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591B1 -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591B1
KR102462591B1 KR1020210000162A KR20210000162A KR102462591B1 KR 102462591 B1 KR102462591 B1 KR 102462591B1 KR 1020210000162 A KR1020210000162 A KR 1020210000162A KR 20210000162 A KR20210000162 A KR 20210000162A KR 102462591 B1 KR102462591 B1 KR 1024625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vision system
cutting
cutting material
s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0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98439A (ko
Inventor
최우혁
이재량
Original Assignee
(주) 엠엔비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엠엔비젼 filed Critical (주) 엠엔비젼
Priority to KR1020210000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591B1/ko
Publication of KR20220098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984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5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5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9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 G01N21/892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in moving material, e.g. running paper or textiles characterised by the flaw, defect or object feature examined
    • G01N21/898Irregularities in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textiles, woo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G01N2021/8809Adjustment for highlighting flaw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54Grading and classifying of flaws
    • G01N2021/8858Flaw coun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51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 G01N2021/8887Scan or imag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scan signal adjustment, for detecting different kinds of defects, for compensating for structures, markings, edges based on image processing techniq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은 재단물을 붙잡아 이동시키는 로봇이 2개 이상의 재단물을 재단물 로드판에 올려놓되 2개 이상의 재단물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단물 로드판 위에 놓여진 2개 이상의 재단물을 동시 촬영하는 단계, 비전 시스템이 촬영 영상 내 2개 이상의 재단물의 위치를 검출하고 어느 1개의 재단물을 기준 재단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재단물 위에 나머지 재단물을 겹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을 2회 이상 촬영하고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통해 이동되는 박음질 기계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을 바느질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2개 이상의 재단물을 비전 스테이지(Vision Stage)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비전 스테이지 위에 놓인 재단물을 촬영하여 전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전 시스템이 취득된 봉제선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위치와 단선 여부를 검사하여 바느질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Sewing line automatic inspection method using vision system}
본 발명은 재단물을 자동 봉제하고 봉제품의 봉제선 불량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할 수 있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재의 의류·봉제 산업은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개성화·고급화·다양화·단싸이클화하고 있는 가운데 고부가가치 상품, 차별화된 상품의 개발 및 전개가 가일층 요구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상황에서 상품을 안정적으로 빨리 공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태리, 서독, 일본 등 봉제 선진국에서는 섬유 소재 및 봉제 생산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고도의 기술력으로 제품을 고급화시키고 있으며, 생산 공정의 자동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원단에서 완제품 출하까지의 물류를 자동화·합리화함으로써 소비자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다품종 소롯트 단납기 생산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반면, 중국이나, 동남아 등 후발 개발도상 국가에서는 저임금의 풍부한 노동력을 바탕으로 봉제 산업을 국가적 산업으로 육성하면서 중저가 제품 분야에서 국내 봉제업체의 가격 경쟁력을 초월하여 국제적 가격 경쟁력을 이미 갖추고 있는 실정이며, 품질 면에서도 우리 봉제 업체 수준을 무섭게 추격해 오고 있다.
국내 봉제 산업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왔으나, 1988년을 정점으로 생산성을 초월한 급격한 인건비 상승 등으로 국제적 가격 경쟁력이 저하되어 수출은 지속적으로 하향 곡선을 그리고 있음은 물론이고 오히려 마이너스 성장을 하고 있다.
또한, 해외 생산에 의한 중국, 동남아 국가 등으로부터의 수입도 급증하고 이들 국가의 품질 수준도 계속 향상되고 있으며, 이태리를 비롯한 유럽으로부터의 고감도, 고급품의 수입도 붐을 형성하여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긴박한 상황 속에서도 국내의 봉제 기술 수준은 오랜 역사에 반해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와 연구 개발 전문 인력의 부족, 영세성 등으로 선진국에 비해 크게 뒤쳐져 있으며, 생산기술 또한 자체적으로 정립되거나 개발되지 못하고 외국 기술을 모방하거나 외국 설비 도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현재 재단물의 봉제 상태를 검사하는 방법은 대부분 사람의 육안 검사에 의존하고 있어, 생산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사람에 따라 검사 기준이 달라 박음질 간격이나 박음질 횟수가 균일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는 출원번호 "10-2018-0026532"호의 "봉제선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 장치"가 출원되어 등록되었는데, 상기 봉제선 검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 장치는 재봉 장치의 노루발과 바늘판 사이에서 배출되는 원피의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영상부와, 추출된 상기 이미지를 분석하고 결함 여부를 판별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와 연결되어 있고 결함으로 판단되면 작업자에게 알리는 알림부, 및 상기 재봉 장치가 설치된 작업대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영상부가 설치된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거치대의 일측은 상기 작업대에 고정되고, 상기 영상부가 설치된 타측은 상기 재봉 장치의 머리 주변에 위치하여 재봉 본체의 머리와 떨어져 있고, 상기 알림부는 적어도 하나의 발광부, 음향 출력부,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968168" (2019.08.13)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요구 사항을 충족하기 위하여 자동 봉제 시스템을 활용하여 재단물을 자동 봉제함으로써 봉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봉제품에 대한 봉제선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함으로써 봉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봉제 상태가 균일한 봉제품을 얻을 수 있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은 재단물을 붙잡아 이동시키는 로봇이 2개 이상의 재단물을 재단물 로드판에 올려놓되 2개 이상의 재단물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재단물 로드판 위에 놓여진 2개 이상의 재단물을 동시 촬영하는 단계, 비전 시스템이 촬영 영상 내 2개 이상의 재단물의 위치를 검출하고 어느 1개의 재단물을 기준 재단물로 지정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재단물 위에 나머지 재단물을 겹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을 2회 이상 촬영하고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통해 이동되는 박음질 기계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을 바느질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2개 이상의 재단물을 비전 스테이지(Vision Stage)로 이동시키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를 이용하여 상기 비전 스테이지 위에 놓인 재단물을 촬영하여 전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전 시스템이 취득된 봉제선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위치와 단선 여부를 검사하여 바느질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은 재단물을 자동 봉제함으로써 봉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봉제품에 대한 봉제선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함으로써 봉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봉제 상태가 균일한 봉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봉제품을 안정적으로 빨리 공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봉제품 생산 공정의 자동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재단물에서 봉제품 완성까지의 공정을 자동화 합리화함으로써 소비자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도면 1은 본 발명의 플로우 챠트,
도면 2는 본 발명의 개념도,
도면 3은 기준 재단물 위에 나머지 재단물을 겹치기 위한 순서도,
도면 4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과 상기 재단물에 대한 2D 도면을 매칭시킨 상태도,
도면 5는 차영상을 이용하여 봉제선 이미지를 취득하는 개략도,
도면 6은 배경 영상과 전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구한 다음 차영상으로부터 봉제선을 검출하는 절차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은 도면 1 내지 도면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단물(3)을 붙잡아 이동시키는 로봇이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재단물 로드판(2)에 올려놓되 2개 이상의 재단물(3)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S1);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상기 재단물 로드판(2) 위에 놓여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동시 촬영하는 단계(S2); 비전 시스템이 촬영 영상 내 2개 이상의 재단물(3)의 위치를 검출하고 어느 1개의 재단물(3)을 기준 재단물(FO)로 지정하는 단계(S3); 상기 비전 시스템이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을 겹치는 단계(S4);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2회 이상 촬영하고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5);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통해 이동되는 박음질 기계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바느질하는 단계(S6);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비전 스테이지(Vision Stage)로 이동시키는 단계(S7);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상기 비전 스테이지 위에 놓인 재단물(3)을 촬영하여 전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8);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 및 상기 비전 시스템이 취득된 봉제선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위치와 단선 여부를 검사하여 바느질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S10)를 포함한다.
상기 로봇은 공기압을 이용한 흡착 방식이나 정전기 방식의 그리퍼(Gripper)를 이용하여 재단물(3)을 들어올릴 수 있다.
상기 비전 시스템이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을 겹치는 단계(S4)는 도면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비전 시스템이 재단물(3)에 대한 2D 도면(4)이 저장된 2D 도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촬영 영상 내 2개 이상의 재단물(3)과 맞대응되는 2D 도면(4)을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2D 도면(4)이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과 포개어지도록 상기 2D 도면(4)과 촬영 영상 내 재단물(3)을 매칭(matching)시키는 단계; 촬영 영상 내 각 재단물(3)을 각 재단물(3)과 매칭(matching)된 2D 도면(4)으로 대체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촬영 영상 내 각 재단물(3)과 매칭된 2D 도면(4)을 이용하여 고정된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이 겹쳐지도록 기준 재단물(FO)을 제외한 나머지 재단물(MO)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 그리고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이동 방향 및 이동량 그리고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재단물(3)을 물어잡아 이동시키는 로봇을 제어하여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호출된 2D 도면(4)이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과 포개어지도록 상기 2D 도면(4)과 촬영 영상 내 재단물(3)을 매칭(matching)시키는 단계는 도면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2D 도면(4) 그리고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의 질량 중심 좌표(CP)를 산출하는 단계와; 상기 2D 도면(4)과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로부터 엣지(Edge) 부분을 각각 검출하고 검출된 엣지에서 직선 부분과 직선 부분이 만나는 특징점과 곡선 부분에서 곡선 위 위치가 서로 다른 2개의 점에 대한 2개의 접선이 이루는 내각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2D 도면(4)의 질량 중심 좌표(CP)와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의 질량 중심 좌표(CP)를 일치시키는 단계; 및 일치된 상기 질량 중심 좌표(CP)를 중심으로 상기 2D 도면(4)을 회전시켜 상기 2D 도면(4)과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로부터 추출된 특징점과 내각이 서로 맞대응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2D 도면(4)과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을 매칭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2회 이상 촬영하고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5)는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기 전 각 촬영 영상의 이미지 노이즈를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각 촬영 영상의 이미지 노이즈를 제거하는 방법으로는 가우시안 블러(Gaussian Blur) 필터링 기법을 이용한다.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2회 이상 촬영하고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이유로는 상기 재단물(3) 촬영 장소의 밝기 변화와 상기 재단물(3) 촬영 장소에 설치된 LED 또는 형광등 주파수, 카메라(1) 노출 값의 타이밍 차이에 따른 플리커(Flicker) 현상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는 도면 5 내지 도면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경 영상 내 재단물(3)의 픽셀 좌표와 상기 전경 영상 내 재단물(3)의 픽셀 좌표를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경 영상과 전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1차 획득하는 단계, 상기 1차 획득된 차영상을 이진화시켜 이진화 영상(Binary Image)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봉제선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배경 영상과 전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1차 획득하는 단계는
Figure 112021000167102-pat00001
을 이용한다.
여기서,
상기
Figure 112021000167102-pat00002
는 차영상 내 (x,y) 픽셀 좌표의 명도값이고,
상기
Figure 112021000167102-pat00003
는 전경 영상 내 (x,y) 픽셀 좌표의 명도값이며,
상기
Figure 112021000167102-pat00004
는 배경 영상 내 (x,y) 픽셀 좌표의 명도값이다.
상기 1차 획득된 차영상을 이진화시켜 이진화 영상(Binary Image)을 생성하는 단계는 1차 획득된 차영상의 각 픽셀 좌표별 명도값이 임계치 'T'를 초과하면, 1차 획득된 차영상의 각 픽셀 좌표별 명도값을 '0'으로 설정하는 한편, 1차 획득된 차영상의 각 픽셀 좌표별 명도값이 임계치 'T' 이하이면, 1차 획득된 차영상의 각 픽셀 좌표별 명도값을 이진수 '1'로 설정한다.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는 상기 이진화 영상에 모폴로지 연산 중 이미지 침식 또는 닫힘 연산을 수행하여 이진화 영상에 남아있는 영상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는 영상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이진화 영상에 모폴로지 연산 중 이미지 확장 또는 열림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 침식 또는 닫힘 연산에 의해 끊어진 봉제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은 재단물(3)을 자동 봉제함으로써 봉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비전 시스템을 이용하여 봉제품에 대한 봉제선 상태를 자동으로 검사함으로써 봉제품에 대한 생산성을 높임과 동시에 봉제 상태가 균일한 봉제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봉제품을 안정적으로 빨리 공급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할 수 있다.
또, 봉제품 생산 공정의 자동화에 의한 생산성 향상과 재단물에서 봉제품 완성까지의 공정을 자동화 합리화함으로써 소비자 수요에 즉각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1. 카메라 2. 재단물 로드판
3. 재단물 4. 2D 도면
CP. 질량 중심 좌표 FO. 기준 재단물
MO. 나머지 재단물

Claims (5)

  1. 재단물(3)을 붙잡아 이동시키는 로봇이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재단물 로드판(2)에 올려놓되 2개 이상의 재단물(3)이 서로 겹쳐지지 않도록 하는 단계와(S1);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상기 재단물 로드판(2) 위에 놓여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동시 촬영하는 단계(S2);
    상기 비전 시스템이 촬영 영상 내 2개 이상의 재단물(3)의 위치를 검출하고 어느 1개의 재단물(3)을 기준 재단물(FO)로 지정하는 단계(S3);
    상기 비전 시스템이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을 겹치는 단계(S4);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2회 이상 촬영하고 각 촬영 영상을 합성하여 배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5);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통해 이동되는 박음질 기계를 이용하여 겹쳐진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바느질하는 단계(S6);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로봇을 이용하여 바느질을 통해 일체로 결합된 2개 이상의 재단물(3)을 비전 스테이지(Vision Stage)로 이동시키는 단계(S7);
    상기 비전 시스템이 카메라(1)를 이용하여 상기 비전 스테이지 위에 놓인 재단물(3)을 촬영하여 전경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S8);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
    및 상기 비전 시스템이 취득된 봉제선 이미지에서 봉제선의 위치와 단선 여부를 검사하여 바느질 불량 상태를 검사하는 단계(S10)를 포함하고,
    상기 비전 시스템이 로봇을 이용하여 상기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을 겹치는 단계(S4)는,
    상기 비전 시스템이 재단물(3)에 대한 2D 도면(4)이 저장된 2D 도면 데이터 베이스에서 상기 촬영 영상 내 2개 이상의 재단물(3)과 맞대응되는 2D 도면(4)을 호출하는 단계와,
    호출된 2D 도면(4)이 상기 2D 도면(4)과 맞대응되는 촬영 영상 내 재단물(3)과 포개어지도록 상기 2D 도면(4)과 촬영 영상 내 재단물(3)을 매칭(matching)시키는 단계,
    촬영 영상 내 각 재단물(3)을 각 재단물(3)과 매칭(matching)된 2D 도면(4)으로 대체하는 단계,
    상기 비전 시스템이 촬영 영상 내 각 재단물(3)과 매칭된 2D 도면(4)을 이용하여 고정된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이 겹쳐지도록 기준 재단물(FO)을 제외한 나머지 재단물(MO)의 이동 방향 및 이동량 그리고 회전 각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이동 방향 및 이동량 그리고 회전 각도를 이용하여 재단물(3)을 물어잡아 이동시키는 로봇을 제어하여 기준 재단물(FO) 위에 나머지 재단물(MO)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는,
    상기 배경 영상 내 재단물(3)의 픽셀 좌표와 상기 전경 영상 내 재단물(3)의 픽셀 좌표를 일치시키는 단계와;
    상기 배경 영상과 전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1차 획득하는 단계;
    상기 1차 획득된 차영상을 이진화시켜 이진화 영상(Binary Image)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화 영상으로부터 봉제선을 검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는,
    상기 이진화 영상에 모폴로지 연산 중 이미지 침식 또는 닫힘 연산을 수행하여 이진화 영상에 남아있는 영상 노이즈 성분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비전 시스템이 상기 전경 영상과 배경 영상으로부터 차영상을 획득하여 전경 영상 내 봉제선 이미지를 추출하는 단계(S9)는,
    영상 노이즈 성분이 제거된 이진화 영상에 모폴로지 연산 중 이미지 확장 또는 열림 연산을 수행하여 상기 이미지 침식 또는 닫힘 연산에 의해 끊어진 봉제선을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KR1020210000162A 2021-01-04 2021-01-04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KR1024625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62A KR102462591B1 (ko) 2021-01-04 2021-01-04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0162A KR102462591B1 (ko) 2021-01-04 2021-01-04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439A KR20220098439A (ko) 2022-07-12
KR102462591B1 true KR102462591B1 (ko) 2022-11-03

Family

ID=82420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0162A KR102462591B1 (ko) 2021-01-04 2021-01-04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25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1302B1 (ko) * 2022-12-12 2023-07-28 주식회사 태봄 강화된 품질 검수를 통한 의류 물류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290B1 (ko) * 2012-06-27 2012-11-2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직물패턴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품질검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03672B1 (ko) * 2014-01-23 2017-11-3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 부품의 자동 조립 및 바느질
CN108389206A (zh) 2018-04-27 2018-08-10 华中科技大学 一种评价缝纫设备缝纫效果的装置及方法
CN109239076A (zh) 2018-08-29 2019-01-18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缝纫线迹缺陷检测方法
JP6767432B2 (ja) * 2018-06-11 2020-10-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縫い目検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168B1 (ko) 2018-03-06 2019-08-13 코오롱글로텍주식회사 봉제선 검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재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290B1 (ko) * 2012-06-27 2012-11-29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직물패턴 알고리즘 적용을 통한 품질검사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03672B1 (ko) * 2014-01-23 2017-11-30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신발 부품의 자동 조립 및 바느질
CN108389206A (zh) 2018-04-27 2018-08-10 华中科技大学 一种评价缝纫设备缝纫效果的装置及方法
JP6767432B2 (ja) * 2018-06-11 2020-10-14 ファナック株式会社 縫い目検査装置
CN109239076A (zh) 2018-08-29 2019-01-18 西安理工大学 一种基于机器视觉的缝纫线迹缺陷检测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98439A (ko) 2022-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872487B (zh) 一种基于视觉的表面瑕疵检测方法及装置
CN113243597B (zh) 一种服装智能制作系统及其制作方法
CN107895362B (zh) 一种微型接线端子质量检测的机器视觉方法
CN110044910A (zh) 一种汽车置杯盒零部件检测系统及检测方法
CN110838149B (zh) 一种相机光源自动配置方法及系统
CN107884413A (zh) 一种自动检测轴承滚动体缺失的装置及检测方法
CN106706656A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拉链检测装置及方法
KR102462591B1 (ko) 비전 시스템을 이용한 봉제선 자동 검사 방법
CN113506255B (zh) 一种基于高精度数字图像的服装缝线疵点自动检测方法
CN115953397B (zh) 一种圆锥轴承保持器的工艺制备流程的监测方法及设备
CN109324056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缝纫线迹测量方法
CN207081666U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拉链检测装置
CN111005163A (zh) 皮料自动缝纫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189005B (zh) 便携式表面缺陷一体化检测装置及表面缺陷自动检测方法
CN110596118A (zh) 印刷图案检测方法及印刷图案检测装置
CN105548210B (zh) 基于机器视觉的美标电源延长线的检测方法
KR102547281B1 (ko) 재봉 경로 생성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갖는 자동 봉제기
CN116681664A (zh) 一种用于冲压设备作业的检测方法及装置
CN107564001B (zh) 一种基于凹点搜索的磁片缺角检测方法
CN115254667A (zh) 一种手机框辅料项缺陷检测设备及方法
WO1992003721A1 (en) Inspecting garments
CN108037141A (zh) 一种透析管瑕疵自动检测系统
JP2850222B2 (ja) キルティング方法
KR101537552B1 (ko) 4분원 이미지 처리기법을 이용한 Type-I 원사 패키지 권취불량의 자동검출 장치 및 방법
CN108171691B (zh) 一种塑料容器的检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