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5626B1 -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 Google Patents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5626B1
KR102455626B1 KR1020210152772A KR20210152772A KR102455626B1 KR 102455626 B1 KR102455626 B1 KR 102455626B1 KR 1020210152772 A KR1020210152772 A KR 1020210152772A KR 20210152772 A KR20210152772 A KR 20210152772A KR 102455626 B1 KR102455626 B1 KR 102455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nules
white
bean
preparing
cashew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2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혜
Original Assignee
김지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혜 filed Critical 김지혜
Priority to KR1020210152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62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3/00Soups; Sauc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30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astes, meal, powders; Products made therefrom, e.g. blocks, flakes, snacks; Liquid or semi-liqui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0Freez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31Mechanical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Beans For Foods Or Fodder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MANUFACTURING METHOD FOR BEAN SPREAD AND BEAN SPREAD}
본 명세서는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에 관한 것이다.
날로 서구화되고 있는 식단의 변화로 우리나라도 최근에는 식빵이나 바게트빵, 베이글을 이용한 토스트, 샌드위치, 도너츠, 와플 등의 소비가 늘고 있다. 그 중 특히 토스트는 가정에서 가장 쉽게 조리할 수 있는 식품 중 하나인데, 식빵을 구운 토스트 위에는 보통 기호에 따라 스프레드를 직접 발라먹거나 오븐에 구워먹게 된다.
고가의 버터의 대용품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마가린이나 팻 스프레드(fat spread)에 이용되는 식물성 유지는 경화유가 이용된다. 그렇지만, 이들 식물성 유지는 경화유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트랜스 지방산이 다량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트랜스지방산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스프레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콩은 골다공증, 갱년기 장애, 유방암 등의 여성 질환에 대해 효과가 좋은 이소플라본(isoflavone)나, 암 예방, 동맥 경화 예방, 피부의 노화 방지에 대해 효과가 기대되는 사포닌, 단백질, 비타민류 등의 영양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 건강을 추구하는 사람이 자주 찾는 기호식품이다.
그러나, 콩에 포함된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성분에 기인하는 불쾌한 냄새(일반적으로, 대중에게 콩냄새로 인식되어 있다)로 접근성이 떨어지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버터 등의 고지방 성분을 사용하지 않아 트랜스지방산 발생이 적고, 불쾌한 콩냄새가 저감된 콩 스프레드 제조방법을 개발하는 것이 절실하다.
일본 특허 공개 2002-281927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버터 등의 고지방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발림성이 우수하며, 불쾌한 콩냄새가 저감된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콩 스프레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의 의해 제조된 콩 스프레드는 불쾌한 콩냄새가 저감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의 의해 제조된 콩 스프레드는 발림성이 우수하고, 버터 등의 고지방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수침된 백태, 강낭콩 및 캐슈너트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강낭콩을 가열 및 급랭하는 단계에서 온도를 측정한 것이다.
도 3은 분쇄된 백태, 강낭콩 및 캐슈너트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강낭콩을 분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캐슈너트를 분쇄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캐슈너트를 가열하기 전후의 모습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불쾌한 콩냄새가 발생되는 원리에 대해 설명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과립'은 원료를 분쇄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며, 그 형태는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과립은 물질의 함습 상태를 구분하지 않으며, 완전 건조된 상태뿐만 아니라 습기를 머금은 상태를 모두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백태'는 우리나라 재래품종의 콩으로써(학명: Fabaceae), 황색 내지 황백색의 구형의 입자상을 갖는 콩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강낭콩'은 학명이 Phaseolus vulgaris인 콩의 한 종류로써, 당질, 단백질 및 비타민 B가 풍부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캐슈너트'는 옻나무과에 속하는 캐슈나무의 씨앗이며, 누르스름한 빛깔에 둥글게 구부러진 형태를 갖는다. 미세한 단맛이 나며, 총 무게의 40wt%가 지방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콩'은 상기 백태와 강낭콩을 의미한다.
콩에 포함된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효소 성분이 지방을 분해하면서 알코올류, 알데하이드류, 케톤류 또는 페놀류 등의 성분이 발생되는데, 이 성분들이 불쾌한 콩냄새를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도 8 참조).
상기 콩냄새는 유형에 따라 비린 향, 곰팡이 냄새, 밀가루 냄새, 버섯 냄새 등 사람이 불쾌하게 느끼는 모든 유형의 콩냄새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콩냄새는 콩을 원료로 한 식재료의 식감을 떨어뜨리는 주된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콩냄새를 저감시킬 수 있는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에 따르면, 콩에 포함된 리폭시게나아제(Lipoxygenase) 성분에 기인하는 불쾌한 콩냄새가 저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버터 스프레드를 대체하는 풍미가 우수한 스프레드를 제조할 수 있으며, 캐슈너트의 지방 성분을 활용하여 발림성이 우수한 스프레드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는 서로 구분된 계(system)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서로 구분된 계라는 것은,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이전에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이 서로 혼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이들을 서로 구분하기 위해, 구분된 용기에서 각 과립을 제조할 수 있다. 이들 과립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각 제조 공정이 서로 상이할 수 있어, 구분된 계에서 각각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하고, 이들 과립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혼합물'은 상기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이 서로 혼합된 혼합체를 의미한다. 이때, 스프레드 전체에서 통일감이 있는 식감이 나타나도록 각 과립을 서로 잘 혼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강낭콩 과립의 함량은 상기 백태 과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20 내지 100 중량부, 40 내지 80 중량부 또는 50 내지 7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 과립의 함량은 상기 백태 과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0 내지 100 중량부, 20 내지 70 중량부 또는 3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과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강낭콩 과립의 함량이 50 내지 70 중량부이고, 상기 캐슈너트 과립의 함량이 30 내지 50 중량부일 수 있다.
상술한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 고유의 색깔이 잘 어우러져서 스프레드 전체의 색감이 우수하여, 스프레드를 맛보는 사용자로 하여금 미각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스프레드 전체에서 통일감 있는 식감이 느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는 과립 혼합물을 다시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를 통해, 혼합물에 포함된 과립이 더욱 미세하게 분쇄되어, 과립이 서로 균질하게 혼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 및 냉각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는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물에 불림으로써, 콩 조직을 부드럽게 연화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는 20℃ 이하의 온도에서 1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한편, 3 내지 20시간 또는 5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상기 수행 시간 동안 3℃ 범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으며,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냉장고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는 5wt%, 3wt% 또는 1.5wt% 이하의 농도를 갖는 소금물에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농도에서 콩 조직이 더욱 부드럽게 연화되고, 제조된 스프레드의 발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증숙하는 단계는 스팀, 열수의 통과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가정용 압력솥에 투입하고, 내부에 압력이 가득 차 밸브에서 김이 나오고 소리가 날 때까지 가열하고, 그 상태에서 6~8분 동안 더 가열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증숙하는 단계는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또는, 60℃ 내지 100℃의 온도에서 5분 이상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는 증숙하는 단계에서 사용되는 가열 장치의 외부 표면온도일 수 있다. 예컨대, 증숙 단계가 상술한 압력솥을 이용하는 경우, 압력솥의 외부 표면온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증숙이 충분히 수행되어 콩의 섬유질이 유연해지며, 콩의 잡내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숙하는 단계 이후에 급랭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급랭하는 단계는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이 포함된 가열 장치의 외부 표면에 물을 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열 장치는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압력 밥솥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이 포함된 압력 밥솥에 상온(25℃) 이하의 물을 가하는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급랭하는 단계는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이 포함된 가열 장치의 외부 표면 온도가 상온(25℃)이하가 될 때까지 1회 이상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가열 장치 내의 백태 또는 강낭콩의 온도뿐만 아니라, 가열 장치의 압력이 동시에 감압될 수 있어, 조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백태와 강낭콩의 온도를 낮추어줌으로써 콩이 과숙되어 악취가 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는 10℃ 이하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는 10℃ 이하의 온도, 9℃ 이하의 온도 또는 -20℃ 이상 8℃ 이하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에서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는 10분 내지 10시간, 20분 내지 6시간 또는 30분 내지 4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만족할 때, 콩냄새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세균이 번식하는 것을 조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냉각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분쇄하는 단계는 가정용 믹서기(mixer)와 같은 푸드프로세서 또는 거름망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각된 백태를 분쇄하는 단계는 푸드프로세서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백태 입자가 보이지 않을 때까지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강낭콩을 분쇄하는 단계는 8 내지 12 메쉬(mesh) 거름망을 이용하여, 강낭콩 입자를 으깨가며 체질할 수 있으며, 걸러지지 않고 거름망에 잔류한 껍질은 분리하여 폐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백태 또는 강낭콩을 계량하는 단계; 또는 백태 또는 강낭콩을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계량하는 단계는 백태 또는 강낭콩의 무게를 저울(scale)을 이용하여 재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세척하는 단계는 백태 또는 강낭콩에 잔류한 오염 물질 또는 콩껍질을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맑은 물에서 3~4회 콩끼리 비벼가며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세척하는 단계를 통해, 백태와 강낭콩에서 발생할 수 있는 콩냄새를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백태 또는 강낭콩을 계량하는 단계;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급랭하는 단계;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 및 냉각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수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의 중량이 50% 내지 200% 증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200%, 또는 150% 내지 190% 증가할 수 있다. 상기 수침하는 단계 이후의 백태 또는 강낭콩의 중량은 수침으로 인해 물이 수침되어 증가한 중량을 나타낸다. 수침되어 중량이 증가하면, 백태와 강낭콩의 질감이 부드러워져 스프레드의 발림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는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 수침된 캐슈너트를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는 상기 캐슈너트를 물에 불림으로써, 캐슈너트 조직을 부드럽게 연화시키는 단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는 30℃ 이상 90℃ 이하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는 40℃ 이상 90℃ 이하, 또는 50℃ 이상 80℃ 이하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는 10분 내지 10시간, 또는 20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온도 및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마른 캐슈너트가 충분히 수분을 흡수함으로써, 조직이 부드러워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캐슈너트의 전분 성분이 물, 열과 만나 겔 형태로 변하게 된다. 상기 겔이 스프레드의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다.
종래의 스프레드는 발림성을 개선하기 위해, 버터 등의 고지방 성분을 포함하거나 발림성 텍스쳐 보조제를 함유하였다. 그러나, 상기 고지방 성분은 칼로리가 높아 웰빙 식단이라는 시대적 부응에 부합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에서 변화된 캐슈너트의 전분 성분을 이용함으로써, 고지방 성분이나 종래의 텍스쳐 보조제를 포함하지 않아도 스프레드의 발림성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는 분쇄된 캐슈너트를 대기압 조건의 열린 계(system)에 노출시킨 상태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쇄된 캐슈너트를 프라이팬에 넣고 불에서 가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는 상압 및 50℃내지 12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는 60℃ 내지 120℃의 온도 조건에서 1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는 70℃ 내지 100℃ 또는 80℃ 내지 95℃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는 1분 내지 20분, 2분 내지 15분, 또는 3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는 캐슈너트를 계량하는 단계; 또는 캐슈너트를 세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캐슈너트를 세척하는 단계는 상기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 이후에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3회 맑은 물에 캐슈너트를 세척하고, 수분을 증발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콩 스프레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콩 스프레드는 코코넛버터, 버터 및 마가린을 실질적으로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이는, 인위적으로 첨가한 코코넛버터, 버터 및 마가린이 거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콩 스프레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코코넛버터, 버터 또는 마가린의 중량이 1wt%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백태를 1wt% 농도 소금물에서 12시간 동안 냉장고에서 수침시켰다. 이후, 소금물을 버리고, 맑은 물에서 3~4회 백태를 서로 비벼 콩의 껍질과 이물을 제거하였다. 수침된 백태는 도 1의 (a)에 나타냈다.
세척된 백태와 이 무게의 2.2배의 물을 함께 압력솥에 넣고 삶는 증숙 과정을 거쳤다. 이때, 압력솥 내부의 압력이 가득 차 밸브에서 김이 새어나오고 소리가 날 때까지 강불(압력솥 외부 표면 온도 기준 70.3~72℃: 도 2의 (a))에서 가열하였다. 이후, 중강불로 화력을 조절한 후 6~8분간 더 삶았다. 이때, 압력솥 외부 표면 온도는 68.2~72.7℃로 확인되었다(도 2의 (b)).
일정 시간 후 즉시 압력솥에 찬물을 뿌려 솥 안의 온도와 압력을 낮추고 뚜껑을 열어 익은 콩과 삶은 물을 즉시 분리한다. 자연 냉각 시 압력솥 안의 고온으로 콩이 과숙되어 고소한 콩취가 메주향으로 변하기 때문에 인위적 조건을 가해 압력솥의 내부 온도와 압력을 낮춘 후 익은 콩과 물을 즉시 꺼내는 급랭 단계를 수행하였다(도 2의 (c)).
이후, 백태를 ice bath에 담궈 10℃ 이하의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냉각시켰다.
이후, 냉각된 백태를 푸드프로세서를 이용하여 알갱이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곱게 갈아주는 분쇄 단계를 수행하였다(도 3의 (a)).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8~12 mesh 거름망을 이용해 냉각된 강낭콩을 으깨어 체질하고 분쇄한 것을 제외하고는 백태와 동일한 방법으로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였다. 이때, 걸러지지 않고 거름망에 남은 껍질은 분리 및 폐기하였다. 수침된 강낭콩은 도 1의 (b)에 나타내고, 강낭콩을 분쇄하는 모습은 도 4에, 분쇄된 강낭콩은 도 3의 (b)에 각각 나타냈다.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마른 캐슈너트를 60℃~80℃의 물에 30분 이상 수침시켰다. 수침된 캐슈너트는 도 1의 (c)에 나타냈다.
이후, 수침된 캐슈너트를 2~3회 맑은 물에 세척 후, 체에 올려 물기를 제거하였다.
수침된 캐슈너트의 무게를 측정한 뒤, 캐슈너트를 백태 삶은 물에 투입한 상태에서 분쇄하였다. 캐슈너트를 분쇄하는 것은 도 5에, 분쇄된 캐슈너트는 도 3의 (c)에 나타냈다.
분쇄된 캐슈너트를 코팅된 프라이팬에 넣고 프라이팬 중심 온도 85~90℃ 조건에서 3~4분 간 가열하였다. 이때, 캐슈너트의 전분 성분이 새어나올 때까지 프라이팬 위에서 캐슈너트를 휘저어가며 가열하였다(도 6의 (a) 및 (b)). 가열 전(도 7의 (a)) 및 후(도 7의 (b))의 캐슈너트의 모습을 도 7에 나타냈다.
가열된 캐슈너트를 급랭고에 넣어 냉각시켰다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을 5:3:2의 비율로 각각 섞고, 블렌더를 이용하여 잘 혼합하였다. 스프레드의 발림성이 좋도록, 1회 더 분쇄하여, 최종 콩 스프레드를 제조하였다.

Claims (15)

  1.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백태 과립, 강낭콩 과립 및 캐슈너트 과립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는 서로 구분된 계(system)에서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백태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강낭콩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 중 어느 하나 이상은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증숙하는 단계;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 및 냉각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을 수침하는 단계는 20℃ 이하의 온도에서 1시간 내지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증숙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냉각하는 단계는 10℃ 이하의 온도에서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고,
    상기 캐슈너트 과립을 제조하는 단계는 캐슈너트를 수침하는 단계; 수침된 캐슈너트를 분쇄하는 단계; 및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강낭콩 과립의 함량이 상기 백태 과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0 내지 70 중량부이고,
    상기 캐슈너트 과립의 함량이 상기 백태 과립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50 중량부인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침된 백태 또는 강낭콩을 증숙하는 단계는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1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8. 삭제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증숙하는 단계 이후에 급랭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침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백태 또는 강낭콩의 중량이 50% 내지 200% 증가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11. 삭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쇄된 캐슈너트를 가열하는 단계는 상압 및 50℃ 내지 120℃의 온도에서 1분 내지 30분 동안 수행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을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14. 청구항 1, 7, 9, 10, 12 및 1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콩 스프레드.
  15. 삭제
KR1020210152772A 2021-11-09 2021-11-09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KR102455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72A KR102455626B1 (ko) 2021-11-09 2021-11-09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2772A KR102455626B1 (ko) 2021-11-09 2021-11-09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626B1 true KR102455626B1 (ko) 2022-10-14

Family

ID=83600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2772A KR102455626B1 (ko) 2021-11-09 2021-11-09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562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927A (ja) 2001-03-27 2002-10-02 Tajimaya Shokuhin Kk 濃縮豆乳又は濃縮豆腐を用いたスプレッド様飲食物
KR20160052832A (ko) * 2014-10-14 2016-05-13 박봄이 견과류 스프레드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847601B1 (ko) * 2017-11-20 2018-04-11 주식회사 홈스푸드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156505B1 (ko) * 2018-01-12 2020-09-15 미쯔칸 홀딩즈 씨오., 엘티디. 식품 미립자 함유 페이스트 및 그 제조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927A (ja) 2001-03-27 2002-10-02 Tajimaya Shokuhin Kk 濃縮豆乳又は濃縮豆腐を用いたスプレッド様飲食物
KR20160052832A (ko) * 2014-10-14 2016-05-13 박봄이 견과류 스프레드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를 이용한 제품
KR101847601B1 (ko) * 2017-11-20 2018-04-11 주식회사 홈스푸드 콩 발효물의 제조 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콩 발효물,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156505B1 (ko) * 2018-01-12 2020-09-15 미쯔칸 홀딩즈 씨오., 엘티디. 식품 미립자 함유 페이스트 및 그 제조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13537A (zh) 一种麻辣香菇猪肉酱及其制备方法
CN101658270A (zh) 一种制作豆浆或豆乳的食品原料及其加工方法
CA2342929C (en) Method for processing soybean by using enzyme, processed soybean thus obtained and foods containing the thus processed soybean
KR102602109B1 (ko) 토끼를 이용한 음식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20119177A (ko) 검은콩 미숫가루 제조방법
Raghuvanshi et al. 18 Uses of Soybean: Products and Preparation
KR102455626B1 (ko) 콩 스프레드의 제조방법 및 콩 스프레드
KR102121595B1 (ko) 단호박빵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72153B1 (ko) 해산물 풍미의 오일 베이스 소스를 제조하는 방법
Uwaegbute et al. Effect of germination on cooking, nutrient composition and organoleptic qualities of African yam bean (Sphenostylis stenocarpa)
CN107156221A (zh) 一种火麻仁饼干及其制备方法
JP2007325503A (ja) 大豆ペプチドペース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122036A (ko) 고구마 누룽지의 제조방법
KR20090115416A (ko) 식품용 물에 불린 검정콩, 검정콩물, 다시마 밥물
Yassin et al. Effect of blending ratio of red teff and potato on the sensory quality of injera
CN109380707A (zh) 一种风味烧烤酱
KR102435032B1 (ko) 우유거품이 함유된 파스타의 제조방법
KR102613945B1 (ko) 들깨를 포함하는 파스타 소스
KR100773412B1 (ko) 현미묵의 제조방법
KR20210090786A (ko) 야채함유 중심의 식동 되비지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식동 되비지
Yustina et al. Some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protein content of soybean for instant soymilk
KR102624527B1 (ko) 파스닙을 포함하는 육류찜 및 그 제조방법
KR102324359B1 (ko) 시래기 장어 국수 제조방법
Aprilya et al. The use of peanut flour as a substitute for almond flour in making macarons
RU2154958C1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соевого полуфабриката (вариан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