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589B1 -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 Google Patents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589B1
KR102226589B1 KR1020200140551A KR20200140551A KR102226589B1 KR 102226589 B1 KR102226589 B1 KR 102226589B1 KR 1020200140551 A KR1020200140551 A KR 1020200140551A KR 20200140551 A KR20200140551 A KR 20200140551A KR 102226589 B1 KR102226589 B1 KR 102226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d
link
lever
coupled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0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철
김형조
이명호
민재철
Original Assignee
장근철
주식회사 시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근철, 주식회사 시노팩 filed Critical 장근철
Priority to KR1020200140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5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02Applying and securing binding material around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e.g. using strings, wires, strips, bands or tapes
    • B65B13/025Hand-held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13/00Bundling articles
    • B65B13/18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used in, bundling machines or bundling tools
    • B65B13/185Details of tools
    • B65B13/187Motor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3/00Flexible elongated elements, e.g. straps, for bundling or supporting articles
    • B65D63/02Metallic straps, tapes, or bands; Joints between end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Abstract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의 선단이 삽입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포장용 제1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윈치샤프트부; 상기 제1밴드가 아닌 포장용 제2밴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윈치샤프트부에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가압에 의한 마찰력으로 제2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피드휠유닛;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일단이 상기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레버링크를 포함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그립퍼유닛;을 포함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DETACHABLE AUTO PACKAGING TOOL CAPABLE HETERO BAND}
본 발명은 포장을 위한 밴드에 사용되는 공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에 관한 것이다.
자동 포장용 공구는 밴드에 텐션을 가할 때, 인력이 아닌 모터 등의 구동원을 사용한다. 텐션은 구동에 의한 회전력을 이용하여 밴드를 감아 당기게 된다. 한편, 회전력은 모터, 동력 전달 요소 등을 통해 전달된다. 자동 포장용 공구는 전동식 뿐만 아니라, 공압식을 포함한다. 다만, 구동원의 종류에 무관하게 작동 방식은 대부분 유사하다. 이런 자동 포장용 공구는 휴대성, 편의성을 위해 소형으로 제작된다.
한편, 포장용 밴드는 포장 대상에 따라 PP 밴드, PET 밴드, 철 밴드 등이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 자동 포장용 공구는 PP 밴드, PET 밴드에 국한되어 철 밴드를 스트래핑할 때,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철 밴드의 경우 여전히 수동식으로 인력에 의존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33316호 (2017.03.24. 공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8-0020170호 (2018.02.27.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31714호 (2020.07.02.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이종 포장용 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자동 포장용 공구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공구에 대한 착탈식 구조를 통해 본 공구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제1밴드가 아닌 제2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는 피드휠유닛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 때, 전동공구에서 피드휠유닛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경로를 최적화하여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한다. 또한, 피드휠유닛에 적합한 구조 및 소재를 개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스트래핑 작업에 대한 운영 신뢰성을 확보하고, 작업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이를 통해 제품 원가를 절감하고 경영상 이익을 개선하고자 한다.
또한, 본 장치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의 선단이 삽입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포장용 제1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윈치샤프트부; 상기 제1밴드가 아닌 포장용 제2밴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윈치샤프트부에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가압에 의한 마찰력으로 제2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피드휠유닛;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일단이 상기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레버링크를 포함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그립퍼유닛;을 포함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를 제공한다.
제2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회전력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웜기어유닛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웜기어유닛은 일단이 상기 홀더부를 통해 노출되어 전동공구의 선단과 결합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와 치합되어 감속 회동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윈치샤프트부는 일단이 상기 웜휠에 결합되어 축 회동하며,
타측에는 환형으로 균등하게 4분할 이격 배치되는 장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는 상기 장착부재 사이의 빈 틈으로 삽입 끼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드휠유닛은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제1널링부가 형성되는 피드휠; 상면에 제2널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널링부와 접촉 상태에서 상기 제2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널링플레이트; 및 상기 제1널링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널링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각형 폐루프 모양으로 링크가 연결되어 내부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바디링크와, 상기 바디링크 양측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링크로 이루어지는 트랜스퍼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링크는 상기 레버의 동작에 연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널링링크는 상기 트랜스퍼링크에 결합되며,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널링링크의 중간 하면에는 받침대가 배치되어,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제1널링링크는 시소 동작에 의해 수평 상태에 있던 상기 제1널링플레이트를 경사 상태로 변경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드휠의 외주면 양단에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2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드휠유닛은 상기 윈치샤프트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윈치샤프트부와 상기 피드휠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윈치샤프트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인서트샤프트와, 상기 인서트샤프트의 일단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스포크가 형성되는 조인트휠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휠의 외주면은 피드휠의 내주면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조인트휠과 동일 형상이며, 외주면이 상기 피드휠의 내주면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제2커플러;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는 이종 포장용 밴드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전동공구에 대한 착탈식 구조를 통해 본 공구의 휴대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1밴드가 아닌 제2밴드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간편하고 용이하게 결합되는 피드휠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전동공구에서 피드휠유닛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경로를 최적화하여 회전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드휠유닛에 적합한 구조 및 소재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트래핑 작업에 대한 운영 신뢰성을 확보하고, 작업성을 전체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제품 원가를 절감하고 경영상 이익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장치의 각 구성요소 사이의 결합 관계를 용이하게 하여 유지,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 포장용 공구에 전동공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내부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
도 6은 도 1의 제1널링링크의 시소 동작에 따라 제1널링링크가 경사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7은 레버가 당겨진 상태에서 레버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 포장용 공구에 전동공구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내부 결합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a-a` 방향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제1널링링크의 시소 동작에 따라 제1널링링크가 경사 상태로 변경되는 것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 7은 레버가 당겨진 상태에서 레버와 연동되어 동작되는 부분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는 하우징(100), 홀더부(200), 윈치샤프트부(300), 피드휠유닛(400), 레버유닛(500), 그립퍼유닛(600), 웜기어유닛(700), 트랜스퍼링크(4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은 본체 케이스에 해당되는 부분으로, 바닥면이 평면으로 형성되어 스트래핑 과정에서 포장 대상물에 안정적으로 접촉되며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 내부에는 빈 공간이 형성되어 각 종 내부 부품이 수용된다.
홀더부(200)는 하우징(100)의 상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의 선단이 삽입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전동공구는 모터 등이 구동에 따라 외부에 축 회동에 의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툴을 의미한다. 홀더부(200)는 예를 들어, 고정링부(210), 연결지지대(220), 시트(seat)부재 등을 포함한다. 고정링부(210)는 원형으로 내주면에 전동공구의 선단 외측부가 거치되어 고정 결합되도록 한다. 연결지지대(220)는 고정링부(210)가 하우징(100) 상측 공간에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연결지지대(220)는 바(bar) 형상으로 일단은 고정링부(210)에 결합되고, 타단은 하우징(100)에 결합된다. 시트부재(230)는 원통 형상으로, 상면에는 전동공구이 선단이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다.
윈치샤프트부(300)는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포장용 제1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역할을 한다. 포장용 제1밴드는 PP 또는 PET 재질 등 플라스틱 밴드를 의미한다. 윈치샤프트부(300)는 제1밴드를 당기는 동작으로 스트래핑 과정에서 제1밴드에 텐션을 제공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윈치샤프트부(300)는 일단이 후술하는 웜휠(720)에 결합되어 축 회동한다. 또한, 타측에는 환형으로 균등하게 4분할 이격 배치되는 장착부재(310)가 형성되며, 제1밴드는 장착부재(310) 사이의 빈 틈으로 삽입 끼움된다. 장착부재(310)는 90도 간격으로 배치되며, 일정 반경을 갖는 외주면이 형성된다. 제1밴드는 어느 하나의 빈 틈으로 인입되어, 나머지 빈 틈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인출된다.
웜기어유닛(700)은 전동공구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을 윈치샤프트부(30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웜기어유닛(700)은 하우징(100)에 수용되는 내부 부품이다. 구체적으로, 웜기어유닛(700)은 웜샤프트(710), 웜휠(720) 등을 포함한다. 웜샤프트(710)는 일단이 홀더부(200)를 통해 노출되어 전동공구의 선단과 결합되는 부분이다. 웜샤프트(710)의 적어도 어느 일단에는 베어링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은 레이디얼 베어링일 수 있다. 웜샤프트(710)는 전동공구의 선단과 직결되어 전동공구에서 제공하는 회전력, 회전 속도 등으로 축 회동된다. 웜휠(720)은 웜샤프트(710)와 치합되어 감속 회동되는 기어 부분이다. 웜샤프트(710)와 웜휠(720)은 직교하는 축 사이에서 회전 속도를 변경시킬 수 있다.
피드휠유닛(400)은 제1밴드가 아닌 포장용 제2밴드가 사용되는 경우, 윈치샤프트부(300)에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가압에 의한 마찰력으로 제2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2밴드는 철 재질 등 금속 밴드를 의미한다. 즉, 제2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된다. 피드휠유닛(400)은 포장용 밴드의 종류에 따라 용이하게 탈부착된다. 그 결과, 본 공구는 이종 밴드를 겸용으로 스트래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피드휠유닛(400)은 피드휠(410), 제1널링플레이트(420), 제1널링링크(430), 커플러(4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피드휠(410)은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제1널링부(411)가 형성되어 있다. 제1널링부(411)는 가로 또는 경사 방향의 홈이 일정 패턴으로 반복 형성되어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용도를 갖는다. 또한, 피드휠(410)의 외주면 양단에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2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4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는, 피드휠(410)의 구동에 따라 제2밴드의 배치 방향이 달라지면서 제2밴드가 이탈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1널링플레이트(420)는 상면에 제2널링부가 형성되며, 제1널링부(411)와 접촉 상태에서 제2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한다. 이 때, 제1널링플레이트(420)는 후술할 레버(510)의 동작에 따라 연동되는 제1널링링크(430)에 의해 그 배치 상태가 변경된다. 한편, 제2널링부(미도시)는 제1널링부(411)에 대한 접촉 면적이 증가될 수 있도록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널링부의 곡률 반경은 피드휠(410)의 외주면 곡률 반경보가 큰 것이 바람직하다.
제1널링링크(430)는 제1널링플레이트(420)에 결합되며, 레버(510)가 당겨지면 접촉 상태를 해제시킨다. 제1널링링크(430)에 대한 동작을 상술하기 이전에 먼저 레버유닛(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레버유닛(500)은 하우징(1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510)와, 일단이 레버(510)와 결합되어 하우징(100)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레버링크(520)를 포함한다. 레버(510)는 힌지 축을 중심으로 사용자에 의한 가압에 따라 소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동한다. 한편, 레버(510)는 사용자가 전동공구의 손잡이부를 그립한 상태에서 엄지를 제외한 나머지 손가락으로 잡아 당겨진다. 따라서, 레버(510)는 하우징(100)의 상측 일정 높이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하우징(100)에는 하우징(100)에서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버지지부가 형성된다. 레버링크(520)는 레버(510)의 동작에 따라 일정 스트로크 범위 내에서 왕복 이동한다.
트랜스퍼링크(450)는 사각형 폐루프 모양으로 링크가 연결되어 내부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바디링크(451)와, 바디링크(451) 양측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링크(452)로 이루어진다. 한편, 트랜스퍼링크(450)는 레버(510)의 동작에 연동된다. 여기서, 바디링크(451)는 윈치샤프트부(300)의 후단에 배치된다. 윈치샤프트부(300)는 개구면을 통해 바디링크(451)에 관통할 수 있다. 한편, 개구면은 바디링크(451)가 배치되는 윈치샤프트부(300)의 외경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트랜스퍼링크(450)가 배치되면, 윈치샤프트부(300)의 후단에는 레이디얼 베어링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레이디얼 베어링은 개구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트랜스퍼링크(450)가 동작할 때, 윈치샤프트부(3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연장링크(452) 중 하나는 후술할 그립퍼유닛(600)을 구성하는 제1커넥팅링크(6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커넥팅링크(620)에는 레버링크(520)의 타단이 결합된다. 그 결과, 제1커넥팅링크(620) 및 트랜스퍼링크(450)는 레버(510)의 동작에 연동될 수 있다.
제1널링링크(430)는 트랜스퍼링크(450)에 결합되며,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제1널링링크(430)는 일단이 제1널링플레이트(420)에 결합되며, 타단을 통해 트랜스퍼링크(450)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제1널링링크(430)의 타단에는 제1널링링크(430)에 각각 결합되는 제1연결봉(431)이 배치된다. 그리고, 제1연결봉(431)은 이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연결봉(432)에 관통 결합된다. 제2연결봉(432)은 일단이 트랜스퍼링크(450)에 결합되고, 타단에는 트랜스퍼링크(450)의 동작에 따라 제1연결봉(431)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1널링링크(430)의 중간 하면에는 받침대(435)가 배치되어, 레버(510)가 당겨지면 제1널링링크(430)는 시소 동작에 의해 수평 상태에 있던 제1널링플레이트(420)를 경사 상태로 변경시킬 수 있다. 레버(510)가 당겨지면, 레버링크(520), 제1커넥팅링크(620), 트랜스퍼링크(450), 제2연결봉(432)이 연동하여 제1연결봉(431)이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 때, 제1널링링크(430)는 제1연결봉(431)이 상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타단에 위치하는 제1널링플레이트(420)가 하방으로 이동하게 동작한다. 그 결과, 피드휠(410)과 접촉 상태에 있던 제1널링플레이트(420)는 경사에 따른 틈이 발생하며 접촉 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 틈은 피드휠(410)의 외측면 방향으로 갈수록 더 크게 형성된다. 사용자는 틈을 이용하여 피드휠(410)과 제1널링플레이트(420) 사이에 제2밴드를 삽입 배치시킬 수 있다.
피드휠(410)은 윈치샤프트부(300)와 동축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운동을 한다. 이를 위해, 피드휠유닛(400)은 커플러(4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440)는 윈치샤프트부(300)의 타측에 결합되어 윈치샤프트부(300)와 피드휠(410)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커플러(440)는 제1커플러(441) 및 제2커플러(446)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제1커플러(441)는 윈치샤프트부(300)의 내측에 삽입되는 인서트샤프트(442)와, 인서트샤프트(442)의 일단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스포크가 형성되는 조인트휠(443)로 이루어진다. 인서트샤프트(442)와 조인트휠(443)은 일체로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조인트휠(443)의 외주면은 피드휠(410)의 내주면 일측에 끼움 결합된다.
한편, 조인트휠(443)에는 스포크와 스포크 사이에 형성되며, 장착부재(310)가 관통되어 밀착 결합되게 하는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샤프트(442)와 조인트휠(443)에는 후술한 노브볼트(460)의 나사봉이 관통 결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커플러(446)는 제1커플러(441)의 조인트휠(443)과 동일 형상이며, 외주면이 피드휠(410)의 내주면 타측에 끼움 결합된다. 이를 위해, 피드휠(410)의 내주면 중간에는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환형턱이 형성되어 있다. 그 결과, 피드휠(410)의 내주면 일측에는 제1커플러(441)의 조인트휠(443)이 끼움 결합되며, 피드휠(410)의 내주면 타측에는 제2커플러(446)의 조인트휠(443)이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440)는 윈치샤프트부(300)와 피드휠(410)의 결합력을 향상시켜 윈치샤프트부(300)의 회전력을 피드휠(410)에 효과적으로 전달시킬 수 있다.
노브볼트(460)는 스트래핑 과정에서 피드휠유닛(400)이 윈치샤프트부(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노브볼트(460)는 나사봉이 길게 형성되어 피드휠유닛(400)을 관통하여, 윈치샤프트부(300)의 후단 내주면과 결합될 수 있다.
그립퍼유닛(600)은 하우징(100)의 일측에 배치되며, 레버(510)가 당겨지면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도록 한다. 그립퍼유닛(600)은 그립퍼샤프트(610), 제1커넥팅링크(6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퍼샤프트(610)는 후단이 제1커넥팅링크(620)에 관통 결합된다. 그 결과, 그립퍼샤프트(610)는 레버(510)의 동작에 연동될 수 있다. 레버(510)가 당겨지면, 레버링크(520)가 제1커넥팅링크(620)를 일정 각도 회동시킨다. 이 때, 그립퍼샤프트(610) 역시 일정 각도 회동한다. 그 결과,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이 끼움될 수 있다.
한편,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그립퍼샤프트(610)의 선단에는 가압상판(612)이 결합된다. 한편, 가압상판(612)의 하면에는 제3널링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0)에는 가압상판(612)과 대향하는 위치에 가압하판이 형성될 수 있다. 제1밴드 또는 제2밴드가 가압하판의 상면에 배치된 상태에서 당겨진 레버(510)를 해제하면 그립퍼샤프트(610)는 원래 위치로 복귀 회동하면서 가압상판(612)은 제1밴드 또는 제2밴드를 그립하게 된다.
하우징(100)은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스프링은 당겨진 레버(510)를 해제할 때, 탄성 복원력을 통해 그립퍼샤프트(610), 제1커넥팅링크(620) 뿐만 아니라 레버(510) 등을 원래 위치로 복귀시킨다.
또한, 본 자동 포장용 공구는 절단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절단부(800)는 제1밴드를 절단하는 역할을 한다. 절단부(800)는 커터부(810), 커터커버부(820), 커터링크(8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커터부(810)는 레버(510)가 당겨지면 소정 각도 회동하여 커터커버부(820) 내측에 배치되는 제1밴드를 절단할 수 있다. 한편, 커터부(810)는 커터링크(830)와 결합된다. 또한, 커터링크(830)는 전술한 연장링크(452) 중 나머지 하나와 결합된다. 그 결과, 커터부(810)는 레버(510)의 동작에 연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포장용 공구는 전동공구가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포함한다. 즉, 스트래핑을 위한 회전력은 전동공구에서 제공된다. 또한, 피드휠유닛(400)이 착탈식으로 결합되는 구조를 통해 이종 밴드를 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피드휠유닛(400)에 의해 제2밴드가 스트래핑되는 경우, 전동공구의 회전력은 웜샤프트(710), 웜휠(720), 윈치샤프트부(300), 커플러(440)를 통해 피드휠(410)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제1널링플레이트(420)는 제1널링링크(430)의 시소 동작에 따라 수평 상태에서 경사 상태로 배치 상태가 변경되면서 이 때, 발생하는 틈을 통해 제2밴드를 삽입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 레버(510)가 당겨지면, 레버링크(520)가 레버지지부를 따라 상측 경사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커넥팅링크(620)를 소정 각도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 때, 그립퍼샤프트(610) 역시 일정 각도 회동하여 가압상판(612)은 가압하판에서 상승 배치된다. 또한, 이 때, 커터링크(830)는 시계 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된다. 그리고, 커터링크(830)와 동축으로 결합되는 커터부(810) 역시 회동하게 된다. 또한, 이 때, 트랜스퍼링크(450)는 제1커넥팅링크(620) 및 커터링크(830)의 회동에 따라 일측 방향으로 (도 7에서 좌측 방향) 이동 동작하며, 제2연결봉(432)을 상승시킨다. 그리고, 제1연결봉(431) 역시 일정 거리 상승하면서, 시소 동작에 따라 제1널링플레이트(420)를 경사 상태로 변경시킨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0: 하우징 200: 홀더부
300: 윈치샤프트부 400: 피드휠유닛
500: 레버유닛 600: 그립퍼유닛
700: 웜기어유닛 800: 절단부
210: 고정링부 220: 연결지지대
230: 시트부재
310: 장착부재 410: 피드휠
420: 제1널링플레이트 430: 제1널링링크
440: 커플러 411: 제1널링부
412: 이탈방지턱
510: 레버 520: 레버링크
441: 제1커플러 442: 인서트샤프트
443: 조인트휠 446: 제2커플러
450: 트랜스퍼링크 451: 바디링크
452: 연장링크 431: 제1연결봉
432: 제2연결봉 435: 받침대
460: 노브볼트
610: 그립퍼샤프트 620: 제1커넥팅링크
612: 가압상판
710: 웜샤프트 720: 웜휠
810: 커터부 820: 커터커버부
830: 커터링크

Claims (9)

  1.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의 선단이 삽입 결합되는 홀더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전동공구에서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포장용 제1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윈치샤프트부;
    상기 제1밴드가 아닌 포장용 제2밴드가 사용되는 경우, 상기 윈치샤프트부에 동축으로 결합되어 회동하며, 가압에 의한 마찰력으로 제2밴드의 타단을 감아 당기는 피드휠유닛;
    상기 하우징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레버와, 일단이 상기 레버와 결합되어 상기 하우징 내에서 왕복 이동하는 레버링크를 포함하는 레버유닛; 및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배치되며,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제1밴드 또는 제2밴드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그립퍼유닛;을 포함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2. 제1항에 있어서,
    제2밴드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력은 상기 하우징에 수용되는 웜기어유닛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웜기어유닛은 일단이 상기 홀더부를 통해 노출되어 전동공구의 선단과 결합되는 웜샤프트; 및 상기 웜샤프트와 치합되어 감속 회동되는 웜휠;을 포함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윈치샤프트부는 일단이 상기 웜휠에 결합되어 축 회동하며,
    타측에는 환형으로 균등하게 4분할 이격 배치되는 장착부재가 형성되며, 상기 제1밴드는 상기 장착부재 사이의 빈 틈으로 삽입 끼움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휠유닛은
    원통 형상이며, 외주면에 제1널링부가 형성되는 피드휠;
    상면에 제2널링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1널링부와 접촉 상태에서 상기 제2밴드에 마찰력을 제공하는 제1널링플레이트; 및
    상기 제1널링플레이트에 결합되며,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접촉 상태를 해제시키는 제1널링링크;를 포함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6. 제5항에 있어서,
    사각형 폐루프 모양으로 링크가 연결되어 내부에 개구면이 형성되는 바디링크와, 상기 바디링크 양측 외부로 연장되는 연장링크로 이루어지는 트랜스퍼링크;를 더 포함하며,
    상기 트랜스퍼링크는 상기 레버의 동작에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널링링크는 상기 트랜스퍼링크에 결합되며,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널링링크의 중간 하면에는 받침대가 배치되어, 상기 레버가 당겨지면 상기 제1널링링크는 시소 동작에 의해 수평 상태에 있던 상기 제1널링플레이트를 경사 상태로 변경시키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휠의 외주면 양단에는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제2밴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휠유닛은
    상기 윈치샤프트부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윈치샤프트부와 상기 피드휠을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커플러;를 포함하며,
    상기 커플러는,
    상기 윈치샤프트부의 내측에 삽입되는 인서트샤프트와, 상기 인서트샤프트의 일단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스포크가 형성되는 조인트휠로 이루어지되, 상기 조인트휠의 외주면은 피드휠의 내주면 일측에 끼움 결합되는 제1커플러; 및
    상기 조인트휠과 동일 형상이며, 외주면이 상기 피드휠의 내주면 타측에 끼움 결합되는 제2커플러;을 포함하는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0200140551A 2020-10-27 2020-10-27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KR102226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51A KR102226589B1 (ko) 2020-10-27 2020-10-27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0551A KR102226589B1 (ko) 2020-10-27 2020-10-27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589B1 true KR102226589B1 (ko) 2021-03-12

Family

ID=75177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0551A KR102226589B1 (ko) 2020-10-27 2020-10-27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5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9916B1 (ko) * 2023-06-27 2023-12-29 장근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WO2024010851A1 (en) * 2022-07-06 2024-01-11 Daniels Manufactur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ensioning a cable lacing tape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831A (ko) * 2009-03-04 2010-09-15 신환기 플라스틱 밴드 공급장치
KR101640453B1 (ko) * 2015-11-13 2016-07-18 황인철 동력 가변형 공구회전력증대장치
KR20170033316A (ko) 2014-07-21 2017-03-24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KR20180020170A (ko) 2015-06-23 2018-02-27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배터리 구동 플랫 텐셔너 공구
KR102131714B1 (ko) 2015-12-09 2020-07-09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전동식 조합의 휴대용 노치형 스트래핑 공구
US20200277090A1 (en) * 2017-01-30 2020-09-03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apparatus having an actuating element for the tensioning devic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99831A (ko) * 2009-03-04 2010-09-15 신환기 플라스틱 밴드 공급장치
KR20170033316A (ko) 2014-07-21 2017-03-24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전동식 조합형 휴대용 스트래핑 공구
KR20180020170A (ko) 2015-06-23 2018-02-27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배터리 구동 플랫 텐셔너 공구
KR101640453B1 (ko) * 2015-11-13 2016-07-18 황인철 동력 가변형 공구회전력증대장치
KR102131714B1 (ko) 2015-12-09 2020-07-09 시그노드 인더스트리얼 그룹 엘엘씨 전동식 조합의 휴대용 노치형 스트래핑 공구
US20200277090A1 (en) * 2017-01-30 2020-09-03 Signode Industrial Group Llc Strapping apparatus having an actuating element for the tension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851A1 (en) * 2022-07-06 2024-01-11 Daniels Manufacturing Corporation Apparatus for tensioning a cable lacing tape
KR102619916B1 (ko) * 2023-06-27 2023-12-29 장근철 사용 편의성이 향상된 자동 스트래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589B1 (ko) 이종 밴드의 사용이 가능한 착탈식 자동 포장용 공구
EP1108649B1 (en) Cable tie tensioning and severing tool
US5944064A (en) Tying method and tying apparatus for articles
EP2678228B1 (en) Hand-held strapper
KR0154402B1 (ko) 다면 날 커터를 갖는 가공물 압축 절삭 기구
EP3213619B1 (en) Winding mechanism for a string trimmer head
EP0384471A1 (en) Mowing apparatus
US10773841B2 (en) Tensioner/cutter tool for hose clamps and/or bands and attachments for tensioner/cutter
WO2014008493A2 (en) Externally-powered strapping tool and a strapping tool assembly utilized therein
TW528701B (en) Manually actuated strapping unit for wrapping a steel strap around a packaged item
EP0647560A1 (en) Strapping tool
JP2005124501A (ja) 刈払機のコード繰出し装置およびコード繰出し装置におけるコード配索方法
KR102315941B1 (ko) 클램프 고정 장치를 갖는 자동 스트래핑 포장용 공구
EP3290159B1 (en) Band reeling device
WO2017073237A1 (ja) ベルトサンダ
EP0756992B1 (en) Pneumatic strapping tool
JP3689488B2 (ja) ホース送り出し巻き取り装置
US11585394B2 (en) Work machine
KR102274724B1 (ko) 범용 전동공구의 사용이 가능한 자동 포장용 공구
JP6268005B2 (ja) ホース送出し巻取り装置
EP4029795B1 (en) Inner module structure of auto strapping packaging tool
KR102315934B1 (ko) 단일 핸들로 금속 클립의 결속이 가능한 수동 포장용 공구
CN111432624B (zh) 具有改进的线释放特征的修剪器头
US20210400878A1 (en) Modular Power Unit and Tool Using a Modular Power Unit
JP2022045445A (ja) 刈払機用コード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