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7592B1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 Google Patents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7592B1
KR102457592B1 KR1020200167937A KR20200167937A KR102457592B1 KR 102457592 B1 KR102457592 B1 KR 102457592B1 KR 1020200167937 A KR1020200167937 A KR 1020200167937A KR 20200167937 A KR20200167937 A KR 20200167937A KR 102457592 B1 KR102457592 B1 KR 102457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persimmon
fermented
natural
fermented persimm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8807A (ko
Inventor
정경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Priority to KR102020016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592B1/ko
Priority to EP20216960.3A priority patent/EP4008834A1/en
Priority to US17/132,721 priority patent/US11401655B2/en
Priority to CN202011557346.3A priority patent/CN114592361A/zh
Publication of KR20220078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8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3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natural dyestuff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61/00Dyes of natural origin prepared from natural sources, e.g. vegetable sourc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5/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5/19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macromolecular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D06M15/37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15/643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ntaining silicon in the main chain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36Dyeing and sizing in one proces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56Dyeing with polymeric dyes involving building the polymeric dyes on the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008Preparing dyes in situ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1/00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 D06P1/44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 D06P1/52Gener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general processes of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dyes,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mployed using insoluble pigments or auxiliary substances, e.g. binders using compositions containing synthetic macromolecular substances
    • D06P1/526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D06P1/529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containing Si-ato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2Locally enhancing dye affinity of a textile material by chemical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2After-treatment
    • D06P5/04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D06P5/08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macromolecula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15Locally discharging the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00Other features in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5/20Physical treatments affecting dyeing, e.g. ultrasonic or electric
    • D06P5/2066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 D06P5/2083Thermic treatments of textile materials heating with IR or microwav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047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using polymeric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02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 D06P3/04Material containing basic nitrogen containing amide groups
    • D06P3/14Wool
    • D06P3/145Wool using polymeric dy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PDYEING OR PRINTING TEXTILES;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 D06P3/00Special processes of dyeing or printing textiles, or dyeing leather, furs, or solid macromolecular substances in any form,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terial treated
    • D06P3/58Material containing hydroxyl groups
    • D06P3/60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 D06P3/605Natural or regenerated cellulose dyeing with polymeric dyes; building polymeric dyes on fibre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lo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염색된 원단이 변색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발색성, 항균성 및 소취율이 뛰어나고, 마찰 견뢰도, 일광 견뢰도 등의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method for natural dyeing using fermented persimmon juice}
본 발명은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염색된 원단이 변색되지 않고, 인체에 무해하며, 발색성, 항균성 및 소취율이 뛰어나고, 마찰 견뢰도, 일광 견뢰도 등의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연 염색이란 식물성, 동물성 또는 광물성 염료를 이용하여 직물에 색깔을 입히는 작업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천연 염색의 특징은 화학 염료에 비하여 색상의 채도가 높지 않고, 친환경적이며 인체 친화적인 요소가 많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천연 염색은 합성 염색에 비하여 색상이 자연스럽고, 심미성이 뛰어나며, 천연 재료를 염료로 가공하여 천연 염색함에 따라 항균성, 소취성 및 항-알레르기성과 같은 기능성을 가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천연 염료는 합성염료를 사용할 때 부수되는 폐수 및 악취 문제가 발생하지 않고 환경에 대한 친화성을 가진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천연염료는 염료의 생산량이 제한적이고, 염색물의 견뢰도가 만족스럽지 못하며, 염색얼룩이 생기기 쉬운 관계로 합성염료가 발전함에 따라 점차 그 이용이 줄어들어 현재는 특수한 용도 이외에 그 활용이 많지 않은 상태이다. 천연염료는 산지, 생육환경, 영양상태, 채취시기 등 여러 가지 환경변화에 따라 색소 성분의 함량이 달라지며, 색소를 추출하는 방법, 염색 방법 등에 따라서도 염색물의 색상이 달라지는 등 현대산업이 요구하는 대량생산에는 적합하지 않은 면이 많다는 점도 공업화가 부진한 이유 중 하나이다. 특히, 천연 염색시 염색물의 낮은 견뢰도는 가장 극복하기 어려운 문제점으로서 천연염료 염색기법의 현대화에 큰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한편, 감은 마과에 속하는 덩이줄기 채소로, 전통적으로 감물을 염료로서 섬유를 염색하는데 이용하여 왔다.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특허공개 제2015-105529호에서는 감물염료와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는 순수한 감물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천연염재로 부터 추출한 염료 및 얼룩 발생 방지를 위해 콩즙으로 직물을 전처리하는 과정을 필요로 하게 됨으로 염색과정 및 비용이 증가하게 되고 이에 따른 경제성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특정 조건으로 감물을 발효한 발효감물을 이용하여 천연염색을 진행한 원단으로, 발색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항균성이 우수하고, 일광, 세탁, 물, 땀 등으로 인해 천연 염색이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번호 제10- 2015-0105529 호(공개일 : 2015.09.17) 한국 등록특허번호 제10- 1751427호(공개일 : 2017.04.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색상이 변화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항균성 및 소취성이 우수하고, 소재의 형태와 변질이 없어 관리와 실용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자연염색성이 우수하며, 마찰 견뢰도, 일광 견뢰도 등의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발효감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은 발효감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원단과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 투입하고, 20 ~ 30℃의 온도에서 6 ~ 10시간 동안 밀봉 보관하는 제2단계, 밀봉 용기에서 꺼낸 원단을 발효감물에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건조시키는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제3단계, 염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하여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을 물에 18 ~ 30 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건조시키는 후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5단계 및 후처리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실리콘 코팅액을 코팅하여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는 제6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단계에서 준비한 발효감물은 생감 분쇄물을 18 ~ 30시간동안 숙성시키는 제1-1단계, 숙성시킨 생감 분쇄물을 착즙하여 감물을 제조하는 제1-2단계 및 제조한 감물을 800 ~ 1200일동안 발효시켜 발효감물을 제조하는 제1-3단계를 통해 제조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1단계의 숙성은 24 ~ 32℃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제1-3단계의 발효는 14 ~ 2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3단계의 침지는 3 ~ 11분동안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4단계의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은 2 ~ 6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4단계의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300 ~ 600ml를 분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5단계의 물은 90 ~ 11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실리콘 코팅액은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 및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을 1 : 8 ~ 12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65 ~ 7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5 ~ 3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5 ~ 85 중량%,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5 ~ 1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15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이고, n는 1 ~ 5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5, R6, R7, R8, R9,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이고, l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이고, q 및 p는 각각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원단은 면직물, 린넨, 실크직물 또는 모직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하기 조건 (1)을 만족할 수 있다.
(1) 1.0 ≤ B/A ≤ 1.25
상기 조건 (1)에 있어서, A는 원단의 평량(g/m2)을 나타내고, B는 천연염색 원단의 평량(g/m2)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은 마찰 견뢰도, 일광 견뢰도 등의 염색 견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친환경적이고, 염색 외관, 항균성 및 소취성이 우수하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가한다.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은 제1단계 내지 제6단계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의 제1단계는 발효감물을 준비할 수 있다.
제1단계에서 준비한 발효감물은 감을 착즙하여 제조한 감물을 발효하여 제조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제1-1단계 내지 제1-3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할 수 있다.
먼저, 발효감물을 제조하는 제1-1단계는 생감 분쇄물을 18 ~ 30시간, 바람직하게는 21 ~ 27시간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이 때, 생감 분쇄물은 자연에서 채취한 감을 세척하고, 이를 분쇄한 것일 수 있다.
만일, 제1-1단계의 숙성시간이 18시간 미만이면 제1-3단계를 진행하는데 있어서, 발효가 충분히 일어나지 않아 염착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시간을 초과하면 오염과 변질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1단계의 숙성은 24 ~ 32℃, 바람직하게는 26 ~ 3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숙성온도가 24℃ 미만이면 제1-3단계에서 발효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2℃를 초과하면 악취와 오염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는 제1-2단계는 제1-1단계에서 숙성시킨 생감 분쇄물을 착즙하여 감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1-2단계를 수행하기 전, 제1-1단계에서 숙성시킨 생감 분쇄물에서 발생한 기포를 제거한 후, 생감 분쇄물을 착즙하여 감물을 제조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는 제1-3단계는 제1-2단계에서 제조한 감물을 800 ~ 1200일, 바람직하게는 900 ~ 1100일동안 발효시켜 발효감물을 제조할 수 있다.
만일, 제1-3단계의 발효시간이 800일 미만이면 염제의 기능이 부족하여 염색이 고르게 되지 않을 수 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200일을 초과하면 염색의 수행하는데 있어 원단의 손상과 악취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3단계의 발효는 14 ~ 20℃, 바람직하게는 15 ~ 19℃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발효온도가 14℃ 미만이면 발효가 일어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20℃를 초과하면 과도한 기포생성으로 고른 염료 추출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의 제2단계는 원단과 제1단계에서 준비한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 투입하고, 20 ~ 30℃, 바람직하게는 22 ~ 28℃의 온도에서 6 ~ 10시간, 바람직하게는 7 ~ 9시간 동안 밀봉 보관할 수 있다.
제2단계에서 준비한 원단은 면직물, 린넨, 실크직물 또는 모직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면직물일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에서 준비한 원단의 평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44 ~ 64 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52 ~ 56 g/m2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만일, 제2단계의 밀봉 보관 온도가 20℃ 미만이면 발효감물이 원단에 충분히 안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를 초과하면 원단의 손상과 얼룩발생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2단계의 밀봉 보관 시간이 6시간 미만이면 발효감물이 원단에 충분히 안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0시간을 초과하면 원단의 손상과 발효감물 특유의 냄새가 원단에 남아있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의 제3단계는 밀봉 용기에서 꺼낸 원단을 제1단계에서 준비한 발효감물에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건조시키는 염색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3단계의 침지는 3 ~ 11분, 바람직하게는 5 ~ 9분동안 수행할 수 있고, 만일, 침지 시간이 3분 미만이면 발효감물이 원단에 충분히 안착되지 않아 얼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11분을 초과하면 원단이 손상될 뿐만 아니라 색상이 혼탁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또한, 제3단계의 건조는 침지시킨 원단을 꺼낸 후, 자연상태에서 원단이 완전히 마를때까지 수행할 수 있고, 대략적으로 1 ~ 5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의 제4단계는 염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하여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은 원단이 공기와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 수분, 산소 등에 의해서 원단을 발색시키는 공정으로서, 제4단계의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300 ~ 600ml, 바람직하게는 400 ~ 500ml를 분사할 수 있으며, 만일 물을 원단 1m2 당 300ml 미만으로 분사하게 된다면 원단에 발효감물이 고르게 안착되지 않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00ml를 초과하여 분사하게 된다면 색상의 선명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제4단계의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은 2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 6회, 더욱 바람직하게는 3 ~ 5회 반복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만일 제4단계의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2회 미만으로 반복하여 수행한다면, 발색의 문제가 있을 수 있고, 6회를 초과해서 반복하여 수행한다면 얼룩과 탁색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의 제5단계는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을 물에 18 ~ 30 시간, 바람직하게는 20 ~ 28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건조시키는 후처리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만일, 이와 같은 후처리공정을 수행하지 않는다면 염색 견뢰도가 하락하는 문제가 있을 수 다.
또한, 제5단계의 건조는 침지시킨 원단을 꺼낸 후, 자연상태에서 원단이 완전히 마를때까지 수행할 수 있고, 대략적으로 1 ~ 5시간동안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5단계의 침지 시간이 18시간 미만이면 색상의 지속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염색견뢰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고, 30시간을 초과하면 원단의 손상과 염료가 원단의 불안정하게 안착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한편, 제5단계의 물은 끓는 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90 ~ 110℃의 온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95 ~ 105℃의 온도, 더더욱 바람직하게는 대략 100℃의 온도를 가질 수 있다. 만일, 제5단계의 물의 온도가 90℃ 미만이면 견뢰도 및 소취율이 하락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의 제6단계는 후처리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실리콘 코팅액을 코팅하여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제6단계에서 제조한 천연염색 원단의 평량에 대해서는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46~ 66g/m2, 더욱 바람직하게는 54~ 58g/m2의 평량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기 조건 (1)을 만족할 수 있다.
(1) 1.0 ≤ B/A ≤ 1.25, 바람직하게는 1.0 ≤ B/A ≤ 1.14 더욱 바람직하게는 1.02 ≤ B/A ≤ 1.08
상기 조건 (1)에 있어서, A는 원단의 평량(g/m2)을 나타내고, B는 천연염색 원단의 평량(g/m2)을 나타낸다.
제6단계에서 사용한 실리콘 코팅액은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 및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을 1 : 8 ~ 12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 : 9 ~ 11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65 ~ 75 중량%, 바람직하게는 68 ~ 7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4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이고, n는 1 ~ 500을 만족하는 유리수, 바람직하게는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물질서비스요약번호(CAS No) 68083-19-2인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5 ~ 35 중량%, 바람직하게는 28 ~ 32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5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5, R6, R7, R8, R9,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3의 알킬기이고, l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15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물질서비스요약번호(CAS No) 68037-59-2인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5 ~ 85 중량%, 바람직하게는 78 ~ 8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5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 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8 ~ 12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6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 바람직하게는 C1 ~ C3의 알킬기이고, q 및 p는 각각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15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3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화학물질서비스요약번호(CAS No) 68083-18-1인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제6단계는 후처리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실리콘 코팅액을 도포하고, 100 ~ 150℃의 온도, 바람직하게는 110 ~ 140℃의 온도에서 1 ~ 5분간, 바람직하게는 2 ~ 4분간 경화하여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구현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의 구현예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현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준비예 1 : 발효감물의 제조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8월 초에서 8월 중순 사이에 수확한 생감을 세척 및 분쇄한 생감 분쇄물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생감 분쇄물을 28℃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숙성시켰다. 숙성에 의해 생감 분쇄물에서 발생한 기포를 제거한 후, 기포를 제거한 생감 분쇄물을 착즙하여 감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감물을 17℃의 온도를 유지하는 저장고에서 1000일 동안 발효시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2 : 발효감물의 제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과 달리, 숙성은 20℃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3 : 발효감물의 제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과 달리, 숙성은 40℃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4 : 발효감물의 제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과 달리, 발효는 7℃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5 : 발효감물의 제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과 달리, 발효는 30℃의 온도에서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6 : 발효감물의 제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과 달리, 발효는 600일동안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7 : 발효감물의 제조
준비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다만, 준비예 1과 달리, 발효는 1400일동안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발효감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준비예 1 : 감물의 제조
대한민국 경상북도 청도군에서 8월 초에서 8월 중순 사이에 수확한 생감을 세척 및 분쇄한 생감 분쇄물을 준비하였다. 준비한 생감 분쇄물을 28℃의 온도에서 24시간동안 숙성시켰다. 숙성에 의해 생감 분쇄물에서 발생한 기포를 제거한 후, 기포를 제거한 생감 분쇄물을 착즙하여 감물을 제조하였다.
준비예 8 : 실리콘 코팅액의 제조
(1)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7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30 중량%를 포함하는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2)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80 중량%,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10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 중량%를 포함하는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을 제조하였다.
(3) 상기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 및 상기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을 1 : 10 중량비로 혼합하여 실리콘 코팅액을 제조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7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메틸기이고, n는 1이다.
[화학식 2]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8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5, R6, R7, R8, R9, R11, R12, R13 및 R14는 메틸기이고, l 및 m는 1이다.
[화학식 3]
Figure 112020131266487-pat00009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메틸기이고, q 및 p는 1이다.
실시예 1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1) 원단으로 평량이 54g/m2인 면직물을 준비하였다.
(2) 준비한 원단과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 투입하고, 25℃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밀봉 보관하였다.
(3) 밀봉 용기에서 원단을 꺼낸 후, 원단을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에 7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꺼낸 후, 자연상태에서 원단이 완전히 마르도록 건조하는 염색공정을 수행하였다.
(4) 염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하고, 원단과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 건조하는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은 4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이 때,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450ml를 분사하였다.
(5)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을 100℃의 끓는 물에 24시간 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꺼낸 후, 수세하여 원단에 붙은 이물질을 제거한하고, 자연상태에서 원단이 완전히 마르도록 건조하는 후처리공정을 수행하였다.
(6) 후처리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준비예 8에서 제조된 실리콘 코팅액을 도포하고, 120℃의 온도에서 2분 30초동안 경화하여 평량이 56g/m2인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준비예 2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준비예 3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준비예 4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준비예 5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6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준비예 6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7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준비예 7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8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염색공정을 수행시, 침지는 7분 동안 수행하지 않고, 2분 동안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9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염색공정을 수행시, 침지는 7분 동안 수행하지 않고, 15분 동안만 수행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0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시,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450ml를 분사하지 않고, 원단 1m2 당 물 150ml를 분사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시,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450ml를 분사하지 않고, 원단 1m2 당 물 750ml를 분사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후처리공정을 수행시, 100℃의 끓는 물에 원단을 침지시키지 않고, 70℃의 물에 원단을 침지시켜,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 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사용하지 않고, 비교준비예 1에서 제조한 감물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 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원단과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서 밀봉 보관할 때, 25℃의 온도에서 밀봉 보관하지 않고, 45℃의 온도에서 밀봉 보관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 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다만, 실시예 1과 달리 원단과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서 밀봉 보관할 때, 25℃의 온도에서 밀봉 보관하지 않고, 5℃의 온도에서 밀봉 보관하여, 최종적으로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 원단의 제조
(1) 원단으로 평량이 54g/m2인 면직물을 준비하였다.
(2) 준비한 원단과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 투입하고, 25℃의 온도에서 8시간동안 밀봉 보관하였다.
(3) 밀봉 용기에서 원단을 꺼낸 후, 원단을 준비예 1에서 제조한 발효감물에 7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꺼낸 후, 자연상태에서 원단이 완전히 마르도록 건조하는 염색공정을 수행하였다.
(4) 염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하고, 원단과 공기가 접촉할 수 있는 환경에서 건조하는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하였으며,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은 4회 반복하여 수행하였다. 이 때,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450ml를 분사하였다.
(5)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준비예 8에서 제조된 실리콘 코팅액을 도포하고, 120℃의 온도에서 2분 30초동안 경화하여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 12 및 비교예 1 ~ 4를 통해 제조된 천연염색 원단 각각에 대해 하기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 ~ 3에 나타내었다.
1. 견뢰도
(1) ISO 105-X12 시험 규격에 의해서 마찰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2) KS K 0701:2014(B법, 제논아크법에 의함) 시험 규격에 의해서 땀일광 복합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3) KS K ISO 105 B02:2015(제논아크법에 의함) 시험 규격에 의해서 일광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4) KS K ISO 105 D01:2010 시험 규격에 의해서 드라이클리닝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5) KS K ISO 105 E04:2013 시험 규격에 의해서 땀 견뢰도를 측정하였다.
2. 드라이클리닝 치수변화율(용제 : 퍼클로로에틸렌)
KS K ISO 3759:2014, KS K ISO 3175-3:2014 시험 규격에 의해 드라이클리닝 치수변화율을 측정하였다.
* (+)부호 : 신장, (-)부호 : 수축
3. 소취율
가스검지관법에 의하여 소취율을 측정하였다.
1. 시험조건
① 시료량 : 10 cm X 10 cm(1.6 g)
② 시험가스 : 암모니아(NH3)
③ 주입된 시험가스의 농도 : 500 ㎍/mL
④ 시험용기의 부피 : 1000 mL
2. 시험환경
① 온도 : 20℃
② 습도 : 65%
3. 소취율(%) = [(Blank가스농도-Sample가스농도)/Blank가스농도] × 100
4. 항균도
KS K 0693:2016 시험 규격을 준용하여 항균도를 측정하였다.
* 1. 시험균종 :
시험균 ① : Staphylococcus aureus ATCC 6538 (황색포도상구균)
시험균 ② :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 (폐렴간균)
2. 접종균액의 농도 :
시험균 ① : 1.0 × 105 CFU/mL
시험균 ② : 0.9 × 105 CFU/mL
3. 대조편 : 표준면포
4. 비이온계면활성제 : Tween 80, 접종균액의 0.05 % 첨가
5. 염색 외관 평가
50명의 패널리스트에 의해 염색 외관을 평가하였으며, 각각의 패널리스트가 평가한 평균점수를 0 ~ 10점으로, 8점 이상인 경우 - 우수, 6 ~ 7점인 경우 - 양호, 4 ~ 5점인 경우 - 보통, 2 ~ 3점인 경우 - 다소미흡, 2점 미만인 경우 - 미흡으로 하여 염색 외관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20131266487-pat00010
Figure 112020131266487-pat00011
Figure 112020131266487-pat00012
표 1 ~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천연염색 원단은 견뢰도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치수변화율이 적고, 항균성 및 소취율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색 외관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이나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발효감물을 준비하는 제1단계;
    원단과 발효감물을 밀봉 용기에 투입하고, 20 ~ 30℃의 온도에서 6 ~ 10시간 동안 밀봉 보관하는 제2단계;
    밀봉 용기에서 꺼낸 원단을 발효감물에 3 ~ 11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건조시키는 염색공정을 수행하는 제3단계;
    염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물을 고르게 분사하여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하는 제4단계;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을 수행한 원단을 물에 18 ~ 30 시간동안 침지시키고, 침지시킨 원단을 건조시키는 후처리공정을 수행하는 제5단계; 및
    후처리공정을 수행한 원단의 양면에 실리콘 코팅액을 코팅하여 천연염색 원단을 제조하는 제6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발효감물은
    생감 분쇄물을 24 ~ 32℃의 온도에서 18 ~ 30시간동안 숙성시키는 제1-1단계;
    숙성시킨 생감 분쇄물을 착즙하여 감물을 제조하는 제1-2단계; 및
    제조한 감물을 14 ~ 20℃의 온도에서 800 ~ 1200일동안 발효시켜 발효감물을 제조하는 제1-3단계;
    를 통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산화중합에 의한 발색공정은 2 ~ 6회 반복하여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4단계의 분사는 원단 1m2 당 물 300 ~ 600ml를 분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5단계의 물은 90 ~ 110℃의 온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코팅액은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 및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을 1 : 8 ~ 12 중량비로 포함하고,
    상기 제1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65 ~ 7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25 ~ 35 중량%로 포함하고,
    상기 제2실리콘베이스 용액은 전체 중량%에 대하여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75 ~ 85 중량%, 이산화규소(silicon dioxide) 5 ~ 15 중량% 및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5 ~ 1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화학식 1]
    Figure 112020131266487-pat00013

    상기 화학식 1에 있어서, R1, R2, R3 및 R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이고, n는 1 ~ 5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고,
    [화학식 2]
    Figure 112020131266487-pat00014

    상기 화학식 2에 있어서, R5, R6, R7, R8, R9, R11, R12, R13 및 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이고, l 및 m는 각각 독립적으로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며,
    [화학식 3]
    Figure 112020131266487-pat00015

    상기 화학식 3에 있어서, R15, R16, R17, R18, R19, R20 및 R21은 각각 독립적으로 C1 ~ C5의 알킬기이고, q 및 p는 각각 1 ~ 300을 만족하는 유리수이다.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면직물, 린넨, 실크직물 또는 모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조건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1) 1.0 ≤ B/A ≤ 1.25
    상기 조건 (1)에 있어서, A는 원단의 평량(g/m2)을 나타내고, B는 천연염색 원단의 평량(g/m2)을 나타낸다.
KR1020200167937A 2020-12-04 2020-12-04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KR102457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37A KR102457592B1 (ko) 2020-12-04 2020-12-04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EP20216960.3A EP4008834A1 (en) 2020-12-04 2020-12-23 Natural dyeing method using fermented persimmon juice
US17/132,721 US11401655B2 (en) 2020-12-04 2020-12-23 Natural dyeing method using fermented persimmon juice
CN202011557346.3A CN114592361A (zh) 2020-12-04 2020-12-24 使用发酵柿子汁的天然染色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7937A KR102457592B1 (ko) 2020-12-04 2020-12-04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8807A KR20220078807A (ko) 2022-06-13
KR102457592B1 true KR102457592B1 (ko) 2022-10-21

Family

ID=7410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7937A KR102457592B1 (ko) 2020-12-04 2020-12-04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01655B2 (ko)
EP (1) EP4008834A1 (ko)
KR (1) KR102457592B1 (ko)
CN (1) CN11459236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27B1 (ko) * 2017-04-14 2017-06-27 김대균 발효감물을 이용한 섬유 염색방법 및 염색섬유
KR102018737B1 (ko) * 2018-12-19 2019-11-14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코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215507B (zh) * 2008-01-21 2010-12-01 福建农林大学 柿子白兰地酒及其制备方法
KR100933423B1 (ko) * 2008-02-04 2009-12-22 김두경 제주 갈천 염색견뢰도 개선을 위한 감태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KR20090086856A (ko) * 2008-02-11 2009-08-14 허북구 유용미생물을 이용한 속성 발효감물 염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995367B1 (ko) * 2008-10-13 2010-11-19 이윤하 청색 발색을 위한 염색 방법
KR101004658B1 (ko) * 2008-11-19 2011-01-04 김종백 천연염색방법
KR100943629B1 (ko) 2009-07-24 2010-02-24 재단법인나주시천연염색문화재단 감 타닌 발효액 제조 방법
US10334870B2 (en) * 2010-10-07 2019-07-02 Tropicana Products, Inc. Processing of whole fruits and vegetables, processing of side-stream ingredients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use of the processed fruits and vegetables in beverage and food products
CN102321982A (zh) * 2011-08-10 2012-01-18 无锡市联盛印染有限公司 一种利用柿子天然染料的染色方法
KR20150105529A (ko) 2014-03-06 2015-09-17 (재) 경북천연염색산업연구원 감물염료와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4480745B (zh) * 2014-12-16 2016-03-30 常州美胜生物材料有限公司 一种基于柿子提取物的织物染色工艺及相关染色织物的应用
KR101654083B1 (ko) * 2016-01-04 2016-09-05 김대균 발효감물을 이용한 직물 염색방법 및 염색직물
KR102018738B1 (ko) 2018-12-19 2019-11-14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코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656511A (zh) 2019-10-29 2020-01-07 樊俊国 一种柿染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1427B1 (ko) * 2017-04-14 2017-06-27 김대균 발효감물을 이용한 섬유 염색방법 및 염색섬유
KR102018737B1 (ko) * 2018-12-19 2019-11-14 주식회사 이새에프앤씨 염색 견뢰도가 우수한 코팅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592361A (zh) 2022-06-07
KR20220078807A (ko) 2022-06-13
US20220178072A1 (en) 2022-06-09
EP4008834A1 (en) 2022-06-08
US11401655B2 (en) 2022-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ji Functional dyeing of wool with natural dye extracted from Berberis vulgaris wood and Rumex hymenosepolus root as biomordant
CN107912427B (zh) 一种化妆品用花朵及其保色方法
US20120309077A1 (en) Novel process of dyeing and processing a natural textile product using natural dyes alongside neem and tulsi
CN106978716B (zh) 夏季清凉女装及其制备方法
KR100943629B1 (ko) 감 타닌 발효액 제조 방법
CN109050142A (zh) 一种鲜花精深加工方法
KR102457592B1 (ko) 발효감물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CN111576043B (zh) 一种防水纱的加工工艺
CN109536354A (zh) 一种牡丹鲜花酒及其制备方法
CN110055748A (zh) 一种织带用抗菌纤维制备方法
KR20100104585A (ko) 높은 염색견뢰도를 갖는 천연염색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염색된 천연직물
CN110025543B (zh) 一种菠萝叶微纤维面膜及其制备方法
CN106029857B (zh) 纤维柔顺剂组合物
KR101748005B1 (ko) 율피에서 추출한 천연염료를 이용한 염색방법
CN104082278B (zh) 一种化妆品用天然花瓣的保鲜方法及天然花瓣保鲜液
KR102462891B1 (ko) 항균소취 기능성 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이를 포함하는 형태안정성이 우수한 항균소취 기능성 복합원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73586B1 (ko) 항식중독 기능을 가진 수건 또는 행주로 유용하게 사용할수 있는 이질풀의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성 헝겊 및 이의제조 방법
KR20120096674A (ko) 견뢰도를 향상시킨 천연염색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천연직물
KR20220078808A (ko) 서랑을 이용한 천연염색방법
CN105287312B (zh) 头发干洗剂及其制备方法
CN108948782B (zh) 采用赤木屑来生产植物染料的方法
KR102265930B1 (ko) 대황 추출물을 이용한 섬유의 염색 방법
KR101895730B1 (ko) 밤송이를 이용한 일광견뢰도가 우수한 천연염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염색방법
KR101941492B1 (ko) 동백나무 잎을 이용한 초록색 염료 추출 및 직물 염색 방법
KR102058480B1 (ko) 섬유유연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