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00B1 -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 Google Patents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00B1
KR102460200B1 KR1020170178200A KR20170178200A KR102460200B1 KR 102460200 B1 KR102460200 B1 KR 102460200B1 KR 1020170178200 A KR1020170178200 A KR 1020170178200A KR 20170178200 A KR20170178200 A KR 20170178200A KR 102460200 B1 KR102460200 B1 KR 1024602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opening
child lock
valve
hot water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6333A (ko
Inventor
신고 아라카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스모 라이프
Publication of KR201800763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63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5Safety means, e.g. over-pressure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8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78Safety, warning or controll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7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3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4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 B67D3/045Liquid-dispensing taps or cocks adapted to seal and open tapping holes of casks, e.g. for beer with a closing element having a linear movement,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eventing Unauthorised Actuation Of Valv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밸브 개방 허용 위치와 밸브 개방 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과, 삽입구(60)에 삽입된 열쇠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스위치 부재(48)를 갖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WATER SERVER WITH LOCK}
본 발명은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로 사무실이나 병원 등에서 워터 서버가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 물의 안전이나 건강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일반 가정에도 워터 서버가 보급되고 있다. 워터 서버는, 통상, 케이스와, 그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냉수 탱크와, 그 냉수 탱크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케이스의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와, 그 냉수 주출로를 개폐하는 냉수 주출 밸브와, 그 냉수 주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냉수 주출 조작부를 갖고, 이 냉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냉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워터 서버는, 케이스의 내부에 수용된 온수 탱크와, 그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케이스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와, 그 온수 주출로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와, 그 온수 주출 밸브를 개방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부를 더 갖고, 이 온수 주출 조작부를 조작함으로써 온수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이 많다.
그런데, 온수를 이용할 수 있는 타입의 워터 서버에 있어서는, 유아가 부주의하게 워터 서버를 조작하여 온수를 주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차일드 로크(child lock) 기능이 설치되어 있다. 차일드 로크 기능은, 워터 서버로부터 온수를 주출하기 위한 조작을, 2개 이상의 조작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유아가 조작해도 간단히는 온수가 주출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예컨대 특허문헌 1).
그러나, 차일드 로크 기능을 설치한 경우라도, 유아가 여러 가지 조작하는 동안에, 온수를 주출하는 조작이 이따금 우연히 성립해 버리거나, 어른이 온수를 주출할 때에 행하는 조작을 유아가 보고 흉내내거나 할 가능성이 있었기 때문에, 유아가 온수를 주출하여 화상을 입을 위험성을 완전히는 없앨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즉, 온수를 주출하기 위한 조작을 복잡화하면 할수록, 차일드 로크 기능을 강화할 수 있어, 유아의 화상 사고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지지만, 그 반면, 사용자인 어른이 온수를 주출할 때의 조작이 번잡한 것이 되어, 워터 서버의 편리성이 희생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차일드 로크 기능을 강화하는 데에도 한계가 있어, 차일드 로크 기능만으로는, 유아가 온수를 주출할 위험성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어려웠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4-166862호 공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워터 서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원의 발명자는, 이하의 구성의 워터 서버를 제공한다.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 탱크와,
상기 온수 탱크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상기 케이스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와,
상기 온수 주출로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의 밸브체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과,
상기 케이스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와,
상기 열쇠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구를 갖고, 그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열쇠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스위치 부재
를 갖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이와 같이 하면, 열쇠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열쇠 부재가 없는 한,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 가지 조작했다고 해도,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어,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상기 열쇠 부재의 이동을 허용하는 열쇠 통로와,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상기 열쇠 부재의 이동을 저지하는 가이드벽
을 더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스위치 부재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삽입구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열쇠 부재의 이동이, 가이드벽에 의해 규제된다. 즉, 열쇠 부재는, 스위치 부재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구로부터 빼낼 수 없고, 스위치 부재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만, 삽입구로부터 빼낼 수 있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를 빼냈을 때에는, 반드시, 스위치 부재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오게 되고, 열쇠 부재를 빼냈을 때에 통상 차일드 로크 상태가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워터 서버는, 또한 이하의 구성을 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삽입구를 외주에 갖는 원통형의 부재이고,
상기 가이드벽은, 상기 스위치 부재가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의 외주의 상기 삽입구의 부분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벽이며,
상기 열쇠 부재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되었을 때에 상기 삽입구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와, 그 스트레이트부의 직경 방향 외단(外端)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를 갖는다.
이와 같이 하면, 만일, 유아가 곧은 막대(열쇠 부재가 아닌 막대)를 삽입구에 삽입했다고 해도, 굴곡부를 갖지 않는 막대는 가이드벽과 간섭하기 때문에, 스위치 부재를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유아가 곧은 막대(이쑤시개 등)를 이용하여 완전 차일드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열쇠 부재는 굴곡부를 갖기 때문에, 가이드벽과 간섭하지 않는다.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를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에 유지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유아가 출입하는 일이 없는 사용 환경(예컨대 회사의 회의실 등)에서는, 스위치 부재를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온수를 주출할 때의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의 조작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여, 워터 서버의 편리성이 더욱 높은 것이 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 부재는, 상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에 조작력을 가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구에 삽입된 상기 열쇠 부재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에 조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에 조작력을 가한 상태가 아니면, 스위치 부재를,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유아가, 스위치 부재를,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본 발명의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는, 열쇠 부재가 케이스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열쇠 부재가 없는 한,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 가지 조작했다고 해도,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의 조작에 의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어,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쇠 부재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워터 서버의 냉수 주출 밸브 및 온수 주출 밸브의 근방을, 워터 서버의 전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케이스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도시한 열쇠 부재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의 근방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VI-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VII-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의 VIII-V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5에 도시된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을 눌러, 밸브봉을 상승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상태일 때의 온수 주출 밸브의 전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온수 주출 밸브를 완전 차일드 로크 상태로 한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XII-X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XIII-X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XIV-XIV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2에 도시된 온수 주출 밸브를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상태로 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XVI-XV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XVII-XV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도 16의 XVIII-XV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도 19는 도 2에 도시된 냉수 주출 밸브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를 도시한다. 이 워터 서버는, 바닥면(F)에 배치되는 케이스(1)와,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되는 냉수 탱크(2)와,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를 케이스(1)의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냉수 주출로(3)와, 냉수 주출로(3)를 개폐하는 냉수 주출 밸브(4)와, 케이스(1)의 내부에 수용되는 온수 탱크(5)와,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케이스(1)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6)와, 온수 주출로(6)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7)를 갖는다.
케이스(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통부(10)와, 통부(10)의 상단을 막도록 설치되는 상부판(11)과, 통부(10)의 하단을 막도록 설치되는 바닥판(12)을 갖는다. 통부(10)는, 좌우 한 쌍의 측면판(13)과, 측면판(13)의 앞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전면판(14)과, 측면판(13)의 뒤 가장자리끼리를 연결하는 후면판(15)으로 구성된다.
케이스(1)의 상부판(11)에는, 교환식의 원수(原水) 용기(16)가 착탈 가능하게 세트된다. 원수 용기(16)는, 물 출구(17)를 하향으로 한 자세로 상부판(11)에 배치된다. 원수 용기(16)의 용량은, 만수 상태에서 10리터∼20리터 정도이다. 이 원수 용기(16)는, 내부의 잔수량의 감소에 따라 수축하도록 유연성을 갖게 하여 형성된다. 상부판(11)에는, 원수 용기(16)로부터 냉수 탱크(2)에 음료수를 도입하는 원수 도입관(18)이 설치된다.
원수 도입관(18)의 일단은 원수 용기(16)에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고, 원수 도입관(18)의 타단은 냉수 탱크(2)에 고정되어 접속된다. 원수 도입관(18)의 냉수 탱크(2) 측의 단부에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에 따라 개폐되는 플로트 밸브(19)가 설치된다. 원수 용기(16)로서, 내부의 잔수량이 감소해도 변형하지 않도록 강성을 갖게 하여 형성한 타입의 것을 채용하는 경우, 플로트 밸브(19)는 불필요하다. 이 경우에는, 냉수 탱크(2) 내의 수위가 원수 도입관(18)의 냉수 탱크(2) 측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가 된다. 케이스(1)의 상부에는, 원수 용기(16)를 덮는 화장 커버(20)가 부착된다.
냉수 탱크(2)는, 공기와 음료수를 상하 2층으로 수용한다. 냉수 탱크(2)에는, 냉수 탱크(2)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냉각하는 냉각 장치(21)가 부착된다. 또한, 냉수 탱크(2) 내에는, 냉수 탱크(2)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는 배플판(22)이 설치된다. 냉각 장치(21)는, 냉수 탱크(2) 내의 배플판(22)보다 하방의 음료수를 저온(5℃ 정도)으로 유지한다. 냉수 탱크(2)의 음료수의 용량은, 원수 용기(16)의 용량보다 작으며, 2리터∼4리터 정도이다.
냉수 주출로(3)는, 냉수 탱크(2)와,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냉수 출구(23)(도 2 참조) 사이를 연통(連通)한다. 냉수 주출로(3)의 냉수 출구(23)측의 단부에는, 냉수 주출 밸브(4)가 설치된다. 냉수 주출 밸브(4)를 개방하면, 냉수 탱크(2) 내의 저온의 음료수가 냉수 주출로(3)를 지나, 냉수 출구(23)로부터 주출된다.
온수 탱크(5)는, 냉수 탱크(2)의 하방에 배치된다. 온수 탱크(5)에는, 온수 탱크(5) 내에 수용되는 음료수를 가열하는 가열 장치(24)가 부착된다. 가열 장치(24)는, 온수 탱크(5) 내의 음료수를 고온(90℃ 정도)으로 유지한다. 온수 탱크(5)의 용량은 1리터∼2리터 정도이다.
온수 주출로(6)는, 온수 탱크(5)와, 케이스(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온수 출구(25) 사이를 연통한다. 온수 주출로(6)의 온수 출구(25)측의 단부에는, 온수 주출 밸브(7)가 설치된다. 온수 주출 밸브(7)를 개방하면,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가 온수 주출로(6)를 지나, 온수 출구(25)로부터 주출된다.
냉수 탱크(2)와 온수 탱크(5)는 탱크 접속관(26)을 통해 연통된다. 온수 탱크(5)로부터 음료수를 주출하면, 그 음료수와 동량의 음료수가, 탱크 접속관(26)을 통해 냉수 탱크(2)로부터 온수 탱크(5)로 유입되어, 온수 탱크(5)가 항상 만수 상태로 유지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워터 서버에는, 유아가 부주의하게 조작하여 온수를 주출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통상 차일드 로크 기능이 설치된다. 통상 차일드 로크 기능은, 온수 주출 밸브(7)를 개방하기 위한 조작을, 2개 이상의 조작의 조합[구체적으로는, 후술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조작과,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의 조작의 조합]으로 함으로써, 유아가 조작해도 간단히는 온수 주출 밸브(7)가 개방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워터 서버에는, 만일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 가지 조작했다고 해도, 온수의 주출이 확실하게 방지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한 통상 차일드 로크 기능에 더하여, 운반될 수 있는 열쇠 부재(30)를 이용한 완전 차일드 로크 기능이 설치된다. 이 완전 차일드 로크 기능은, 도 3에 도시된 열쇠 부재(30)가 있을 때에만, 외부 조작[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 및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의 조작]에 의한 온수 주출 밸브(7)의 개방을 허용하고, 열쇠 부재(30)가 없는 상태에서는, 외부 조작으로 온수 주출 밸브(7)를 개방시킬 수 없도록 하는 기능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 부재(30)는, 손잡이부(31)로부터 선단을 향해 순서대로, 손잡이부(31), 손잡이측 스트레이트부(32), 굴곡부(33), 선단측 스트레이트부(34)를 갖는다. 손잡이부(31)는, 사용자가 열쇠 부재(30)를 조작할 때에 손가락으로 잡는 부분이다. 손잡이측 스트레이트부(32)와 선단측 스트레이트부(34)는, 모두 똑바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손잡이측 스트레이트부(32)의 단부와 선단측 스트레이트부(34)의 단부가 굴곡부(33)를 통해 연결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주출 밸브(7)는, 온수 주출로(6)를 폐쇄하는 밸브 폐쇄 위치(도 4 참조)와, 온수 주출로(6)를 개방하는 밸브 개방 위치(도 10 참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체(40)와, 밸브체(40)를 밸브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폐쇄 위치로 압박하는 밸브 스프링(41)과, 밸브체(40)와 일체로 이동하도록 밸브체(40)에 고정되는 밸브봉(42)과, 온수를 주출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를 갖는다.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는, 연결핀(44)을 통해 밸브봉(42)에 연결되고,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를 조작함으로써 밸브체(40)를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온수 주출 밸브(7)는,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도 4 참조)와 온수 주출 밸브(7)의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도 10 참조)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와,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 압박하는 로크 스프링(46)과,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과,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이 조작 가능한 상태와 조작 불가능한 상태로 전환하는 스위치 부재(48)를 갖는다.
밸브봉(42)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고,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할 때, 밸브봉(42)은 상방으로 이동하고, 밸브체(40)가 밸브 개방 위치로부터 밸브 폐쇄 위치로 이동할 때, 밸브봉(42)은 하방으로 이동한다. 밸브봉(42)의 외주에는, 하측이 대직경이 되는 단차부(49)가 형성된다.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에는, 밸브봉(42)을 삽입 관통시키는 상하 방향의 관통 구멍(50)이 형성된다.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도 4 참조)에 있을 때,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의 관통 구멍(50)의 가장자리가, 밸브봉(42)의 외주의 단차부(49)에 결합하여 밸브봉(42)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하고,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밸브 개방 허용 위치(도 10 참조)에 있을 때,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의 관통 구멍(50)은, 밸브봉(42)의 외주의 단차부(49)를 통과시켜 밸브봉(42)의 상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은, 포셋(faucet) 케이스(51)의 전면측으로 개구되는 버튼 수용 구멍(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수용되는 버튼 본체(53)와, 버튼 본체(53)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도록 버튼 본체(53)와 일체로 형성되는 플런저(54)를 갖는다. 플런저(54)는, 스위치 부재(48)에 형성되는 축 방향의 관통 구멍(55)을 삽입 관통하여, 스위치 부재(48)로부터 축 방향 후방으로 돌출한다. 플런저(54)의 후단은,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에 접촉한다.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눌러 축 방향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는, 플런저(54)에 의해 압박되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과 일체로 후방으로 이동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는, 열쇠 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구(60)를 외주에 갖는 원통형의 부재이고, 홀더 부재(6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위치 부재(48)는,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도 6 참조)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도 13 참조)와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도 17 참조)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플런저(54)의 외주에는 돌기(62)가 형성되고, 스위치 부재(48)의 관통 구멍(55)의 내주에는, 돌기(62)를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축 방향의 홈(63)이 형성된다. 이 돌기(62)와 홈(63)의 결합에 의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은, 스위치 부재(48)와 일체로 회동하도록 이루어진다.
홀더 부재(61)에는, 스위치 부재(48)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구(6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열쇠 부재(30)의 이동을 저지하는 가이드벽(64)이 설치된다. 가이드벽(64)은, 스위치 부재(48)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48)의 외주의 삽입구(60)의 부분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벽이다. 가이드벽(64)과 스위치 부재(48)의 외주 사이에는,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통로(65)가 형성되고, 이 통로(65)를 열쇠 부재(30)의 굴곡부(33)가 둘레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셋 케이스(51)와 홀더 부재(61)에는, 스위치 부재(48)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삽입구(6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열쇠 부재(30)의 이동을 허용하는 열쇠 통로(66)가 형성된다. 열쇠 통로(66)는, 원호형의 통로(65)의 둘레 방향 단부로부터 직경 방향 외측으로 직선형으로 연장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 부재(30)의 선단측 스트레이트부(34)는, 열쇠 부재(30)가 삽입구(60)에 삽입된 상태에서, 삽입구(60)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굴곡부(33)는, 선단측 스트레이트부(34)의 직경 방향 외단으로부터 가이드벽(64)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포셋 케이스(51)와 홀더 부재(61)에는, 손잡이측 스트레이트부(32)를 축 방향의 대향면 사이에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릿(67)이 형성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버튼 본체(53)의 외주에는, 복수의 직경 방향 돌기(68)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홀더 부재(61)에는, 버튼 본체(53)의 복수의 직경 방향 돌기(68)에 대응하는 복수의 스토퍼 돌기(69)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스토퍼 돌기(69)는, 스위치 부재(48)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도 6 참조)에 있을 때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에서 보아 버튼 본체(53)의 직경 방향 돌기(68)와 어긋난 위치 관계가 되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을 허용하지만, 스위치 부재(48)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도 13 참조)에 있을 때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 방향에서 보아 버튼 본체(53)의 직경 방향 돌기(68)와 겹쳐진 위치 관계가 되어, 버튼 본체(53)의 직경 방향 돌기(68)를 축 방향 후측으로부터 받아냄으로써,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축 방향 후방으로의 이동을 저지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의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에 대한 축 방향의 대향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기둥형 돌기(70)가 형성된다. 또한,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의 스위치 부재(48)에 대한 축 방향의 대향면에도,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기둥형 돌기(71)가 형성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의 기둥형 돌기(70)의 측면은,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의 기둥형 돌기(71)의 측면과 둘레 방향으로 대향하고, 기둥형 돌기(70)의 측면이 기둥형 돌기(71)의 측면에 접촉함으로써, 스위치 부재(48)의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된다.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는, 홀더 부재(61)에 형성되는 지지 구멍(72)(도 5 참조)의 내면에서, 축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고 또한 회전 방지된 상태에서 지지된다.
이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의 사용예를 설명한다.
<완전 차일드 로크 상태>
도 11, 도 12,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 부재(30)를 조작하여, 스위치 부재(48)를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눌러도,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눌러 움직일 수 없어, 차일드 로크를 해제할 수 없다.
즉, 스위치 부재(48)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버튼 본체(53)의 직경 방향 돌기(68)가 스토퍼 돌기(69)와 겹쳐지는 배치가 되기 때문에,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눌러도,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이동시킬 수 없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저지된 상태가 된다. 즉,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과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의 조작으로는, 온수를 주출할 수 없다.
이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구(60)의 위치와 열쇠 통로(66)의 위치가 일직선상에 늘어서기 때문에, 열쇠 부재(30)를 삽입구(60)로부터 빼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빼낸 열쇠 부재(30)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열쇠 부재(30)가 없는 한,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 가지 조작했다고 해도,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조작에 의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어, 유아에 의한 온수의 주출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3에 도시된 열쇠 부재(30)가 삽입구(60)로부터 빼내진 상태에서, 유아가 곧은 막대[열쇠 부재(30)가 아닌 막대]를 삽입구(60)에 삽입했다고 해도, 굴곡부(33)를 갖지 않는 막대는 가이드벽(64)과 간섭하기 때문에, 스위치 부재(48)를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유아가 곧은 막대(이쑤시개 등)를 이용하여 완전 차일드 로크 상태를 해제하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안전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열쇠 부재(30)는 굴곡부(33)를 갖기 때문에, 삽입구(60)에 삽입한 상태에서 둘레 방향으로 이동시켜도, 가이드벽(64)과 간섭하지 않는다.
<통상 차일드 로크 상태>
삽입구(60)에 삽입한 열쇠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스위치 부재(48)를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도 13 참조)로부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도 6 참조)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눌러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을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버튼 본체(53)의 직경 방향 돌기(68)가, 스토퍼 돌기(69)의 위치로부터 어긋난 상태가 되어, 스토퍼 돌기(69)에 의한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기 때문에,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조작에 의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이 허용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누르면서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를 조작함으로써, 온수를 주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상태>
유아가 출입하는 일이 없는 사용 환경(예컨대 회사의 회의실 등)에서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압입하고, 그 상태에서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쇠 부재(30)를 조작하여, 스위치 부재(48)를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도 6 참조)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도 17)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의 기둥형 돌기(70)의 선단면과,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의 기둥형 돌기(71)의 선단면이, 축 방향으로 맞대어진 상태가 되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밸브 개방 허용 위치에 유지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온수를 주출할 때의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조작을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을 조작하지 않고 온수 주출 조작 레버(43)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온수를 주출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치 부재(48)를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도 6 참조)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도 17)로 이동시킬 때,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에 조작력을 가한 상태가 아니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형 돌기(70)와 기둥형 돌기(71)의 둘레 방향의 대향면이 간섭하기 때문에, 스위치 부재(48)를,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유아가, 스위치 부재(48)를,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시키는 사태를 방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높다.
이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는, 열쇠 부재(30)가 케이스(1)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열쇠 부재(30)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열쇠 부재(30)가 없는 한, 유아가 워터 서버를 여러 가지 조작했다고 해도,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의 조작에 의해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킬 수 없어, 온수는 주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열쇠 부재(30)를 유아의 손이 닿지 않는 장소에 보관함으로써, 유아의 화상 사고를 매우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이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삽입구(6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열쇠 부재(30)의 이동이, 가이드벽(64)에 의해 규제된다. 즉, 열쇠 부재(30)는, 스위치 부재(48)가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 삽입구(60)로부터 빼내질 수 없고,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 부재(48)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을 때에만, 삽입구(60)로부터 빼내질 수 있다. 그 때문에, 열쇠 부재(30)를 빼냈을 때에는, 반드시, 스위치 부재(48)가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오게 되고, 열쇠 부재(30)를 빼냈을 때에 통상 차일드 로크 상태가 되는 것이 확실하게 방지되어, 높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전술한 통상 차일드 로크 기능 및 완전 차일드 로크 기능은, 온수 주출 밸브(7)뿐만이 아니라, 냉수 주출 밸브(4)에도 설치할 수 있다. 여기서, 온수 주출 밸브(7)와 동일한 구성을 냉수 주출 밸브(4)에 채용하는 경우, 유아가, 냉수 주출 밸브(4)의 열쇠 부재(30c)를, 온수 주출 밸브(7)의 열쇠 부재(30)로서 사용할 위험성이 있다. 그러한 위험성을 없애기 위해서, 냉수 주출 밸브(4)의 열쇠 부재(30c)를, 온수 주출 밸브(7)에 이용할 수 없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구성의 열쇠 부재(30c)로서, 예컨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온수 주출 밸브(7)의 열쇠 부재(30)의 굴곡부(33)보다 직경 방향 두께를 크게 설정한 굴곡부(33c)를 갖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이때, 냉수 주출 밸브(4)의 열쇠 부재(30c)의 굴곡부(33c)가 통과하는 통로(65c)의 직경 방향의 내폭(內幅)을, 온수 주출 밸브(7)의 열쇠 부재(30)의 굴곡부(33)가 통과하는 통로(65)의 직경 방향의 내폭보다 크게 설정한다.
이번에 개시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예시이며 제한적인 것은 아니라고 생각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나고,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1: 케이스 5: 온수 탱크
6: 온수 주출로 7: 온수 주출 밸브
30: 열쇠 부재 33: 굴곡부
34: 선단측 스트레이트부 40: 밸브체
45: 밸브 개방 저지 부재 47: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
48: 스위치 부재 60: 삽입구
64: 가이드벽 66: 열쇠 통로

Claims (6)

  1.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 탱크(5)와,
    상기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상기 케이스(1)의 외부로 주출(注出)하는 온수 주출로(6)와,
    상기 온수 주출로(6)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7)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7)의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7)의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과,
    상기 케이스(1)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30)와,
    상기 열쇠 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구(60)를 갖고, 그 삽입구(60)에 삽입된 상기 열쇠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스위치 부재(48)와,
    상기 스위치 부재(48)가 상기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6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상기 열쇠 부재(30)의 이동을 허용하는 열쇠 통로(66)와,
    상기 스위치 부재(48)가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삽입구(60)로부터 빠져나오는 방향의 상기 열쇠 부재(30)의 이동을 저지하는 가이드벽(64)
    을 갖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48)는, 상기 삽입구(60)를 외주에 갖는 원통형의 부재이고,
    상기 가이드벽(64)은, 상기 스위치 부재(48)가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스위치 부재(48)의 외주의 상기 삽입구(60)의 부분과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되는 벽이며,
    상기 열쇠 부재(30)는, 상기 삽입구(60)에 삽입될 때에 상기 삽입구(60)로부터 직경 방향 내측으로 연장되는 스트레이트부(34)와, 그 스트레이트부(34)의 직경 방향 외단(外端)으로부터 상기 가이드벽(64)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굴곡부(33)를 갖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48)는,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에 유지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48)는, 상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에 조작력을 가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구(60)에 삽입된 상기 열쇠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에 조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5. 케이스(1)와,
    상기 케이스(1)의 내부에 배치되는 온수 탱크(5)와,
    상기 온수 탱크(5) 내의 고온의 음료수를 상기 케이스(1)의 외부로 주출하는 온수 주출로(6)와,
    상기 온수 주출로(6)를 개폐하는 온수 주출 밸브(7)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7)의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밸브 개방 허용 위치와, 상기 온수 주출 밸브(7)의 밸브체(40)가 밸브 폐쇄 위치로부터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밸브 개방 저지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사용자가 조작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과,
    상기 케이스(1)로부터 독립적으로 운반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열쇠 부재(30)와,
    상기 열쇠 부재(30)가 삽입되는 삽입구(60)를 갖고, 그 삽입구(60)에 삽입된 상기 열쇠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는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가 상기 밸브 개방 저지 위치로부터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완전 차일드 로크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는 스위치 부재(48)
    를 가지고,
    상기 스위치 부재(48)는, 상기 밸브 개방 저지 부재(45)를 상기 밸브 개방 허용 위치에 유지하는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더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48)는, 상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에 조작력을 가한 상태에서는, 상기 삽입구(60)에 삽입된 상기 열쇠 부재(30)를 조작함으로써,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차일드 로크 해제 버튼(47)에 조작력이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기 통상 차일드 로크 위치로부터 차일드 로크 해제 유지 위치로의 이동이 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KR1020170178200A 2016-12-27 2017-12-22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KR1024602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52724 2016-12-27
JP2016252724A JP6815193B2 (ja) 2016-12-27 2016-12-27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333A KR20180076333A (ko) 2018-07-05
KR102460200B1 true KR102460200B1 (ko) 2022-10-27

Family

ID=62700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200A KR102460200B1 (ko) 2016-12-27 2017-12-22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15193B2 (ko)
KR (1) KR102460200B1 (ko)
CN (1) CN1082363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679249A (zh) * 2020-09-08 2021-11-23 沈阳工业大学 一种体验式户外直饮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599A (ja) * 2003-06-25 2005-01-20 Fujikin Inc 流体制御器
JP2014166862A (ja) * 2013-02-28 2014-09-11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240B2 (ja) * 1985-11-25 1994-01-19 ロ−ム株式会社 電子装置のハンダ付け不良検査方法
US5310112A (en) * 1992-03-05 1994-05-10 Philip Meshberg Valved gasket for dispenser
CN201547384U (zh) * 2009-10-20 2010-08-11 巫宗权 液体加热器用的开水锁
JP6117586B2 (ja) * 2013-03-27 2017-04-19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ウォーターサーバー
CN203341545U (zh) * 2013-07-07 2013-12-18 付梁博 加盖袋装水全自动饮水机
JP6005240B1 (ja) * 2015-10-14 2016-10-12 株式会社コスモライフ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6599A (ja) * 2003-06-25 2005-01-20 Fujikin Inc 流体制御器
JP2014166862A (ja) * 2013-02-28 2014-09-11 Cosmo Life:Kk ウォーターサーバ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6333A (ko) 2018-07-05
CN108236373A (zh) 2018-07-03
JP6815193B2 (ja) 2021-01-20
JP2018104037A (ja) 2018-07-05
CN108236373B (zh) 202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05180U (ja) 容器の蓋体構造
CA2904390C (en) Drink containers and cap assemblies
JP5529309B1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5263361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KR102460200B1 (ko) 열쇠를 갖는 워터 서버
JP5105319B2 (ja) 飲料用容器の栓体
CN113636203A (zh) 具有锁定机构的盖子及包括该盖子的容器组件
US20230263334A1 (en) Cartridge Extraction Unit For Water Purifier
JP6005240B1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KR100735913B1 (ko) 냉온수기의 밸브
JP2017074989A (ja) 鍵付き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4669477B2 (ja) 水栓レバー係止部
JP2017165424A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6713219B2 (ja) 水栓
JP6295671B2 (ja) 栓体および飲料容器
JP7260775B2 (ja) 容器栓
JP2019214387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945849B2 (ja) 電気ケトル
WO2009054573A1 (en) The safety device for a system to supply the drinking water
US6644512B2 (en) Faucet for a drinking-water dispenser
GB2411219A (en) Tap with safety lock
JP2024022189A (ja) ウォーターサーバー
JP6274178B2 (ja) 栓体
JP3193262U (ja) 飲料容器の栓体
JP2010022490A (ja) 飲料容器の栓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