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669B1 - 운반장치 - Google Patents

운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669B1
KR102454669B1 KR1020210045205A KR20210045205A KR102454669B1 KR 102454669 B1 KR102454669 B1 KR 102454669B1 KR 1020210045205 A KR1020210045205 A KR 1020210045205A KR 20210045205 A KR20210045205 A KR 20210045205A KR 102454669 B1 KR102454669 B1 KR 1024546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 part
unit
electric wheel
leve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5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9056A (ko
Inventor
황재욱
이진섭
장근혁
김민호
임창균
Original Assignee
산동금속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동금속공업(주) filed Critical 산동금속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0452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6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9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9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6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6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14Carriers for prepared human f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1Steer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08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having more than two a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33Electric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026Propulsion aids
    • B62B5/0069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4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electrical, e.g. using an electric servo-motor connected to, or forming part of, the stee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부; 및 소정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전동 바퀴부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동 바퀴부를 구비할 수 있다.

Description

운반장치{Car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운반장치 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좁은 공간에서도 조향이 용이한 운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반장치는 운반의 대상이 되는 물체를 용이하게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이다.
운반장치의 일 종류로서 음식을 운반하는 배식카트가 있다.
배식카트는 병원, 복지관, 학교, 식당, 항공기, 기차 등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주로 단체 급식이 필요한 경우에 사용된다.
배식카트는 내부에 식판 수납공간이 형성된 타워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수납공간에 식판이 끼워져 적층된 상태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배식카트는 이동이 가능하고 다수의 식판을 거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좁은 공간에서 급식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고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기존의 배식카트는 배식시간에 맞춰 배식요원이 직접 운전하여 배식구역으로 이동해야함으로써, 배식카트를 운영하는데 공수를 낭비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72544 B1 (2020.10.27)호에서는 자율주행을 기반으로 하는 요양원용 전동배식카트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좁은 공간의 복도를 주행할 때 조향이 의도한대로 되지 않아 카트가 벽에 부딪히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향 가능한 운반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부; 및 소정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전동 바퀴부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동 바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향이 가능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쉽게 운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저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레버부의 개략 확대 사시도.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생성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생성하는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전동 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부; 및 소정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전동 바퀴부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동 바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동 바퀴부는 제1 전동 바퀴부 및 상기 제1 전동 바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동 바퀴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동 바퀴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동 바퀴부 및 제2 수동 바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동 바퀴부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동 바퀴부 및 상기 제3 수동 바퀴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동 바퀴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전동 바퀴부는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의 중심점을 이어 정의되는 평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수동 바퀴부와 상기 제2 수동 바퀴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동 바퀴부의 구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전원부 및 상기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조향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 센서부가 생성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가 역회전하고 상기 제2 전동 바퀴부가 정회전하는 제1 조향 제어, 상기 제1 전동 바퀴부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2 전동 바퀴부가 정회전하는 제2 조향 제어 및 상기 제1 전동 바퀴부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가 정회전하나,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제3 조향 제어를 구비할 수 있다.
또, 상기 조향 센서부는 상기 레버부의 일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에 가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레버부의 타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에 가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저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레버부의 개략 확대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생성하는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제1 센서부와 제2 센서부가 생성하는 신호에 따라 회전되는 전동 바퀴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운반장치 (10)는 운반 필요한 대상 물체를 실어 원하는 위치에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일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서, 상기 운반장치(10)는 음식물을 운반하기 위한 배식카트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운반장치(10)는 배식카트에 한하지 않으며, 운반이 필요한 대상 물체를 운반하는 장치라면 본 발명의 운반장치(10)에 해당함은 자명하다.
다만, 아래에서는 상기 운반장치(10)가 배식카트임을 가정하고 설명하겠다.
상기 배식카트(10)는 병원, 복지관, 학교, 식당, 항공기, 기차 등 다양한 장소에서 음식을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장치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배식카트(10)는 프레임(100) 및 상기 프레임(100) 상에 지지되며 음식을 저장하는 저장공간(S)을 형성하는 저장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저장부(200)를 지지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저장부(20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측 프레임(110) 및 상기 저장부(200)의 일측을 지지하는 측면 프레임(120)을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부(200)는 상기 프레임(100) 상에 볼트, 나사 등과 같은 체결부재 또는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저장부(200)는 음식을 저장하는 상기 저장공간(S)을 형성할 수 있으며, 도어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저장부(200)에 음식을 넣거나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배식카트(10)는 상기 프레임(100)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부(300) 및 소정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부(30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바퀴부(300)는 상기 하측 프레임(110)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기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동시에 회전되어 상기 프레임(100)의 위치 이동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600)는 아래에서 설명될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바퀴부(300)의 구동을 제어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위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바퀴부(30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바퀴부(300)는 모터(미 도시)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전동 바퀴부(310) 및 상기 프레임(100)을 지지하는 수동 바퀴부(3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동 바퀴부(310)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모터에 의해 회전되어 전진 방향(정회전) 또는 후진 방향(역회전)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동 바퀴부(310)는 상기 제어부(600)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모터의 출력량에 따라 전진 또는 후진 방향으로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동 바퀴부(310)는 상기 모터에 의해 전동으로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지면상에서 회전되는 구성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 바퀴부(320)는 상기 모터와 같은 전동장치에 의해 회전되는 것이 아닌 수동적으로 회전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캐스터 휠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수동 바퀴부(320)는 상기 전동 바퀴부(310)와 협동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하중을 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한편, 도 2는 상기 배식카트(10)의 상기 하측 프레임(110)의 저면을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바퀴부(310)는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동 바퀴부(31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는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는 각각 상기 모터를 구비할 수 있으며, 개별적으로 각각의 모터에 의해 회전 속도가 각각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 바퀴부(320)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동 바퀴부(321) 및 제2 수동 바퀴부(322)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동 바퀴부(321)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동 바퀴부(323) 및 상기 제3 수동 바퀴부(323)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동 바퀴부(324)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는 상기 하측 프레임(110)의 테두리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의 중심점을 잇는 경우, 4각형의 평면(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이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전동 바퀴부(310)는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의 중심점을 이어 정의되는 평면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는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의 중심점을 이어 정의되는 평면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와 상기 폭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수동 바퀴부(321)와 상기 제2 수동 바퀴부(322)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3 수동 바퀴부(323)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4) 간의 이격거리 보다 작을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중심점(X2) 간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이격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수동 바퀴부(321)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수동 바퀴부(322)의 중심점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으며,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3 수동 바퀴부(323)의 중심점과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4)의 중심점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중심점(X2) 간의 상기 폭 방향으로의 이격거리는 상기 제1 수동 바퀴부(321)의 중심점과 상기 제2 수동 바퀴부(322)의 중심점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 이하일 수 있으며,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3 수동 바퀴부(323)의 중심점과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4)의 중심점 간의 이격거리의 절반 이하 일수 있다.
그 결과, 아래에서 설명될,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00)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의 차이에 따라 상기 프레임(100)이 좌회전, 우회전 등으로 방향이 전환될 때,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는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프레임(100)을 지지하여, 상기 프레임(100)이 전복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의 방향이 변화되는 상기 프레임(100)의 조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100)의 조향을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임(100)의 조향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600)는 소정의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모터의 출력량을 조절하거나, 상기 모터로부터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로 전달되는 감속비를 조절하여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 각각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배식카트(10)는 상기 프레임(100)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레버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레버부(400)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복수 개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410) 및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는 제2 레버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레버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410) 및 사용자가 양손으로 일단 및 타단을 다이렉트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부(42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배식카트(10)는 상기 레버부(400) 상에 배치되어 상기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입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입력부(500)는 상기 전동 바퀴부(310)의 구동의 on/off를 제어하는 전원부(510) 및 상기 전동 바퀴부(310)의 회전 속도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는 조향 센서부(520)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전원부(510)는 상기 제2 레버부(420)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버튼식 또는 터치식일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전원부(510)를 조작하여 상기 전동 바퀴부(310)의 구동의 on/off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전원부(510)의 on/off 신호에 따라 상기 모터의 구동의 on/off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향 센서부(520)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 각각의 회전 속도에 대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조향 센서부(520)는 상기 레버부(400)의 일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400)에 가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레버부(400)의 타단에 배치되어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400)에 가하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2 센서부(522)를 구비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521)로부터 생성되는 압력에 대한 신호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부(522)로부터 생성되는 압력에 대한 신호는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신호로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는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제2 레버부(4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센서부(521)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레버부(410)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레버부(42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부(522)는 복수 개의 상기 제1 레버부(410) 중 다른 어느 하나와 상기 제2 레버부(420) 타단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는 상기 제2 레버부(420)의 일단 및 타탄에 가해지는 압력을 각각 센싱할 수 있다.
상기의 내용을 정리하면, 하기와 같다.
상기 조향 센서부(520)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410)와 상기 제2 레버부(420)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레버부(420)의 일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410)와 상기 제2 레버부(420)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레버부(420)의 타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2 센서부(522)를 구비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 센서부(521)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410)와 상기 제2 레버부(420)의 일단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레버부(420)의 일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이렉트로 센싱하여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센서부(522)는 상기 측면 프레임(120)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410)와 상기 제2 레버부(420)의 타단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레버부(420)의 타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이렉트로 센싱하여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사용자가 상기 제2 레버부(420)에 가하는 힘에 의해,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 각각이 상기 제2 레버부(420)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여 생성되는 신호의 다양한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그래프이다.
일례로,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센서부(521)는 당기는 힘(마이너스 힘)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부(522)는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센서부(521)는 0의 힘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부(522)는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일례로,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가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제1 센서부(521)는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고, 상기 제2 센서부(522)는 상기 제1 센서부(521)보다 상대적으로 더 큰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조향 센서부(520)가 생성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가 역회전하고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가 정회전하는 제1 조향 제어,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가 정회전하는 제2 조향 제어 및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가 정회전하나,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제3 조향 제어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가 생성하는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조향 제어 내지 상기 제3 조향 제어로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도 5는 도 4에 따른 입력 신호에 의해 상기 제1 조향 제어 내지 상기 제3 조향 제어로 제어되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를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서, 이 중, 도 5(a)는 도 4(a)에 따른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가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는 상기 제1 센서부(521)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 센서부(521)의 당기는 힘(마이너스 힘)에 대한 신호에 대응하여 후진 방향으로 회전(역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는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2 센서부(522)의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에 대응하여 전진 방향으로 회전(정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후진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전진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100)의 방향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중심점(X2)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1 조향 제어로 방향이 회전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후진 속도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전진 속도의 절대값이 동일한 경우, 상기 프레임(100)의 방향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중심점(X2) 간의 가상의 중심점(M)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프레임(100)은 제자리에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5(b)는 도 4(b)에 따른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가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는 상기 제1 센서부(521)의 0인 입력 신호에 따라 회전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는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2 센서부(522)의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에 대응하여 전진 방향(정회전)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정지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전진으로 인해, 상기 프레임(100)의 방향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에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2 조향 제어로 방향이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중심점(X2) 간의 가상의 중심점(M)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을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5(c)는 도 4(c)에 따른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가 구동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는 상기 제1 센서부(521)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1 센서부(521)의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에 대응하여 전진 방향으로 회전(정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는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따라 회전 속도가 조절되어, 상기 제2 센서부(522)의 미는 힘(플러스 힘)에 대한 신호에 대응하여 전진 방향으로 회전(정회전)되 되,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회전 속도보다 클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전진과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전진의 상대적인 속도 차이로 인해, 상기 프레임(100)의 방향 회전 중심축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의 중심점(X1)의 좌측에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제3 조향 제어로 방향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제1 센서부(521) 및 상기 제2 센서부(522)의 입력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되, 상기 프레임(100)의 방향 회전 중심축이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321, 322, 323, 324)의 중심점을 이어 정의되는 4각형의 평면(도 2에서 점선으로 도시) 외부에 형성되지 않도록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회전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배식카트(10)의 방향 전환을 용이하도록 하되, 상기 배식카트(10)의 전복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식카트(10)는 사용자가 상기 레버부(400)에 가하는 힘만으로도 상기 프레임(100)의 조향을 쉽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의 조향은 상기 제1 전동 바퀴부(311)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312)의 상대적인 회전 속도만으로도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식카트(10)는 사용자에게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800) 및 소정의 데이터/신호를 저장하는 메모리부(7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프레임
200: 저장부
300: 바퀴부
400: 레버부
500: 입력부

Claims (10)

  1. 운반장치에 있어서,
    프레임;
    상기 프레임 저면에 배치되는 바퀴부;
    소정의 입력 신호에 따라 상기 바퀴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레버부; 및
    상기 레버부 상에 배치되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바퀴부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부에 의해 회전 속도가 조절되는 전동 바퀴부, 및 상기 프레임을 지지하는 수동 바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전동 바퀴부는,
    제1 전동 바퀴부, 및 상기 제1 전동 바퀴부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전동 바퀴부를 구비하며,
    상기 입력부는,
    상기 전동 바퀴부의 구동의 on/off 신호를 생성시키기 위한 전원부, 및 상기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에 대한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조향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레버부는,
    상기 프레임의 측면 프레임의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 및 상기 사용자가 양손으로 일단 및 타단을 다이렉트로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제2 레버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향 센서부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와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1 센서부, 및 상기 측면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와 상기 제2 레버부의 타단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레버부의 타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센싱하는 제2 센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센서부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일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와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단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레버부의 일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이렉트로 센싱하여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제2 센서부는,
    상기 측면 프레임의 타측으로부터 돌출 연장되는 제1 레버부와 상기 제2 레버부의 타단 간의 연결을 매개하고, 상기 사용자에 의한 상기 제2 레버부의 타단에 가해지는 압력을 다이렉트로 센싱하여 상기 제2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를 조절하여 상기 프레임의 조향을 제어하는,
    운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바퀴부는,
    상기 폭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수동 바퀴부 및 제2 수동 바퀴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수동 바퀴부와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3 수동 바퀴부 및 상기 제3 수동 바퀴부로부터 상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4 수동 바퀴부를 더 구비하는,
    운반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동 바퀴부는,
    상기 제1 수동 바퀴부 내지 상기 제4 수동 바퀴부의 중심점을 이어 정의되는 평면의 내부에 배치되는,
    운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 간의 이격거리는,
    상기 폭 방향으로의 상기 제1 수동 바퀴부와 상기 제2 수동 바퀴부 간의 이격거리보다 작은,
    운반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향 센서부가 생성하는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전동 바퀴부가 역회전하고 상기 제2 전동 바퀴부가 정회전하는 제1 조향 제어,
    상기 제1 전동 바퀴부가 회전하지 않고 상기 제2 전동 바퀴부가 정회전하는 제2 조향 제어 및
    상기 제1 전동 바퀴부 및 상기 제2 전동 바퀴부가 정회전하나, 상기 제1 전동 바퀴부와 상기 제2 전동 바퀴부의 회전 속도를 다르게 하는 제3 조향 제어를 구비하는,
    운반장치.
  10. 삭제
KR1020210045205A 2021-04-07 2021-04-07 운반장치 KR1024546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05A KR102454669B1 (ko) 2021-04-07 2021-04-07 운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5205A KR102454669B1 (ko) 2021-04-07 2021-04-07 운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56A KR20220139056A (ko) 2022-10-14
KR102454669B1 true KR102454669B1 (ko) 2022-10-17

Family

ID=83599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5205A KR102454669B1 (ko) 2021-04-07 2021-04-07 운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6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5208A (ja) * 2011-05-30 2012-12-13 Inoue Seisakusho:Kk 駆動装置付き配膳車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1617B2 (ja) * 1997-12-08 2004-03-29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無人運搬車
KR102132875B1 (ko) * 2018-12-11 2020-07-10 주식회사 지이티 물품 운반용 전동카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45208A (ja) * 2011-05-30 2012-12-13 Inoue Seisakusho:Kk 駆動装置付き配膳車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9056A (ko) 2022-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2091B1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porting inventory items
US11571973B2 (en)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ic hand truck and apparatus therefor
US11408498B2 (en) Shifting assembly and mobile carrier comprising same
KR101797050B1 (ko) 전동식 이동 대차
JP2015187798A (ja) 無人搬送台車
WO2000032459A1 (es) Sistema de control de los motores electricos de propulsion de un carro de transporte
JPH10109647A (ja) 電動アシスト台車
KR102454669B1 (ko) 운반장치
JP2011042248A (ja) 駆動装置付き台車
EP1884439B1 (en) Lift truck
WO2014157307A1 (ja) 台車の駆動アシストユニット
JP3791873B2 (ja) 搬送台車
WO2020157465A1 (en) Vehicle
JP2007290416A (ja) 駆動式運搬車
US8967303B2 (en) Movable system
KR20180044342A (ko) 작동 손잡이
KR101883646B1 (ko) 전동식 이동 대차
JP2009012510A (ja) 台車
JP2010155518A (ja) パワーアシスト付き運搬車
JP2019109862A (ja) 無人搬送車の駆動操舵装置
JP2000333310A (ja) 自走式電動車両
KR20100028255A (ko) 가변형 보조바퀴를 통하여 자세와 위치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평행형 2륜 구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70001090U (ko) 전동 카트
KR20110009831A (ko) 안전성과 편의성이 향상된 전동 무빙 카트
JP2006146552A (ja) 移動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