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868B1 -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 Google Patents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868B1
KR102456868B1 KR1020220078175A KR20220078175A KR102456868B1 KR 102456868 B1 KR102456868 B1 KR 102456868B1 KR 1020220078175 A KR1020220078175 A KR 1020220078175A KR 20220078175 A KR20220078175 A KR 20220078175A KR 102456868 B1 KR102456868 B1 KR 102456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x
packaging
small
carton box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8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육심길
류동연
Original Assignee
밸류플러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류플러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밸류플러스테크놀러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78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8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65/00Details peculiar to packaging machin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s of such details
    • B65B65/003Packaging lines, e.g. general layou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30Arranging and feeding articles in groups
    • B65B35/50Stacking one article, or group of articles, upon another before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35/00Supplying, feeding, arranging or orientating articles to be packaged
    • B65B35/56Orientating, i.e. changing the attitude of, articles, e.g. of non-uniform cross-section
    • B65B35/58Turning articles by positively-acting means, e.g. to present labelled portions in uppermost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06Packaging groups of articles, the groups being treated as singl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00Packaging individual articles in containers or receptacles, e.g. bags, sacks, boxes, cartons, cans, jars
    • B65B5/10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 B65B5/106Fill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progressively or in stages by introducing successive articles, or layers of articles by push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2220/00Specific aspects of the packaging operation
    • B65B2220/16Packaging contents into primary and secondary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 Filling Or Packaging Ope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다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 박스에 적재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이부가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 박스에 복수개 적재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후면부위로부터 걸이부가 돌출되어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측면 라벨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통과한 상기 소포장 카본박스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는 반전부; 상기 반전부로부터 배출되는 소포장 카톤박스를 상하방향으로 적재시키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로부터 적재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로 밀어서 투입시키는 포장투입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Packing apparatus for loading and packing the small carton box}
본 발명은 다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 박스에 적재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걸이부가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 박스에 복수개 적재하여 포장할 수 있도록 한 포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조 배터리, 헤드셋, 이어셋, 무선 블루투스 기기, 외장하드디스크 등의 모바일 기기 또는 컴퓨터 등의 액세서리, 각종 소형 제품 등은 소형 카톤박스에 수용되고, 이러한 소형 카톤박스는 판매 매장에서 걸어서 진열할 수 있도록 걸이부가 구비되어 있게 된다.
이러한 소포장 카톤박스의 일예로서, 도1에서와 같이 등록특허 제10-1702550호(포장박스)에서는 소형 제품을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부(10)가 구비되고, 상기 몸체부(10)의 상측을 덮도록 덮개부(40)가 구비되며, 상기 몸체부(10)의 후면부위 상단부위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된 걸이부(50)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걸이부(50)에는 걸이홈(51)에 형성되어 진열대에 걸어서 진열이 가능하도록 한다.
소형 제품을 제조하는 제조공장에서는 걸이부(50)가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에 제품을 수용시킨 다음 도2에서와 같이 걸이부(50)가 구비된 부위를 다른 소포장 카톤박스와 서로 맞대어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적재하여 출하하게 된다.
즉, 수작업에 의해 다른 소포장 카톤박스의 걸이부가 구비된 후면부위를 서로 맞대어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수납하는 것이 올바른 적재 형태이다.
그런데, 이러한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수납할 때 작업자가 일일이 수작업에 의해 적재하게 되므로, 작업시간이 증대되고, 또한 포장 수량과 적재 형태를 올바르게 하지 못한 경우에는 포장을 다시 해체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실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물론 작업 효율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81호(포장장치)에서는 다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적재하는 구조가 제안되어 있지만, 이러한 구조는 걸이부가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의 후면부위를 또 다른 소포장 카톤박스의 후면부위와 서로 맞대어 포장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다.
이러한 구조는 하나의 소포장 카톤박스의 후면부위와 또 다른 소포장 카톤박스의 전면부위가 맞대어 포장됨으로써 걸이부가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올바르게 패키지박스에 적재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닌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02550호
(포장박스)
2.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10981호
(포장장치)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컨베이어로 투입되는 소포장 카톤박스를 교대로 통과시키거나 또는 뒤집어서 이송시켜 적재시킴으로써 연결부가 구비된 후면부위가 서로 맞대어져 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포장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는,
후면부위로부터 걸이부가 돌출되어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측면 라벨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통과한 상기 소포장 카본박스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는 반전부;
상기 반전부로부터 배출되는 소포장 카톤박스를 상하방향으로 적재시키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로부터 적재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로 밀어서 투입시키는 포장투입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반전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걸이부의 하측을 밀어서 세우기 위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사선형태로 형성된 제1밀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로드에는 제2밀대가 구비되어 제1밀대에 의해 세워진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상측부위를 타측방향으로 밀어 반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1밀대는 상기 카톤박스를 밀어서 일으켜 세우기 위하여 카톤박스가 이동하는 방향의 선단부위가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제1밀대는 하측부위가 걸이부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부위로부터 후방부위로 갈수록 완만한 상향경사를 가지는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후방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제1경사부보다는 급격한 상향경사를 가지는 제2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에는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제3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에는 상기 반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컨베이어의 이송경로에 다시 정렬시키도록 제3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경사부의 하측에는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송되는 카톤박스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포장투입부는
상기 패키지박스가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부위의 덮개를 일시 고정시키는 덮개고정부;
상기 적재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상기 패키지 박스의 개구된 부위로 밀어넣은 투입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된 소포장 카톤박스의 투입력에 의해 세워진 패키지박스가 상기 덮개고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르면, 걸이부가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형태에 맞게 자동으로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적재하여 포장함으로써 작업자의 포장 실수에 따른 경제적 손실을 줄일 수 있음과 아울러 생산성이 크게 증가되는 장점을 갖는다.
도1은 걸이부가 형성된 일반적인 소포장 카톤박스의 구조를 보인 도.
도2는 소포장 카톤박스의 올바른 적재 형태를 보인 도.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
도4는 도3의 평면구조도.
도5는 인식부 및 반전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
도6 및 도7은 적재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
도8은 포장투입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에 예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다음에 상술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포장장치의 구조를 보인 도이고, 도4는 도3의 평면구조도이며, 도5는 인식부 및 반전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이다.
그리고, 도6 및 도7은 적재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이고, 도8은 포장투입부의 구조를 자세히 보인 도이다.
본 발명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는 도3 및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크게 인식부(100), 반전부(200), 적재부(300), 그리고 포장투입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인식부(100)는 투입가이드(110)를 통해 정렬되어 걸이부가 전방부위에 위치하도록 컨베이어(CV)로 투입되는 소포장 카톤박스의 외측면 표면에 인쇄된 라벨을 스캔하여 인식함으로써 걸이부를 갖는 소포장 카톤박스가 투입되고 있는지 아니면 걸이부가 없는 카톤박스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즉, 바코드 또는 QR 코드 등 광학적으로 인식이 가능한 라벨은 카톤박스의 일측에 인쇄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인식함으로써 걸이부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라벨에는 제품의 정보가 기록되고, 또한 그 제품의 정보에 따라서 카톤박스에 걸이부의 구비된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인식부(100)는 컨베이어(CV) 상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데, 제1스캐너(120)는 카톤박스의 우측부위를 스캔하게 되고, 제2스캐너(130)는 좌측부위를 스캔하게 된다.
상기 반전부(200)는 상기 인식부(100)를 통과한 카톤박스를 컨베이어(CV)를 통해 제공받게 되고, 카톤박스를 교대로 반전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서 상기 컨베이어(CV)의 일측에는 컨베이어(CV)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실린더(210)가 구비되고, 그 로드는 컨베이어(CV)의 폭방향으로 신장하게 되며, 로드의 선단에는 제1밀대(2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밀대(220)는 카톤박스가 정지되는 위치에서 걸이부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카톤박스를 밀어서 일으켜 세우기 위하여 카톤박스가 이동하는 방향의 선단부위의 하측부위가 전방 즉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는데, 이러한 돌출부위는 하측부위가 걸이부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부위로부터 후방부위로 갈수록 완만한 상향경사를 가지는 제1경사부(220-1)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220-1)의 후방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제1경사부(220-1)보다는 급격한 상향경사를 가지는 제2경사부(220-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사부(220)의 높이는 카톤박스가 모로 세워졌을 때 카톤박스와 비슷한 높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밀대(220)에는 상기 카톤박스가 이동하는 방향의 선단부위로부터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송되는 카톤박스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221)가 더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제1경사부(220-1)의 하측에는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송되는 카톤박스의 선단부위를 막아서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221)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스토퍼(221)의 높이는 이송되는 카톤박스의 높이보다 낮아서 걸이부의 하측으로 삽입되어 카톤박스를 막을 수 있게 되며, 상기 제1경사부(220-1)는 이러한 스토퍼(221)의 후방부위로부터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1실린더(210)의 상측에는 로드가 컨베이어(CV)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도록 제2실린더(230)가 구비되고, 그 로드에는 제2밀대(231)가 구비되어 모로 세워진 카톤박스의 상측을 타측으로 밀어서 반전되도록 한다.
상기 컨베이어(CV)의 타측에는 상기 컨베이어(CV)의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제3실린더(240)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3실린더(240)의 로드에는 상기 반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일어서 컨베이어(CV)의 이송경로에 다시 정렬시키게 된다.
상기 적재부(300)는 상기 반전부(200)에 의해 반전되거나 또는 반전되지 않은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가이드(310)를 통해 인가받아 적재공간으로 낙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적재공간에는 상하방향으로 승하강하는 적재판(320)이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적재판(320)은 벨트 형태로 된 제1승강부(330)에 의해 승하강이 이루어진다.
또한 적재판(320)에 적재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는 이송실린더(350)의 신장에 의해 이송밀대가 측방향의 승강공간으로 밀어서 이송시키게 되고, 상기 승강공간에서는 승강실린더(370)에 의해 승하강하는 승강부(360)에 이송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가 놓여짐으로써 상측으로 이송된다.
상기 포장투입부(400)는 상기 적재부(300)로부터 상측으로 이송된 복수의 적재된 카톤박스를 다시 측방향이송실린더(420)에 의해 측방향으로 밀게 되고, 측방향으로 이송된 복수의 적재된 카톤박스는 투입실린더(430)의 신장에 따른 투입밀대(440)의 전방 이동에 의해 전방으로 밀리면서 한꺼번에 패키지박스(500)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패키지박스(500)는 상기 투입밀대(440)를 바라보는 방향으로 개구되도록 세워지게 되는데, 그 세워진 상태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덮개고정부(450,451,452)가 구비되어 있다.
즉, 패키지박스(500)의 덮개(510,511,512)가 각각 상기 덮개고정부(450,451,452)에 지지되면서 덮개(510,511,512)가 완전히 열려지게 됨으로써 투입되는 카톤박스와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면서도 패키지박스(500)의 세워진 상태를 일시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러므로, 투입실린더(430)에 의해 적재된 소포장 카톤박스가 투입되면, 그 투입력에 의해 자연스럽게 덮개(510,511,512)가 덮개고정부(450,451,452)로부터 이탈하면서 받침대(460)에 의해 경사지게 눕혀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관계를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투입가이드를 통해 소포장 카톤박스를 투입하게 되는데, 이때 걸이부가 전방부위 상측에 위치하도록 투입하게 된다.
따라서 컨베이어(CV)에 의해 인식부(100)로 투입되고, 인식부(100)에 의해 올바른 제품이 투입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게 되며, 올바른 제품 즉 적재할 제품이 아닌 다른 제품이 투입되면, 별도의 컨트롤러는 즉시 컨베이어(CV)를 중지시키면서 알람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물론, 올바른 제품이라고 판단되면 컨트롤러는 컨베이어(CV)를 계속 구동시켜 카톤박스를 반전부(200)로 이송시키게 되며, 그 이송된 카톤박스는 반전부(200)를 그대로 통과하여 적재부(300)의 적재가이드(310)에 안내된 후 적재공간으로 투입된다.
이때, 상기 반전부(200)의 스토퍼(221)는 통과하는 카톤박스를 막아서지 않도록 제1밀대(220)가 후방으로 후진하여 위치하게 됨으로써 카톤박스가 곧바로 통과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적재판(320)은 완전히 상승된 상태이므로 카톤박스가 낙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재될 것이며, 적재가 이루어지면 카톤박스의 두께만큼 하강하게 된다.
2번째의 카톤박스가 인식부(100)로 투입되어 정상적인 제품이라고 판단되면, 반전부(200)로 투입되어 스토퍼(221)에 의해 정지되는데, 이때, 컨트롤러는 제1실린더(210)의 로드를 1단계 신장시켜 제1밀대(220)가 전진하도록 함으로써 스토퍼(221)가 카톤박스의 선단부위 즉 걸이부 하측에 위치하는 선단면에 걸리도록 하여 이송되는 카톤박스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후, 컨트롤러는 제1실린더(210)의 로드를 2단계 신장시킴으로써 제1밀대(220)가 전진하게 되고, 이로 인해 완만한 경사를 갖는 제1경사부(220-1)가 카톤박스의 걸이부의 하측으로 삽입되면서 카톤박스를 살짝 일으키게 되고, 이후 제1밀대(220)의 계속 전진에 의해 걸이부가 급격한 경사를 갖는 제2경사부(220-2)의 경사면을 타고 상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카톤박스가 모로 세워지는 것이다.
카톤박스가 세워지면, 컨트롤러는 제2실린더(230)를 신장시켜 모로 세워진 카톤박스의 상측부위를 제2밀대(231)가 타측으로 밀게 된다.
이에 따라 카톤박스는 180°반전되며, 동시에 제1실린더(210)와 제2실린더(230)는 원위치로 압축하여 복귀하게 됨과 아울러 제3실린더(240)가 신장하여 제3밀대가 반전된 카톤박스를 측면을 밀어서 컨베이어(CV)의 이송경로 상측으로 밀어넣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컨베이어(CV)에 의해 카톤박스는 이송된 후 적재부(300)로 적재되는데, 첫번째 카톤박스는 걸이부가 상측에 위치하도록 적재되어 있고, 두번째 카톤박스는 걸이부가 하측에 위치하도록 반전되어 있으므로, 걸이부가 위치한 카톤박스의 후면부위가 서로 맞대어져 적재된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서 홀수번째 카톤박스는 반전하지 않고 적재되고, 짝수번째 카톤박스는 반전되어 적재되는 것이다.
이때 적재판(320)은 카톤박스가 투입될 때마다 카톤박스의 두께만큼 하강하게 되어 정해진 갯수의 카톤박스가 반전과 비반전에 의해 적재되면, 이송실리더(350)에 의해 승강공간의 적재된 카톤박스가 측방향으로 이송되고, 이후 승강실린더(370)에 의해 포장투입부(400)로 승강하여 이송된다.
그리고 포장투입부(400)에서는 측방이송실린더(420)와 투입실린더(430)에 의해 적재된 복수의 카톤박스가 패키지박스(500)에 투입되어 포장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 예일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10 : 소포장 카톤박스
50 : 걸이부
100 : 인식부
110 : 투입가이드
120,130 : 스캐너
200 : 반전부
210 : 제1실린더
220 : 제1밀대
220-1 : 제1경사부
220-2 : 제2경사부
221 : 스토퍼
230 : 제2실린더
231 : 제2밀대
240 : 제3실린더
241 : 제3밀대
300 : 적재부
310 : 적재가이드
320 : 적재판
330 : 제1승강부
340 : 이송밀대
350 : 이송실린더
360 : 승강부
370 : 승강실린더
400 : 포장투입부
410 : 측방이송부
420 : 측방이송실린더
430 : 투입실린더
440 : 투입밀대
450,451,452 : 덮개고정부
500 : 패키지박스
511,512,153 : 덮개

Claims (4)

  1. 후면부위로부터 걸이부가 돌출되어 구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에 적재하기 위한 포장장치에 있어서,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측면 라벨을 인식하는 인식부;
    상기 인식부의 인식결과에 의해 상기 인식부를 통과한 상기 소포장 카본박스를 측방향으로 회전시켜 반전시키거나 또는 반전시키지 않고 통과시키는 반전부;
    상기 반전부로부터 배출되는 소포장 카톤박스를 상하방향으로 적재시키는 적재부;
    상기 적재부로부터 적재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대용량 패키지박스로 밀어서 투입시키는 포장투입부;로 구성되고,
    상기 반전부는
    상기 컨베이어의 일측에는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제1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1실린더 로드의 단부에는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걸이부의 하측을 밀어서 세우기 위하여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상향사선형태로 형성된 제1밀대가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제1실린더의 상측에는 상기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2실린더의 로드에는 제2밀대가 구비되어 제1밀대에 의해 세워진 상기 소포장 카톤박스의 상측부위를 타측방향으로 밀어 반전시키게 되며,
    상기 제1밀대는 상기 카톤박스를 밀어서 일으켜 세우기 위하여 카톤박스가 이동하는 방향의 선단부위가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더 돌출되되, 상기 제1밀대는 하측부위가 걸이부의 하측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전방부위로부터 후방부위로 갈수록 완만한 상향경사를 가지는 제1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경사부의 후방부위로부터 후방으로 갈수록 제1경사부보다는 급격한 상향경사를 가지는 제2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컨베이어의 타측에는 컨베이어의 폭방향으로 신장하는 제3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제3실린더의 로드에는 상기 반전된 소포장 카톤박스를 컨베이어의 이송경로에 다시 정렬시키도록 제3밀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사부의 하측에는 로드가 신축되는 방향으로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이송되는 카톤박스를 정지시키기 위한 스토퍼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투입부는
    상기 패키지박스가 세워진 상태에서 개구된 부위의 덮개를 일시 고정시키는 덮개고정부;
    상기 적재된 복수의 소포장 카톤박스를 상기 패키지 박스의 개구된 부위로 밀어넣은 투입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적재된 소포장 카톤박스의 투입력에 의해 세워진 패키지박스가 상기 덮개고정부로부터 이탈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장치.
KR1020220078175A 2022-06-27 2022-06-27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KR102456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75A KR102456868B1 (ko) 2022-06-27 2022-06-27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8175A KR102456868B1 (ko) 2022-06-27 2022-06-27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868B1 true KR102456868B1 (ko) 2022-10-21

Family

ID=838052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8175A KR102456868B1 (ko) 2022-06-27 2022-06-27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868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145A (ja) * 1985-02-25 1986-07-14 Iwaguro Seisakusho:Kk Ptpシ−トの反転装置
JPS63144404U (ko) * 1987-03-13 1988-09-22
JPH0551123A (ja) * 1991-08-26 1993-03-02 Rohm Co Ltd コンベア用反転装置
JPH07232714A (ja) * 1994-02-17 199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製品起立装置
KR19980067058A (ko) * 1997-01-31 1998-10-15 이상윤 면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
JP2001002023A (ja) * 1999-06-28 2001-01-09 Inter Pack:Kk カップ状商品の倒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00010981U (ko) * 2009-04-30 2010-11-09 보해양조주식회사 포장장치
KR102179336B1 (ko) * 2020-07-02 2020-11-16 이래용 자동 포장시스템용 두부 포장용기 반전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5145A (ja) * 1985-02-25 1986-07-14 Iwaguro Seisakusho:Kk Ptpシ−トの反転装置
JPS63144404U (ko) * 1987-03-13 1988-09-22
JPH0551123A (ja) * 1991-08-26 1993-03-02 Rohm Co Ltd コンベア用反転装置
JPH07232714A (ja) * 1994-02-17 1995-09-05 Mitsubishi Heavy Ind Ltd 製品起立装置
KR19980067058A (ko) * 1997-01-31 1998-10-15 이상윤 면용기를 포장상자에 포장하는 방법
JP2001002023A (ja) * 1999-06-28 2001-01-09 Inter Pack:Kk カップ状商品の倒立方法及びその装置
KR20100010981U (ko) * 2009-04-30 2010-11-09 보해양조주식회사 포장장치
KR102179336B1 (ko) * 2020-07-02 2020-11-16 이래용 자동 포장시스템용 두부 포장용기 반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2296067U (zh) 一种周转箱立体仓库出入库输送系统
US9926147B2 (en) Stacking device and stacking method
CN107810155B (zh) 用于装载存储区域的装置和方法
JPH0611618B2 (ja) 物品のパレタイジング装置
US10940965B2 (en) Device and method for assembling items for shipment
CN211568446U (zh) 包装装置和提取装置
CN212267952U (zh) 一种烟条入箱二维码识别装置
KR20170018319A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CN109896095B (zh) 物品输送设备
KR20170018317A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KR20170018315A (ko) 컨테이너 승강 반송 장치
CN207292594U (zh) 一种全自动放顶部护角打包机
WO2012032865A1 (ja) 仕分システムと仕分方法
KR102456868B1 (ko) 소포장 카톤박스를 적재하여 포장하기 위한 포장장치
JP2002249225A (ja) ワークの段積み装置及びその装置を用いた段積み方法
US4345413A (en) Box lidding system and apparatus
WO2019152861A1 (en) High density container gripping system and method
EP4121355B1 (en) Grasping system and method for inserting separation sheets in a receptacle
ITBO20010701A1 (it) Sistema per lo stoccaggio ed il recupero automatico di oggetti , e dispositivo di trasferimento impiegato nel sistema .
JP6475924B2 (ja) 物品保管仕分け装置
JPH07291451A (ja) 箱物の段積み方法及びその装置
JPH06135511A (ja) 段積みしたシート状包装体の自動ピッキング方法及び装置
JP2972991B2 (ja) 板状部材のコンテナ収容装置
JP5478694B2 (ja) 箱詰め装置
JP5190026B2 (ja) 箱詰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