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9215B1 -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 Google Patents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9215B1
KR102459215B1 KR1020177002022A KR20177002022A KR102459215B1 KR 102459215 B1 KR102459215 B1 KR 102459215B1 KR 1020177002022 A KR1020177002022 A KR 1020177002022A KR 20177002022 A KR20177002022 A KR 20177002022A KR 102459215 B1 KR102459215 B1 KR 102459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system
strap
tension wheel
sealer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2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3316A (ko
Inventor
월터 엘. 보스
야누스 피기엘
Original Assignee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filed Critical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70033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3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9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92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65B13/187Mo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2Means for controlling tension of bin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24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 B65B13/30Securing ends of binding material by deforming the overlapping ends of the strip or band
    • B65B13/305Han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7/00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 B65B57/18Automatic control, checking, warning, or safety devices causing operation of audible or visible alarm sign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1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machine
    • B65B2210/12Means for automatically detecting and removing jammed straps in strapping machines, e.g. jam clear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짐 주위의 스틸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 무봉인 조인트를 인장시키고 형성하기 위한 전동식 스트래핑 공구(10)는 풋(26)을 갖는 몸체(12), 몸체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동식 모터(20)를 갖는 인장 조립체(14) 및 인장기 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인장 휠(46)을 포함한다. 공구는 몸체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전동식 모터(24)를 갖는 봉인 조립체(14) 및 전동식 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봉인기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66)은 인장 조립체 및 봉인 모터 조립체가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단일 작동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자동 모드, 및 인장 조립체 및 봉인 조립체가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다중 작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수동 모드에서 스트래핑 공구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인장 조립체 및 봉인 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한다.

Description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ELECTRICALLY POWERED COMBINATION HAND-HELD STRAPPING TOOL}
관련 출원 데이터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그 개시가 전체적으로 본 출원에 포함되는, 2014년 7월 21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 특허 출원 일련번호 62/026,865호의 이득과 우선권을 주장한다.
스트래핑 공구 또는 스트래퍼(strapper)는 완전 수동 공구로부터 자동 테이블-탑(table-top) 기계까지 다양한 유형으로 나타난다. 스트래핑 공구는 금속 스트래핑 또는 플라스틱/중합체 스트래핑과 같은 상이한 유형의 스트랩 또는 스트래핑 재료와 함께 사용하도록 설계되고 의도될 수 있다. 금속 스트래핑 재료용 스트래퍼는 스트랩을 그 자체로 봉인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테이블-탑 또는 휴대용 장치일 수 있다. 봉인 기능(sealing function)은 스트랩의 중첩 코스에서 맞물림 키(interlocking key)를 형성하거나, 중첩 스트랩 코스 위에 위치되어 그에 주름을 형성하는 시일(seal)을 적용함으로써 무봉인 구성(sealless configuration)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두 유형의 공지된 스틸 스트랩용 휴대용 장치, 즉 스트랩을 인장시켜 시일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힘을 가하는 조작자를 요구하는 수동 공구, 및 하나 이상의 공기 모터의 작동에 의해 인장과 봉인 기능을 수행하는 공압 작동식 공구가 있다. 수동 공구는 장기간의 작동으로 피로해질 수 있고 특정 경우, 예를 들어 시일이 패키지 또는 짐(load) 쪽에 형성될 때 조종 및 절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수동 봉인에는 통상적으로, 스트랩을 인장시키고, 시일을 형성하여 그의 공급원으로부터 봉인된 스트랩을 절단하는 다중 공구를 요구한다.
본 출원에 공동 양도되고 원용에 의해 그 전체가 본 출원에 포함되는, 크리튼덴(Crittenden)의 미국 특허 제6,079,457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공압식 공구는 양호하게 기능을 하지만, 이들은 공기와 같은 압축가스 공급원을 요구하며, 따라서 작동을 위해서 호스, 압축 가스 설비 등을 필요로 한다. 그 때문에, 공압식 공구의 사용은 예를 들어, 스트래핑 작업이 제작 시설 전역의 상이한 장소에서 수행되는 특정 용례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공압식 공구는 고가일 수 있는 공압식 모터를 사용하며, 그 공압 회로는 복잡할 수 있고 공압 회로 모듈의 제작에 주조 및 기계가공 작업을 요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랩을 짐 주위에 인장시키고, 스트랩 재료의 중첩 코스에 시일을 형성하며 그의 공급원으로부터 봉인된 스트랩을 절단하는 기능을 하는 전동식 스트랩 공구에 대한 필요성이 있다. 바람직하게, 그러한 공구는 자납식(self-contained)이고, 전기 및/또는 배터리 구동식이며, 따라서 휴대형이고 시설 전역에 걸쳐 임의의 위치에서 사용될 수 있다. 더욱더 바람직하게, 그러한 공구는 다양한 작동 모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풋(foot)을 갖는 몸체, 몸체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장 조립체 및 몸체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봉인 모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짐 주위의 스틸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 무봉인 조인트(sealless joint)를 인장시키고 형성하기 위한 스트래핑 공구를 제공한다. 인장 조립체 및 봉인 조립체는 전동식 모터를 가진다.
인장 휠은 인장기(tensioner) 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봉인기(sealer)는 봉인기 모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구는 인장 조립체 및 봉인 조립체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인장 조립체 및 봉인 조립체가 예를 들어,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단일 작동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자동 모드, 및 인장 조립체 및 봉인 조립체가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다중 작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수동 모드에서 스트래핑 공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봉인 조립체는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 키(key)를 절단하도록 서로 협동하는 다이와 펀치를 포함한다. 인장기 모터는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 절단된 키를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봉인 사이클 이후에 역방향으로 작동된다. 제어 시스템은 자동 모드에서, 키를 맞물리게 하기 위해서 제어 시스템의 작동에 의한 봉인 조립체 작동 이후에 역방향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작동은 제어 시스템의 단일 작동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인장기 모터 조립체는 몸체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되며 인장 휠을 풋 쪽으로 이동시키도록 편향된다.
실시예에서, 캠 샤프트는 다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캠 샤프트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위치 스위치를 포함한다. 위치 스위치는 제어 시스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공구의 실시예는 봉인 사이클의 종료시에 봉인기 모터 조립체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동적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동적 브레이크는 제어 시스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공구는 공구를 제어하기 위한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작동 스위치는 인장기 모터 조립체 및 봉인기 모터 조립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시스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은 스틸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서의 인장력을 변경시키기 위한 스트랩 인장력 조절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스트랩 인장력 조절 장치의 세팅에 기초하여 인장 휠의 운동을 정지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시스템은 짐 주위의 스틸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 무봉인 조인트를 인장시키고 형성하기 위한 유형의 스트래핑 공구를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은 인장기 모터 조립체 및 봉인기 모터 조립체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어 회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위치 스위치는 시일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봉인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어 시스템은 작동 스위치를 포함한다. 제어 시스템은 인장기 모터 조립체 및 봉인기 모터 조립체가 작동 스위치의 단일 작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자동 모드에서 스트래핑 공구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실시예에서, 제어 시스템은 봉인기가 미리 결정된 위치에 도달할 때 봉인기 모터 조립체의 운동을 정지시키는 동적 브레이크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실시예에서, 봉인 사이클 이후에 제어 시스템은 무봉인 조인트를 고정하도록 인장기 모터 조립체를 역방향으로 작동시킨다.
수동 모드에서, 인장기 모터 조립체 및 봉인기 모터 조립체는 작동 스위치의 다중 작동에 의해 연속적으로 작동된다.
본 개시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동일한 부호가 동일한 부분, 요소, 구성요소, 단계, 및 공정을 지칭하는 별첨의 도면과 함께 취해진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자명해질 것이다.
도 1은 전동식 조합형 스트래핑 공구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2는 공구의 다른 사시도이며,
도 3은 공구의 후방 사시도이며,
도 4는 예시의 명료함을 위해 제거된 하우징의 부분을 도시하는 도 2와 유사한 사시도이며,
도 5는 공구의 다양한 구성요소와 특징을 예시하는 공구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6은 예시의 명료함을 위해 제거된 하우징의 부분을 도시하는 도 3과 유사한 후방 사시도이며,
도 7은 스트랩의 중첩 코스에 형성되는 맞물림 키 배열의 예시이며,
도 8은 공구의 봉인 및 인장 부분의 일부를 도시하는 예시이며,
도 9는 짐 주위의 스트랩의 위치선정을 예시하며,
도 10은 공구를 위한 제어 및 작동 방식의 예이다.
본 개시가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를 허용하지만, 본 개시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될 뿐이며 설명 또는 예시된 임의의 특정 실시예로 본 개시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전제하에서, 하나 이상의 실시예가 도면에 도시되고 이후에 설명될 것이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전동식 조합형 스트래핑 공구(1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공구(100)는 물체 또는 짐(L) 주위에 스틸 스트랩(S) 또는 스트래핑 재료를 인장시키고, 짐(L) 주위에 인장된 루프를 형성하도록 시일 또는 조인트(J) 그 자체에 스트랩(S)의 중첩 부분을 봉인하며 스트랩 공급원(P)으로부터 인장된 루프를 절단하도록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스트랩(S)은 제공 또는 공급 단부(P) 및 짐(L) 주위로 제공되고 공급 단부(P)를 중첩시키도록 공구(10) 내측으로 재삽입되는 자유 단부(F)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목적으로, 용어 "무봉인(sealless)"은 스트랩의 중첩 부분에 만들어지는 시일 또는 조인트의 구성 또는 유형을 지칭한다. "시일(seal)"이 스트랩 코스에 만들어지지만, 무봉인 조인트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 코스에 맞물림 키(K) 또는 부분을 절단 또는 펀칭함으로써 만들어진다. 용어 무봉인은 스트랩 중첩 코스에 걸쳐 적용되고 그 코스에 주름이 형성되는 크림프 시일(crimp seal)과 같은 별개의 요소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조인트에 비해서 이러한 유형의 조인트(J) 또는 시일(J)을 규정하려는 의도이다.
공구(10)는 몸체(12), 인장 부분(14) 및 봉인 부분(16)을 포함한다. 인장 부분(14)은 하우징(18) 및 몸체(12)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1 또는 인장기 모터 조립체(20)를 포함한다. 봉인 부분(16)은 봉인기(21), 하우징(22) 및 몸체(12)에 작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 또는 봉인기 모터 조립체(24)를 포함한다. 몸체(12)는 풋(foot)(26), 하우징(28) 및 공구(10)의 취급 및 사용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핸들(30 및 32)을 포함한다. 하나의 핸들은 인장기 모터 조립체(20) 위의 공구 개방 핸들(30) 및 몸체(12) 위에 장착되는 다른 작동 핸들(32)일 수 있다. 수용기(34)는 배터리(36) 또는 다른 전원을 수용하기 위한 몸체(12)의 일부로서 형성되거나 그 몸체에 장착된다. 임시 누름(hold-down) 핑거(38)가 인장기 모터 조립체(20)의 반대편에서 풋(12)에 위치될 수 있다. 누름 핑거는 풋(26) 쪽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인장 부분(14)은 DC 모터와 같은 모터(40), 및 모터(40) 출력 드라이브를 유용한 속도로 변환시키는 기어 세트(44)를 포함하는 기어 하우징(42)을 가지는 인장기 모터 조립체(20)를 포함한다. 기어 세트(44)는 모터(40)로부터의 출력 속도를 감소시키고 출력 또는 토크를 증가시키는 유성 기어 세트(도시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세트(44)는 인장 휠(46)에 있는 기어(도시 않음)와 맞물리는 최종 드라이브(도시 않음)를 포함한다. 인장 휠(46)은 최종 드라이브에 수직으로 장착된다. 기어 세트(44) 및 최종 드라이브는 공구 몸체(12)에 장착되는 기어 하우징(18) 내에 수용된다. 파지 패드(48)는 인장 휠(46) 반대편에서 풋(26)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인장기 모터 조립체(20), 기어 하우징(42) 및 인장 휠(46)은 풋(26) 쪽으로그리고 풋의 반대편으로 인장 휠(46)을 이동시키도록 몸체(12)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는 스트랩(S)을 풋(26)과 인장 휠(46)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툴(10)이 개방되게 한다. 실시예에서, 인장기 모터 조립체(20), 기어 하우징(42) 및 인장 휠(46)은 인장 휠(46)을 풋(26) 쪽으로 그리고 풋의 반대편으로 피벗시키도록 몸체(12)에 피벗 가능하게 장착된다. 인장기 모터 조립체(20), 기어 하우징(42) 및 인장 휠(46)은 인장 휠(46)을 풋(26) 쪽으로 그리고 스트랩(S)과 접촉되게 폐쇄 위치로 편향시키도록 예컨대, 스프링(도시 않음)에 의해 몸체(12)에 편향되게 장착될 수 있다.
봉인 부분(16)은 DC 모터 및 드라이브(52)와 같은 모터(50)를 가지는 봉인기 모터 조립체(24)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드라이브(52)는 최종 드라이브 기어(도시 않음)를 통해서 캠 샤프트(56)를 구동하는 유성 기어 세트(도시 않음)를 포함하는 기어 세트(54)이다. 유성 기어 세트는 모터(50)로부터의 출력 속도를 감소시키고 출력 또는 토크를 증가시킨다. 모터(50)로부터 캠 샤프트(56)로 출력을 전달하기 위해서 예컨대, 벨트, 체인 등의 다른 드라이브가 사용될 수 있다.
캠 샤프트(56) 상의 캠(58)은 봉인 부분(16) 내의 다이(60) 세트와 접촉하여 이를 이동시킨다. 다이(60)는 다이(60)와 펀치(62) 사이에 위치되는 스트랩(S)의 중첩 코스와 다이(60)의 접촉 및 접촉 해제를 유발하도록 풋(26)에 위치되는 펀치(62) 쪽으로 그리고 펀치의 반대편으로 왕복 운동한다. 다이(60)가 (사이클의 봉인 부분에서)스트랩(S)과 결합할 때, 다이(60) 및 펀치(62)는 길이 방향으로의 이동시, 서로 잠기는 키(K)를 스트랩(S)에 형성한다. 봉인기 부분(16)의 예가 도 8에 예시되며 맞물림 키(K), 또는 시일 또는 조인트(J)의 예가 도 7에 예시된다. 시일 부분(16)은 봉인 사이클 중에 스트랩 공급원(P)으로부터 루프가 형성된 또는 봉인된 스트랩(S)을 절단하는 절단기(64)를 또한 포함한다. 다이(60)와 유사하게, 절단기(64)는 캠 샤프트(56)의 회전에 의해 구동된다.
공구(10)는 완전 자동 및 수동 모드로의 작동을 허용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서, 공구(10)는 공구(10)의 작동을 제어하는, 도면 부호 66으로 전반적으로 도시되는 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공구(10)는 인장기 모터(40) 및 봉인 모터(50)를 제어하는 작동 스위치(68) 및 하나 이상의 회로(70, 72)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인장기 모터 및 봉인 모터 회로(70, 72)는 공구(10) 내부의 별개의 판에 제공된다. 인장기 및 봉인기 모터 회로(70, 72)가 단일 판 상에서 조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어 시스템(66)은 봉인 부분(16) 내의 캠 샤프트(56)의 위치를 감지하는 캠 위치 스위치 또는 센서(74), 스트랩 크기/인장력 조절 장치(76), 막힘-방지 장치(78) 및 동적 브레이크(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캠 위치 스위치(74)는 캠 샤프트(56)의 위치 및 따라서 캠 로브(lobe)(또는 캠)(58), 및 결과적으로 다이(60)와 절단기(64)의 위치를 결정하도록 위치된다. 스크랩 크기/인장력 조절 장치(76)는 예를 들어, 공구 몸체(12) 상에 제공되는 손잡이-유형의 다이얼 조절기일 수 있다. 막힘-방지 장치(78)의 제어는 인장력/스트랩 크기 조절 다이얼(76)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동적 브레이크(80)는 캠 샤프트(56)가 홈 위치(home position)에 있을 때 모터(50)를 제동 또는 정지시키고 봉인 사이클의 완료시 모터(50)로부터의 동력을 빼내기 위해서 봉인 모터(50)와 결합된다. 공구(10)는 공구의 특정 기능 및 상태에 대한 표시를 제공하는 하나 이상의 표시기, 예컨대 LED를 더 포함할 수 있다. LED 표시기(82)는 작동 스위치(68) 내부에 또는 그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작동 시나리오(scenario)에서 공구(10)는 풋(26)과 접촉하게 스프링이 인장 휠(46)을 편향시키는 홈 위치에 있다. 단계(102)에서처럼, 배터리가 설치될 때, 단계(104)에서처럼, 공구(10)가 켜지고 자체 진단을 실행한다. 작동 스위치(68) 내의 표시기, 예컨대 LED(84)는 공구(10)의 작동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서 미리 결정된 시퀀스에서 점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ED(84)는 공구(10)가 자동 작동 모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한번 점등하며 공구(10)가 수동 작동 모드에 있음을 나타내도록 두 번 점등할 수 있다. 일단 공구(10)가 자체-진단을 완료하면, 단계(106)에서처럼 준비 상태/수면 상태에 있는다. 준비 상태/수면 상태에서, 인장기 및 봉입기 모터(40 및 50)는 꺼지며(모터로의 전원이 꺼지며), 공구(10)는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에서의 작동을 준비한다.
스트래핑 사이클을 시작하기 위해서, 공구(10)는 인장 휠(46)과 풋(26) 사이의 갭을 개방하기 위해서 인장기 핸들(30) 쪽으로 인장기 모터 조립체(20)를 압박하거나 당김으로써 개방된다. 스트랩(S)의 리드(lead) 또는 자유 단부(F)는 짐의 주위에 위치되며 (스트랩 분배기로부터의)스트랩(S)의 공급 단부(P)는 자유 단부(F)를 중첩시키도록 위치된다. 스트랩(S)의 중첩 코스는 공구(10) 내의, 인장 휠(46)과 풋(26) 사이 및 다이(60)와 펀치(62) 사이에 위치되며, 이때 공급 단부(P)는 도 8 및 도 9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구(10)의 후방 단부(인장 휠(46) 단부)로부터 진입하며 스트랩(S) 코스는 누름-핑거(38) 아래에 위치된다.
자동 모드의 하나의 시나리오에서, 작동 스위치(68)의 누름과 해제는 작동 사이클을 시작한다. 중첩 스트랩(S) 코스가 인장 휠(46)과 풋(26) 사이 및 다이(60)와 펀치(62) 사이에 위치되는 경우에, 단계(108)에서처럼, 인장기 모터(40)가 스트랩(S)에 장력을 유발하기 위해서 인장 휠(46)을 구동하도록 작동하는 인장 사이클이 시작된다. 인장기 모터(40)가 작동할 때, 작동 스위치 LED(84)가 점등된다. (스트랩 크기/인장력 조절 손잡이(76)를 사용하여 설정되는 바와 같은)미리 결정된 양의 인장력이 유발될 때, 인장기 모터(40)는 정지하며 LED 표시기(84)가 꺼진다.
그 후, 단계(110)에서처럼, 봉입 모터(50)가 캠 샤프트(56)를 회전시키도록 작동하며 캠(58)이 다이와 접촉되게 이동하여 다이(60)를 하향으로 이동시켜 스트랩(S)과 접촉시키는 봉입 사이클이 시작된다. 봉입 모터(50)가 시동될 때, 작동 스위치 LED(84)는 공구(10) 작동을 나타내도록 점등된다. 맞물림 키(K)는 다이(60)를 스트랩(S) 내측으로 압박하고 펀치(62)에 대해 스트랩(S)을 압박하는 다이(60) 상의 캠(58)의 힘에 의해 절단된다. 스트랩 공급원(P) 단부는 루프 형성된 스트랩(S)을 스트랩 공급원(P)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절단된다.
봉입 모터(50)는 계속해서 작동하며, 캠 샤프트(56)가 완전 1회전(360도)을 완료하면 캠 스위치 또는 센서(74)가 트리거되며(triggered) 봉입 모터(50)가 꺼진다. 동적 브레이크(80)는 봉입 모터(50)로부터 과잉 에너지를 흡수함으로써 홈 위치에서 캠 샤프트(56)를 정지시킨다. 풋(26)에서 누름 핑거(38)는 스트랩(S)을 공구(10) 내의 제자리에 일시적으로 유지한다. 일단 봉입이 완료되면, 인장기 모터(40)는 스트랩(S) 내의 인장력이 키(K)를 맞물림 배열(도 7 참조)로 끌어당겨서 시일 또는 조인트(J)를 형성할 수 있도록 단기간(약 1초 미만) 동안 역으로 작동한다.
단계(112)에서처럼, 다이(60)가 홈 위치로 복귀하고 봉입 모터(50)가 정지되는 봉입 사이클이 일단 완료되면, LED 표시기(84)가 꺼진다. 그 후, 공구(10)는 준비 상태/수면 상태에 있는다.
자동 모드에서, 인장 및/또는 봉입 사이클(단계(108 및 110) 참조) 중의 임의의 시간에 작동 스위치(68)의 누름 및 해제는 예를 들어, 공구(10)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단계(114)에서처럼 작동 스위치(68)의 누름 및 유지는 인장기 모터(40)를 역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공구(10)의 비상 정지 기능을 한다.
공구(10)는 예를 들어, 작동 스위치(68)의 제1 누름으로 인장 사이클을 시작하며 미리 결정된 인장력에 도달할 때 인장기 모터(40)가 정지하는 수동 모드로 또한 작동될 수 있다. 수동 작동의 이러한 예에서, 작동 스위치(68)의 제2 누름은 그 후에 봉입 사이클을 시작하는데 요구될 수 있다. 자동-정지 기능(예를 들어, 작동 스위치의 누름 및/또는 누름과 유지)은 한 번 더 공구(10)를 정지시키고/시키거나 인장기 모터(10)를 수동 모드로 역전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에 참조된 트리거 기능(trigger function) 및 이벤트(event)와 관련하여, 준비 모드(106)일 때 트리거 기능(1)(ㆍ)은 인장 사이클을 시작할 것이며, 준비 모드(106)일 때 트리거 기능(2)(-)은 트리거가 해제될 때까지 공구를 역전시킬 것이며, 인장 사이클 중의 임의의 시간에 트리거 기능(3)(ㆍ)은 모터를 정지시킬 것이며, 여기서 (ㆍ)는 트리거가 특정 기간 미만 동안 유지됨을 나타내며 (-)는 트리거가 특정 기간 초과 동안 유지됨을 나타낸다.
(*)자동 모드 - 인장 이후에 공구는 자동으로 봉인한다. 수동 모드 - 인장 이후에 공구는 봉인기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제2 트리거 이벤트를 기다린다. (**)인장 손잡이 - 단지 봉인기 모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 스트랩 폭, 모드 및 옵션을 선택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구(10)는 스트랩 크기/인장력 조절 장치(76)에 통합될 수 있는 막힘-방지 특징(78) 작동을 포함할 수 있다. 막힘-방지 기능(78)이 선택되고 작동 스위치(68)가 눌러지면, 인장기 모터(40)는 공구(10) 내의, 인장 휠(46)과 풋(26) 사이에서 막힐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역으로 작동한다. 봉인 모터(50)도 또한, 공구(10) 내에 막힐 수 있는 임의의 재료를 제거하기 위해서 한번 순환할 것이다.
개시되고 설명된 대로의 공구(10)는 배터리(36)를 사용하는 전동식 공구이나, 공구(10)는 예를 들어, 선로 전압(예를 들어, 120V 내지 240V)에서 사용하는 전압 변환기에 의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공구(10)가 인장기 모터(40) 및 봉인 모터(50)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설명되었지만, 정위치의 적절한 드라이브에 의해 인장 및 봉인 기능을 모두를 수행하는 단일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고려된다.
다양한 다른 자동 및 수동 작동 시나리오가 있고 개시된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10)와 관련하여 고려될 수 있으며, 그러한 다른 작동 시나리오가 본 개시의 범주와 사상 내에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당업자에게는 자명하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한 변경과 수정은 본 개시의 사상과 범주로부터 이탈함이 없이 그리고 본 개시의 의도된 장점을 축소시킴이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러한 변경과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보호되는 것으로 의도된다.

Claims (20)

  1. 짐(load) 주위의 스트랩의 중첩 부분들 내에 무봉인 조인트를 인장시키고 형성하기 위한 스트래핑 공구로서,
    몸체;
    인장 사이클 동안 제 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인장 휠;
    봉인 사이클 동안 상기 스트랩의 중첩 부분들에서 키(key)들을 절단하기 위해 서로 협동하도록 구성된 다이와 펀치를 포함하는 봉인기; 및
    조작자(operator)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단일 작동에 의해 상기 인장 및 봉인 사이클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장 휠 및 상기 봉인기를 연속적으로(sequentially) 구동하도록 구성된 상기 제어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봉인 사이클 이후에 상기 인장 휠을 상기 제 2 방향으로 구동하여, 상기 스트랩의 중첩 부분들에서 절단된 키들을 맞물리게(interlock) 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휠 및 상기 봉인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인장 휠 및 상기 봉인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모터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하나 이상의 모터들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3. 제 1 항에 있어서,
    인장기 모터 및 봉인기 모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인장기 모터는 상기 인장 휠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인장 휠을 구동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봉인기 모터는 상기 봉인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봉인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4. 제 2 항에 있어서,
    인장기 기어 세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모터들은 상기 인장기 기어 세트를 통해 상기 인장 휠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트래핑 공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기 기어 세트는 상기 하나 이상의 모터들의 출력의 속도를 감소시키고 토크를 증가시키도록 구성된 유성(planetary) 기어 세트를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풋(foot)을 포함하고, 상기 인장 휠은 스트랩-결합 위치와 스트랩-삽입 위치 사이에서 상기 풋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에 장착되는, 스트래핑 공구.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휠은 상기 스트랩-결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풋에 인접하고, 상기 스트랩-삽입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풋과 이격되어 있는, 스트래핑 공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휠을 상기 스트랩-결합 위치로 편향시키는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풋은 상기 펀치를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인기는 상기 다이와 맞물리는(engage) 캠을 포함하는 캠 샤프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 동안 상기 다이가 상기 펀치를 향하여 그리고 상기 펀치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형상인, 스트래핑 공구.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캠 샤프트에 의해 구동되는 스트랩 절단기를 더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휠 및 상기 봉인기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인장 휠 및 상기 캠 샤프트를 구동하는 하나 이상의 모터; 및
    상기 캠 샤프트의 회전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캠 위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동적 브레이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봉인 사이클의 완료 이후에 상기 캠 샤프트가 홈 위치(home position)로 복귀했음을 감지하는 상기 캠 위치 스위치에 응답하여, 상기 하나 이상의 모터를 정지시키기 위해 상기 동적 브레이크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단일 작동을 위해 상기 제어 시스템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작동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스위치는 기계식 푸시버튼(mechanical pushbutton)을 포함하는, 스트래핑 공구.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자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단일 작동에 의해 상기 인장 및 봉인 사이클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장 휠 및 상기 봉인기를 연속적으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수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제 1 작동에 의해 상기 인장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인장 휠을 구동하도록, 그리고 상기 조작자에 의한 제어 시스템의 제 2 작동에 의해 상기 봉인 사이클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 봉인기를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18. 제 17 항에 있어서,
    발광 소자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 시스템은 상기 발광 소자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자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에는 제 1 미리 결정된 시퀀스에서 그리고 상기 수동 작동 모드에 있을 때에는 제 2 다른 미리 결정된 시퀀스에서 상기 발광 소자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스트래핑 공구.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 소자는 상기 작동 스위치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스트래핑 공구.
KR1020177002022A 2014-07-21 2015-06-12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KR1024592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26865P 2014-07-21 2014-07-21
US62/026,865 2014-07-21
US14/736,383 2015-06-11
US14/736,383 US10308383B2 (en) 2014-07-21 2015-06-11 Electrically powered combination hand-held strapping tool
PCT/US2015/035477 WO2016014167A1 (en) 2014-07-21 2015-06-12 Electrically powered combination hand-held strapping too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3316A KR20170033316A (ko) 2017-03-24
KR102459215B1 true KR102459215B1 (ko) 2022-10-25

Family

ID=5507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2022A KR102459215B1 (ko) 2014-07-21 2015-06-12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3) US10308383B2 (ko)
EP (2) EP3172135B1 (ko)
KR (1) KR102459215B1 (ko)
CN (1) CN106687377B (ko)
AU (1) AU2015294537B2 (ko)
CA (1) CA2955768C (ko)
ES (1) ES2834148T3 (ko)
PL (1) PL3172135T3 (ko)
WO (1) WO2016014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8383B2 (en) * 2014-07-21 2019-06-04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Electrically powered combination hand-held strapping tool
KR101701205B1 (ko) * 2016-04-08 2017-03-02 주식회사 삼정제이피에스 코일 포장용 결속 헤드 모듈
US10745158B2 (en) * 2016-11-06 2020-08-18 Golden Bear LLC Strapping tensioning and sealing tool
US11981464B2 (en) 2016-11-06 2024-05-14 Golden Bear LLC Strapping tensioning and sealing tool
CH713645A2 (de) 2017-01-30 2018-09-28 Signode Ind Group Llc Umreifungsvorrichtung mit einem Betätigungselement der Spanneinrichtung.
CH713646A2 (de) 2017-01-30 2018-09-28 Signode Ind Group Llc Umreifungsvorrichtung mit einer Spanneinrichtung.
US10486840B2 (en) 2017-06-02 2019-11-26 Daniels Manufacturing Corporation Powered banding device and related methods
FR3073503B1 (fr) * 2017-11-14 2019-11-22 Hellermanntyton Gmbh Appareil automatique manuel pour poser des colliers de serrage
US11130598B2 (en) 2018-02-21 2021-09-28 Golden Bear LLC Strapping tool
CN109094844B (zh) * 2018-07-02 2020-05-01 眉山市博眉启明星铝业有限公司 一种便携式铝锭扎捆装置
US11247792B2 (en) * 2019-02-15 2022-02-15 Samuel, Son & Co. (Usa) Inc. Strapping device
EP3696103A1 (de) 2019-02-15 2020-08-19 TITAN Umreifungstechnik GmbH & Co.KG Umreifungsvorrichtung für insbesondere stahlbänder
US11352153B2 (en) 2019-05-07 2022-06-07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tool
US11511894B2 (en) 2019-09-26 2022-11-29 Hellermanntyton Corporation Cable tie application tool
WO2021243090A1 (en) * 2020-05-27 2021-12-02 Golden Bear LLC Strapping tool
USD969883S1 (en) * 2020-09-08 2022-11-15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tool
USD953832S1 (en) * 2020-10-09 2022-06-07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tool
KR102226589B1 (ko) 2020-10-27 2021-03-12 장근철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274724B1 (ko) 2021-02-02 2021-07-09 장근철 범용 전동공구의 사용이 가능한 자동 포장용 공구
CN113102621B (zh) * 2021-03-09 2023-04-07 宁波如意股份有限公司 一种打包带自动剪裁器
USD1012641S1 (en) 2021-10-25 2024-01-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Tool nosepiec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5512A (en) * 1987-12-02 1989-05-02 Signode Corporation Sealless strap connection
US5097874A (en) * 1991-04-07 1992-03-24 Signode Corporation Strapping head with strap tail-flattening capability
US5518043A (en) * 1995-01-09 1996-05-21 Illinois Tool Works Readily assembled and disassembled, modular, pneumatically powered strapping tool
US5694984A (en) 1996-11-06 1997-12-09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ping tool with improved punches
DE19757142A1 (de) 1997-12-20 1999-07-08 Philips Patentverwaltung Mobilfunkgerät
JP3242081B2 (ja) * 1998-12-11 2001-12-25 鋼鈑工業株式会社 ストラップ引締溶着工具
US6079457A (en) 1999-04-09 2000-06-27 Illinois Tool Works Inc. Sealless strapping tool and method therefor
US6772798B2 (en) * 2001-05-25 2004-08-10 Illinois Tool Works, Inc. Strapping tool
EP1364877B1 (de) * 2002-05-24 2007-06-13 Orgapack GmbH Stanzwerkzeug für ein Umreifungsgerät
US6966255B1 (en) 2004-08-06 2005-11-22 Illinois Tool Works, Inc. Lock-out for power assisted strapping tool
US7556129B2 (en) * 2005-12-14 2009-07-07 Illinois Tool Works, Inc, Motor brake
US7350543B2 (en) * 2006-05-09 2008-04-01 Illinois Tool Works Inc. Reduced force sealless connection mechanism
US7497068B2 (en) 2007-07-10 2009-03-03 Illinois Tool Works Inc. Two-piece strapping tool
US8281711B2 (en) * 2011-01-04 2012-10-09 Illinois Tool Works Inc. Modular feed head with reversing motor
EP2865601A1 (en) 2012-09-24 2015-04-29 S.I.A.T. SOCIETA' INTERNAZIONALE APPLICAZIONI TECNICHE S.p.A. Mobile strapping device
US10308383B2 (en) 2014-07-21 2019-06-04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Electrically powered combination hand-held strapping too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87377A (zh) 2017-05-17
CA2955768C (en) 2019-02-05
US20210362890A1 (en) 2021-11-25
US20190241292A1 (en) 2019-08-08
KR20170033316A (ko) 2017-03-24
US11084610B2 (en) 2021-08-10
EP3172135B1 (en) 2019-06-12
EP3552981A1 (en) 2019-10-16
WO2016014167A1 (en) 2016-01-28
EP3552981B1 (en) 2020-10-07
US20160016682A1 (en) 2016-01-21
AU2015294537A1 (en) 2017-02-16
EP3172135A1 (en) 2017-05-31
AU2015294537B2 (en) 2018-06-14
CA2955768A1 (en) 2016-01-28
ES2834148T3 (es) 2021-06-16
CN106687377B (zh) 2020-04-07
US11492158B2 (en) 2022-11-08
US10308383B2 (en) 2019-06-04
PL3172135T3 (pl) 2019-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9215B1 (ko)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KR102131714B1 (ko) 전동식 조합의 휴대용 노치형 스트래핑 공구
EP2678228B1 (en) Hand-held strapper
KR101779161B1 (ko) 스트랩을 위한 배터리 전력형 텐셔닝 툴
KR20180020170A (ko) 배터리 구동 플랫 텐셔너 공구
EP1960268B1 (en) Motor brake
CN109775005B (zh) 用于装配线缆扎带的手自一体装置
JP3863224B2 (ja) 帯掛け工具
US5163482A (en) Tool for applying clamping bands
JP2022546367A (ja) 張力印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