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2446B1 -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2446B1
KR102462446B1 KR1020210045936A KR20210045936A KR102462446B1 KR 102462446 B1 KR102462446 B1 KR 102462446B1 KR 1020210045936 A KR1020210045936 A KR 1020210045936A KR 20210045936 A KR20210045936 A KR 20210045936A KR 102462446 B1 KR102462446 B1 KR 102462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seat
charging
rail
connec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682A (ko
Inventor
허재명
장원호
이동준
임종호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5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2446B1/ko
Priority to PCT/KR2022/002276 priority patent/WO2022215855A1/ko
Publication of KR20220139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6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2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2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0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 B60R2011/000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position inside the vehicle
    • B60R2011/0012Seats or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3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integrated articles, i.e. not substantially protruding from the surround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지 모드시 접속 헤드를 레일 또는 버스 바에 접촉시키고, 동작 모드시 접속 헤드를 레일 또는 버스 바로부터 이격시켜서 주행시 부품간 마찰을 크게 줄일 수 있게 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시트;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차량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이동 장치;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Seat apparatus including built-in battery, seat system and its charging method}
본 발명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지 모드시 접속 헤드를 레일 또는 버스 바에 접촉시키고, 동작 모드시 접속 헤드를 레일 또는 버스 바로부터 이격시켜서 주행시 부품간 마찰을 크게 줄일 수 있게 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롱 슬라이드 장치는, 차량 시트를 전진시키거나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막대 형상의 로워 레일 및 일측에 시트 프레임이 고정되고, 상기 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진될 수 있는 가동 대차를 포함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로워 레일은 전체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차량 시트가 비교적 먼 거리로 전후진 이동될 수 있었다.
최근에는 자율 주행 차량이 개발되면서 시트의 이동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스위치나 명령 신호 등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모터를 이용하여 가동 대차가 자동으로 전후진 이동되는 파워 롱 슬라이드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파워 롱 슬라이드는 외부의 전력을 유선으로 인가받을 수 있도록 구동 모터 및 각종 히터, 통풍 장치 등의 시트 구동 장치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각종 전선 다발 등 와이어 하네스나 유선 커넥터들이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서, 전력 공급 장치가 매우 복잡해지고, 시트 이동 과정에서 전선이 쉽게 꼬이거나 손상되거나 단락될 수 있으며, 이동 거리에 한계가 있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는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도체로 이루어진 레일 또는 버스 바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는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었다.
그러나, 버스 바를 이용한 전력 공급 방식은, 시트의 주행 중에도 차량측 버스 바와 시트측 접속 장치가 항상 접촉되어 서로 마찰되는 것으로서, 표면 불량이나 접촉 불량 등에 의해 전력 공급이 매우 불안정한 것은 물론이고, 장시간 사용시 부품들 간의 마찰로 인하여 부품이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선 다발이나 와이어 하네스가 없이도 시트에 내장식 배터리를 설치하여 가동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기타 각종 시트 구동 장치들의 구동용 전력을 시트 내부에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동작 모드시, 레일 또는 버스 바로부터 접속 헤드를 후진 이격시키고, 정지 모드시, 접속 헤드를 레일 또는 버스 바 방향으로 전진 및 접촉시켜서 주로 정지시에만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 및 제어부를 이용하여 정지시 안정적으로 충전용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동작 모드시 발생될 수 있는 표면 불량 현상이나 접촉 불량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부품들 간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동 꺼짐이나 차량 사고나 차량 전력 중단시에도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시트를 무선 제어할 수 있게 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는, 시트;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차량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이동 장치;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또는 버스 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용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는 접속 헤드; 및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를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 방향으로 전진 및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 후진 및 접속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 및 상기 모드 판별부로부터 정지 모드 판별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정지 모드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 및 상기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대기하는 정지 모드 충전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판별부로부터 동작 모드 판별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해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 및 상기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재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헤드는, 헤드 몸체; 및 상기 헤드 몸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전후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고 핀(pogo pin);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헤드는, 헤드 몸체; 및 상기 시트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 록킹 기능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에 형성된 결착홈에 결착되는 결착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헤드는, 헤드 몸체; 및 무선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는 전자기 유도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는, 적어도 모터,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장치, 에어백, 벨로우즈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용 전력을 인가받아서 구동되는 적어도 시트 전후진 위치 조절 장치, 시트 스위블 각도 조절 장치, 시트 높낮이 조절 장치, 엉덩이받이 각도 조절 장치, 엉덩이받이 전후진 조절 장치,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시트 풀플랫 제어장치, 시트 리클라인 제어 장치, 허리받이 조절장치, 헤드레스트 조절 장치, 암레스트 조절장치, 레그레스트 조절 장치, 쿠션 히터 조절 장치, 백 히터 조절 장치, 쿠션 통풍 조절 장치, 백 통풍 조절 장치, 시트 안마 조절 장치, 에어컨 강도 조절 장치, 온도 조절 장치, 착좌 센싱 장치, 시트 쿠션 조절 장치, 배터리 상태 측정 장치, 충전 상태 측정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마이크, 핸드폰 충전 장치, 전자 제품용 전원 커넥터, 시거잭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트 구동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구동 장치를 차량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용 전력을 인가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차량 시동 꺼짐이나 긴급 사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네트워크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대차; 및 상기 가동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구름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에 설치된 레일홈과 맞물리며, 상기 가동 대차가 전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은, 차량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충전용 전력이 인가되는 버스 바(Bus bar);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는, 시트;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이동 장치;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버스 바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은,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단계;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접속 헤드를 전진(하강)시키는 접속 헤드 하강 단계;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접속 헤드를 후진(상승)시키는 접속 헤드 상승 단계;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정지 모드 충전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이상이면, 충전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대기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하강)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재개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선 다발이나 와이어 하네스가 없이도 시트에 내장식 배터리를 설치하여 가동 대차를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 및 기타 각종 시트 구동 장치들의 구동용 전력을 시트 내부에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동작 모드시, 레일 또는 버스 바로부터 접속 헤드를 후진 이격시키고, 정지 모드시, 접속 헤드를 레일 또는 버스 바 방향으로 전진 및 접촉시켜서 주로 정지시에만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 및 제어부를 이용하여 정지시 안정적으로 충전용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동작 모드시 발생될 수 있는 표면 불량 현상이나 접촉 불량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부품들 간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동 꺼짐이나 차량 사고나 차량 전력 중단시에도 블루투스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단말기로 시트를 무선 제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의 정지 모드(충전 모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의 대기 모드(충전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접속 헤드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1000)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1000)은, 차량의 실내 공간의 바닥에 길이 방향으로 길게 직선형, 곡선형, 폐곡선 등의 형태로 설치되는 레일(R)과, 상기 레일(R)에 설치되고, 충전용 전력이 인가되는 도전체 재질인 버스 바(B)(Bus bar) 및 상기 레일(R)을 따라 주행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버스 바(B)는 상기 충전용 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바(Bar) 타입은 물론이고, 각종 도전막이나 도전성 패턴 등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레일(R)과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서, 이러한 상기 레일(R)과 상기 버스 바(B)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는 도면에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매우 다양한 형태와 종류로 수정 또는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도록 운전자 또는 탑승자와 대응되게 형성되는 시트(10)와, 상기 시트(10)에 설치되어 상기 레일(R)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이동 장치(20)와, 상기 시트(10)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 이동 장치(20)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30) 및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버스 바(B)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3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4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는, 엉덩이받이, 등받이, 허리받이, 헤드레스트, 암레스트 등이 설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시트(10)는,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상기 구동용 전력을 인가받아서 구동되는 적어도 시트 전후진 위치 조절 장치, 시트 스위블 각도 조절 장치, 시트 높낮이 조절 장치, 엉덩이받이 각도 조절 장치, 엉덩이받이 전후진 조절 장치,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시트 풀플랫 제어장치, 시트 리클라인 제어 장치, 허리받이 조절장치, 헤드레스트 조절 장치, 암레스트 조절장치, 레그레스트 조절 장치, 쿠션 히터 조절 장치, 백 히터 조절 장치, 쿠션 통풍 조절 장치, 백 통풍 조절 장치, 시트 안마 조절 장치, 에어컨 강도 조절 장치, 온도 조절 장치, 착좌 센싱 장치, 시트 쿠션 조절 장치, 배터리 상태 측정 장치, 충전 상태 측정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마이크, 핸드폰 충전 장치, 전자 제품용 전원 커넥터, 시거잭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트 구동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터리(30)는 상기 시트 이동 장치(20)는 물론이고, 상술된 각종 상기 시트 구동 장치들에게 구동용 전력을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는, 상기 시트(10)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구동 장치를 차량용 단말기(T1) 또는 사용자 단말기(T2)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30)로부터 상기 구동용 전력을 인가받아 무선 네트워크(N)를 이용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무선 네트워크(N)는 차량 시동 꺼짐이나 긴급 사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네트워크일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 또는 사용자는 차량용 단말기(T1) 또는 사용자 단말기(T2)를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든 차내에서나, 차외에서 상기 시트 이동 장치(20)는 물론이고, 상술된 각종 상기 시트 구동 장치들을 외부 전력이 없이도 매우 간편하게 무선으로 시트의 모든 조작을 원격 제어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의 시동이 꺼지거나 사고시 모든 안전 조작이 가능하고, 이와 동시에 별도의 와이어 하네스나, 통신용 케이블이나, 커넥터 등이 불필요하여 부품의 개수와 생산 비용 및 시트의 무게를 크게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시트 이동 장치(20)는, 상기 레일(R)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대차(21) 및 상기 가동 대차(21)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R)과 구름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R)에 설치된 레일홈과 맞물리며, 상기 가동 대차(21)가 전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 모터(M)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 대차(21)와 상기 구동휠(22)은 도면에만 반드시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예컨대, 상기 구동휠(22)은 도시된 바퀴 형상은 물론이고, 각종 피니언 기어 등이 적용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레일(R)은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랙기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40)는, 상기 시트(10) 또는 상기 시트 이동 장치(20)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R) 또는 버스 바(B)(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용 전력을 상기 배터리(30)로 전달하는 접속 헤드(41)와, 상기 접속 헤드(41)가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41)를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 및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41)가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 방향으로 전진(하강) 및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3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41)가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로부터 후진(상승) 및 접속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4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1000)의 정지 모드(충전 모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1000)의 대기 모드(충전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고, 도 3은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1000)의 동작 모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충전 모드)에서는, 상기 제어부(30)가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접속 헤드(41)가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 방향으로 전진(하강) 및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30)가 충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대기 모드(충전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제어부(43)가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접속 헤드(41)가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로부터 후진(상승) 및 접속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다.
이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에서는, 상기 접속 헤드(41)가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접속 헤드(41)와 상기 버스 바(B) 간의 어떠한 접촉이나 마찰이 없이 자유로운 상태에서 상기 시트(10)가 주행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 다발이나 와이어 하네스가 없이도 상기 시트(10)에 내장식 배터리(30)를 설치하여 상기 가동 대차(21)를 이동시키는 구동 모터(M) 및 기타 각종 시트 구동 장치들의 구동용 전력을 시트 내부에서 공급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동작 모드시,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로부터 접속 헤드를 후진(상승) 이격시키고, 정지 모드시, 상기 접속 헤드(41)를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 방향으로 전진(하강) 및 접촉시켜서 주로 정지시에만 상기 배터리(30)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 및 상기 제어부(43)를 이용하여 정지시 안정적으로 충전용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동작 모드시 발생될 수 있는 표면 불량 현상이나 접촉 불량 현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부품들 간의 마찰 및 마모를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2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는, 적어도 모터,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장치, 에어백, 벨로우즈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R)은 상기 가동 대차(21)의 좌측 및 우측 구동휠(22)에 각각 대응되도록 좌측 및 우측 레일(R)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버스 바(B) 역시, 좌측 및 우측 접속 헤드(41)에 각각 대응되도록 좌측 및 우측 버스 바(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좌측 및 우측 접속 헤드(41)는 중간 연결바를 이용하여 하나의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가 상기 버스 바(B) 방향으로 전진(하강) 또는 후진(상승)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레일(R)이나 상기 버스 바(B)나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는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는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와 종류의 레일이나 버스 바나 액츄에이터 등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의 접속 헤드(41)의 여러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헤드(41)는, 헤드 몸체(411) 및 상기 헤드 몸체(411)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전후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고 핀(412)(pogo pi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포고 핀(412)은 상기 헤드 몸체(411)에 복수개(도면에서는 4개)가 설치되어 각각 상기 버스 바(B)의 표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정지 모드에서 상기 버스 바(B)의 표면 불량으로 인한 접촉 불량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동작 모드에서 상기 버스 바(B)로부터 이격될 수 있으나, 상기 배터리(30)가 방전되는 등 만일의 경우, 상기 포고 핀(412)이 상기 버스 바(B)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시트(10)가 주행한다 하더라도 상기 버스 바(B)의 표면과 탄력적으로 접촉됨으로써 마찰을 줄이고, 전기적인 접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헤드(41)는, 헤드 몸체(413) 및 상기 시트(10)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 록킹 기능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 몸체(413)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에 형성된 결착홈(Ra)에 결착되는 결착 돌기부(414)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결착 돌기부(414)는 정지 모드에서 상기 레일(R)과 전기적인 접촉과 동시에 기계적으로 상기 결착홈(Ra)과 견고하게 치합되어 상기 시트(10)의 움직임을 고정시키는 셀프 록킹 기능 및 충전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고, 동작 모드에서 상기 결착홈(Ra)으로부터 이격되어 셀프 록킹 기능 및 충전 기능을 동시에 중단할 수 있다.
도 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 헤드(41)는, 헤드 몸체(415) 및 상기 버스 바(B) 또는 상기 버스 바(B)에 형성된 패턴(P)과 대응하여 무선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 몸체(415)에 설치되는 전자기 유도 코일(416)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기 유도 코일(416)은, 정지 모드에서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에 형성된 상기 패턴(P)과 근접하여 상기 배터리(30)가 무선 방식으로 충전될 수 있고, 동작 모드에서 상기 레일(R) 또는 상기 버스 바(B)에 형성된 상기 패턴(P)으로부터 이격되어 대기할 수 있으며, 상기 배터리(30)가 방전되는 등 만일의 경우, 상기 시트(10)가 주행한다 하더라도 무선으로 충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접속 헤드(41)는 도면에만 국한되지 않고 매우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전후진이 가능한 충전용 헤드 구조체가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100)의 제어부(43)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43)는,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431)와, 상기 모드 판별부(431)로부터 정지 모드 판별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배터리(3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정지 모드 충전부(432)와,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SOC, State Of Charge)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433)와, 상기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433)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예컨대, 95 퍼센트)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대기하는 정지 모드 충전 해제부(434)와, 상기 모드 판별부(431)로부터 동작 모드 판별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해제부(435)와,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436) 및 상기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436)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예컨대, 15 퍼센트) 이하이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재개부(437)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43)를 이용하면,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시, 상기 배터리(30)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며,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을 판별하여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대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43)를 이용하면,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기본적으로는, 상기 배터리(30)가 정지 모드에서 충분히 충전될 때까지 충전되고, 동작 모드에서는 충전이 중지되지만, 동작 모드라 하더라도 배터리 방전시에는 충전이 재개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시트 정지시 안정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시트 주행시 부품들 간의 마찰 및 마모를 최소화하여 하는 동시에, 배터리 방전시에는 언제라도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300)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300)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 Battery Management System)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이용하여 배터리 상태 정보를 차측에 블루투스(BLE) 무선 통신으로 전송할 수 있고, 포그 핀(POGP PIN)을 이용하여 차측으로부터 각종 전원을 공급받아서 정지 모드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상기 배터리는 시트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시트측에 설치된 다른 시트 구동 장치, 즉, 히터/통풍 시트 제어 ECU, 쿠션/백 히터, 통풍 블로워, 틸트 모터/하이트 모터/리클라인 모터/스위블 모터/롱슬라이드 모터 등에 설치된 솔레노이드의 구동용 전력을 외부 전력이 없이도 자체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은, 시트(10)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단계(S11)와,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 접속 헤드(41)를 전진(하강)시키는 접속 헤드 하강 단계(S12)와,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에서 접속 헤드(41)를 후진(상승)시키는 접속 헤드 상승 단계(S13)와,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SOC)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S14)와,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예컨대, 95 퍼센트)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30)를 충전시키는 정지 모드 충전 단계(S15) 및 상기 배터리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예컨대, 95 퍼센트) 이상이면, 충전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대기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만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은, 시트(10)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단계(S11)와,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 접속 헤드(41)를 전진(하강)시키는 접속 헤드 하강 단계(S12)와,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에서 접속 헤드(41)를 후진(상승)시키는 접속 헤드 상승 단계(S13)와,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S14)와,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예컨대, 95 퍼센트)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30)를 충전시키는 정지 모드 충전 단계(S15)와, 상기 배터리 충전량 정보가 상기 제 1 기준치(예컨대, 95 퍼센트) 이상이면, 충전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대기 단계(S16)와,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S17) 및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예컨대, 15 퍼센트) 미만이면 이를 방전 상태로 판단하여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42)에 전진(하강)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재개 단계(S1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시트(10)의 정지 모드에서만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에 따라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시트(10)의 동작 모드시,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이 충분하다면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이 이루어지지 않다가 상기 배터리(30)의 충전량이 15퍼센트 이하인 방전 상태로 판단되면 주행 중이라도 상기 배터리(30)의 충전을 재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R: 레일
Ra: 결착홈
B: 버스 바(Bus bar)
10: 시트
20: 시트 이동 장치
21: 가동 대차
22: 구동휠
M: 구동 모터
30: 배터리
40: 배터리 충전 장치
41: 접속 헤드
411, 413, 415: 헤드 몸체
412: 포고 핀
414: 결착 돌기부
416: 전자기 유도 코일
42: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
43: 제어부
431: 모드 판별부
432: 정지 모드 충전부
433: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
434: 정지 모드 충전 해제부
435: 동작 모드 충전 해제부
436: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
437: 동작 모드 충전 재개부
T1: 차량용 단말기
T2: 사용자 단말기
N: 무선 네트워크
50: 무선 송수신부
100, 200, 300: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000: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Claims (18)

  1. 시트;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차량에 설치된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이동 장치;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배터리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키는 배터리 충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버스 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용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는 접속 헤드; 및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를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 방향으로 전진 및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 후진 및 접속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대차; 및
    상기 가동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구름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에 설치된 레일홈과 맞물리며, 상기 가동 대차가 전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
    을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부; 및
    상기 모드 판별부로부터 정지 모드 판별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정지 모드 충전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 및
    상기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부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이상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대기하는 정지 모드 충전 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판별부로부터 동작 모드 판별 신호를 인가받으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해제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 및
    상기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부로부터 인가받은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재개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헤드는,
    헤드 몸체; 및
    상기 헤드 몸체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고, 스프링에 의해 탄성 전후진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포고 핀(pogo pin);
    을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헤드는,
    헤드 몸체; 및
    상기 시트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셀프 록킹 기능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에 형성된 결착홈에 결착되는 결착 돌기부;
    를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헤드는,
    헤드 몸체; 및
    무선 방식으로 충전이 가능하도록 상기 헤드 몸체에 설치되는 전자기 유도 코일;
    을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는, 적어도 모터, 리니어 모터, 유압 실린더, 공압 실린더, 액츄에이터, 솔레노이드 장치, 에어백, 벨로우즈관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용 전력을 인가받아서 구동되는 적어도 시트 전후진 위치 조절 장치, 시트 스위블 각도 조절 장치, 시트 높낮이 조절 장치, 엉덩이받이 각도 조절 장치, 엉덩이받이 전후진 조절 장치, 등받이 각도 조절 장치, 시트 풀플랫 제어장치, 시트 리클라인 제어 장치, 허리받이 조절장치, 헤드레스트 조절 장치, 암레스트 조절장치, 레그레스트 조절 장치, 쿠션 히터 조절 장치, 백 히터 조절 장치, 쿠션 통풍 조절 장치, 백 통풍 조절 장치, 시트 안마 조절 장치, 에어컨 강도 조절 장치, 온도 조절 장치, 착좌 센싱 장치, 시트 쿠션 조절 장치, 배터리 상태 측정 장치, 충전 상태 측정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스피커, 마이크, 핸드폰 충전 장치, 전자 제품용 전원 커넥터, 시거잭 및 이들의 조합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시트 구동 장치가 설치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구동 장치를 차량용 단말기 또는 사용자 단말기로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구동용 전력을 인가받아 무선 네트워크를 이용하여 무선 제어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 송수신부;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네트워크는 차량 시동 꺼짐이나 긴급 사태에도 작동할 수 있도록 블루투스 네트워크인,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
  15. 삭제
  16. 차량에 설치되는 레일;
    상기 레일에 설치되고, 충전용 전력이 인가되는 버스 바(Bus bar);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될 수 있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는,
    시트;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주행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 이동 장치;
    상기 시트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구동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에 따라 상기 버스 바와 선택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에 충전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 충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상기 시트 또는 상기 시트 이동 장치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버스 바(Bus bar)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충전용 전력을 상기 배터리로 전달하는 접속 헤드; 및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에 선택적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를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 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전후진시키는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충전 장치는,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 방향으로 전진 및 접속되어 상기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거나 또는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접속 헤드가 상기 레일 또는 상기 버스 바로부터 후진 및 접속 해제되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중단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제어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 이동 장치는,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 대차; 및
    상기 가동 대차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과 구름 접촉되거나 또는 상기 레일에 설치된 레일홈과 맞물리며, 상기 가동 대차가 전후진 이동될 수 있도록 구동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휠;
    을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17. 시트의 정지 모드 또는 동작 모드를 판별하는 모드 판별 단계;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접속 헤드를 전진(하강)시키는 접속 헤드 하강 단계;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접속 헤드를 후진(상승)시키는 접속 헤드 상승 단계;
    상기 시트의 정지 모드에서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정지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정지 모드 충전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충전량 정보가 제 1 기준치 이상이면, 충전하지 않고 대기하거나 또는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후진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대기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트의 동작 모드에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을 판별하는 동작 모드 충전량 판별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충전량 정보가 제 2 기준치 미만이면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재개될 수 있도록 상기 접속 헤드 전후진 장치에 전진(하강) 제어 신호를 인가하는 동작 모드 충전 재개 단계;
    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18. 삭제
KR1020210045936A 2021-04-08 2021-04-08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KR102462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36A KR102462446B1 (ko) 2021-04-08 2021-04-08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PCT/KR2022/002276 WO2022215855A1 (ko) 2021-04-08 2022-02-16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936A KR102462446B1 (ko) 2021-04-08 2021-04-08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82A KR20220139682A (ko) 2022-10-17
KR102462446B1 true KR102462446B1 (ko) 2022-11-03

Family

ID=835455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936A KR102462446B1 (ko) 2021-04-08 2021-04-08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62446B1 (ko)
WO (1) WO2022215855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7114A (ja) * 2018-01-23 2019-08-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シートの給電装置
US20190299817A1 (en) 2018-03-29 2019-10-03 Yazaki Europe Ltd.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a vehicle seat
US20200189511A1 (en) * 2018-12-17 2020-06-1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CN211508726U (zh) * 2020-03-17 2020-09-15 深圳赫兹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座椅充电系统及汽车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758B1 (ko) * 2017-05-31 2019-07-11 주식회사 디에스시동탄 차량 시트 열선의 무선전력전송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9127114A (ja) * 2018-01-23 2019-08-01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車両用シートの給電装置
US20190299817A1 (en) 2018-03-29 2019-10-03 Yazaki Europe Ltd.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for manipulating an electrical connector system of a vehicle seat
US20200189511A1 (en) * 2018-12-17 2020-06-18 Lear Corporation Electrical assembly
CN211508726U (zh) * 2020-03-17 2020-09-15 深圳赫兹创新技术有限公司 一种移动座椅充电系统及汽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682A (ko) 2022-10-17
WO2022215855A1 (ko) 2022-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65520B2 (en) Vehicle charging system
CN105383317A (zh) 用于无线车辆充电的自定位多线圈系统
WO2011064596A2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 and charge receiving arrangement for a vehicle
CN105383316A (zh) 用于无线车辆充电的自动自定位发射线圈
CA2648465A1 (en) Feeder-lineless trafic system and charging method therefor
US10926663B2 (en) Restraint monitoring system for a vehicle
WO2020042747A1 (zh) 一种汽车座椅电动地滑轨系统
KR102462446B1 (ko)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와, 배터리 내장형 시트 시스템 및 배터리 내장형 시트 장치의 충전 방법
CN102803012B (zh) 车辆座椅
CN108803593B (zh) 车辆
JP2018187947A (ja) 車両
KR102467861B1 (ko) 전기차 충전을 위한 곡선 이동식 팬터그래프 자동 충전장치
US7051660B2 (en) Carriage assembly for positioning railroad cars
CN112109597A (zh) 将部件装载到车辆中的方法
CN111183061A (zh) 供电系统
US11529893B2 (en) Reversible v sleeping seat
CN110979127A (zh) 坐卧两用的商用车卧铺和商用车
CN211107047U (zh) 车舱配置设备及车辆
CN212447212U (zh) 一种紧凑型汽车的平躺式座椅装置
KR20210076314A (ko) 시트의 배터리 충전 시스템 및 방법
KR20220056433A (ko) 차량용 시트 무선 전력공급 시스템
CN215944906U (zh) 一种汽车航空座椅水平移动止动控制装置
JP7154852B2 (ja) 車両用充電装置
GB2509371A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for a removable vehicle seat
JP7341615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