기어(6) 및/또는 제1 링기어(7) 상에 안착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형의 유성기어장치(2)를 포함하는 롤 스태빌라이저(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본 발명은 특허 독립 청구항들의 전제부에 더 상세하게 정의되는 유형에 따른, 특히 자동차의 롤 스태빌라이저(roll stabilizer)를 위한 유성기어장치(planetary gearing), 그리고 자동차용 롤 스태빌라이저에 관한 것이다.
능동형 또는 전기 기계식 롤 스태빌라이저들은 액추에이터, 특히 전기 모터, 및 이 액추에이터의 하류에 연결된 유성기어장치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 및 유성기어장치를 통해 2개의 토션바 스프링 부재는 상호 간에 반대로 비틀림 회전될 수 있다. 토션바 스프링 부재들은 섀시 측에 장착되며, 그리고 진자 로드(pendulum rod)를 통해 각각 하나의 휠과 연결된다. 각각의 액추에이터 회전에 따라서 토크가 형성될 수 있고 이런 경우 비틀려지는 토션바 스프링 부재들로 전달될 수 있다. 그렇게 하여, 자동차의 롤링 운동 보상이 달성될 수 있다.
DE 10 2014 223 019 A1호로부터는 롤 스태빌라이저를 위한 유성기어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유성기어장치는, 유성 캐리어와 할당된 유성기어 사이에서 단부면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스프링 부재들을 통해 유성기어들은 유성 캐리어에 상대적으로 경동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유성기어들은 링기어 및 선기어의 치합부와 유격 없이 상호 간에 끼워지게 된다. 이로써 유성기어장치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은 감소될 수 있다. 단점은, 특히 다단 유성기어장치를 저소음 방식으로 형성하기 위해 매우 많은 스프링 부재가 요구된다는 점에 있다. 이로써 유성기어장치의 구조적 복잡성 및 제조 원가는 증가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도입부에 언급한 유형에 따른 유성기어장치를 추가로 개선하고, 특히 소음 감소를 개선하고, 그리고/또는 유성기어장치의 구조적 복잡성을 감소시키며, 그럼으로써 상기 유성기어장치가 상대적으로 더 비용 효과적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하고 기어 소음은 감소되게 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특허 독립 청구항들의 특징들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도면들에서 분명하게 제시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하나 이상의 제1 유성기어단(planetary stage)을 포함하는, 특히 자동차의 롤 스태빌라이저를 위한 유성기어장치가 제안된다. 제1 유성기어단은 제1 선기어, 제1 링기어, 반경 방향으로 제1 선기어와 제1 링기어 사이에서 치합되는 복수의 제1 유성기어, 및 제1 유성 캐리어를 포함한다. 제1 유성 캐리어는 제1 유성기어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방식으로 수용한다. 또한, 제1 유성 캐리어는 유격을 갖는다. 그 결과로서, 유성 캐리어는 가용한 유격의 범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특히 유성기어장치의 중심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경동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유성기어장치는 소음 감소를 위한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다. 스프링 메커니즘은 제1 유성 캐리어에 맞물리며, 그리고 특히 유성기어장치의 비하중 재하 상태(unloaded state)에서 상기 제1 유성 캐리어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반경 방향에서 자신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외로 변위시킨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스프링 메커니즘은 유성기어장치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제1 유성 캐리어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자신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외로 경동시킨다. 이로써, 제1 유성 캐리어의 제1 유성기어들은 제1 선기어 및/또는 제1 링기어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본원의 유성기어장치의 하중 재하 상태에서, 제1 유성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유성기어장치의 중심 회전축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된다. 유성기어장치가 더 이상을 하중을 받지 않는 즉시, 스프링 메커니즘은 유성 캐리어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그 외로 유성 캐리어의 앞서 기술한 반경 방향 변위 및/또는 경동을 야기한다. 따라서, 유성 캐리어의 회전축은 적어도 유성기어장치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유성기어장치의 중심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병진 이동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고, 그리고/또는 상기 중심 회전축에 상대적으로 경동된다. 바람직한 방식으로, 유성 캐리어에 의해 파지되는 유성기어들은 반경 방향의 안쪽 제1 선기어와,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제1 링기어와 상호 간에 끼워진다. 그 결과로서, 유성기어장치 내로의 토크 입력 시, 각각의 유성기어의 치면들(tooth face)은 전체 치폭(tooth width)에 걸쳐서 제1 선기어 및/또는 제1 링기어의 치면들 상에 안착된다. 이런 안착 동안, 스프링 메커니즘의 스프링 힘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하게 극복되며, 그럼으로써 상호 간에 충돌하는 치면들의 완충(damping)이 달성되게 된다. 이로써, 본원의 유성기어장치는 매우 소음이 적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 감소는 단일의 스프링 메커니즘을 통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유성기어장치는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형성되게 된다. 이로써, 다시금 유성기어장치의 제조 원가는 감소된다. 또한, 앞서 기술한 발명을 통해, 유성기어장치의 결함 민감성은 감소된 구조적 복잡성을 기반으로 감소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메커니즘은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제1 링기어 상에서 지지된다. 이는 제1 링기어 상에서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가 그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거나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는 것인 기어 하우징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특히 스프링 메커니즘을 조정해야만 할 때, 스프링 메커니즘에 대한 충분한 접근성이 보장된다. 또한, 이로써 스프링 메커니즘은 구조적으로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메커니즘은 각자의 또 다른 유성기어단 내로도 삽입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각자의 유성기어단 내에서 소음 감소가 효율적으로 적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스프링 메커니즘은 커플링 부재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는, 제1 유성 캐리어를 상응하는 부품과, 특히 제1 유성 캐리어가 그 상에서 지지되는 제1 링기어와 연결하거나, 또는 이들을 작동 연결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는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와,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영역에서는 제1 링기어와, 특히 간접적으로, 또는 직접적으로 연결된다. 이로써, 커플링 부재에 의해, 반경 방향의 바깥쪽 지지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는 특히 반경 방향의 바깥쪽 영역에서,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또는 제1 링기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그리고/또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는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그리고/또는 제1 링기어 상에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안착된다. 이로써, 커플링 부재가 제1 유성 캐리어의 회전 운동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점은 방지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커플링 부재를 통해 그에 상응하게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이 제1 유성 캐리어로 전달되는 점이 보장된다.
자신의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유성기어장치를 구조적으로 최대한 간단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는, 제1 유성 캐리어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 외주면, 반경 방향의 안쪽 베어링 축부(bearing shaft) 및/또는 단부면 상에서 제1 유성 캐리어와 연결된다.
제1 유성 캐리어에,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제1 커플링 부재는 탄력성 있게, 특히 탄성 중합체 또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된다.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동일한 목적에서,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메커니즘은, 커플링 부재에 반경 방향에서 스프링 하중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가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제1 링기어 상에 배치된다면,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힘은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커플링 부재는 제1 유성 캐리어 쪽에 밀착되게 된다. 커플링 부재가 제1 유성 캐리어와 연결된다면, 스프링 부재는, 커플링 부재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밀착시키는 방식으로 형성되며, 그럼으로써 제1 유성 캐리어는 자신의 중립 위치에서 외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고, 그리고/또는 경동되게 된다.
본원의 유성기어장치는, 커플링 부재가 압력 핀(pressure pin), 롤러, 또는 링 부재(ring element), 특히 폐쇄된 링 부재로서 형성될 때, 매우 비용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런 경우, 압력 핀은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형성된다.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자신의 회전축이 실질적으로 유성기어장치의 종방향으로 연장되고, 그리고/또는 자신의 회전축이 적어도 제1 유성 캐리어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상기 중립 위치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정렬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핀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 상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바람직하게는 압력 핀은, 스프링 부재, 특히 헬리컬 스프링에 의해, 자신의 반경 방향의 안쪽 자유 단부로 제1 유성 캐리어 쪽에 밀착된다. 따라서, 압력 핀은 제1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것이 아니라,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안착되며, 그럼으로써 제1 유성 캐리어는 압력 핀의 옆을 지나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롤러로서 형성되는 커플링 부재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특히 제1 유성 캐리어의 단부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자신의 바깥쪽 롤링면으로,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에서 직접적으로 제1 링기어 상에, 또는 간접적으로, 특히 기어 하우징 상에 안착되는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유성 캐리어의 회전 동안, 롤러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에서 제1 링기어 상에서, 또는 기어 하우징 상에서 롤링될 수 있다. 따라서, 롤러 자체가 탄력성 있게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스프링 부재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인가받는지 그 여부 각각에 따라, 제1 유성 캐리어에,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이 가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에서, 롤러는 반경 방향으로 제1 유성 캐리어와 제1 링기어 사이에서 부동 장착(floating mounting) 방식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롤러는 자신의 회전축의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 상에서, 그리고 제1 링기어 상에서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지 않는다. 그 대신, "부동 장착 방식으로"란 용어는, 롤러가 자신의 외주연으로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뿐만 아니라 제1 링기어 또는 기어 하우징 상에도 안착되고 그에 따라 상기 두 부품을 통해 지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결과로서, 부동 장착식 롤러는, 유성기어장치가 회전하는 경우, 제1 유성 캐리어 및 제1 링기어에 상대적으로 유성기어장치의 원주방향으로 이동된다.
특히 부동 장착식 롤러의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자신의 롤링면으로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 상에 안착되고,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에서는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안착된다.
특히 롤러가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롤러는 스프링 부재를 통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밀착된다. 이로써, 스프링 부재의 스프링 힘은 특히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롤러로 전달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1 유성 캐리어는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밀착되게 된다.
제1 스프링 부재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롤러는 오버사이즈를 보유할 수 있다. 이는, 특히 롤러 자체가 탄력성 있게 형성될 때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유성 캐리어가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오버사이즈를 포함하는 탄성 롤러는 탄성 변형된다. 롤러가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경우, 탄성 변형은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에서 수행된다. 오버사이즈를 포함하고 탄력성 있게 형성되는 부동 장착식 롤러의 경우, 상기 유형의 탄성 변형은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자신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에서도 수행된다.
커플링 부재가 링 부재로서 형성된다면, 바람직하게는 링 부재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환형 섹션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 상에 안착되며, 그리고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으로는 제1 유성 캐리어 상에, 특히 제1 유성 캐리어의 베어링 축부 상에 안착된다. 이런 경우, 바람직한 방식으로, 링 부재는,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의 영역에서 탄력성 있게 안쪽으로 밀착되는 방식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로써, 링 부재를 통해, 그에 상응하게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로 전달될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링 부재는 프리폼(preform)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면도로 볼 때 콩팥 형태가 형성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유성 캐리어는 유성기어장치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경동된다. 이로써, 요컨대 선기어와, 그리고/또는 링기어와 유성기어들의 상호 간의 끼워짐이 달성될 수 있다. 이는, 토크 제로크로싱 동안 원주방향 백래시 및/또는 베어링 유격을 감소시키며, 그럼으로써 바람직한 방식으로 유성기어들 및 선기어의 치부들 사이, 또는 유성기어들 및 링기어의 치부들 사이의 2개의 치면 접촉(two-face contact)이 생성되게 된다. 이로써, 하중 변화 시, 충격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본원의 유성기어장치의 소음 발생은 감소되게 된다. 제1 유성 캐리어의 상기 유형의 경동은, 특히 제1 유성 캐리어가 자신의 두 축 방향 단부 중 일측의 영역에서, 특히 자신의 베어링 축부의 측에서, 유성기어장치의 종축에 대해 동축인 자신의 중립 위치와 이 중립 위치에 대해 경동된 정지 위치 사이에서 경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성 캐리어는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에 비해 축 방향으로 오프셋되는 베어링 영역을 포함한다. 이로써,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의 베어링 영역의 둘레에서, 자신의 중립 위치에서 자신의 정지 위치로 제1 유성 캐리어를 경동시키는 토크를 야기한다.
특히 본원의 유성기어장치가 롤 스태빌라이저 유성기어장치로서 형성된다면, 바람직하게는, 제1 유성 캐리어는 간접적으로 제2 또는 추가 유성기어단을 통해 지지된다. 제2 유성기어단은 바람직하게는 출력 측에서 유성기어장치 내에 배치된다. 제2 유성기어단 내 제1 유성 캐리어의 지지는, 특히 제2 유성기어단이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지지되는 제2 유성 캐리어를 포함하는 것을 통해 수행된다. 또한, 제1 유성 캐리어는 바람직하게는 제2 유성기어단의 제2 선기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제2 선기어, 및 이 제2 선기어와 연결되는 제1 유성 캐리어는 제2 선기어와 제2 유성 캐리어 사이에 형성되는 유격의 범위에서 제2 유성 캐리어에 상대적으로 경동될 수 있다. 따라서, 스프링 메커니즘을 이용한 제1 유성 캐리어의 경동 시, 제1 유성기어단뿐만 아니라 제2 유성기어단의 제2 선기어 역시도 제2 유성기어단의 제2 유성기어들과 상호 간에 끼워진다. 그 결과로서, 제1 유성기어단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제2 유성기어단의 영역에서도, 상호 간의 끼워짐 및 그에 따른 소음 감소가 수행된다.
특히 본원의 유성기어장치가 롤 스태빌라이저 유성기어장치로서 형성된다면, 바람직하게는, 유성기어장치는 제3 유성기어단을 포함한다. 제3 유성기어단은 바람직하게는 입력 측에, 그리고/또는 롤 스태빌라이저의 액추에이터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제3 유성기어단은 바람직하게는 유격 없이 지지되는 제3 선기어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제1 선기어는 제3 유성기어단의 제3 유성 캐리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 결과로서, 제3 유성 캐리어, 및 이 제3 유성 캐리어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 제1 유성기어단의 제1 선기어는, 제3 선기어의 둘레에서 제3 유성 캐리어와 제3 선기어 사이에 가용한 유격의 범위에서 경동될 수 있다. 이로써, 제3 유성기어단의 영역에서도, 제3 유성기어들과 제3 선기어 사이의 상호 간의 끼워짐이 수행된다. 따라서, 스프링 메커니즘을 통해, 제1 유성기어단뿐만 아니라, 이에 인접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유성기어단 역시도 상호 간에 끼워질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소음이 적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메커니즘은, 유성기어장치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제2 선기어와 연결된 제1 유성 캐리어를 제1 각도만큼 경동시키고, 그리고/또는 제3 유성 캐리어와 연결된 제1 선기어를 상기 제1 각도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각도만큼 경동시킨다. 이로써, 제1 유성기어단 내에서뿐만 아니라 단부면에서 제1 유성기어단에 인접하는 2개의 다른 유성기어단 내에서도, 그 내부에 배치되는 기어휠들의 상호 간의 끼워짐이 달성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본원의 유성기어장치는 매우 소음이 적은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전술한 기재내용에 따라서 형성되는 유성기어장치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롤 스태빌라이저도 제안되며, 언급한 특징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3 유성기어단의 제3 선기어는 특히 전기식인 구동부와 연결되고, 그리고/또는 제2 유성기어단의 제2 유성 캐리어는 토션바 스프링 부재, 특히 스태빌라이저 튜브와 연결된다. 이로써, 본원의 유성기어장치는 특히 롤 스태빌라이저 유성기어장치로서 형성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은 도면들에 따라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기어휠들의 상호 간의 끼워짐을 위한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하는 유성기어장치의 영역에서 롤 스태빌라이저를 부분적으로 잘라 낸 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유성기어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유성기어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4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유성기어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유성기어장치를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는, 유성기어장치(2)가 종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 유성기어장치(2)는 자동차의 롤 스태빌라이저(1)의 구성부품이다. 롤 스태빌라이저(1)는, 유성기어장치(2) 외에도, 액추에이터(3), 특히 전기 모터와, 토션바 스프링 부재(4)를 더 포함한다.
도 1에 따라서, 유성기어장치(2)는, 제1 링기어(7)에 의해 에워싸이는 중앙의 제1 선기어(6)를 구비한 제1 유성기어단(5)을 포함한다. 반경 방향으로 제1 선기어(6)와 제1 링기어(7) 사이에는 제1 유성기어들(8)이 배치된다. 유성기어들(8)은 제1 유성기어단(5)의 제1 유성 캐리어(9)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유성기어장치(2)는 기어 하우징(10)을 포함한다. 기어 하우징(10)은 액추에이터(3)의 모터 하우징(11)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며, 특히 용접된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링기어(7)는 기어 하우징(10)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다. 그 대안으로, 제1 링기어(7)가 별도의 부품을 나타내고 기어 하우징(10)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점도 마찬가지로 생각해볼 수 있다.
제1 유성기어단(5) 외에도, 유성기어장치(2)는 제2 유성기어단(12) 및 제3 유성기어단(17)을 더 포함한다. 제2 유성기어단(12)은 종동 측에 배치된다. 제3 유성기어단(17)은 구동 측에 배치된다. 그 결과로서, 제1 유성기어단(5)은 제2 유성기어단(12)과 제3 유성기어단(17) 사이에 위치된다. 제2 유성기어단(12)은 제2 선기어(13), 제2 링기어(14), 이들 사이에 배치되는 제2 유성기어들(15), 및 제2 유성 캐리어(16)를 포함하며, 이 제2 유성 캐리어 내에서는 제2 유성기어들(1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방식으로 수용된다. 이와 동일한 사항은 제3 유성기어단(17)에도 해당된다. 이렇게, 상기 제3 유성기어단 역시도 제3 선기어(18), 제3 링기어(19), 제3 유성기어들(20) 및 제3 유성 캐리어(21)를 포함하며, 제3 유성 캐리어는 제3 유성기어들(20)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 방식으로 수용한다. 제3 선기어(18)는 액추에이터(3)의 모터 샤프트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유성 캐리어(15)는 토션바 스프링 부재(4)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액추에이터(3)에 의해 유성기어장치(2) 내로 유입되는 토크는 유성기어장치(2)에 의해 변환되어 토션바 스프링 부재(4)로 전달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링기어(14) 및 제3 링기어(19)는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링기어들은 기어 하우징(10)과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이미 앞서 제1 링기어(7)와 관련하여 언급한 것처럼, 상기 제2 링기어 및 제3 링기어는 별도의 부품들로서도 형성되어 기어 하우징(10)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선기어(18)는 모터 지지부(22)를 통해 실질적으로 유격 없이 지지된다. 또한, 유성기어장치(2)는, 실질적으로 유격 없이 제2 유성 캐리어를 지지하는 토션바 지지부(23)도 포함한다. 따라서, 토션바 스프링 부재(4)는 제2 유성 캐리어(16)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토션바 스프링 부재(4) 역시도 실질적으로 유격 없이 토션바 지지부(23)를 통해 지지된다. 따라서, 유성기어장치(2)의 다른 회전 가능한 기어휠들은 간접적으로 모터 지지부(22) 및 토션바 지지부(23)를 통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결과로서, 상기 기어휠들은 치면 유격을 기반으로 유격을 갖는 방식으로 지지된다. 그에 기인하여, 특히 스타팅 시, 또는 회전 방향 전환 시, 서로 맞물려 있는 치부들의 치면들이 상호 간에 충돌하는 것을 통해 소음 부하가 발생한다.
상기 소음 부하를 감소시키기 위해, 유성기어장치(2)는 스프링 메커니즘(24)을 포함한다.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제1 유성기어단(5)의 영역 내에 형성된다. 스프링 메커니즘(24)은, 특히 직접적으로 제1 유성 캐리어(9)에 맞물리며, 그리고 유성기어장치(2)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여기에 도시된 자신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외로 제1 유성 캐리어를 변위시킨다. 이는 예컨대 제1 유성 캐리어(9)의 반경 방향 변위 및/또는 경동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이로써,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제1 선기어(6) 및/또는 제1 링기어(7)와 제1 유성기어들(8)의 상호 간의 끼워짐을 야기한다. 그 결과로서, 제1 유성기어들(8)의 치부들은 제1 선기어(6) 및 제1 링기어(7)의 치부들에 대해 경사진다. 유성기어장치(2) 내로의 토크 입력 시, 각각의 제1 유성기어들(8)의 치면들은 일부분에 걸쳐서부터 전체 치폭에 걸쳐서까지 제1 선기어(6) 및/또는 제1 링기어(7)의 치면들 상에 안착된다. 안착 동안, 스프링 메커니즘의 스프링 힘은 극복되며, 그럼으로써 상호 간에 충돌하는 치면들의 완충이 실현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유성기어단(5)은 고정식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간접적으로, 인접한 유성기어단들(12, 17)을 통해 지지되기 때문에, 인접한 유성기어단들(12, 17)의 영역에서 상호 간의 끼워짐 역시도 수행된다. 이렇게, 제1 유성 캐리어(9)는 본 실시예에 따라서 제2 유성기어단(12)의 제2 선기어(13)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다. 그 대안으로, 이들은 단일 부재형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제2 선기어(13)는, 간접적으로 제2 유성 캐리어(16)를 통해, 토션바 지지부(23)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제1 유성 캐리어(9)는 제2 유성기어단(12)의 영역에 위치하는 지지점을 중심으로 경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따라, 제1 유성 캐리어(9)는 제2 선기어(13)와 함께 시계 바늘과 반대 방향으로 제1 각도(α)만큼 경동된다. 이런 경우, 제2 선기어(13)의 치부들은 제2 유성기어들(15)의 치부들과 상호 간에 끼워진다. 또한, 제1 유성기어들(8)의 치부들은 제1 링기어(7) 및 제1 선기어(6)의 치부들과 상호 간에 끼워진다.
제3 유성기어단(17)의 영역에서의 상호 간의 끼워짐은 특히 제1 선기어(6)가 제3 유성 캐리어(21)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기 때문에 수행된다. 그 대안으로, 이들은 단일 부재형으로도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제1 선기어(6)는, 간접적으로 제3 유성기어들을 통해, 유격 없이 지지되는 제3 선기어(18) 상에서 유격을 가지면서 지지된다. 그 결과로서, 제1 선기어(6)는 제3 유성 캐리어(21)와 함께, 제3 유성기어단(17)의 영역에 배치되는 지지점 또는 경동점을 중심으로 경동될 수 있다. 도면에 따라서, 제1 선기어(6)는 제3 유성 캐리어(21)와 함께 스프링 메커니즘(24)을 통해 시계 바늘과 같은 방향으로 제2 각도(β)만큼 경동된다. 따라서, 제1 선기어(7)와 제1 유성 캐리어(9) 또는 이 제1 유성 캐리어 내에서 지지되는 제1 유성기어들(8)은 상호 간에 상대적으로 반대되는 방향들로 각도(α 및 β)만큼 경동된다. 이로써, 전체 유성기어장치(2) 내에서 상호 간의 끼워짐이 수행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전체 유성기어장치는 특히 저소음 방식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미 앞서 언급한 것처럼,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직접적으로 제1 유성 캐리어(9)에, 반경 방향으로 작용하는 스프링 힘을 가하며, 그럼으로써 제1 유성 캐리어(9)는 간접적인 지지를 기반으로 경동되게 된다. 후속 도면들에는 스프링 메커니즘(24)의 여러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모든 사례에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반경 방향의 안쪽에서 직접적으로 제1 유성 캐리어(9)에 맞물리며, 그리고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는 제1 링기어(7) 상에서, 그리고/또는 기어 하우징(10) 상에서 지지된다. 제1 링기어(7) 상에서의 지지는 직접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그 대안으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간접적으로도 기어 하우징(10)을 통해 제1 링기어(7) 상에서 지지될 수 있다.
하기 실시예들에서, 자신들의 구성 및/또는 작동방식과 관련하여 동일하거나, 또는 적어도 필적하는 특징들을 위해 동일한 도면부호들이 이용된다. 상기 특징들이 재차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 한, 그 구성 및/또는 작동 방식은 각각 앞서 이미 기술한 특징들에 상응한다.
도 2에 따라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커플링 부재(25)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25)는,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9)와 연결되며, 그리고 반경 방향의 바깥쪽 영역에서는 제1 링기어(7) 또는 기어 하우징(10)과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25)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기어 하우징(10) 내에서, 그리고/또는 제1 링기어(7) 내 또는 상에서 지지된다. 또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반경 방향으로 커플링 부재(25)에 스프링 하중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26)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서, 스프링 부재(26)는 커플링 부재(25)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반경 방향에서 안쪽으로 밀착시킨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25)는 스프링 부재(26)를 통해 기어 하우징(10) 또는 제1 링기어(7) 상에서 지지되며, 그리고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반경 방향에서 제1 유성 캐리어(9) 쪽에 밀착된다. 이런 경우, 커플링 부재(25)는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31)에서 제1 유성 캐리어(9)의 외주면(27)에 맞물린다.
여기서 커플링 부재(25)는 압력 핀(28)으로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압력 핀의 반경 방향 위치는 포지셔닝 메커니즘을 통해 조정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포지셔닝 메커니즘은 예컨대 나사산부(screw thread)로서 형성될 수 있다. 압력 핀(28)은 자신의 반경 방향의 안쪽 단부로 외주면(27) 상으로 밀착된다. 따라서, 제1 유성 캐리어(9)는 원주방향으로 압력 핀(28)의 자유 단부의 옆을 지나서 이동될 수 있다.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압력 핀(28)은,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인가되는 스프링 힘을 통해, 제1 유성 캐리어(9)를 여기에 도시된 자신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외로 밀어내며, 그럼으로써 앞의 기재내용에 따른 상호 간의 끼워짐이 형성되게 된다.
도 3에는, 스프링 메커니즘(24)의 대안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추가 스프링 부재(26)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 대신, 커플링 부재(25) 자체가 탄력성 있게 형성된다. 따라서, 커플링 부재(25)의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 오버사이즈를 통해, 커플링 부재의 고유 탄성을 기반으로,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9)로 가해질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라서도, 커플링 부재(25)는 자신의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9)의 외주면(27)에 맞물린다.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커플링 부재(25)는 기어 하우징(10) 상에서 지지되거나, 또는 간접적으로 기어 하우징(10)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된 제1 링기어(7) 상에서 지지된다.
커플링 부재(25)는 여기서는 롤러(29) 또는 기어로서 형성된다. 롤러(29)는 롤링면(30)을 포함하며, 이 롤링면으로 롤러는 제1 유성 캐리어(9) 상에서, 그리고/또는 하우징(10) 상에서,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하우징과 회전 고정 방식으로 형성된 제1 링기어(7) 상에서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31)에서, 롤러(29)는 자신의 롤링면(30)으로 제1 유성 캐리어(9)의 외주면(27) 상에 안착된다.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32)에서 롤러(29)는 기어 하우징(10) 상에,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7) 상에 안착된다. 따라서, 롤러(29)는 자신의 고유의 회전축의 영역에 베어링부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그 대신 부동 장착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는, 롤러(29)가 반경 방향의 안쪽 제1 유성 캐리어(9)를 통해서뿐만 아니라 반경 방향의 바깥쪽 기어 하우징(10) 또는 제1 링기어(7)를 통해서도 제 위치에서 파지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동시에, 롤러(29)는, 제1 유성 캐리어(9)의 회전 동안, 자신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런 경우 롤러는 또한 제1 유성 캐리어(9) 및 제1 링기어(7)에 상대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된다.
제1 유성 캐리어(9)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키고, 그리고/또는 경동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롤러(29)는 탄력성 있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를 위해, 롤러(2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중합체로 구성된다. 또한, 롤러(29)는 오버사이즈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롤러는 (제1 유성 캐리어(9)가,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탄성 변형되게 된다. 하중 재하된 유성기어장치(1)가 비하중 재하 상태로 전이되는 즉시, 원심력의 반대 방향으로 지향되는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8)의 반경 방향 변위 및/또는 경동을 야기한다.
도 3에 도시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여기서 축 방향으로 상호 간에 이격된 2개의 롤러(29)를 포함하며, 이들 롤러는 바람직하게는 회전 고정 방식으로 상호 간에 연결된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그러나 단지 하나의 롤러만을 포함하는 변형예 역시도 생각해볼 수 있다.
도 4에는, 스프링 메커니즘(24)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런 경우에, 커플링 부재(25)는 제1 유성 캐리어(9)와 연결되며, 그리고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32)에서 기어 하우징(10) 상에,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7) 상에 안착된다. 커플링 부재(25)는 여기에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부재(2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스프링 부재는 마찬가지로 제1 유성 캐리어(9) 상에 배치되어, 제1 유성 캐리어(9)에 상대적으로 커플링 부재(25)를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밀착한다. 그러나 그 대안으로, 또는 그에 추가로, 커플링 부재(25) 자체가 탄력성 있게 형성될 수 있고, 그리고/또는 오버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따라서, 커플링 부재(25)는 마찬가지로 롤러(29)로서 형성되며, 그리고 제1 유성 캐리어(9)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롤러(29)의 회전 가능한 베어링부는 여기서는 제1 유성 캐리어(9)의 단부면(33) 상에 형성된다. 롤러(29)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부재(26)를 통해, 자신의 회전 가능한 베어링부의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9)에 상대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스프링 하중을 인가받을 수 있다. 그에 추가로, 또는 그 대안으로, 롤러(2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재료로, 특히 탄성 중합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29)는 오버사이즈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롤러는 제1 유성 캐리어(9)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32)에서 탄성 변형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 변형을 통해, 그리고/또는 여기서는 도시되지 않은, 베어링 영역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26)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9)에 가해질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제1 유성 캐리어는, 이 제1 유성 캐리어(9)의 회전속도가 감소하는 경우,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게 되고, 그리고/또는 제2 유성기어단(12)의 영역에 형성된 자신의 지지점을 중심으로 경동되게 된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 따라서, 커플링 부재(25)는 자신의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31)으로도 베어링 축부(34) 상에 안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라서, 커플링 부재(25)는 링 부재(35)로서 형성된다(도 5b 참조). 링 부재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환형 섹션(36)에서, 도 5b에 따라 기어 하우징(10) 상에, 또는 제1 링기어(7) 상에 안착된다. 링 부재(35)는,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37)으로는 베어링 축부(34) 상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간접적으로 제2 선기어(13) 상에 안착된다. 링 부재(35)는 가요성으로, 그리고/또는 탄력성 있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링 부재(35)는 스프링강으로 형성된다. 링 부재(35)는, 자신의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37)의 영역에서, 도 5b에 따라 오목하게 안쪽으로 밀착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링 부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베어링 축부(34) 상에 안착되게 된다. 이런 탄성 변형을 통해, 링 부재(34)는 제1 유성 캐리어(9)에, 상응하는 반경 방향 스프링 힘을 가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1 유성 캐리어는 정지 위치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되게 되고, 그리고/또는 스프링 메커니즘(24)의 작용점에 대해 축 방향으로 변위된 지지점을 중심으로 경동되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제1 유성 캐리어(9)에 가해지는 스프링 힘은, 제1 유성 캐리어(9) 및 제1 선기어(6)뿐만 아니라, 바람직하게는 이들과 연결되는, 다른 유성기어단들(12, 17)의 컴포넌트들 역시도, 유성기어장치(2)의 하중 재하 동안, 각각 변위되고, 그리고/또는 경동된 자신들의 정지 위치에서 여기에 도시된 센터링된 중립 위치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유성기어장치(2)의 모든 기어는 하중 재하 상태에서 자신들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 배치되고 그 결과로서 유성기어장치(2)는 우수한 효율을 보유하는 점이 보장된다.
본 발명은 도시되고 기재되는 실시예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서의 변형예들은, 특징들이 여러 실시예에 도시되고 기재되어 있다고 하더라도, 특징들의 조합과 동일하게 가능하다.
1: 롤 스태빌라이저
2: 유성기어장치
3: 액추에이터
4: 토션바 스프링 부재
5: 제1 유성기어단
6: 제1 선기어
7: 제1 링기어
8: 제1 유성기어
9: 제1 유성 캐리어
10: 기어 하우징
11: 모터 하우징
12: 제2 유성기어단
13: 제2 선기어
14: 제2 링기어
15: 제2 유성기어
16: 제2 유성 캐리어
17: 제3 유성기어단
18: 제3 선기어
19: 제3 링기어
20: 제3 유성기어
21: 제3 유성 캐리어
22: 모터 지지부
23: 토션바 지지부
24: 스프링 메커니즘
25: 커플링 부재
26: 스프링 부재
27: 외주면
28: 압력 핀
29: 롤러
30: 롤링면
31: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
32: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
33: 단부면
34: 베어링 축부
35: 링 부재
36; 반경 방향의 바깥쪽 환형 섹션
37;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
α: 제1 각도
β: 제2 각도

Claims (16)

  1. 하나 이상의 제1 유성기어단(5)을 포함하는, 자동차의 롤 스태빌라이저(1)용 유성기어장치(2)이며, 상기 제1 유성기어단은 제1 선기어(6), 제1 링기어(7), 반경 방향으로 제1 선기어와 제1 링기어 사이에서 치합되는 복수의 제1 유성기어(8), 유격을 가지면서 가용한 유격의 범위에서 반경 방향으로 변위 또는 경동될 수 있는 제1 유성 캐리어(9), 및 소음 감소를 위한 스프링 메커니즘(24)을 포함하는, 상기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적어도 제1 유성 캐리어(9)에 맞물리며, 상기 제1 유성 캐리어를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자신의 센터링된 중립 위치에서 외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시키거나 또는 경동시키며, 그럼으로써 상기 제1 유성 캐리어의 제1 유성기어들(8)은 제1 선기어(6) 또는 제1 링기어(7) 상에 안착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반경 방향의 바깥쪽에서, 제1 링기어(7) 상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3. 제1항 내지 제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커플링 부재(25)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링 부재는 반경 방향의 안쪽 영역에서 제1 유성 캐리어(9)와 연결되거나 또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영역에서 제1 링기어(7)와 연결되며, 또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 인가 방식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25)는 제1 유성 캐리어(9)의 반경 방향의 바깥쪽 외주면(27), 반경 방향의 안쪽 베어링 축부(34) 또는 단부면(33) 상에서 상기 제1 유성 캐리어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25) 자체가 탄력성 있게 형성되거나 또는 스프링 메커니즘(24)이, 커플링 부재(25)에, 반경 방향으로 스프링 하중을 인가하는 스프링 부재(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25)는 압력 핀(28), 롤러(29), 또는 링 부재(35)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압력 핀(28)은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7) 상에 반경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또는 스프링 부재(26)에 의해, 자신의 반경 방향의 안쪽 자유 단부로 제1 유성 캐리어(9) 쪽에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롤러(29)는 제1 유성 캐리어(9) 상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거나 또는 자신의 롤링면(30)으로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32)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7)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롤러(29)는 부동 장착 방식으로 제1 유성 캐리어(9)와 제1 링기어(7) 사이에 배치되며, 그럼으로써 상기 롤러는 유성기어장치(2)가 회전하는 동안 제1 유성 캐리어(9) 및 제1 링기어(7)에 상대적으로 원주방향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롤러(29)는 자신의 롤링면(30)으로 반경 방향의 바깥쪽 접촉 영역(32)에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7) 상에, 그리고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32)에서는 제1 유성 캐리어(9)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롤러(29)는 스프링 부재(26)를 통해 반경 방향에서 바깥쪽으로 밀착되거나 또는 오버사이즈를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상기 롤러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또는 반경 방향의 안쪽 접촉 영역(32)에서 탄성 변형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링 부재(35)는 반경 방향의 바깥쪽 환형 섹션(36)으로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제1 링기어(7) 상에, 그리고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37)으로는 제1 유성 캐리어(9) 상에 안착되거나 또는 상기 반경 방향의 안쪽 환형 섹션(37)의 영역에서 탄력성 있게 안쪽으로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2.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성 캐리어(9)는 자신의 두 축 방향 단부 중 일측의 영역에서, 유성기어장치(2)의 종축에 대해 동축인 자신의 중립 위치와 이 중립 위치에 대해 경동된 정지 위치 사이에서 경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유성 캐리어(9)는 간접적으로 제2 유성기어단(12)을 통해 지지되며,
    제2 유성기어단(12)이 유격 없이 지지되는 제2 유성 캐리어(16)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유성 캐리어(9)가 제2 유성기어단(12)의 제2 선기어(13)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1 선기어(6)는 간접적으로 제3 유성기어단(17)을 통해 지지되며,
    제3 유성기어단(17)이 유격 없이 지지되는 제3 선기어(18)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 선기어(6)가 제3 유성기어단(17)의 제3 유성 캐리어(21)와 회전 고정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 메커니즘(24)은, 유성기어장치(2)의 비하중 재하 상태에서, 제2 선기어(13)와 연결된 제1 유성 캐리어(9)를 제1 각도(α)만큼 경동시키거나 또는 제3 유성 캐리어(21)와 연결된 제1 선기어(6)를 상기 제1 각도의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제2 각도(β)만큼 경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16. 유성기어장치(2)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롤 스태빌라이저(1)에 있어서,
    유성기어장치(2)는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롤 스태빌라이저.
KR1020197027370A 2017-03-23 2018-02-19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KR102463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4932.4 2017-03-23
DE102017204932.4A DE102017204932B4 (de) 2017-03-23 2017-03-23 Planetengetriebe für einen Wankstabilisator mit Federmechanismus
PCT/EP2018/053965 WO2018171993A1 (de) 2017-03-23 2018-02-19 Planetengetriebe für einen wankstabilisator mit federmechanism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7744A KR20190127744A (ko) 2019-11-13
KR102463312B1 true KR102463312B1 (ko) 2022-11-04

Family

ID=61274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7370A KR102463312B1 (ko) 2017-03-23 2018-02-19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463312B1 (ko)
DE (1) DE102017204932B4 (ko)
WO (1) WO201817199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4503A (ko) 2019-10-15 2021-04-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서로 다른 바인더 함량을 갖는 전극 합제 영역을 포함하는 이차전지용 극판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용 전극의 제조방법
DE102021120463A1 (de) 2021-08-06 2023-02-09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engetriebe und Wankstabilisator mit einem solchen Planetengetrieb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4934A1 (en) 2006-02-03 2007-08-09 Princetel, Inc. Anti-backlash planetary gearing for optic rotary joint
JP2007196978A (ja) 2006-01-27 2007-08-09 Mando Corp ギア比変換型操向装置
JP2009058002A (ja) 2007-08-30 2009-03-19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DE102014225290A1 (de) 2014-12-09 2016-06-09 Zf Friedrichshafen Ag Aktives Fahrwer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50169C1 (de) * 1998-10-30 2000-07-27 Heynau Antriebstechnik Gmbh Antriebsaggregat
AU2003300572A1 (en) * 2002-11-29 2004-06-23 Continental Teves Ag And Co. Ohg Quiet, vibration-free superimposed transmission for a superimposed steering system
DE102008009122A1 (de) * 2008-02-14 2009-08-20 Schaeffler Kg Planetengetriebe mit einem speziellen Planetenrad
DE102012207255A1 (de) * 2012-05-02 2013-11-07 Zf Friedrichshafen Ag Spielarmes Planetengetriebe
JP2014101093A (ja) * 2012-11-22 2014-06-05 Delta Kogyo Co Ltd シート調整装置
DE102013221860A1 (de) * 2013-10-28 2015-04-30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Vorgespanntes Planetengetriebe
DE102014205262A1 (de) * 2014-03-20 2015-09-24 Zf Friedrichshafen Ag Aktiver Wankstabilisator für Kraftfahrzeuge
DE102014223019B4 (de) 2014-11-12 2016-10-13 Schaeffler Technologies AG & Co. KG Planetengetriebe
DE102014223472B4 (de) * 2014-11-18 2018-11-29 Zf Friedrichshafen Ag Schwenkmotorgetriebe für ein Wankstabilisierungssystem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96978A (ja) 2006-01-27 2007-08-09 Mando Corp ギア比変換型操向装置
US20070184934A1 (en) 2006-02-03 2007-08-09 Princetel, Inc. Anti-backlash planetary gearing for optic rotary joint
JP2009058002A (ja) 2007-08-30 2009-03-19 Toyota Motor Corp 動力伝達装置
DE102014225290A1 (de) 2014-12-09 2016-06-09 Zf Friedrichshafen Ag Aktives Fahrwerk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1993A1 (de) 2018-09-27
KR20190127744A (ko) 2019-11-13
DE102017204932A1 (de) 2018-09-27
DE102017204932B4 (de) 2018-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36347B (zh) 用于多列车轮式机动车的摆动稳定装置
US7575090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CN107683380B (zh) 用于齿轮传动装置的齿轮
US955051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US9267593B2 (en) Planetary gear with a differential gear
US9321478B2 (en) Electric power steering assembly
US20100319475A1 (en) Helical bevel gear having axial elastic shaft mounting and electrical auxiliary control equipped therewith
US20160089951A1 (en) Active rotary stabilizer and stabilizer bar link assembly for vehicle
KR102463312B1 (ko) 스프링 메커니즘을 포함한 롤 스태빌라이저용 유성기어장치
US10422414B2 (en) Speed reducer
JP2012506005A (ja) 偏心差動式ギアボックス
KR20210030265A (ko) 전기 기계식 액추에이터 및 리어 액슬 스티어링 시스템
JP2016035325A (ja) アクチュエータ
KR102542803B1 (ko) 감속기
MX2013000036A (es) Gato con tornillo para mover un panel movil de un vehiculo.
KR101992998B1 (ko) 하모닉 드라이브
EP3081424B1 (en) Speed reducer
US20210356028A1 (en) Differential gear for a motor vehicle
CN110831838B (zh) 转向传动装置
JP2019537694A (ja) 固定式軸受および操舵伝動装置
US20150143654A1 (en) Wiper System Having Resilient Interface Assembly For Worm-Driven Reduction Gear Motor
US20220371652A1 (en) Bearing assembly
US20200217413A1 (en) Gear for a gear train
JP7461134B2 (ja) 減速機の軸支持構造及びステアリング装置
JP5919773B2 (ja) トロイダル型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