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0585A -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 Google Patents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0585A
KR20190140585A KR1020180067204A KR20180067204A KR20190140585A KR 20190140585 A KR20190140585 A KR 20190140585A KR 1020180067204 A KR1020180067204 A KR 1020180067204A KR 20180067204 A KR20180067204 A KR 20180067204A KR 20190140585 A KR20190140585 A KR 20190140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ove
cover
unit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7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20293B1 (ko
Inventor
김봉관
Original Assignee
(주) 라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라투스 filed Critical (주) 라투스
Priority to PCT/KR2018/006666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9240307A1/ko
Priority to KR1020180067204A priority patent/KR102120293B1/ko
Publication of KR20190140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0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2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0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mobile or transpor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457Arrangements of the frame or housing
    • B65H75/4471Housing enclosing the r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75/00Storing webs, tape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n reels
    • B65H75/02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 B65H75/34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 B65H75/38Cores, formers, supports, or holders for coiled, wound, or folded material, e.g. reels, spindles, bobbins, cop tubes, cans, mandrels or chucks specially adapted or mounted for storing and repeatedly paying-out and re-storing lengths of material provided for particular purposes, e.g. anchored hoses, power cables involving the use of a core or former internal to, and supporting, a stored package of material
    • B65H75/44Constructional details
    • B65H75/48Automatic re-storing devices
    • B65H75/48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he spring m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4Handled filamentary material electric cords or electric power cables

Landscapes

  • Insertion, Bundling And Securing Of Wires For Electric Apparatuses (AREA)

Abstract

바닥면 중앙에 회동돌기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회동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유닛; 상기 회동유닛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단말기 기종에 따른 전용케이블이 끼움 결합되는 피씨비부; 상기 회동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유닛과 함께 회동하며, 외부 전원을 상기 피씨비부에 공급하는 슬립링유닛;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슬립링유닛에 연결된 케이블을 안내 고정시키는 바(bar)부재, 상기 바(bar)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각각 조립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RECOILER FOR DISPLAYING GOODS}
본 발명은 단말기 등의 제품을 전시할 때 제품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감거나 풀 수 있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에 관한 것이다.
전자 제품 중 특히, 스마트 폰이나 태블릿 등의 소형 휴대용 단말기는 제품의 판매 촉진을 위해 선전, 광고 전략을 활용한다. 예를 들어, 최신 스마트 폰 등의 인기 제품을 가전 매장의 진열대에 전시하면 매장 방문객들은 해당 제품을 단지 보는 것으로 만족하지 않고 그 제품을 실제 만져보거나 시연하고자 한다. 이는, 제품의 구매를 촉진하기 때문에 해당 제조업체에서 많이 활용된다.
그러나,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는 내부에 배터리가 장착되어 있어 전원 케이블이 아닌 충전 케이블을 통해 미리 충전하여 사용하거나, 배터리에 대한 충전 관리가 어려운 경우 충전 케이블을 항상 꽂아 놓아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 폰 등의 단말기는 부피가 작아 도난의 우려가 많다.
그래서, 매장 등에 진열되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제품에는 대개 각 스마트 폰에 형성된 단자의 규격에 맞는 충전 케이블이 항상 연결되어 있다. 그러나, 충전 케이블은 일정한 길이로 형성되어 있어 진열되는 제품의 개수가 많은 경우 진열대 위는 다수의 충전 케이블로 인해 깔끔하게 정리하기 힘든 문제점이 있다. 또한, 모바일 제품에 충전 케이블만이 연결되어 있거나, 충전 케이블의 길이가 비교적 짧은 경우 제품 시연 과정에서 방문객은 불편을 겪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6839호 (2013.04.16. 등록)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5792호 (2014.12.26. 등록)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07735호 (2015.03.25. 등록) 미국 등록특허 제09747765호 (2017.08.29. 등록)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단말기 기종에 따라 각 단말기의 단자 규격에 맞는 전용케이블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우수한 리코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 부분과 전용케이블을 감거나 풀기 위해 사용하는 회동유닛 사이에 전기적 연결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고자 한다. 이와 관련하여, 상부케이스를 기능적으로 분할하고 사용자의 편의성과 조립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키고자 한다.
또한, 전용케이블의 교체 사용을 편리하도록 하며,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전용케이블의 연결 상태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전용케이블이 인출입될 때 즉, 감기거나 풀릴 때 전용케이블이 꼬이거가 단선되는 등의 현상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리코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고자, 바닥면 중앙에 회동돌기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회동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유닛; 상기 회동유닛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단말기 기종에 따른 전용케이블이 끼움 결합되는 피씨비부; 상기 회동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유닛과 함께 회동하며, 외부 전원을 상기 피씨비부에 공급하는 슬립링유닛;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슬립링유닛에 연결된 케이블을 안내 고정시키는 바(bar)부재, 상기 바(bar)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각각 조립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전용케이블 중 케이블 부분이 수용되는 유격홀, 상기 유격홀과 연통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상기 유격홀 바로 아래 지점에서 상기 전용케이블이 감기는 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나선돌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원형판부; 및 상기 제1원형판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결합되어 상기 전용케이블이 감기거나 풀리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원형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홀은 반경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1원형판부에는 상기 가이드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개폐시키는 홀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원형판부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 깊이의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에는 상기 제1홈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립링유닛이 삽입 안착되는 제1돌홈부와, 상기 슬립링유닛이 상기 제1홈의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편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전용케이블이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풀림 동작될 때, 상기 회동유닛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제2원형판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동돌기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원형판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제2돌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홈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커버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2홈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배치되는 유격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회동돌기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상부케이스가 조립 결합되면, 상기 전용케이블이 인출입하는 인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입공에 인접하는 상기 수용공간에는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되는 구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름부는 상기 전용케이블의 인출입에 따라 회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양측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bar)부재는 소정 폭을 갖고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다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슬립링유닛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과 상기 슬립링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블은 상기 바(bar)부재에 의해 안내 고정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피씨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하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립링유닛의 상측부를 수용하는 제3돌홈부; 상기 제3돌홈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블을 일부 수용하는 제3홈; 및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제3홈과 연통되는 연장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대한 조립 결합력을 각각 증대시키는 제1조립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제1조립편과 교대 배치되는 제2조립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bar)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블을 일부 덮는 케이블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하기와 같은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단말기 기종에 따라 각 단말기의 단자 규격에 맞는 전용케이블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우수하다. 또한,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 부분과 전용케이블을 감거나 풀기 위해 사용하는 회동유닛 사이에 슬립링유닛을 배치하여 양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슬립링유닛의 채택에 따라 상부케이스를 기능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과 조립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회동유닛은 전용케이블의 교체 사용을 편리하도록 하며, 전용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동유닛은 슬립링유닛을 위한 전용 배치 설계가 이루어져 안정적인 전기적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전용케이블이 인출입될 때 즉, 감기거나 풀릴 때 꼬이거가 단선되는 등의 현상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 중 특히 바(bar)부재는 슬링링유닛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의 제1원형판부를 확대한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투시 사시도.
도 7은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의 투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바(bar)부재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
도 9는 도 1의 상부케이스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에 대하여 이 분야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제1원형판부를 확대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투시 사시도이며, 도 7은 다른 방향에서 바라 본 도 1의 투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하부케이스(10), 회동유닛(20), 피씨비부(30), 슬립링유닛(40) 및 상부케이스(5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리코일러는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단말기를 진열대 위에 전시할 때, 단말기 단자에 연결되는 전용케이블(62)을 쉽게 감거나 풀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단말기에 전용케이블(62)을 연결하면, 단말기를 충전시킬 수 있고, 데이터 등을 전송시킬 수도 있다. 또한, 리코일러를 외부 보안 시스템과 연결시키면 단말기에 대한 절도 등을 방지할 수도 있다. 리코일러는 고정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진열대 등에 고정시킬 수 있다.
전용케이블(62)은 특정할 수 없으나, 일단에 유에스비(USB) 타입 커넥터가 형성되고, 타단에 5핀 커넥터, 8핀 커넥터, C타입 커넥터 등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블을 의미한다. 이 때, 전용케이블(62)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지는 인력과 그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리코일러에서 인출입될 수 있다.
먼저, 하부케이스(10)는 내부 바닥면을 통해 리코일러의 각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하부케이스(10)에는 볼트 등의 체결 부재가 관통되는 서로 다른 크기의 체결공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케이스(10)는 대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양 모서리가 커팅되어 전체적으로 육각형 모양을 갖는다. 한편, 커팅된 부분에는 바(bar)부재(52)가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더 형성되며, 해당 부분에는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보강판부재가 덧붙여질 수 있다. 또한, 커팅 부분이 형성된 일 모서리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64)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이 장착되는 기판장착부(14)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케이스(10)에 상부케이스(50)가 조립 결합되면 리코일러에는 전용케이블(62)이 인출입하는 인출입공(72)이 형성된다. 이 때, 인출입공(72)과 인접하는 리코일러 내의 수용공간에는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되는 구름부(80)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 따른 구름부(80)는 롤러(82) 및 끼움홈(84)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롤러(82)는 전용케이블(62)이 인출입될 때, 전용케이블(62)의 피복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회동한다.
롤러(82)는 전체적으로 원통 형상인데 특히, 중간 부분이 오목하도록 횡단면의 반경 크기가 점진적으로 작아지다가 다시 점진적으로 커지는 형상을 갖는다. 롤러(82)에 형성된 오목부는 포함하여 전용케이블(62)이 인출입하는 과정에서 전용케이블(62)이 롤러(82)의 양측으로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하며, 또한 롤러(82)와 전용케이블(62) 사이의 접촉면을 극대화하여, 전용케이블(62)의 인출입을 부드럽고 원활하게 한다. 한편, 롤러(82)의 양측에는 돌기가 더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끼움홈(84)은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 중 어느 하나와 하부케이스(10)에 각각 돌출 형성되며, 롤러(82)의 양측이 각각 끼움 결합되도록 하여 롤러(82)가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전술한 것처럼, 구름부(80)는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하부케이스(10)에 수평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구름부(80)와 수직 방향으로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구름부(80)를 각각 포함한다.
또한, 하부케이스(10)에는 바닥면 중앙에 회동돌기(11)가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회동유닛(20)이 회동돌기(11)를 중심으로 축 회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동돌기(11)에는 후술할 탄성부재(24)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111)이 더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회동유닛(20)은 회동돌기(11)에 결합되어 전용케이블(62)이 감기거나 풀리도록 하며, 후술할 피씨비부(30)와 슬립링유닛(40)이 각각 장착되는 자리를 마련한다. 구체적으로, 회동유닛(20)은 제1원형판부(21), 제2원형판부(22), 탄성부재(24), 보조커버(25), 홀커버(23) 등을 포함한다.
제1원형판부(21)는 소정 두께를 갖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 때, 제1원형판부(21)의 상면에는 예를 들어, 방사 방향으로 일정 패턴을 갖는 리브(26)가 형성될 수 있다. 리브(26)는 제1원형판부(21)에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켜 국부적인 응력 집중이나 국부 변형을 완화시킨다. 또한, 리브(26)는 제1원형판부(21)의 제작에 필요한 재료를 절약할 수 있고, 제품의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제1원형판부(21)에는 전용케이블(62) 중 케이블 부분이 수용되는 유격홀(211)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케이블 부분은 가이드홀(212)을 통해 끼워 넣어진다. 유격홀(211)은 제1원형판부(21)의 중심 부근에 위치하되, 회동유닛(20)의 회동 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전용케이블(62)이 감기거나 풀릴 때 즉, 회동유닛(20)이 회동하는 경우 유격홀(211)은 전용케이블(62)의 케이블 부분이 그에 맞춰 조금씩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제1원형판부(21)에는 유격홀(211)과 연통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21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홀(212)은 전용케이블(62)을 리코일러 내에 새로 연결하거나, 전용케이블(62)을 다른 단말기 기종에 맞춰 교체하고자 할 때, 전용케이블(62) 중 케이블 부분이 가이드홀(212)을 따라 이동하면서 유격홀(211)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홀(212)은 반경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 때, 가이드홀(212)과 접하는 제1원형판부(21)에는 가이드홀(212)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214)가 역시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원형판부(21)에는 유격홀(211) 바로 아래 지점에서 전용케이블(62)이 감기는 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나선돌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나선돌부(213)는 소정 높이를 갖도록 돌출 형성된다. 또한, 나선돌부(213)의 어느 두 지점에는 제2원형판부(22)가 결합되어 함께 회동할 수 있도록 결합홈이 더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원형판부(21)의 하면은 나선돌부(213)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하면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1원형판부(21)의 하면 테두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전용케이블(62)의 인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제1원형판부(21)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 깊이의 제1홈(21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홈(215)에는 제1홈(215)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후술할 슬립링유닛(40)이 삽입 안착되는 제1돌홈부(216)와, 슬립링유닛(40)이 제1홈(215)의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편(2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제2원형판부(22)는 제1원형판부(21)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결합되어 전용케이블(62)이 감기거나 풀리는 공간을 형성한다. 제2원형판부(22) 역시 소정 두께의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원형판부(21)와 대향 배치되고, 한 쌍으로 결합 사용되며, 제1원형판부(21)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다.
제2원형판부(22)의 상면 중앙에는 전술한 나선돌부(213)와 동일한 형상을 갖는 보조나선돌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보조나선돌부에는 전술한 결합홈에 대응하여 이에 삽입 결합되는 결합돌기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원형판부(22)의 상면 역시 보조나선돌부가 형성된 영역을 제외하면 평탄하게 형성되며, 제2원형판부(22)의 상면 테두리는 라운드 처리되어 전용케이블(62)의 인출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제2원형판부(22)의 하면에는 전술한 것처럼 예를 들어, 방사 방향으로 일정 패턴을 갖는 리브(26)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원형판부(22)의 하면 중앙에는 탄성부재(24)가 안착되는 제2돌홈부(22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돌홈부(221)에는 탄성부재(24)의 타측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개구(2211)가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유닛(20)은 전용케이블(62)이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풀림 동작될 때, 회동유닛(20)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2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전용케이블(62)은 탄성부재(2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감김 동작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24)는 금속 재질의 가늘고 긴 판이 원형으로 둥글게 감긴 판스프링의 형태를 갖는다. 그리고, 이런 탄성부재(24)의 일단은 단부가 평판 형태로 구성되어 전술한 고정홈(111)에 끼움 고정된다. 또한, 탄성부재(24)의 타측은 적어도 한번 이상 절곡되어 전술한 고정개구(2211)와 후술할 유격개구(25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탄성부재(24)의 타단에는 절곡에 의해 절곡면이 형성된다.
보조커버(25)는 제2원형판부(22)의 하면에 결합되어 탄성부재(24)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결합 방식은 예를 들어, 볼트 등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조커버(25)에는 탄성부재(24)가 수용되는 제2홈(251)과 탄성부재(24)의 타단이 배치되는 유격개구(252)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유격개구(252)는 제2홈(251)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며, 회동유닛(20)이 회동할 때, 탄성부재(24)의 타단이 일정 범위 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탄성부재(24)의 절곡면은 유격개구(252)의 어느 일 측과 대향하게 된다.
제2홈(251)의 바닥면 중앙에는 회동돌기(11)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2511)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511)은 하부케이스(10)에 회동유닛(20)을 조립할 때, 먼저 탄성부재(24)의 일단이 고정홈(111)에 끼워지도록 그 방향을 맞추면, 회동돌기(11)가 보조커버(25)를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홀커버(23)는 가이드돌기(214)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면서 가이드홀(212)을 개폐시킨다. 홀커버(23)는 유격홀(211) 내에 수용되는 전용케이블(62)의 케이블 부분이 유격홀(211) 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홀커버(23)의 양 측면에는 슬라이딩 이동을 위해 가이드돌기(214)에 대응되는 가이드홈(231)이 더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동유닛(20)은 전용케이블(62)의 교체 사용을 편리하도록 하며, 전용케이블(62)의 연결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회동유닛(20)은 슬립링유닛(40)을 위한 전용 배치 설계가 이루어져 안정적인 전기적 흐름을 확보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씨비부(30)는 회동유닛(20)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단말기 기종에 따른 전용케이블(62)이 끼움 결합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피씨비부(30)에는 전용케이블(62) 중 유에스비 타입 커넥터 부분이 삽입 결합된다. 피씨비부(30)는 회로 설계에 근거하여 회로 부품을 접속하는 전기 배선을 절연 기판의 표면 또는 내부에 형성시킨 기판을 의미한다. 이런, 피씨비부(30)는 외부 전원이 전용케이블(62)을 통해 단말기 등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피씨비부(30)에는 후술할 슬립링유닛(40)의 제2케이블(42)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다음으로, 슬립링유닛(40)은 회동유닛(20)에 배치되어 회동유닛(20)과 함께 회동하며, 외부 전원을 피씨비부(3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슬립링유닛(40)은 회동하는 피씨비부(30)와 고정되어 있는 외부 전원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를 위해, 슬립링유닛(40)의 양단에는 케이블이 연결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블은 슬립링유닛(40)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41)과 슬립링유닛(40)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42)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1케이블(41)은 후술할 바(bar)부재(52)에 의해 안내 고정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케이블(42)은 전술한 것처럼 피씨비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전술한 것처럼, 외부 전원은 전원케이블(64)을 통해 리코일러에 공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하부케이스(10)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케이스(5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부케이스(50)는 바(bar)부재(52),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로 이루어진다.
도 8은 도 1의 바(bar)부재(52)를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 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바(bar)부재(52)는 양단이 하부케이스(10)에 결합되고 회동돌기(11)의 연직 상측에 위치하며, 슬립링유닛(40)의 케이블 특히, 제1케이블(41)을 안내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바(bar)부재(52)는 소정 폭을 갖고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521)와, 연결부(521)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다리부(522)를 포함한다. 즉, 바(bar)부재(52)는 'ㄷ'자 형상을 갖는다.
여기서, 연결부(521)는 하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어 슬립링유닛(40)의 상측부를 수용하는 제3돌홈부(5211)와, 제3돌홈부(5211)의 중앙에 형성되며 제1케이블(41)을 일부 수용하는 제3홈(5212) 및 연결부(521)의 연장 방향으로 제3홈(5212)과 연통되는 연장홈(52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립링유닛(40)의 제1케이블(41)은 제3홈(5212)에서 연장홈(5213)을 통해 연결부(521)를 따라 배치되며 다리부(522)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어 전원케이블(64)이 연결되어 있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연결부(521)에는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에 대한 조립 결합력을 각각 증대시키는 제1조립편(5214)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조립편(5214)은 제3돌홈부(5211)의 양 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521)는 대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하부케이스(10)의 양 모서리에 결합된다. 이를 위해, 하부케이스(10)의 결합 부분은 전술한 것처럼 커팅되어 있다.
또한, 다리부(522)의 하단에는 외부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케이블(64)이 통과하는 전원케이블홈이 형성될 수 있다. 바(bar)부재(52)는 연결부(521)의 하면에 결합되어 제1케이블(41)을 일부 덮는 케이블커버(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케이블커버(58)에는 끼움돌기가 형성되어 케이블커버(58)는 바(bar)부재(52)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1조립편(5214)에는 끼움돌기가 끼움 결합되는 끼움돌홈(52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상부케이스(50)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는 바(bar)부재(52)의 양측에 배치되어 하부케이스(10)에 각각 조립 결합된다. 또한,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에는 제1조립편(5214)과 교대 배치되는 제2조립편(541,561)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조립편(5214)과 제2조립편(541,561)은 바(bar)부재(52),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며 조립 결합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의 상면은 각각 경사진 면으로 구성되어 있어, 바(bar)부재(52), 제1커버(54) 및 제2커버(56) 사이의 조립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회동유닛(20)이 탄성복원력에 의해 회동하는 것을 차단하는 고정핀(6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고정핀(66)의 핀 부분은 외측에서 하부케이스(10)를 관통하여 회동유닛(20)의 회동을 고정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코일러는 단말기 기종에 따라 각 단말기의 단자 규격에 맞는 전용케이블(62)을 쉽게 교체할 수 있어 제품의 호환성이 우수하다. 또한,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고정 부분과 전용케이블(62)을 감거나 풀기 위해 사용하는 회동유닛(20) 사이에 슬립링유닛(40)을 배치하여 양자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슬립링유닛(40)의 채택에 따라 상부케이스(50)를 기능적으로 분할할 수 있는 바, 사용자의 편의성과 조립 결합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전용케이블(62)이 인출입될 때 즉, 감기거나 풀릴 때 꼬이거가 단선되는 등의 현상 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부케이스(50) 중 특히 바(bar)부재(52)는 슬립링유닛(40)과 연결되는 케이블을 깔끔하게 정리하여 외부 전원이 공급되는 측으로 안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10: 하부케이스 20: 회동유닛
30: 피씨비부 40: 슬립링유닛
50: 상부케이스 11: 회동돌기
62: 전용케이블 64: 전원케이블
52: 바(bar)부재 54: 제1커버
56: 제2커버 21: 제1원형판부
22: 제2원형판부 211: 유격홀
212: 가이드홀 213: 나선돌부
214: 가이드돌기 23: 홀커버
215: 제1홈 216: 제1돌홈부
217: 돌편 24: 탄성부재
25: 보조커버 221: 제2돌홈부
111: 고정홈 2211: 고정개구
251: 제2홈 252: 유격개구
2511: 관통홀 26: 리브
72: 인출입공 80: 구름부
82: 롤러 84: 끼움홈
521: 연결부 522: 다리부
41: 제1케이블 42: 제2케이블
5211: 제3돌홈부 5212: 제3홈
5213: 연장홈 5214: 제1조립편
5215: 끼움돌홈 58: 케이블커버
541, 561: 제2조립편 14: 기판장착부
231: 가이드홈

Claims (17)

  1. 바닥면 중앙에 회동돌기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
    상기 회동돌기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돌기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회동유닛;
    상기 회동유닛의 일면에 고정 결합되며, 단말기 기종에 따른 전용케이블이 끼움 결합되는 피씨비부;
    상기 회동유닛에 배치되어 상기 회동유닛과 함께 회동하며, 외부 전원을 상기 피씨비부에 공급하는 슬립링유닛; 및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어 수용공간을 형성하되, 상기 슬립링유닛에 연결된 케이블을 안내 고정시키는 바(bar)부재, 상기 바(bar)부재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부케이스에 각각 조립 결합되는 제1커버 및 제2커버로 이루어지는 상부케이스;를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전용케이블 중 케이블 부분이 수용되는 유격홀, 상기 유격홀과 연통되어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홀 및 상기 유격홀 바로 아래 지점에서 상기 전용케이블이 감기는 방향으로 반경이 증가하는 나선돌부가 각각 형성되는 제1원형판부; 및
    상기 제1원형판부와 일정 간격으로 이격 결합되어 상기 전용케이블이 감기거나 풀리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원형판부;를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홀은 반경 방향으로 폭이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상기 제1원형판부에는 상기 가이드홀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돌기가 반경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가이드돌기를 따라 슬라이딩 왕복 이동하면서 상기 가이드홀을 개폐시키는 홀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원형판부의 상면 중앙에는 소정 깊이의 제1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홈에는 상기 제1홈에서 연직 상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슬립링유닛이 삽입 안착되는 제1돌홈부와, 상기 슬립링유닛이 상기 제1홈의 바닥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편이 각각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전용케이블이 사용자의 인력에 의해 풀림 동작될 때, 상기 회동유닛의 회전 각도에 비례하여 탄성복원력을 발생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유닛은 상기 제2원형판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탄성부재가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돌기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이 끼움 고정되는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원형판부의 하면 중앙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안착되는 제2돌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돌홈부에는 상기 탄성부재의 타측 일부가 끼움 고정되는 고정개구가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커버에는 상기 탄성부재가 수용되는 제2홈과, 상기 탄성부재의 타단이 배치되는 유격개구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2홈의 바닥면 중앙에는 상기 회동돌기가 삽입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에 상기 상부케이스가 조립 결합되면, 상기 전용케이블이 인출입하는 인출입공이 형성되고, 상기 인출입공에 인접하는 상기 수용공간에는 한 쌍으로 대향 배치되는 구름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는
    상기 전용케이블의 인출입에 따라 회동하는 롤러; 및
    상기 롤러의 양측이 각각 끼움 결합되는 끼움홈;을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bar)부재는
    소정 폭을 갖고 일직선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의 양단에서 수직 절곡되는 다리부;를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슬립링유닛의 상부에 연결되는 제1케이블과 상기 슬립링유닛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케이블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케이블은 상기 바(bar)부재에 의해 안내 고정되어 외부 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케이블은 상기 피씨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하면 중앙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슬립링유닛의 상측부를 수용하는 제3돌홈부;
    상기 제3돌홈부의 중앙에 형성되며 상기 제1케이블을 일부 수용하는 제3홈; 및
    상기 연결부의 연장 방향으로 상기 제3홈과 연통되는 연장홈;을 더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에는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 대한 조립 결합력을 각각 증대시키는 제1조립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 및 상기 제2커버에는 상기 제1조립편과 교대 배치되는 제2조립편이 적어도 하나 이상 각각 형성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바(bar)부재는 상기 연결부의 하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케이블을 일부 덮는 케이블커버;를 더 포함하는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KR1020180067204A 2018-06-12 2018-06-12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KR102120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8/006666 WO2019240307A1 (ko) 2018-06-12 2018-06-12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KR1020180067204A KR102120293B1 (ko) 2018-06-12 2018-06-12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7204A KR102120293B1 (ko) 2018-06-12 2018-06-12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0585A true KR20190140585A (ko) 2019-12-20
KR102120293B1 KR102120293B1 (ko) 2020-06-08

Family

ID=68842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7204A KR102120293B1 (ko) 2018-06-12 2018-06-12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20293B1 (ko)
WO (1) WO201924030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72B1 (ko) * 2023-03-23 2023-10-06 (주)금오전자 슬림형 리코일러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524U (ko) * 1993-02-08 1994-09-24 남기혁 코드선 권취장치
JP3092442U (ja) * 2002-08-29 2003-03-14 株式会社アスデック 充電器
KR20130000908U (ko) * 2011-07-28 2013-02-06 주규만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KR101256839B1 (ko) 2011-07-25 2013-04-22 주식회사 제일기획 전시 제품용 잠금 장치 및 케이블
KR200475792Y1 (ko) 2014-06-10 2015-01-02 최세형 전시용 제품 도난경보장치
KR101507735B1 (ko) 2014-10-01 2015-03-31 (주)금오전자 케이블 정돈 유닛 어셈블리
KR101558978B1 (ko) * 2015-06-18 2015-10-13 (주)금오전자 케이블 인출 유닛 어셈블리
US9747765B1 (en) 2015-10-12 2017-08-29 Invue Security Products Inc. Recoiler for a merchandise securit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8144B1 (ko) * 2008-05-27 2010-10-18 주식회사 제일기획 전자제품 전시용 알람시건장치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21524U (ko) * 1993-02-08 1994-09-24 남기혁 코드선 권취장치
JP3092442U (ja) * 2002-08-29 2003-03-14 株式会社アスデック 充電器
KR101256839B1 (ko) 2011-07-25 2013-04-22 주식회사 제일기획 전시 제품용 잠금 장치 및 케이블
KR20130000908U (ko) * 2011-07-28 2013-02-06 주규만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KR200475792Y1 (ko) 2014-06-10 2015-01-02 최세형 전시용 제품 도난경보장치
KR101507735B1 (ko) 2014-10-01 2015-03-31 (주)금오전자 케이블 정돈 유닛 어셈블리
KR101558978B1 (ko) * 2015-06-18 2015-10-13 (주)금오전자 케이블 인출 유닛 어셈블리
US9747765B1 (en) 2015-10-12 2017-08-29 Invue Security Products Inc. Recoiler for a merchandise security system
US20170249814A1 (en) * 2015-10-12 2017-08-31 Invue Security Products Inc. Recoiler for a merchandise security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472B1 (ko) * 2023-03-23 2023-10-06 (주)금오전자 슬림형 리코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40307A1 (ko) 2019-12-19
KR102120293B1 (ko) 2020-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6241303B2 (en) Cable management device for use in connection with a power center, and cable management system comprising same
US20170371374A1 (en) Slide dock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KR101558978B1 (ko) 케이블 인출 유닛 어셈블리
US20040104037A1 (en) Cable/wire and electronic device storage container
US9997932B2 (en) Charge cabinet and storage device thereof
CN110782798B (zh) 一种柔性显示装置
US20120220162A1 (en) Base and electronic apparatus using the same
US9148030B1 (en) Support for a battery charger and battery charger electrical cable
US8653364B2 (en) Frame for graphic images
US20130149893A1 (en) Power adapter cord including rotatable connector
US10355424B2 (en) Electronic device holder
KR20190140585A (ko)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KR200484178Y1 (ko) 다중 충전 시스템
US7028939B2 (en) Assembled windlass structure
US9072186B2 (en) Harness assembly
US20190373748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9461430B1 (en) Panel with receptacles to receive different types of USB connectors
US20120170192A1 (en) 3c product with a data transmission wire accommodation structure
US6299477B1 (en) Self-centering power adapter
EP3115818A1 (en) Optical fiber terminal box
CN207559484U (zh) 长条形控制器的安装结构
KR101314548B1 (ko) 콘센트의 내장함을 갖는 책상
KR102625170B1 (ko) 충전케이블 이탈 및 접속불량 방지용 충전장치
CN208423890U (zh) 无线充电座及无线充电器
CN207183661U (zh) 一种收纳方便的加长型数据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