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465B1 - 퀀칭 시스템 - Google Patents

퀀칭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465B1
KR102461465B1 KR1020190026635A KR20190026635A KR102461465B1 KR 102461465 B1 KR102461465 B1 KR 102461465B1 KR 1020190026635 A KR1020190026635 A KR 1020190026635A KR 20190026635 A KR20190026635 A KR 20190026635A KR 102461465 B1 KR102461465 B1 KR 1024614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line
exchanger
line exchanger
tlx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6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06798A (ko
Inventor
세바스찬 드루스
카르스텐 버크
Original Assignee
보르지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보르지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보르지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1067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067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002Cooling of crack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1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in pipes or coils with or without auxiliary means, e.g. digesters, soaking drums, expansion means
    • C10G9/18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2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 B01J8/04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stationary particles, e.g. in fixed beds the fluid passing successively through two or more beds
    • B01J8/0496Heating or cooling the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4/00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larger number of carbon atoms
    • C07C4/02Preparation of hydrocarbons from hydrocarbons containing a larger number of carbon atoms by cracking a single hydrocarbon or a mixture of individually defined hydrocarbons or a normally gaseous hydrocarbon fraction
    • C07C4/04Therm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GCRACKING HYDROCARBON OILS;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S, e.g. BY DESTRUCTIVE HYDROGENATION, OLIGOMERISATION, POLYMERISATION; RECOVERY OF HYDROCARBON OILS FROM OIL-SHALE, OIL-SAND, OR GASES; REFINING MIXTURES MAINLY CONSISTING OF HYDROCARBONS; REFORMING OF NAPHTHA; MINERAL WAXES
    • C10G9/00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 C10G9/14Thermal non-catalytic cracking, in the absence of hydrogen, of hydrocarbon oils in pipes or coils with or without auxiliary means, e.g. digesters, soaking drums, expansion means
    • C10G9/18Apparatus
    • C10G9/20Tube furna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02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 F22B1/1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by exploitation of the heat content of hot heat carriers the heat carrier being a hot gas, e.g. waste gas such as exhaust ga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22B1/1869Hot gas water tube boilers not provided for in F22B1/1807 - F22B1/186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C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OUT CHEMICAL INTERACTION
    • F28C3/00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 F28C3/06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 F28C3/08Other direct-contact heat-exchange apparatus the heat-exchange media being a liquid and a gas or vapour with change of state, e.g. absorption, evaporation,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1/0001Recuperative heat exchang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27/00Control arrangements or 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heat-exchange or heat-transfer apparatu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9/00Casings; Header boxes; Auxiliary supports for elements; Auxiliary members within casings
    • F28F9/22Arrangements for directing heat-exchange media into successive compartments, e.g. arrangements of guide pl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168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 B01J2208/0017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heat exchange elements outside the bed of solid particles outside the reac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265Part of all of the reactants being heated or cooled outside the reactor while recycling
    • B01J2208/00283Part of all of the reactants being heated or cooled outside the reactor while recycling involving reactant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106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 B01J2208/00309Controlling the temperature by indirect heat exchange with two or more reactions in heat exchange with each other, such as an endothermic reaction in heat exchange with an exothermic re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08/00Processes carried out in the presence of solid particles; Reactors therefor
    • B01J2208/00008Controlling the process
    • B01J2208/00017Controlling the temperature
    • B01J2208/0053Controlling multiple zones along the direction of flow, e.g. pre-heating and after-coo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21/00Heat-exchange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F28D1/00 - F28D20/00
    • F28D2021/0019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8D2021/0075Other heat exchanger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Heat exchang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syngas or cracked gas cool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 Furnace Details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렬로 연결된 제 1 열교환기 또는 PQE(10) 및 제 2 열교환기 또는 SQE(11) 및 제 3 열 교환기 또는 TQE(12)를 포함하는, 기체 시재료 및 액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 용 퀀칭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경우, 이중 작동을 위한 이송 라인 교환기 또는 TLX-D(26)가 제 3 열교환기로서 배열 및 구성된다. TLX-D(26)는 TLX-D 기체 공급 라인(24)을 통해 제 2 열교환기 또는 SQE(11)에 직렬로 연결된다. TLX-D(26)은 TLX-D 급수 드레인 라인(34) 및 TLX-D 라이저(46) 및 TLX-D 다운코머(38)를 통해, 급수 라인(49)에 연결된 증기 드럼(59)에 연결되며, SQE(11)는 SQE 다운코머(52) 및 SQE 라이저(57)를 통해 급수 라인(49)에 연결된 증기 드럼(59)에 연결된다.

Description

퀀칭 시스템{QUENCHING SYSTEM}
본 발명은 액체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cracking furnace)를 동작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quenching system) 및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에 관한 것으로, 이는 직렬로 연결된 제 1 열교환기 및 제 2 열교환기 및 제 3 열교환기를 포함한다.
크래킹 노라고도 불리는, 에틸렌 노의 작동을 위해 크래킹 노에서 추가로 처리되는 다양한 시재료가 존재한다. 여러 가지 중에서도, 이러한 시재료는 액체 시재료라고도 불리는 나프타(액체 공급물), 또는 높은 에틸렌 함량을 갖는 기체 시재료라고도 불리는 기체(기체 공급물)가 있다. 두 시재료는 모두 크래킹 노에서 고온으로 가열된 후, 퀀칭 시스템(약칭하여 QS)에 의해 즉각적으로 냉각된다.
시재료의 물리적 성질이 상이하기 때문에 시재료에 따라 특수 구조를 갖는 퀀칭 시스템 또는 QS이 필요하다. 시재료로서의 기체는 기체의 응축이 현저히 낮은 온도에서만 시작되기 때문에, 예컨대, 대략 900 ℃에서 350 ℃로 냉각되는 액체 시재료보다 더 낮게(예컨대, 900 ℃에서 150 ℃로) 냉각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은 종종 제 1 열교환기(또는 약칭하여 PQE) 및 제 2 열교환기(또는 약칭하여 SQE) 및 제 3 열교환기(또는 약칭하여 TQE)로 구성된다.
액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은 직렬로 연결된 PQE 및 SQE로만 구성된다. 급수 예열기 또는 보일러 급수 예열기로 항상 사용되는 TQE는 이러한 배열에 설치되지 않으며 PQE 및 SQE는 각각 증발기로서 연결되며 그와 같이 작동한다.
이제, 기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에 대한 가능한 냉각기 배열의 일례로서 이하에 설명되는 도면을 더 참조한다.
이와 유사하게, 액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에 대한 가능한 냉각기 배열의 일례로서 이하에 설명되는 도면을 더 참조한다.
DE 10 2014 018 261 A1은 최신 기술로서 언급되어있다.
또한, 기체 공급 모드 및 액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갖는 크래킹 노를 위한 이미 사용되는 프로세스의 다른 예로서 이하에 설명되는 도면을 더 참조한다.
액체 뿐만 아니라 기체 시재료로 퀸칭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PQE 및 SQE 및 TQE가 설치되어야 한다. 가스 측의 TQE는 액체 공급 작동 모드의 경우 우회로로 우회되어야 한다.
아래에 설명된 도면에 따른 기체 공급 및 액체 공급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현재 작동 모드는 이러한 우회 회로와 함께 수행된다. TQE의 가스 주입관의 전방에 설치된 가스 주입 밸브는 개방되어 있고, TQE의 우회로에 배치된 우회로 밸브는 기체 공급 작동의 경우에 닫혀 있다. 액체 공급 작동의 경우 가스 주입 밸브는 닫혀 있고, 우회로 밸브는 열려 있다.
최신 기술에 따른 기체 공급 및 액체 공급 모드 작동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사용되는 배열의 단점은, 기술적 배치 및 작동 모드가 신뢰성, 수리의 용이성 및 유지 보수 용이성의 측면에서 그러한 퀀칭 시스템에 대한 요구 조건을 충분히 충족시키지 못한다는 점 외에도, 우회로 제어를 갖는 그러한 배열이 매우 큰 공간을 필요로 하고, 그로 인해 고비용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뢰성 및 비용 측면에서 기술적 장비 및 작동 모드에 대한 높은 요구사항을 개선하고 필수적인 수리 및 유지 보수 작업 측면에서도 간단한 가능성을 보장하는, 액체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 및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은 일반적인 방식으로 이중 또는 교대 작동을 위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또는 약칭 TLX-D가 제3 열교환기로서 배열 및 구성되게 함으로써, TLX-D가 TLX-D 가스 공급 라인을 통해 직렬로 제2 열 교환기 또는 SQE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그리고 TLX-D가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및 TLX-D 라이저(riser) 및 TLX-D 다운코머(downcomer)를 통해, 급수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증기 드럼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그리고 SQE가 SQE 다운코머 및 SQE 라이저를 통해, 급수 라인에 연결되어 있는 증기 드럼에 연결되게 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TLX-D에는 그 내부에 배열되어 있는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를 포함하는 TLX-D 급수 공급 라인이 제공된다. 또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는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내에 배치되고, TLX-D 라이저 밸브는 TLX-D 라이저 내에 배치되고, TLX-D 다운코머 밸브는 TLX-D 다운코머 내에 배치되며, 자연 순환에 의한 TLX-D의 냉각은 TLX-D 다운코머 및 TLX-D 라이저를 통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질적인 장점은 TLX-D가 그 내부에 설치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를 포함하는, 제공된 TLX-D 급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어 있고, 그 내부에 설치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를 포함하는, 배열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을 통해 증기 드럼에 연결되어 있고, 강제 순환에 의한 TLX-D의 냉각은 배열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및 TLX-D 급수 드레인 라인을 통해 제공된다는 점이다.
TLX-D는 TLX-D가 서로 거리를 두고 배치된 배플(baffle)을 갖도록 이중 동작을 위해 배열 및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고, 이 배플은 수평으로 배치된 TLX-D의 중심선에 직각으로 TLX-D 재킷에 의해 둘러싸인 TLX-D 내부에 배치되고, 배플의 배열 및 위치는 액체 공급 모드에서 추가로 야기된 증기 발생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다.
다른 장점은 제1 배플이 TLX-D의 TLX-D 내부에 TLX-D 급수 주입관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설치되고, 제 1 배플이 재킷 측상에서 급수 흐름을 180° 편향시키고,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을 가지며, 그 최대 높이는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로서 TLX-D 재킷 내부 직경의 10 % 내지 40 %,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25 % 범위라는 점에 기인한다. 또한, 제2 배플은 TLX-D의 TLX-D 내부에 제1 배플에 대하여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고, 제2 배플은 급수를 180° 편향시키고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을 갖는다. 추가적인 배플 어레이는 TLX-D 급수 배출관까지 TLX-D 길이의 함수로 제공된다.
다른 특징은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을 가진 TLX-D의 해당 길이가 가스 측과 물/증기 측에 대하여 미리 정해져 있다는 점 및 다수의 배열된 배플은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로서 가변적이라는 점에 기인하며, 서로로부터 각각의 배플의 거리는 약 100 mm 내지 800 mm, 바람직하게는 300 mm 내지 600 mm의 범위에 있다.
다른 이점은 TLX-D 중심선에 직각으로 수평으로 위치한 TLX-D를 통해 급수가 흐르는 TLX-D의 경우 배플이 상부 영역에서 편평한 구조를 가진다는 점, 및 TLX-D 라이저 파이프 아래에 자유 공간 또는 증기 공간이 구성되어 있다는 점이다.
추가적인 이점은, TLX-D의 경우, 배플의 편평한 부분이 한편으로는 급수 예열기로서 TLX-D의 작동 중에 기체 공급 모드에서 원하지 않는 우회 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작게 유지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증발기로서의 TLX-D의 운전 중에 액체 공급 모드에서 발생되는 증기의 양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크게 구성된다는 점이다. 편평한 부분의 최대 높이는 약 5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5 mm의 범위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체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에서, TLX-D 이중 열교환기 또는 TLX-D는 이중 작동을 위한 제3 열교환기로서 연결되고, 그리고 TLX-D는 기체 시재료의 경우 급수 예열기로서 기체 공급 모드로 작동되고, 액체 시재료의 경우 증발기로서 액체 공급 모드로 작동되고, 기체 공급 모드에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 및 급수 밸브가 개방되고 TLX-D 다운코머 밸브 및 TLX-D 라이저 밸브가 폐쇄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이 프로세스의 다른 장점은 급수가 역류 원리로 재킷 측상의 기체 분해 가스의 흐름 방향에 대항하게 안내되고, 개방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를 통해 TLX-D의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된다는 점에서 기인한다.
다른 이점은 안내되는 급수를 TLX-D 내의 분해 가스로부터 방출된 열에 의해 약 150 ℃ 내지 약 300 ℃의 온도로 가열함으로써 달성된다.
또한, 액체 공급 모드에서 TLX-D 다운코머 밸브 및 TLX-D 라이저 밸브가 개방되고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 및 급수 밸브가 닫히고, 급수가 설치된 급수 공급 라인을 통해 증기 드럼으로 안내되는 것이 유리하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또 다른 장점은 TLX-D 이중 열교환기가 퀀칭 시스템의 포화 증기 시스템 또는 냉각 시스템에 통합된다는 점이고, 물은 그것이 TLX-D에 설치된 TLX-D 다운코머에 분배될 때까지 TLX-D 다운코머 및 개방된 TLX-D 다운코머 밸브를 통해 증기 드럼으로부터 안내된다.
또한, 물이 자켓 측상의 증기 드럼에서, TLX-D 다운코머 파이프 반대편에 배치된 TLX-D 라이저 파이프까지 TLX-D를 통해 흐르는 것이 유리하고, 여기서 TLX-D를 통해 유동하는 분해 가스는 분해 가스 주입구 온도의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미만으로 현저히 냉각되지 않는다.
특별한 이점은 분해 가스 주입구 온도가 수류의 특별한 안내로 인해 TLX-D에서 포화 증기 온도의 범위보다 큰, 50 ℃에 가깝고, 바람직하게는 30 ℃ 미만에 도달되고, TLX-D 자켓에 의해 물 측 또는 재킷 측에서 10 t/h 미만의 증기, 바람직하게는 5 t/h 미만의 증기와 같은 소량의 증기가 발생되며, 이 증기는 개방된 TLX-D 라이저 밸브와 TLX-D 증기 드럼 라이저 파이프를 통해 TLX-D 라이저 파이프를 통해, TLX-D 라이저를 통해, 증기 드럼으로 운반된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TLX-D가 기체 공급 모드 및 액체 공급 모드 둘 다의 작동 모드에 사용될 수 있도록, 그리고 TLX-D가 이중 작동을 위해 급수 예열기 및 증발기로서 모두 제공될 수 있도록 TLX-D가 듀얼 작동을 위해 배열 및 구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TLX-D의 유리한 배치의 경우, 작동 모드의 제어는 물/증기 순환을 통해 이루어지며, 더 이상 PQE 및 SQE의 가스 공급 장치의 가스 측을 통해 이루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세부 사항들 및 이점들은 도면들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기체 공급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액체 공급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우회로를 갖는 기체 공급 및 액체 공급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공급 및 액체 공급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배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기체 공급 및 액체 공급을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TQE의 구성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은 기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제안된 PQE(10) 및 SQE(11) 및 TQE(12)는 직렬로 연결된다. PQE(10) 및 SQE(11)는 증발기로서 연결되고, TQE(12)는 물 예열기로서 작동된다. 분해 가스는 도시된 화살표(13) 방향으로 크래킹 노로부터 PQE(10), SQE(11) 및 TQE(12)에 공급된다.
도 2는 액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제안된 PQE(10) 및 SQE(11)는 직렬로 연결되고 증발기로서 동작한다. 물 예열기 또는 보일러 급수 예열기(짧게 BFW 예열기라고도 함)로 항상 작동되는 TQE는 설치되지 않는다. 크래킹 노(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분해 가스는 표시된 화살표(13) 방향으로 PQE(10) 및 SQE(11)로 공급된다.
도 3은 기체 공급 모드 및 액체 공급 모드를 위한 퀀칭 시스템의 작동 모드를 위한 냉각기 시스템의 종래 기술의 개략적인 배치를 도시한다. 제안된 PQE(10) 및 SQE(11) 및 TQE(12)는 직렬로 연결된다. PQE(10) 및 SQE(11)는 증발기로서 작동하고, TQE(12)는 물 예열기로서 작동한다. TQE 가스 주입관(14)과 TQE 가스 배출관(15) 사이에는, 수평 배치된 TQE(12)의 화살표 방향으로 우회 라인(16)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우회 라인(16)은 TQE(12)의 TQE 가스 주입관(14)에 배치된 TQE 공급 밸브(17) 앞에서 분기된다. 우회 라인(16)에는 TQE 우회 밸브(18)가 배치되어있다. 크래킹 노(도시되지 않음)로부터의 분해 가스는 표시된 화살표(13) 방향으로 PQE(10), SQE(11) 및 TQE(12)로 공급된다.
기체 공급 모드 및 액체 공급 모드를 위한 유리한 퀀칭 시스템의 배열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 4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PQE(10)는 보다 명확하게 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분해 가스를 제 2 열교환기(또는 짧게 SQE)(11)의 SQE 가스 주입관(21)을 향해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하는, PQE(10)로부터 나와 화살표로 표시된 라인(20)이 도시되어 있다.
수평으로 배치된 SQE(11)는 이중 작동을 위해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배치된 트랜스퍼 라인 이중 열교환기(26)(약칭하여 TLX-D(26)라고도 함)와 분해 가스 측상에서 직렬로 연결된다. 냉각될 분해 가스는 제공된 라인(20)을 통해 SQE 가스 주입관(21)에 도달하고, SQE(11)를 통해 SQE 가스 배출관(23)까지 흐른다. 분해 가스는 TLX-D 가스 주입관(25)을 통해, 배열된 TLX-D 가스 공급 라인(24)을 통해 TLX-D(26)의 TLX-D 가스 배출관(27)까지 흐른다.
SQE(11)는 SQE 다운코머(52) 및 SQE 라이저(57)를 통해 냉각 측 또는 물/증기 측 또는 재킷 측상 의 증기 드럼(59)에 연결된다. SQE(11)의 냉각은 SQE 다운코머(52) 및 SQE 라이저(57)를 통한 자연 순환에서 발생한다.
또한, TLX-D(26)는 그 내부에 배치된 TLX-D 다운코머 밸브(39)를 포함하는, 설치된 TLX-D 다운코머(38)를 통해, 그리고 그 내부에 배치된 TLX-D 라이저 밸브(47)를 포함하는, 설치된 TLX-D 라이저(46)를 통해 증기 드럼(59)에 연결된다. TLX-D(26)의 냉각은 TLX-D 다운코머(38) 및 TLX-D 라이저(46)를 통한 자연 순환에서 발생한다.
또한, TLX-D(26)는 그 내부에 설치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31)를 포함하는, 제공된 TLX-D 급수 공급 라인(30)에 연결되고, 그 내부에 설치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35)를 포함하는, 제공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34)을 통해 증기 드럼(59)에 연결된다. TLX-D(26)의 냉각은 배열된 TLX-D 급수 공급 라인(30) 및 TLX-D 급수 드레인 라인(34)을 통한 강제 순환에 의해 이루어진다.
SQE(11)은 TLX-D(26)의 기능 방식의 보다 자세한 설명을 위한 아래의 설명에서 더 이상 고려되지 않을 것이다.
TLX-D(26)는 바람직하게는 2 개의 다른 변형으로 동작될 수 있다. 처리될 분해 가스에 따라, TLX-D(26)는 기체 시재료의 경우 기체 공급 모드에서 급수 예열기로서, 액체 시재료의 경우에 액체 공급 작동 모드에서 증발기로서 작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이한 작동 모드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이미 도입부에서 주어졌으므로, 추가 설명은 생략한다.
급수 예열기로서 작동되는 TLX-D(26)의 기체 공급 모드에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31) 및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35)는 열리고 TLX-D 다운코머 밸브(39) 및 TLX-D 라이저 밸브(47)는 닫힌다. 즉, TLX-D 다운코머(38) 및 TLX-D 라이저(46)는 차단되고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
급수 공급 또는 보일러 급수 공급은 도시되지 않은 펌프에 의해 TLX-D 급수 공급 라인(30)을 통해, 개방된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31)를 통해 TLX-D(26)의 TLX-D 급수 주입관(32)으로 수행된다. 이로써, 급수는 TLX-D 급수 배출관(33)까지, 역류 원리에 따라, 즉, 분해 가스의 유동 방향에 대항하여, 재킷 측상의 TLX-D(26)를 통해 흐른다.
TLX-D 가스 주입관(25)으로부터 파이프 측의 TLX-D(26)를 통해 TLX-D 가스 배출관(27)까지 흐르는 분해 가스는 역류 원리에 따른 TLX-D(26)를 통한 급수의 특히 효과적인 흐름 안내로 인해 미리 정해진 온도로 효율적으로 냉각된다. 방출 되는 열은 안내된 급수에 의해 흡수되며, 급수는 약 150 ℃ 내지 약 300 ℃의 온도로 가열된다. 가열된 급수는 설치된 TLX-D 급수 배출관(33)을 통해 TLX-D(26)를 떠나고, 정열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34)을 통해 그리고 개방된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35)를 통해, 증기 드럼(59)에 설치된 TLX-D 증기 드럼 급수관(36)을 통해 증기 드럼(59)으로 주입된다.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TLX-D(26)의 액체 공급 모드에서, TLX-D 다운코머 밸브(39) 및 TLX-D 라이저 밸브(47)는 개방되고 TLX-D 급수 공급 라인 밸브(31) 및 TLX-D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35)는 폐쇄된다. 즉, TLX-D 급수 공급 라인(30) 및 TLX-D 급수 드레인 라인(34)은 차단되고 작동되지 않는다. 증기 드럼(59)으로의 급수 공급은 설치된 급수 공급 라인(49) 및 증기 드럼에 배치된 급수관(50)을 통해 이루어진다. 필요한 급수는 액체 공급 작동 모드의 경우에 외부 공급원으로부터 증기 드럼(59)으로 공급된다. 이러한 급수의 외부 공급은 TLX-D(26)의 작동 모드에 임의의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더 이상 고려되지 않는다.
TLX-D(26)은 퀀칭 시스템의 포화 증기 시스템 또는 냉각 시스템에 통합된다. 증기 드럼(59)으로부터의 물은, 그것이 TLX-D(26)에 설치된 TLX-D 다운코머(40, 41, 42)에 분배될 때까지, 개방된 TLX-D 다운코머 밸브(39)를 통해 TLX-D, 다운코머(38)을 통해, TLX-D 다운코머 연결부(37)를 통해 지나간다. 물은 재킷 측의 TLX-D(26)를 통해 TLX-D 다운코머 파이프(40, 41, 42)로부터 대향하는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까지 흐른다.
TLX-D(26)를 통해 흐르는 경우, TLX-D 가스 주입관(25)으로부터 파이프 측의 TLX-D(26)를 통해 TLX-D 가스 배출관(27)까지 흐르는 분해 가스는 분해 가스 주입구 온도가 물의 포화 증기 온도의 범위보다 높은, 50 ℃에 가깝고, 바람직하게는 30 ℃ 미만이기 때문에, 현저히 냉각되지 않는데, 분해 가스 주입구 온도의 15 %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 이하로 냉각된다. 그러므로,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를 통해, TLX-D 라이저(46)를 통해 그리고 TLX-D 라이저 밸브(47)를 통해 그리고 TLX-D 증기 드럼 라이저 파이프(48)를 통해 증기 드럼(59) 내로 운반되는 10 t/h 미만의 증기, 바람직하게는 5 t/h 미만의 증기와 같은 소량의 증기 만이 TLX-D(26)의 물 측 또는 자켓 측에서 발생된다. TLX-D(26)는 바람직한 구성으로 인해 매우 낮은 출력으로 작동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모드로 인해, 종래의 TQE가 우회로에 의해 우회될 필요없이, 분해 가스의 응축 온도 아래로의 냉각이 회피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이점은 가스측 우회 회로가 회피될 수 있고 그것에 연결되는 값 비싼 공간의 요구가 제거될 수 있으므로, 상당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기존 TQE와 비교하여 TLX-D(26)의 중요한 기술적 변화는 이중 작동을 위해 구성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기체 공급 모드에서 급수 예열기로서 작동되는 TLX-D를 위한 TLX-D 급수 주입관(32) 및 TLX-D 급수 배출관(33)은 TLX-D(26)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액체 공급 모드에서 증발기로서 작동되는 TLX-D(26)에 대해서는 TLX-D 다운코머 파이프(40,41,42) 및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가 각각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으로 배치된 TLX-D(26)의 TLX-D 급수 주입관(32) 및 TLX-D 급수 배출관(33)은 TLX-D 재킷(28)에서 각각 하부 측 및 상부 측 상에, 각각 TLX-D 가스 배출관(27)의 전방에 및 TLX-D 가스 주입관(25) 뒤에 제공된다. 급수의 공급은 TLX-D 재킷(28)의 하부 측에 설치된 TLX-D 급수 주입관(32)를 통해 이루어지며, 그리고 예열된 급수의 배출은 TLX-D 재킷(28)의 상부 측에 배치된 TLX-D 급수 배출관(33)을 통해 이루어진다.
TLX-D 다운코머(40, 41, 42) 및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의 개수 및 수평 위치는 요구되는 증기 발생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다. 즉, 도 4에 도시된 TLX-D 라이저 파이프와 TLX-D 다운코머 파이프의 개수는 가변적이다. 이 경우, 급수는 TLX-D 재킷(28)의 하부 측에 설치된 TLX-D 다운코머 파이프(40, 41, 42)를 통해 이루어지고, 물/증기 배출은 TLX-D 재킷의 상부 측에 배열된 수평으로 배치된 TLX-D(26)의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를 통해 이루어진다.
TLX-D(26)의 TLX-D 재킷(28)에 의해 둘러싸인 TLX-D 내부(29)에의 배플(62)의 배치 및 위치는 기체 공급 모드에서의 분해 가스 냉각에 기초하여 미리 정해진다. 배플(62)은 특별한 구성을 가지며, 이는 이하에 도시되고 기술될 것이다. 이러한 TLX-D(26)의 배플(62)의 배치 및 위치는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물결선으로 표시된 기체 공급 모드에서의 재킷 측상의 급수 흐름(65)이 도 5의 평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급수는 TLX-D 급수 주입관(32)을 통해 TLX-D(26)로 들어가고, TLX-D의 TLX-D 내부(29)에 설치된 제 1 배플(63)에 의해 급수 공급관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180° 편향되어, 그 단면이 A-A 단면에서 명백한 자유 급수 흐름 섹션(60)을 통해 흐르고, 그리고 TLX-D 재킷(28)의 직경의 10 % 내지 40 % 범위, 바람직하게는 15 % 내지 25 % 범위의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인 최대 높이를 갖는다. 또한, 급수는 또한 180° 편향되고, 제 1 배플(63)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를 두고 TLX-D(26)의 TLX-D 내부(29)에 배치된 제 2 배플(64)의 경우에 제 2 자유 급수 흐름 섹션을 통과한다.
이러한 프로세스는 TLX-D 급수 배출관(33)까지의 TLX-D(26)의 길이의 함수로서 반복된다. TLX-D(26)의 대응 길이는 미리 정해진 정확한 공정 조건으로 가스 및 물/증기 측면에서 미리 정해진다. 배열되는 배플(62)의 개수는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로서 가변적이다. 각각의 배플의 서로 간 거리는 약 100 mm 내지 600 mm, 바람직하게는 300 mm 내지 500 mm의 범위 이내이다.
화살표로 표시된 액체 공급 모드에서의 재킷 측상의 물/증기 흐름(66)은 도 5의 측면도에 도시되어 있다. 물은 TLX-D 다운코머 파이프(40, 41, 42)를 통해 재킷 측상의 수평으로 배치된 TLX-D(26)로 진입하고 직각으로 TLX-D를 가로지른다. 물이 직각으로 TLX-D(26)를 가로지르는 동안, 물의 부분적인 상 전이(phase transition)가 일어난다. 따라서, 물 이외에, 증기 성분도 존재한다. 따라서, 결과적인 증기가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를 통해 배출된다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배플(62)은 상부 영역에서 편평한 구조를 갖는다. 결과적으로, 결과적인 증기가 흐르고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를 통해 배출되는, 자유 체적 또는 증기 공간(61)은 TLX-D 라이저 파이프(43, 44, 45) 아래에 형성된다.
자유 체적 또는 증기 공간(61) 또는 배플(62)의 편평한 부분을 구성할 때, 배플의 편평한 부분은 한편으로는 급수 예열기로서의 TLX-D(26)의 작동 중에 기체 공급 모드에서 원하지 않는 우회 흐름이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작고, 다른 한편으로는 증발기로서의 TLX-D의 작동 중 액체 공급 모드에서 결과적인 증기 성분이 완전히 배출될 수 있을 정도로 커야 한다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편평한 부분의 단면의 최대 높이는 약 5 mm 내지 40 mm,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15 mm의 범위 내로 구성되어야 한다.
TLX-D 다운코머 파이프 및 TLX-D 라이저 파이프의 개수와 위치의 변경 및 배플의 구성 디자인은 이중 작동에서 TLX-D(26)의 신뢰할 수 있는 작동 모드를 위해 중요하다. 따라서, TLX-D(26)가 구성 될 때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이 정확한 방식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Claims (19)

  1.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로서,
    제1 열 교환기, 제2 열 교환기 및 제3 열 교환기를 제공하는 단계;
    이중 작동을 위한 상기 제3 열교환기로서 이중(dual) 또는 교대 작동을 위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transfer line exchanger)를 연결하는 단계;
    기체 시재료의 경우 급수 예열기로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기체 공급 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
    액체 시재료의 경우 증발기로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액체 공급 모드로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의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밸브 및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의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는 상기 액체 공급 모드에서 개방되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의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밸브 및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의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밸브는 상기 기체 공급 모드에서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2. 제 1 항에 있어서, 급수는 역류 원리로 재킷 측에서 기체 분해 가스의 흐름 방향에 대항하도록 안내되고, 개방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밸브를 통해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에서 미리 정해진 온도로 냉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안내되는 급수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내의 분해 가스로부터 방출된 열에 의해 150℃ 내지 300℃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공급 모드에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밸브 및 상기 급수 밸브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에서 폐쇄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밸브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밸브는 개방되고 그리고 급수는 설치된 급수 공급 라인을 통해 증기 드럼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퀀칭 시스템의 포화 증기 시스템 또는 냉각 시스템에 통합되고; 그리고
    물은 증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및 개방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밸브를 통해, 물이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에 설치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파이프로 분배될 때까지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6. 제 5 항에 있어서,
    물은 재킷측의 상기 증기 드럼에서부터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통해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파이프로 흐르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파이프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파이프 반대편에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통해 흐르는 분해 가스는 현저하게 냉각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7. 제 6 항에 있어서,
    물 흐름의 안내로 인해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내부는 포화 증기 온도에 근접한 분해 가스 주입구 온도에 도달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재킷에 의해 물 측 또는 재킷 측에서 소량의 증기가 생성되고; 그리고
    증기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파이프를 통해,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를 통해, 개방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밸브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증기 드럼 라이저 파이프를 통해 상기 증기 드럼 내로 운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퀀칭 시스템을 위한 프로세스.
  8.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으로서,
    제1 열교환기, 제2 열교환기 및 기체 모드 및 액체 공급 모드로의 이중(dual or double) 또는 교대 작동을 위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포함하는 제3 열교환기;
    증기 드럼;
    가스 공급 라인;
    급수 라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제2 열교환기 다운코머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상기 가스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열 교환기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드럼은 상기 급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를 통해 상기 증기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다운코머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제2 열교환기 라이저에 의해 상기 증기 드럼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밸브를 갖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에 배치되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밸브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에 배치되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밸브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를 통해 자연 순환에 의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냉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밸브를 갖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을 더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에 연결되고;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는 상기 증기 드럼을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에 연결하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에 배열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을 통해 강제 순환에 의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냉각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수평으로 연장되어 배치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서로 거리를 두고 배열된 배플을 포함하고;
    상기 배플은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재킷으로 둘러싸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내부에, 수평으로 연장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중심선에 직각으로 배열 및 배치되고,
    상기 배플의 배열 및 위치는 추가로 액체 공급 모드를 초래하는 증기의 생성을 기초로 하여 미리 정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상기 배플 중 제1 배플은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주입관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에 배치 및 배열되고;
    상기 제1 배플은 재킷 측에서 급수 흐름을 180° 편향시키고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배플의 상기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의 최대 높이는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재킷 내부 직경의 10% 내지 40% 범위이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상기 배플 중 제2 배플은 상기 제1 배플에 대해 미리 정해된 거리에 배치 및 배열되고;
    상기 제2 배플은 급수를 180° 편향시키고 상기 제2 배플은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을 가지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상기 배플 중 추가적인 배플 어레이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배출관까지의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길이의 함수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을 가진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길이는 가스 측 및 물/증기 측에서 미리 정해지고;
    상기 배플의 개수는 상기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로서 가변적이고; 그리고
    각각의 배플의 서로간 거리는 100mm 내지 800mm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배플 중 제1 배플은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주입관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에 배치 및 배열되고;
    상기 제1 배플은 재킷 측에서 급수 흐름을 180° 편향시키고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을 가지고;
    상기 제1 배플의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의 최대 높이는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재킷 내부 직경의 15% 내지 25% 범위이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상기 배플 중 제2 배플은 상기 제1 배플에 대해 미리 정해진 거리에 배치 및 배열되며;
    상기 제2 배플은 급수를 180° 편향시키고 상기 제2 배플은 자유 급수 흐름 단면을 가지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상기 배플의 추가적인 배플 어레이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배출관까지의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길이의 함수로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을 가진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길이는 가스 측 및 물/증기 측에서 미리 정해지고;
    상기 배플의 개수는 상기 미리 정해진 공정 조건의 함수로서 가변적이고; 그리고
    각각의 배플의 서로간 거리는 300mm 내지 600mm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은 급수가 수평으로 배치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통해 흐르는 경우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중심선에 직각으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내에 배열되고;
    상기 배플은 상부 영역에 편평한 구조를 가지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파이프를 가지고;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의 자유 체적 또는 증기 공간은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파이프 아래에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배플의 상기 편평한 구조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가 급수 예열기로서 작동하는 동안 기체 공급 모드에서 원하지 않는 우회 흐름이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히 작고; 그리고
    상기 배플의 상기 편평한 구조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가 증발기로서 작동하는 동안 발생된 증기량이 상기 액체 공급 모드에서 완전히 배출되도록 충분히 크고; 그리고
    상기 편평한 구조의 최대 높이는 5mm 내지 40mm 범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8.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으로서,
    제1 열교환기;
    제2 열교환기;
    증기 드럼;
    가스 공급 라인;
    급수 라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라인 밸브를 갖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라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밸브를 갖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밸브를 갖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밸브를 갖는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제2 열교환기 다운코머; 및
    기체 공급 모드 및 액체 공급 모드로의 이중(dual or double) 또는 교대 작동을 위한 제3 열교환기로서 배열되고 구성된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상기 가스 공급 라인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에 직렬로 연결되고;
    상기 증기 드럼은 상기 급수 라인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는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를 통해 상기 증기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는 상기 제2 열교환기 다운코머를 통해 그리고 상기 제2 열교환기 라이저에 의해 상기 증기 드럼에 연결되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의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공급 라인 밸브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급수 드레인 라인의 급수 드레인 밸브는 액체 공급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되고; 그리고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의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다운코머 밸브 및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의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 라이저 밸브는 기체 공급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폐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이중 작동을 위한 상기 제3 열교환기로서 배열 및 구성된 상기 트랜스퍼 라인 교환기와 상기 제2 열교환기 사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다른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 시재료 및 기체 시재료로 크래킹 노를 작동시키기 위한 플랜트용 퀀칭 시스템.
KR1020190026635A 2018-03-09 2019-03-08 퀀칭 시스템 KR102461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8002086.0A DE102018002086A1 (de) 2018-03-09 2018-03-09 Quenchsystem
DE102018002086.0 2018-03-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06798A KR20190106798A (ko) 2019-09-18
KR102461465B1 true KR102461465B1 (ko) 2022-11-01

Family

ID=65801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635A KR102461465B1 (ko) 2018-03-09 2019-03-08 퀀칭 시스템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2) US10744474B2 (ko)
EP (1) EP3536763B1 (ko)
JP (1) JP7364346B2 (ko)
KR (1) KR102461465B1 (ko)
CN (1) CN110243220A (ko)
CA (1) CA3034486A1 (ko)
DE (1) DE102018002086A1 (ko)
ES (1) ES2942785T3 (ko)
FI (1) FI3536763T3 (ko)
HU (1) HUE062052T2 (ko)
PL (1) PL3536763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54551A (zh) * 2020-10-26 2021-01-22 常州江南冶金科技有限公司 一种焦炉用上升管换热器安全运行系统
EP4053452B1 (en) * 2021-03-05 2023-09-27 ALFA LAVAL OLMI S.p.A. Process heat recovery system
CN114034029A (zh) * 2021-10-28 2022-02-11 中冶南方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带控制高回路强化汽水分离的汽化冷却系统及其方法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4666A1 (de) 1975-12-05 1977-06-08 Otto & Co Gmbh Dr C Wassergekuehlter hochtemperatur- vergaser
DE19901656A1 (de) 1999-01-18 2000-07-20 Abb Alstom Power Ch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Temperatur am Austritt eines Dampfüberhitzers
JP2001506288A (ja) 1996-12-18 2001-05-15 メタルゲゼルシャフ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循環流動層中で固体燃料をガス化させる方法
US20050095183A1 (en) 2003-11-05 2005-05-05 Biomass Energy Solution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biomass gasification
DE102006055973A1 (de) 2006-11-24 2008-05-29 Borsig Gmbh Wärmetauscher zur Kühlung von Spaltgas
JP2009500493A (ja) 2005-07-08 2009-01-08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炭化水素パイロリシス排出物の処理法
US20090030254A1 (en) 2007-06-26 2009-01-29 Spicer David B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Liquid Bottoms from Vapor/Liquid Separator During Steam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WO2010049592A1 (en) 2008-10-31 2010-05-06 Upm-Kymme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biofuel from solid biomass
WO2013068643A1 (en) 2011-11-09 2013-05-16 Upm-Kymmene Corpora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ducing liquid fuel from biomass
CN105698572A (zh) 2014-12-11 2016-06-22 波尔希克有限公司 淬火冷却系统
CN206531413U (zh) 2017-01-19 2017-09-29 南京天华化学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裂解急冷换热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14229A (en) * 1983-06-20 1986-09-30 Exxon Research & Engineering Co.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 recovery of heat from hot gases that tend to foul heat exchanger tubes
US4479869A (en) * 1983-12-14 1984-10-30 The M. W. Kellogg Company Flexible feed pyrolysis process
DE3643801A1 (de) * 1986-12-20 1988-07-07 Borsi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uehlen von spaltgas
DE3721475C1 (de) * 1987-06-30 1989-03-23 Asea Brown Boveri Anlage zur Pyrolyse von Abfallmaterial
JP2881034B2 (ja) * 1991-02-07 1999-04-12 バブコック日立株式会社 熱分解炉用熱交換装置
DE59300573D1 (de) 1992-03-16 1995-10-19 Siemens Ag Verfahren zum Betreiben einer Anlage zur Dampferzeugung und Dampferzeugeranlage.
JP2000088478A (ja) 1998-09-14 2000-03-31 Osaka Gas Co Ltd 熱交換器
JP2003279215A (ja) 2002-03-22 2003-10-02 Hitachi Ltd 空気冷却システム及びガスタービン発電システム
CN100526267C (zh) * 2006-05-18 2009-08-12 中国石油天然气股份有限公司 一种乙烯装置急冷油的减粘方法
US7582201B2 (en) * 2006-12-05 2009-09-01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ontrolling tar by quenching cracked effluent from a liquid fed gas cracker
US7730854B2 (en) * 2007-05-23 2010-06-08 Uop Llc Process for steam heat recovery from multiple heat streams
US8074973B2 (en) * 2007-10-02 2011-12-1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oling pyrolysis effluent
US20090203951A1 (en) * 2008-02-11 2009-08-13 Stone & Webster Process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using heat generated by the production of light olefins
US9157042B2 (en) * 2008-07-16 2015-10-13 Kellogg Brown & Root Llc Systems and methods for producing substitute natural gas
CN102492456B (zh) 2011-11-20 2013-12-18 中国石油化工股份有限公司 一种乙烯裂解炉用急冷换热器
JP5411312B2 (ja) 2012-03-29 2014-02-12 メタウォーター株式会社 有機性廃棄物の処理装置、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および制御装置
CN203240947U (zh) 2013-04-18 2013-10-16 劳特斯空调(江苏)有限公司 1/2弓形折流板式换热器
US9334204B1 (en) * 2015-03-17 2016-05-10 Siluria Technologies, Inc. Efficient oxidative coupling of methane processes and systems
CN106931823A (zh) 2017-03-21 2017-07-07 茂名重力石化装备股份公司 一种舌形折流板及管壳式换热器
EP3415587B1 (en) 2017-06-16 2020-07-29 Technip France Cracking furnace system and method for cracking hydrocarbon feedstock therein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54666A1 (de) 1975-12-05 1977-06-08 Otto & Co Gmbh Dr C Wassergekuehlter hochtemperatur- vergaser
JP2001506288A (ja) 1996-12-18 2001-05-15 メタルゲゼルシャフト・アクチエンゲゼルシャフト 循環流動層中で固体燃料をガス化させる方法
DE19901656A1 (de) 1999-01-18 2000-07-20 Abb Alstom Power Ch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Regelung der Temperatur am Austritt eines Dampfüberhitzers
US20050095183A1 (en) 2003-11-05 2005-05-05 Biomass Energy Solutions, Inc. Process and apparatus for biomass gasification
JP2009500493A (ja) 2005-07-08 2009-01-08 エクソンモービル・ケミカル・パテンツ・インク 炭化水素パイロリシス排出物の処理法
DE102006055973A1 (de) 2006-11-24 2008-05-29 Borsig Gmbh Wärmetauscher zur Kühlung von Spaltgas
US20090030254A1 (en) 2007-06-26 2009-01-29 Spicer David B Process and Apparatus for Cooling Liquid Bottoms from Vapor/Liquid Separator During Steam Cracking of Hydrocarbon Feedstocks
WO2010049592A1 (en) 2008-10-31 2010-05-06 Upm-Kymmen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liquid biofuel from solid biomass
WO2013068643A1 (en) 2011-11-09 2013-05-16 Upm-Kymmene Corporation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ducing liquid fuel from biomass
CN105698572A (zh) 2014-12-11 2016-06-22 波尔希克有限公司 淬火冷却系统
CN206531413U (zh) 2017-01-19 2017-09-29 南京天华化学工程有限公司 一种多功能裂解急冷换热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243220A (zh) 2019-09-17
JP2019158332A (ja) 2019-09-19
BR102019004216A2 (pt) 2019-10-01
EP3536763B1 (de) 2023-03-08
CA3034486A1 (en) 2019-09-09
JP7364346B2 (ja) 2023-10-18
US10981134B2 (en) 2021-04-20
HUE062052T2 (hu) 2023-09-28
FI3536763T3 (fi) 2023-05-15
KR20190106798A (ko) 2019-09-18
PL3536763T3 (pl) 2023-07-10
DE102018002086A1 (de) 2019-09-12
ES2942785T3 (es) 2023-06-06
US10744474B2 (en) 2020-08-18
US20200316548A1 (en) 2020-10-08
EP3536763A1 (de) 2019-09-11
US20190275488A1 (en) 2019-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1465B1 (ko) 퀀칭 시스템
US7784433B2 (en) Heat exchanger for cooling reaction gas
US7487955B1 (en) Passive desuperheater
JP4942480B2 (ja) 貫流ボイラとその始動方法
KR100679752B1 (ko) 발열성 기체상 반응을 실행하기 위한 다중구역 관형 반응기
KR20100132029A (ko) 이퀄라이징 챔버를 가진 연속 스팀 발생기
NO166300B (no) Innretning for oppvarming av damp som er dannet av kjoelevann.
JP4489773B2 (ja) 貫流ボイラとその運転方法
US3576178A (en) Shell-and-tube steam generator with economizer
US3130780A (en) Live steam reheater
US4700772A (en) Heat exchanger system
US2333077A (en) Furnace construction
US4421065A (en) Heating equipment for an installation using steam and heated gas
JP4489775B2 (ja) 横形貫流ボイラとその運転方法
KR100922120B1 (ko) 수분 분리 가열기
US3604501A (en) Heat exchanger
US3254631A (en) Tubulous vapour generator
TW200409883A (en) Method to operate a steam-generaaor in horizontally situated construction and steam-generator to perform said method
BR102019004216B1 (pt) Sistema de têmpera e processo para um sistema de têmpera
US489260A (en) Evaporating apparatus
EP4053452B1 (en) Process heat recovery system
US3374833A (en) Heating still
SU270665A1 (ru) Аппарат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получения концентрированного виноградного сусла
RU2619125C2 (ru) Конфигурация системы предварительного мгновенного испарения и множественный впрыск сырья в способе дистилляции сырой нефти
US1566539A (en) Evapo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