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858B1 -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858B1
KR102459858B1 KR1020200039969A KR20200039969A KR102459858B1 KR 102459858 B1 KR102459858 B1 KR 102459858B1 KR 1020200039969 A KR1020200039969 A KR 1020200039969A KR 20200039969 A KR20200039969 A KR 20200039969A KR 102459858 B1 KR102459858 B1 KR 102459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aryl
heteroaryl
cycloalkyl
alken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9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16868A (ko
Inventor
최재영
한균희
남궁완
박성하
박무석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200116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6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2Ox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4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 A61K31/3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isosorbide not condensed with another ring, e.g. ranitidine, furosemide, bufetolol, muscar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8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 A61K31/38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sulfur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five-membered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51,2-D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Oxazoles
    • A61K31/4211,3-Oxazoles, e.g. pemoline, trimethadi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61,3-Thi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25Thiazoles
    • A61K31/427Thiazoles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5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 A61K31/4523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54Non condensed piperidines, e.g. piperocaine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imozide, domper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53Mouth and digestive tract, i.e. intraoral and peroral administration
    • A61K9/0056Mouth soluble or dispersible forms; Suckable, eatable, chewable coherent forms; Forms rapidly disintegrating in the mouth; Lozenges; Lollipops; Bite capsules; Baked products; Baits or other oral forms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07/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07/3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33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tw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07/337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2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one carbocyclic ring
    • C07D209/04Indoles; Hydrogenated indoles
    • C07D209/10Indoles; Hydrogenated indole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209/18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09/2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substituted additionally by nitrogen atoms, e.g. tryptophane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 C07D23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1/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3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2-diazole or hydrogenated 1,2-d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3/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3/36One oxygen atom
    • C07D263/38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2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6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 C07D26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63/3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63/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oxazole or hydrogenated 1,3-ox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63/36One oxygen atom
    • C07D263/42One oxygen atom attached in position 5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7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 C07D27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77/2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77/2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thiazole or hydrogenated 1,3-thiazol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77/3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3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3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two or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5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3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 C07D33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not substituted on the ring sulphur atom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333/24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3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33/5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sulfur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33/52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 C07D333/54Benzo[b]thiophenes; Hydrogenated benzo[b]thiophe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C07D333/6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directly linked by a ring-member-to-ring-member bon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Zo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hys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Furan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yrrole Compound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과, 상기 신규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전구체,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NOVEL COMPOUND AND METHOD FOR PREVENTING OR TREATING OF RESPIRATORY DISEASE COMPRIS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펜드린은 음이온 교환체 및 SLC26 유전자 패밀리의 구성원인 SLC26A4 유전자에 의해 암호화되고, Cl-을 HCO3 -, I-, OH- 및 SCN- 같은 음이온으로 교환한다. 펜드린은 기도 상피 세포의 내강막에 발현하는 세포막 단백질이다. 그러나, 펜드린 발현은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백일해균 감염, 급성 폐 손상(ALI),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및 라이노바이러스로 인한 일반적인 감기와 같은 염증성 기도 질환에서 강하게 상향 조절되고, 펜드린의 상향 조절은 그들이 1차 기도 상피 세포에서 IL-4, IL-13 및 IL-17A와 함께 배양될 때 관찰된다. 흥미롭게도, 펜드린 녹아웃(KO)은 COPD, 알레르기성 비염, 천식, 백일해균 감염 및 라이노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모든 마우스 모델에서 기도 염증을 개선한다. 기도 염증에서 펜 드린의 병리생리학적 역할은 명확하게 규명되지 않았다. 그러나, 새로운 증거는 펜드린이 염증성 기도 질환에서 기도 표면 액체(ASL) 부피 보존 및 점액 생성의 조절에 관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IL-13에 의한 1 차 마우스 기관 상피 세포 배양에서 ASL 부피 증가는 WT 마우스 대조군과 비교하여 펜드린 KO 마우스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다. 펜드린 돌연변이체(DFNB4)를 운반하는 청각 장애 환자의 1차 인간 비강 상피(HNE) 세포 배양에서 IL-13 유도된 ASL 부피 증가는 정상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더 높았다. 또한, 펜드린 억제제에 의한 펜드린의 억제는 인간 기관지 상피 세포의 1차 배양에서 IL-13 유도된 ASL 부피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이러한 발견은 펜드린의 하향 조절이 염증성 기도 질환에서 ASL 부피 항상성의 조절에 유리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점액의 과도한 생산은 천식 및 COPD와 같은 염증성 기도 질환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펜드린 과발현은 인간 폐암주 NCI-H292 세포 및 마우스 폐 조직에서 MUC5AC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IL-13 처리는 정상 대상으로부터 HNE 세포에서 MUC5AC 유전자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MUC5AC의 IL-13 유도된 상향 조절은 펜드린 돌연변이체를 운반하는 청각 장애 환자의 HNE 세포에서 완전히 제거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펜드린의 하향 조절이 천식 및 COPD의 치료에 유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발명은 특정 화합물이 호흡기 질환을 치료할 가능성이 있는 펜드린 억제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소분자 펜드린 억제제 또는 신규한 새로 설계된 화합물의 확인을 위해 세포-기반 HTS 스크리닝을 통해 발견된 일부 화합물이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ALI)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등과 같은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에 대한 잠재적인 치료법을 제공할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일부 소분자가 펜드린 하향 조절이 정상적인 대상으로부터 분화된 HNE 세포에서 MUC5AC 유전자 발현의 IL-13 유도된 상향 조절을 감소시켰음을 보여줄 수 있다는 발견에 기초한다. 또한, 일부 분자는 오브알부민(OVA) 유도된 알레르기성 천식의 마우스 모델에서 기도 염증을 개선하는 펜드린 억제제로 사용되었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전구체,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V1 및 V2는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OS(O) i (아릴), S(O) i NR3R4, C(O)R3, OR3,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NR3R4이고,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OS(O) i (아릴), S(O) i NR3R4, C(O)R3, OR3,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상기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C1 ~ C10 알킬아릴, 아릴알킬,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i 및 j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R 1 및 R 2 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 및 R4는 수소,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헤테로아릴, C1 ~ C10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헤테로아릴, C1 ~ C10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일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또는,
R3 및 R4는 4 내지 10원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사이클화될 수 있고, 상기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i(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A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2
또는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3
로 표시되고,
X1 및 X2 는 O, S, CHR4 및 N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3는 수소, OR3,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S(O) i NR3, C(O)R3, OC(O)R3, (O)COR3, NR3C(O)OR3, NR3C(O)R3, C(O)NR3 및 NR3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OR3,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S(O) i NR3, C(O)R3, OC(O)R3, (O)COR3, NR3C(O)OR3, NR3C(O)R3, C(O)NR3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아릴알킬,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5 및 R6은 수소,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6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부위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또는,
R5 및 A1은 4 내지 10원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사이클화될 수 있고, 상기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중 하나는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화합물, 적어도 하나의 그 E- 또는 Z- 이성질체, 적어도 하나의 그 광학 이성질체, 적어도 하나의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적어도 하나의 그 전구체, 적어도 하나의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을 억제,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할 수 있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또는 그 혼합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펜드린 억제제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클로라이드 채널을 특이적으로 조절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기도 표면 액체(ASL)의 부피를 보존하고 뮤신(mucin)의 분리를 감소시키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ALI)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혼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펜드린 억제제로서 화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클로라이드 채널을 특이적으로 조절하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해 기도 표면 액체(ASL)의 부피를 보존하고 뮤신(mucin)의 분리를 감소시키는,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추가 측면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한 용도를 제공하고, 상기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은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ALI)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 및 장점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을 고려하여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신규 화합물은 펜드린 억제제로 작용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 특히, 천식 또는 급성 폐 손상)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세포-기반 고속대량 스크리닝의 원리 및 및 그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인간 펜드린을 안정적으로 발현하는 CHO-K1-YFP 세포 내 펜드린의 Cl-/I- 교환 활성 상에 F56의 억제 효과의 예시를 보여주는 YFP 형광 추적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F56 에 의한 펜드린-매개 Cl-/HCO3 - 교환 활성의 억제를 나타낸 것이다. 높은 농도 Cl-의 적용은 펜드린-매개 Cl-/HCO3 - 교환을 통한 세포내 pH 감소를 유도하고 YFP 형광의 감소를 초래하였다. 펜드린 억제제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도 4(a)는 펜드린-매개 Cl-/I- 및 Cl-/HCO3 - 교환 활성의 억제에 대한 F56 용량-반응의 요약을 나타낸 것이다(평균 ± S.E., n=4-5).
도 4(b)는 펜드린-매개 Cl-/I-, Cl-/SCN-, Cl-/HCO3 - 및 Cl-/OH- 교환 활성의 억제에 대한 F10 용량-반응의 요약을 나타낸 것이다(평균 ± S.E., n=3).
도5(a)는 신규 펜드린 억제제인 F56이 IL-4-자극된 HNE 세포에서 펜드린-매개 세포 반응을 차단함을 나타낸 것이다. (A) F56의 화학 구조. (B) 펜드린-매개 Cl-/SCN- 교환 활성에 대한 F56의 억제 효과(평균 ± S.E., n = 5). (C) 펜드린-매개 Cl-/I-, Cl-/SCN-, Cl-/HCO3 -, 및 Cl-/OH- 교환 활성의 억제에 대한 F56 용량-반응(평균 ± SE, n = 4-5). (D) 미처리 및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펜드린(PDS)의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량 결과. (E)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펜드린-매개 Cl-/HCO3 - 교환. (F) ΔpHi/min 에서 초기 변화율(평균 ± S.E., n = 3-4). (G)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F56에 노출 후 Cl-/HCO3 - 교환 활성. (H)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펜드린 및 ANO1에 대한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량 결과(평균 ± S.E., n = 5). (I) PDS mRNA 발현 수준은 IL-4- 처리된 HNE 세포 에서 실시간 PCR에 의해 결정됨(평균 ± S.E., n = 5). * P <0.05, ** P <0.01, *** P <0.001. NTC, 형질 감염되지 않은 세포.
도 5(b)는 PDS의 mRNA 발현 수준에 대한 F10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PDS mRNA 발현 수준은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한 F10 처리 후 120시간에서 결정되었다.
도 6(a)는 인간 펜드린을 발현하는 CHO-K1 세포에서 펜드린-매개 Cl-/염기 교환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 (A) 펜드린-매개 Cl-/I- 교환 활성(평균 ± S.E., n = 5).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B, C) 세포내 pH의 대표적인 추적. Cl- 프리 용액의 적용은 펜드린-매개 Cl-/HCO3 - 및 Cl-/OH- 교환 활성을 통한 세포내 알칼리화를 유발하였다.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D-F) 펜드린-매개 Cl-/I- 교환 활성을 인간 펜드린을 발현하는 CHO-K1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F56, PDSinh-A01 및 PDSinh-C01의 지시된 농도를 10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G) F56, PDSinh-A01 및 PDSinh-C01의 용량-반응의 요약(평균 ± S.E., n = 3). (H, I) NIH3T3 (H) 및 CHO-K1 (I)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에 대한 F56, PDSinh-A01 및 PDSinh-C01의 효과. 세포를 24시간 동안 F56, PDSinh-A01 및 PDSinh-C01로 처리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MTS 비색 분석에 의해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3). NTC, 형질 감염되지 않은 세포.
도 6(b)는 NIH3T3 및 CHO-K1 세포에서 세포 생존율에 대한 F10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세포는 24시간 동안 F10으로 처리되었다. 세포 생존율은 MTS 비색 분석에 의해 결정되었다 (평균 ± S.E., n = 3).
도 7(a)는 F56의 특성을 나타낸 것이다. (A) F56에 의한 마우스 펜드린(mPDS)-매개 Cl-/I- 교환 활성의 억제를 마우스 펜드린을 발현하는 CHO-K1 세포에서 측정하였다(평균 ± S.E., n = 5).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B) 인간 펜드린(hPDS)-매개(폐쇄 원, 도 5(a), C) 및 mPDS-매개(개방 원) Cl-/I- 교환 활성의 억제에 대한 F56 용량-반응의 요약. (C-F) SLC26A3, SLC26A6, SLC26A7 및 SLC26A9를 발현하는 CHO-K1 세포의 세포내 pH의 대표적인 흔적을 나타내었다. Cl- 프리 용액의 적용은 Cl-/HCO3 - 교환을 통한 세포내 알칼리화를 유발하였다.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G) CFTR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에 대한 F56(100 μM)의 효과는 인간 CFTR을 발현하는 FRT 세포에서 측정되었다. CFTR 전류는 20 μM 포스콜린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10 μM CFTRinh-172에 의해 억제되었다. (H) ANO1 클로라이드 채널 활성에 대한 F56(100 μM)의 효과를 인간 ANO1을 발현하는 FRT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100 μM ATP에 의한 ANO1 활성화 10 분 전에 F56을 첨가하였다. (오른쪽) 피크 전류 요약(평균 ± S.E., n = 3). (I) hERG (Kv11.1) 칼륨 채널 활성에 대한 F56의 효과는 인간 Kv11.1을 발현하는 HEK293T 세포에서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4).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hERG 채널은 50 μM 시사프라이드에 의해 억제되었다. (J) 5-HT2A 채널 활성에 대한 F56의 효과는 인간 5-HT2A를 발현하는 FRT 세포에서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4).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 하였다. 5-HT2A 채널을 10 μM 5-HT에 의해 활성화시키고 10 μM 케탄세린에 의해 억제시켰다. *** P <0.001. NTC, 형질 감염되지 않은 세포.
도 7(b)는 CFTR, ANO1 및 hERG의 채널 활성에 대한 F10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CFTR 채널에 대한 F10(30 μM)의 효과는 인간 CFTR 및 변이체 YFP를 발현하는FRT 세포에서 측정되었다. CFTR은 20 μM 포스콜린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10 μM CFTRinh-172에 의해 억제되었다. (B) ANO1 채널 활성에 대한 F10(30 μM)의 영향은 인간 및 변이체 YFP를 발현하는 FRT 세포에서 측정되었다. ANO1은 100 μM ATP에 의해 활성화되었고 10 μM T16Ainh-A01에 의해 억제되었다. (C) hERG (Kv11.1) 칼륨 채널 활성에 대한 F10(30 μM)의 효과는 인간 Kv11.1을 발현하는 HEK293T 세포에서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4). hERG 채널은 50 μM 시사프라이드에 의해 억제되었다.
도 8(a)은 HNE 세포에서 펜드린 및 다른 이온 채널에 대한 F56의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A) 처리되지않은(회색 선) 및 IL-4 (10 ng/ml) 처리된 HNE 세포의 세포내 pH의 대표적인 추적. 펜드린은 F56(50 mM)에 의해 억제되었다. (B) 펜드린의 mRNA 발현 수준은 IL-4-처리된 HBE 세포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해 F56 (30 mM) 처리 후 지시된 시점에서 결정되었다(평균 ± S.E., n = 3). (C) Cl-/HCO3 - 교환 활성을 IL-4-처리된 HBE 세포에서 측정하였다. F56을 5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D, E) HNE 세포의 단락 전류 기록. ENaC, CFTR 및 CaCC 채널 활성에 대한 F56의 영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추적. F56(30 mM)에 48 시간 노출시킨 후, IL-4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채널 활성을 측정하였다. 아밀로라이드(100 μM), 포스콜린(20 μM), CFTRinh-172(10 μM) 및 ATP (100 μM)를 정단부 조에 첨가하였다. (F) ANO1, CFTR 및 ENaC mRNA 발현 수준은 IL-4-처리된 HNE 세포(평균 ± S.E., n = 5)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해 F56(30 mM) 처리 후 지시된 시점에서 결정되었다. * P <0.05, ** P <0.01, *** P <0.001.
도 8(b)는 ANO1, CFTR 및 ENaC의 mRNA 발현 수준에 대한 F10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ANO1, CFTR 및 ENaC mRNA 발현 수준은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한 F10 처리 후 120시간에서 결정되었다.
도 9(a)는 F56이 OVA- 유도된 알레르기성 천식의 마우스 모델에서 펜드린/SCN-/NF-kB 경로의 억제를 통해 기도 염증을 개선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A) OVA로 감작되고 챌린지된 동물의 기도 저항성. (B) HNE 세포에서 SCN-- 운반에 대한 IL-4 및 F56의 영향(평균 ± S.E., n = 5). (C)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F56 처리 후 실시간 PCR에 의해 측정된 Duox1 및 Duox2 수준(평균 ± S.E., n = 3). (D) F56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IL-4로 처리된 HNE 세포에 대한 단백질 발현량 결과. (오른쪽) 포스포-p65 상대적 단백질량 비교(평균 ± S.E., n = 3). (E) OVA-감작 마우스에서 메타콜린 챌린지에 대한 기도 저항성(평균 ± S.E., n = 3-4). (F) 기도 조직의 대표적인 PAS 염색. 크기 바, 100 μm. * P <0.05, ** P <0.01.
도 9(b)는 OVA로 감작되고 챌린지된 동물에서 기도 저항성에 대한 F10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 천식 마우스 모델에서 F56에 의한 알레르기성 기도 염증의 개선을 나타낸 것이다. (A) 야생형 마우스에서 알레르겐 챌린지 후 알레르기성 기도 염증 해결의 유도 및 시간 경과의 프로토콜. (B) 기관지 폐포 세척액(BALF)의 염증 세포를 원심 분리에 의해 분리하고 Diff-Quik 염색 시약으로 염색하였다. 세포 수는 광학 현미경으로 정량화되었다(평균 ± S.E., n = 10). (C) 헤마톡 실린 및 에오신으로 염색된 기도의 대표적인 조직학. 크기 바, 100 μm. (D) 비히클 처리된, OVA- 감작된/챌린지된 및 F56(10 mg/kg)-처리된 OVA-감작된/챌린지된 마우스로부터 기도 부분의 과요도드산-셔프(PAS) 염색. 크기 바, 50 μm. (E) 염증 점수의 요약(평균 ± S.E., n = 4). (F) 혈청 내 OVA-특이 IgE 수준(평균 ± S.E., n = 4). (G) NF-kB 리포터 마우스의 폐에서 NF-kB 발현을 IVIS 시스템을 사용하여 비교하였다. 마우스로부터 폐를 분리하고 IVIS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형광 이미지(Ex 570, Em 620)하였다. Living Image 4.3.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평균 형광 밀도를 분석하였다. * P <0.05.
도 11은 알레르기성 천식의 확립된 모델에서 F56에 의한 알레르기성 천식의 개선을 나타낸 것이다. (A) 야생형 마우스에서 알레르겐 항원 챌린지 후 알레르가성 기도 염증의 유도 및 시간-경과 프로토콜. F56 (10 mg/kg 3 회/day)을 3차 OVA 챌린지 후에 적용하였다. (B) OVA-유도된 천식 모델에서 전신 체적기록법에 의해 측정된 기도 반응성. Penh은 증가된 용량의 메타콜린에 반응하여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4). (C) 기도 조직의 대표적인 PAS 염색. 크기 바, 100 μm. (D) PAS 양성 세포의 요약(평균 ± S.E., n = 4). * P <0.05.
도 12(a)는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점막 생성 및 ASL 부피 조절에 대한 F56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A) MUC5AC mRNA 발현 수준은 IL-4(10 ng / ml) 처리된 HNE 세포에서 F56(30 mM) 처리 후 지시 된 시점에서 결정되었다(평균 ± S.E., n = 4). (B) 7 일째 F56(30 M)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IL-4 및 IL-13(10 ng/ml) 처리된 HNE 세포의 술잔 세포 과형성을 나타내는 과요오드산-쉬프(PAS) 염색. (C) 야생형(wt) 또는 돌연변이(mt) PDS를 발현하는 HNE 세포에서 ASL 및 유체 메니스커스의 총 부피의 측정. HNE 세포를 30 mM F56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IL-4(10 ng/ml, 48 시간)로 처리 하였다(평균 ± S.E., n = 3-4). (D) 정상 HNE 세포를 갖는 트랜스웰 삽입물의 대표적인 이미지. 화살표는 30 mM F56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IL-4(10 ng/ml, 48 시간)로 처리된 HNE 세포의 유체 메니스커스를 나타냄. (E) IL-4 및 IL-13- 처리된 HNE 세포에서 펜드린의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량 결과. (F) ASL 및 유체 메니스커스의 총 부피의 측정. HNE 세포를 30 mM F56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IL-13(10 ng/ml, 48 시간)으로 처리하였다(평균 ± S.E., n = 3-4). * P <0.05, *** P <0.001. 크기 바, 30 μm.
도 12(b)는 MUC5AC의 mRNA 발현 수준에 대한 F10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MUC5AC mRNA 발현 수준은 IL-4 처리된 HNE 세포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한 F10 처리 후 120시간에서 결정되었다.
도 13은 청각 역치 및 혈장 갑상선 호르몬 수치에 대한 F56의 영향을 나타낸 것이다. (A) 대조군 및 F56(7 일 동안 10 mg/kg/일) 처리된 마우스로부터의 ABR 파형의 대표적인 예시. (B) 청각 역치의 요약 (평균 ± S.E., n = 8-10). (C) T3 및 T4의 혈장 수준은 F56(7 일 동안 10 mg/kg/일) 처리된 및 미처리된 마우스에서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4). (D) 래트 기관 고리에서 기도 평활근(ASM) 수축 반응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힘 추적. F56(30 mM)은 준최대 농도(300 nM)에서 카바콜 (CCh)에 의한 ASM 수축의 유도 후 적용되었다. ASM 이완은 포스콜린 및 IBMX에 의해 유도되었다.
도 14는 기도 염증에서 펜드린 억제제의 가능한 역할을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펜드린 억제제는 기도 상피에서 SCN- 수송을 차단함으로써 NF-kB 활성화를 감소시키고, 기도 염증에서 상향 조절된 펜드린-매개 ASL 결핍을 억제함으로써 점막 제거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5는 펜드린 결핍이 마우스에서 LPS-유도된 폐 손상을 약화시킴을 나타낸 것이다. 야생형 (WT) 및 펜드린-널(Pds-/-) 마우스에 LPS (10 mg / kg) 또는 비히클 (PBS)을 비강내로 투여하였다. (A) 총 기관지 폐포 세척 (BAL) 세포 수 및 BAL 단백질 농도는 WT 마우스에서 LPS 또는 PBS 투여 48 시간 후에 분석되었다. (B) LPS 또는 PBS 투여 48 시간 후 폐 조직의 H&E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x400), 크기 바: 50 μm. (C) 총 BAL 세포 수 및 BAL 단백질 농도는 펜드린-널 마우스에서 LPS 또는 PBS 투여 48 시간 후 분석되었다. (D) LPS 또는 PBS 투여 48 시간 후 폐 조직의 H&E 염색의 대표적인 이미지(x400), 크기 바: 50 μm. (E) 마우스 체중이 변한다. (F) LPS 미처리 및 처리 된 WT 마우스의 폐 용해물에서 펜드린의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량 결과. 제공된 데이터는 Student's unpaired two-tailed t 시험에 의해 분석된, 평균 ± SEM (군 당 n = 6-8 마리 마우스), * P <0.05, ** P <0.01, *** P <0.001이다.
도 16은 신규 펜드린 억제제(F56)가 인간 폐포 상피 세포에서 펜드린 활성을 차단하였음을 나타낸 것이다. (A) 펜드린 억제제 F56의 화학 구조. (B) 인간 폐포 상피 세포(hAEC)에서 펜드린 (PDS)의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량 결과. (C) PDS mRNA 수준을 hAEC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해 측정하였다(평균 ± S.E., n = 3). (D) 인간 펜드린을 발현하는 hAEC에서 인간 야생형 펜드린-매개 Cl- /SCN- 교환 활성에 대한 F56의 억제 효과(평균 ± S.E., n = 10). F56의 지시된 농도를 10 분 동안 사전처리하였다. (오른쪽) 용량-반응의 요약. (E) DUOX2 mRNA 수준은 hAEC에서 실시간 정량 PCR에 의해 측정되었다(평균 ± S.E., n = 3 ~ 4). * P <0.05, ** P <0.01 vs 대조군. Student's unpaired two-tailed t 시험.
도 17은 F56이 마우스에서 LPS-유도된 급성 폐 손상 표현형을 억제하였음을 나타낸 것이다. (A) F56(10 mg/kg)을 LPS 처리 1 시간 전에 복강내 주사하였다. (B) BALF 총 세포 수. (C) BALF 단백질 농도. (D) H&E 폐 조직 염색(× 400)의 대표 이미지, 크기 바: 50 μm. (E) 폐 손상 점수. (F) F56(10 mg/kg)을 LPS 흡입 후 6 시간 및 12 시간에 복강내 주사하였다. (G) BALF 총 세포 수. (H) BALF 단백질 농도. (I) 폐 손상 점수. 제공되는 데이터는 Bonferroni's post hoc 시험으로 one-way ANOVA에 의해 분석된, 평균 ± SEM (군 당 n = 10-12 마우스), ***P < 0.001이다.
도 18은 F56 또는 펜드린 널 마우스의 존재 하에 SCN- 촉발된 LPS-유도된 폐 손상을 나타낸 것이다. (A) BALF 총 세포 수. LPS(10 mg/kg, in), F56(10 mg/kg, ip), NaOH(100 mM, in), NaHCO3 (100 mM, in) 및 NaSCN(100 mM, in)을 WT 마우스에서 처리하였다. (B) BALF 단백질 농도. (C) 폐 손상 점수. (오른쪽) H&E로 염색된 대표적인 폐 조직(× 400), 크기 바: 50 μm. (D) 펜드린-널 마우스에서 BALF 단백질 농도. NaSCN(100 mM, i.n.)은 LPS 처리된 펜드린-널 마우스에 적용되었다. (오른쪽) Diff-Quik 염색으로 염색된 대표적인 마우스 BALF 사이토스핀. 염증성 세포, 특히 호중구(빨간색 화살표)는 LPS 또는 NaSCN 단독과 비교하여 LPS + NaSCN 노출 후 증가하였다. 검은색 화살표는 대식세포를 나타낸다(× 200), 크기 바: 100 μm. 제공된 데이터는 Bonferroni's post hoc 시험으로 one-way ANOVA에 의해 분석된, 평균 ± SEM (군 당 n = 5-6 마우스), * P <0.05, ** P <0.01, *** P <0.001이다.
도 19는 F56이 LPS-유도된 급성 폐 손상에서 NF-κ경로를 차단하고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을 감소시켰음을 나타낸 것이다. (A) LPS (10 mg/kg)에 노출되고 F56(10 mg / kg) 또는 비히클로 처리된 NF-κ/ SPC-Cre 마우스의 폐의 대표적인 이미지. IVIS 이미지 형광은 복사 효율로 표시된다. (B) Living Image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관심 영역의 분석에 의해 평균 형광을 정량화하였다. 제공된 데이터는 평균 ± SEM이다 (군 당 n = 9-10 마우스). (C) 폐 용해물에서 대표적인 단백질 발현량 결과. (D) 상대적인 단백질 수준을 펜드린 및 포스포-Iκ에 대한 밀도 측정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평균 ± SEM, 군 당 n = 6), (E-H) IL-1βCXCL2 / MIP-2, IL-6 및 TNF-α 수준은 폐 조직 용해물에서 ELISA에 의해 측정되었다. 제공된 데이터는 Bonferroni's post hoc 시험으로 one-way ANOVA에 의해 분석된, 평균 ± SEM (그룹당 n = 7-8 마우스), * P <0.05, ** P <0.01, ** P <0.001이다.
도 20은 인간 BALF의 펜드린 수준을 나타낸 것이다. 폐렴으로 인한 ARDS 환자는 대조군 환자 (감염되지 않은)에 비해 증가된 펜드린 수치를 나타냈다. ELISA에 의해 인간 BALF 상청액으로부터 펜드린 수준을 측정하였다(대조군 n = 25, ARDS n = 41). Student's unpaired two-tailed t 시험에 의해 분석된, * P <0.05, ** P <0.01, *** P <0.001.
도 21은 LPS-유도된 폐 손상에서 펜드린 및 그 억제제의 역할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SCN-은 폐포 상피의 정단부 표면에서 펜드린을 통해 폐 내강으로 활발히 수송된다. SCN-은 H2O2와 함께 퍼옥시다아제에 의해 OSCN-으로 촉매된다. 생성 된 OSCN-은 NF-κ를 활성화시키고 염증성 사이토카인 방출, 호중구 침윤 및 후속 폐 손상을 유발한다. 펜드린 억제제 F56은 OSCN- 유도된 NF-κ활성화 및 ALI의 후속 발병을 억제하는 SCN-의 상피를 통한 수송을 차단한다.
1. 정의
달리 정의되지 않으면,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본 개시가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가진다. 하기 참고 문헌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에 사용된 많은 용어의 일반적인 정의를 제공한다: The Cambridge Dictionary of Science and Technology (Walker ed., 1988); The Glossary of Genetics, 5th Ed., R. Rieger et. al. (eds.), Springer Verlag (1991); and Hale & Marham, The Harper Collins Dictionary of Biology (1991).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하기 용어는 달리 명시되지 않으면, 하기 언급된 의미를 가진다.
문맥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명백하지 않으면, 본원에 사용된 용어 "또는"은 포괄적인 것으로 이해된다.
문맥에서 구체적으로 언급되거나 명백하지 않으면, 본원에 사용된 용어 "약"은 당업계의 일반적인 허용 범위 내에서, 예를 들어 평균의 2개 표준 편차 내에서 이해된다. 약은 명시된 값의 10%, 9%, 8%, 7%, 6%, 5%, 4%, 3%, 2%, 1%, 0.5%, 0.1%, 0.05% 또는 0.01% 이내로 이해될 수 있다. 문맥에서 달리 명확하지 않으면, 본원에 제공된 모든 수치는 용어 약에 의해 수정된다.
용어 "활성제", "약물" 및 "약학 제제"는 본원에 기재된 임의의 수단(예컨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물)에 의해 대상에 투여될 때 원하는 약리학적 효과(예컨대, 염증의 감소와 같은)를 유도하는 화학 물질 또는 화합물을 가르키기 위해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된 "첨가제"는 본원에 서술된 조성물 및 화학식에 첨가될 수 있는 임의의 추가 성분을 가르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 성분이 치료될 특정 상태를 위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함을 제공하면서, 첨가제는 부형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부형제), 항산화제 (예컨대,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안정화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보존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보존제), pH 조절 및/또는 완충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pH 조절 및/또는 완충제), 등장성 조절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등장성 조절제), 증점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증점제), 현탁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현탁제), 결합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결합제), 점도 증가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점도 증가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첨가제는 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단당류, 이당류, 전분, 젤라틴,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덱스트로오스, 하이드 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융점 왁스, 이온 교환 수지 등과 같은, 처리제 및 약물 전달 개질제, 인핸서 및 그 임의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통합되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 Co., New Jersey (1991),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20th edition (2003) 및 21st edition (2005) 에서 서술된다. 본원에 서술된 첨가제는 임의의 적합한 약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투여"는 대상에 경구 투여, 좌약, 국소 접촉 정맥내, 비경구, 복강내, 근육내, 병변내, 척수강내, 비강내, 유리체내 또는 피하로서 투여, 또는 서방형 장치, 예컨대, 소형-삼투압 펌프의 이식을 의미한다. 투여는 비경구 및 경점막(예컨대, 경구, 비강, 폐, 직장, 협측, 질, 안구 및 경피 경로)을 포함한 임의의 경로에 의해 투여된다.
"아날로그" 및 "유도체"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되고, 부모 화합물과 동일한 코어를 가지나, 하나 이상의 원자 및/또는 원자의 군, 및 그 조합의 부재 또는 존재 하에, 결합 순서에서 부모 화합물과 상이한 화합물을 가르킨다. 유도체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원자, 작용기 또는 하위구조를 포함할 수 있는 코어 상에 존재하는 하나 이상의 치환체에서 부모 화합물과 상이 할 수 있다. 또한, 유도체는 코어 내에 원자 사이 결합 순서에서 부모 화합물과 상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유도체는 적어도 이론적으로, 화학적 및/또는 물리적 공정을 통해 부모 화합물로부터 형성되는 것으로 예측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항산화제"는 일부 유형의 세포 손상 및/또는 산화를 방지하거나 지연시킬 수 있는 인공 또는 천연 물질을 가리킬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과일과 채소를 포함한 많은 음식에서 발견된다. 또한, 그들은 건강 보조 식품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시적인 항산화제는 β-카로틴, 루테인, 리코펜, 셀레늄, 비타민 A, 비타민 C 및 비타민 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항산화제가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서술된 항산화제는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공동-투여"는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이 본원에 서술된 추가 치료 또는 활성제 또는 첨가제의 투여 직전 또는 직후에 동시에 투여됨을 의미한다. 본 개시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환자에게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공동-투여될 수 있다. 공동-투여는 화합물을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하여(하나 이상의 화합물 또는 제제)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여 해석된다. 원하는 경우, 또한, 제제는 다른 활성 물질과 조합 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포함하는", "함유하는" 및 "가지는" 등은 그들에 속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고, "포함하다", "포함하는" 등을 의미할 수 있고; "필수적으로 구성되는" 또는 "필수적으로 구성하다"도 마찬가지로 그들에 속하는 의미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용어는 개방형이며, 인용된 것의 기본 또는 신규 특징이 언급된 것 이상의 존재에 의해 변화되지 않는 한, 인용된 것 이상의 존재를 허용하지만, 종래 기술의 실시예는 배제된다.
본원에 사용된 "동시 투여"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지속 기간의 중복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2개 제제(예컨대, 생체 활성을 가지는 본원에 서술된 임의의 제제 또는 부류의 제제)가 동시에 투여 될 때, 이들의 투여는 특정 원하는 시간 내에 일어난다. 제제의 투여는 동일한 날에 시작하고 끝날 수 있다. 또한, 1개 제제의 투여는 2개 제제가 동일한 날에 적어도 1 회 복용되는 한 두번째 제제의 투여에 선행될 수 있다. 유사하게, 1개 제제의 투여는 2개 제제가 동일한 날에 적어도 1 회 복용되는 한 두번째 제제의 투여를 넘어 연장될 수 있다. 생물 활성제/ 제재를 동시 투여를 포함하기 위해 매일 같은 시간에 복용할 필요는 없다.
본원에 사용된 "유효량" 또는 "치료 유효량"은 임상 결과를 포함하는 유리한 결과와 같은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에 영향을 주기에 충분한 양이다. 따라서, "유효량"은 그것이 적용되는 상황에 달려 있다. 유효량은 치료되는 개체의 질환 상태, 연령, 성별 및 체중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인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여러 분할 용량이 매일 투여될 수 있거나 또는 치료 상황의 긴급성에 의해 지시된 바와 같이 용량이 비례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개시 내용의 조성물/제제는 치료량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만큼 자주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겔"은 용이하게 유동성 액체가 아니고 고체, 즉 반고체가 아닌 물질을 가리킬 수 있다. 겔은 천연 또는 합성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겔은 정렬되지 않고 약간 정렬되어 복굴절, 액정 특성을 나타낸다. 겔은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호흡기 질환"은 통상적인 의학적 의미를 가지며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ALI)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및 호흡계의 밀접한 관련 질환 및 장애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억제"는 예방, 감소, 둔화 또는 정지를 의미한다. 일 구현예에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부재 하에서 양 또는 속도와 비교할 때,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발생하는 공정 또는 반응의 양 또는 속도가 적어도 약 10%로 감소하는 경우,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적어도 하나의 단백질(예컨대, 펜드린)의 생존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부재 하에서 양 또는 속도와 비교할 때,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발생하는 공정 또는 반응의 양 또는 속도가 적어도 약 20%로 감소하는 경우, 조성물 또는 화합물은 공정 또는 반응을 억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부재 하에서 양 또는 속도와 비교할 때,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존재 하에서 발생하는 억제의 양 또는 속도가 약 25% 이상, 약 30%, 약 40%, 약 50%, 약 60%, 약 70%, 약 75% 또는 약 80%로 감소한 경우,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백질(예컨대, 펜드린)을 억제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단백질의 생존력을 억제하는 것, 즉 그의 발달을 저지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원에 사용된 "간헐적 투여”는 제제를 투여하는 기간(이는 "제1 투여 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음), 이어서 제제를 섭취하지 않거나 보다 낮은 용량으로 섭취하는 기간(이는 “오프-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음), 이어서 제제를 다시 투여하는 기간(이는 “제2 투여 기간”으로 간주될 수 있음)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2 투여 기간 동안, 제제의 투여량 수준은 제1 투여 기간 동안 투여된 것과 일치하지만 의학적으로 필요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젤리"는 겔로 구성되고, 이는 구조적 응집성 매트릭스가 높은 부분의 액체, 보통 물을 함유하는 액체에 의해 침투된 작은 무기 입자 또는 큰 유기 분자 중 하나로 이루어진 현탄액으로 구성된 반고체 시스템이다.
본원에 사용된 "액체"는 액체 상태의 조성물로 구성된 투여 형태이다. 액체는 쏟을 수 있고; 이는 실온에서 용기를 흐르고 행동한다. 액체는 뉴턴 또는 유사가소성 유동 거동을 나타낸다.
구현예에서, 본원에 사용된 "반액체"는 액체 및 다른 제제(즉, 현탁액, 유제, 용액, 크림, 겔, 젤리 등) 모두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
본원에 사용된 용어 "연고"는 질환, 증후군 또는 상태의 치료적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고점도 액체 또는 반액체 제형을 가리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생리학적으로 적합한 임의의 및 모든 용매, 분산 매질, 코팅, 항균 및 항진균제, 등장성 및 흡수 지연제 등을 포함한다. 담체의 유형은 의도된 투여 경로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멸균 국소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분말을 포함한다. 약학적인 활성 물질을 위한 이러한 매질 및 제제의 사용은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임의의 종래 매체 또는 제제가 조성물과 양립할 수 없는 한(예컨대, 본원에 서술된 화학식 1, 화학식 1의 유도체 또는 유사체, 또는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 수화물 또는 다형체), 본 개시를 위한 조성물에서 그의 사용이 고려된다.
본원에 사용된 "약학적인 담체" 또는 "담체"는 채용된 투여량 및 농도에서 세포 또는 포유 동물에 독성이 없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안정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생리 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종종 수성 pH 완충 용액이다. 생리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의 예시는 포스페이트, 시트레이트 및 다른 유기산과 같은 완충제;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한 항산화제; 저분자량(약 10 잔기 미만) 폴리펩티드; 혈청 알부민, 젤라틴 또는 면역글로불린과 같은 단백질;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친수성 폴리머; 글리신, 글루타민, 아스파라긴, 아르기닌 또는 리신과 같은 아미노산; 글루코스, 만노스 또는 덱스트린을 포함하는 단당류, 이당류 및 다른 탄수화물; EDTA와 같은 킬레이트제; 만니톨 또는 소르비톨과 같은 당 알코올; 소듐과 같은 염-형성 반대 이온; 및/또는 TweenTM,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및 PluronicsTM과 같은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추가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연방 또는 주 정부의 규제 기관 또는 미국 이외의 국가에서 해당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승인될 수 있거나 동물, 및 보다 특히, 인간에 사용하기 위해 미국 약전 또는 기타 일반적으로 인정되는 약전에 나열되어 있음을 의미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착물"은 하기 특정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염 또는 착물을 가리킨다. 이러한 염의 예시는 알칼리 금속(예컨대, 소듐, 포타슘 또는 리튬) 및 알칼리 토금속(예컨대, 칼슘 또는 마그네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것들과 같은 금속 양이온의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또는 바이카보네이트와 같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를 가지거나, 또는 1차, 2차, 또는 3차 알킬 아민을 가진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형성된 염기 부가 염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메틸아민, 디메틸아민, 트리메틸아민,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트리에틸아민, 모르폴린, N-메틸-D- 글루카민, N, N'-비스(페닐메틸)-1,2-에탄디아민, 트로메타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에틸렌 디아민, N-메틸모르폴린, 프로카인, 피페리딘, 피페라진 등으로부터 유도된 아민 염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원에 사용된 "염" 또는 "염 형태" 또는 "약하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소듐, 포타슘, 암모늄, 칼슘 또는 제2 철 하이드록사이드과 같은 무기 염기 및 예를 들어, 이소프로필아민, 트리메틸아민, 2-에틸아미노-에탄올, 히스티딘, 프로카인 등과 같은 유기 염기로부터 유래된 염기 부가 염(유리 카복실 도는 다른 음이온성기로 형성된)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염은 임의의 유리 양이온성기를 가지는 산 부가 염으로서 형성되고, 예를 들어, 염산, 황산 또는 인산과 같은 무기산, 또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시트르산, p- 톨루엔술폰산, 메탄술폰산, 옥살산, 타르타르산, 만델릭산 등과 같은 유기산과 같은 유기산으로 일반적으로 형성된다. 본 개시의 염은 염산, 브롬화 수소산, 요오드화 수소산, 황산, 인산 등과 같은 무기산을 가진 아미노기의 양성자화에 의해 형성된 아민 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염은 p-톨루엔설폰산, 아세트산 등과 같은 적합한 유기산을 가진 아미노기의 양성자화에 의해 형성된 아민 염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pH 제제" 또는 "완충제"는 pH 조절제로서 유용한 화합물 또는 완충제를 가리킬 수 있다. 이들은 글리세롤 완충제, 시트레이트 완충제, 보레이트 완충제, 아세테이트 완충제, 글루코네이트 완충제, 포스페이트 완충제 또는 시트르산-포스페이트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pH 제제 또는 완충제는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서술된 용어 "보존제"는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 또는 화학식의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적 변화를 방지하는 물질 또는 화학 물질을 가리킬 수 있다. 적합한 보존제는 예를 들어 벤즈알코늄 클로라이드, 티메로살, 클로로부탄올, 메틸 파라벤, 프로필 파라벤, 페닐에틸 알코올, 에데테이트 디소듐 소르브산, 오나머 M 폴리쿼트, 세틸 브로마이드, 세틸 피리디늄 클로라이드, 벤질 브로마이드, EDTA, 페닐수은 니트레이트, 페닐수은 아세테이트, 티메로살, 메르티올레이트, 아세테이트 및 페닐수은 보레이트, 폴리믹신 B 설페이트, 메틸 및 프로필 파라벤, 4차 암모늄 클로라이드, 소듐 벤조에이트, 소듐 프로피오네이트 및 나트륨 퍼보레이트, 및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존재는 임의의 적합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예방하다", "예방하는" 또는 "예방" 및 다른 문법적인 등가물은 증후군의 발생울 감소시키기 위한 것뿐만 아니라, 질병 또는 상태 증후군의 발달, 발생, 방해 또는 회피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포함한다. 예방은 완전하거나(즉, 검출 가능한 증상이 없음) 또는 부분적일 수 있어서, 치료가 없을 때보다 적은 증상이 관찰될 수 있다. 용어는 예방적 이점을 추가로 포함한다. 질환 또는 상태를 예방하기 위해, 조성물은 특정 질환이 발병할 위험이 있는 환자 또는 이러한 질환의 진단이 아닐 수 있지만 질환의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증후군을 보고하는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제공된 범위는 범위 내의 모든 값에 대한 단축인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1 내지 10의 범위는 예를 들어, 1.1, 1.2, 1.3, 1.4, 1.5, 1.6, 1.7, 1.8 및 1.9와 같은 전술한 정수 사이의 모든 중간 십진법 값뿐만 아니라, 1, 2, 3, 4, 5, 6, 7, 8, 9 또는 10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임의 숫자, 숫자의 조합 또는 하위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하위범위와 관련하여, 범위의 종점 중 하나로부터 연장되는 “중첩된 하위범위”는 특히 고려된다. 예를 들어, 1 내지 50의 예시 범위의 중첩된 하위범위는 일 방향으로 1 내지 10, 1 내지 20, 1 내지 30, 및 1 내지 40을 포함할 수 있거나, 다른 방향으로 50 내지 40, 50 내지 30, 50 내지 20, 및 50 내지 10을 포함할 수 있다. 범위는 본원에서 "약"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약" 다른 특정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될 때, 다른 측면은 하나의 특정 값 및/또는 다른 특정 값을 포함한다. 유사하게, 선행 "약"을 사용하여 값이 근사치로 표현될 때, 특정 값이 다른 측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각 범위의 종점은 다른 종점과 관련하여 및 다른 종점과 독립적으로 중요하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된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다수의 값이 있고, 각각의 값이 또한 그 값 자체 외에 그 특정 값에 대해 "약"으로 본원에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또한, 응용 전체에 걸쳐, 데이터는 다수의 상이한 포맷으로 제공되고, 이러한 데이터는 데이터 포인트의 임의의 조합에 대한 종점 및 시작점과 범위를 나타낸다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특정 데이터 포인트 "10" 및 특정 데이터 포인트 "15"가 개시되는 경우, 10 및 15사이뿐만 아니라, 10 및 15 초과, 이상, 미만, 이하 및 동등한 것이 개시된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2 개 특정 유닛 사이의 각각의 유닛이 개시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10 및 15가 개시되는 경우, 11, 12, 13 및 14도 개시된다.
본 개시의 실시에서 사용하기 위해 고려되는 추가의 부형제는 당업자에게 이용 가능한 것, 예를 들어, 관련 내용이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통합되는 United States Pharmacopoeia Vol. XXII and National Formulary Vol. XVII, U.S. Pharmacopoeia Convention, Inc., Rockville, Md. (1989)에서 발견된다.
본 개시에 따른 "반고체 겔"은 반고체이다. 반고체 제제 겉보기 점도는 농도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순차적인 투여"는 2 개 제제(예컨대,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 또는 조성물)의 투여는 동일한 날에 개별적으로 발생하거나 또는 동일한 날에 발생하지 않는 것(예컨대, 연속된 날에 발생함)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 따른 "용액"은 용매 또는 서로 혼화성인 용매의 혼합물에 용해된 하나 이상의 화학 물질을 함유하는 투명하고 균질한 액체 투여 형태일 수 있다. 용액은 적합한 용매 또는 서로 혼화성인 용매의 혼합물 내 하나 이상의 용해된 화학 물질을 함유하는 액체 제제이다. 용액 내 약물 물질의 분자가 균일하게 분산되기 때문에, 투여 형태로서의 용액의 사용은 투여시 균일한 투여량의 보장 및 용액이 희석되거나 달리 혼합될 때 양호한 정확도를 일반적으로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용매"는 수성 또는 비수성인 액체 용매를 가리킨다. 용매의 선택은 특히 상기 용매에 대한 조성물의 용해도 및 투여 방식에 의존한다. 수성 용매는 물로만 구성될 수 있거나, 물 및 하나 이상의 혼화성 용매로 구성될 수 있으며, 당, 완충제, 염 또는 다른 부형제와 같은 용해된 용질을 함유 할 수 있다. 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비수성 용매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과 같은 단쇄 유기 알코올, 아세톤과 같은 단쇄 케톤, 및 글리세롤과 같은 폴리 알코올이다.
"대상" 또는 "환자"는 포유 동물과 같은 인간 또는 비인간 동물을 의미한다. "대상"은 말, 개, 고양이, 돼지, 염소, 토끼, 햄스터, 원숭이, 기니피그, 래트, 마우스, 도마뱀, 뱀, 양, 소, 물고기 및 조류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인간 대상은 환자를 가리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현탁액"은 액체 비히클 내 분산된 고체 입자를 함유하는 액체 투여 형태이다.
본원에 사용된 "점도"는 유체의 유동 저항성을 가리킨다. 점도제는 본원에서 사용될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비닐 알콜, 폴리비닐 피롤리돈,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 프로필 셀룰로오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른 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량 백분율" 또는 "%(w/w)"는 성분 및 용매의 중량을 기준으로 계산되는 용액 내 성분의 백분율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성분의 1%(w/w) 용액은 100g의 용매에 용해된 1g의 성분을 가질 것이다. 용어 "부피 백분율" 또는 "%(v/v)"는 성분 및 용매의 부피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용액 내 성분의 백분율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성분의 1%(v/v) 용액은 100 ml의 용매에 용해된 1 ml의 성분을 가질 것이다. 용어 "중량/부피 백분율" 또는 "%(w/v)"는 성분의 중량 및 용매의 부피를 기준으로 계산되는 용액 내 성분의 백분율을 가리킨다. 예를 들어, 성분의 1.0%(w/v) 용액은 100 ml의 용매에 용해된 1g의 성분을 가질 것이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증후군"은 지속적으로 함께 발생하는 증상의 군 또는 일련의 관련 증상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를 가리킨다. 증후군(예컨대,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은 서로 관련이 있고 종종 특정 질병과 관련이 있는 일련의 의학적 징후 및 증상일 수 있다. 반면에, 질병은 그 뒤에 분명하게 정의된 이유가 있는 건강 상태일 수 있다. 그러나, 증후군('함께 뛰다'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유래)은 확인 가능한 원인 없이 다수의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그들은 근본적인 질병의 가능성 또는 질병이 발생할 가능성을 암시할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 및 다른 문법적인 등가물은 질환, 상태 (예컨대,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또는 증상의 완화, 약화, 개선 또는 예방, 추가 증상의 예방, 증상의 근본적인 대사 원인의 개선 또는 예방, 질환 또는 상태의 억제, 예컨대, 질환 또는 상태의 발달 정지, 질환 또는 상태의 완화, 질환 또는 상태의 퇴행, 질환 또는 상태에 의해 야기되는 상태의 완화, 또는 질환 또는 상태의 증상의 중지를 포함하고, 예방을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용어는 치료적 이점 및/또는 예방적 이익을 달성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치료적 이점은 치료되는 근본적인 장애의 근절 또는 개선을 의미한다. 또한, 근본적인 장애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생리학적 증상의 근절 또는 개선으로 치료적 이점이 달성되므로, 환자가 여전히 근본적인 장애에 시달릴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환자에서 개선이 관찰된다.
용어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의 생리학적 기능을 향상 및/또는 영양 및/또는 보존하는데 유용한 원료, 기능성 성분, 활성 약학 성분 또는 첨가제로 제조 또는 가공된 식품 또는 식품 보충제를 가리킨다.
용어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은 폐에서 광범위한 염증을 갖는 중증 환자에서 발생하는 의학적 상태를 가리킨다. ARDS는 폐렴 및 패혈증과 같은 다양한 병리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임상 표현형이다. 폐포 장벽, 계면활성제 기능장애, 비정상적인 응고 및 선천성 면역 반응의 활성화를 형성하는 세포에 대한 광범위한 손상은 ARDS의 특징이다.
용어 "급성 폐 손상(ALI)은 저산소혈증 및 고전적인 방사선학적 외관과 관련된 염증 증후군 및 증가된 투과성을 가리킨다. 이러한 스펙트럼의 가장 심각한 말단에는 ARDS가 있다.
용어 "기도 표면 액체(ASL)"는 공기 계면에서 기도 상피의 정단부 표면을 코팅하는 얇은 층의 유체를 가리킨다. ASL은 기도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중추적인 역할을 한다. ASL 부피, pH 및 이온 균형은 항균 활성, 섬모 기능 및 점막 클리어런스의 조절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용어 “염증성 기도 질환”은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포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ALI),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염증성 기도 장애를 가르킨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억제제"는 원하는 생물학적 효과를 유도하는 표적 또는 둘 이상의 표적의 활성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억제하는 분자, 둘 이상의 분자 또는 약학 조성물로 정의된다. 표적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효소, 수용체, 이온-채널 또는 수송체(예컨대, 펜 드린) 등을 포함한다. "억제제"는 표적을 가역적으로 또는 비가역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가역적 억제는 경쟁 억제, 경쟁하지 않는(uncompetitive) 억제, 비-경쟁(non-competitive) 억제 및 혼합 억제를 포함한다.용어 "알킬"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1 내지 20 개 탄소 원자를 가지는 1가 알킬기를 가리키는 직쇄 또는 분쇄 C1-C20 알킬을 포함한다. 이러한 용어는 메틸, 에틸, n- 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1-에틸프로필, 2-메틸부틸, 3-메틸부틸, 2,2-디메틸 프로필, n-헥실,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n-헵틸, 2-메틸헥실, 3-메틸헥실, 4-메틸헥실, 5- 메틸헥실, n-헵틸, n-옥틸, n-노닐, n-데실, 테트라하이드로제라닐(tetrahydrogeranyl), n-도데실, n- 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펜타데실, n-헥사데실, n-옥타데실, n-노나데실 및 n-에이코사닐 등과 같은 군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 이들은 C1-C9 알킬, 보다 바람직하게 C1-C6 알킬, 특히 바람직하게 C1-C4 알킬을 포함하는데, 이는 유사하게, 1 내지 9개 탄소 원자를 가지는 1가 알킬기, 1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지는 1가 알킬기 및 1 내지 4개 탄소 원자를 가지는 1가 알킬기를 각각 나타낸다.
용어 "알케닐"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직쇄 또는 분쇄 C2-C20 알케닐을 포함한다. 임의의 이용가능한 위치에서 임의의 이용가능한 수의 이중 결합을 가질 수 있고, 이중 결합의 구성은 (E) 또는 (Z) 구성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비닐, 알릴, 이소프로페닐, 1- 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부테닐, 2-부테닐, 3-부테닐, 2-에틸-1-부테닐, 3-메틸-2-부테닐, 1- 펜테닐, 2-펜테닐, 3-펜테닐, 4-펜테닐, 4-메틸-3-펜테닐, 1-헥세닐, 2-헥세닐, 3-헥세닐, 4-헥세닐, 5- 헥세닐, 1-헵테닐, 1-옥테닐, 제라닐, 1-데세닐, 1-테트라데세닐, 1-옥타데세닐, 9-옥타데세닐, 1- 에이코세닐 및 3,7,11,15-테트라메틸-1-헥사데세닐 등과 같은 군으로 예시된다. 바람직하게, 이들은 C2-C8 알케닐, 더욱 바람직하게 C2-C6 알케닐을 포함한다. 그 중에서도, 비닐 또는 에테닐 (-CH = CH2), n-2-프로페닐(알릴, -CH2CH = CH2), 이소프로페닐, 1-프로페닐, 2-메틸-1-프로페닐, 1- 부테닐, 2-부테닐, 3-메틸-2-부테닐 등이 특히 바람직하다.
용어 "알키닐"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될 때, 직쇄 또는 분쇄 C2-C20 알키닐을 포함한다. 임의의 이용가능한 위치에서 임의의 이용가능한 수의 삼중 결합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에티닐(-C≡1- 프로피닐, 2- 프로피닐(프로파질: -CH2C≡2-부티닐, 2-펜텐-4-이닐 등과 같은, 탄소수 2 내지 20개 및 임의의 이중 결합 또는 삼중 결합을 가질 수 있는 알키닐기와 같은 기로 예시된다. 특히, 이들은 C2-C8 알키닐, 보다 바람직하게 C2-C6 알키닐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2 내지 6개 탄소 원자를 가지고 적어도 1 개 또는 2 개 위치의 알키닐 불포화를 가지는 기를 가르키는 C2-C6 알키닐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알킬"은 C1-C12-알킬, 바람직하게 C1-C6-알킬을 가리키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탄소는 2-메톡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O, N 또는 S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로 대체된다.
용어 "아릴"은 단일 고리(예컨대, 페닐) 또는 다중 축합 고리(예컨대, 인데닐, 나프틸, 2,3-디 하이드로-1H-인데닐, 1, 2, 3, 4- 테트라하이드로나프틸)를 가지는 6 내지 14 개 탄소 원자의 불포화 방향족 카보사이클릭기를 가리킨다. 아릴은 페닐, 나프틸, 안트릴, 페난트레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C1-C6 알킬 아릴"은 메틸 페닐, 에틸 페닐, t-부틸 페닐 등을 포함하는 C1-C6 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릴 C1-C6 알킬"은 3-페닐프로파닐, 벤질 등을 포함하는 아릴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헤테로아릴"은 모노사이클릭 헤테로방향족, 또는 바이사이클릭 또는 트리사이클릭 융합- 고리 헤테로방향족기를 가리킨다. 헤테로방향족기의 특정 예시는 임의로 치환된 피리딜, 피롤릴, 피리미디닐, 푸릴, 티에닐, 이미다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이소티아졸릴, 피라졸릴, 1H-피라졸릴, 1,2,3-트리아졸릴, 1,2,4-트리아졸릴, 1,2,3-옥사디아졸릴, 1,2,4-옥사디아졸릴, 1,2,5- 옥사디아졸릴, 1,3,4-옥사디아졸릴, 1,3,4-트리아지닐, 1,2,3-트리아지닐, 벤조푸릴, [2,3-디하이드로] 벤조푸릴, 이소벤조푸릴, 벤조티에닐, 벤조트리아졸릴, 이소벤조티에닐, 인돌릴, 이소인돌릴, 3H- 인돌릴, 벤즈이미다졸릴, 이미다조[1,2-a]피리딜, 벤조티아졸릴, 벤조옥사-졸릴, 퀴놀리지닐, 퀴나 졸리닐, 프탈라지닐, 퀴녹살리닐, 신놀리닐, 나프티리디닐, 피리도[3,4-b]피리딜, 피리도[3,2-b]피리 딜, 피리도[4,3-b]피리딜, 퀴놀릴, 이소퀴놀릴, 테트라졸릴, 5,6,7,8-테트라하이드로퀴놀릴, 5,6,7,8-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퓨리닐, 프테리디닐, 카바졸릴, 크산테닐, 벤조퀴놀릴, 벤조[d][1,3]디 옥솔-5-일, 3,4-디하이드로-1H-피라노[4,3-c]피리딜, 퀴놀린-2(1H)-온, 4H-크로멘, 1H-인돌 등을 포함한다.
용어 "C1-C6 알킬 헤테로아릴"은 메틸 푸릴, t-부틸 푸릴 등을 포함하는 C1-C6 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가리킨다.
용어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은 푸릴 메틸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C2-C6 알케닐 아릴"은 비닐 페닐 등을 포함하는 C2-C6 알케닐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릴 C2-C6 알케닐"은 페닐 비닐 등을 포함하는 아릴 치환기를 가지는 C2-C6 알케닐기를 가리킨다.
용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은 비닐 피리디닐 등을 포함하는 C2-C6 알케닐 치환기를 가지는 헤테로아릴기를 가리킨다.
용어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은 피리디닐 비닐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아릴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케닐기를 가리킨다.
용어 "C3-C8-사이클로알킬"은 단일 고리(예컨대, 사이클로헥실) 또는 다중 축합 고리(예컨대, 노르 보닐)를 가지는 3 내지 8 개 탄소 원자의 포화 카보사이클릭기를 가리킨다. C3-C8-사이클로 알킬은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노르보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최대 3 개 탄소 원자가 O, S 및 NR(R은 수소 또는 메틸로 정의됨)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헤테로원자로 교체된, 상기 정의에 따른 C3-C8- 사이클로알킬 또는 다중 축합 고리를 가리킨다.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락탐 또는 락톤을 포함한다. 비한정적인 예시는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모르폴리닐, 테트라하이드로 푸라닐, 데카하이드로이소퀴놀리닐, 옥타하이드로-1H-피라노[3,4-c]피리디닐, 4-메틸렌-5(4H)-온, 피 롤리딘-2-온 등이다.
용어 "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은 메틸 사이클로펜틸 등을 포함하는 C1-C6 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C3-C8 사이클로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은 3-사이클로펜틸 프로필 등을 포함하는 C3-C8- 사이클로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은 4-메틸피페리디닐 등을 포함하는 C1-C6 알킬 치환기를 갖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은 (1-메틸피페리딘-4-일)메틸 등을 포함하는 헤테로 사이클로알킬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카복시"는 기 -C(O)OH를 가리킨다.
용어 "카복시 C1-C6 알킬"은 2-카복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카복시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실"은 아세틸 등을 포함하는 기 -C(O)R을 가리키고, 이때, R은 H, "알킬” 바람직하게,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3-C8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를 포함한다.
용어 "아실 C1-C6 알킬"은 2-아세틸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실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실 아릴"은 2-아세틸페닐 등을 포함하는 아실 치환기를 가지는 아릴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실옥시"는 아세틸옥시 등을 포함하는 기 -OC(O)R를 가리키고, 이때, R은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를 포함한다.
용어 "아실옥시 C1-C6 알킬"은 2-(에틸카보닐옥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실옥시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알콕시”는 기 -OR를 가리키고, 이때, R은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콕시기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페녹시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 C1-C6 알킬"은 메톡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알콕시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알콕시카보닐”은 기 -C(O)OR를 가리키고, 이때, R은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알킬"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카보닐 C1-C6 알킬"은 2-(벤질옥시카보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알콕시카보닐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미노카보닐"은 N-페닐 카보닐 등을 포함하는 기 -C(O)NRR'을 가리키고, 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이다.
용어 "아미노카보닐 C1-C6 알킬"은 2-(디메틸아미노카보닐)에틸, N-에틸 아세트아미딜, N,N-디에틸-아세트아미딜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카보닐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실아미노"는 아세틸아미노 등을 포함하는 기 -NRC(O)R'를 가리키고, 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다.
용어 "아실아미노 C1-C6 알킬"은 2-(프로피오닐아미노)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실아미노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우레이도(ureido)”는 기 -NRC(O)NR'R''을 가리키고, 이때, R, R' 및 R''는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알케닐” "알키닐” "C3-C8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고, 이때, R' 및 R''는 이들에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용어 "우레이도 C1-C6 알킬"은 2-(N'-메틸우레이도)에틸 등을 포함하는 우레이도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카바메이트"는 기 -NRC(O)OR'를 가리키고, 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고 또한, R은 수소일 수 있다.
용어 "아미노"는 기 -NRR'을 가리키고, 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이때, R 및 R'은 이들에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용어 "아미노 알킬"은 2-(1-피롤리디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암모늄”은 양으로 하전된 기 -N+RR'R''을 가리키고, 이때, R, R' 및 R''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1-C6 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이고, 이때, R 및 R'은 이들에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용어 “암모늄 알킬”은 1-에틸피롤리디늄 등을 포함하는 암모늄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드 원자를 가리킨다.
용어 “설포닐옥시”은 기 -OSO2R을 가리키고, 이때, R은 "C1-C6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 알킬", 예컨대, -OSO2CF3 기, "C2-C6 알케닐” "알키닐” "C3-C8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설포닐옥시 C1-C6 알킬"은 2-(메틸설포닐옥시)에틸 등을 포함하는 설포닐옥시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설포닐”은 기 "-SO2R"을 가리키고, 이때, R은 "아릴” "헤테로아릴” "C1-C6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 알킬", 예컨대, -SO2CF3 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설포닐 C1-C6 알킬"은 2-(메틸설포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설포닐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설피닐(sulfinyl)”은 기 "-S(O)R"를 가리키고, 이때, R은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알킬", 예컨대, -SOCF3 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설피닐 알킬”은 2-(메틸설피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설피닐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설파닐(sulfanyl)"은 기 -SR를 가리키고, 이때, R은 H, "C1-C6 알킬", 할로겐으로 치환된 "C1-C6 알킬", e.g., -SCF3 기,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알키닐헤테로아릴”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설파닐기는 메틸설파닐, 에틸설파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설파닐 C1-C6 알킬"은 2-(에틸설파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설파닐 치환기를 가지는 C1-C5-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설포닐아미노”는 기 -NRSO2R'를 가리키고, 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C2-C6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다.
용어 “설포닐아미노 C1-C6 알킬"은 2-(에틸설포닐아미노)에틸 등을 포함하는 설포닐아미노 치환기를 가지는 알킬기를 가리킨다.
용어 "아미노설포닐"은 기 -SO2NRR'를 가리키고, 이때, R 및 R'은 독립적으로 H,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아릴 알케닐” "헤테로아릴 C2-C6 알케닐” "아릴 C2-C6 알키닐” "헤테로아릴 C2-C6 알키닐” "C3-C8-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또는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이고, 이때, R 및 R'은 이들에 부착되어 있는 질소 원자와 함께, 3-8원 헤테로사이클로알킬 고리를 임의로 형성할 수 있다. 아미노설포닐기는 사이클로헥실아미노설포닐, 피페리디닐설포닐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아미노설포닐 C1-C6 알킬"은 2-(사이클로헥실아미노설포닐)에틸 등을 포함하는, 아미노설포닐 치환기를 가지는 C1-C6 알킬기를 가리킨다.
개별 치환기의 정의에 의해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상기 치환기 모두는 모두 임의로 치환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별 치환기의 정의에 의해 달리 제한되지 않는 한, 용어 “치환된”은 "C1-C6 알킬”, "C2-C6 알케닐”, "C2-C6 알키닐”, "C3-C8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아릴”, "C1-C6 알킬 헤테로아릴”, "C1-C6 알킬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아미노”, "아미노설포닐”, "암모늄”, "아실 아미노”, "아미노 카보닐”, "아릴”, "헤테로아릴”, "설피닐”, "설포닐”, "알콕시”, "알콕시 카보닐”, "카바메이트”, "설파닐”, "할로겐”, 트리할로메틸, 시아노, 하이드록시, 메캅토, 니트로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내지 5개 치환기로 치환된 기를 가리킨다.
2. 화합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전구체,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서,
V1 및 V2는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OS(O) i (아릴), S(O) i NR3R4, C(O)R3, OR3,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NR3R4이고,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OS(O) i (아릴), S(O) i NR3R4, C(O)R3, OR3,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상기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C1 ~ C10 알킬아릴, 아릴알킬,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i 및 j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R 1 및 R 2 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 및 R4는 수소,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헤테로아릴, C1 ~ C10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헤테로아릴, C1 ~ C10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일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또는,
R3 및 R4는 4 내지 10원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사이클화될 수 있고, 상기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i(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A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5
또는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6
로 표시되고,
X1 및 X2 는 O, S, CHR4 및 N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3는 수소, OR3,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S(O) i NR3, C(O)R3, OC(O)R3, (O)COR3, NR3C(O)OR3, NR3C(O)R3, C(O)NR3 및 NR3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OR3,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S(O) i NR3, C(O)R3, OC(O)R3, (O)COR3, NR3C(O)OR3, NR3C(O)R3, C(O)NR3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C1 ~ C10 알킬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아릴알킬,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5 및 R6은 수소,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6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부위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상기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또는,
R5 및 A1은 4 내지 10원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사이클화될 수 있고, 상기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중 하나는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아릴, C1 ~ C10 알킬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상기 화합물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하기 화합물을 포함한다.
[표 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0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5
[표 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8
본 명세서 내 용어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동등한 표현은 앞서 서술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표현은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전구체,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포함하며, 신규로 합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추가로 설명된다.
3. 제조방법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합성 방법은 본원에 서술된 상세한 실시예에서 잘 서술되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기 합성 동안, 염기의 사용은 유기 또는 무기 염기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염기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피리딘, 트리메틸아민, N, 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및 1,8-디아자비 사이클로[5.4.0]운데-7-엔(DBU)을 포함한다. 상기 무기 염기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소듐 카보네이트, 포타슘 카보네이트, 세슘 카보네이트 및 소듐 하이드라이드를 포함한다. 이들은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화학량론적 또는 과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용매의 비한정적인 예시는 에테르(예컨대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디에틸 에테르 및 1,2- 디메톡시에탄), 알코올(예컨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술폭사이드(DMSO), 디클로로메탄(DCM), 디클로로에탄, 물, 아세톤이다. 상기 용매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4. 조성물 / 제형
본 발명은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 및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의 투여에 적합한 제형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포함한다. 임의의 의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수단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약학 조성물의 제형이 본 발명에 포함된다. 약학 제형은 투여의 수단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 또는 담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화합물(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서술된 화합물은 부형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부형제), 항산화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항산화제), 안정화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안정화제), 보존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보존제), pH 조절 및/또는 완충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pH 조절 및/또는 완충제), 등장성 조절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등장성 조절제), 증점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증점제), 현탁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현탁제), 결합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결합제), 점도 증가제(예컨대, 하나 이상의 점도 증가제) 등과 같은 첨가제를 가진 제형(약학 조성물 포함)일 수 있고, 치료될 특정 상태에 대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추가 성분으로 제공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제형은 본원에 서술된 바와 같은 추가 성분(예컨대, 2, 3, 4, 5, 6, 7, 8개 이상의 추가 성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칼슘 포스페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단당류, 이당류, 전분, 젤라틴,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덱스트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융점 왁스, 이온 교환 수지 등과 같은, 처리제 및 약물 전달 개질제, 인핸서 및 그 임의의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통합되는,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Mack Pub. Co., New Jersey (1991), 및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20th edition (2003) 및 21st edition (2005)에서 서술된다.
본원에 서술된 조성물의 제형은 흡입, 코 스프레이, 정맥내, 근육내 주사, 유리체내 주사, 연고로서 또는 용액, 현탁액, 반액체, 반고체, 젤, 반고체 젤, 젤리, 에멀젼, 연고, 정제, 액체 및 크림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경구 투여에 적합할 수 있다. 정제 형태는 락토오스, 수크로오스, 만니톨, 소르비톨, 칼슘 포스페이트, 옥수수 전분, 감자 전분, 미세 결정질 셀룰로오스, 젤라틴, 콜로이드성 이산화규소,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 산 및 다른 부형제, 착색제, 충전제, 결합제, 희석제, 완충제, 보습제, 보존제, 향미제, 염료, 붕해제 및 약학적으로 적합한 담체의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캡슐은 화합물과 함께 적합한 부형제를 함유할 수 있거나 화합물은 쉘에서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형화된 화합물 모두는 단독으로 투여되거나, 공동 투여되거나, 간헐적으로 투여되거나,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5. 투여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설하, 경피, 직장, 경점막, 국소, 흡입을 통한, 협측 또는 비강내 투여를 통한, 또는 그 조합의 임의의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동맥내, 복막내, 피하, 근육내, 척추강내 및 동맥내를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플란트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는 조성물의 느린 방출뿐만 아니라 느리게 조절된 정맥내 투여를 허용한다.
개인에게 단일 또는 다중 용량으로 투여되는 용량은 약동학적 특성, 환자 상태 및 특성 (성, 연령, 체중, 건강, 크기), 증상의 정도, 동시 치료, 치료 빈도 및 원하는 효과를 포함하는 다양한 인자에 의존하여 다양하게 변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이의 이의 약학적인 제형은 단독으로 또는 호흡기 장애 또는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보조제와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및 그의 약학적인 제형은 방사선 요법과 함께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인 제형의 투여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인 제형은 치료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암의 치료에 유용한 다른 치료 요법 또는 보조제(예컨대, 다중 약물 요법)에 앞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개체에게 투여된다. 상기 보조제와 동시에 투여되는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 약학 제형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조성물(들)에서 및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들)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환자는 기관지 천식, 기관지염, 알레르기성 비염, 성인 호흡기 증후군, 낭포성 섬유증, 폐 바이러스 감염(인플루엔자), 폐 고혈압, 특발성 폐 섬유증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등과 같은 호흡기 장애 또는 질환을 겪는 환자이다.
6. 본 발명에 따른 용도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펜드린 억제제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고, 이는 기도 표면 액체(ASL)의 부피를 보존하고 뮤신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포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 (ALI)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등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에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에 대한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향상을 위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화합물의 혼합물 또는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향상을 위한 펜드린 억제제로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고, 이는 건강기능식품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향상을 위해 클로라이드 채널을 특이적으로 조절한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그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하고, 이는 건강기능식품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향상을 위해 기도 표면 액체(ASL)의 부피를 보존하고 뮤신의 분비를 감소시킨다.
다른 구현예에서, 본 발명은 건강기능식품에서 활성 성분으로서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의 예방 또는 향상을 위한 용도를 제공하고, 상기 호흡기 질환(염증성 기도 질환)은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포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 (ALI) 또는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된다.
[실시예]
전체 실험을 한정하지 않은 상세한 실험의 비한정적인 실시예가 본원에 서술된다. 본원에 기재된 본 발명의 설명은 실시예로서의 역할을 하고, 본 발명과 관련된 기술에 대한 일반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특정 영역 또는 형태로 쉽게 변경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서술된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제시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의 명칭은 ChemDraw Professional V.15.1에 의해 생성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의 호변이성질체, 이의 기하 이성질체(예컨대, e, z 이성질체), 이의 광학이성질체로서 광학적으로 활성인 형태, 이의 부분이성질체 및 이의 라세미체 형태뿐만 아니라,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예시된 유도체는 다음의 일반적인 방법 및 절차를 사용하여 쉽게 이용 가능한 출발 물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전형적인 또는 바람직한 실험 조건(즉, 반응 온도, 시간, 시약의 몰, 용매 등)이 주어지면,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험 조건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최적의 반응 조건은 사용된 특정 반응물 또는 용매에 따라 달라질 수 있지만, 이러한 조건은 일상적인 최적화 절차를 사용하여 당업자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본원에 인용된 참고문헌은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서 본원에 통합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개별 측면의 단일 예시로서 의도되는, 본원에 서술된 특정 구현예로서 범위에서 한정되지 않고, 기능적으로 동등한 방법 및 성분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다. 실제로, 본 명세서에 도시되고 설명된 것들에 추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변형은 전술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이러한 변형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실시예 1-2: 신규 화합물의 제조
일부 합성된 화합물은 합성 화학의 성질 또는 그들의 고유 물리적/화학적 성질에 의해 이성질체 또는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존재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른 이성질체로 상호 변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 'F1'은 (E)-4-(티오펜-2-일메틸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5 (4H)-온, (Z)-4-(티오펜-2-일메틸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5(4H)-온 또는 2개 이성질체의 혼합물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Graziano et al (Tetrahedron 62 (2006) 1165 ~ 1170)의 연구에 의해 잘 문서화되어 있다.
실시예 1.1: 4-(티오펜-2-일메틸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5 (4H)-온 (F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19
글리신(180mg, 2.40mmol) 및 4- (트리플루오로메틸)벤조일 클로라이드(0.411ml, 2.758mmol)를 교반하에 실온에서 10 % NaOH 용액(24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이러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HCl aq. 용액에 의한 pH 2까지 산성화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고 고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여 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을 수득하였다. 이러한 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529 mg, 2.14 mmol) 및 1-에틸-3- (3- 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0 mg, 2.14 mmol)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21 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ml). 그다음, 1H-피롤-2-카브알데하이드(200 mg, 1.783 mmol) 및 트리에틸아민(0.497 ml, 3.567 mmol)을 교반 하에 실온에서 첨가하고 이러한 온도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증발시켰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를 통해 여과하고 메탄올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4-(티오펜-2-일메틸렌)-2-(4-(트리플루오로 메틸)페닐)옥사졸-5 (4H)-온, F1)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8.22 (d, 2H, J = 8.4 Hz), 8.08 (d, 1H, J = 5.2 Hz), 7.96 (d, 2H, J = 8.4Hz), 7.86 (d, 1H, J = 3.6Hz), 7.79 (s, 1H), 7.24 (t, 1H, J = 4.2Hz).
ESI (m/z) 324 (MH+).
실시예 1.2: 2-(4-(tert-부틸)페닐)-4-(티아졸-5-일 메틸렌)옥사졸-5(4H)-온 (F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0
티오닐 클로라이드(2.038 ml, 28.05 mmol)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10 방울)를 교반 하에 메틸렌 클로라이드 내 4-tert-부틸벤조산(500 mg, 2.81 mmo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증발시켜 중간체(0.542ml, 2.758mmol)를 수득하였다. 글리신(180mg, 2.398mmol) 및 이러한 중간체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10% NaOH aq. 용액(24 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이러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 2까지 aq. HCl 용액로 산성화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대기로 여과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여 2- (4- (tert-부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을 수득 하였다. 2-(4-(tert-부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500 mg, 2.125 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48 mg, 2.338 mmol)를 교반 하에 실혼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21 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티아졸-5-카브알데하이드(216mg, 1.913mmol) 및 트리 에틸아민(0.519ml, 3.70mmol)을 교반 하에 실온에서 이러한 혼합물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서 제거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를 통해 수득하고 고체를 메탄올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2-(4-(tert-부틸)페닐)-4-(티아졸-5-일 메틸렌)옥사졸-5(4H)-온, F2)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8.15 (d, 1H, J = 2.8Hz), 8.10 (d, 1H, J = 2.8Hz), 8.03 (d, 2H, J = 8.4 Hz), 7.65 (d, 2H, J = 8.4 Hz), 7.40 (s, 1H), 1.30 (s, 9H).
ESI (m/z) 313 (MH+).
실시예 1.3: 2-(4-(tert-부틸)페닐)-4-((2-메틸-1H-인돌-3-일l)메틸렌)옥사졸-5(4H)-온 (F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1
티오닐 클로라이드(2.04 ml, 28.05 mmol)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10 방울)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4-tert-부틸벤조산(500 mg, 2.81 mmol)의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중간체(0.542 ml, 2.758mmol)를 제공하였다. 글리신(180 mg, 2.398 mmol) 및 이러한 중간체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10 % NaOH aq. 용액(24 ml)에 순처적으로 첨가하였다. 전체 혼합물을 실온에서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 2에 도달할 때까지 HCl로 산성화한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로 여과를 통해 수득하고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여 2-(4-(tert-부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을 제공하였다. 2-(4-(tert-부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400 mg, 2.073 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히드로클로라이드(433.54mg, 2.262mmol)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20 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2-메틸-1H- 인돌-3-카보알데하이드(300 mg, 1.885 mmol) 및 트리에틸아민(0.315 ml, 2.262 mmol)을 교반 하에 실온에서 이러한 혼합물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로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고체를 메탄올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2-(4-(tert-부틸)페닐)-4-((2-메틸-1H-인돌-3-일l)메틸렌)옥사졸-5(4H)-온, F3)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12.25 (s, 1H), 9.16 (d, 1H, J = 7.9 Hz),7.96 (d, 2H, J = 8.4 Hz), 7.61 (d, 2H, J = 8.0 Hz), 7.37 (s, 2H), 7.25 - 7.18 (m, 2H), 2.62 (s, 3H), 1.30 (s, 9H).
ESI (m/z) 359 (MH+) , 357 (MH-).
실시예 1.4: tert-부틸 3-((2-(4-(tert-부틸)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1H-인돌-1-카복실레이트 (F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2
4mL의 아세토니트릴 내 인돌-5-카브알데하이드(200mg, 1.38mmol)의 교반된 용액에 디-tert-부틸 디카보네이트(361mg, 1.65mmol)를 첨가한 다음, 4-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17mg, 0.1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20 mL) 생성물을 디클로로메탄(3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결합하고,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여과 및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 1:5)로 정제하여 tert-부틸 3-포르밀-1H-인돌-1-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단계 1).
티오닐 클로라이드(2.0 ml, 28.05 mmol) 및 디메틸 포름아미드(10 방울)를 교반 하에 4-tert-부틸 벤조산(500 mg, 2.81 mmol)의 0.1M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가열하고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여 중간체 클로라이드를 수득하였다(단계 2). 글리신(180mg, 2.398mmol) 및 중간체 클로라이드(0.542ml, 2.758mmol)를 감압 하에 실온에서 10 % NaOH 용액(23.98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pH 2에 도달 할 때까지 혼합물을 HCl로 산성화하고, 여과 깔때기를 통과시켜 생성된 고체를 수득하였다. 고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여 2-(4-(tert-부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을 제공하였다(단계 3). 2-(4-(tert-부틸)벤즈아미도)아세트산(200mg, 0.85mmol) 및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79.25mg, 0.935mmol)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8.5 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였다. tert-부틸 3-포르밀-1H-인돌-1-카복실레이트(208 mg, 0.085 mmol) 및 트리에틸아민(0.208ml, 2.550mmol)을 교반 하에 실온에서 이러한 혼합물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온에서.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를 통과시켜 수득하였다. 수득된 고체를 메탄올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tert-부틸 3-((2-(4-(tert-부틸)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1H-인돌-1-카복실레이트, F4)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8.84 (s, 1H), 8.31 (d, J = 7.6 Hz, 1H), 8.09 (d, J = 7.9 Hz, 1H), 7.99 (d, J = 8.4 Hz, 2H), 7.67 - 7.60 (m, 3H), 7.45 - 7.33 (m, 2H), 1.67 (s, 9H), 1.31 (s, 9H).
실시예 1.5: 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조나이트릴 (F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3
글리신(180mg, 2.40mmol) 및 4-시아노벤조일 클로라이드(460mg, 2.76mmol)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10 % NaOH 용액(24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교반 하였다. 혼합물이 pH 2에 도달 할 때까지 HCl로 산성화 한 후, 생성된 고체 (2- (4-시아노벤즈아미도)아세트산)을 여과 깔때기를 통해 여과 한 후 메틸렌 클로라이드로 세척하였다. 2- (4-시아노벤즈아미도)아세트산(400 mg, 1.96 mmol) 및 1-에틸-3- (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보디이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0 mg, 2.14 mmol)를 교반 하에 실온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20 ml)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티오펜-2-카보알데하이드(200 mg, 1.783 mmol) 및 트리에틸아민(0.5 ml, 3.57 mmol)을 교반 하에 실온에서 이러한 용액에 순차적으로 첨가하고 전체 혼합물을 12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생성된 고체를 여과 깔때기로 여과하여 수득하였다. 고체를 메탄올로 세척하여 원하는 생성물(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조나이트릴, F5)을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8.18 (d, 2H, J = 8.4 Hz), 8.07 (t, 3H, J = 7.6 Hz), 7.87 (d, 1H, J = 3.6 Hz), 7.81 (s, 1H), 7.25 (t, 1H, J = 4.4 Hz).
실시예 1.6: 2-(4-(tert-부틸)페닐)-4-((1-메틸-1H-피롤-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4
1H NMR (400 MHz, DMSO-d6) δ7.95(d, 2H, J = 8.4Hz), 7.58 (d, 3H, J = 8.0Hz), 7.24 (s, 1H), 7.17 (s, 1H), 6.33 (t, 1H, J = 3.0Hz), 3.78 (s, 3H), 1.29 (s, 9H).
ESI (m/z) 309 (MH+)
실시예 1.7: 메틸 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조에이트 (F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5
1H NMR (400 MHz, DMSO-d6) δ8.16 (q, 4H, J = 8.8 Hz), 8.08 (d, 1H, J = 5.2 Hz), 8.02 (s, 1H), 7.86 (d, 1H, J = 3.6 Hz), 7.79 (s, 1H), 3.88 (s, 3H).
ESI (m/z) 314 (MH+)
실시예 1.8: 2-(4-(tert-부틸)페닐)-4-((4-메틸티아졸-5-일)메틸렌)옥사졸-5(4H)-온 (F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6
1H NMR (400 MHz, DMSO-d6) δ9.28 (s, 1H), 7.95 (d, 2H, J = 8.4 Hz), 7.62 (d, 2H, J = 8.4 Hz), 7.53 (s, 1H), 2.59 (s, 3H), 1.29 (s, 9H).
ESI (m/z) 327 (MH+).
실시예 1.9: 2-(4-(tert-부틸)페닐)-4-(티오펜-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7
1H NMR (400 MHz, DMSO-d6) δ8.44 (d, 1H, J = 2.4 Hz), 8.01 - 7.99 (m, 3H), 7.71 - 7.69 (m, 1H), 7.59 (d, 2H, J = 8.8 Hz), 7.37 (s, 1H), 1.29 (s, 9H).
ESI (m/z) 312 (MH+).
실시예 1.10: 4-((1H-피롤-2-일) 메틸렌)-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1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8
1H NMR (400 MHz, DMSO-d6) δ11.53 (s, 1H), 8.08 (d, 2H, J = 8.2 Hz), 7.58 (d, 2H, J = 8.3 Hz), 7.32 (s, 1H), 7.19 (s, 1H), 7.06 (s, 1H), 6.34 (s, 1H), 1.29 (s, 9H).
ESI (m/z) 295 (MH+).
실시예 1.11: 4-(벤조[b]티오펜-2-일메틸렌)-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1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29
1H NMR (400 MHz, DMSO-d6) δ9.23 (s, 1H), 8.31 (d, 1H, J = 8.0 Hz), 8.09 (d, 3H, J = 8.4 Hz), 7.64 - 7.62 (m, 3H), 7.53 - 7.44 (m, 2H), 1.31 (s, 9H).
ESI (m/z) 362 (MH+).
실시예 1.12: 4-((1H-피롤-2-일)메틸렌)-2-(4-이소프로필페닐)옥사졸-5(4H)-온 (F1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0
1H NMR (400 MHz, DMSO-d6) δ11.52 (s, 1H), 8.08 (d, 2H, J = 8.0 Hz), 7.43 (d, 2H, J = 8.0 Hz), 7.32 (s, 1H), 7.19 (s, 1H), 7.05 (s, 1H), 6.34 (s, 1H), 3.01 - 2.91 (m, 1H), 1.21 (d, 6H, J = 6.8 Hz).
ESI (m/z) 281 (MH+).
실시예 1.13: 2-(4-(tert-부틸)페닐)-4-(퀴놀린-4-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1
1H NMR (400 MHz, DMSO-d6) δ9.08 (d, 1H, J = 4.4 Hz), 8.64 (d, 1H, J = 4.8 Hz), 8.44 (d, 1H, J = 8.4 Hz), 8.10 - 8.07 (m, 3H), 7.95 (s, 1H), 7.83 (t, 1H, J = 7.6 Hz), 7.71 (d, 1H, J = 8.0 Hz),7.66 (d, 2H, J = 8.0 Hz), 1.31 (s, 9H).
ESI (m/z) 357 (MH+).
실시예 1.14: 2-(4-이소부틸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2
1H NMR (400 MHz, DMSO-d6) δ8.01 (d, 1H, J = 5.2 Hz), 7.96 (d, 2H, J = 7.2 Hz), 7.81 (d, 1H, J = 3.2 Hz), 7.67 (s, 1H), 7.39 (d, 2H, J = 7.2 Hz), 7.22 (t, 1H, J = 4.4 Hz), 2.53 (d, 2H, J = 6.8 Hz), 1.91 - 1.81 (m, 1H), 0.84 (d, 6H, J = 6.4 Hz).
ESI (m/z) 312 (MH+).
실시예 1.15: 2-(4-이소부틸페닐)-4-(티오펜-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3
1H NMR (400 MHz, DMSO-d6) δ8.45 (d, 1H, J = 2.4 Hz), 8.01 - 7.99 (m, 3H), 7.69 (q, 1H, J = 2.8 Hz), 7.39 (s, 1H), 7.37 (s, 2H), 2.53 (d, 2H, J = 7.2 Hz), 1.92 - 1.81 (m, 1H), 0.85 (d, 6H, J = 6.8 Hz).
ESI (m/z) 312 (MH+).
실시예 1.16: 4-(벤조[b]티오펜-3-일메틸렌)-2-(4-이소프로필페닐)옥사졸-5(4H)-온 (F1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4
1H NMR (400 MHz, DMSO-d6) δ9.24 (s, 1H), 8.30 (d, 1H, J = 7.6 Hz), 8.09 (m, 3H), 7.61 (s, 1H), 7.52 - 7.44 (m, 4H), 3.03 - 2.96 (m, 1H), 1.22 (d, 6H, J = 6.8 Hz).
실시예 1.17: 4-((1H-피롤-2-일)메틸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5(4H)-온 (F1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5
1H NMR (400 MHz, DMSO-d6) δ11.67 (s, 1H), 8.39 (d, 2H, J = 7.6 Hz), 7.95 (d, 2H, J = 8.0 Hz), 7.42 (s, 1H), 7.33 (s, 1H), 7.15 (s, 1H), 6.41 (s, 1H).
ESI (m/z) 305 (MH-), 307 (MH+)
실시예 1.18: 4-(티오펜-3-일메틸렌)-2-(4-(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옥사졸-5(4H)-온 (F1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6
1H NMR (400 MHz, DMSO-d6) δ8.55 (d, 1H, J = 1.9 Hz), 8.32 (d, 2H, J = 8.1 Hz), 8.07 (d, 1H, J = 5.0 Hz), 7.98 (d, 2H, J = 8.2 Hz), 7.78 - 7.74 (m, 1H), 7.53 (s, 1H).
실시예 1.19: 4-(퓨란-2-일메틸렌)-2-(4-이소부틸페닐)옥사졸-5(4H)-온 (F1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7
1H NMR (400 MHz, DMSO-d6) δ8.04 (s, 1H), 7.97 (d, 2H, J = 8.0 Hz), 7.55 (d, 1H, J = 3.6 Hz), 7.36 (d, 2H, J = 8.0 Hz), 7.14 (s, 1H), 6.79 (d, 1H, J = 2.0 Hz), 2.52 (d, 2H, J = 6.4 Hz), 1.90 - 1.80 (m, 1H), 0.84 (d, 6H, J = 6.4 Hz)
실시예 1.20: 4-((1H-피롤-2-일)메틸렌)-2-(4-이소부틸페닐)옥사졸-5(4H)-온 (F2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8
1H NMR (400 MHz, DMSO-d6) δ11.51 (s, 1H), 8.06 (d, 2H, J = 8.0 Hz), 7.34 (d, 2H, J = 8.4 Hz), 7.31 (s, 1H), 7.18 (s, 1H), 7.04 (s, 1H), 6.33 (s, 1H), 2.51 (d, 2H, J = 6.8 Hz), 1.90 - 1.80 (m, 1H), 0.84 (d, 6H, J = 6.4 Hz).
실시예 1.21: 4-(벤조[b]티오펜-3-일메틸렌)-2-(4-이소부틸페닐)옥사졸-5(4H)-온 (F2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39
1H NMR (400 MHz, DMSO-d6) δ9.24 (s, 1H), 8.29 (d, 1H, J = 8.0 Hz), 8.08 (d, 3H, J = 8.0 Hz), 7.60 (s, 1H), 7.52 - 7.43 (m, 2H), 7.39 (d, 2H, J = 7.6 Hz), 2.54 (d, 2H, J = 6.8 Hz), 1.89 - 1.84 (m, 1H), 0.85 (d, 6H, J = 6.4 Hz).
실시예 1.22: 2-(4-브로모페닐)-4-((4-메틸티아졸-5-일)메틸렌)옥사졸-5(4H)-온 (F2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0
1H NMR (400 MHz, DMSO-d6) δ9.31 (s, 1H), 7.96 (d, 2H, J = 8.4 Hz), 7.83 (d, 2H, J = 8.4 Hz), 7.63 (s, 1H), 2.62 (s, 3H).
ESI (m/z) 350 (MH+).
실시예 1.23: 2-사이클로헥실-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2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1
1H NMR (400 MHz, DMSO-d6) δ7.96 (d, 1H, J = 5.2 Hz), 7.74 (d, 1H, J = 3.6 Hz), 7.57 (s, 1H), 7.18 (t, 1H, J = 4.2 Hz), 2.71 - 2.66 (m, 1H), 1.96 - 1.93 (m, 2H), 1.74 - 1.71 (m, 2H), 1.61 - 1.58 (m, 1H), 1.53 - 1.44 (m, 2H), 1.38 - 1.18 (m, 3H).
ESI (m/z) 262 (MH+).
실시예 1.24: 2-([1,1'-bi페닐]-4-일)-4-((4-메틸티아졸-5-일)메틸렌)옥사졸-5(4H)-온 (F2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2
1H NMR (400 MHz, DMSO-d6) δ9.31 (s, 1H), 8.12 (d, 2H, J = 8.4 Hz), 7.93 (d, 2H, J = 8.0 Hz), 7.77 (d, 2H, J = 7.6 Hz), 7.61 (s, 1H), 7.50 (t, 2H, J = 7.4 Hz), 7.43 (t, 1H, J = 7.4 Hz), 2.63 (s, 3H).
실시예 1.25: 4-((1H-피롤-2-일)메틸렌)-2-([1,1'-bi페닐]-4-일메틸)옥사졸-5(4H)-온 (F2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3
1H NMR (400 MHz, DMSO-d6) δ11.44 (s, 1H), 7.63 (d, 4H, J = 8.0 Hz), 7.44 - 7.41 (m, 4H), 7.34 - 7.31 (m, 1H), 7.25 (s, 1H), 7.13 (s, 1H), 7.02 (s, 1H), 6.30 (s, 1H), 4.05 (s, 2H).
ESI (m/z) 329 (MH+), 327 (MH-).
실시예 1.26: 4-((1H-피롤-2-일)메틸렌)-2-(4-부틸페닐)옥사졸-5(4H)-온 (F2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4
1H NMR (400 MHz, DMSO-d6) δ11.56 (s, 1H), 8.11 (d, 2H, J = 7.9 Hz), 7.43 (d, 2H, J = 8.0 Hz), 7.35 (s, 1H), 7.22 (s, 1H), 7.08 (s, 1H), 6.37 (s, 1H), 2.69 (t, 2H, J = 7.6 Hz), 1.65 - 1.55 (m, 2H), 1.38 - 1.27 (m, 2H), 0.91 (t, 3H, J = 7.3 Hz).
실시예 1.27: 2-(4-(tert-부틸)페닐)-4-((1-페닐-1H-피롤-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2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5
1H NMR (400 MHz, DMSO-d6) δ7.98 (d, 2H, J = 8.4 Hz), 7.77 (d, 1H, J = 3.9 Hz), 7.62 - 7.57 (m, 4H), 7.55 - 7.51 (m, 1H), 7.50 - 7.48 (m, 1H), 7.45 (d, 2H, J = 7.5 Hz), 6.74 (s, 1H), 6.58 (t, 1H, J = 3.4 Hz), 1.30 (s, 9H).
실시예 1.28: 2-([1,1'-bi페닐]-4-일메틸)-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2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6
1H NMR (400 MHz, DMSO-d6) δ7.98 (d, 1H, J = 4.8 Hz), 7.76 (d, 1H, J = 3.6 Hz), 7.65 (s, 2H), 7.63 (s, 3H), 7.46 - 7.41 (m, 4H), 7.33 (t, 1H, J = 7.2 Hz), 7.19 (t, 1H, J = 4.4 Hz), 4.10 (s, 2H).
실시예 1.29: 2-(2,3-디하이드로-1H-인덴-5-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2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7
1H NMR (400 MHz, DMSO-d6) δ8.01 (d, 1H, J = 5.2 Hz), 7.89 (s, 1H), 7.83 (d, 1H, J = 7.6 Hz), 7.80 (d, 1H, J = 3.6 Hz), 7.65 (s, 1H), 7.43 (d, 1H, J = 8.0 Hz), 7.23 - 7.21 (m, 1H), 2.93 (t, 4H, J = 7.3 Hz), 2.08 - 2.00 (m, 2H).
ESI (m/z) 296 (MH+).
실시예 1.30: 4-((1H-피롤-2-일)메틸렌)-2-(나프탈렌-1-일)옥사졸-5(4H)-온 (F3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8
1H NMR (400 MHz, DMSO-d6) δ11.62 (s, 1H), 9.31 (d, 1H, J = 8.0 Hz), 8.29 (d, 1H, J = 7.2 Hz), 8.20 (d, 1H, J = 8.4 Hz), 8.06 (d, 1H, J = 8.0 Hz), 7.76 (t, 1H, J = 7.6 Hz), 7.65 (q, 2H, J = 8.4 Hz), 7.36 (s, 1H), 7.28 (s, 2H), 6.43 (t, 1H, J = 2.8 Hz).
ESI (m/z) 289(MH+).
실시예 1.31: 메틸 4-(4-(퓨란-2-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조에이트 (F3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49
1H NMR (400 MHz, DMSO-d6) δ8.21 (s, 1H), 8.18 (s, 1H), 8.13 (s, 1H), 8.11 - 8.10 (m, 2H), 7.60 (d, 1H, J = 3.2 Hz), 7.27 (s, 1H), 6.84 - 6.82 (m, 1H), 3.87 (s, 3H).
실시예 1.32: 메틸 4-(5-옥소-4-(티오펜-3-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조에이트 (F3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0
1H NMR (400 MHz, DMSO-d6) δ8.47 (s, 1H), 8.16 - 8.00 (m, 5H), 7.70 (s, 1H), 7.44 (s, 1H), 3.85 (s, 3H).
실시예 1.33: N-(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F3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1
실시예 1.34: 2-(2-메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3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2
실시예 1.35: N-(tert-부틸)-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젠 설폰아마이드 (F3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3
실시예 1.36: N-이소프로필-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젠 설폰아마이드 (F3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4
실시예 1.37: 2-([1,1'-bi페닐]-4-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3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5
1H NMR (400 MHz, DMSO-d6) δ8.23 (d, 2H, J = 8.3 Hz), 7.79 - 7.71 (m, 3H), 7.69 - 7.61 (m, 3H), 7.53 - 7.46 (m, 3H), 7.45 - 7.38 (m, 1H), 7.17 (t, 1H).
ESI (m/z) 332 (MH+).
실시예 1.38: 2-(4-(tert-부틸)페닐)-4-(퓨란-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3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6
1H NMR (400 MHz, DMSO-d6) δ8.05 (s, 1H), 7.99 (d, 2H, J = 8.4 Hz), 7.60 (d, 2H, J = 8.4 Hz), 7.55 (d, 1H, J = 3.2 Hz), 7.15 (s, 1H), 6.81 (br s, 1H), 1.29 (s, 9H).
ESI (m/z) 296 (MH+).
실시예 1.39: 2-(4-(tert-부틸)페닐)-4-((1-메틸-1H-피라졸-4-일)메틸렌)옥사졸-5(4H)-온 (F3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7
1H NMR (400 MHz, DMSO-d6) δ8.52 (s, 1H), 8.18 (s, 1H), 8.05 (d, 2H, J = 8.5 Hz), 7.63 (d, 2H, J = 8.5 Hz), 7.35 (s, 1H), 3.96 (s, 3H), 1.34 (s, 9H).
ESI (m/z) 310 (MH+).
실시예 1.40: 2-(4-(tert-부틸)페닐)-4-(피리딘-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4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8
1H NMR (400 MHz, DMSO-d6) δ9.28 (d, 1H, J = 1.9 Hz), 8.78 (dt, 1H, J = 8.1, 1.7 Hz), 8.65 (dd, 1H, J = 4.8, 1.6 Hz), 8.09 (d, 2H), 7.68 (d, 2H, J = 8.6 Hz), 7.61 - 7.56 (m, 1H), 7.40 (s, 1H), 1.34 (s, 9H).
ESI (m/z) 307 (MH+).
실시예 1.41: 2-(4-(tert-부틸)페닐)-4-(피리딘-4-일메틸렌)옥사졸-5(4H)-온 (F4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59
1H NMR (400 MHz, DMSO-d6) δ8.71 (d, 2H, J = 5.2 Hz), 8.13 (d, 2H, J = 5.5 Hz), 8.07 (d, 2H), 7.66 (d, 2H, J = 8.3 Hz), 7.27 (s, 1H), 1.31 (s, 9H).
ESI (m/z) 307 (MH+).
실시예 1.42: 2-([1,1'-bi페닐]-4-일)-4-(피리딘-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4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0
1H NMR (400 MHz, DMSO-d6) δ9.25 (s, 1H), 8.78 (d, 1H, J = 7.8 Hz), 8.63 (s, 1H), 8.19 (d, 2H, J = 7.8 Hz), 7.92 (d, 2H, J = 7.9 Hz), 7.77 (d, 2H, J = 7.1 Hz), 7.61 - 7.54 (m, 1H), 7.50 (t, 2H, J = 6.9 Hz), 7.47 - 7.36 (m, 2H).
ESI (m/z) 327 (MH+).
실시예 1.43: 2-(4-(tert-부틸)페닐)-4-(4-(메틸티오)벤질이덴)옥사졸-5(4H)-온 (F4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1
1H NMR (400 MHz, DMSO-d6) δ8.20 (br s, 2H), 8.00 (br s, 2H), 7.63 (br s, 2H), 7.37 (s, 2H), 7.27 (s, 1H), 2.53 (s, 3H), 1.31 (s, 9H).
ESI (m/z) 352 (MH+).
실시예 1.44: 4-벤질이덴-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4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2
1H NMR (400 MHz, DMSO-d6) δ8.26 (d, 2H, J = 6.8 Hz), 8.00 (d, 2H, J = 8.4 Hz), 7.61 (d, 2H, J = 8.0 Hz), 7.52 - 7.45 (m, 3H), 7.28 (s, 1H), 1.29 (s, 9H).
ESI (m/z) 306 (MH+).
실시예 1.45: 2-(4-브로모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4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3
1H NMR (400 MHz, DMSO-d6) δ8.05 (s, 1H), 7.95 (d, 2H, J = 7.6 Hz), 7.83 (s, 2H), 7.81 (s, 1H), 7.73 (s, 1H), 7.23 (s, 1H).
실시예 1.46: 2-(4-이소프로필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4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4
1H NMR (400 MHz, DMSO-d6) δ8.02 (d, 1H, J = 5.2 Hz), 7.97 (d, 2H, J = 8.0 Hz), 7.81 (d, 1H, J = 3.6 Hz), 7.67 (s, 1H), 7.48 (d, 2H, J = 8.4 Hz), 7.22 (t, 1H, J = 4.4 Hz), 3.02 - 2.92 (m, 1H), 1.21 (d, 6H, J = 6.8 Hz).
ESI (m/z) 298 (MH+).
실시예 1.47: 2-(4-이소프로필페닐)-4-(티오펜-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4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5
1H NMR (400 MHz, DMSO-d6) δ 8.45 (d, 1H, J = 2.8 Hz), 8.02 - 8.00 (m, 3H), 7.70 (q, 1H, J = 2.8 Hz), 7.47 (d, 2H, J = 7.2Hz), 7.38 (s, 1H), 3.03 - 2.93 (m, 1H), 1.21 (d, 6H, J = 6.8Hz).
ESI (m/z) 298 (MH+).
실시예 1.48: 4-(퓨란-2-일메틸렌)-2-(4-(트리플푸로오메틸)페닐)옥사졸-5(4H)-온 (F4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6
1H NMR (400 MHz, DMSO-d6) δ8.25 (d, 2H, J = 8.2 Hz), 8.10 (s, 1H), 7.94 (d, 2H, J = 8.3 Hz), 7.60 (d, 1H, J = 3.5 Hz), 7.28 (s, 1H), 6.83 - 6.81 (m, 1H).
실시예 1.49: 4-(퓨란-2-일메틸렌)-2-(4-이소프로필페닐)옥사졸-5(4H)-온 (F4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7
1H NMR (400 MHz, DMSO-d6) δ8.04 (s, 1H), 7.97 (d, 2H, J = 8.1 Hz), 7.54 (d, 1H, J = 3.3 Hz), 7.44 (d, 2H, J = 8.1 Hz), 7.13 (s, 1H), 6.83 - 6.76 (m, 1H), 3.01 - 2.88 (m, 1H), 1.19 (d, 6H, J = 6.9 Hz).
실시예 1.50: 2-(4-브로모페닐)-4-(퓨란-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8
1H NMR (400 MHz, DMSO-d6) δ8.11 (s, 1H), 8.07 - 7.98 (m, 2H), 7.88 - 7.77 (m, 2H), 7.62 (s, 1H), 7.25 (s, 1H), 6.85 (s, 1H).
실시예 1.51: 2-(4-브로모페닐)-4-(티오펜-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69
1H NMR (400 MHz, DMSO-d6) δ8.47 (d, 1H, J = 1.6 Hz), 8.01 - 7.99 (m, 3H), 7.80 (s, 1H), 7.78 (s, 1H), 7.70 - 7.68 (m, 1H), 7.43 (s, 1H).
실시예 1.52: 2-(나프탈렌-2-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0
1H NMR (400 MHz, DMSO-d6) δ8.70 (s, 1H), 8.52 (d, 1H, J = 2.4 Hz), 8.21 - 8.17 (m, 2H), 8.12 (s, 1H), 8.09 (t, 1H, J = 4.8 Hz), 8.02 (d, 1H, J = 8.0 Hz), 7.74 - 7.72 (m, 1H), 7.69 - 7.61 (m, 2H), 7.44 (s, 1H).
ESI (m/z) 306 (MH+).
실시예 1.53: 2-(4-부틸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1
1H NMR (400 MHz, DMSO-d6) δ8.02 (d, 1H, J = 5.0 Hz), 7.96 (d, 2H, J = 8.2 Hz), 7.81 (d, 1H, J = 3.6 Hz), 7.67 (s, 1H), 7.42 (d, 2H, J = 8.2 Hz), 7.25 - 7.20 (m, 1H), 2.66 (t, 2H, J = 7.7 Hz), 1.61 - 1.51 (m, 2H), 1.37 - 1.22 (m, 2H), 0.87 (t, 3H, J = 7.3 Hz).
실시예 1.54: 2-(4-부틸페닐)-4-(퓨란-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2
1H NMR (400 MHz, DMSO-d6) δ8.09 (d, 1H, J = 1.5 Hz), 8.02 (d, 2H, J = 8.2 Hz), 7.60 (d, 1H, J = 3.5 Hz), 7.45 (d, 2H, J = 8.2 Hz), 7.19 (s, 1H), 6.86 - 6.83 (m, 1H), 2.69 (t, 2H, J = 7.7 Hz), 1.66 - 1.54 (m, 2H), 1.39 - 1.27 (m, 2H), 0.91 (t, 3H, J = 7.3 Hz).
실시예 1.55: 2-(4-(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3
1H NMR (400 MHz, DMSO-d6) δ8.10 (d, 2H, J = 8.8 Hz), 8.03 (d, 1H, J = 5.2 Hz), 7.82 (d, 1H, J = 3.6 Hz), 7.69 (s, 1H), 7.41 (s, 1H), 7.38 (d, 2H, J = 8.8 Hz), 7.24 - 7.22 (m, 1H).
실시예 1.56: 2-(4-(tert-부틸)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5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4
1H NMR (400 MHz, DMSO-d6) δ8.02 (d, 1H, J = 5.2 Hz), 7.96 (d, 2H, J = 7.6 Hz), 7.80 (d, 1H, J = 3.6 Hz), 7.66 (s, 1H), 7.61 (d, 2H, J = 7.6 Hz), 7.22 (t, 1H, J = 4.0 Hz), 1.30 (s, 9H).
13C NMR (400 MHz, DMSO-d6) δ166.7, 162.1, 157.2, 137.6, 136.9, 136.6, 130.7, 129.6, 129.1, 129.1, 126.4, 126.4, 124.9, 122.8, 35.46, 31.2, 31.2, 31.2.
실시예 1.57: 4-(2-니트로벤질이덴)-2-페닐옥사졸-5(4H)-온 (F5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5
실시예 1.58: 4-((2-(4-(tert-부틸) 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닐아세테이트 (F5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6
실시예 1.59: 2-(3-클로로벤조[b]티오펜-2-일)-4-(4-(디메틸아미노)벤질이덴)옥사졸-5(4H)-온 (F5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7
실시예 1.60: 4-((2-(4-메톡시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벤조산 (F6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8
실시예 1.61: 2-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6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79
실시예 1.62: 4-(4-이소프로필벤질이덴)-2-(나프탈렌-1-일)옥사졸-5(4H)-온 (F6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0
실시예 1.63: 2-(3-아이오도-4-메틸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6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1
실시예 1.64: 4-(4-(벤질옥시)벤질이덴)-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6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2
실시예 1.65: 4-((1-(2-클로로벤질)-1H-피롤-2-일)메틸렌)-2-페닐옥사졸-5(4H)-온 (F6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3
실시예 1.66: N-(4-(4-(2-(알릴옥시)-4-(디에틸아미노)벤질이덴)-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5-브로모니코티아마이드 (F6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4
실시예 1.67: 4-((2-(2-클로로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닐4-(tert-부틸)벤조에이트 (F6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5
실시예 1.68: 4-((Z)-1-(3-에틸-5-메톡시벤조[d]티아졸-2(3H)-일이덴)부탄-2-일이덴)-2-페닐옥사졸-5(4H)-온 (F6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6
실시예 1.69: 4-((2-(4-아세트아미도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2-에톡시페닐티오펜-2-카복실레이트 (F6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7
실시예 1.70: 4-((6-에톡시-2-(페닐티오)퀴놀린-3-일)메틸렌)-2-페닐옥사졸-5(4H)-온 (F7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8
실시예 1.71: 2-(3-브로모페닐)-4-((5-클로로-3-메틸-1-페닐-1H-피라졸-4-일)메틸렌)옥사졸-5(4H)-온 (F7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89
실시예 1.72: 4-((1-아세틸-1H-인돌-3-일)메틸렌)-2-(4-브로모페닐)옥사졸-5(4H)-온 (F72)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0
실시예 1.73: 2-(4-(tert-부틸)페닐)-4-((5-(3-(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퓨란-2-일)메틸렌)옥사졸 -5(4H)-온 (F73)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1
실시예 1.74: 4-((7-메톡시-2-옥소-1,2-디하이드로퀴놀린-3-일)메틸렌)-2-페닐옥사졸-5(4H)-온 (F74)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2
실시예 1.75: 2-(4-메톡시페닐)-4-(2-(티오펜-2-일)-4H-크로멘-4-일이덴)옥사졸-5(4H)-온 (F75)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3
실시예 1.76: N,N-디메틸-3-((5-옥소-2-(p-톨릴)옥사졸-4(5H)-일이덴)메틸)-1H-인돌-1-설폰아마이드 (F76)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4
실시예 1.77: 2-((2-(4-클로로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닐4-아세트아마이도 벤젠설포네이트 (F77)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5
실시예 1.78: 4-((5-옥소-2-페닐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닐퓨란-2-카복실레이트 (F78)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6
실시예 1.79: 2,2'-(1,4-페닐렌)비스(4-((5-메틸퓨란-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79)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7
실시예 1.80: 2-((2-(4-(tert-부틸)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닐벤젠설포네이트 (F80)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8
실시예 1.81: 4-((1-아세틸-1H-인돌-3-일)메틸렌)-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81)
Figure 112020034228319-pat00099
실시예 1.82: 4-((1-아세틸-3-페닐-1H-피라졸-4-일)메틸렌)-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8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0
실시예 1.83: 4-((1,3-디페닐-1H-피라졸-4-일)메틸렌)-2-(p-톨릴)옥사졸-5(4H)-온 (F8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1
실시예 1.84: 4-((6-메톡시-2-옥소-1,2-디하이드로퀴놀린-3-일)메틸렌)-2-페닐옥사졸-5(4H)-온 (F8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2
실시예 1.85: 4-(2,6-디페닐-4H-티오피란-4-일이덴)-2-페닐옥사졸-5(4H)-온 (F8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3
실시예 1.86: N-(4-(4-(4-((2-클로로에틸)(메틸)아미노)벤질이덴)-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F8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4
실시예 1.87: 2-(4-메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8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5
실시예 1.88: 2-(4-클로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8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6
실시예 1.89: 2-(티오펜-2-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8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7
실시예 1.90: 4-(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아세테이트 (F9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8
실시예 1.91: 2-(4-클로로-3-니트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09
실시예 1.92: 2-(2-클로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0
실시예 1.93: 2-(2-클로로-4-니트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1
실시예 1.94: 4-(티오펜-2-일메틸렌)-2-(3,4,5-트리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9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2
실시예 1.95: 2-(4-페녹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3
실시예 1.96: 2-(4-(tert-부틸)페닐)-4-((5-메틸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4
실시예 1.97: 2-(벤조[d][1,3]디옥소일-5-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5
실시예 1.98: 2-(4-(2-옥소피롤리딘-1-일)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9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6
실시예 1.99: 4-((5-클로로티오펜-2-일)메틸렌)-2-(4-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9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7
실시예 1.100: 2-(벤조[d][1,3]디옥소일-5-일)-4-((5-(피페리딘-1-일)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0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8
실시예 1.101: 2-(3,4-디에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0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19
실시예 1.102: 2-(4-(디플루오로메톡시)-3-메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0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0
실시예 1.103: 2-(5-에틸-4-메틸티오펜-2-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0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1
실시예 1.104: 2-(3-메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0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2
실시예 1.105: 4-((5-(디메틸아미노)티오펜-2-일)메틸렌)-2-(나프탈렌-2-일)옥사졸-5(4H)-온 (F10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3
실시예 1.106: N-(4-(4-((4-브로모티오펜-2-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F10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4
실시예 1.107: N-(4-(4-((5-브로모티오펜-2-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F10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5
실시예 1.108: N-(4-(4-((5-(디메틸아미노)티오펜-2-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 아세트아마이드 (F10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6
실시예 1.109: 2-(4-(벤질옥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0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7
실시예 1.110: 2-((E)-스티릴)-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1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8
실시예 1.111: 2-(5-메틸티오펜-2-일)-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1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29
실시예 1.112: N,N-디에틸-3-(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젠 설폰아마이드 (F11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0
실시예 1.113: 2-(2-메톡시페닐)-4-((2,4,5-트리메틸티에노[2,3-d]피리미딘-6-일)메틸렌) 옥사졸-5(4H)-온 (F11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1
실시예 1.114: 4-((5-(디메틸아미노)티오펜-2-일)메틸렌)-2-(2-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11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2
실시예 1.115: 4-((5-메틸티오펜-2-일)메틸렌)-2-(티오펜-2-일)옥사졸-5(4H)-온 (F11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3
실시예 1.116: N,N-디메틸-3-(5-옥소-4-(티오펜-2-일메틸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 벤젠설폰아마이드 (F11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4
실시예 1.117: 4-((5-브로모티오펜-2-일)메틸렌)-2-(2-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11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5
실시예 1.118: 4-((5-브로모티오펜-2-일)메틸렌)-2-(티오펜-2-일)옥사졸-5(4H)-온 (F11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6
실시예 1.119: 2-(5-메틸티오펜-2-일)-4-((5-메틸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1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7
실시예 1.120: 4-((5-(피페리딘-1-일)티오펜-2-일)메틸렌)-2-(티오펜-2-일)옥사졸-5(4H)-온 (F12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8
실시예 1.121: 4-((5-브로모티오펜-2-일)메틸렌)-2-(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12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39
실시예 1.122: 2-(4-(tert-부틸)페닐)-4-(2-(디플루오로메톡시)벤질이덴)옥사졸-5(4H)-온 (F12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0
실시예 1.123: 4-((1-(2-클로로벤질)-1H-피라졸-4-일)메틸렌)-2-(나프탈렌-2-일)옥사졸-5(4H)-온 (F12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1
실시예 1.124: 2-(4-(tert-부틸)페닐)-4-((1-페닐-1H-피라졸-4-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2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2
실시예 1.125: 2-(2-메톡시페닐)-4-((1-메틸-1H-피라졸-4-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2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3
실시예 1.126: N-(tert-부틸)-4-(4-((5-메틸퓨란-2-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 벤젠설폰아마이드 (F12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4
실시예 1.127: N,N-디에틸-4-(4-(1-메틸피리딘-2(1H)-일이덴)-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젠설폰아마이드 (F12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5
실시예 1.128: 2-(4-((2-(2-메톡시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녹시)아세트아마이드 (F12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6
실시예 1.129: N-(4-((2-(4-이소프로폭시페닐)-5-옥소옥사졸-4(5H)-일이덴)메틸)페닐)아세트아마이드 (F12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7
실시예 1.130: 4-((1-벤질-1H-피라졸-4-일)메틸렌)-2-(4-이소프로폭시페닐)옥사졸-5(4H)-온 (F13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8
실시예 1.131: N,N-디에틸-3-(4-((1-메틸-1H-피라졸-4-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벤젠설폰아마이드 (F13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49
실시예 1.132: 4-(4-(1H-1,2,4-티아졸-1-일)벤질이덴)-2-(2-아이오도페닐)옥사졸-5(4H)-온 (F13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0
실시예 1.133: 4-(4-((3,5-디메틸이속사졸-4-일)메톡시)-3-메톡시벤질이덴)-2-(2-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13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1
실시예 1.134: N-(4-(4-(4-(1H-1,2,4-티아졸-1-일)벤질이덴)-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아세트아마이드 (F13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2
실시예 1.135: 2-(2-(디플루오로메톡시)페닐)-4-((E)-3-(퓨란-2-일)알릴이덴)옥사졸-5(4H)-온 (F13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3
실시예 1.136: 4-((1-(tert-부틸)-1H-피라졸-4-일)메틸렌)-2-(2-메톡시페닐)옥사졸-5(4H)-온 (F13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4
실시예 1.137: 4-((4-메틸티아졸-5-일)메틸렌)-2-(4-프로필페닐)옥사졸-5(4H)-온 (F13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5
1H NMR (400 MHz, DMSO-d6) δ9.27 (s, 1H), 9.94 (d, 2H, J = 8.0 Hz), 7.53 (s, 1H), 7.41 (d, 2H, J = 8.0 Hz), 2.63 (t, 2H, J = 7.6 Hz), 2.59 (s, 3H), 1.64 - 1.55 (m, 2H), 0.87 (t, 3H, J = 7.2 Hz).
13C NMR (400 MHz, DMSO-d6) δ166.1, 12.6, 160.62, 159. 76, 149.2, 132.0, 129.9, 129.3, 126.5, 123.0, 121.3, 37.7, 24.1, 16.2, 14.0.
실시예 1.138: 4-((1H-피롤-2-일)메틸렌)-2-(4-부톡시페닐)옥사졸-5(4H)-온 (F13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6
1H NMR (400 MHz, DMSO-d6) δ11.50 (s, 1H), 8.08 (d, 2H, J = 8.4 Hz), 7.29 (s, 1H), 7.13 (s, 1H), 7.07 (d, 2H, J = 8.4 Hz), 7.00 (s, 1H), 6.31 (s, 1H), 4.03 (t, 2H, J = 6.0 Hz), 1.70 - 1.67 (m, 2H), 1.45 - 1.36 (m, 2H), 0.91 (t, 3H, J = 5.2 Hz).
실시예 1.139: 2-(4-헥실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3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7
1H NMR (400 MHz, DMSO-d6) δ8.01 (d, 1H, J = 3.6 Hz), 7.95 (d, 2H, J = 8.0 Hz), 7.80 (br s, 1H), 7.66 (s, 1H), 7.41 (d, 2H, J = 8.0 Hz), 7.22 (br s, 1H), 2.64 (t, 2H, J = 7.2 Hz), 1.56 (br s 2H), 1.24 (s, 6H), 0.81 (br s, 3H).
13C NMR (400 MHz, DMSO-d6) δ166.7, 162.2, 149.2, 137.6, 136.9, 136.6, 130.7, 129.7, 128.6, 128.2, 124.8, 123.0, 35.7, 31.5, 30.9, 28.7, 22.5, 14.4.
실시예 1.140: 4-((1H-인돌-2-일)메틸렌)-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14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8
1H NMR (400 MHz, DMSO-d6) δ11.27 (s, 1H), 8.18 (d, 2H, J = 8.0 Hz), 7.63 (t, 4H, J = 7.4 Hz), 7.35 (d, 2H, J = 8.8 Hz), 7.25 (t, 1H, J = 7.4 Hz), 7.05 (t, 1H, J = 7.6 Hz), 1.30 (s, 9H).
13C NMR (400 MHz, DMSO-d6) δ166.9, 161.9, 157.1, 139.7, 133.2, 130.8, 128.5, 128.2, 126.5, 125.6, 122.9, 122.1, 121.0, 120.8, 113.4, 113.0, 35.3, 31.2.
실시예 1.141: 4-(퓨란-2-일메틸렌)-2-(4-펜틸페닐)옥사졸-5(4H)-온 (F14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59
1H NMR (400 MHz, DMSO-d6) δ8.05 (s, 1H), 7.97 (d, 2H, J = 7.6 Hz), 7.56 - 7.55 (m, 1H), 7.40 (d, 2H, J = 7.6 Hz), 7.15 (s, 1H), 6.80 (br s, 1H), 2.64 (t, 2H, J = 7.4 Hz), 1.59 - 1.57 (m, 2H), 1.26 (br s, 4H), 0.82 (t, 3H, J = 6.2 Hz).
13C NMR (400 MHz, DMSO-d6) δ167.0, 162.8, 150.4, 149.3, 148.3, 130.5, 129.7, 128.4, 123.0, 120.8, 117.4, 114.6, 35.6, 31.3, 30.7, 22.3, 14.3.
실시예 1.142: 2-(4-부톡시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4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0
1H NMR (400 MHz, DMSO-d6) δ7.98 - 7.96 (m, 3H), 7.78 (d, 1H, J = 3.2 Hz), 7.60 (s, 1H), 7.21 (t, 1H, J = 4.4 Hz), 7.12 (d, 2H, J = 8.4 Hz), 4.05 (t, 2H, J = 6.4 Hz), 1.73 - 1.66 (m, 2H), 1.46 - 1.37 (m, 2H), 0.91 (t, 3H, J = 7.2 Hz).
13C NMR (400 MHz, DMSO-d6) δ166.8, 163.4, 162.0, 137.7, 136.5, 136.1, 130.9, 130.3, 129.5, 123.8, 117.4, 115.8, 69.2, 31.0, 19.1, 14.1.
실시예 1.143: 4-((1H-피롤-2-일)메틸렌)-2-(4-프로필페닐)옥사졸-5(4H)-온 (F14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1
1H NMR (400 MHz, DMSO-d6) δ11.52 (s, 1H), 8.07 (d, 2H, J = 8.0 Hz), 7.39 (d, 2H, J = 8.4 Hz), 7.31 (s, 1H), 7.19 (s, 1H), 7.04 (s, 1H), 6.34 - 6.32 (m, 1H), 2.63 (t, 2H, J = 8.4 Hz), 1.65 - 1.56 (m, 2H), 0.88 (t, 3H, J = 7.4 Hz).
ESI (m/z) 281(MH+).
실시예 1.144: 2-(4-프로필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4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2
1H NMR (400 MHz, DMSO-d6) δ8.02 (d, 1H, J = 5.2 Hz), 7.96 (d, 2H, J = 8.4 Hz), 7.81 (d, 1H, J = 3.6 Hz), 7.67 (s, 1H), 7.42 (d, 2H, J = 8.0 Hz), 7.23 - 7.21 (m, 1H), 2.64 (t, 2H, J = 7.4 Hz), 1.65 - 1.56 (m, 2H), 0.88 (t, 3H, J = 7.4 Hz).
ESI (m/z) 298(MH+).
실시예 1.145: 2-(4-프로필페닐)-4-(티오펜-3-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4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3
1H NMR (400 MHz, DMSO-d6) δ8.02 (d, 1H, J = 5.2 Hz), 7.97 (d, 2H, J = 4.4 Hz), 7.81 (d, 1H, J = 3.6 Hz), 7.67 (s, 1H), 7.42 (d, 2H, J = 8.4 Hz), 7.23 - 7.21 (m, 1H), 2.63 (t, 2H, J = 8.4 Hz), 1.65 - 1.56 (m, 2H), 0.88 (t, 3H, J = 7.2 Hz).
ESI (m/z) 298(MH+).
실시예 1.146: 4-(퓨란-2-일메틸렌)-2-(4-프로필페닐)옥사졸-5(4H)-온 (F14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4
1H NMR (400 MHz, DMSO-d6) δ8.05 (s, 1H), 7.98 (d, 2H, J = 8.0 Hz), 7.56 (s, 1H), 7.41 (d, 2H, J = 8.0 Hz), 7.15 (s, 1H), 6.80 (s, 1H), 2.63 (t, 2H, J = 7.4 Hz), 1.63 - 1.57 (m, 2H), 0.87 (t, 3H, J = 7.2 Hz ).
13C HMR (400 MHz, DMSO-d6) δ167.0, 162.8, 150.4, 149.0, 148.3, 130.5, 129.8(2), 128.4(2), 123.0, 120.8, 117.4, 114.6, 37.7, 24.1, 14.0.
ESI (m/z) 282(MH+).
실시예 1.147: 4-((1H-피롤-2-일)메틸렌)-2-(4-헥실페닐)옥사졸-5(4H)-온 (F14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5
ESI (m/z) 323(MH+).
실시예 1.148: 2-(4-(4-((1H-피롤-2-일)메틸렌)-5-옥소-4,5-디하이드로옥사졸-2-일)페닐)-2-메틸프로펜나이트릴 (F14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6
ESI (m/z) 306(MH+).
실시예 1.149: 4-((1H-피롤-2-일)메틸렌)-2-(3,5-디메틸페닐)옥사졸-5(4H)-온 (F14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7
ESI (m/z) 267(MH+).
실시예 1.150: 2-(3,5-디메틸페닐)-4-(티오펜-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15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8
1H NMR (400 MHz, DMSO-d6) δ8.01 (d, 1H, J = 4.8 Hz), 7.79 (d, 1H, J = 3.2 Hz), 7.65 (s, 1H), 7.63 (s, 1H), 7.28 (s, 1H), 7.21 (t, 1H, J = 4.2 Hz), 2.33 (s, 6H)
ESI (m/z) 284(MH+).
실시예 2.1: 메틸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레이트 (G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69
1H NMR (400 MHz, DMSO-d6) δ11.56 (s, 1H), 9.73 (s, 1H), 7.94 (d, 2H, J = 8.1 Hz), 7.50 (d, 2H, J = 8.1 Hz), 7.45 (s, 1H), 6.97 (s, 1H), 6.54 - 6.47 (m, 1H), 6.12 (s, 1H), 3.64 (s, 3H), 1.29 (s, 9H).
실시예 2.2: 메틸 2-(4-(tert-부틸)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레이트 (G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0
1H NMR (400 MHz, DMSO-d6) δ9.77 (s, 1H), 7.95 (d, 2H, J = 8.3 Hz), 7.88 (s, 1H), 7.70 (d, 1H, J = 5.0 Hz), 7.57 - 7.50 (m, 3H), 7.12 - 7.09 (m, 1H), 3.69 (s, 3H), 1.29 (s, 9H).
실시예 2.3: 2-(4-(tert-부틸)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레이트 (G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1
1H NMR (400 MHz, DMSO-d6) δ12.62 (s, 1H), 9.64 (s, 1H), 7.93 (d, 2H, J = 8.3 Hz), 7.83 (s, 1H), 7.66 (d, 1H, J = 5.0 Hz), 7.54 - 7.49 (m, 3H), 7.09 (t, 1H, J = 4.0 Hz), 1.29 (s, 9H).
ESI (m/z) 352 (MNa+), 328 (MH-).
실시예 2.4: 메틸 2-(4-(tert-부틸)벤즈아미도)-3-(퓨란-2-일)아크릴레이트 (G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2
2-(4-(tert-부틸)페닐)-4-(퓨란-2-일메틸렌)옥사졸-5(4H)-온 (F38) (300 mg, 1.02 mmol)을 교반 하에 MeOH (10 ml)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이 투명한 용액이 되었을 때, 트리에틸아민 (0.425 ml, 3.05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TLC),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였다. 여과 깔때기를 통과시키고 메탄올로 재결정화하여 생성된 고체(2- (4- (tert- 부틸) 벤즈 아미도) -3- (퓨란-2-일)아크릴레이트 (G4)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9.87 (s, 1H), 7.92 (d, 2H, J = 8.3 Hz), 7.81 (s, 1H), 7.51 (d, 2H, J = 8.3 Hz), 7.24 (s, 1H), 6.84 (d, 1H, J = 3.4 Hz), 6.60 - 6.57 (m, 1H), 3.68 (s, 3H), 1.29 (s, 9H).
ESI (m/z) 328 (MH+), 350 (MNa+), 326 (MH-).
실시예 2.5: 2-(4-(tert-부틸)벤즈아미도)-3-(퓨란-2-일)아크릴산 (G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3
1H NMR (400 MHz, DMSO-d6) δ12.67 (s, 1H), 9.72 (s, 1H), 7.90 (d, 2H, J = 8.2 Hz), 7.78 (s, 1H), 7.50 (d, 2H, J = 8.3 Hz), 7.23 (s, 1H), 6.78 (d, 1H, J = 3.3 Hz), 6.58 - 6.55 (m, 1H), 1.28 (s, 9H).
ESI (m/z) 336 (MNa+), 312 (MH-).
실시예 2.6: tert-부틸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레이트 (G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4
1H NMR (400 MHz, DMSO-d6) δ11.24 (s, 1H), 9.49 (s, 1H), 7.90 (d, 2H, J = 8.3 Hz), 7.50 (d, 2H, J = 8.3 Hz), 7.33 (s, 1H), 6.94 (s, 1H), 6.48 (s, 1H), 6.10 (s, 1H), 1.39 (s, 9H), 1.29 (s, 9H).
실시예 2.7: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산 (G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5
4-((1H-피롤-2-일) 메틸렌)-2-(4-(tert-부틸)페닐)옥사졸-5(4H)-온 (F10) (1.02 mmol)을 교반 하에 아세톤 (5 ml)에 첨가하였다. 현탁액이 투명한 용액이 되었을 때, 1% NaOH (3.05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1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TLC), 10% HCl 로 산성화 한 후, 여과 깔때기를 통과시켜서 고체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산 (G7)를 제공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12.23 (s, 1H), 11.24 (s, 1H), 9.48 (s, 1H), 7.92 (d, 2H, J = 8.4 Hz), 7.50 (d, 2H, J = 8.0 Hz), 7.43 (s, 1H), 6.95 (s, 1H), 6.47 (s, 1H), 6.11 (s, 1H), 1.29 (s, 9H).
실시예 2.8: 2-(4-(tert-부틸)벤즈아미도)-3-(티오펜-3-일)아크릴산 (G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6
1H NMR (400 MHz, DMSO-d6) δ12.59 (S, 1H), 9.76 (s, 1H), 7.91 (d, 3H, J = 9.6 Hz), 7.51 (d, 4H, J = 7.2 Hz), 7.37 (d, 1H, J = 4.8 Hz), 1.29 (s, 9H).
실시예 2.9: 2-(4-(tert-부틸)벤즈아미도)-3-(4-메틸티아졸-5-일)아크릴산 (G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7
1H NMR (400 MHz, DMSO-d6) δ12.83 (s, 1H), 9.73 (s, 1H), 9.00 (s, 1H), 7.92 (d, 2H, J = 8.4 Hz), 7.74 (s, 1H), 7.53 (d, 2H, J = 8.4 Hz), 2.47 (s, 3H), 1.29 (s, 9H).
실시예 2.10: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메틸-1H-피라졸-4-일)아크릴산 (G1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8
1H NMR (400 MHz, DMSO-d6) δ12.39 (s, 1H), 9.57 (s, 1H), 7.95 - 7.88 (m, 3H), 7.61 (s, 1H), 7.51 (d, 2H, J = 8.0 Hz), 7.39 (s, 1H), 3.79 (s, 3H), 1.29 (s, 9H).
ESI (m/z) 328 (MH+), 350 (MNa+), 327 (MH-).
실시예 2.11: 메틸 2-(4-부틸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레이트 (G1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79
1H NMR (400 MHz, DMSO-d6) δ11.35 (s, 1H), 9.64 (s, 1H), 7.95 (d, 2H, J = 6.7 Hz), 7.49 (s, 1H), 7.34 (d, 2H, J = 6.8 Hz), 7.02 (s, 1H), 6.55 (s, 1H), 6.16 (s, 1H), 3.68 (s, 3H), 2.72 - 2.60 (m, 2H), 1.65 - 1.52 (m, 2H), 1.40 - 1.25 (m, 2H), 0.98 - 0.84 (m, 3H).
ESI (m/z) 327 (MH+), 349 (MNa+), 325 (MH-).
실시예 2.12: 2-(4-부틸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1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0
1H NMR (400 MHz, DMSO-d6) δ12.67 (s, 1H), 9.67 (s, 1H), 7.95 (d, 2H, J = 7.9 Hz), 7.87 (s, 1H), 7.70 (d, 1H, J = 4.9 Hz), 7.59 - 7.49 (m, 1H), 7.36 (d, 2H, J = 7.9 Hz), 7.13 (d, 1H, J = 4.4 Hz), 2.67 (t, 2H, J = 7.6 Hz), 1.66 - 1.55 (m, 2H), 1.40 - 1.26 (m, 2H), 0.91 (t, 3H, J = 7.3 Hz).
ESI (m/z) 330 (MH+), 328 (MH-).
실시예 2.13: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페닐-1H-피롤-2-일)아크릴산 (G1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1
1H NMR (400 MHz, DMSO-d6) δ12.39 (s, 1H), 9.70 (s, 1H), 7.98 (d, 2H, J = 7.8 Hz), 7.65 - 7.49 (m, 5H), 7.38 (d, 2H, J = 7.4 Hz), 7.23 (s, 1H), 7.16 (s, 1H), 6.78 (s, 1H), 6.34 (s, 1H), 1.33 (s, 9H).
ESI (m/z) 389 (MH+), 387 (MH-).
실시예 2.14: 메틸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페닐-1H-피롤-2-일)아크릴레이트 (G1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2
1H NMR (400 MHz, DMSO-d6) δ9.81 (s, 1H), 7.96 (d, 2H, J = 7.7 Hz), 7.62 - 7.45 (m, 5H), 7.35 (d, 2H, J = 7.3 Hz), 7.22 (s, 1H), 7.11 (s, 1H), 6.78 (s, 1H), 6.33 (s, 1H), 3.58 (s, 3H), 1.30 (s, 9H).
ESI (m/z) 403 (MH+), 425 (MNa+), 401 (MH-).
실시예 2.15: 메틸 3-(1H-피롤-2-일)-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아크릴레이트 (G1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3
1H NMR (400 MHz, DMSO-d6) δ11.37 (s, 1H), 9.98 (s, 1H), 8.22 (d, 2H, J = 8.1 Hz), 7.93 (d, 2H, J = 8.2 Hz), 7.53 (s, 1H), 7.04 (s, 1H), 6.56 (s, 1H), 6.18 (s, 1H), 3.70 (s, 3H).
ESI (m/z) 339 (MH+), 361 (MNa+), 337 (MH-).
실시예 2.16: 2-(4-브로모벤즈아미도)-3-(퓨란-2-일)아크릴산 (G1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4
1H NMR (400 MHz, DMSO-d6) δ12.78 (s, 1H), 9.93 (s, 1H), 7.94 (d, 2H, J = 8.2 Hz), 7.82 (s, 1H), 7.75 (d, 2H, J = 8.4 Hz), 7.30 (s, 1H), 6.84 (d, 1H, J = 3.3 Hz), 6.64 - 6.58 (m, 1H).
ESI (m/z) 336 (MH+), 338 (MH+), 334 (MH-), 335 (MH-).
실시예 2.17: 메틸 3-(퓨란-2-일)-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아크릴레이트 (G1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5
1H NMR (400 MHz, DMSO-d6) δ10.23 (s, 1H), 8.19 (d, 2H, J = 8.0 Hz), 7.93 (d, 2H, J = 8.2 Hz), 7.88 - 7.86 (m, 1H), 7.35 (s, 1H), 6.93 (d, 1H, J = 3.4 Hz), 6.66 - 6.62 (m, 1H), 3.73 (s, 3H).
ESI (m/z) 340 (MH+), 362 (MNa+), 338 (MH-).
실시예 2.18: 3-(퓨란-2-일)-2-(4-(트리플루오로메틸)벤즈아미도)아크릴산 (G1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6
1H NMR (400 MHz, DMSO-d6) δ12.83 (s, 1H), 10.10 (s, 1H), 8.19 (d, 2H, J = 7.9 Hz), 7.93 (d, 2H, J = 8.2 Hz), 7.83 (s, 1H), 7.34 (s, 1H), 6.87 (d, 1H, J = 3.3 Hz), 6.63 - 6.59 (m, 1H).
ESI (m/z) 326 (MH+), 324 (MH-).
실시예 2.19: 2-(4-브로모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1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7
1H NMR (400 MHz, DMSO-d6) δ12.74 (s, 1H), 9.87 (s, 1H), 7.98 (d, 2H, J = 8.5 Hz), 7.90 (s, 1H), 7.78 (d, 2H, J = 8.5 Hz), 7.72 (d, 1H, J = 5.1 Hz), 7.56 (d, 1H, J = 3.3 Hz), 7.16 - 7.12 (m, 1H).
ESI (m/z) 354 (MH+), 352 (MH+), 352 (MH-), 350 (MH-).
실시예 2.20: 메틸 2-(4-브로모벤즈아미도)-3-(퓨란-2-일)아크릴레이트 (G2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8
1H NMR (400 MHz, DMSO-d6) δ10.03 (s, 1H), 7.91 (d, 2H, J = 8.5 Hz), 7.82 (d, 1H, J = 1.5 Hz), 7.72 (d, 2H, J = 8.5 Hz), 7.27 (s, 1H), 6.86 (d, 1H, J = 3.5 Hz), 6.61 - 6.58 (m, 1H), 3.69 (s, 3H).
ESI (m/z) 350 (MH+), 352 (MH+), 348 (MH-), 350 (MH-).
실시예 2.21: 2-(4-브로모벤즈아미도)-3-(퓨란-2-일)아크릴산 (G2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89
1H NMR (400 MHz, DMSO-d6) δ12.78 (s, 1H), 9.93 (s, 1H), 7.94 (d, 2H, J = 8.5 Hz), 7.82 (d, 1H, J = 1.5 Hz), 7.75 (d, 2H, J = 8.5 Hz), 7.31 (s, 1H), 6.84 (d, 1H, J = 3.4 Hz), 6.63 - 6.59 (m, 1H).
ESI (m/z) 336 (MH+), 338 (MH+), 334 (MH-), 336 (MH-).
실시예 2.22: 2-(4-부틸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산 (G22)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0
1H NMR (400 MHz, DMSO-d6) δ12.28 (s, 1H), 11.28 (s, 1H), 9.51 (s, 1H), 7.94 (d, 2H, J = 8.0 Hz), 7.47 (s, 1H), 7.33 (d, 2H, J = 8.0 Hz), 6.99 (s, 1H), 6.51 (s, 1H), 6.14 (d, 1H, J = 2.7 Hz), 2.66 (t, 2H, J = 7.6 Hz), 1.64 - 1.54 (m, 2H), 1.38 - 1.27 (m, 2H), 0.91 (t, 3H, J = 7.3 Hz).
실시예 2.23: 메틸-2-(4-(tert-부틸)벤즈아마이도)-3-(1H-피롤-2-일)아크릴레이트 (G23)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1
1H NMR (400 MHz, DMSO-d6) δ11.31 (s, 1H), 9.61 (s, 1H), 7.94 (d, 2H, J = 8.0 Hz), 7.51 (d, 2H, J = 8.0 Hz), 7.46 (s, 1H), 6.98 (s, 1H), 6.52 (s, 1H), 6.13 (s, 1H), 3.65 (s, 3H), 1.29 (s, 9H).
13C NMR (400 MHz, DMSO-d6) δ166.1, 165.9, 154.9, 131.4, 128.0, 126.6, 126.5, 125.6, 122.6, 119.7, 113.9, 111.0, 52.2, 35.1, 31.4.
실시예 2.24: 2-(2-나프타아마이도)-3-(티오펜-3-일)아크릴산 (G24)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2
1H NMR (400 MHz, DMSO-d6) δ12.68 (s, 1H), 10.03 (s, 1H), 8.63 (s, 1H), 8.05 - 8.03 (m, 3H), 7.98 (d, 1H, J = 7.6 Hz), 7.94 (br s, 1H), 7.64 - 7.59 (m, 2H), 7.56 (s, 1H), 7.53 - 7.52 (m, 1H), 7.41 (d, 1H, J = 4.4 Hz).
13C NMR (400 MHz, DMSO-d6) δ166.9, 166.4, 135.8, 134.8, 132.6, 131.3, 130.3, 129.4, 128.7, 128.5, 128.3, 128.2, 128.1, 127.3, 127.2, 125.9, 124.7.
실시예 2.25: 3-(벤조[b]티오펜-3-일)-2-(4-(tert-부틸)벤즈아마이도)아크릴산 (G25)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3
1H NMR (400 MHz, DMSO-d6) δ12.78 (s, 1H), 9.90 (s, 1H), 8.10 (s, 1H), 8.01 (d, 1H, J = 7.6 Hz), 7.96 (d, 1H, J = 7.6 Hz), 7.91 (d, 2H, J = 8.0 Hz), 7.67 (s, 1H), 7.50 (d, 2H, J = 8.0 Hz), 7.46 - 7.38 (m, 2H), 1.28 (s, 9H).
13C NMR (400 MHz, DMSO-d6) δ166.6, 166.3, 139.2, 138.5, 131.2, 129.5, 129.0, 128.9, 128.1, 125.6, 125.4, 125.2, 123.9, 123.4, 131.9, 35.1, 31.4.
실시예 2.26: 2-(4-이소부틸벤즈아마이도)-3-(1H-피롤-2-일)아크릴산 (G26)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4
1H NMR (400 MHz, DMSO-d6) δ12.26 (2, 1H), 11.25 (s, 1H), 9.48 (s, 1H), 7.91 (d, 2H, J = 7.2 Hz), 7.44 (s, 1H), 7.27 (d, 2H, J = 7.6 Hz), 6.95 (s, 1H), 6.50 (s, 1H), 6.11 (s, 1H), 2.50 (d, 2H, J = 2.8 Hz), 1.90 - 1.91 (m, 1H), 0.85 (d, 6H, J = 6.8 Hz).
13C NMR (400 MHz, DMSO-d6) δ167.0, 165.9, 145.4, 132.0, 129.3, 129.0, 126.7, 126.1, 122.2, 120.7, 113.4, 110.8, 44.8, 30.0, 22.57.
실시예 2.27: 2-(1-나프타아마이도)-3-(4-메틸티아졸-5-일)아크릴산 (G27)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5
1H NMR (400 MHz, DMSO-d6) δ12.98 (br s, 1H), 9.97 (s, 1H), 9.09 (s, 1H), 8.40 - 8.39 (m, 1H), 8.6 (d, 1H, J = 8.0 Hz), 7.99 - 7.98 (m, 1H), 7.89 (d, 1H, J = 7.2 Hz), 7.80 (s, 1H), 7.62 (t, 1H, J = 7.6 Hz), 7.57 - 7.55 (m, 2H), 2.54 (s, 3H).
13C NMR (400 MHz, DMSO-d6) δ169.3, 166.1, 156.8, 156.6, 134.1, 133.6, 130.8, 130.3, 128.6, 127.3, 126.8, 126.2, 126.1, 126.0, 125.9, 125.4, 124.9, 16.1.
실시예 2.28: 2-(4-프로필벤즈아마이도)-3-(1H-피롤-2-일)아크릴산 (G28)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6
1H NMR (400 MHz, DMSO-d6) δ12.30 (br s, 1H), 11.25 (s, 1H), 9.48 (s, 1H), 7.91 (d, 2H, J = 7.6 Hz), 7.44 (s, 1H), 7.30 (d, 2H, J = 4.0 Hz), 6.95 (s, 1H), 6.48 (s, 1H), 6.11 (s, 1H), 2.60 (t, 2H, J = 7.2 Hz), 1.64 - 1.55 (m, 2H), 0.87 (t, 3H, J = 7.0 Hz).
13C NMR (400 MHz, DMSO-d6) δ 167.0, 165.9, 146.4, 131.9, 129.7, 128.1, 126.7, 126.1, 122.1, 120.7, 113.4, 110.8, 37.5, 24.3, 14.0.
실시예 2.29: 2-(4-부틸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29)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7
1H NMR (400 MHz, DMSO-d6) δ12.61 (s, 1H), 9.76 (s, 1H), 7.89 (s, 3H), 7.54 - 7.52 (m, 1H), 7.51 (s, 1H), 7.37 (d, 1H, J = 4.8 Hz), 7.31 (d, 2H, J = 7.6 Hz), 2.62 (t, 2H, J = 7.6 Hz), 1.59 - 1.51 (m, 2H), 1.33 - 1.24 (m, 2H), 0.87 (t, 3H, J = 7.2 Hz).
ESI (m/z) 330(MH+).
실시예 2.30: 2-(4-프로필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30)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8
1H NMR (400 MHz, DMSO-d6) δ12.64 (s, 1H), 9.65 (s, 1H), 7.93 (d, 2H, J = 8.0 Hz), 7.85 (s, 1H), 7.66 (d, 1H, J = 4.4 Hz), 7.51 (d, 1H, J = 2.0 Hz), 7.32 (d, 2H, J = 8.0 Hz), 7.10 (d, 1H, J = 3.6 Hz), 2.60 (t, 2H, J = 7.4 Hz), 1.63 - 1.56 (m, 2H), 0.88 (t, 3H, J = 7.2 Hz).
13C HMR (400 MHz, DMSO-d6) δ166.5, 166.4, 146.7, 137.0, 133.8, 131.8, 131.7, 129.9, 128.8(2), 128.2(2), 127.5, 124.5, 37.5, 24.3, 14.1.
ESI (m/z) 316(MH+).
실시예 2.31: 2-(4-프로필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31)
Figure 112020034228319-pat00199
1H NMR (400 MHz, DMSO-d6) δ12.64 (s, 1H), 9.64 (s, 1H), 7.92 (d, 2H, J = 7.6 Hz), 7.84 (s, 1H), 7.66 (d, 1H, J = 4.4 Hz), 7.51 (s, 1H), 7.32 (d, 2H, J = 7.6 Hz), 7.10 - 7.09 (m, 1H), 2.60 (t, 2H, J = 7.4 Hz), 1.63 - 1.57 (m, 2H), 0.88 (t, 3H, J = 7.6 Hz).
13C HMR (400 MHz, DMSO-d6) δ166.5, 166.4, 146.7, 136.9, 133.8, 131.8, 131.7, 129.8, 128.8(2), 128.2(2), 127.5, 124.5, 37.5, 24.4, 14.1.
ESI (m/z) 316(MH+).
실시예 2.32: 2-(4-(tert-부틸)벤즈아미도)-3-(4-메틸티아졸-5-일)아크릴산 (G32)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0
ESI (m/z) 345(MH+).
실시예 2.33: 2-(4-(tert-부틸)벤즈아미도)-3-(1H-인돌-2-일)아크릴산 (G33)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1
ESI (m/z) 363(MH+).
실시예 2.34: 3-(퓨란-2-일)-2-(4-프로필벤즈아미도)아크릴산 (G34)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2
1H NMR (400 MHz, DMSO-d6) δ12.69 (s, 1H), 9.72 (s, 1H), 7.89 (d, 2H, J = 7.6 Hz), 7.78 (s, 1H), 7.30 (d, 2H, J = 7.6 Hz), 7.24 (s, 1H), 6.78 (d, 1H, J = 2.4 Hz), 6.57 (s, 1H), 2.60 (t, 2H, J = 7.4 Hz), 1.64 - 1.55 (m, 2H), 0.87 (t, 3H, J = 7.2 Hz).
13C HMR (400 MHz, DMSO-d6) δ166,4, 165.8, 149.8, 146.7, 145.6, 131.6, 128.8(2), 128.2(2), 124.9, 120.9, 115.7, 112.9, 37.5, 24.3, 14.0.
ESI (m/z) 300(MH+).
실시예 2.35: 3-(퓨란-2-일)-2-(4-펜틸벤즈아미도)아크릴산 (G35)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3
1H NMR (400 MHz, DMSO-d6) δ12.68 (s, 1H), 9.72 (s, 1H), 7.89 (d, 2H, J = 7.6 Hz), 7.78 (s, 1H), 7.30 (d, 2H, J = 7.2 Hz), 7.24 (s, 1H), 6.78 (d, 1H, J = 3.2 Hz), 6.57 (t, 1H, J = 1.4 Hz), 2.61 (t, 2H, J 7.4 Hz), 1.61 - 1.55 (m, 2H), 1.26 (s, 4H), 0.83 (t, 3H, J = 6.8 Hz).
13C HMR (400 MHz, DMSO-d6) δ166.4, 165.8, 149.8, 146.9, 145.6, 131.6, 128.7(2), 128.2(2), 124.9, 120.9, 115.7, 112.9, 35.4, 31.3, 30.8, 22.4, 14.3.
ESI (m/z) 328(MH+).
실시예 2.36: 2-(4-부톡시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36)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4
1H NMR (400 MHz, DMSO-d6) δ12.61 (s, 1H), 9.55 (s, 1H), 7.96 (d, 2H, J = 8.4 Hz), 7.82 (s, 1H), 7.66 (d, 1H, J = 4.8 Hz), 7.50 (d, 1H, J = 2.4 Hz), 7.09 (t, 1H, J = 4.2 Hz), 7.03 (d, 2H, J = 8.4 Hz), 4.03 (t, 2H, J = 6.4 Hz), 1.73 - 1.66 (m, 2H), 1.47 - 1.37 (m, 2H), 0.91 (t, 3H, J = 7.4 Hz).
13C HMR (400 MHz, DMSO-d6) δ166.5, 166.1, 161.9, 137.0, 133.7, 131.7, 130.1(2), 129.7, 127.4, 126.3, 124.7, 114.5(2), 67.9, 31.1, 19.1, 14.1.
ESI (m/z) 346(MH+).
실시예 2.37: 2-(4-헥실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37)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5
ESI (m/z) 358(MH+).
실시예 2.38: 2-(2,3-디하이드로-1H-인덴-5-카복사마이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38)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6
1H NMR (400 MHz, DMSO-d6) δ12.62 (s, 1H), 9.59 (s, 1H), 7.84 (d, 2H, J = 7.4 Hz), 7.78 (d, 1H, J = 7.6 Hz), 7.66 (d, 1H, J = 4.0 Hz), 7.51 (br s, 1H), 7.33 (d, 1H, J = 7.6 Hz), 7.10 - 7.09 (m, 1H), 2.90 (t, 4H, J = 6.8 Hz), 2.05 - 2.01 (m, 2H)
ESI (m/z) 314(MH+).
실시예 2.39: 2-(4-(디플루오르메톡시)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39)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7
1H NMR (400 MHz, DMSO-d6) δ12.69 (s, 1H), 9.77 (s, 1H), 8.07 (d, 2H, J = 8.4 Hz), 7.86 (s, 1H), 7.68 (d, 1H, J = 4.4 Hz), 7.55 - 7.53 (m, 1H), 7.36 (s, 1H), 7.31 (d, 2H, J = 8.4 Hz), 7.10 (t, 1H, J = 3.8 Hz).
ESI (m/z) 340(MH+).
실시예 2.40: 2-(4-펜틸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40)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8
1H NMR (400 MHz, DMSO-d6) δ12.63 (s, 1H), 9.64 (s, 1H), 7.91 (d, 2H, J = 8.4 Hz), 7.83 (s, 1H), 7.66 (d, 1H, J = 4.8 Hz), 7.51 (d, 1H, J = 2.8 Hz), 7.32 (d, 2H, J = 8.0 Hz), 7.10 - 7.08 (m, 1H), 2.62 (t, 2H, J = 8.0 Hz), 1.61 - 1.54 (m, 2H), 1.31 - 1.23 (m, 4H), 0.83 (t, 3H, J = 8.0 Hz).
13C HMR (400 MHz, DMSO-d6) δ166.5, 166.4, 146.9, 136.9, 133.8, 131.8, 131.7, 129.8, 128.7(2), 128.2(2), 127.5, 124.5, 35.4, 31.3, 30.8, 22.4, 14.3.
ESI (m/z) 344(MH+).
실시예 2.41: 2-(4-부톡시벤즈아미도)-3-(1H-피롤-2-일)아크릴산 (G41)
Figure 112020034228319-pat00209
1H NMR (400 MHz, DMSO-d6) δ12.21 (s, 1H), 11.22 (s, 1H), 9.37 (s, 1H), 7.94 (d, 2H, J = 8.4 Hz), 7.41 (s, 1H), 6.99 (d, 2H, J = 8.4 Hz), 6.94 (s, 1H), 6.45 (s, 1H), 6.09 (s, 1H), 4.02 (t, 2H, J = 8.3 Hz), 1.72 -1.65 (m, 2H), 1.46 -1.37 (m, 2H), 0.90 (t, 3H, J = 7.4 Hz).
ESI (m/z) 329(MH+).
실시예 2.42: 2-(3,5-디메틸벤즈아미도)-3-(티오펜-2-일)아크릴산 (G42)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0
1H NMR (400 MHz, DMSO-d6) δ12.62 (s, 1H), 9.60 (s, 1H), 7.83 (s, 1H), 7.67 (d, 1H, J = 4.8 Hz), 7.61 (s, 2H), 7.50 (d, 1H, J = 2.0 Hz), 7.19 (s, 1H), 7.10 - 7.08 (m, 1H), 2.32 (s, 6H).
ESI (m/z) 302(MH+).
실시예 3: 신규 화합물의 펜드린 억제제로서의 기능
실시예 3.1: 세포 배양
차이니즈 햄스터 난소(CHO)-K1 세포를 10% 소 태아 혈청 (FBS), 100 units/ml 페니실린 및 100 ㎍/ml 스트렙토마이신을 함유하는 DMEM 배지 내 유지시켰다. CHO-K1 세포를 할라이드 센서 YFP-H148Q/I152L/F46L 및 인간 야생형(WT)-펜드린을 암호화하는 pcDNA3.1로 안정적으로 형질 감염시켰다. 인간 비강 상피(HNE) 세포의 1 차 배양의 분화를 위해, 계대-2 세포를 2 x 105 cells/cm2 밀도로 0.45 μm 기공 크기(Costar Co., Cambridge, MA)로 트랜스 웰-투명 배양 삽입물에 시딩하였다. 세포를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른 다음 성장인자가 보충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Lonza, Walkersville, MD) 및 bronchial epithelial growth medium (Lonza)의 1:1 혼합물 내 유지시켰다. 세포를 처음 7 일 동안 침지시킨 후, 배양 기간의 나머지 동안 정단부 공기 계면에 노출시켰다. 공기-액체 계면의 확립 후 14 내지 21 일 사이에 세포를 사용하였다. 배양의 모든 단계에서, 세포를 공기 인큐베이터에서 5% CO2 하에 37℃에서 유지시켰다.
실시예 3.2: 세포-기반 고속대량 스크리닝
인간 WT 펜드린 및 YFP-F46L/H148Q/I152L을 발현하는 CHO-K1 세포를 웰당 2 x 104 세포의 밀도로 96-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을 200 μL의 PBS로 2 회 세척하고 각각의 50 μL의 HEPES 완충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시험 화합물(1 μL)을 50 μM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37℃에서 10 분 동안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를 형광 분석을 위한 FLUOstar Omeg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기(BMG Labtech, Ortenberg, Germany)에 위치시켰다. 1 초(기준선) 동안 형광을 연속적으로(포인트 당 400ms) 기록함으로써 펜드린-매개 I- 유입에 대해 각각의 웰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다음, 1 초에서 액체 주입기를 사용하여 50 μL의 NaI-치환된 HEPES 완충 용액(NaCl을 대체하는 NaI)을 첨가하고 5초 동안 YFP 형광을 기록하였다. 초기 요오드화물 유입 속도는 요오드화물을 주입한 다음, 비선형 회귀에 의한 형광의 초기 기울기로부터 결정되었다(도 1 참고).
실시예 3.3: 단락 전류의 측정
ANO1- 및 CFTR-발현 FRT 및 인간 비강 상피(HNE) 세포의 1차 배양물을 함유하는 스냅웰 삽입물을 Ussing 챔버(Physiologic Instruments, San Diego, CA, USA) 상에 장착하였다. HNE 세포에서 단락 전류를 측정하기 위해, 정단부 및 기저부 조를 대칭 HCO3 - 완충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ANO1- 및 CFTR- 발현 FRT의 경우, 정단부 조를 절반-Cl- 용액으로 채우고, 측부 조를 HCO3 - 완충 용액으로 충전하였다. 기저부 멤브레인을 250 μg/mL 암포테리신 B로 투과시켜 ANO1 및 CFTR의 정단부 멤브레인 전류를 측정하였다. 단락 전류 및 정단부 멤브레인 전류를 EVC4000 다중-채널 V/I 클램프(World Precision Instruments, Sarasota, FL, USA) 및 PowerLab 4/35(AD Instruments, Castle Hill, Australia)로 측정하였다. Labchart Pro 7(AD Instruments)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샘플링 속도는 4Hz였다.
실시예 3.4: Cl - /I - 교환 활성 측정
Cl-/I- 교환 활성 측정을 위해, 펜드린 및 할라이드 센서 YFP 발현 CHO-K1 세포에서 YFP 형광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된 9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을 200 μL의 PBS로 2 회 세척하고, 50 μL의 HEPES 완충 용액(140 mM NaCl, 5 mM KCl, 1 mM MgCl2, 1 mM CaCl2, 10 mM 글루코오스 및 10 mM HEPES (pH 7.4)) 각각으로 충전하였다. 시험 화합물(1 μL)을 50 μM 최종 농도로 첨가하였다. 37℃에서 10 분 동안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를 형광 분석을 위해 FLUOstar Omega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BMG Labtech, Ortenberg, Germany) 상에 위치시켰다.
1 초(기준선) 동안 형광을 연속적으로(포인트 당 400ms) 기록함으로써 펜드린-매개 I- 유입에 대해 각각의 웰을 개별적으로 분석한 다음, 1 초에서 액체 주입기를 사용하여 50 μL의 NaI-치환된 HEPES 완충 용액(140 mM NaI, 5 mM KCl, 1 mM MgCl2, 1 mM CaCl2, 10 mM 글루코오스 및 10 mM HEPES (pH 7.4))을 첨가하고 5초 동안 YFP 형광을 기록하였다. 초기 요오드화물 유입 속도는 요오드화물을 주입한 다음, 비선형 회귀에 의한 형광의 초기 기울기로부터 결정되었다.
실시예 3.5 : Cl - /HCO 3 - 교환 활성 측정
Cl-/HCO3 - 교환 활성 측정을 위해, pH 센서 SNARF5-AM(Molecular Probes)을 사용하여 WT-펜드린 발현 CHO-K1 및 HNE 세포에서 세포내 pH(pHi)를 측정하였다. 세포에 30 분 동안 5 μM SNARF5-AM을 처리한 다음, 냉각된 전하-결합 장치 카메라(Zyla sCMOS)가 장착된 역 형광 현미경(Nikon, Tokyo, Japan), 이미지 수집 및 분석 소프트웨어(Meta Imaging Series 7.7)의 단계 상에 관류 챔버 내 장착하였다. 세포를 120 NaCl, 5 KCl, 1 MgCl2, 1 CaCl2, 10 D-glucose, 5 HEPES, 및 25 NaHCO3 (pH 7.4)이 (mM로) 함유된 HCO3 - 완충 용액으로 관류시켰다. Cl-/HCO3 - 교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HCO3 - 완충 용액을 Cl--프리 HCO3 - 완충 용액으로 변경하였다. 외부 Cl--프리 HCO3 - 완충 용액을 적용하면 펜드린을 통해 Cl-의 유출 및 HCO3 - 유입을 증가시킨다. HCO3 - 완충 용액의 pH를 유지하기 위해, 용액을 95%O2 및 5%CO2로 연속적으로 가스 처리 하였다. SNARF5 형광은 여기 파장의 515 ± 10 nm 및 방출 파장의 640 ± 10 nm에서 기록되었고, 6.2-7.6으로 보정된 pH를 가진 145 mM KCl, 10 mM HEPES 및 5 mM 나이지리신을 포함하는 용액으로 세포내 pH 보정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3.6: Cl - / SCN - 교환 활성 측정
Cl-/SCN- 교환 활성 측정을 위해, 펜드린 및 할라이드 센서 YFP 발현 CHO-K1 세포에서 YFP 형광을 측정하였다. Cl-/SCN- 교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HEPES 완충 용액을 펜드린을 통한 SCN- 유입을 구동하는 SCN- 구배의 발생을 위한 NaSCN-치환된 HEPES 완충 용액(140 mM NaSCN, 5 mM KCl, 1 mM MgCl2, 1 mM CaCl2, 10 mM 글루코오스 및 10 mM HEPES (pH 7.4))으로 변경하였다. SCN- 유입에 의한 YFP 형광 변화는 FLUOstar Omega 마이크로 플레이트 리더(BMG Labtech) 및 MARS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BMG Labtech)를 사용하여 모니터링되었다.
실시예 3.7 : Cl - /OH - 교환 활성 측정
Cl-/OH- 교환 활성 측정을 위해, pH 센서 SNARF5-AM(Molecular Probes)을 사용하여 WT-펜드린 발현 CHO-K1 및 HNE 세포에서 세포내 pH(pHi)를 측정하였다. 세포에 30 분 동안 5 μM SNARF5-AM을 처리한 다음, 냉각된 전하-결합 장치 카메라(Zyla sCMOS)가 장착된 역 형광 현미경(Nikon, Tokyo, Japan), 이미지 수집 및 분석 소프트웨어(Meta Imaging Series 7.7)의 단계 상에 관류 챔버 내 장착하였다. Cl-/OH- 교환 활성을 측정하기 위해, HEPES 완충 용액을 펜드린을 통한 사이토솔의 Cl- 유출 및 OH- 유입을 구동하는 Cl- 기울기의 발생을 위한 Cl--프리 HEPES 완충 용액으로 변경하였다.
실시예 3.8 : 단백질 발현량 측정
CHO-K1 및 HNE 세포를 세포 용해 완충액(50 mM Tris-HCl, pH 7.4, 1% Nonidet P-40, 0.25% 소듐 데옥시콜레이트, 150 mM NaCl, 1 mM EDTA, 1 mM Na3VO4, 및 프로테아제 억제 혼합물)으로 용해시켰다. 전체 세포 용해물을 4℃에서 10 분 동안 10 분 동안 15,000 × g에서 원심분리하여 세포 파편을 제거하고, 동일한 양(50 ㎍의 단백질 또는 5 ㎍의 단백질/레인)의 상등액 단백질을 4-12% Tris-glycine precast 겔(KOMA BIOTECH, Seoul, Korea) 상에 분리하고 PVDF 멤브레인(Millipore, Billerica, MA, USA)으로 이동시켰다. 멤브레인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0.1% Tween 20 (TBST)을 포함하는 TBS 내 5% 무지방 탈지유 또는 TBS 내 5% 소 혈청 알부민으로 차단하였다. 그다음, 멤브레인을 4℃에서 펜드린(sc-50346; 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 NF-κB p65(4764S; 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 USA), p-NF-κB p65(3033S; Cell Signaling Technology), IkBα(9242S; Cell Signaling Technology), p-IkBα(9141S; Cell Signaling Technology), β-actin(sc-47778; Santa Cruz Biotechnology), 또는 ANO1(ab64085; Abcam)에 대한 1차 항체로 밤새 배양하였다. PBS 내 0.05% Tween 20(TBST)로 세척 한 후, 2차 항체(Cell Signaling Technology, Danvers, MA)로 실온에서 60분 동안 블롯을 추가 배양하였다. 그 다음, 멤브레인을 5 분 동안 TBST로 3회 세척한 다음, ECL Plus 웨스턴 블롯팅 검출 시스템((GE Healthcare Amersham; Piscataway, NJ, USA)을 사용하여 가시화하였다.
실시예 3.9 : 실시간 RT-PCR 분석
총 메신저 RNA(mRNA)를 TRIzol 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랜덤 헥사머 프라이머, 올리고(dT) 프라이머 및 SuperScript® III 역전사 효소 (Invitrogen)를 사용하여 역전사시켰다. 정량적 실시간 PCR은 StepOnePlus Real-Time PCR 시스템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및 Thunderbird SYBR qPCR mix (Tokyobo, Osaka, Japan)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열적 사이클링 조건은 96-웰 반응 플레이트에서 95℃에서 5 분 동안 초기 단계, 이어서 95℃에서 10 초 동안, 55℃에서 20 초 동안, 및 72℃에서 10 초 동안 40 사이클을 포함하였다. 프라이머 서열은 하기 표 3에 열거되었다.
[표 3]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1
그 결과, 하기 표 4에 30 μM에서 펜드린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나타내었고, 하기 표 5에 30 μM에서 50 % 이상 펜드린 억제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에 대한 IC50을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2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3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4
[표 5]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5
WT-펜드린 및 요오드 민감성 YFP를 과발현하는 CHO-K1 세포에서, F56의 펜드린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이는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펜드린의 Cl-/I- 교환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도 2).
본 발명자들은 F56이 역시 펜드린의 Cl-/HCO3 - 교환 활성을 억제할 수 있는지 분석하였다. WT-펜드린 및 요오드 민감성 YFP를 과발현하는 CHO-K1 세포가 고농도 Cl- 용액으로 처리될 때, Cl-은 세포로 이동하고 HCO3 -는 세포 밖으로 이동하고, 이러한 변화는 YFP 형광 감소와 함께 세포내 pH의 산성화를 유도한다. 결과적으로, 이는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Cl-/HCO3 - 교환 활성을 유의하게 억제하였다(도 3).
Cl-/I- 교환 실험 결과와 유사하게, F56 은 Cl-/HCO3 - 교환 활성을 강하게 억제하였다. F56은 각각 ~ 3 μM 및 ~ 10 μM에서 Cl-/I- 및 Cl-/HCO3 -교환 활성의 50% 억제를 나타냈다(도 4(a) A).
한편, F10F56 에 비해 매우 높은 활성을 보이며, 펜드린에 의한 Cl-/I-, Cl-/SCN-, Cl-/HCO3 -, Cl-/OH- 음이온 교환을 강력하게 억제하는 것으로 확인된다(Cl-/I- 교환 활성에 대한 F10의 억제 효과: IC50 = ~80 nM). 따라서, F10은 펜드린 억제제 중에서도 매우 강력한 물질인 것으로 확인된다(도 4(b)). 또한, G7F10의 의약 대사체로서, F10에 비해 효력은 낮지만 대산 안정성이 뛰어난 물질이다.
실시예 4: 신규 화합물(F56)의 천식 마우스에서 기도과민성 및 뮤신 발현의 감소 기능
실시예 4.1 : 탈륨 플럭스 분석
HEK-293T 세포를 hERG(human ether-a-go-go-related) 유전자로 안정적으로 형질 감염시키고 폴리-L-리신 코팅된 96 웰 플레이트에 웰당 7 x 104 세포의 밀도로 시딩하고, 세포를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분석 4 시간 전, hERG 채널의 향상된 멤브레인 발현을 위해 세포를 37℃에서 28℃로 전환시켰다. 4 시간 후, 배지를 80 μL/well의 FluxOR (Invitrogen) 로딩 완충액으로 교체하고 어두운 곳 및 37℃에서 1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로딩 완충액을 제거하고 100 μL의 분석 완충액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였다. hERG 채널에 대한 F56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세포를 10 분 동안 F56으로 사전처리하였다. 20 μL의 탈륨 이온을 함유하는 자극 완충제를 첨가하기 4 시간 전, FluxOR 형광(여기/방출: 490/525 nm)을 기록하고, 추가 56 초 동안 형광을 모니터링 하였다. FLUOstar Omeg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BMG Labtech, Ortenberg, Germany) 및 MARS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BMG Labtech)를 사용하여 FluxOR 형광을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실시예 4.2 : 5-HT 2A 활성의 측정
인간 5-HT2A, ANO1 (abc) 및 YFP-F46L/H148Q/I152L을 발현하는 FRT 세포를 웰당 2 × 104 세포의 밀도로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을 200 μL의 PBS로 2 회 세척하고, 100 μL의 PBS로 충전하였다. 5-HT2A 채널에 대한 F56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세포를 F56으로 사전처리하였다. 37℃에서 10 분 동안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를 YFP 형광 측정을 위해 FLUOstar Omega 마이크로플레이트 리더 상에 두었다. 2 초 동안 YFP 형광을 연속적으로(포인트 당 800ms) 기록함으로써 5-HT2A-매개 I- 유입에 대해 각 웰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기준선). 그다음, 100 μL의 20 μM 5-HT(Sigma-Aldrich)를 함유하는 140 mM I- 용액을 2 초에 첨가한 다음, YFP 형광을 10 초 동안 기록하였다.
실시예 4.3 : ASL 및 유체 메니스커스 부피 측정
세포 배양 삽입물 벽과 함께 유체인, ASL 및 유체 메 니스커스의 총 부피를 여과지를 통한 유체 흡수에 의해 측정하였다. Whatman 여과지(10 mm 직경 원; GE Healthcare)를 10초 동안 12 웰 트랜스웰 삽입물(Costar Co.)의 정단부 측에 두었다. 여과지의 중량 변화로부터 ASL 및 유체 메니스커스의 흡수를 측정하였다. 여과지의 중량은 분석 저울(Sartorius BP61S; Sartorius AG, G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6
ttingen,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실시예 4.4: OVA로 감작 및 챌린지
8 주령 BALB/c 마우스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프로토콜은 연세대학교 동물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동물 시설에서 표준 실험실 조건 [12/12 시간 명/암주기, 제어 온도(21 ± 2℃) 및 습도(55 ± 5%) 및 임의의 음식 및 물에 대한 접근성]에서 마우스를 사육하고 유지시켰다. 모든 실험은 연세대학교 동물 연구위원회의 지침에 따라 수행되었다. 마우스는 3개 그룹, 비히클 그룹(비히클로 처리된 PBS- 감작 및 챌린지 마우스), OVA 그룹 (비히클로 처리된 OVA- 감작 및 챌린지 마우스) 및 OVA + F56 그룹(F56으로 처리된 OVA- 감작 및 챌린지 마우스)로 나뉘었다. 연령 및 성별에 맞는 8 주령 마우스를 0 및 14일에 OVA (Sigma-Aldrich)의 i.p. 주입에 의해 감작시켰다. 감작 에멀젼은 200 μL의 식염수 내 50 μg의 OVA 및 2 mg의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로 구성되었다. 21, 22 및 23 일째, 감작된 마우스를 이소플루란 흡입에 의해 가볍게 마취시키고, 비강 내 투여된 30 μL의 식염수에서 100 μg의 OVA로 챌린지시켰다. 대조군 마우스는 PBS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i.p 주입에 의해 각각 i.n. OVA 챌린지 12 시간 전에 F56(10 mg / kg)을 투여하였다.
실시예 4.5 : 메타콜린 챌린지에 대한 기도 반응성의 평가
FlexiVent 시스템(Scireq, Montreal, QC, Canada)을 사용하여 마지막 OVA 노출 24 시간 후에 메타콜 (MCh)에 대한 기도 반응을 측정 하였다. Zoletil(30 mg/kg; Virbac Laboratories, Carros, France) 및 Rompun(10 mg/kg; Bayer, Leverkusen, Germany)의 혼합물의 복강내 주사에 의해 마우스를 마취시킨 다음, 기관 절개하여 FlexiVent에 연결시켰다. Aeroneb 초음파 네블라이저(SCIREQ)를 사용하여 10 초 동안 식염수 분무 후 기준선 기도 저항을 측정하였다. 기준선 측정 후, 마우스를 증가된 농도의 네블라이저된 메타콜린(0, 1.56, 3.13, 6.25, 12.5 및 25 mg/mL)에 노출시켰다. 또한 전신 체적기록법(Buxco, Miami, FL, USA)을 사용하여 기관지 기도 응답성을 측정하였다. 기도 응답성의 주요 지수로서 향상된 pause (Penh)를 사용하였다. 기준선 조건에서 2분 동안 Penh을 측정하였다. 그다음, 마우스를 2 분 동안 PBS 또는 MCh(25 mg/mL)의 흡입에 노출시켰다. Penh 결과는 절대 값으로 표시된다.
실시예 4.6 : 기관지 폐포 세척
기도 반응성의 평가 후에 BAL을 수행하였다. 세포를 원심 분리에 의해 펠렛화하고 PBS 내 재현탁시켜 세포 수를 수득하였다. 사이토스핀은 세포 원심분리기(Shandon Cytospin 4 세포 원심분리기; Thermo Scientific, MA, USA, USA)로 제조하고 Diff-Quik Stain Set (Dade Behring, USA, DE, USA)로 염색하여 염증을 평가하였다.
실시예 4.7: 염증의 조직학적 평가
기도 염증의 평가를 위해, 왼쪽 폐를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에 밤새 고정시키고 파라핀에 내장시켰다. 조직학적 슬라이드를 5-μm 섹션으로부터 준비하고 헤마톡 실린 및 에오신(H&E)으로 염색하였다. 기관지 염증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염증 점수는 종래 보고된 방법을 사용하여 3 명의 맹검 관찰자에 의해 평가되었다. 술잔 세포 과형성을 평가하기 위해, 섹션은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PAS 염색 키트(Sigma-Aldrich)를 사용하여 과요오드산 쉬프(PAS)로 염색되었다. 트랜스웰 상에 수확된 비강 점막 및 HNE 세포를 PBS로 부드럽게 세척하고 4% 파라포름알데하이드로 고정시켰다. 탈파라핀화 및 수화 후,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5 분 동안 과요오드산 용액에 침지시켰다. 증류수에 헹군 후, 슬라이드를 실온에서 15분 동안 쉬프의 시약에 침지시킨 후, 흐르는 수돗물에서 5 분 동안 세척하였다.
실시예 4.8: OVA-특이 IgE 측정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Anti-Ovalbumin IgE (mouse) ELISA 키트(Cayman Chemical, Ann Arbor, MI, USA)를 사용하여 혈청 내 OVA-특이 IgE를 측정하였다. 혈청 내 OVA-특이 IgE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희석된 혈청을 항-IgE 항체-프리코팅된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OVA-비오틴 접합체와 함께 배양하였다. 결합된 비오틴화된 OVA를 기질로서 3, 3', 5, 5'-테트라메틸벤지딘(TMB)을 사용하여 streptavidin-horseradish peroxidase (HRP)로 검출하였다.
실시예 4.9: 상피 SCN - 운반
비강 상피 세포를 트랜스웰 투과성 지지체 상에 플레이팅하고 14일 동안 ALI(공기-액체 계면)에서 배양하였다. 완전히 분화된 상피 세포를 48시간 동안 IL-4(Invitrogen, 10 ng/mL)로 배양한 후, F56(30 μM) 또는 비히클을 30분 동안 첨가하였다. 세포를 갖는 트랜스웰 삽입물을 PBS로 세척하고 기저부 측을 10 mM 글루코오스 및 5 μCi의 S14CN(총 농도 SCN-: 86 μM)을 함유하는 1 mL의 PBS로 처리하였다. 트랜스웰의 정단부 측을 5 μM 아밀로라이드를 함유하는 0.5 mL의 PBS로 충전하여 상피 소듐을 차단하였다. 이어서, 정단부 유체를 5 분 마다 수집하고 방사능의 평가를 위해 섬광 바이알에 두었다.
실시예 4.10: T3 및 T4의 측정
암컷 balb / c 마우스에 7일 기간에 걸쳐 24 시간마다 10 mg/kg의 F56으로 i.p 투여하여 F56의 부정적인 영향을 시험하였다. 마지막 투여 24 시간 후, 마우스의 청력을 측정하고 혈장을 수득하였다.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마우스 ELISA 키트(Calbiotech, T3043T-100 또는 T4044T-100)를 사용하여 트리요오도티로닌(T3) 또는 티록신(T4)의 총 혈장 수준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4.11: 청각뇌간반응(ABR)
청각-유발 잠재적 워크 스테이션 및 BioSig 소프트웨어(Tucker-Davis Technologies, Alachua, FL, USA)를 사용하여 ABR 역치를 측정함으로써 각 마우스에서 청각 수준을 측정하였다. 스피커로부터 출력은 PCB 377C10 마이크로폰 (PCB Piezotronics, Inc. New York, NY, USA)을 사용하여 교정되고 시험된 주파수 범위에 대해 ± 4dB 이내인 것으로 밝혀졌다. 마우스를 마취시킨 후, 이도 내부에 밀봉된 귀 프로브로 각 귀를 자극하였다. 마우스의 체온을 등온성 가열 워터-패드로 38℃에서 유지하였다. 클릭음의 강도는 5-dB 감소로 70dB SPL에서 10dB SPL로 감소하였다. ABR의 평균값이 계산되었고, 청각 역치는 ABR의 파동 I가 더 이상 시각적으로 식별 될 수 없을 때까지 인식 가능한 최저 ABR 응답으로 정의되었다.
실시예 4.12: in vitro 광학 이미징
8 주령 NF-βluciferase-dTomato 리포터 마우스(한국 마우스 표현형 센터)를 0 및 14 일째 OVA(50 μg, Sigma-Aldrich) 및 2 mg의 알루미늄 포타슘 설페이트의 i.p. 주입에 의해 감작시켰다. 21, 22 및 23 일째, 감작된 마우스를 이소플루란 흡입에 의해 마취시키고 30 μL의 비강 내로 투여된 식염수 내 150 μg의 OVA로 챌린지시켰다. 대조군 마우스는 PBS와 동일한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i.p 주입에 의해 각각 i.n. 12 시간 전에 F56(10 mg / kg)을 투여하였다. IVIS 시스템을 사용하여 NF-kB 리포터 마우스의 폐에서 NF-κ발현을 비교하였다. 폐를 마우스로부터 분리하고 IVIS 스펙트럼을 사용하여 형광 이미지하였다(Ex 570, Em 620). Living Image 4.3.1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이미지의 평균 형광 밀도를 분석하였다.
실시예 4.13: 기관 수축의 측정
4주령 SD 수컷 래트를 사용하여 모든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프로토콜은 연세대학교 동물 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았다. 래트를 희생시키고 기관 스트립을 분리하였다. 결합 조직을 분리한 후, 기관을 3 mm 길이의 고리로 절단하였다. 기관을 1 g 장력 하에서 장력 기록을 위해 장착하고 25 mL의 산소화된 생리학적 용액을 함유하는 장기 조(organ bath)에서 1 시간 동안 평형화시켰다. 용액을 37℃에서 95% O2 및 5% CO2로 연속적으로 가스처리하였다. 1 시간의 안정화 후, 0.3 μM 카바콜 (CCh)을 사용하여 장기 조에서 지속적인 수축 반응을 유도하였다. 지속적인 장력이 확립되면, F56(30 μM) 및 포스콜린(10 μM) 및 IBMX(100 μM)를 조에 적용 하였다. 기관 수축은 FORT 10G 변환기(World Precision Instruments, Sarasota, FL, USA) 및 PowerLab 4/35 (AD Instruments, Castle Hill, Australi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abchart Pro 7(AD Instruments)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기록하고 분석하였다.
막관통 음이온 교환체인 펜드린(SCL26A4)은 Cl-을 HCO3 -, I-, OH- 및 SCN-과 같은 염기와 교환하고, 천식 환자로부터 기관지 생검에서 가장 고도로 상향 조절된 유전자이다. 흥미롭게도, 펜드린 변이체를 가진 환자는 천식 발병률이 낮고, 펜드린-널(null) 마우스는 감소된 알레르기성 기도 염증을 보인다. 본 발명자들은 오브알부민(OVA)-유도된 천식의 마우스 모델에서 알레르기성 염증에 강력한 치료학적 효과를 가지는, 신규 펜드린 억제제, F56(2-(4-(tert-butyl)phenyl)-4-(thiophen-2-ylmethylene)oxazol-5(4H)-one)을 분리하였다.
F56은 54,400개 합성 화합물은 세포-기반 고속 대량 스크리닝으로 확인되었다(도 5(a), A). F56은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펜드린-매개 Cl-/SCN-, Cl-/I-, Cl-/HCO3 - 및 Cl-/OH- 교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 하였다(도 5(a), B 및 C와, 도 6(a), A-C). F56은 NIH3T3 및 CHO-K1 세포에서 최대 30 μM의 세포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최근에 확인된 펜드린 억제제, PDSinh-A01 및 PDSinh-C01보다 펜드린 활성을 더욱 강력하게 억제하였다(도 6(a), D-I). 한편, F10F56과 같이 NIH3T3 및 CHO-K1 세포에서 30 μM까지 전혀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도 6(b)). F56은 거의 동일한 효능으로 인간 및 마우스 펜 드린-매개 Cl-/I- 교환을 억제하였다(도 7(a), A 및 B). F56은 IC50 > 100 μM로 SCL26A3 및 SLC26A6의 Cl-/HCO3 - 교환 활성을 약하게 억제하였고 SCL26A7 및 SLC26A9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Cystic fibrosis transmembrane conductance regulator (CFTR), anoctamin-1 (ANO1), human ether-a-go-go-related gene (hERG) 채널 및 5-HT2A 활성은 F56의 영향을 받지 않았다(도 7(a), C-J). 한편, F10F56과 같이 CFTR, ANO1 및 hERG 이온통로의 활성에는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도 7(b)).
인간 비강 상피(HNE) 및 인간 기관지 상피(HBE) 세포의 1 차 배양에서, IL-4 처리는 펜드린 발현 및 펜드린-매개 Cl-/HCO3 - 교환 활성을 강력하게 상향 조절하였고, F56은 펜드린-매개 Cl-/ HCO3 - 교환 활성을 잠재적으로 억제하였다(도 5(a), D-F 및 도 8(a), A-C). 본 발명자들은 ASL 조절에 관여하는 펜드린 및 다른 이온 채널의 기능적 발현에 대한 F56의 장기간 처리 효과를 관찰하였다. 흥미롭게도, Cl-/HCO3 - 교환 활성의 IL-4-유도된 상향조절 및 펜드린 단백질 발현량 수준은 mRNA 발현량 수준의 변화없이 F56 로의 장기간 처리에 의해 강하게 감소하였으나, ANO1의 IL-4- 유도된 상향조절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도 5(a), G-I). 한편, F10F56과 같이 PDS의 mRNA 발현량에는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도 5(b)). ANO1, CFTR 및 ENaC의 mRNA 발현량 수준 및 이온 채널 활성은 F56 로의 장기간 처리에 의해 변경되지 않았다(도 8(a), D-F). 한편, F10F56과 같이 ANO1, CFTR 및 ENaC의 mRNA 발현량에는 아무런 영향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도 8(b)).
F56 로 사전처리는 OVA-유도된 기도 과민성을 현저하게 약화시켰고(도 9(a), A), OVA-감작 마우스의 BALF에서 호산구 및 호중구의 수를 감소시켰다. 조직학적 분석 결과, 증가된 염증 침윤 및 상피 두께와 증가된 중앙 기도에서 증가된 수의 술잔 세포는 OVA-챌린지된 마우스에서 F56로 처리함으로써 약화되었다. OVA-챌린지된 마우스의 평균 염증 점수는 비처리된 그룹보다 F56-처리된 그룹에서 유의하게 낮았지만, OVA-특이 IgE의 혈청 수준은 F56에 의해 변경되지 않았고, 이는 F56이 일반적인 알레르기 반응 메커니즘에 작용하지 않음을 나타낸다(도 10). 한편, F10F56과 같이 OVA에 의해 유도된 천식 마우스 모델에서 증가된 기도 저항성을 감소시킨 것으로 확인된다(도 9(b)).
최근 연구에 따르면, 기도 상피에서 펜드린, peroxidases 및 dual oxidase(Duox1 / Duox2)의 상향 조절을 통한 증가된 hypothiocyanite(OSCN-) 생산에 의한 NF-kB 활성화가 알레르기성 기도 염증에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단부 표면에서 SCN- 농도는 IL-4 처리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F56에 의해 억제되었다(도 9(a), B). 실시간 PCR 분석은 IL-4 처리가 Duox1의 mRNA 발현량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지만 Duox2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F56은 Duox1 또는 Duox2의 mRNA 발현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도 9(a), C). F56의 사전처리는 HNE 세포에서 NF-kB의 IL-4- 유도된 활성화를 유의하게 억제하였다(도 9(a), D). 특히, NaSCN의 비강내 투여는 기도 과민성에 대한 F56의 억제 효과를 유의하게 차단하였고, OVA-챌린지된 천식 마우스에서 폐 손상에 대한 F56의 보호 효과를 없앴다(도 9(a), E 및 F). 또한, F56은 OVA- 처리된 마우스의 폐에서 NF-kB 활성화를 유의하게 차단하였고, SCN-의 처리는 트랜스제닉 NF-k B 리포터 마우스에서 F56의 보호 효과를 억제하였다(도 10, G). 알레르기성 천식의 확립된 모델에 F56을 적용하면, 기도 상피에서 OVA-유도된 기도 과민성 및 PAS 양성 세포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도 11). 이러한 결과는 F56이 알레르기성 천식의 예방 및 치료에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펜드린은 기도 상피에서 MUC5AC의 기도 염증-매개 상향 조절과 관련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F56 로의 처리가 IL-4-유도된 MUC5AC의 mRNA 발현량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음을 보여주었다 (도 12(a), A). 또한, F56 로 사전처리는 HNE 세포에서 IL-4 및 IL-13-유도된 술잔 세포 과형성을 감소시켰다(도 12(a), B). 기도 상피 세포의 IL-13-처리된 1차 배양물에서 ASL 두께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돌연변이 SLC26A4 유전자를 가진 펜드린-널(null) 마우스 및 청각 장애인 환자에서 유의하게 보다 높았다. 야생형 펜드린을 발현하는 HNE 세포에서, IL-4 및 IL-13 처리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펜드린 단백질 발현량을 강하게 증가시켰고 ASL 및 유체 메니스커스의 총 부피를 감소 시켰으며, F56 처리는 ASL 및 유체 메니스커스의 총 부피를 거의 감소시키지 않았다. 그러나, 총 부피는 돌연변이 펜드린을 발현하는 HNE 세포에서 IL-4 및 F56에 의해 변경되지 않았다(도 12(a), C-F). 이러한 결과는 PDSinh-A01이 IL-13-처리된 HBE 세포에서 ASL 깊이를 유의하게 증가시켰다는 것을 발견한 종래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F56에 의한 MUC5AC 억제 및 ASL 두께에서 증가는 COPD, 낭포성 섬유증 및 천식과 같은 기도 염증 질화에 추가적으로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F10F56과 같이 농도 의존적으로 MUC5AC의 mRNA 발현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된다(도 12(b)).
SLC26A4 유전자 돌연변이를 가진 환자가 언어 습득 전 농(prelingual deafness) 및 갑상선종과 관련이 있기 때문에, 청각 또는 갑상선 호르몬 수준에서 변경은 펜드린 억제에 의해 유도될 수 있다. 그러나, 1주일 동안 F56(10 mg/kg/day) 처리 후 T3 및 T4의 청각 역치 및 플라즈마 수준은 변하지 않았다(도 13, A-C). 또한, F56은 기관 평활근 수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도 13, D).
요약하면, F56은 SCN-/NF-kB 경로의 억제를 통해 기도 과민성 및 기도 염증을 감소시켰다. 또한, F56은 IL-4 및 IL-13-유도된 술잔 세포 과형성 및 ASL 결핍에 대해 보호 효과를 나타냈다(도 14). 이러한 결과는 펜드린 억제제가 알레르기성 천식 치료를 위한 유망한 후보자임을 나타낸다.
실시예 5: 신규 화합물(F56)의 마우스에서 리포다당류-유도된 급성 폐 손상의 감소 기능
실시예 5.1: 실험 동물
Orient Bio (Sungnam, Republic of Korea)로부터 8-10 주령이고, 체중이 20-24g 인 야생형 수컷 C57BL / 6J 마우스를 구입하였다. 모든 동물들에게 음식 및 물을 공급하였고, 유사한 낮과 밤의 광학 주기를 적용하였다. 형질전환 NF-κ리포터/SPC-Cre-ERT2 마우스를 본 발명에서 IVIS에 사용하였다. 간략하게, NF-κ리포터 마우스는 프로모터와 NF-κ유전자 사이에 삽입된 ROSA26 lox-STOP-lox- cassette를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정지 유전자는 loxP와 loxP 사이에 위치하고, NF-κ는 발현되지 않는다. 계면 활성제 단백질 C(SPC)-Cre-ERT2 마우스에 ROSA26R 마우스를 사육하여 NF-κ리포터/SPC-Cre-ERT2 마우스를 얻었다. 이들 형질전환 마우스에서의 Cre-ERT2 재조합효소 활성은 타목시펜에 의해 유도되었다. 이들 NF-κ리포터/SPC-Cre-ERT2 마우스는 타목시펜의 존재 하에서 dTomato 형광 또는 루시퍼라아제 중 하나를 통해 폐포 상피에서 NF-κ활성을 발현한다. 타목시펜(Sigma, USA)을 10:1 해바라기씨 오일/에탄올 혼합물에 용해시켰다(10 mg/mL). 각각의 4 주령 마우스에 연속 5 일 동안 100 mL의 타목시펜/일을 복강내 주사하였다. 마지막 주사 1주일 후, 마우스를 IVIS 또는 생체내 영상화에 사용하였다. 연세대학교로부터 형질전환 NF-κ리포터 및 SPC-Cre-ERT2 마우스를 제공받았다.
실시예 5.2 : 마우스 모델에서 LPS-유도된 ALI
마우스를 이소플루란 흡입(Abbott Laboratory)에 의해 가볍게 마취시키고, 머리를 올리면서 반듯이 누운 위치에 유지시켰다. 50 μL PBS 내 LPS(Escherichia coli, O111: B4, Sigma) (10 mg / kg)를 비강내(i.n.) 흡입으로 투여하였다. 대조군은 비강내로 50 μL의 멸균 PBS를 제공받았다. 해밀턴으로부터 마이크로시린지의 도움으로, 투여 용액을 콧구멍 내로 점차 방출시켰다. 전처리 모델의 경우, 50 μL DMSO 내 F56(10 mg/kg)을 LPS 흡입 1 시간 전에 복강내(i.p) 투여하였다. 치료후 모델의 경우, LPS 흡입 후 6 시간 및 12 시간에서 2 회 용량의 F56을 투여하였다. 전처리 그룹의 마우스를 안락사시키고, LPS 흡입 48 시간 후에 폐를 수확하였다. 치료후 그룹에서, 안락사 및 샘플 수집은 LPS 투여 24 시간 후에 발생하였다. SCN- 실험을 위해, F56처리 후 50 μL의 NaOH, NaHCO3, 또는 NaSCN(100 mM)를 비강내 투여 하였다. 대조군에 대해 동일한 방식으로 PBS를 투여하였다.
실시예 5.3: 기관지 폐포 세척의 분리
모든 마우스를 치명적인 과량의 케타민 및 자일라진으로 안락사시켰다. BALF는 1mL 멸균 식염수를 사용하여 기관 카눌라에 의해 수득되었다. BALF를 원심분리하고 (4 ℃3000 rpm, 10 분) 상등액을 추가 분석을 위해 -80℃에 보관하였다. 세포 펠렛을 100 μL PBS에서 재구성하고 세포수 및 시토스핀 샘플에 사용하였다. 각 샘플의 총 세포 수는 제조업체의 프로토콜에 따라, 혈구계산기(Marienfield)를 사용하여 결정되었다. 90 μL 분취량의 각각의 샘플을 슬라이드 챔버로 이동시킨 다음, 슬라이드가 바깥쪽을 향하도록 하여 시토스핀 내로 삽입하였다. 슬라이드를 5분 동안 800 rpm에서 원심분리한 다음, 세포원심분리기로부터 제거하고 염색 전에 건조시켰다. 시토스핀을 세포 원심분리기(Shandon Cytospin 4 cytocentrifuge, Thermo Scientific, Waltham, MA, USA) 로 제조하고 Diff-Quik Stain Set(Dade Behring, Newark, DE, USA) 로 염색하여 염증을 평가하였다. BAL 상등액의 단백질 농도는 BCA 분석(Thermo Fischer Scientific)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마이크로리터의 각각의 샘플 및 198 μL의 작동 시약을 마이크로플레이트 웰 내로 피펫팅하고 30분 동안 플레이트 셰이커 상에서 완전히 혼합하였다. 37℃에서 30 분 동안 배양한 후, 플레이트를 냉각시시고 분광광도계의 562 nm에서 흡광도를 판독하였다.
실시예 5.4: 폐 조직 수확 및 조직학적 검사
우측 폐를 분리하고 저압 하에서 식염수로 폐맥관 구조를 플러싱한 후 단백질 추출 전에 -80℃에서 저장하였다. 흉막 마진이 날카로워질 때까지 25 cm H2O 압력에서 PBS 내 저융점 아가로오스(4%)를 갖는 기관 절개술을 통해 왼쪽 폐를 팽창시켰다. 그다음 폐를 절제하고 PBS 내 10% 포름알데하이드에서 하룻밤 동안 고정시키고 5 ㎛ 절편 동안 파라핀에 내장시켰다. 좌측 폐 부분을 H & E로 염색하고 광학 현미경으로 주관적으로 평가 하였다. 조직 병리학은 2명의 자격을 가진 연구자에 의해 블라인드 방식으로 검토되었다. 공식 ATS 워크숍 보고서에 제시된 가중 척도를 사용하여 쉽게 식별할 수있는 5가지 병리학적 과정을 채점하였다. 항-토끼 SLC26A4(ab98091, abcam) 항체를 사용하여 면역조직화학을 위해 폐 섹션을 처리하였다.
실시예 5.5: Cl - /SCN - 교환 측정
인간 폐포 상피 세포(hAEC) 일시적 형질감염된 인간 펜드린(PDS) 및 YFP-F46L/H148Q/I152L을 웰당 2 x 104 cell의 밀도로 96-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4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각의 웰을 200 μL의 PBS로 2 회 세척하고, 100 μL의 PBS로 충전하였다. hPDS-매개 Cl-/SCN- 교환 활성에 대한 F56의 영향을 측정하기 위해, 세포를 F56으로 전처리하였다. 37℃에서 10 분 동안 배양한 후, 96-웰 플레이트를 냉각된 전하-결합 장치 카메라(Zyla sCMOS)가 장착된 역 형광 현미경(Nikon, Tokyo, Japan), 이미지 수집 및 분석 소프트웨어(Meta Imaging Series 7.7)의 단계 상에 두었다. 4 초 동안 YFP 형광을 연속적으로(포인트 당 2 초) 기록함으로써 hPDS-매개 SCN- 유입에 대해 각각의 웰을 개별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다음, 100 μL의 140 mM SCN- 용액을 4 초에 첨가한 다음, YFP 형광을 14 초 동안 기록하였다.
실시예 5.6: 실시간 RT-PCR 분석
총 메신저 RNA(mRNA)를 TRIzol 시약(Invitrogen, Carlsbad, CA, USA)을 사용하여 추출하고 랜덤 헥사머 프라이머, 올리고(dT) 프라이머 및 SuperScript® III 역전사 효소 (Invitrogen)를 사용하여 역전사시켰다. 정량적 실시간 PCR은 StepOnePlus Real-Time PCR 시스템 (Applied Biosystems, Foster City, CA, USA) 및 Thunderbird SYBR qPCR mix (Tokyobo, Osaka, Japan)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열적 사이클링 조건은 96-웰 반응 플레이트에서 95℃에서 5 분 동안 초기 단계, 이어서 95℃에서 10 초 동안, 55℃에서 20 초 동안, 및 72℃에서 10 초 동안 40 사이클을 포함하였다. 프라이머 서열은 상기 표 3에 열거되었다.
실시예 5.7: ELISA
폐 용해물에서 Macrophage inflammatory protein (MIP-2), interleukin-1β(IL-1ß6 및 tumor necrosis factor α (TNF-α) 수준을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ELISA 키트(Millipor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실시예 5.8: 단백질 발현량 측정
폐 조직을 수확하고 균질화 완충액(PRO-PREPTM 추출 용액, iNtRON Biotechnology)에서 용해시켰다. 샘플을 4℃에서 30 분 동안 13000 g에서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 단백질 농도는 BCA 분석(Thermo Fisher Scientific)에 의해 결정되었다. 동일한 양의 단백질을 SDS/PAGE에 의해 분리하고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으로 이동시켰다. 멤브레인을 실온에서 1 시간 동안 TBS-T (TBS(170-6435, Bio-Rad Laboratories) 및 1% Tween-20(170-6531, Bio-Rad Laboratories)에서 5% 탈지유로 차단하였다. 그다음, 멤브레인을 4℃에서 TBS-T 내 5% 탈지유에 희석된 1차 항체로 밤새 배양하였다. TBS-T로 세척한 후, 블롯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TBS-T 내 horseradish peroxidase-결합된 2차 항체 및 5% 탈지유로 배양한 다음, Super-Signal West Pico chemiluminescence 검출 키트를 사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항체는 토끼 SLC26A4 (ab98091, abcam), 마우스 phospho-Iκ(9246, Cell Signaling Technology), 마우스 Iκ(4814, Cell Signaling Technology), 및 토끼 α-tubulin (PA5-16891, Cell Signaling Technology)을 포함한다. 웨스턴 블롯 정량화는 ImageJ (Image Processing and Analysis in Java; NIH, USA)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실시예 5.9: IVIS
살아있는 동물 및 기관의 이미징은 IVIS 운동 이미징 시스템(Caliper Life Sciences, Preston Brook Runcorn, UK)을 사용하여 수행되었다. IVIS 시스템은 가벼운 시료 챔버에 장착된 냉각된 전하 결합 장치 카메라로 구성되었다. 형광 여기 광은 적절한 여기 필터와 조합된 할로겐 램프에 의해 제공되었다. 조사된 FP의 방출 스펙트럼에 따라, 특정 파장의 광선을 기록할 수 있도록 방출 필터를 카메라 조리개 앞에 두었다. 여기 파장 554 nm 및 방출 파장 581 nm로 형광 이미징을 얻었다(dTomato). 마우스를 IVIS 이미징을 위해 3개 그룹으로 나누었고(DMSO + PBS, DMSO + LPS 및 F56(10 mg/kg, i.p) + LPS), 생체외 폐는 LPS 처리 6 시간 후에 무균적으로 제거하였다. 장기를 이미징할 때, 조직 두께의 차이로 인한 측정에서 잠재적인 변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완전하고 일관된 광선 침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가능한 평평하게 배치하였다. Living Image 소프트웨어(version 3.2, Caliper Life Sciences)에서 관심 영역 도구를 사용하여 형광을 정량화하였다.
실시예 5.10: 인간 기관지 폐포 세척액 수집
기관지 폐포 세척(BAL)을 겪은 폐렴으로 인한 ARDS 환자 41명은 ARDS 그룹으로 분류되었다. 폐 감염의 증거 없이 SPN 평가를 위해 입원한 환자 25명은 2013 년 5 월부터 2015 년 9 월 사이에 세브란스 병원에서 대조군으로 분류되었다. 기관지 내시경 검사 전에, 대상은 네블라이저에 의해 국소 마취(리도카인)를 받은 다음, 미다졸람 및 펜타닐로 진정시켰다. 기관지 내시경을 삽입하고 BAL을 위해 입 내로 웨지하였다. 표준화된 프로토콜(폐렴 그룹: 폐 병변의 기관지, 대조군: 폐 질량으로부터 반대 기관지)에 따라 BAL을 수행하고 약 30 mL 0.9% 멸균 식염수를 사용하여 각각의 환자로부터 10cc의 BALF를 획득 하였다. BALF를 원심 분리하고(10 분; 1500 g), 사용할때까지 상등액을 -80℃에서 동결보존하였다. 연령, 성별, 체질량 지수(BMI), 동반 질환, BALF 분석, 폐렴의 원인 및 최종 진단을 포함한 인구 통계 및 임상 데이터는 의료 기록뿐만 아니라 각각의 참가자로부터 얻었다. 상등액 펜드린 수준은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인간 SLC26A4 ELISA 키트(MBS764789, Mybiosource)를 사용하여 측정되었다.
실시예 5.11: 연구 승인
모든 동물의 프로토콜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기관 동물 보호위원회(2016-0322)의 승인을 받았다. 모든 동물 실험은 국립 보건원의 실험 동물의 관리 및 사용을 위한 가이드의 권장 사항에 따라 수행되었다. 인간 연구 프로토콜은 한국, 서울, 세브란스 병원, 연세대학교 보건국의 기관 심사위원회(ARDS group IRB No. 4-2013-0585, control group IRB No. 4-2014-1014)에 의해 검토되고 승인되었다. BALF 샘플 사용과 관련하여 환자 또는 보호자로부터 사전 서면 동의를 받았다.
예상한 바와 같이, 기관 내로 LPS 주입은 WT 마우스에서 ALI를 유도하였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 (BALF)에서 총 세포 수 및 단백질 농도는 LPS 처리 후 현저하게 증가하였다(도 15A). 또한, 폐 조직학은 WT 마우스에서 백혈구 침윤 및 폐 손상을 보여주었다(도 15B). 대조적으로, LPS는 펜드린-널 마우스에서 세포 수 또는 단백질 농도를 증가시키지 않았다(도 15C). 또한, 폐 조직학은 LPS 처리 후 펜드린-널 마우스에서 백혈구 침윤 및 폐 손상의 부족을 나타냈다(도 15d). 48 시간의 LPS 주입 후 평균 체중 변화는 펜드린-널 마우스에 비해 WT 마우스에서 더 두드러졌다(-3.38g vs. -1.75g, p <0.01, 도 1E). 폐 조직의 면역블롯 분석은 비히클 대조군과 비교하여 LPS 처리 후 펜드린 단백질 발현이 증가함을 보여주었다(도 15F). 이러한 결과는 펜드린이 LPS-유도된 ALI의 개발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시사했다.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신규 펜드린 억제제, F56은 54,400개 합성 화합물은 고속대량 스크리닝으로 확인되었다. F56은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Cl-/I-, Cl-/SCN-, Cl-/HCO3 - Cl-/OH- 교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하였고, 비강 기관 상피에서 펜드린의 단백질 발현량 수준은 강하게 감소시켰으나 펜드린의 mRNA 발현량 수준은 감소시키지 않았다.
본 발명자들은 인간 폐포 상피 세포(hAEC)에서 펜드린의 mRNA와 단백질 수준에 대한 LPS 및 F56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LPS 처리는 펜드린의 mRNA 발현량 수준 및 단백질 발현량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F56은 펜드린의 단백질 발현량 수준을 감소시켰지만 hAEC에서 펜드린의 mRNA 발현량 수준은 변경하지 않았다(도 16B 및 16C). 또한, F56은 야생형 인간 펜드린 형질 감염된 hAEC에서 펜드린의 Cl-/SCN- 교환 활성(IC50 = 4.7 ± 0.82 mM)을 강력하게 억제하였다(도 16D). 앞서 기재한 바와 같이, 펜드린의 상향 조절이 알레르기성 염증의 기도 상피에서 이중 산화 효소 (Duox1/Duox2)의 상향 조절을 통해 hypothiocyanite(OSCN-) 생산을 증가시켜 NF-β를 활성화시킬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실시간 PCR 분석은 LPS 처리가 Duox2의 mRNA 발현량 수준을 유의하게 증가시켰고, F56은 Duox2의 mRNA 발현량 수준을 변화시키지 않았음을 보여 주었다(도 16E).
LPS-유도된 ALI 마우스 모델에서 F56의 보호 기능을 조사하기 위해, 마우스를 LPS 비강내 주입 1시간 전에 F56으로 처리하고 LPS 투여 48 시간 후 안락사시켰다(도 17A). F56(10 mg/kg) 사전처리된 마우스는 비히클 처리된 마우스와 비교하여 BALF 총 세포 수 및 단백질 농도 수준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도 17B 및 17C). 또한, F56 사전처리는 LPS 노출이 억제된 후 백혈구 침윤이 발생한 비히클 처리 마우스와 비교하여 폐 손상 점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다(도 17D 및 17E). LPS 손상 후 F56 처리가 효과적인지 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마우스를 LPS 비강내 주입 6 시간 및 12 시간 후 F56으로 처리 한 다음 LPS 투여 24 시간 후 안락사시켰다(도 17F). LPS 주입 후 F56 처리는 F56 사전처리 실험의 결과와 일치하여, 폐 손상 점수뿐만 아니라 BALF 총 세포 수 및 단백질 농도를 상당히 감소시켰다(도 17G-17I).
LPS-유도된 ALI에서 F56의 근본적인 치료 효과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펜드린에 의해 분비된 음이온(OH-, HCO3 -, 및 SCN-)을 공급하였다. NaSCN의 비강내 적용(100 μM의 50 μL)은 LPS-유도된 ALI에서 F56의 보호 효과를 차단하였고; BAPS 총 세포 수 및 폐 손상 점수는 LPS 단독으로 처리된 그룹과 비교하여 증가되었다. 그러나, NaOH 및 NaHCO3의 투여는 LPS-유도된 ALI 마우스에서 F56의 영향을 변화시키지 않았다(도 18A 및 18B). 또한, 조직학적 분석은 LPS 투여 후 염증 세포 침윤 및 폐 손상에 대한 F56의 보호 효과가 NaSCN 투여에 의해 폐지된 것으로 밝혀졌다(도 18C). 보다 흥미롭게, LPS와 NaSCN의 동시 적용은 펜드린-널 마우스에서 강력한 폐 손상을 유발하는 반면, LPS 단독의 투여는 ALI를 유도하지 않았다(도 18D). 이들 데이터는 F56의 처리 효과가 펜드린의 SCN- 수송 기능 억제로부터 초래됨을 강력하게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NF-κreporter/SPC-Cre-ERT2 마우스를 사용하여 LPS-유도된 ALI 모델에서 F56이 행동함으로써 신호 경로를 추가로 해부하였다. 정량화 형광은 이미징 직전에 무균적으로 제거된 마우스 폐의 인비보 광학 이미징(IVIS) 이미지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절제된 폐의 형광은 LPS 처리 후 증가하였고, 이는 F56에 의해 억제되었다(도 19A 및 19B). 이러한 결과는 LPS 주입된 마우스에서 NF-κ활성화가 F56에 의해 억제됨을 시사하였다. 면역블롯 분석은 NF-κ경로가 F56 작용과 관련이 있음을 보여 주었다. NF-κ활성화를 나타내는, Phospho-Iκ단백질 발현은 LPS 투여 후 증가하였고, LPS 전 F56 처리는 Phospho-Iκ발현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도 19C 및 19D).
IL-1ß종양 괴사 인자-α 및 대식세포 염증성 단백질(MIP)-2를 포함하는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PBS와 비교하여 LPS 투여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도 19E-19H).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지만, IL-6은 PBS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다. 대조적으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수준은 LPS 투여 후 비히클(DMSO) 처리를 받은 것과 비교하여 F56 사전처리된 마우스에서 감소하였다(도 19E-19H).
인비트로 및 인비보 소견을 인간 질환으로 번역하기 위해, 본 발명자들은 폐렴으로 인한 환자 (ARDS 그룹, n=41) 및 독감성 폐 결절(SPN)을 가지나 감염이 없는 환자(대조군, n = 25)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임상적인 특성은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표 6]
Figure 112020034228319-pat00217
A 값은 평균±SD, 중앙값 (사분위수 범위, IQR), 또는 수(%)로서 표시된다.
B 폐렴으로 인한 ARDS
CBMI, 체질량 지수; ICU, 중환자실; ARDS,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P/F, PaO2/FIO2
평균 연령은 대조군 및 ARDS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63.8 vs. 65.9, p = 0.517) 남성은 두 그룹에서 우세하였다(80% vs. 78%, p=0.851). . ARDS 환자 중 평균 입원 기간은 36 일이었고 28 일 사망률은 24.4%였다(표 1). 펜드린 수준은 대조군(n= 25)과 비교하여 ARDS 환자(n = 41)의 BALF에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평균, 24.86 대 6.83 ng / mL, p <0.001)(도 20).
종합하면, 새로운 증거는 펜드린이 천식, 만성 폐쇄성 폐 질환 및 비염을 포함한 기도 염증성 질환의 발병에 핵심 단백질이라는 것을 강력히 시사한다. 본 발명자들은 LPS-처리된 마우스 기도에서 펜드린 발현 수준이 증가하였음을 증명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LPS-유도된 ALI 펜드린 널 마우스에서 개발하지 않았고, 이는 ALI 병인에 펜드린의 중요한 역할을 강력하게 표시하였다. 이는 펜드린 발현이 LPS-유도된 ALI에서 향상되었고, 비특이적 펜드린 억제제가 마우스에서 ALI를 약화시켰다는 최근의 보고와 일치한다. 이러한 증거는 본 발명자들에게 ALI 치료를 위한 새로운 약물로서 펜드린 억제제를 개발하도록 장려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54,400개 합성 화합물을 스크리닝하고 낭포성 섬유증 막횡단 컨덕턴스 레귤레이터(CFTR) 및 칼슘 활성화 염화물 채널(CaCC)과 같은 다른 이온 수송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특정 펜드린 억제제(F56)를 발견하였다. 펜드린 발현은 인간 폐포 상피에서의 LPS 처리에 의해 상향 조절되었고, 이는 F56으로 효과적으로 억제되었다. 놀랍게도, F56은 마우스에서 LPS-유도된 ALI의 발생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였다. 또한, LPS 처리 후 F56의 투여는 마우스에서 폐 손상을 약화시켰으며, 이는 펜드린 억제제의 임상 치료 기간이 ALI 후 기간을 포함하기에 충분히 넓음을 나타냈다. 본 발명자들은 폐렴 환자로부터 BALF 및 LPS-처리된 마우스 기도에서 펜드린 발현이 증가하였고, 이는 염증성 기도 질환에 펜드린 억제제의 임상 응용에 대한 높은 가능성을 강력하게 제안했다.
ALI 모델에서 펜드린의 역할 및 F56의 치료 효과의 기본 메커니즘은 명확하지 않다. 본 발명자들은 펜드린의 Cl-/SCN- 교환 활성 및 hypothiocyanite (OSCN-)에 초점을 맞추었고, 이는 기도 상피에서 락토퍼옥시다아제에 의해 여러 음이온 수송체(펜드린을 포함)를 통해 수송된 SCN-로부터 합성되었다. OSCN-은 기도에서 미생물에 대한 중요한 선천 방어 시스템의 일부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 기도 상피에서 기도 염증을 유도한다. 최근 연구에 따르면, IL-4는 펜드린의 Cl-/SCN- 교환 활성을 상향 조절하고 OSCN- 생성을 증가시키고, 이는 NF-κ활성화를 유발하며, 뮤린 알레르기성 천식 모델에서 기도 염증을 유발한다. 본 발명자들은 NaSCN을 마우스의 기도에 첨가하는 경우, 폐 손상에 대한 F56의 치료 효과가 사라졌음을 보였다. 또한, NaSCN 적용은 펜드린 널 마우스에서도 폐 손상을 유발했지만, LPS- 유도 ALI는 발생하지 않았다. 이러한 데이터는 펜드린에 의해 수송된 기도 표면 SCN-이 LPS-유도된 기도 염증의 필수 성분임을 나타낸다.
NF-κ는 기도에서 염증 반응에 중요한 결정 인자이고, 그 억제는 in vivo ALI를 약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F56이 뮤린 ALI 모델 및 폐포 상피에서 LPS-유도된 NF-κ활성화 및 후속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함을 관찰하였다.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는 펜드린 억제제 작용 방식이 SCN-의 상피내 수송을 차단하고, 이어서 OSCN- 생성 및 NF-κ활성화를 억제하는 F56로부터 초래되었음을 나타내었다. 이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을 억제시켰다(도 21). 이것은 pendrin 억제제가 pendrin / OSCN- / NF-κ캐스케이드를 억제함으로써 OVA- 유도 된 알레르기기도 염증을 약화시키는 천식 마우스 모델에서 발견된 것과 매우 유사한 작용 모드이다 (18). 그러나 LPS가 TLR4 / MyD88 경로를 통해 NF-κ를 활성화 할 수 있음을 보여준 이전 보고서 (28, 29)를 고려하면 YS-01이 LPS로 유발된 ALI를 거의 완전히 억제하는 이유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펜 드린 널 마우스에서 NaSCN에 의해 유발된 ALI 표현형의 결핍은 펜 드린-매개 OSCN이 LPS- 유도 ALI 모델에서 NF-κ캐스케이드를 지배적으로 활성화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나타낸다. 이는 펜드린 억제제가 펜드린/OSCN-/NF-κ캐스캐이드를 억제함으로써 OVA-유도된 알레르기성 기도 염증을 약화시키는, 본 발명에 따른 천식 마우스 모델에서 발견된 것과 매우 유사한 작용 모드이다. 그러나, LPS가 TLR4/MyD88 경로를 통해 NF-κ를 활성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종래 보고를 고려하면, F56이 LPS-유도된 ALI를 거의 완전히 억제하는 이유는 알 수 없다. 그러나, 펜드린 널 마우스에서 NaSCN에 의해 유발된 ALI 표현형의 결핍은 펜드린-매개 OSCN-이 LPS-유도된 ALI 모델에서 NF-κ캐스캐이드를 지배적으로 활성화한다는 것을 강력하게 나타낸다.
ALI 환자에 대한 중요한 치료가 개선되었지만, ALI/ARDS 사망률은 여전히 높으며 ALI/ARDS의 의학적 치료 옵션은 제한적이다. F56이 ALI 뮤린 모델에 강력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었기 때문에 펜드린은 ALI/ARDS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목표가 될 수 있다. 폐렴 환자 BALF에서 펜드린 발현이 상향 조절되어 ALI/ARDS에 대한 펜드린 억제제의 잠재적인 임상 치료 이점을 증가시키는 것이 유망하다. 또한, F56은 세포 독성이 낮고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나노 몰 수준에서 작동하고; 그것은 임상 시험을 위한 최종 후보의 추가 개발을 위한 훌륭한 화합물이다.
다시 말해, 본 발명자들은 펜드린이 LPS-유도된 ALI에 필수적이고, 펜드린을 억제하는 화합물(F56)이 LPS-유도된 ALI를 강력하게 억제하였음을 증명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펜드린 억제제는 ALI 치료에 유망한 신약 등급이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
    [화학식 1]
    Figure 112022022557885-pat00218

    상기 화학식 1에서,
    V1 및 V2는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O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NR3R4, C(O)R3, OR3,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NR3R4이고, 상기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O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NR3R4, C(O)R3, OR3,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시아노, 아자이도,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CHF2, 벤질옥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며, 상기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CHF2, 벤질옥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알킬,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i 및 j는 독립적으로 0, 1 또는 2이고,
    R 1 및 R 2 는 수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3 및 R4는 수소,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헤테로아릴, C1 ~ C10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C1 ~ C10 알킬), C1 ~ C10 알킬헤테로아릴, C1 ~ C10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및 헤테로사이클일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또는,
    R3 및 R4는 4 내지 10원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사이클화될 수 있고, 상기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i(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A1
    Figure 112022022557885-pat00249
    또는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0
    로 표시되고,
    X1 및 X2 는 O, S, CHR4 및 N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X3는 수소, OR3,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S(O) i NR3, C(O)R3, OC(O)R3, (O)COR3, NR3C(O)OR3, NR3C(O)R3, C(O)NR3 및 NR3R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OR3, 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6 알킬, C1 ~ C6 헤테로알킬, C2 ~ C10 알케닐, C0 ~ C3 메틸렌하이드라진, C2 ~ C10 알키닐, S(O) i (C1 ~ C6 알킬), S(O) i NR3, C(O)R3, OC(O)R3, (O)COR3, NR3C(O)OR3, NR3C(O)R3, C(O)NR3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상기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알킬, C3 ~ C7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아릴, 탄소수 3-5의 헤테로사이클로알킬,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C1 ~ C6 알킬), C(O)OR3, C(O)R3, OR3, OCR3F2, OCOR3, NR3C(O)OR4, NR3C(O)R4, C(O)NR3R4 및 NR3R4,로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R5 및 R6은 수소,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설파닐,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6 알킬, C2 ~ C6 알케닐, C2 ~ C6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탄소수 6-14의 아릴, 및 트리플루오로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고, 상기 알킬, 알케닐, 알키닐, 사이클로알킬, 헤테로사이클일,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부위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상기 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 중 하나는 수소,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탄소수 6-14의 아릴알킬,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알킬,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S(O) i (탄소수 6-14의 아릴), S(O) i (헤테로아릴), S(O) i NR3R4,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선택되고, 또는,
    R5 및 A1은 4 내지 10원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로 사이클화될 수 있고, 상기 카보사이클릭, 헤테로사이클릭, 방향족 또는 헤테로방향족 고리 중 하나는 옥소, 할로겐, 시아노, 아자이도, 니트로,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탄소수 6-14의 아릴, C1 ~ C10 알킬-탄소수 6-14의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일, C1 ~ C10 알킬, C2 ~ C10 알케닐, C2 ~ C10 알키닐, C3 ~ C6 사이클로알킬, S(O) i (C1 ~ C6 알킬), C(O)OR3, C(O)R3, OR3, NR3C(O)OR4, C(O)NR3R4 및 NR3R4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군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2. 제1항에 따른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호흡기 질환은 염증성 기도 질환인,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염증성 기도 질환은 천식, 급성 또는 만성 기관지염, 알레르기 비염, 급성 호흡기 감염, 급성 상부 호흡기 감염, 낭성 섬유증,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ARDS), 급성 폐 손상(ALI)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약학 조성물.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펜드린 억제제로서 작용하는, 약학 조성물.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호흡기 질환과 연관된 채널을 특이적으로 제어하는, 약학 조성물.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기도 표면 액체(ASL)의 부피를 보존하고 뮤신(mucin)의 분리를 감소시키는, 약학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9. 삭제
  10. 제1항에 따른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11. 아래의 화합물들 중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1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2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3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4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5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6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7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8
    Figure 112022022557885-pat00259

    Figure 112022022557885-pat00260
    Figure 112022022557885-pat00261
    Figure 112022022557885-pat00262
    .
  12. 제11항에 따른 화합물, 그 E- 또는 Z- 이성질체, 그 광학 이성질체, 그 이성질체 2개 혼합물, 그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또는 그 용매화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200039969A 2019-04-02 2020-04-01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4598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38246 2019-04-02
KR1020190038246 2019-04-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68A KR20200116868A (ko) 2020-10-13
KR102459858B1 true KR102459858B1 (ko) 2022-10-27

Family

ID=72667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69A KR102459858B1 (ko) 2019-04-02 2020-04-01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20193041A1 (ko)
EP (1) EP3949963A4 (ko)
JP (1) JP2022527980A (ko)
KR (1) KR102459858B1 (ko)
CN (1) CN113905734A (ko)
AU (1) AU2020253853A1 (ko)
BR (1) BR112021019779A2 (ko)
CA (1) CA3135943A1 (ko)
WO (1) WO20202046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71777A1 (ko) * 2020-09-29 2022-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예방 또는 치료 방법
CN116173170B (zh) * 2023-02-22 2023-11-24 河北一品制药股份有限公司 一种治疗呼吸系统疾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708A (ja) * 2004-09-29 2006-04-13 Mochida Pharmaceut Co Ltd Ps−pla1阻害剤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2900B1 (en) * 1989-10-09 1994-03-16 Kabushiki Kaisha Toshiba Organic nonlinear optical material and nonlinear optical element
US20040180943A1 (en) * 2002-07-23 2004-09-16 Augelli-Szafran Corinne Elizabeth Oxazolone analogs as amyloid aggregation inhibitors and for the treatment of alzheimer's disease and disorders related to amyloidosis
CN100453533C (zh) * 2003-12-12 2009-01-21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一类胰高血糖样肽-1受体激动剂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08056356A2 (en) * 2006-11-07 2008-05-15 Proteologics Ltd. Pyrimidine derivatives as posh and posh-ap inhibitors
WO2010094009A2 (en) * 2009-02-13 2010-08-19 Children's Hospital Medical Center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ras associated disorders
JO3377B1 (ar) * 2013-03-11 2019-03-13 Takeda Pharmaceuticals Co مشتقات بيريدينيل وبيريدينيل مندمج
SG11202010925UA (en) * 2018-05-29 2020-12-30 Omeros Corp Masp-2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96708A (ja) * 2004-09-29 2006-04-13 Mochida Pharmaceut Co Ltd Ps−pla1阻害剤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BBOUD, D. et al., Scientific Reports, 2015, vol. 5, article no. 14746, p.1-14
SAWANT, S. D. et al., Journal of Applicable Chemistry, 2013, vol. 2, p. 372-384
SERRANO, E. et al., Chemistry - A European Journal, 2016, vol. 22, p. 144-152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6868A (ko) 2020-10-13
JP2022527980A (ja) 2022-06-07
WO2020204602A1 (ko) 2020-10-08
CN113905734A (zh) 2022-01-07
EP3949963A1 (en) 2022-02-09
EP3949963A4 (en) 2023-01-04
US20220193041A1 (en) 2022-06-23
CA3135943A1 (en) 2020-10-08
AU2020253853A1 (en) 2021-11-11
BR112021019779A2 (pt)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48750B2 (ja) オピオイド受容体リガンド並びにそれらの使用方法及び製造方法
KR102459858B1 (ko) 신규 화합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70140A (ko)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
TW201711998A (zh) 四唑衍生物
WO2013033520A1 (en) A method for regulating skin pigmentation
CN110177551A (zh) 脂质合成的杂环调节剂
JP2010070514A (ja) ピラゾール誘導体及びその医薬用途
US9630957B2 (en) 2,3-butanediamide epoxide compound and preparation method and use thereof
RU2730855C2 (ru) Кфтр регуляторы и способы их применения
JP6831376B2 (ja) トリアゾール誘導体
WO2013029006A1 (en) Dengue virus and yellow fever virus therapies
AU2011284256B2 (en) Diphenyl ether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liver, lung disorders, diabetic complications and cardiovascular diseases
TW202120082A (zh) 鈣蛋白酶(calpain)抑制劑及其用於治療神經疾病之用途
US20210205275A1 (en) Neuroprotect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KR20220043919A (ko)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예방 또는 치료 방법
KR20220166745A (ko) 펜드린 억제 활성을 갖는 신규 화합물 및 이의 의약 용도
EP2421532A2 (en) Spiperone derivatives and methods of treating disorders
US20220184008A1 (en) Modulators of intracellular chloride concentration
EP4008330A1 (en) Combined inhibition of amino acid transporters for inhibiting human plasmacytoid dendritic cell activity during autoimmunity
CN117794577A (zh) 对潘特林具有抑制活性的新型化合物及其制药用途
JP2002326986A (ja) グリア細胞作用性化合物及びグルタミン酸再取り込み量増強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