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1296B1 -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1296B1
KR102461296B1 KR1020210171129A KR20210171129A KR102461296B1 KR 102461296 B1 KR102461296 B1 KR 102461296B1 KR 1020210171129 A KR1020210171129 A KR 1020210171129A KR 20210171129 A KR20210171129 A KR 20210171129A KR 102461296 B1 KR102461296 B1 KR 102461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walls
roller
plate
modular system
leg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금성
이상섭
오근영
곽명근
백정훈
김은영
부윤섭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10171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12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1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12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84Assembling details for foldable, separable, collapsible or retractable structures
    • E04B2001/3438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체가 Z형으로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도록 하여 운송 시 부피를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보조링크와 충격흡수수단을 이용하여 양 측벽체가 접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여 안정적이고 사용성이 극대화된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FOLDABLE MODULAR SYSTEM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서로 마주보는 양 측벽체가 Z형으로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도록 하여 운송 시 부피를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 보조링크를 이용하여 양 측벽체가 접어지는 과정에서 서로 접촉하여 발생하는 손상을 방지하면서, 충격방지수단을 이용하여 보다 안정적이고 사용성이 극대화된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는 종래 모듈러유닛(10)의 설치예시도이다.
즉, 종래 모듈러유닛(10) 여러 개를 수직 및 수평으로 적층하여 모듈러건축물로 이용하기 위하여 모듈러유닛(10)은 예컨대 강재, 채널부재 등을 이용하여 기둥(11)과 보(12)로 이루어진 박스체 형태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공장에서 미리 필요한 천정설비, 배수설비, 칸막이 등을 함께 설치한 것을 설치하여 용도에 맞는 모듈러 건축물로 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박스체 형태로 미리 고정 제작된 모듈러유닛(10)은 미리 제작하여 운반 및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차량 운송 시 부피를 많이 차지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도 1a의 하부에 도시된 것과 같이, 차량 운송 시 운송부피를 절감하기 위하여 “플랫-팩 시스템”으로서, 컨테이너 같은 구조물을 대체하기 위하여 조립부재를 포장한 상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순서에 맞추어 간단하게 조립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소개되어 있으나, 조립 시간이 수 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신속성이 다소 떨어지는 한계가 있었다.
도 1b는 종래 차량 운송 시 운송부피를 절감할 수 있는 중간 폴더링 방식의 모듈러유닛(20) 예시도이다.
먼저 도 1b의 위쪽에 도시된 중간 폴더링 방식의 모듈러유닛(20)은 상판, 저판, 양 측벽체로 구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체 형상으로 제작하되,
양 측벽체(21)는 내측으로 개략 중간이 회전하면서 접히도록 함으로서 수평판체 형태로 운반하여 현장에서 양 측벽체(21)를 기립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소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창호 등이 미리 설치된 전, 후벽체(22)는 접히지 않고 회전시켜 최종 기립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현장에서 조립 시간은 거의 소요되지 않는 장점은 있으나, 양 측벽체(21)가 중간에서 접히도록 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양 측벽체(21)에 필요한 창호, 출입구를 설치하기 어렵고, 최소한 높이 보다는 큰 폭을 가지도록 제작해야 하는 등 구조적 제한이 있으며 내측으로 접히는 구조이므로 횡력에 대한 저항을 위한 내부보강이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1b의 아래쪽에 도시된 수평 확장형 모듈러유닛(30)은 역시 상판, 저판, 양 측벽체로 구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박스체 형상으로 제작하는 것은 도 1a와 같이 동일하고,
양 측벽체(31)는 서랍과 같이 내부에서 외부로 수평으로 확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내부공간을 현장에서 더 확장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확장된 양 측벽체에 단차가 형성됨으로서, 설비배관 및 실내공간 활용에 다소 제약이 따른다는 것을 알 수 있고,
모듈러유닛(30)을 수평판 형태로 운송하지 못하기 때문에 차량 이송 시 부피가 커지는 한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1c는 종래 Z폴더형 접이식 컨테이너(60) 예시도이다.
즉, 양 측벽체(67)가 중간 폴더링 방식이 아니라 상면과 저면이 상판과 저판에 피봇 연결된 버팀대(65)에 힌지 연결시킨 양 측벽체(67)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도록 하는 Z폴더형 접이식 방식이 소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버팀대(65)를 이용하게 되면 양 측벽체(67)가 버팀대(65)가 힌지로 연결되는 중간지지점을 이용하여 접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접히도록 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버팀대(65)의 지지강성이 커져야 하기 때문에 다소 불안정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게 된다.
도 1d는 종래 Z폴더형 접이식 컨테이너(70)의 다른 예시도이다.
즉, 양 측벽체가 중간 폴더링 방식으로 접히도록 하는 것이 아님은 도 1c와 동일하지만 버팀대를 사용하지 않고, 양 측벽체(3,4)의 일측은 상판(1) 또는 저판(2)에 힌지로 연결되고, 타측은 상판(1)과 저판(2)에 롤러로 연결 되도록 하여
롤러로 연결된 양 측벽체(3,4)의 타측이 상판(1)과 저판(2)을 따라 이동하면서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도록 하는 Z폴더형 접이식 방식도 소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종래 접이식 컨테이너의 경우 양 측벽체가 서로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도록 하는 Z폴더형 접이식 컨테이너는 버팀대 사용 방식 또는 롤러와 힌지 병행 사용 방식이 이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는 대부분 상판을 인양하거나 하강시키면서 진행되다 보니 접힌 양 측벽체가 상,하로 접촉되면서 손상이 발생하게 되어 뒤틀림이 발생하는 등의 하자 문제로 창호 등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으며, 양 측벽체가 접히는 과정에서 충격이 발생하여 안정성과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20-0066669호, 공개일(2020년06월10일), 발명의 명칭:접이식 컨테이너)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127661호, 공개일(2020년06월10일), 발명의 명칭:팝업형 임시 주거용 구조물) 중국 등록실용신안 제20272826호, 공개일(2013년02월13일), 발명의 명칭: 폴더블 비분리 컨테이너) 미국 특허 제2016/0251153호, 공개일(2016년09월01일), 발명의 명칭: 새로운 접이식 컨테이너)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종래 플랫-팩 및 Z폴더형 접이식 방식이 가지는 패키지형 포장의 장점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현장에서 조립 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고, 양 측벽체의 중간 높이가 접혀 구조적 불안정을 해소할 수 있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Z폴더형 접이식 방식에 있어 그대로 회전시켜 양 측벽체를 접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측벽체의 손상을 최소화하고, 완전히 접혔을 때 측벽체 사이의 공간을 유지하여 창호나 마감재를 보호할 수 있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이식 모듈럿 방식에 있어 양 측벽체 내부에 쇼크 앱소버(쇼바)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수단을 롤러에 연결시킨 것과 같은 충격흡수수단을 설치하여 안정성과 내구성 및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은, 박스체 형태로 세팅된 상태에서 양 측벽체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상판과 저판 사이에 수평하게 접히도록 하여 수평판체 형태로 세팅되도록 하는 Z폴더형 접이방식을 이용한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있어서, 수평판체로서 양 측벽체가 상판과 저판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세팅되는 과정에서 서로 상,하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보조링크를 이용하되, 상기 보조링크는, 양 측벽체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릿홈에 양 레그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베어링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 내측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부 및 양 레그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보조링크의 베어링부는, 양 레그부의 타단을 서로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가 서로 회전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지도록 하게 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은, (a) 상판과 저판 사이에 수직판 형태로 힌지부(A1)와 롤러부(A2)가 형성된 양 측벽체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b) 상판과 저판 사이에 수직판 형태로 세팅된 양 측벽체의 힌지부(A1)와 롤러부(A2)를 이용하여 그대로 회전시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상판과 저판 사이에서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히기 이전에 양 측벽체에 보조링크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판과 저판 사이에서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힌 양 측벽체가 보조링크에 의하여 수평판체로 세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의 보조링크는, 수평판체로서 양 측벽체가 상판과 저판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세팅되는 과정에서 서로 상,하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용하되, 양 측벽체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도록 하며, 상기 보조링크는, 양 측벽체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릿홈에 양 레그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베어링부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 내측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부 및 양 레그부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는 V자형 보조링크를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긴급한 상황이 발생하였을 때 신속한 설치를 통해 즉각적인 운용이 가능하게 되며, 수평판체 형태로 접은 상태로 운송하기 때문에 기존 긴급시설용 컨테이너에 대비하여 운송 효율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완전히 접었을 때 부피를 약 1/3 정도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보관 효율이 높아지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추가 설치되는 보조링크를 통해 벽체가 바닥과 닿아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공간 수요에 맞춰 여러 개를 연결하여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선별진료소 등으로 활용 가능하고, 대형 사고 발생 시 현장에서 지휘하기 위한 재난현장본부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주거성능을 만족하도록 구성 소재로 설계하여 이재민 등의 임시주거시설로도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쇼크 앱소버(쇼바)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수단을 롤러에 연결시켜 양 측벽에 내장시켜 양 측벽체의 폴딩시 파손, 충격, 소음을 최소화시켜 안정성, 내구성과 사용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종래 모듈러유닛의 설치예시도,
도 1b는 종래 중간 폴더링 방식의 모듈러유닛 예시도,
도 1c는 종래 Z폴더형 접이식 컨테이너 예시도,
도 1d는 종래 Z폴더형 접이식 컨테이너의 다른 예시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보조링크 예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수단이 설치된 양 측벽체 예시도,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의 접힘 과정 및 최종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 ]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 및 보조링크(120) 예시도, 도 2c는 본 발명의 충격흡수수단(150)이 설치된 양 측벽체(110) 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상기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은 도 2a를 참조하면,
박스체 형태로 세팅된 상태에서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 수평하게 접히도록 하여 수평판체 형태로 세팅되는 Z폴더형 접이방식을 이용하게 된다.
이때 양 측벽체(110), 예컨대 박스체의 전면 및 후면벽체에는 창호, 출입문이 미리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도 3e를 참조하면, 사각 박스체로서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모듈러시스템을 서로 측방 연결함에 있어 연결통로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양 측벽체(110)는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기 때문에 상,하로 수평판 형태로 세팅됨을 알 수 있는데, 이때 양 측벽체(110)에는 창호, 출입문이 미리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손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양 측벽체에 뒤틀림이 발생하는 등의 사용성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세팅되는 과정에서 서로 상,하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보조링크(120)를 이용하게 되며,
이러한 보조링크(120)는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혀지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릿홈(111)에 양 레그부(121)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 내측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부(123) 및 스토퍼(124)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는 V자형 보조링크가 이용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상기 보조링크(120)를 통해 양 측벽체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로서 도 3d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에 의하면, 운송시 부피가 수평판체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량을 한꺼번에 운반이 가능하고, 달리 창호, 출입문 설치작업이 배제되어 신속하게 박스체 형태로 세팅시킬 수 있기 때문에,
도 3e와 같이, 공간 수요에 맞춰 여러 개를 연결하여 설치된 모듈러건축물은 감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선별진료소등으로 활용 가능하고, 대형 사고 발생 시 현장에서 지휘하기 위한 재난현장본부, 주거성능을 만족하도록 구성 소재로 설계하여 이재민 등의 임시주거 시설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에 롤러부(A2)는 상판(130) 또는 저판(140)에 형성된 레일부(113)에 삽입된 롤러(114)가 양 측벽체(110)의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시키게 되는데 레일부(113)의 평탄성이 손상될 경우 양 측벽체(110)가 접히거나 기립 시 소음, 진동에 의한 뒤틀림등이 발생할 수 있어 이를 상쇄시켜주기 위해 양 측벽체(110) 내부에는 롤러(114)와 연결된 쇼크 앱소버(쇼바)를 포함하는 충격흡수수단(150)이 추가로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안정성, 내구성 및 사용성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상기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은 도 2a, 도 2b 및 도 2c와 같이, 양 측벽체(110), 보조링크(120), 상판(130), 저판(140), 충격흡수수단(150)을 포함하게 된다.
상기 양 측벽체(110)는 도 2a를 참조하면 일정한 두께를 가진 수직판재로서 창호(115), 출입문(116)이 미리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에 양 측벽체(110)를 그대로 회전시켜 수평판 형태로 상,하로 접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창호, 출입문 이외 필요한 설비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양 측벽체(110)를 그대로 회전시키기 위해서,
도 2b와 같이, 양 측벽체(110)중 일측 측벽체(110a)는 상단 모서리가 상판(130)의 연결링크(131)에 의하여 힌지부(A1)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 모서리는 저판(140)과 롤러부(A2)로 연결 되도록 하고 있어,
상기 힌지부(A1)는 회전, 롤러부(A2)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일측 측벽체(110a)와 이격된 타측 측벽체(110b)는 상단 모서리가 상판(130)과 롤러부(A2)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 모서리는 연결링크(141)에 의하여 힌지부(A1)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어,
역시 힌지부(A1)는 회전, 롤러부(A2)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일측 측벽체(110a)와 타측 측벽체(110b)의 상단은 힌지부(A1)와 롤러부(A2),
하단은 롤러부(A2), 힌지부(A1)로 연결됨으로서
상판(130)을 인양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저판(140)에 상,하로 접힌 양 측벽체(110)가 상,하로 세팅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이와 같이 상,하로 세팅된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보조링크(120)가 설치되어 서로 접촉을 방지하면서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에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슬릿홈(111)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양 측벽체(110)는 강재프레임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측면에 양 단부홈(111a)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슬릿(111b)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 단부홈(111a)에 후술되는 보조링크(120)의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장슬릿(111b)을 따라 양 레그부(12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의 힌지부(A1)는 상판(130) 또는 저판(140)의 모서리에 힌지로 연결된 연결링크(131,141)에 양 측벽체(110)의 상단 또는 하단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양 측벽체(110)의 롤러부(A2)는 상판(130) 또는 저판(140)에 형성된 레일부(113)에 삽입된 롤러(114)가 양 측벽체(110)의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 측벽체(110)의 상리 롤러부(A2)의 롤러(114)와 연결되는 충격흡수수단(150)이 내장되어 있음을 알 수 있고, 이러한 충격흡수수단(150)에 의하여 양 측벽체(110)가 접히거나 기립 시 소음, 진동에 의한 뒤틀림등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상기 보조링크(12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전체적으로 V자형 보조링크로서, 양 레그부(121), 베어링부(122), 간격조절부(123), 스토퍼(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도 2b를 참고하면 인접한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추가로 장착시키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며, 최종 양 측벽체(110)로터 분리되어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보조링크(120)는 도 2a와 같이, 상판(130)이 인양 후 하강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110)가 서로 경사져 접히게 되고, 이러한 양 측벽체(110)를 서로를 구속하도록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홈(111)에 양 레그부(121)가 연결되도록 하여 장착되면서,
상기 보조링크(120)를 통해 양 측벽체(110)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양 레그부(12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진 레그부재로서 일단은 양 측벽체(110: 110a,110b)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홈(111)의 양 단부홈(111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슬릿홈(111)의 연장슬릿(111b)을 따라 각각 이동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연장슬릿(111b)을 따라 각각 이동함에 따라 양 측벽체(110:110a,110b)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힘에 따라 서로 인접한 슬릿홈(111)의 간격 및 양 레그부(121)의 삽입 위치에 변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2b를 참조하면 양 레그부(121)의 타단은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베어링부(122)를 기준으로 양 레그부(121)는 회전하여 서로 접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부(122)는 양 레그부(121)의 타단을 서로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가 서로 회전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2b를 참조하면, 상기 간격조절부(123)는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타단이 구속된 양 레그부(121)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양 레그부(121)의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가이드핀(123a)이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핀(123a)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호형가이드(123b)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에 양 레그부(121)는 가이드핀(123a)이 호형가이드(123b)를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벌어지게 되어 또한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슬릿홈(11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양 레그부의 타단을 서로 구속하면서도 양 레그부(121)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베어링부(112) 주위의 양 레그부(121)중 어느 하나의 레그부(121)에는 돌출된 블록 형태의 스토퍼(124)가 더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24)에 접하는 다른 레그부(121)가 더 이상 접히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양 레그부(121)는 서로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양 측벽체(110)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측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상판(130)은 도 2를 참조하면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의 루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판(130)은 용도에 맞는 재질로 제작하면 되는데 테두리 형강이 형성된 강재프레임 내측에 우레탄폼(단열재), 슬래브(목재)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30)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연결링크(131)가 모서리에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양 측벽체(110)와 상판(130)이 서로 힌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상판(130)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롤러(114)가 이동할 수 있도록 ㄷ자형 채널을 포함하는 레일부(1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에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저판(140)은 도 2a를 참조하면 상판(130)이 상하대칭으로 설치된 것으로서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의 바닥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역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저판(140)도 용도에 맞는 재질로 제작하면 되는데 테두리 형강이 형성된 강재프레임 내측에 우레탄폼(단열재), 슬래브(목재) 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상판(130)과 동일하다.
또한 상기 저판(140)에도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연결링크(141)가 모서리에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양 측벽체(110)와 저판(140)이 서로 힌지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저판(140)에는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롤러(114)가 이동할 수 있도록 ㄷ자형 채널을 포함하는 레일부(1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의 저면 또는 저판(14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충격흡수수단(150)은 도 2a 및 도 2c와 같이, 보조링크(120)가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접히면서 상,하로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면서 분리 가능하도록 한 것인 반면 중량의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과 저판(140)의 레일부(113)가 운반, 설치 및 해체과정에서 다양한 사용조건(온도, 습도등에 따른 팽창, 축소를 통하여 발생하는 변형등)에 따라 레일부(113)가 직선상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뒤트러지는등의 요인에 의하여 양 측벽체(110)에 충격이 가해지면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는 등의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이러한 레일부(113)를 따라 이용하는 롤러(114)에 충격흡수수단(150)을 연결하고, 양 측벽체(110)에 내장시킴으로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수단(150)은 쇼크 앱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하게 된다.
통상 쇼바라고도 하는데, 코일스프링, 오일실린더를 이용하는 기계식 쇼크 앱소버(Shock Absorber)가 이용될 수 있고, 유압식, 전자식 쇼크 앱소버(Shock Absorber)도 사용이 가능하지만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쇼크 앱소버(Shock Absorber)를 이용하는 예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에 상기 충격흡수수단(150)은 롤러브라켓(151), 오일실린더(152), 코일스프링(153)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롤러브라켓(151)은 도 2c와 같이, 레일부(113)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114)와 충격흡수수단(150)을 연결 시켜주기 위한 브라켓으로 하단은 롤러(114)와 일체화되고 상단은 볼트와 같은 고정구에 의하여 오일실린더(152)의 하부로 연장된 연결암에 고정되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판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먼저 상기 오일실린더(152)는 도 2c와 같이,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에 형성된 피스톤홀을 통해 오일이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코일스프링(153)은 도 2c와 같이, 오일실런더 내부로터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암의 상단이 상단고정플레이트에 의하여 양 측벽체를 구성하는 강재프레임의 테두리 형강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단고정플레이트와 오일실린더(152) 사이의 피스톤암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충격을 기계적으로 흡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롤러(114)로부터 전달되는 상방으로 작용하는 충격등은 롤러브라켓(151)을 통해 오일실린더(152)로 전달되고, 오일실린더(152)와 코일스프링(153)에 의한 유압과 탄성력에 의하여 댐핑 효과(충격등 흡수)를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충격흡수수단(150)은 양 측벽체를 구성하는 강재프레임의 테두리 형강 내부에 내장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 측벽체(110)의 설치 및 해체 시 전달되는 충격등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소음과 진동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 내구성 및 사용성 증진에 효과적이게 된다.
[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 시공방법]
도 3a, 도 3b, 도 3c, 도 3d 및 도 3e는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의 접이과정 및 최종 설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 시공방법은,
박스체 형태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을 보조링크(120)와 충격흡수수단(150)를 이용하여 수평판체 형태로 세팅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수평판체 형태로 세팅된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은 운반되어 다시 박스체 형태로 세팅되도록 하게 된다.
이에 박스체 형태에서 수평판체 형태로 세팅하되 상,하로 겹쳐진 양 측벽체(110)의 손상을 방지하면서 일정한 이격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보조링크(120)를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는 과정에 사용되게 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등을 접이식 충격흡수수단(150)이 흡수하게 된다.
이에 도 4에 의하면 먼저 보조링크(120)와 충격흡수수단(150)을 이용하여 세팅된 박스체 형태로서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 수직판 형태로 힌지부(A1)와 롤러부(A2)가 형성된 양 측벽체(110)가 구비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S110)
즉, 도 3a를 참조하면, 상기 상판(130)은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의 루프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으로서,
테두리 형강이 형성된 강재 프레임 내측에 우레탄폼(단열재), 슬래브(목재)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살펴본 바와 같으며,
상기 상판(130)에는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연결링크(131)가 모서리에 저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어 양 측벽체(110)와 상판(130)이 서로 힌지 연결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롤러(114)가 이동할 수 있도록 ㄷ자형 채널을 포함하는 레일부(113)가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의 저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도록 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상기 저판(140)은 도 3a를 참조하면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의 바닥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역시 수평판 형태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테두리 형강이 형성된 강재프레임 내측에 우레탄폼(단열재), 슬래브(목재)등을 추가로 설치할 수 있음은 상판(130)과 동일하다.
상기 양 측벽체(110)는 도 2b 및 도 3a를 참조하면 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슬릿홈(111)은 양 단부홈(111a)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슬릿(111b)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체(110)에는 힌지부(A1)와 롤러부(A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판(130) 또는 저판(140)을 따라 그대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세팅되며, 롤러와 연결되는 충격흡수수단(150)이 내장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의하면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 수직판 형태로 세팅된 양 측벽체(110)의 힌지부(A1)와 롤러부(A2)를 이용하여 그대로 회전시켜 접힐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S120)
도 3b를 참조하면, 양 측벽체(110)의 힌지부는 상판(130) 또는 저판(140)의 모서리에 힌지로 연결된 연결링크(131,141)에 양 측벽체(110)의 상단 또는 하단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고,
양 측벽체(110)의 롤러부는 상판(130) 또는 저판(140)에 형성된 레일부(113)에 삽입된 롤러(114)가 양 측벽체(110)의 모서리가 연결되도록 하여 형성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양 측벽체(110)를 구성하는 일측 측벽체(110a)와 이격된 타측 측벽체(110b)를 기준으로 도 2a를 참고하여 살펴보면,
일측 측벽체(110a)는 상단 모서리가 상판(130)과 연결링크(131)에 의하여 힌지부(A1)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 모서리는 롤러부(A2)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어, 역시 힌지부(A1)는 회전, 롤러부(A2)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되고,
타측 측벽체(110b)는 상단 모서리가 상판(130)과 롤러부(A2)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 모서리는 연결링크(141)에 의하여 힌지부(A1)로 연결되도록 하고 있어, 역시 힌지부(A1)는 회전, 롤러부(A2)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일측 측벽체(110a)와 타측 측벽체(110b)의 상단은 힌지부(A1)와 롤러부(A2), 하단은 롤러부(A2), 힌지부(A1)로 연결됨으로서 상판(130)을 인양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저판(140)에 상,하로 접힌 양 측벽체(110)가 상,하로 세팅되도록 하는 과정이 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롤러와 연결되는 충격흡수수단(150)에 의하여 접히는 과정에서의 충격등이 역시 흡수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의하면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히기 이전에 양 측벽체(110)에 보조링크(120)를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S130)
즉, 도 2b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슬릿홈(111)이 형성되어 있고,
양 측벽체(110)는 강재프레임으로 형성되도록 하여 측면에 양 단부홈(111a)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슬릿(111b)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 단부홈(111a)에 보조링크(120)의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장슬릿(111b)을 따라 양 레그부(121)가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는 보조링크(120)를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히기 이전에 양 측벽체(110)에 형성된 양 단부홈(111a)에 삽입 설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조링크(120)는 도 2b를 참조하면,
일정한 길이를 가진 레그부재로서 일단은 양 측벽체(110:110a,110b)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홈(111)의 양 단부홈(111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슬릿홈(111)의 연장슬릿(111b)을 따라 각각 이동하도록 하는 양 레그부(121), 상기 양 레그부(121)의 타단을 서로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가 서로 회전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베어링부(122), 및 상기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타단이 구속된 양 레그부(121)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간격조절부(123)로 형성되어,
상기 양 레그부(121)의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가이드핀(123a)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고, 상기 가이드핀(123a)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호형가이드(123b)로 형성되어, 양 레그부(121)는 가이드핀(123a)이 호형가이드(123b)를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벌어지게 되어 또한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슬릿홈(11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양 레그부의 타단을 서로 구속하면서도 양 레그부(121)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베어링부(112) 주위의 양 레그부(121)중 어느 하나의 레그부(121)에는 돌출된 블록 형태의 스토퍼(124)가 더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124)에 접하는 다른 레그부(121)가 더 이상 접혀지도록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양 레그부(121)는 서로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양 측벽체(110)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임은 살펴본 바와 같고 역시 롤러와 연결되는 충격흡수수단(150)이 접히는 과정에서의 충격등을 흡수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에 의하면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힌 양 측벽체(110)가 보조링크(120)에 의하여 수평판체로 세팅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S140)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보조링크(120)는,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릿홈(111)에 양 레그부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 내측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부(123)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는 V자형 보조링크가 이용됨으로서,
상기 보조링크(120)를 통해 양 측벽체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벽체에 설치된 창호와 마감재 등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수평판체로 세팅된 상판(130), 충격흡수수단(150)이 내장된 양 측벽체(110), 보조링크(120), 저판은 차량 등으로 신속하게 다수를 운반할 수 있게 되며, 보조링크(120)는 분리하여 재사용하도록 하게 된다.
이로서 도 3e와 같이, 본 발명의 접이식 모듈러시스템에 의하면, 운송 시 부피가 수평판체로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수량을 한꺼번에 운반이 가능하고, 달리 창호, 출입문 설치작업이 배제되어 신속하게 박스체 형태로 세팅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110, 110a, 110b: 양 측벽체, 일측 측벽체, 타측 측벽체
111: 슬릿홈
111a: 양 단부홈 111b: 연장슬릿
112: 베어링부 113: 레일부
114: 롤러 115: 창호
116: 출입문 120: 보조링크
121: 양 레그부 122: 베어링부
123: 간격조절부 123a: 가이드핀
123b: 호형가이드 124: 스토퍼
130: 상판 131: 연결링크
140: 저판 141: 연결링크
150: 충격흡수수단(쇼바)
151: 롤러브라켓 152: 오일실린더
153: 코일스프링
A1: 힌지부 A2: 롤러부

Claims (20)

  1. 박스체 형태로 세팅된 상태에서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 수평하게 접히도록 하여 수평판체 형태로 세팅되도록 하는 Z폴더형 접이방식을 이용한 접이식 모듈러시스템(100)에 있어서,
    수평판체로서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세팅되는 과정에서 서로 상,하로 접촉하지 않도록 하는 보조링크(120)를 이용하되,
    상기 보조링크(120)는,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릿홈(111)에 양 레그부(121)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 내측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부(123) 및 레그부(12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24)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며, 상기 보조링크(120)의 베어링부(122)는, 양 레그부(121)의 타단을 서로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가 서로 회전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체(110)는,
    측면에 연장형성 된 슬릿홈(111)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홈(111)은
    양 측벽체(110) 측면에 형성된 양 단부홈(111a)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슬릿(111b)으로 형성되어, 상기 양 단부홈(111a)에 보조링크(120)의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삽입되어 연장슬릿(111b)을 따라 양 레그부(121)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체(110)는,
    일측 측벽체(110a)와 타측 측벽체(110b)로 구성된 수직판재로서 창호(115), 출입문(116)을 더 포함하며, 그대로 회전시켜 수평판 형태로 상,하로 접히도록,
    양 측벽체(110)중 일측 측벽체(110a)는 상단 모서리가 상판(130)의 연결링크(131)에 의하여 힌지부(A1)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 모서리는 저판(140)과 롤러부(A2)로 연결 되도록 하고 있어, 상기 힌지부(A1)는 회전, 롤러부(A2)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측벽체(110a)와 이격된 타측 측벽체(110b)는,
    상단 모서리가 상판(130)과 롤러부(A2)로 연결되도록 하고, 하단 모서리는 연결링크(141)에 의하여 힌지부(A1)로 연결되도록 하여, 힌지부(A1)는 회전, 롤러부(A2)는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도록 하되,
    일측 측벽체(110a)와 타측 측벽체(110b)의 상단은 힌지부(A1)와 롤러부(A2), 하단은 롤러부(A2), 힌지부(A1)로 연결됨으로서 상판(130)을 인양 후 하강시키는 과정에서 저판(140)에 상,하로 접힌 양 측벽체(110)가 상,하로 세팅되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체(110)의 롤러부(A2)의 레일부(113)를 따라 이용하는 롤러(114)에 충격흡수수단(150)을 더 연결하고, 상기 충격흡수수단(150)는 양 측벽체(110)에 내장시킨 쇼크 앱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6. 삭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150)은,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에 형성된 피스톤홀을 통해 오일이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오일실린더(152) 및
    오일실런더 내부로터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암의 상단이 상단고정플레이트에 의하여 양 측벽체를 구성하는 강재프레임의 테두리 형강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단고정플레이트와 오일실린더(152) 사이의 피스톤암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충격을 기계적으로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53);을 더 포함하여,
    충격흡수수단(150)은 양 측벽체를 구성하는 강재프레임의 테두리 형강 내부에 내장되기 때문에 미관을 해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양 측벽체(110)의 설치 및 해체 시 전달되는 충격등을 흡수하여 소음과 진동에 의한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 내구성 및 사용성 증진이 가능하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120)의 양 레그부(121)는,
    일단은 양 측벽체(110: 110a,110b)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홈(111)의 양 단부홈(111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슬릿홈(111)의 연장슬릿(111b)을 따라 양 레그부(121)가 각각 이동하도록 하고,
    타단은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베어링부(122)를 기준으로 양 레그부(121)는 회전하여 서로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120)의 상기 간격조절부(123)는,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타단이 구속된 양 레그부(121)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양 레그부(121)의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 가이드핀(123a); 및 상기 가이드핀(123a)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호형가이드(123b);를 포함하여,
    양 레그부(121)는 가이드핀(123a)이 호형가이드(123b)를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벌어지게 되고,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슬릿홈(111)을 따라 이동 함에 있어 양 레그부의 타단을 서로 구속하면서도 양 레그부(121)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120)의 스토퍼(124)는,
    베어링부(112) 주위의 양 레그부(121)중 어느 하나의 레그부(121)에는 돌출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접하는 다른 레그부(121)가 더 이상 접히도록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양 레그부(121) 서로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 측벽체(110)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측벽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a)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 수직판 형태로 힌지부(A1)와 롤러부(A2)가 형성된 양 측벽체(110)가 구비되도록 하는 단계;
    (b)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 수직판 형태로 세팅된 양 측벽체(110)의 힌지부(A1)와 롤러부(A2)를 이용하여 그대로 회전시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단계;
    (c) 상기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히기 이전에 양 측벽체(110)에 보조링크(120)를 설치하는 단계; 및
    (d)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그대로 회전하여 완전히 접힌 양 측벽체(110)가 보조링크(120)에 의하여 수평판체로 세팅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c) 단계의 보조링크(120)는,
    수평판체로서 양 측벽체(110)가 상판(130)과 저판(140) 사이에서 서로 상,하로 세팅되는 과정에서 서로 상,하로 접촉하지 않도록 이용하되, 양 측벽체(110)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도록 하며,
    상기 보조링크(120)는, 양 측벽체(110)가 그대로 회전하면서 접히는 과정에서 양 측벽체(110)의 측면에 형성시킨 슬릿홈(111)에 양 레그부(121)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서로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 내측 사이에 설치된 간격조절부(123) 및 양 레그부(121)에 돌출 형성된 스토퍼(124)에 의하여 간격이 조절되는 V자형 보조링크를 이용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양 측벽체(110)는,
    측면에는 일정한 길이로 연장된 슬릿홈(111)은 양 단부홈(111a) 사이를 연결하는 연장슬릿(111b)으로 형성되고, 양 측벽체(110)에는 힌지부(A1)와 롤러부(A2)가 각각 형성되어 있어 상판(130) 또는 저판(140)을 따라 그대로 회전할 수 있도록 세팅되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16. 삭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120)의 양 레그부(121)는,
    일단은 양 측벽체(110: 110a,110b)의 측면에 형성된 슬릿홈(111)의 양 단부홈(111a)에 각각 삽입되도록 하여 슬릿홈(111)의 연장슬릿(111b)을 따라 양 레그부(121)가 각각 이동하도록 하고, 타단은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베어링부(122)를 기준으로 양 레그부(121)는 회전하여 서로 접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120)의 베어링부(122)는, 양 레그부(121)의 타단을 서로 베어링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하여 양 레그부(121)가 서로 회전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지도록 하며,
    상기 보조링크(120)의 상기 간격조절부(123)는,
    베어링부(122)에 의하여 타단이 구속된 양 레그부(121)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겹쳐지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상기 양 레그부(121)의 표면에는 서로 마주보도록 각각 형성된 가이드핀(123a); 및 상기 가이드핀(123a)이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호형가이드(123b);를 포함하여,
    양 레그부(121)는 가이드핀(123a)이 호형가이드(123b)를 따라 서로 겹쳐지거나 벌어지게 되고, 양 레그부(121)의 일단이 슬릿홈(111)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 양 레그부의 타단을 서로 구속하면서도 양 레그부(121)의 간격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링크(120)의 스토퍼(124)는,
    베어링부(112) 주위의 어느 하나의 레그부(121)에는 돌출된 블록 형태로 형성되어 접하는 다른 레그부(121)가 더 이상 접혀지도록 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양 레그부(121) 서로의 간격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양 측벽체(110)가 서로 상,하로 접촉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손상을 줄일 수 있으며, 완전히 접혔을 때도 벽체 사이의 일정 공간을 유지하여 측벽체를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벽체(110)의 롤러부(A2)의 레일부(113)를 따라 이용하는 롤러(114)에 충격흡수수단(150)을 더 연결하고, 상기 충격흡수수단(150)는 양 측벽체(110)에 내장시킨 쇼크 앱소버(Shock Absorber)를 포함하며,
    상기 충격흡수수단(150)은,
    레일부(113)를 따라 이동하는 롤러(114)와 충격흡수수단(150)을 연결시켜주기 위한 브라켓으로 하단은 롤러(114)와 일체화되고 상단은 고정구에 의하여 오일실린더(152)의 하부로 연장된 연결암에 고정되는 연결판인 롤러브라켓(151);
    내부에 오일이 수용된 하우징으로서 내부에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피스톤에 형성된 피스톤홀을 통해 오일이 이동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완충시키는 역할을 하는 오일실린더(152) 및
    오일실런더 내부로터 외부로 연장되는 피스톤암의 상단이 상단고정플레이트에 의하여 양 측벽체를 구성하는 강재프레임의 테두리 형강 내부에 고정되도록 한 상태에서, 상기 상단고정플레이트와 오일실린더(152) 사이의 피스톤암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충격을 기계적으로 흡수하는 코일스프링(153);을 더 포함하는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시공방법.

KR1020210171129A 2021-12-02 2021-12-02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2461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29A KR102461296B1 (ko) 2021-12-02 2021-12-02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1129A KR102461296B1 (ko) 2021-12-02 2021-12-02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1296B1 true KR102461296B1 (ko) 2022-11-01

Family

ID=84042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1129A KR102461296B1 (ko) 2021-12-02 2021-12-02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1296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9384A (en) * 1972-02-28 1974-03-26 C Hurkamp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KR200272826Y1 (ko) 1997-06-27 2002-1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칩 크기 패키지
US20160251153A1 (en) 2013-06-18 2016-09-01 Miguel Antonio NAVALÓN SIMÓN Novel Collapsible Container
KR20180127661A (ko) 2017-05-22 2018-11-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팝업형 임시 주거용 구조물
US10308423B1 (en) * 2018-12-26 2019-06-04 Kan Cui Portable collapsible container
KR20200066669A (ko) 2017-10-11 2020-06-10 아이씨에프 에스에이 접이식 컨테이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9384A (en) * 1972-02-28 1974-03-26 C Hurkamp Collapsible shipping container
KR200272826Y1 (ko) 1997-06-27 2002-11-13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칩 크기 패키지
US20160251153A1 (en) 2013-06-18 2016-09-01 Miguel Antonio NAVALÓN SIMÓN Novel Collapsible Container
KR20180127661A (ko) 2017-05-22 2018-11-30 인천대학교 산학협력단 팝업형 임시 주거용 구조물
KR20200066669A (ko) 2017-10-11 2020-06-10 아이씨에프 에스에이 접이식 컨테이너
US10308423B1 (en) * 2018-12-26 2019-06-04 Kan Cui Portable collapsible contain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32026C (en) System for mitigating the effects of a seismic event
KR20090035721A (ko) 현수된 유리 패널을 가진 내진 커튼 벽
KR102078840B1 (ko) 하중지지장치를 이용한 방음벽 및 그 시공방법
CN109898705A (zh) 一种阻尼接地型装配式钢板组合调频减震墙
KR102461296B1 (ko) 접이식 모듈러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919699B1 (ko) 테라스가 구비된 컨테이너 하우스
JP4040993B2 (ja) 開閉装置構造
KR102159901B1 (ko) 내진 방음벽 구조체
JP2002242473A (ja) 木造建築物における筋交い緩衝架設構造とそのための緩衝装置
JP4959635B2 (ja) 制振部材
CN214532208U (zh) 一种防震建筑结构用的防碰撞装置
JP4139168B2 (ja) 起震装置
KR101070257B1 (ko) 건축 구조물의 가새형 내진 보강구조
JPH086502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を利用した動吸振器
EP2341186B1 (en) Free-standing acoustic screening system
KR102047678B1 (ko) 창호부 격리형 내진 보강 장치
JP5100253B2 (ja) 建物
CA3170522A1 (en) A portable building structure
CN112459584A (zh) 一种墙板拼接且地基减震的装配式框架结构
JP2003161051A (ja) 耐震構造物
JP5063210B2 (ja) 建物
CN115306171B (zh) 一种房建施工用安全防护装置
JP2002357015A (ja) 制振装置
JP3230839B2 (ja) 建物ユニットの防振構造
KR200434105Y1 (ko) 투명판넬이 장착되는 방음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