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862B1 -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 Google Patents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862B1
KR102459862B1 KR1020200067094A KR20200067094A KR102459862B1 KR 102459862 B1 KR102459862 B1 KR 102459862B1 KR 1020200067094 A KR1020200067094 A KR 1020200067094A KR 20200067094 A KR20200067094 A KR 20200067094A KR 102459862 B1 KR102459862 B1 KR 102459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warp
polyethylene terephthalate
safety net
ya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123A (ko
Inventor
오상민
정상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성산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성산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성산자
Priority to KR1020200067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9862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8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hile mixing different spinning solutions or melts during the spinning opera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0Conjugate filaments;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01D5/34Core-skin structure;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8/00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 D01F8/0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 D01F8/14Conjugated, i.e. bi- or multi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Manufacture thereof from synthetic polymers with at least one polyester as constituen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02G3/28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 D02G3/286Doubled, plied, or cabled threads with alternatively "S" and "Z" direction of twist, e.g. Self-twist proces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035Protective fabric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1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heat-resistant or fireproof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9/00Open-work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에 한 올 또는 수 올의 위사를 끼워 얽히게 짠 레노조직으로 된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경사와 위사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올의 경사 중 한 올은 S 연사이고, 나머지 한 올은 Z 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레노조직으로 짠 건축공사용 안전망의 경사 및 위사로서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를 사용함으로서 난연성과 안전성이 향상되며,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로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꼬여진 연사를 각각 사용함으로서 경사 사이에 위사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안전망의 형태 안정성이 개선된다.

Description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LENO WEAVING SAFETY NET FOR BUILDING OPERATIONS}
본 발명은 건물 등의 건축공사시 이용되는 안전망에 관한 것이다.
건축공사시 노동자의 안전을 위해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폴리프로필렌으로 된 섬유를 평직으로 짠 직물에 PVC 수지를 코팅한 안전망이 이용된다. 이러한 안전망은 사용 후 소각 폐기시 PVC로 인한 환경 호르몬 오염의 문제가 크다.
한편, 한국 특허등록 제10-1213903호(특허문헌1)에는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에 한올의 위사가 끼워 얽히게 짠 레노조직을 이용하되, 두 올의 경사 한 개 조와 인접하는 다른 두 올의 경사 한 개 조는 두 올이 서로 꼬이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하여 레노조직으로 된 직물이 한쪽 방향으로 말려지는 현상을 개선한 산업용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특허등록 제10-1729954호(특허문헌2)에는 저융점 폴리에스테르 사를 경사와 위사 외에 결속사로 사용하여 경사와 위사의 위치를 고정시킨 산업용 직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 개시된 안전망의 형태 안정성을 더욱 개선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1: 한국 특허등록 제10-1213903호 특허문헌2: 한국 특허등록 제10-1729954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PVC를 사용하지 않아 환경 호르몬에 의한 오염이 저감되며, 위사와 경사가 견고하게 결합되어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은,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에 한 올 또는 수 올의 위사를 끼워 얽히게 짠 레노조직으로 된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경사와 위사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올의 경사 중 한 올은 S 연사이고, 나머지 한 올은 Z 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의 건열 수축률은 10% 이상일 수 있고, 10% 내지 2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S 연사 및 Z 연사는 1m 당 80 내지 180회 꼬여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낮은 저융점사의 합사이고, 열처리에 의해 저융점사가 용융되어 상기 위사와 경사가 서로 결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의 표면에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낮은 저융점 시쓰부가 형성된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이고, 열처리에 의해 저융점 시쓰부가 용융되어 상기 위사와 경사가 서로 결착된 것일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은 경사 및 위사로서 각각 고강력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를 사용함으로서 난연성과 함께 안전성이 향상된다.
둘째,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은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에 한 올 또는 수 올의 위사가 끼워 얽히도록 짠 레노조직으로 되어 있어 경사와 위사의 결합력이 양호하며, 더불어 레노조직의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로서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꼬여진 연사를 각각 사용하여 경사 사이에 위사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고 이에 따라 안전망의 형태 안정성이 개선된다.
셋째, 안전망의 위사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낮은 저융점사의 합사 또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의 표면에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낮은 저융점 시쓰부가 형성된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를 사용하고 이를 열처리하는 경우, 저융점사 또는 저융점 시쓰부가 용융되어 위사와 경사가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안전망의 레노조직을 도시한 평면도 및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 각각의 꼬임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안전망의 레노조직에 있어서, 바람직한 위사의 합사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안전망의 레노조직에 있어서, 바람직한 위사의 복합사 상태를 도시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른 안전망의 레노조직을 도시한 평면도 및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 각각의 꼬임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1, 3)에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올의 위사(5)를 끼우거나 또는 두 올, 세 올과 같이 수 올의 위사(미도시)를 끼워 얽히게 짠 소위 레노조직(100)으로 구성된다. 즉,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1, 3) 한 개 조가 위사(5)를 중심으로 끼워 꼬여 얽힌 구조가 반복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 때, 한 올의 경사(1)는 좌에서 우로, 가까운 다른 한 올의 경사(3)는 우에서 좌로 반복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다른 두 올의 경사 중 한 올은 우에서 좌로, 가까운 다른 한 올의 경사는 좌에서 우로 반복되거나 또는 인접하는 다른 두 올의 경사 역시 한 올은 좌에서 우로, 가까운 다른 한 올의 경사는 우에서 좌로 반복될 수 있다(미도시). 이러한 레노조직은 경사와 위사의 결합력이 평직보다 양호하여 안전망의 형태 안정성이 개선된다.
도 1의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 각각의 꼬임을 도시한 부분 확대도를 참조하면, 레노조직을 구성하는 두 올의 경사(1, 3) 중 한 올의 경사(1)는 Z 연사이고, 나머지 한 올의 경사(3)는 S 연사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망은 레노조직의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1, 3)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꼬여진 연사를 각각 사용함으로서, 경사(1, 3) 사이에 위사(5)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안전망의 형태 안정성이 개선된다. 경사(1, 3)를 구성하는 S 연사 및 Z 연사는 1m 당 80 내지 180회 꼬여있을 수 있다.
경사(1, 3)와 위사(5)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로 이루어진다. 고강력사로 대표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베이스로 하여 난연성을 부여한 난연사를 사용함으로서 안전망의 난연성과 안전성이 향상된다.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으며,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라멘트 방사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외에 인계 난연제와 같은 공지의 난연제플 포함하는 방사원료를 용융방사함으로서 제조할 수 있다. 한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의 건열 수축률은 안전망의 형태 안정성을 확보하는 측면에서 10% 이상일 수 있고, 10% 내지 20%일 수 있다. 여기서, 건열 수축률이란 0.01 g/d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를 190 °C에서 30분간 방치시의 수축률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전술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 외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5)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21)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21)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융점사(23)의 합사(200)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저융점사(23)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과 같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융점이 낮은 수지로 된 합성수지사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21)와 저융점사(23)의 합사(200)는 안전망의 위사(5)로서 이용되어 레노조직(100)으로 짜여진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21)의 융점보다 낮고 저융점사(23)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저융점사(23)만을 용융시킴으로서 레노조직의 위사(5)와 경사(1, 3)를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착시키게 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5)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31)의 표면에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31)보다 낮은 융점을 갖는 저융점 시쓰부(33)가 형성된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300)인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저융점 시쓰부(33)는 전술한 저융점사(23)로서 예시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300)의 제조방법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300)는 안전망의 위사(5)로서 이용되어 레노조직(100)으로 짜여진 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31)의 융점보다 낮고 저융점 시쓰부(33)의 융점보다 높은 온도로 열처리하여 저융점 시쓰부(33)만을 용융시킴으로서 레노조직의 위사(5)와 경사(1, 3)를 서로 더욱 견고하게 결착시키게 된다.
앞서 설명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 3 : 레노조직을 구성하는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 5: 위사
21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23 : 저융점사
31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
33 : 저융점 시쓰부
100 : 레노조직
200 : 난연사와 저융점사의 합사
300 :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

Claims (6)

  1. 서로 가까운 두 올의 경사 한개 조에 한 올 또는 수 올의 위사를 끼워 상기 한개 조의 한 올의 경사는 좌에서 우로, 다른 한 올의 경사는 우에서 좌로 반복되도록 얽히게 짠 레노조직으로 된 건축공사용 안전망에 있어서,
    상기 경사와 위사는 각각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올의 경사 중 한 올은 S 연사이고, 나머지 한 올은 Z 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의 건열 수축률은 1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의 건열 수축률은 10%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S 연사 및 Z 연사는 1m 당 80 내지 180회 꼬여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와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낮은 저융점사의 합사이고, 열처리에 의해 저융점사가 용융되어 상기 위사와 경사가 서로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사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난연사 코어부의 표면에 상기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보다 낮은 저융점 시쓰부가 형성된 코어부-시쓰 구조의 복합사이고, 열처리에 의해 저융점 시쓰부가 용융되어 상기 위사와 경사가 서로 결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KR1020200067094A 2020-06-03 2020-06-03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KR102459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94A KR102459862B1 (ko) 2020-06-03 2020-06-03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094A KR102459862B1 (ko) 2020-06-03 2020-06-03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23A KR20210150123A (ko) 2021-12-10
KR102459862B1 true KR102459862B1 (ko) 2022-10-27

Family

ID=7886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094A KR102459862B1 (ko) 2020-06-03 2020-06-03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986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236A (ja) * 2002-11-22 2004-06-17 Nakada Sangyo Kk 防獣ネット用網糸
JP2011089236A (ja) * 2009-10-26 2011-05-06 Teijin Fibers Ltd 安全ネット用合成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安全ネットの製造方法
JP2019073830A (ja) * 2017-10-17 2019-05-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織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2343Y1 (ko) * 1990-06-20 1993-05-06 노복현
JP2605647Y2 (ja) * 1993-12-24 2000-07-31 萩原工業株式会社 メッシュシ−ト
KR101213903B1 (ko) 2011-03-17 2012-12-18 복진선 산업용 레노직물 및 그 제직방법, 종광장치
KR20170001050A (ko) * 2015-06-25 2017-01-04 이소영 용융재생이 가능한 합성수지제 친환경 수직보호망용 직물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729954B1 (ko) 2016-10-18 2017-04-25 도현민 산업용 pet사 직물지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69236A (ja) * 2002-11-22 2004-06-17 Nakada Sangyo Kk 防獣ネット用網糸
JP2011089236A (ja) * 2009-10-26 2011-05-06 Teijin Fibers Ltd 安全ネット用合成繊維およびそれを用いた安全ネットの製造方法
JP2019073830A (ja) * 2017-10-17 2019-05-1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織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23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45503A1 (de) Gittergewebe
US4328840A (en) Double side fabric
KR102368052B1 (ko) 망구멍의 크기와 간격이 일정규격으로 유지되고 망지의 섬유탄력성과 견고성이 향상되게 한 합성섬유 방충망 및 그 제조방법
JP2001507410A (ja) エアバッグのための工業用織物
JP2013104161A (ja) 織物
KR102459862B1 (ko) 건축공사용 레노조직 안전망
US9888748B2 (en) Zip fastener
JP2003506580A (ja) 三次元サンドイッチプリフォームおよびそれを提供する方法
JP4011916B2 (ja) メッシュ織物
JP6524880B2 (ja) 多層織物
KR900000523A (ko) 다수의 날실층과 씨실층을 갖는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458911B1 (de) Gewebtes sicherheitsgurtband
KR100888153B1 (ko) 그물망의 직조방법 및 그의 직조물
KR101977486B1 (ko)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EP3899118B1 (de) Membran für textile architektur
US20210355612A1 (en) Fabric, in particular for use as a privacy or anti-glare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invention
KR102605308B1 (ko) 고강도, 저융점성을 갖는 복합멀티필라멘트사로 제직한 방충망 및 그 제조방법
JPH02229263A (ja) 格子状合成繊維編織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07343A (ja) 織物シート材料
KR20130081987A (ko) 고분자 스트랩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형성된 고분자 스트랩
CN220149755U (zh) 网孔布及用具
JPS62210103A (ja) タイヤ補強材
JP2012224964A (ja) 炭素繊維補強織物
TW200928032A (en) Net fabric with high tensile strength
KR100623707B1 (ko) 관통홈을 형성한 화물 그물망용 웨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