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639B1 - 조립식 선풍기 - Google Patents

조립식 선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639B1
KR102456639B1 KR1020220047731A KR20220047731A KR102456639B1 KR 102456639 B1 KR102456639 B1 KR 102456639B1 KR 1020220047731 A KR1020220047731 A KR 1020220047731A KR 20220047731 A KR20220047731 A KR 20220047731A KR 102456639 B1 KR102456639 B1 KR 1024566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nd
unit
fan
hea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7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철
김지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벤처스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벤처스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벤처스랩
Priority to KR1020220047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6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5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 F04D29/52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0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 F04D29/6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 F04D29/644Mounting; Assembling; Disassembling of axi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10/00Working fluids
    • F05D2210/10Kind or type
    • F05D2210/12Kind or type gaseous, i.e. compressi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60/00Function
    • F05D2260/30Retaining components in desired mutua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탠드부가 베이스부와 헤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탠드부가 베이스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스탠드부와 베이스부 간의 연결 부위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제1접속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스탠드부와 헤드부 간의 연결 부위에는 전원 연결을 위한 제2접속부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조립식 선풍기{assembly type fan}
본 발명은 비사용시 보관 공간 혹은, 배송시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조립식 선풍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풍기는 전기를 이용한 회전날개의 회전으로써 바람을 송풍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선풍기는 통상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탠드부와,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는 헤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내에는 각종 회로부품이 내장된다.
그러나, 종래의 일반적인 선풍기는 베이스부의 폭과 스탠드부의 높이, 헤드부의 폭 및 두께로 인해 포장 혹은, 보관 박스의 부피가 크고 길이가 길수밖에 없었다. 이로써 선풍기의 비사용시 보관을 위한 보관 공간이 충분히 커야할 뿐 아니라 물류 비용 역시 비쌀 수밖에 없었던 단점이 있다.
이에 최근에는, 선풍기를 접을 수 있도록 구성하여 전체적인 보관 부피를 줄이고자 하는 노력이 있었다.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577호(선행기술 1), 공개특허 제10-2010-0124454호(선행기술 2), 등록특허 제10-2187062호(선행기술 3), 등록특허 제10-2191556호(선행기술 4), 공개특허 제10-2020-0092871호 등에 제시되고 있는 바와 같다.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접이식 선풍기는 스탠드부를 상하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부가 베이스부에 겹쳐지며, 이로써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게 된 것이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접이식 선풍기는 다음의 각종 문제점 혹은, 단점을 가진다.
먼저, 종래의 접이식 선풍기들은 각 구성요소별 연결 부위를 접는 방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접힘 부위가 접힘 방향으로 원치않게 기울어지거나 접히는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선풍기는 헤드부를 베이스부에 겹치기 위해서는 스탠드부의 길이를 최대한 짧게 이루도록 조작하여야만 한다. 이에 따라 스탠드부를 길게 구성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 3 및 선행기술 4와 같이 스탠드부의 길이를 짧을 수록 스탠드부를 길게 연장할 경우 헤드부와의 연결 부위가 가늘어져 해당 부위의 파손 우려와 같은 구조의 신뢰성이 낮을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술된 종래의 접이식 선풍기는 베이스부에 각종 회로 부품이 구비되면서 헤드부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베이스부의 회로 부품과 헤드부의 모터를 연결하기 위한 전원선이 필요하다. 하지만, 전술된 종래의 접이식 선풍기는 상기 전원선을 고려하지 않고 스탠드부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구성하거나 각 연결 부위를 접이식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전원선의 끊김이나 손상과 같은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크다.
또한, 종래의 접이식 선풍기는 각 구성요소별 연결 부위가 접힘 방향으로만 동작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스탠드부에 대하여 헤드부가 좌우 회전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가 없었다. 즉, 헤드부는 어느 한 방향으로만 바람을 송풍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6577호 공개특허 제10-2010-0124454호 등록특허 제10-2187062호 등록특허 제10-2191556호 공개특허 제10-2020-0092871호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다음의 각종 기술적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은 스탠드부가 베이스부와 헤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탠드부가 베이스부에 보관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탠드부를 복수로 제공하면서도 필요에 따라 부가하거나 혹은, 생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필요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스탠드부와 헤드부가 분리 가능하면서도 스탠드부에 대하여 헤드부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베이스부와, 스탠드부와,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각 구성요소가 모두 서로 분리되면서 보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스탠드부와 베이스부 간의 연결 부위에 제1접속부가 구비됨과 더불어 스탠드부와 헤드부 간의 연결 부위에는 제2접속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부와 베이스부 혹은, 스탠드부와 헤드부는 서로 전원 공급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스탠드부는 둘 이상 복수의 단위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부는 복수의 단위스탠드로 분할될 수 있으며,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거나 필요에 따라 단위스탠드를 가감하여 스탠드부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복수의 단위스탠드들은 서로 연결 혹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부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각 단위스탠드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접속부 혹은, 제2접속부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각 단위스탠드 간의 연결에 의해 베이스부로 인가된 전원이 헤드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베이스부에는 스탠드부가 수용되는 스탠드 수용홈이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스탠드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고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스탠드 수용홈은 베이스부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관중인 스탠드부의 외부 노출이 방지되고, 스탠드부의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헤드부는 송풍팬과, 송풍팬의 후방에 위치되는 팬모터와, 송풍팬을 감싸는 팬하우징과, 팬모터를 감싸는 모터하우징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베이스부에는 모터하우징이 수용되는 하우징 수용부가 요입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베이스부와 헤드부의 결합시 보관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하우징 수용홈은 베이스부의 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보관중인 헤드부의 모터하우징에 대한 외부 노출이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베이스부에는 외부 전원의 인가를 위한 전원접속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전원접속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로써 전원선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에 따르면, 베이스부에는 스탠드부 혹은, 헤드부의 일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조립식 선풍기의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각종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의 전부가 베이스부 및 헤드부와는 분리된 상태로 베이스부에 삽입 장착되면서 보관되기 때문에 최소화된 부피로 보관 혹은,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는 헤드부가 스탠드부와는 분리됨과 더불어 그의 일부는 베이스부에 삽입 장착되면서 보관되기 때문에 최소화된 부피로 보관 혹은,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는 헤드부와 스탠드부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헤드부가 스탠드부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바람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가 복수의 단위스탠드로 구분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헤드부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를 이루는 복수의 단위스탠드가 서로의 결합에 의해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베이스부로부터 헤드부에 이르기까지의 전원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분해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전방측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배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를 저부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베이스부에 두 단위스탠드를 결합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0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베이스부에 두 단위스탠드가 결합된 상태의 결합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베이스부에 두 단위스탠드와 헤드부를 결합하는 상태의 분해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두 단위스탠드간 결합 구조의 요부 사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두 단위스탠드간 결합 구조의 요부 분해 사시 단면도
도 14는 도 6의 “A”부 확대도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헤드부에 대한 절개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전원접속부에 대한 결합 구조를 나타낸 요부 분해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비사용시 상태의 평면측 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비사용시 상태의 저면측 사시도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분해시 상태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조립시 상태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크게 베이스부(100)와 스탠드부(200) 및 헤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면서 서로는 분리 및 조립 가능하게 형성되면서 필요에 따라 분리하거나 혹은, 조립해서 사용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를 각 구성요소 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베이스부(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부(100)는 바닥에 안착되는 부위이다. 이때, 상기 바닥은 실내의 바닥과 같은 지면이 될 수도 있고, 책상 혹은, 여타 물건의 상면과 같이 조립식 선풍기를 얹을 수 있는 부위가 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은 바닥에 얹힐 경우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지지 않도록 형성된다. 즉, 베이스부(10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는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다른 부위는 상기 평면보다 저부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높이가 동일한 복수의 돌출 부위를 서로 대칭되는 부위에 각각 형성함으로써 베이스부(100)가 기울어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에는 후술될 스탠드부(200)의 결합을 위한 스탠드 결합홈(110)(도 1 참조)이 형성된다.
상기 스탠드 결합홈(11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요입되게 형성되면서 스탠드부(200)가 삽입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첨부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탠드 결합홈(110)에는 접속단자(111)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속단자(111)는 해당 스탠드 결합홈(110) 내로 삽입되는 스탠드부(200)의 접속단자(도시는 생략됨)와 접촉되면서 서로 통전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스탠드 결합홈(110)의 접속단자(111) 및 스탠드부(200)의 접속단자 간 접속에 의해 서로는 전원 연결이 가능한 상태를 이룬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은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대한 구조가 도시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용홈(120,130)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120,130)은 스탠드부(200) 혹은, 헤드부(300)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함으로써 보관 부피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구조이다.
이러한 수용홈(120,130)은 스탠드부(200)를 수용하기 위한 스탠드 수용홈(12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스탠드부(200)가 베이스부(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스탠드 수용홈(120)에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부피를 최소화함과 더불어 별도 보관으로 인한 분실 위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스탠드 수용홈(120)은 상기 스탠드부(200)가 완전히 수용될 수 있을 정도의 깊이 및 폭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로써 스탠드 수용홈(120) 내에 스탠드부(200)가 수용되더라도 상기 스탠드부(200)가 베이스부(100)의 저면으로부터 저부로 돌출됨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 수용홈(120)에는 상기 스탠드부(200)의 삽입시 해당 스탠드부(200)가 원치않게 분리되지 않도록 분리방지돌기(12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분리방지돌기(121)는 스탠드부(200)의 원활한 삽입 및 분리를 위해 탄력 변형 혹은, 탄력 동작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용홈(120,130)은 헤드부(300)를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수용홈(130)이 포함될 수 있다. 즉, 헤드부(300)가 베이스부(100) 및 스탠드부(2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 수용홈(130)에 일부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관 부피를 최소화한 것이다.
상기 하우징 수용홈(130)은 상기 헤드부(300) 중 팬모터(320)가 설치되면서 스탠드부(200)와 연결되는 부위가 수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수용홈(13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 중앙에 배치되고, 상기 스탠드 수용홈(12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 중 상기 하우징 수용홈(130)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스탠드부(200)는 베이스부(100)와 헤드부(300)를 연결하는 부위로써, 상기 베이스부(100)의 상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탠드부(200)의 외관은 원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스탠드부(200)의 외관은 다각 기둥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스탠드부(200)는 내부가 빈 파이프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해당 스탠드부(200)의 무게를 저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상기 스탠드부(200) 내부로 전원선(200a)이 연장되거나 혹은, 전원 연결을 위한 회로기판(도시는 생략됨)이 설치하는 등의 구성이 가능하다. 이때, 미설명부호 200b는 상기 전원선(200a)이 수용되면서 가이드되는 가이드부재이다.
한편, 상기 스탠드부(200)는 서로 연결 혹은, 분리 가능한 둘 이상 복수의 단위스탠드(201,20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단위스탠드(201,202)를 서로 연결하거나 혹은, 일부 생략함으로써 스탠드부(200)의 높낮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단위스탠드(201,202)가 두 개로 제공됨을 예시하고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단위스탠드(201,202)는 셋 이상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위스탠드(201,202)는 서로의 연결 부위가 맞물림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어느 한 단위스탠드(제1단위스탠드)(201)의 끝단(예컨대, 상단) 일부가 다른 한 단위스탠드(제2단위스탠드)(202)의 끝단(예컨대, 하단)에 삽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각 단위스탠드(201,202)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1접속부(210) 혹은, 제2접속부(220)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접속부(210)는 스탠드부(200)와 베이스부(100) 간의 전원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구성요소이고, 제2접속부(220)는 스탠드부(200)와 헤드부(300) 간의 전원 연결을 위해 제공되는 구성요소이다.
상기한 제1접속부(210) 혹은, 제2접속부(220)는 전원 연결을 위한 메일형의 커넥터 및 피메일형의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접속부(210)는 스탠드부(200)의 하단에 구비되는 메일형의 커넥터로 형성되고, 제2접속부(220)는 스탠드부(200)의 상단에 구비되는 피메일형의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탠드부(200)가 복수의 단위스탠드(201,202)로 구성될 경우 첨부된 도 1과 도 9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단위스탠드(201,202)의 하단에는 메일형의 커넥터로 형성되는 제1접속부(210)가 구비되고, 각 단위스탠드(201,202)의 상단에는 피메일형의 커넥터로 형성되는 제2접속부(220)가 구비된다. 이로써, 각 단위스탠드(201,202)는 하나만 사용되거나 둘 이상 복수가 사용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각 단위스탠드(201,202)의 제1접속부(210)는 서로 동일한 형상일 수도 있지만 실시예의 각 도면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각 단위스탠드(201,202) 내로는 상기 각 접속부(커넥터)(210,220) 간을 연결하는 전원선(200a) 혹은, 각 접속부(210,220)가 양단에 고정된 기판(도시는 생략됨)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단위스탠드(201,202)는 구속부(230)에 의해 서로의 결합시 구속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속부(230)는 후크 구조와 같이 서로 맞물릴 경우 구속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의 겹침 부위를 체결하는 나사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컨대, 일 예로써 도 1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구속부(230)는 누름부재(231)의 누름 조작에 의해 서로 맞물린 걸림턱(232,233)이 분리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헤드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300)는 바람을 생성하여 제공하는 부위이다.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스탠드부(200)의 상단에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부(200)로부터 전원을 전달받아 동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헤드부(300)는 송풍팬(310)과, 송풍팬(310)의 후방에 위치되는 팬모터(320)와, 송풍팬(310)을 감싸는 팬하우징(330) 및 팬모터(320)를 감싸는 모터하우징(3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하우징(340)은 상기 팬하우징(330)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하우징 수용홈(130)은 상기 모터하우징(340)을 수용하도록 모터하우징(340)의 외경과 길이를 고려한 내경 및 요입 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첨부된 도 14 및 도 15와 같이 상기 모터하우징(34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방 부위에는 상기 스탠드부(200)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350)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350)는 상기 모터하우징(340)의 저면으로부터 저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스탠드부(200)의 제1접속부(210)에 접속되도록 피메일형의 커넥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면부호 351은 메일형의 단자이고, 도면부호 211은 피메일형의 단자가 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된 바와는 달리 상기 결합부(350)는 모터하우징(34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350)는 상기 헤드부(300)의 모터하우징(340)에 대하여 좌우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기 결합부(350)는 스탠드부(200)에 결합되고, 상기 스탠드부(200)는 고정된 상태임을 고려한다면 상기 헤드부(300)의 모터하우징(340)이 상기 결합부(350)에 대하여 좌우 회전될 수 있다.
물론,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탠드부(200) 중 결합부(350)와의 결합 부위를 회전 가능하게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팬하우징(330)은 베이스부(100)의 외경과 동일한 크기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모터하우징(340)을 베이스부(100)의 하우징 수용홈(130)에 삽입 결합할 경우 팬하우징(330)의 외경과 베이스부(100)의 외경은 동일한 크기를 이루면서 일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보관시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모터하우징(340)은 상기 팬하우징(330)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모터하우징(340)과 상기 팬하우징(330)을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하거나 혹은, 상기 모터하우징(340)을 팬하우징(330)에 나사나 여타 결합 구조를 이용하여 결합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모터하우징(340)은 상기 결합부(350)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헤드부(300)는 상기 결합부(350)를 회전 중심으로 좌 혹은, 우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써 헤드부(300)의 좌우 각도 조작을 통해 바람의 방향을 달리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헤드부(300)에는 회전용모터(360)가 더 구비된다. 이로써 상기 헤드부(300)는 상기 회전용모터(360)의 구동 제어에 의해 결합부(350)로부터 좌 혹은, 우측으로의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첨부된 도 6과 같이 상기 결합부(350)의 상단 둘레에는 기어잇(351)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용모터(360)에는 상기 기어잇(351)에 맞물리는 피니언(361)을 결합함으로써 상기 회전용모터(360)의 동작 제어로 헤드부(3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모터하우징(340)에는 연결줄(300a)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줄(300a)은 첨부된 도 17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휴대시, 보관시 등에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18은 도 17의 상태를 저부에서 본 도면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전원접속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접속부(400)는 외부 전원을 베이스부(100)에 인가하기 위한 구성이다.
첨부된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접속부(4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전원접속부(400)를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제공함으로써 보관시 전원선을 따로 보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첨부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는 접속홈(140)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전원접속부(400)는 상기 접속홈(140)과 동일 또는,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상기 접속홈(140)에 수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접속홈(140)과 전원접속부(400) 간의 대향면에는 서로 접촉되면서 통전되는 단자(141,401)가 각각 구비된다. 이로써 외부 전원을 상기 베이스부(100)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속홈(140)과 전원접속부(400) 간의 대향면에는 자성체(도시는 생략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로써 서로의 결합시 원치않게 분리됨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홈(140)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 중 어느 한 둘레를 향해 개방되게 형성된다. 이로써 상기 접속홈(140)에 장착되는 전원접속부(400)의 전원선이 상기 개방 부위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게 된다.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사용 상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 11과 도 17 및 도 18은 보관시의 상태이다.
이의 경우에는 베이스부(100)의 각 수용홈(120,130) 및 접속홈(140)에 각 단위스탠드(201,202), 헤드부(300)의 모터하우징(340), 전원접속부(400)가 각각 수용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때, 모터하우징(340)에 제공되는 연결줄(300a)은 상기 베이스부(100)의 스탠드 결합홈(110)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이로써 휴대시 파지하고 다니거나 보관시 고리 등에 걸어둘 수 있다.
다음으로, 조립식 선풍기의 사용시에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각 단위스탠드(201,202), 헤드부(300)를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 분리된 헤드부(300)와 스탠드부(200) 및 베이스부(100)를 서로 결합한다.
즉, 베이스부(100)의 스탠드 결합홈(110)에 스탠드부(200)의 일단을 결합하고, 헤드부(300)의 결합부(350)에는 스탠드부(200)의 타단을 결합한다.
만일, 상기 스탠드부(200)가 두 단위스탠드(201,202)로 형성될 경우 제1단위스탠드(201)의 하단은 베이스부(100)의 스탠드 결합홈(110)에 삽입 결합됨과 더불어 상단은 제2단위스탠드(202)의 하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단위스탠드(202)의 상단은 헤드부(300)의 결합부(350)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1단위스탠드(201)의 제2접속부(220)는 베이스부(100)의 스탠드 결합홈(110)에 형성되는 접속단자(111)에 결합되면서 통전되고, 제2단위스탠드(202)의 제1접속부(210)는 헤드부(300)의 결합부(350)에 결합되면서 통전된다. 각 단위스탠드(201,202)의 경우 서로의 대향면에 마련되는 커넥터(제1접속부와 제2접속부)(210,220)의 맞물림에 의해 서로 통전된다.
상기 단위스탠드(201,202)는 하나만 제공될 수도 있고, 둘 이상 복수가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헤드부(300)의 높이를 낮게 유지하고자 할 경우 하나의 단위스탠드만 제공하고, 헤드부(300)의 높이를 높게 유지하고자 할 경우 복수의 단위스탠드를 서로 결합하여 제공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접속홈(140)에는 전원접속부(400)를 결합하고, 상기 전원접속부(400)로부터 인출되는 전원선(410)은 외부 전원에 연결한다.
따라서, 외부 전원은 전원접속부(400)에 접속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에 접속되는 스탠드부(200) 및 스탠드부(200)에 접속되는 헤드부(300)를 통해 상기 헤드부(300) 내의 팬모터(320) 및 회전용모터(360)에 공급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이 조립된 선풍기는 외부 전원의 인가로써 팬모터(320)가 구동됨에 따라 바람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특히, 회전용모터(360)의 동작 제어에 의해 헤드부(300)의 좌우 반복적인 회전이 가능함과 더불어 좌 혹은, 우측으로 바람의 방향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회전용모터(360)의 동작 제어에 의한 피니언(361)의 정역 회전으로 헤드부(300)의 모터하우징(340)이 결합부(350)를 기준으로 좌우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다음은,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의 비사용시 보관 상태를 설명한다.
먼저, 조립식 선풍기의 비사용시에는 헤드부(300)와 스탠드부(200) 및 베이스부(100)를 서로 분리한다.
즉, 베이스부(100)의 스탠드 결합홈(110)으로부터 스탠드부(200)의 일단을 분리하고, 헤드부(300)의 결합부(350)로부터 스탠드부(200)의 타단을 분리한다. 만일, 상기 스탠드부(200)가 두 단위스탠드(201,202)로 형성될 경우 상기 두 단위스탠(201,202)드 간도 서로 분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분리된 스탠드부(200) 및 헤드부(300)를 베이스부(100)의 저면에 형성된 각 수용홈(120,130) 내에 장착한다. 즉, 스탠드부(200)를 이루는 각 단위스탠드(201,202)는 베이스부(100)의 저면 양 측에 형성된 스탠드 수용홈(120)에 수용되도록 각각 장착하고, 헤드부(300)의 모터하우징(340)은 하우징 수용홈(130)에 수용되도록 장착한다.
이때, 전원접속부(400)는 베이스부(100)의 접속홈(140)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 보관할 수도 있고, 상기 접속홈(140)에 결합된 상태로 보관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200)가 베이스부(100) 및 헤드부(300)와는 분리된 상태로 베이스부(100)에 삽입 장착되면서 보관되기 때문에 최소화된 부피로 보관 혹은, 포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헤드부(300)가 스탠드부(200)와는 분리됨과 더불어 그의 일부는 베이스부(100)에 삽입 장착되면서 보관되기 때문에 최소화된 부피로 보관 혹은, 포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헤드부(300)와 스탠드부(200)가 서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에도 불구하고 헤드부(300)가 스탠드부(20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바람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200)가 복수의 단위스탠드(201,202)로 구분되어 제공되기 때문에 헤드부(300)에 대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선풍기는 스탠드부(200)를 이루는 복수의 단위스탠드(201,202)가 서로의 결합에 의해 통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베이스부(100)로부터 헤드부(300)에 이르기까지의 전원 연결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0. 베이스부 110. 결합홈
111. 접속단자 120. 스탠드 수용홈
121. 분리방지돌기 130. 하우징 수용홈
140. 접속홈 200. 스탠드부
200a. 전원선 200b. 가이드부재
201,202. 단위 스탠드부 210. 제1접속부
220. 제2접속부 230. 구속부
231. 누름부재 232,233. 걸림턱
300. 헤드부 310. 송풍팬
320. 팬모터 330. 팬하우징
340. 모터하우징 350. 결합부
360. 회전용모터 351. 기어잇
361. 피니언 300a. 연결줄
400. 전원접속부

Claims (12)

  1.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며, 송풍팬과 상기 송풍팬의 후방에 위치되는 팬모터와 상기 송풍팬을 감싸는 팬하우징 및 상기 팬모터를 감싸면서 상기 팬하우징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터하우징을 구비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는 개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개방 부위에는 상기 스탠드부와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한 결합부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부는 상기 헤드부의 모터하우징에 좌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헤드부 내에는 상기 헤드부를 상기 결합부로부터 좌우 회전되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회전용모터가 더 구비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스탠드부로부터 분리된 헤드부의 모터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수용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풍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부는 둘 이상 복수의 단위스탠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단위스탠드들은 서로 연결 혹은, 분리 가능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풍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스탠드는
    서로 전기적인 접속이 가능하도록 메일(male) 구조로 이루어진 제1접속부 혹은, 피메일(female) 구조로 이루어진 제2접속부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풍기.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의 상단 둘레에는 기어잇이 형성되고,
    상기 회전용모터에는 상기 기어잇에 맞물리는 피니언이 구비되어, 상기 회전용모터의 동작 제어로 헤드부가 회전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풍기.
  7. 삭제
  8. 삭제
  9. 바닥에 안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수직하게 설치되는 스탠드부;
    상기 스탠드부에 설치되며, 송풍팬과, 송풍팬의 후방에 위치되는 팬모터와, 송풍팬을 감싸는 팬하우징 및 팬모터를 감싸면서 상기 팬하우징의 후면 중앙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모터하우징을 구비한 헤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 중앙에는 상기 스탠드부로부터 분리된 헤드부의 모터하우징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 수용부가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 중 상기 하우징 수용부의 적어도 어느 한 측에는 상기 베이스부 및 헤드부로부터 분리된 스탠드부를 수용하기 위한 스탠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은 중앙 부위로 갈수록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스탠드부의 결합을 위한 스탠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스탠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스탠드 결합홈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헤드부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풍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 결합홈과 상기 하우징 수용부는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하우징에는 연결줄이 제공됨과 더불어 상기 연결줄은 상기 베이스부의 하우징 수용부에 헤드부의 모터하우징이 수용될 경우 상기 하우징 수용부에 형성된 스탠드 결합홈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선풍기.
  11. 삭제
  12. 삭제
KR1020220047731A 2022-04-18 2022-04-18 조립식 선풍기 KR1024566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731A KR102456639B1 (ko) 2022-04-18 2022-04-18 조립식 선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731A KR102456639B1 (ko) 2022-04-18 2022-04-18 조립식 선풍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639B1 true KR102456639B1 (ko) 2022-10-21

Family

ID=83805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731A KR102456639B1 (ko) 2022-04-18 2022-04-18 조립식 선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6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577U (ko)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선풍기
KR20100124454A (ko) 2009-05-19 2010-11-29 이순 선풍기
KR20200092871A (ko) 2019-01-25 2020-08-04 선전 아디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접이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선풍기와 접이식 탁상등
JP3227917U (ja) * 2020-06-19 2020-09-24 合一電器(深▲せん▼)有限公司 扇風機
CN211715366U (zh) * 2019-12-27 2020-10-20 深圳精创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型风扇
KR102187062B1 (ko) 2019-09-09 2020-12-04 (주)코리아씨티씨 선풍기
KR102191556B1 (ko) 2019-10-28 2020-12-15 (주)코리아씨티씨 기능성 선풍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06577U (ko) 2008-12-19 2010-06-29 주식회사 이노디자인 선풍기
KR20100124454A (ko) 2009-05-19 2010-11-29 이순 선풍기
KR20200092871A (ko) 2019-01-25 2020-08-04 선전 아디스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접이식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접이식 선풍기와 접이식 탁상등
KR102187062B1 (ko) 2019-09-09 2020-12-04 (주)코리아씨티씨 선풍기
KR102191556B1 (ko) 2019-10-28 2020-12-15 (주)코리아씨티씨 기능성 선풍기
CN211715366U (zh) * 2019-12-27 2020-10-20 深圳精创源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型风扇
JP3227917U (ja) * 2020-06-19 2020-09-24 合一電器(深▲せん▼)有限公司 扇風機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개인 블로그[online] 공개본(2018.07.23., 공개) 1부.*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78085B1 (fr) Module électrique
US7736178B2 (en) Expandable power and data center adapted for use with multiple mounts
US6897379B1 (en) Rotatable extension cord assembly
US20080305693A1 (en) Tandem-connected rotatable receptacle unit
US20160197431A1 (en) Multi-function charger
JP2001069165A (ja) Usbハブ
KR102456639B1 (ko) 조립식 선풍기
EP3078083A1 (fr) Connecteur électrique femelle, connecteur électrique mâle correspondant et ensemble de connexion comportant des connecteurs mâle et femelle
JP5108729B2 (ja) スプリッタモジュール
FR3007900A1 (fr) Appareillage electrique etendu
JP2005527946A (ja) コード保管・取り出しシステム付き延長ソケット装置
CN211238682U (zh) 万用转接器结构
EP1369059A1 (en) Furniture with screen
JP2575048Y2 (ja) 回動接続式電気接続箱
JP3121285U (ja) 回転スイッチを有するコンセント
KR101066718B1 (ko) 회전 가능한 플러그
JP2000156260A (ja) 建築物埋込型コンセント
JP3099773U (ja) レセプタクルカバー装置
CN216844051U (zh) 拍摄支撑装置
JP3227032U (ja) ユニバーサルアダプタ構造
JP7046115B2 (ja) 電気接続機器
KR102280288B1 (ko) 회동 가능한 멀티콘센트
US6905088B2 (en) Cable-winder device
KR20190140585A (ko)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JPH05324123A (ja) ディスプレイ収納型パソコ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