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988B1 -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988B1
KR102462988B1 KR1020210032237A KR20210032237A KR102462988B1 KR 102462988 B1 KR102462988 B1 KR 102462988B1 KR 1020210032237 A KR1020210032237 A KR 1020210032237A KR 20210032237 A KR20210032237 A KR 20210032237A KR 102462988 B1 KR102462988 B1 KR 102462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inlet
separate collection
separated
ty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2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7651A (ko
Inventor
이소현
권혁숙
Original Assignee
이소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현 filed Critical 이소현
Priority to KR10202100322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9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76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76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9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426Housings, cabinets or enclosures for refuse recepta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26Mechanisms for opening or closing, e.g. pedal-op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33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specially adapted for segregated refuse collecting, e.g. receptacles with several compartments; Combination of receptacles
    • B65F1/0053Combination of several receptacles
    • B65F1/006Rigid receptacles stored in an enclosure or forming part of 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4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 B65F1/08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with removable inserts with rigid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65F1/16Lids or covers
    • B65F1/1623Lids or covers with means for assisting the opening or closing thereof, e.g. spr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52Material detec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68Sensing means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에 표시된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제품의 종류를 확인하며, 확인된 제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투입구를 개방하여 올바른 방식의 분리수거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리 투입을 위한 복수 개의 투입구와 각 투입구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분리수거함,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분석부,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라 투입구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개방 신호에 의해 투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Separation collection device using image analysis}
본 발명은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제품에 표시된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분석하여 그 제품의 종류를 확인하며, 확인된 제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투입구를 개방하여 올바른 방식의 분리수거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등 사람이 생활하는 모든 장소로부터 배출되는 쓰레기는 재활용이 가능한 재활용 쓰레기와 재활용이 불가능하여 매립 또는 소각 처리되어야 하는 일반 쓰레기 그리고 음식물 쓰레기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중, 재활용 쓰레기에 대해서는 자원의 낭비를 방지하고,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분리수거가 실시되고 있으나, 재활용 쓰레기의 분류와 분리수거함에의 투입을 각자의 자율에 맡기는 현재의 분리수거 방식으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재활용 쓰레기들이 혼재되거나 일반 쓰레기 등이 혼재되어 수거되는 문제가 상당수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수거된 재활용 쓰레기들에 대한 재활용률을 감소시키고, 재활용 업체들의 수익성을 악화시킴으로써 재활용 쓰레기의 수거 거부, 인력감축, 폐업 등 다른 문제들을 연쇄적으로 발생시키게 되며, 이는 곧 쓰레기 대란 등의 심각한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와 관련하여, 올바른 분리수거를 위한 종래의 발명으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617호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226호의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한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 등의 발명들이 제안되어 공개된 바 있다.
우선,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617호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에는 폐비닐 등 재활용이 기피되는 품목을 포함한 모든 재활용품을 통합하여 분리수거할 수 있도록 하고, 재활용품 배출에 따른 보상이 지급될 수 있도록 하며, 품목별 수거량과 분리수거에 따른 지급액을 통합 집계함으로써 통계자료를 확보함과 동시에 공정한 보상이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226호의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한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에는 영상 처리 기술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투입하고자 하는 재활용품을 종류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투입구 커버의 개방 여부를 자동으로 결정함으로써 재활용 처리가 가능한 품목만이 수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617호의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은 바코드가 표시된 라벨이 제품에 부착된 상태만을 전제로 하므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분리수거 습관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올바른 분리수거 방식에 따라 라벨이 제거된 상태인 재활용품은 그 종류를 판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상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226호의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한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에는 카메라로 촬상된 쓰레기의 영상을 처리하여 그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의 구체적인 실시방안이 기재된 바가 없어 발명의 실효성에 상당한 의문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재활용 쓰레기들이 올바른 방식으로 분리수거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용률의 저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 문제들의 발생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올바른 방식의 분리수거가 생활화 될 수 있도록 하는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발명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617호(2010. 03. 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118226호(2012. 10. 26.)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는 상기와 같은 종래 발명들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발명으로써,
종래의 발명들은, 바코드가 표시된 라벨이 제품에 부착된 상태만을 전제로 하므로 사용자에게 잘못된 분리수거 습관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함과 동시에 올바른 분리수거 방식에 따라 라벨이 제거된 상태인 재활용품은 그 종류를 판별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거나,
카메라로 촬상된 쓰레기의 영상을 처리하여 그 쓰레기의 종류를 판단하기 위한 알고리즘 등의 구체적인 실시방안이 기재된 바가 없어 발명의 실효성에 상당한 의문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고자,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리 투입을 위한 복수 개의 투입구와 각 투입구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분리수거함;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분석부;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라 투입구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 및, 상기 개방 신호에 의해 투입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를 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는,
촬영부에 의한 영상 정보의 생성과 분석부에 의한 영상 정보의 분석을 기반으로 재활용 쓰레기들이 올바른 방식으로 분리수거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재활용률의 저하와 그에 따른 다양한 사회 문제들의 발생이 사전에 방지될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촬영부에 의한 영상 정보의 생성 과정에 사용자가 관여하도록 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표시된 재활용 마크를 항상 확인하는 습관이 들게 함으로써 올바른 방식의 분리수거가 생활화 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의 외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의 작동을 위한 분리수거함 내부의 구성요소들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생성부의 개방 신호에 의해 복수 개의 투입구 중 어느 하나가 개방되는 순서를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표준화된 재활용 마크를 나타낸 참고도.
도 5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재활용 마크의 개수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의 추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의 분리수거함에 인공지능부가 부가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리 투입을 위한 복수 개의 투입구(101)와 각 투입구(101)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분리수거함(100);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110);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분석부(120);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라 투입구(101)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130); 및, 상기 개방 신호에 의해 투입구(10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우선, 도 1에 도시된 상기 분리수거함(100)은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분리수거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되는 장치이며, 아파트 단지나 주택가, 학교나 회사 등의 지정되거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어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누구에게나 사용이 허락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수거함(100)을 이용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분리수거를 실시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분리수거함(100)의 일측에 구비된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분리수거의 실시를 입력할 수 있으며, 다시 버튼이나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분리수거의 종료를 입력할 수 있다.
이때,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분리수거하여 재활용 쓰레기를 처리함과 동시에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을 얻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외부 일측에 표시되거나 부착되는 등록용 QR 코드를 이용하는 등의 방식으로 특정의 웹 페이지에 업로드된 사용자 앱을 자신의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하고 설치 및 실행하여 회원가입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분리수거할 때마다 분리수거함(100)의 외부 일측에 표시되거나 부착되는 인증용 QR 코드(102)를 이용하여 자신의 계정에 소정의 보상이 적립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용자 앱이 설치 및 실행된 상태로 촬영된 인증용 QR 코드(102)를 인식하여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이 적립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사용자가 적립된 보상을 확인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외부 측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기(200)의 이용을 위한 등록용 QR 코드와 인증용 QR 코드(102)가 구분되게 표시되거나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사용자에게 지급되는 보상은 금액이나 포인트 등의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지급되는 보상의 형태에 따라 자신의 계정에 적립된 금액을 은행이나 증권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자신의 계정에 적립된 포인트를 그에 대응하는 금액으로 교환하거나 지역화폐로 교환할 수 있으며, 물품의 구매를 위한 할인권이나 물품으로 교환 가능한 교환권 등으로 교환할 수 있다.
즉,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의 수령과 보상의 종류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것이며, 사용자는 서로 다른 위치에 설치된 다수의 분리수거함(100)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와 각각의 분리수거함(100)에 표시되거나 부착되는 인증용 QR 코드(102)를 이용함으로써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을 지급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외부 일측에는 등록용 QR 코드와 인증용 QR 코드(102)의 이용을 안내하고, 분리수거를 위한 절차를 안내하며, 분리수거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와 대응방안을 안내하는 등의 다양한 안내 멘트를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리수거함(100)에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재활용률 향상을 위해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리 투입을 위한 복수 개의 투입구(101)와 각 투입구(101)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대한 상세한 구조는 다음과 같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수거함(100)에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110)가 구비되고, 종이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제1 투입구, 유리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제2 투입구, 철캔이나 알루미늄캔 등 캔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제3 투입구, 플라스틱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제4 투입구 그리고 비닐류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제5 투입구 등 복수 개의 투입구(101)가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투입구(101)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촬영부(110) 내부의 카메라는 일측에 하나가 고정 설치되어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표시된 재활용 마크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카메라가 여러 방향으로 고정 설치됨으로써 투입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자세에 관계없이 어느 방향에서나 재활용 마크를 촬영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연계되어, 상기 촬영부(110)의 내부에는 그 내부에 투입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표시된 재활용 마크가 선명하게 촬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촬영부(110) 내부의 물체를 감지하게 되면 자동으로 발광하는 센서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수거함(100)에는 HDPE 재질 뚜껑의 투입을 위한 제6 투입구와 철 재질 뚜껑의 투입을 위한 제7 투입구가 상기 제1 내지 제5 투입구와는 다른 형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투입구(101)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촬영부(110)는 다양한 크기의 제품이 충분히 투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개방 또는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내지 제5 투입구는 다양한 크기의 제품이 충분히 투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개폐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6 투입구와 상기 제7 투입구는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뚜껑이 투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진 개방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분리수거함(100)에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사용자는 상기 촬영부(110)에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투입함으로써 제1 내지 제5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101)만이 개방되도록 할 수 있고, 촬영부(110)로부터 그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꺼내어 개방된 투입구(101)에 투입할 수 있으며, 제6 투입구 또는 제7 투입구 중 어느 하나의 투입구(101)에 그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뚜껑을 투입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6 투입구의 입구 측에는 철 재질 뚜껑의 투입을 제한하기 위한 자성체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자성체는 사용자의 실수 등에 의해 잘못 투입되는 철 재질 뚜껑이 자력에 의해 부착되어 제6 투입구의 입구 측에 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 또는 이후의 다른 사용자가 그 철 재질 뚜껑을 제7 투입구에 올바르게 투입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즉, 상기 자성체는 원통형 또는 다각형의 몸체와 플렌지 형태의 머리로 구성되어 몸체가 상기 제6 투입구의 내부로 삽입되는 형태로 분리수거함(100)에 설치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러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후,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하부에 형성된 저장실이나 그 저장실에 구비된 수거통에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이 종류에 따라 쌓이게 됨으로써 이후의 처리 과정을 위해 후면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각 투입구에 하나씩 대응되는 복수 개의 저장실로 구분되게 구비될 수 있으나, 하나의 저장실에 각 투입구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라인이 형성되어 분리수거 대상 제품이 종류별로 구분되게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한 각 투입구(101)들의 넘버링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설정 및 지정한 것이므로 상기 분리수거함(100)에는 복수 개의 투입구(101)가 사용상의 편의와 사용빈도 등에 따라 다양한 순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한 예보다 더 많은 수의 투입구(101)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분리수거함(100)에는 종이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종이 제품 투입구, 유리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유리 제품 투입구, 철캔이나 알루미늄캔 등 캔 제품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캔 제품 투입구, 비닐류의 투입을 위한 개폐 구조의 비닐류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고, 플라스틱 제품을 세분화된 분류에 따라 투입하기 위한 복수 개의 플라스틱 제품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으며, HDPE 재질 뚜껑의 투입을 위한 HDPE 뚜껑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고, 철 재질 뚜껑의 투입을 위한 철 뚜껑 투입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함(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투입구(101) 중 촬영부에 투입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투입구(101)만이 개방되는 구성의 실현을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수거함(100)의 내부에는 상기 촬영부(11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120)와 투입구(101)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130) 그리고 개방에 신호에 의해 투입구(10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부(12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재활용 마크를 분석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가 확인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생성부(130)는 분리수거함(100)에 구비된 복수 개의 투입구(101) 중 상기 분석부(120)에 의해 확인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대응하는 투입구(101)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분리수거함(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투입구(101) 중 상기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개방 신호에 대응하는 투입구(101)만을 개방함으로써 분리수거 대상 제품이 올바르게 분리수거 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분석부(120)에 의한 분석이 대상이 되는 재활용 마크는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표준화된 것으로써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본체에 직접 표시되는 것과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부착된 라벨에 표시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석부(120)는 영상 정보에 복수 개의 재활용 마크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영상 정보의 분석을 중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석부(120)에 의한 영상 정보의 분석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생성부(130)가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대신 오류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분리수거 대상 제품과 라벨의 분리를 안내하는 등 올바른 분리수거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터치스크린 또는 스피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통해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분석부(120)는 영상 정보에 재활용 마크가 포함되어 있지 않거나 영상 정보에 포함된 재활용 마크의 인식이 불가한 경우에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표시된 재활용 마크가 촬영부(110)의 바닥을 향하지 않도록 안내하거나 그 제품이 분리수거의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 사실을 안내하거나 제품이나 라벨 표면의 이물질 제거를 안내하는 등 올바른 분리수거 절차를 안내하기 위한 안내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내부에는 저장실에 쌓인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가 포함된 중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150)와 상기 중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160)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통신부(160)에서 전송되는 중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외부의 관리 서버(30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분리수거함(100)은 아파트 단지나 주택가, 학교나 회사 등의 지정되거나 임의의 장소에 설치되어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분리수거하고자 하는 누구에게나 사용이 허락될 수 있는 것이므로, 설치된 장소에 따라 상당한 사용량이 발생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측정부(150)의 구성을 적용하여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내부에 수거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중량이 사용자에 의한 분리수거가 발생할 때마다 측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측정에 의한 중량 데이터는 통신부(160)에 의해 외부의 관리 서버(300)로 전송되어 관리자에 의해 모니터링됨으로써 수거 등의 관리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관리 서버(300)의 관리자는 관리 서버(300)에 의한 모니터링 결과를 이용하여 분리수거함(100)의 내부에 수거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을 외부로 반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관리 서버(300)는 통신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중량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 중량 데이터에 포함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와 수거된 중량을 기준으로 보상을 산정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계정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에 인증용 QR 코드(102)를 인식시킴으로써 자신의 계정에 보상이 적립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제공된 보상을 확인 및 이용할 수 있음은 상기한 바 있다.
또한,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내부에는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작동을 위해 구비되는 배터리의 충전량을 측정하여 충전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배터리 관리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관리 서버(300)는 상기 통신부(160)로부터 전송되는 충전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배터리의 충전량이 모니터링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관리자에 의한 관리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재활용 마크와 함께 촬영되어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형상을 학습하고,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촬영부(110)에 투입되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은 재활용 마크가 온전하게 표시된 상태임이 바람직하나, 사용중 재활용 마크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러한 이유로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대한 분리수거가 거부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인공지능부(170)가 재활용 마크가 온전하게 표시된 상태로 분리수거되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형상 그리고 색상 등의 다른 특징들을 지속적으로 학습하도록 함으로써 이후 재활용 마크에 손상이 발생한 상태로 촬영부(110)에 투입된 분리수거 대상 제품에 대한 올바른 분류가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인공지능부(170)에는 기계학습 엔진인 구글의 텐서플로(tensor flow) 등 공지의 오픈 소스가 적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위에서 소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써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도면에서 생략하였으며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의 폭, 길이,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어 표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100 : 분리수거함 → 101 : 투입구
→ 102 : 인증용 QR 코드
→ 110 : 촬영부
→ 120 : 분석부
→ 130 : 생성부
→ 140 : 제어부
→ 150 : 측정부
→ 160 : 통신부
→ 170 : 인공지능부
200 : 사용자 단말기
300 : 관리 서버

Claims (5)

  1.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른 분리 투입을 위한 복수 개의 투입구(101)와 각 투입구(101)에 연결되는 저장실이 구비되는 분리수거함(100);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재활용 마크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촬영부(110);
    상기 영상 정보를 분석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분석부(120);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에 따라 투입구(101)의 개방을 위한 개방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부(130); 및,
    상기 개방 신호에 의해 투입구(101)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1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분리수거함(10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투입구(101) 중 HDPE 재질 뚜껑의 투입을 위한 투입구(101)의 입구 측에는 철 재질 뚜껑의 투입을 제한하기 위한 자성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외부 일측에 표시되거나 부착되는 인증용 QR 코드(102); 및,
    사용자 앱이 설치 및 실행된 상태로 촬영된 상기 인증용 QR 코드(102)를 인식하여 분리수거에 따른 보상이 적립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적립된 보상을 확인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 단말기(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수거함(100) 내부의 저장실에 쌓인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총 중량을 측정하여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가 포함된 중량 데이터를 생성하는 측정부(150);
    상기 중량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하는 통신부(160); 및,
    상기 중량 데이터를 수신하여 상기 분리수거함(100)의 상태를 모니터링하고, 보상을 산정하여 사용자가 등록한 계정으로 제공하는 외부의 관리 서버(3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재활용 마크와 함께 촬영되어 영상 정보에 포함되는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형상을 학습하고, 학습된 내용을 기반으로 분리수거 대상 제품의 종류를 판단하는 인공지능부(1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5. 삭제
KR1020210032237A 2021-03-11 2021-03-11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KR102462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237A KR102462988B1 (ko) 2021-03-11 2021-03-11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237A KR102462988B1 (ko) 2021-03-11 2021-03-11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651A KR20220127651A (ko) 2022-09-20
KR102462988B1 true KR102462988B1 (ko) 2022-11-03

Family

ID=83446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237A KR102462988B1 (ko) 2021-03-11 2021-03-11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98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5170B1 (ko) * 2022-09-21 2023-03-29 디고랩스 주식회사 스마트 빈 및 그 스마트 빈을 포함하는 관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
KR102574655B1 (ko) * 2023-03-10 2023-09-11 (주)에코센트레 분리수거 장치 및 이에 기반한 재활용품 선순환 시스템
KR102614698B1 (ko) * 2023-05-25 2023-12-14 김경진 재활용 분리 수거 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6617B1 (ko) 2009-12-11 2010-03-09 탑랭커 주식회사 재활용 통합 분리수거 시스템
KR20120118226A (ko) 2011-04-18 2012-10-26 윤원섭 영상 처리 기술을 적용한 쓰레기 분리 수거 장치
KR101873540B1 (ko) * 2016-08-29 2018-07-03 배응준 재활용품 회수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재활용품 회수 방법
KR102208500B1 (ko) * 2018-12-06 2021-01-27 문종민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7651A (ko) 2022-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2988B1 (ko) 영상분석을 이용하는 분리수거 장치
EP3460765A1 (en) Banknote management method and system
CN110745407A (zh) 一种公共垃圾分类回收系统
CN109230031A (zh) 垃圾分类回收系统
CN110555957A (zh) 一种智能取款设备及其方法
KR102208500B1 (ko) 스마트 쓰레기통, 스마트 쓰레기통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102222177B1 (ko) Ai를 활용한 재활용 분류 시스템
CN113111769A (zh) 垃圾违规投放行为监控方法、装置和计算机设备
KR102265969B1 (ko) 스마트 분리수거 장치
CN103177503A (zh) 纸币操作装置及现金自动交易装置
KR20220091227A (ko) 재활용 회수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리워드 포인트 지급 방법
CN113255804A (zh) 基于图像变化检测的垃圾溯源方法、装置
CN107862685A (zh) 一种人工智能学习和识别蓝牙钱箱纸币张数的系统和方法
KR102462984B1 (ko) 영상 분석을 이용하는 플라스틱 재활용품 분리수거 장치
CN104050752A (zh) 纸张类处理方法及纸张类处理系统
KR101412741B1 (ko) 무단투기방지 기능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113537877A (zh) 一种基于区块链的固体废物管理控制系统
CN104063943A (zh) 一种现金自动交易装置
CN108230534B (zh) 用于atm设备的纸币识别方法、装置、atm设备和存储介质
WO2021205585A1 (ja) ごみ分別支援システム
KR20230043516A (ko) 사용자에게 리워드를 지급처리하는 자동화된 다회용 컵 회수 시스템
KR20230043518A (ko) 다회용 컵 유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회용 컵 회수 관리 시스템
KR20230043519A (ko) 다회용 컵 회수 재공급 서비스 시스템의 동작방법
KR20090000245A (ko) 쓰레기 자동식별용 분리수거장치 및 분리수거방법
CN206370118U (zh) 一种公交车钱币自动识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