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6111B1 -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6111B1
KR102456111B1 KR1020210081432A KR20210081432A KR102456111B1 KR 102456111 B1 KR102456111 B1 KR 102456111B1 KR 1020210081432 A KR1020210081432 A KR 1020210081432A KR 20210081432 A KR20210081432 A KR 20210081432A KR 102456111 B1 KR102456111 B1 KR 102456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
filter
shape
plate
body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의헌
김창겸
주일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우기술사사무소
김의헌
김창겸
주일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우기술사사무소, 김의헌, 김창겸, 주일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우기술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210081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61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6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611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6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흡착배수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흡착배수판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으로 마련되며,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몸체부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형성된 모세관,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모세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모세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상부가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배수부는 모세관으로부터 빨아올려진 물이 포집 및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ADSORPTION DRAIN BOARD AND DRAINAGE SYSTEM FOR PERMEATION WATER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상부 교면포장과 같이 구조물 바닥면에 고인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효과적으로 유도배수시킬 수 있는,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아스팔트 교면포장의 우수 침투 현상은 불가피한 현상이다. 아스팔트 포장층은 현실적으로 완벽한 불투수층이 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스팔트 포장층은 투수가 가능한 층으로 해석함이 바람직하다.
도 1a와 같이 포장체 아래로 침투한 물은 구배(횡단경사)를 따라 흐르다가 구조물에 의해 막힌 위치에서 고이게 된다. 일반적으로 교량 횡단면 상으로는 연석부에서, 종단면 상으로는 신축이음부에서 물고임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교면포장 침투수는 교량 콘크리트 바닥판의 열화를 가속시킬 수 있다. 이 침투수는 동절기에 염화칼슘이 포함된 제설재의 침투도 가능하며, 이 경우 콘크리트 열화가 빨라지고 철근의 심각한 부식이 발생되어 교면 포장을 비롯하여 콘크리트 바닥판을 내구수명 이전에 교체해야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포장 내 침투수가 신속하게 배출되지 않고 체수 될 경우에는 포장면의 파손도 발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스팔트 포장층의 상면으로 차량 이동 시 차륜하중에 의해 체수에 강한 압력이 발생하여 포트홀(pot-hole)과 같은 포장체의 물리적인 파손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도로 포장의 체수 및 물고임은 교통안전에 중대한 문제를 유발시킬 수 있는데, 물고임 현상이 심할 경우에는 이동차량에 의한 수막현상에 의해 교통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포장체 포트홀이 발생될 경우, 이동차량에 강한 충격과 손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가장 심각한 문제로는 동절기에 이 고인 물이 동결되어 빙판길을 만들어 심각한 교통사고를 유발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기술에서는 교량의 종-횡단 구배상 위상이 낮고 흐름의 단속이 발생되는 신축이음부와 연석 또는 방호벽을 따라 소요의 배수구 시설과 유도배수를 위한 유공 도수관을 설치하였다. 그러나, 상기 유공 도수관은 포장체 아래에 잔류되는 물을 배수시키기에는 한계가 있고 유공관이 이물질에 의해 막히는 등 이용에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b와 같이 유도배수판이 개발되었는데, 이 유도배수판은 바닥면에 한 방향으로 물을 빨아들일 수 있는 구조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는 목적상 흙 입자로 인해 간극이 분포된 지중에 적용하기에는 문제가 없으나 교량 바닥판과 같은 평면상에는 적용에 한계가 있었다.
첫번째 문제는 상기 유도배수판은 차륜의 압력에 의해 포집된 물을 다시 배출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상기 유도배수판은 모세관으로 물을 빨아들인 후 모세관과 연결된 원형 단면의 배수관으로 물을 배수시키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유도배수판 상부에 순간적인 압력이 가해질 경우 원형 단면에 포집되어 배수중인 물이 그 압력에 의해 다시 모세관으로 배출될 수 있다. 특히 체수 현상이 심한 신축이음부에 상기 유도배수판이 설치될 경우에는 높은 빈도의 차륜이 지나는 위치이기 때문에 원활한 배수 기능이 어려울 것이다.
두번째 문제는 상기 유도배수판은 유도재 길이 방향으로 물을 빨아들이는 구조가 측면으로 들어오는 물을 막아버린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교량 바닥판의 경우, 유도배수 장치는 측면으로부터 흘러들어오는 물을 포집해야 하는데, 상기 유도배수판은 측면으로는 막힌 구조이기 때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61174호(2010. 06. 09)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구조물의 상면의 물을 종방향과 횡방향으로 용이하게 포집하고 한번 포집된 물이 다시 배출되지 않게 하는 흡착배수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흡착배수판과 연결된 3중 필터 배수통을 구비함으로써 흡착배수판으로 포집된 물을 용이하게 배수하면서 관리가 용이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교량 등 구조물에 설치되는 배수통은 이물질 침투로 인해 배수관이 막히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3중 필터 배수통은 상시 배수통으로 침투하는 이물질 차단을 통해 배수 시스템의 기능 막힘을 방지해주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흡착배수판은, 단면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형성된 모세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모세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모세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상부가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모세관으로부터 빨아올려진 물이 포집 및 배수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배수부는, 상기 모세관의 상단 보다 낮도록 마련된 포집관; 및 상기 포집관과 상기 모세관의 상단을 연결하되 미리 설정된 경사로 마련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유도 노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은, 상기 흡착배수판; 상기 흡착배수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흡착배수판의 상부에 마련된 보강부; 및 상기 흡착배수판의 단부와 연결되며 교량의 상부에 마련된 배수홀의 상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배수통;을 포함한다.
상기 보강부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 보강 본체; 및 상기 보강 본체의 하부는 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강 본체의 상부는 양각 또는 음각의 허니컴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배수통은, 상기 배수홀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삽탈가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배수홀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수홀 주변에 고정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통과되도록 마련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흡착배수판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필터 본체; 상기 필터 본체의 상부에 다층으로 마련되고 다수 개의 홀이 마련된 U형 프레임; 및 상기 필터 본체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 본체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각 층의 U형 프레임은 교번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쉽게 포집하고 포집된 물이 이탈되지 않고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착배수판과 흡착배수판을 보호하는 보강부, 흡착배수판의 단부와 배수홀에 마련된 필터 배수통에 의해 교면에 적체되어 있는 교면 침투수를 용이하게 배수하며, 배수된 물이 배수홀의 상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교량 배수시스템 유지관리에서의 고질적인 문제인 배수통 막힘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a는 교면포장 아래에 물고임 현상이 발생한 것을 나타낸 개략도,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유도배수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배수판을 나타낸 개략도,
도 2b는 도 2a의 흡착배수판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
도 2c는 도 2a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배수판을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b는 도 2a의 흡착배수판 중 일부를 확대한 도면이고, 도 2c는 도 2a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의 필터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배수판(100)은몸체부(110), 모세관(120), 배수부(130)를 포함한다.
몸체부(110)는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며, 횡단면은 소정의 폭과 길이를 가진 직사각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내열형 합성수지판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구조물 표면의 물을 흡입하고 배수할 수 있으며 플렉서블(flexible)하게 휘어질 수 있는 재질이라면 다른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몸체부(110)의 하면에서부터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구조물 표면에 고인 물을 모세관 현상을 통해 흡입할 수 있는 모세관(120)이 마련되고, 모세관(120)과 이어진 미리 설정된 높이에는 모세관(120)에 의해 빨아 올려진 물을 포집하고 배수시키는 배수부(130)가 마련된다.
모세관(120)은 몸체부(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으로 마련되며, 몸체부(110)의 길이에 따라 상이하나, 예를 들어 폭 0.6mm, 높이 10mm로 마련될 수 있다.
배수부(130)는 몸체부(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모세관(120)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모세관(120)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상부가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도 2b와 같이 배수부(130)는 모세관(120)으로부터 빨려 올라가는 물이 포집되어 배수되도록 마련되며, 모세관(120)의 최상단에서 좌우로 경사지도록 마련된 부분을 통해 하방으로 물이 내려가도록 마련되어 물이 쉽게 포집되고 한번 포집된 물은 다시 배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이를 위해 배수부(130)는 모세관(120)의 상단 보다 낮도록 마련된 포집관(135), 포집관(135)과 모세관(120)의 상단을 연결하되 미리 설정된 경사로 마련된 경사부(133), 배수부(130)의 상단부를 폐쇄하도록 마련된 폐쇄부(131)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폐쇄부(131)는 직사각형 단면의 일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원형, 삼각형, 사다리꼴, 타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상 중 일부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착배수판(100)은 몸체부(110)의 하면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몸체부(110)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유도 노치(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도 노치(140)는 구조물 표면과 맞닿은 몸체부(110)의 하부로 물을 유도하여 모세관(120)으로 물이 쉽게 빨려 올라가도록 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그 단면이 반원형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직사각형, 타원형,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착배수판(100)은 구조물의 표면(예를 들어 교면)에서 교량(미도시)의 길이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단위 길이로 모듈화되어 종방향으로 이어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미도시하였지만 단위 길이의 흡착배수판(100)은 그 단부의 상면에서 연결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은 흡착배수판(100), 보강부(200), 필터 배수통(300, 400)을 포함한다.
보강부(200)는 흡착배수판(100)을 보호하도록 상기 흡착배수판의 상부에 마련된 것으로, 특히 아스팔트 포설 시 높은 온도와 물리적 충격 등에 대하여 흡착배수판(100)을 보호하도록 마련된다.
보강부(200)는 무수축 모르타르와 와이어 메쉬 등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흡착배수판(100)의 폭과 높이에 대응하도록 그 폭과 높이가 마련될 수 있다.
보강부(200)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 보강 본체(210), 보강 본체(210)의 하부가 횡방향으로 일부 개방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된 요철부(230, 240)를 포함하며, 보강 본체(210)의 상부는 양각 또는 음각의 허니컴 형상으로 마련된 부착부(220)가 마련될 수 있다.
부착부(220)는 허니컴 형상으로 마련되어 아스팔트와의 부착력이 향상될 수 있으며,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부착부(220)가 허니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도록 예시하였으나 원형, 타원형, 직사각형, 오각형, 팔각형 등의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요철부(230, 240)의 요부(240)를 통해 교면 침투수가 흡착배수판(100)으로 쉽게 유도될 수 있다.
미도시하였지만 단위 길이의 보강부(200)는 그 단부의 상면에서 연결핀(미도시)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필터 배수통(300, 400)은 흡착배수판(100)의 단부와 연결되며 교량의 상부에 마련된 배수홀(H)의 상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것이다.
배수홀(H)은 교량 바닥판의 코너부 등에 마련되어 교량 바닥판의 물을 교량의 하부로 배수하도록 마련된 홀이다.
필터 배수통(300, 400)은 배수홀(H)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부(330, 430), 프레임부(330, 430)에 삽탈 가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310, 320, 410)를 포함한다.
먼저 도 4a 내지 4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300)의 프레임부(330)는 배수홀(H)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배수홀(H) 주변에 고정되는 프레임 본체(331), 프레임 본체(331)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필터부(310, 320)가 안착되며, 필터부(310, 320)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통과되도록 마련된 안착부(335)를 포함한다.
프레임 본체(331)는 중공의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되며, 체결부(333)가 측하부에 다수 개 마련되어 교량 바닥판과 고정된다.
안착부(335)는 다수 개의 바로 마련될 수 있으며, 바 사이 사이로 필터링된 물이 통과된다.
필터부(310, 320)는 이물질의 침투를 예방하기 위한 것으로, 프레임 본체(33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흡착배수판(100)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필터 본체(311), 필터 본체(311)의 상부에 다층으로 마련되고 다수 개의 홀이 마련된 U형 프레임(315) 및 필터 본체(311)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필터(320)를 포함한다.
필터 본체(311)의 상부 측면에는 흡착배수판(100)의 단부가 삽입되도록 흡착배수판 삽입부(313)가 마련된다. 필터 본체(311)의 높이는 필터 본체(311)가 프레임부(330)에 삽입되었을 경우 흡착배수판 삽입부(313)가 프레임부(330)의 상부로 노출되는 정도의 높이로 마련될 수 있다.
흡착배수판 삽입부(313)는 슬릿형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흡착배수판(100)을 가이드 하기 위해 흡착배수판 삽입부(313)의 주변으로 가이드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필터 본체(311)의 내측 하부에는 하부 필터(320)가 서랍식으로 결합되도록 하부 필터 지지부(317)가 마련될 수 있으며, 하부 필터 지지부(317)에 의해 하부 필터(320)는 교체가 용이하다.
필터부(310, 320)는 프레임 본체(331)에 삽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U형 프레임(315)에 의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큰 이물질이 필터링되며, 하부 필터(320)는 촘촘하게 배치되는 필터망에 의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이물질이 필터링된다.
필터부(310, 320)는 프레임 본체(331)에 삽탈 가능하도록 결합하므로, 필터부(310, 320)에 이물질이 쌓여 필터링 능력이 저하되면 필터부(310, 320)는 프레임 본체(331)로부터 분리된다. 이후 U형 프레임(315) 상부의 이물질이 분리되고 하부 필터(320)가 교체되어 필터부(310, 320)는 다시 프레임 본체(331)에 결합되어 필터링이 수행될 수 있다.
U형 프레임(315)은 다수 개의 층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필터 본체(311)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각 층의 U형 프레임(315)은 교번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부 층의 U형 프레임(315a)과 하부층의 U형 프레임(315b)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인접하도록 배치되며, 평면에서 보았을 때 상부 층의 U형 프레임(315a) 사이에 하부층의 U형 프레임(315b)이 배치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U형 프레임(315)은 그 단면이 'U'자 형으로 상부를 향하여 개방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U형 프레임(315)의 하부에는 U형 프레임(315)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통과홀(314)이 마련된다.
U형 프레임(315)은 그 단면이 'U'자 형으로 마련되도록 예시하였으나, 상부가 개방되고 하부는 폐쇄되는 형상이라면 'ㄷ'자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4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배수통(300)과 대부분의 구성이 대응되며 그 형상이 원통형으로 형성된다는 점이 상이하다.
도 6a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을 설명한다.
도 6a와 같이 노견 포장을 제거하고 신축 이음부(540) 주변에 마련된 배수홀(H) 주변으로 블록아웃부(550)를 형성하여 필터 배수통(300, 400)이 마련될 위치를 세팅한다.
흡착배수판(100)을 노면에 설치하고 그 단부는 블록아웃부(550)에 위치하도록 마련한다. 이 경우, 흡착배수판(100)의 하부 층에 소정의 두께로 모래층이 포설되도록 마련할 수 있다.
이후, 도 6b와 같이 필터 배수통(300, 400)과 보강부(200)를 마련하고, 도 6c와 같이 무수축 모르타르(M)를 필터 배수통(300, 400)의 주변으로 타설한다.
마지막으로 도 6d와 같이 아스팥트를 포설 및 다짐하고 상부에 맨홀(600)을 설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쉽게 포집하고 포집된 물이 이탈되지 않고 쉽게 배수될 수 있도록 마련된 흡착배수판과 흡착배수판을 보호하는 보강부, 흡착배수판의 단부와 배수홀에 마련된 필터 배수통에 의해 교면에 적체되어 있는 교면 침투수를 용이하게 배수하며, 배수된 물이 배수홀의 상부로 역류하지 않도록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흡착배수판
110: 몸체부
120: 모세관
130: 배수부
200: 보강부
300: 필터 배수통
400: 필터 배수통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단면이 직사각형의 판형으로 마련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릿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몸체부의 미리 설정된 높이까지 형성된 모세관 및 상기 몸체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모세관의 상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모세관을 중심으로 좌우 대칭으로 상부가 폐쇄되도록 마련되는 배수부를 포함하며, 상기 배수부는 상기 모세관으로부터 빨아올려진 물이 포집 및 배수되도록 마련된 흡착배수판;
    상기 흡착배수판을 보호하도록 상기 흡착배수판의 상부에 마련된 보강부; 및
    상기 흡착배수판의 단부와 연결되며 교량의 상부에 마련된 배수홀의 상부에 형성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 배수통;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부는, 상부는 폐쇄되고 하부는 개방되도록 단면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 보강 본체; 및 상기 보강 본체의 하부는 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요철형으로 형성된 요철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강 본체의 상부는 양각 또는 음각의 허니컴 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배수통은,
    상기 배수홀의 상부에 고정되는 프레임부; 및
    상기 프레임부에 삽탈가능하도록 마련된 필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상기 배수홀이 중심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배수홀 주변에 고정되는 프레임 본체; 및
    상기 프레임 본체의 내측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필터부가 안착되며, 상기 필터부에 의해 필터링된 물이 통과되도록 마련된 안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는,
    상기 프레임 본체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마련되며 상부에 상기 흡착배수판의 단부가 결합되도록 마련된 필터 본체;
    상기 필터 본체의 상부에 다층으로 마련되고 다수 개의 홀이 마련된 U형 프레임; 및
    상기 필터 본체의 하부에 서랍식으로 결합되는 하부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본체의 상부에서 보았을 때, 상기 각 층의 U형 프레임은 교번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는,
    상기 모세관의 상단 보다 낮도록 마련된 포집관; 및
    상기 포집관과 상기 모세관의 상단을 연결하되 미리 설정된 경사로 마련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12.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배수판은 몸체부의 하면에서 오목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몸체부의 횡방향으로 형성된 유도 노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KR1020210081432A 2021-06-23 2021-06-23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Active KR102456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432A KR102456111B1 (ko) 2021-06-23 2021-06-23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432A KR102456111B1 (ko) 2021-06-23 2021-06-23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6111B1 true KR102456111B1 (ko) 2022-10-18

Family

ID=838039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432A Active KR102456111B1 (ko) 2021-06-23 2021-06-23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611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828A (en) * 1997-02-04 1999-08-10 Yung-An Tu Drainage method and strap draining materials therefor
KR100492818B1 (ko) * 2004-11-24 2005-06-02 지호열 연약지반의 탈수촉진 배수재 및 그 설치방법
KR20050111710A (ko) * 2004-05-22 2005-11-28 어네스트 타라파스키 윌리엄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100941146B1 (ko) * 2009-05-11 2010-02-10 김원주 덮개 이탈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 장착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KR100961174B1 (ko) 2010-01-26 2010-06-09 주일한 드레인 벨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34828A (en) * 1997-02-04 1999-08-10 Yung-An Tu Drainage method and strap draining materials therefor
KR20050111710A (ko) * 2004-05-22 2005-11-28 어네스트 타라파스키 윌리엄 지하수 배수장치 및 그 방법
KR100492818B1 (ko) * 2004-11-24 2005-06-02 지호열 연약지반의 탈수촉진 배수재 및 그 설치방법
KR100941146B1 (ko) * 2009-05-11 2010-02-10 김원주 덮개 이탈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 장착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KR100961174B1 (ko) 2010-01-26 2010-06-09 주일한 드레인 벨트 및 이를 이용한 지하수 배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8396B1 (ko) 선배수 기능을 겸한 점배수 장치
FI104439B (fi) Vesisäiliökonstruktio
KR100301217B1 (ko) 포장 도로용 배수 시스템
KR102456111B1 (ko) 흡착배수판 및 이를 이용한 교면 침투수 배수 시스템
CN210216073U (zh) 水泥混凝土路面原位加铺沥青路面排水结构
CN210621457U (zh) 一种沥青桥面排水结构
JPH05132993A (ja) 雨水濾過装置およびその装置の維持方法および雨水濾過 方法およびその管理システム
JP2996396B1 (ja) 透水性アスファルト舗装道路の浸透水排出設備とその施工法
KR100966468B1 (ko) 보강매트와 유공관이 결합된 무 배수로 투수 기층구조 의 시공방법.
JP4331744B2 (ja) 道路の排水構造とこれに用いる埋設側溝
JP5142065B2 (ja) グラウンドの排水装置
KR101111185B1 (ko) 경계겸용 초기 강우 정화 블록
CN220246594U (zh) 一种路面结构
KR102235676B1 (ko) 다용도 모듈형 블록틀
JP3728635B2 (ja) 排水性舗装用排水路
KR100966473B1 (ko) 비노출 배수로의 기층구조 및 유공관을 포함하는 비노출 배수로의 시공방법
JP7544588B2 (ja) 舗装構造物および舗装構造物構築方法
JP2019210682A (ja) ブロック舗装の排水構造
KR101663914B1 (ko) 조립식 우수 침투형 측구
KR102576235B1 (ko) 빗물이 지중으로 침투되는 콘크리트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86881B1 (ko) 다공성 투수 경계석 및 이를 이용한 배수 시스템
JP5374347B2 (ja) 道路橋継目部の排水構造
KR102800749B1 (ko) 차도로부터의 우수를 선택적으로 화단부의 토사층으로 유입시키는 우수 침투형 화단부 구조
JPH0860736A (ja) 透水性舗装路面用街渠蓋
JP3258270B2 (ja) コンクリート製暗渠ブロッ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1062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7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0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0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