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00908U -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00908U
KR20130000908U KR2020110006928U KR20110006928U KR20130000908U KR 20130000908 U KR20130000908 U KR 20130000908U KR 2020110006928 U KR2020110006928 U KR 2020110006928U KR 20110006928 U KR20110006928 U KR 20110006928U KR 20130000908 U KR20130000908 U KR 201300009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ket
cable
boom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06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규만
Original Assignee
주규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규만 filed Critical 주규만
Priority to KR2020110006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00908U/ko
Publication of KR201300009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090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52Details of compartments for driving engines or motors or of operator's stands or cabins
    • B66C13/54Operator's stands or ca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66F11/044Working platforms suspended from boo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붐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에 있어서, 붐대에 고정되는 절연케이스; 절연케이스에 절연된 상태로 각각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슬립링; 및 작업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각 슬립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며, 작업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크레인의 붐대와 바스켓 사이에 구성되어 바스켓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의 상부가 하부와는 별개로 회전될 수 있으므로 전선이나 케이블의 엉킴이나 꼬임을 방지하면서 바스켓에서 간편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device of basker for crane}
본 고안은 차량에 설치된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크레인에 구성되는 작업대에 외부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은 대개 이동성이 우수한 트럭과 같은 차량의 후방에 설치되어, 높은 곳에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높은 곳에 설치된 시설물을 점검 및 보수하게 된다.
이러한 크레인(1)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11896호 및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후방에 회전 및 신축가능하게 설치된 붐대(2)와, 붐대(2)의 선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 즉 바스켓(3)(이하 "바스켓" 이라 한다)을 포함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바스켓(3) 내에 들어간 상태에서 접혀져 있던 붐대(2)가 상방향으로 펴지면서 바스켓(3)을 높은 곳의 시설물에 근접시켜 작업자로 하여금 시설물을 설치하거나 또는 점검 및 보수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붐대(2)의 선단부에 설치된 바스켓(3)은 그 하부에 구성된 평형유지수단(미도시) 등에 의해서 붐대(2)의 선단부에서 항상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바스켓(3)이 붐대(2)를 축으로 좌우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바스켓(3)의 회전은 붐대(2)와 바스켓(3) 사이에 설치된 회전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바, 이러한 회전장치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9766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키로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스켓(3)을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는, 붐대(2)와 바스켓(3) 사이에 위치되어 바스켓(3)에 고정되는 웜기어(4)와, 웜기어(4)에 치합되어 웜기어(4)를 회전시키는 웜스크류(5)를 포함한다. 웜스크류(5)는 도 2에서와 같이 모터(6)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6)에 의해 웜스크류(5)가 구동되고, 웜스크류(5)의 구동에 의해 웜기어(4)가 회전되며, 웜기어(4)의 회전에 의해 웜기어(4)와 바스켓(3)이 일체로 회전된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11896호(명칭 : 크레인용 바스켓), 등록일 : 2006.08.04, 3쪽, 도면 1
[문헌 2]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99766호(명칭 : 크레인의 작업플랫폼 회전장치), 등록일 : 2002.12.18, 3쪽, 도면 2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크레인용 바스켓(3)은 작업자가 바스켓(3) 내부에서 작업할 때, 경우에 따라서는 전기를 사용하여야 하는데, 바스켓(3)에는 전기를 연결할 수 있는 콘센트(미도시)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별도의 전원케이블(미도시)을 외부 전원에 연결하여 전기를 사용해야 하므로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회전되는 바스켓(3)에 전원케이블이 엉켜 꼬일 수 있으므로 바스켓(3)의 회전방향에 따라 전원케이블을 분리 및 연결하는 작업을 반복하여 행하게 되므로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바스켓(3)에 콘센트를 설치하는 경우는, 붐대(2) 상에서 회전되는 바스켓(3)에 의해 콘센트에 연결된 케이블이 붐대(2)에 엉키게 되므로 결국에는 케이블이 끊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감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는 아주 치명적인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크레인의 바스켓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를 구성하는 한편 전원공급장치의 상부가 바스켓을 따라 자유로이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바스켓에서 간편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고, 바스켓의 회전 시에도 케이블의 엉킴이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은, 붐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에 있어서, 붐대에 고정되는 절연케이스; 절연케이스에 절연된 상태로 각각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슬립링; 및 작업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각 슬립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며, 작업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홀더는, 작업대에 고정되고, 작업대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블럭; 연결블럭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부; 집게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슬립링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접속단자; 및 양단부가 집게부와 연결블럭에 각각 연결되어 집게부가 오므려지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본 고안의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에 따르면, 크레인의 바스켓으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장치가 바스켓과 붐대 사이에 구성되는 한편 전원공급장치의 상부가 하부와는 별개로 바스켓과 같이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으므로 바스켓에서 간편하게 전기를 사용할 수 있어 작업성 및 작업능률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르면, 외부 전원과 연결된 인입케이블이 붐대에 연결된 전원공급장치의 슬립링에 연결되고, 슬립링에는 도체인 홀더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접촉되며, 이 홀더에는 바스켓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인출케이블이 연결되어 있으므로 바스켓의 회전 시 전원공급장치의 상,하부 즉 홀더와 슬립링이 별개로 회전됨으로써 케이블의 엉킴이나 꼬임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차량에 설치된 일반적인 크레인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반적인 크레인 장치에 구성된 작업대의 회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작업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회전장치와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결합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회전장치와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작업대의 회전 시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작동상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을 설명하기에 앞서, 종래기술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도면 도 3 내지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2)와 작업대 즉 바스켓(3)(이하 "바스켓" 이라 한다) 사이에 설치된 회전장치(10)에 구성된다.
먼저, 본 고안의 회전장치(1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붐대(2)의 선단부에 고정 설치된 하우징(11)을 포함한다. 하우징(11)의 일측에는 중공관 형태의 베어링(12)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 설치되고, 베어링(12)과 이격된 하우징(11)의 타측에는 웜스크류(13)가 전후 방향으로 관통되어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특히, 웜스크류(13)가 설치된 하우징(11)의 타측에는 베어링(12)과 인접한 일측이 개구되게 형성되어, 이 개구를 통해서 후술될 웜기어(14)와 웜스크류(13)가 치합되게 설치된다.
또, 회전장치(10)는 바스켓(3)의 하면에 고정 설치된 회전판(15)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회전판(15)의 하면에는 웜기어(14)가 결합 고정되어 설치된다. 이러한 웜기어(14)는 그 중앙부가 천공된 링형태로 형성되어 전술한 베어링(12)이 삽입 설치되고, 원주면에는 기어가 형성되어 있어, 하우징(11)에 설치된 웜스크류(13)와 치합되게 설치되어 연동된다.
따라서, 웜스크류(13)의 회전에 의해서 이에 치합된 웜기어(14)가 회전되고, 웜기어(14)의 회전에 의해 회전판(15) 및 바스켓(3)이 웜기어(14)와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웜기어(14)는 베어링(12)에 의해서 용이하게 회전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형성된 회전장치(10)에는 전원공급장치(100)가 구성된다.
이러한 전원공급장치(1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어링(12)의 상면에 안착되어 결합 고정되는 하판(110)과, 하판(110)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는 절연케이스(130)와, 절연케이스(130)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고정되는 복수의 슬립링(140)과, 슬립링(140)의 상면에 상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그 양단부가 웜기어(14)의 상면에 결합 고정되어 웜기어(14)와 같이 회전되는 상판(150)과, 상판(150)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각각의 슬립링(140)을 홀딩한 상태로 접촉된 홀더(160)를 포함한다.
하판(110)은 그 양단부가 베어링(12)의 상면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 고정되고, 그 중앙부에는 관통된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판(110)의 상면에는 링형상의 스페이서(120)가 설치되는 바, 이때 스페이서(120)의 중앙 구멍은 하판(110)의 중앙 구멍과 일치된 상태로 그 외주연부가 하판(110)에 용접 고정된다.
한편, 이와 같이 설치된 스페이서(120)의 상면에는 절연케이스(130)가 결합 고정된다. 이러한 절연케이스(130)는 합성수지재의 링형상으로 형성된 원판으로서, 다수의 절연케이스(130)가 적층되고, 적층된 절연케이스(130) 사이에는 이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슬립링(140)이 각각 구비된 상태에서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다수의 절연케이스(130)와 복수의 슬립링(140)을 적층한 상태로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절연케이스(130)와 슬립링(140)을 결합시키는 볼트는 그 단부가 스페이서(120)에 결합되어, 절연케이스(130)와 슬립링(140) 뿐만 아니라 스페이서(120)와 하판(110)까지도 일체로 고정시키게 된다.
여기서, 각 절연케이스(130) 사이에 설치되는 슬립링(140)은 절연케이스(130)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도체이고, 각 슬립링(140)의 내주면에는 외부 전원과 연결된 인입케이블(20)의 (+),(-) 전선(21)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판(150)은 하판(110)보다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상단의 절연케이스(130) 상면에 안착되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그 양단부는 웜기어(14)의 상면에 볼트 등의 결합수단으로 결합 고정되어 웜기어(14)와 같이 일체로 회전된다. 이때, 상판(150)과 웜기어(14) 사이에는 별도의 브라켓을 더 구비한 상태에서 상판(150)을 웜기어(14)에 고정할 수도 있다.
홀더(160)는 상판(150)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된 집게 형태로 구성된다. 즉, 홀더(160)는 상판(150)의 하면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한편 바스켓(3) 측으로 인출되는 인출케이블(30)의 (+),(-) 전선(31)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블럭(161)과, 연결블럭(161)의 일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그 양단부가 벌어지고 오므려지는 집게부(162)와, 집게부(162)의 양 내측면에 각각 설치되어 슬립링(140)의 원주면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접속단자(163)와, 양단부가 집게부(162)와 연결블럭(161)에 각각 연결되어 집게부(162)가 오므려지도록 한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블럭(161)과 상판(150)은 절연된 상태로 설치되고, 각 연결블럭(161)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출케이블(30)의 (+),(-) 전선(31)은 각각 상판(150)을 통해 인출되어 하나의 인출케이블(30)로 연결된 후, 바스켓(3)에 구비되는 콘센트(미도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집게부(162)의 내측면에 설치된 접속단자(163)는 슬립링(140)의 원주면에 접촉된 도체로서, 인출케이블(30)의 (+),(-) 전선(31)이 각각 연결된 연결블럭(16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슬립링(140)에 연결된 인입케이블(20)과 연결블럭(161)에 연결된 인출케이블(30)을 통전시키게 된다. 아울러, 슬립링(140)의 원주면에 접하는 접속단자(163)의 접촉면은 슬립링(140)의 원호에 대응한 만곡홈으로 형성되어, 접촉효율을 향상시킨다.
또한, 집게부(162)와 연결블럭(161)을 연결하는 탄성수단은 압축 코일스프링(164)(이하 "스프링" 이라 한다)으로 구성되어, 벌어진 집게부(162)를 항상 오므리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설치된 홀더(160)는 스프링(164)에 의해서 집게부(162)의 접속단자(163)가 슬립링(140)의 원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홀더(160)의 집게부(162)를 벌리는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슬립링(14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절연케이스(130)에 의해서 홀더(160)의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되므로 상판(150) 역시도 전원공급장치(100)에서의 임의적인 이탈 및 분리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작동을 설명한다.
먼저, 외부 전원과 연결된 인입케이블(20)의 (+),(-) 전선(21)이 각각의 슬립링(14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바스켓(3)의 콘센트에 연결된 인출케이블(30)의 (+),(-) 전선(31)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된 홀더(160)가 접속단자(163)에 의해 각각 슬립링(140)을 홀딩한 상태로 접촉되어 통전됨으로써 인입케이블(20)과 인출케이블(30)이 슬립링(140)과 홀더(16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되므로 외부 전원은 각 케이블(20)(30)과 슬립링(140) 및 홀더(160)를 통해서 바스켓(3)의 콘센트로 공급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웜스크류(13)가 작동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에 치합된 웜기어(14)가 회전되고, 웜기어(14)의 회전에 의해 이에 고정된 회전판(15)과 바스켓(3)이 일체로 회전된다.
한편, 이와 같은 바스켓(3)의 회전 시는, 웜기어(14)의 상면에 고정된 상판(150)과, 상판(150)의 하면에 설치된 홀더(160)가 웜기어(14)와 같이 회전된다. 이때, 홀더(160)는 고정된 각 슬립링(140)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되는 홀더(160)는 슬립링(140)보다 큰 직경을 갖는 절연케이스(130)에 의해서 해당 슬립링(140)에서 이탈되지 않고 접촉된 상태를 유지한 채로 회전되며, 상판(150) 역시도 고정된 상단의 절연케이스(130) 상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된다.
따라서, 인출케이블(30)의 (+),(-) 전선(31)이 각 홀더(160)에 연결된 상태로 상판(150) 및 바스켓(3)과 같이 일체로 회전됨으로써 전선(31) 및 인출케이블(30)의 꼬임이 방지되고, 인입케이블(20)의 (+),(-) 전선(21)은 붐대(2)와 같이 고정된 각 슬립링(140)에 연결된 상태이므로 전선(21) 및 인입케이블(20)의 꼬임이 사전에 방지되어, 외부 전원을 바스켓(3)의 콘센트로 안정적이면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2 : 붐대 3 : 바스켓
10 : 회전장치 11 : 하우징
12 : 베어링 13 : 웜스크류
14 : 웜기어 15 : 회전판
20,30 : 케이블 21,31 : 전선
100 : 전원공급장치 110 : 하판
120 : 스페이서 130 : 절연케이스
140 : 슬립링 150 : 상판
160 : 홀더 161 : 연결블럭
162 : 집게부 163 : 접속단자
164 : 스프링

Claims (2)

  1. 붐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작업대에 있어서,
    붐대에 고정되는 절연케이스;
    절연케이스에 절연된 상태로 각각 설치되고, 외부 전원과 연결된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슬립링; 및
    작업대에 그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각 슬립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회전되며, 작업대로 인출되는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복수의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작업대에 고정되고, 작업대 케이블의 (+) 전선과 (-) 전선이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연결블럭;
    연결블럭의 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집게부;
    집게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슬립링에 접촉되어 통전되는 접속단자; 및
    양단부가 집게부와 연결블럭에 각각 연결되어 집게부가 오므려지도록 하는 탄성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KR2020110006928U 2011-07-28 2011-07-28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KR2013000090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28U KR20130000908U (ko) 2011-07-28 2011-07-28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06928U KR20130000908U (ko) 2011-07-28 2011-07-28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0908U true KR20130000908U (ko) 2013-02-06

Family

ID=52424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06928U KR20130000908U (ko) 2011-07-28 2011-07-28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00908U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28B1 (ko) * 2013-05-10 2015-02-04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절연장치
KR101856652B1 (ko) * 2017-12-14 2018-05-11 장진만 전원 케이블의 꼬임 방지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차량
KR20190002447U (ko) * 2018-03-21 2019-10-02 주식회사 릴텍산업 붐대의 회전 각도 센서를 구비하는 슬립링
WO2019240307A1 (ko) * 2018-06-12 2019-12-19 (주)라투스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CN111055682A (zh) * 2019-12-09 2020-04-24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操纵室控制车辆行驶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28B1 (ko) * 2013-05-10 2015-02-04 주식회사 호룡 고소 작업차용 탑승함 절연장치
KR101856652B1 (ko) * 2017-12-14 2018-05-11 장진만 전원 케이블의 꼬임 방지 구조를 갖는 고소작업차량
KR20190002447U (ko) * 2018-03-21 2019-10-02 주식회사 릴텍산업 붐대의 회전 각도 센서를 구비하는 슬립링
WO2019240307A1 (ko) * 2018-06-12 2019-12-19 (주)라투스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KR20190140585A (ko) * 2018-06-12 2019-12-20 (주) 라투스 전시 제품용 리코일러
CN111055682A (zh) * 2019-12-09 2020-04-24 徐州重型机械有限公司 一种操纵室控制车辆行驶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00908U (ko) 크레인용 작업대의 전원공급장치
WO2017197775A1 (zh) 一种智能轨道式线性打端子机
CN105322482A (zh) 一种通用街码
CN111541066A (zh) 一种可伸缩便携多功能接地线
CN105703198A (zh) 一种多滑轮送料拨叉式电线修整生产线
CN109473790B (zh) 一种可长距离直线挂设的绝缘地线专用接地棒
CN111564713B (zh) 分支引电组件及其使用方法
CN111740296B (zh) 一种电缆线接头连接辅助装置
CN202352852U (zh) 支持绝缘子接地装置
CN211182558U (zh) 一种高低压接地挂靠装置、高低压接地装置
CN210074201U (zh) 一种带异型线夹的接地线装设组合工具
KR101052267B1 (ko) 집게장착식 전자척시스템
CN201118148Y (zh) 滑车式导线接地装置
CN112952663A (zh) 一种带电作业自动剥线机
CN209023967U (zh) 一种移动电缆绕线装置
CN108400509B (zh) 一种手持式电线接头缠绕装置
JP2014045622A (ja) 回転電機の巻線装置
CN212257733U (zh) 带收线功能的电力检修接地装置
CN203895636U (zh) 多用型接地线锁紧夹头
US7825553B2 (en) Terminal board as well as an electrical machine
CN210806050U (zh) 新型多接口低压分流线夹
CN209896281U (zh) 一种便携式接地线
CN109066454A (zh) 一种线夹安装工具
CN110977724B (zh) 一种变电站刀闸除锈装置
CN110601095A (zh) 一种可带电作业的复合型并沟搭接器及其操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