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081B1 - 도금용 바렐 - Google Patents
도금용 바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4081B1 KR102454081B1 KR1020210039256A KR20210039256A KR102454081B1 KR 102454081 B1 KR102454081 B1 KR 102454081B1 KR 1020210039256 A KR1020210039256 A KR 1020210039256A KR 20210039256 A KR20210039256 A KR 20210039256A KR 102454081 B1 KR102454081 B1 KR 1024540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flow
- plating
- flow hol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1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closed containers
- C25D17/20—Horizontal barre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금용 바렐에 관한 것으로, 도금액의 유동을 위해 유동홀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렐 판넬로 이루어진 도금용 바렐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의 입구와 출구는 각각 삼각패턴으로 모따기(chamfering)된 모따기부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도금용 바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금은 재료의 특성을 변화시키지 않고 재료의 표면을 표면을 처리하여 내구성 향상, 기능성 부여, 미관 향상 등의 특성을 얻는 것으로서, 전기화학적으로 행해지는 전기도금, 화학적으로 이루어지는 화학도금, 무전해 도금 및 금속을 용융상태에서 담금으로써 금속의 피막을 용착시키는 용융도금, 금속을 진공실 안에서 녹여서 안개모양의 알갱이로 만들고 그것을 표면에 부착시키는 진공도금 및 제품을 바렐에 넣고 회전시켜서 전극을 통해서 도금을 하는 바렐도금 등의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바렐도금은 형상이 작은 것을 대량으로 도금할 때 사용되는 방법으로 작은 홀을 다수 뚫어 놓은 합성수지제의 통속에 피도금물을 넣어 통을 회전시키면서 도금을 행하는 것으로 대량 생산에 적합한 방법이다.
이러 종래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20292호가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은 바렐 판넬의 유동홈의 형상에 따른 압력 강하 특성과 유동홈의 개구율에 따른 굽힘 및 압축하중 작용시 강도와 강성에 대하여 고려하지 않아 도금액의 원활한 유동성이 떨어지고, 바렐 판넬이 쉽게 부서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바렐의 몸체를 일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소재로 제작하기 때문에 끝이 뾰족하거나 표면이 매끄럽지 않은 금속제품을 도금할 경우 도금액이 드나드는 바렐의 몸체의 홀이 쉽게 마모가 되며,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파손되어 피도금물이 밖으로 쏟아져서 도금 불량이 발생하거나, 파손된 부위를 제거하고 그 크기만큼 재가공하여 용접하는 과정에서 불필요한 시간과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바렐의 몸체를 압축성형으로 제작한 바렐 판넬을 플라스틱 용접기로 열 접합하기 때문에, 피도금물의 형상과 크기에 따라 바렐 판넬을 가공하는데 비용과 시간이 과도하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도금액의 유동성을 확보하고, 강도와 강성이 우수한 도금용 바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복합소재로 제작되어 내마모성 및 충격강도가 큰 도금용 바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사출성형으로 제작된 도금용 바렐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측면에 따르면, 도금액의 유동을 위해 유동홀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렐 판넬로 이루어진 도금용 바렐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의 입구와 출구는 각각 삼각패턴으로 모따기(chamfering)된 모따기부를 가지는 도금용 바렐을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홀 입구의 모따기부는 42° 내지 47° 범위의 각도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홀 출구의 모따기부는 27° 내지 33° 범위의 각도를 갖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렐 판넬의 전체 면적에서 상기 유동홀이 차지하는 개공률은 9 내지 10%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동홀의 두께 대비 홀 직경은 1.6 내지 1.7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금용 바렐의 성능 유지와 도금액의 원활한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렐의 몸체의 내마모성 및 충격강도가 향상되어 바렐을 장시간 사용할 수 있고, 도금품질을 향상 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바렐 판넬을 사출성형으로 제작하여 제작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렐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렐 판넬의 압력 강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부 각도에 따른 속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홀의 두께 대비 홀 직경별 레이놀즈수에 따른 압력강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렐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렐 판넬의 압력 강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부 각도에 따른 속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홀의 두께 대비 홀 직경별 레이놀즈수에 따른 압력강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렐 판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바렐(100)은 몸체(110) 및 회전체(120)를 포함한다.
몸체(110)는 내부에 피도금물을 담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바렐 판넬(111)을 이용하여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몸체(110)를 복수의 바렐 판넬(111)을 이용하여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할 때 1개의 바렐 판넬(111)은 다른 바렐 판넬(111)과 여닫을 수 있게 연결되어 피도금물을 몸체(110)에 담을 때는 열고, 피도금물을 도금할 때는 닫을 수 있다.
바렐 판넬(111)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에 라디칼 개시제 및 다관능성 개질제를 첨가하여 반응 압출한 복합소재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바렐 판넬(111)의 제작에 사용되는 복합소재는 반응압출 시 라디칼 개시제에 의해 발생된 라디칼이 폴리프로필렌의 사슬 중 수소와 반응하여 폴리프로필렌의 사슬 내 라디칼을 형성한 후, 다관능성 개질제가 베타-선상분자절단(β-scission)으로 절단되는 폴리프로필렌의 사슬들 사이의 가교(Cross-linking) 반응을 유도하여 생성된다.
복합소재를 사용해 제작된 바렐 판넬(111)은 종래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으로 제작된 바렐 판넬과 비교해 용융지수(MI) 및 충격강도가 50%, 내마모도가 25% 증가해 바렐(100)을 종래 바렐보다 더 오래 사용할 수 있다.
바렐 판넬(111)에는 도금액이 유동하는 다수의 유동홀(112)이 형성되어 유동홀(112)을 통해 유입되는 도금액으로 내부에 피도금물이 도금되도록 한다.
유동홀(112)의 입구와 출구는 각각 삼각패턴으로 모따기(chamfering)된 모따기부(113, 114)을 가지고 있다.
유동홀(112) 입구의 모따기부(113)는 42° 내지 47° 범위의 각도(θi)를 가지며, 정확하게는 45°일 수 있다.
유동홀(112) 출구의 모따기부(114)는 27° 내지 33° 범위의 각(θo)도를 가지며, 정확하게는 30°일 수 있다.
또한, 바렐 판넬(111)의 전체 면적에서 유동홀(112)이 차지하는 개공률은 9 내지 10%으로, 정확하게는 9.7%일 수 있다.
또한,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은 1.6 내지 1.7으로, 정확하게는 1.67일 수 있다.
회전체(120)는 몸체(110) 양측을 막기 위해 몸체(110)의 양단에 결합되며, 구동수단(미도시)의 구동에 따라 바렐(100)을 회동 가능하게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바렐 판넬의 압력 강하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4(a)는 유동홀(112)에 모따기부(113, 114)가 있는 바렐 판넬(111)과 유동홀(112)에 모따기부(113, 114)가 있는 바렐 판넬(111)의 압력 강하특성 그래프이며, 도 4(b)는 모따기부(113, 114)의 각도에 따른 압력 강하특성 그래프이고, 도 4(c)는 모따기부(113, 114) 패턴별 각도에 따른 압력 강하특성 그래프이다.
또한, 도 4는 CFD를 사용해 레이놀즈수 Re=1.64×105, 개공률(f)=9.7%에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1.67 인 바렐 판넬(111)을 통과하는 유동의 압력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도 5는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만 다르고, 도 6은 레이놀즈수만 다르다. 여기서, 압력 강하계수는 [식 1]을, 바랠 판넬(111)의 레이놀즈수는 [식 2]를, 개공률(f)는 [식 3]을 이용한다.
[식 1]
[식 2]
(여기서, d는 유동홀(112)의 직경이다.)
[식 3]
(여기서, L₁은 유동홀(112)의 장축길이, S는 유동홀(112) 간의 수직 길이, L₂는 L₁+ 유동홀(112) 수평 사이 간격을 나타낸다.)
도 4(a)를 참조하면, x축은 바렐 판넬(111)의 위치로부터 떨어진 거리를 나타내고, 유동은 바렐 판넬(111)이 설치된 지점을 통과하며 압력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동홀(112)을 통과한 유동이 안정화된 거리는 입구의 모따기부(113, 114)의 각도가 변하여도 모두 동일한 거리에서 안정화 되는 것으로 나타나 영향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다.
또한, 유동홀(112)의 출구의 모따기부(114)가 있는 것과 모따기부(114)가 없는 것을 비교하였을 때 모따기부(114)가 있는 것이 압력 강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동홀(112)의 입구의 모따기부(113)가 있는 것이 압력 강하량이 상대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모따기부(113, 114)가 없는 것 바렐 판넬(111)을 기준으로 유동홀(112)의 입구에 모따기부(113)가 있는 것이 출구의 모따기부(114)가 있는 것에 비해서 압력 강하계수가 더 적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동홀(112) 입구의 모따기부(113)가 있는 경우 선형적으로 증가 혹은 감소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각도에서 가장 낮은 압력 강하량인 임계 강하각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별 임계 강하각도는 1.67애서 약 30°, 1.11에서 약 35°, 0.83에서 약 40°로 나타남에 따라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가 증가 할수록 임계 강하각도는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라 수 있다.
또한, 모든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 케이스에서 =30°에서 2.0%, =45°에서 3.8%, =60°에서 4.4% 증가하는 것을 확인되는데 이는 임계 강하각도가 증가할수록 모따기부(113, 114)가 있는 유동홀(112)의 바렐 판넬(111) 두께가 얇아져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가 작아지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내게 되어 압력 강하량이 높아지는 것으로 예측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동일한 개공률(f)과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에서 모따기부(113, 114) 패턴별 압력 강하량의 크기를 비교한 결과 삼각패턴이 평균적으로 약 1% 정도 낮은 압력 강하량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삼각패턴과 사각패턴의 임계 강하각도는 같은 각도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두 가지 패턴 모두 모따기부(113, 114) 각도에 따른 압력 강하 특성이 동일한 경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따기부 각도에 따른 속도 분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5(a) 내지 도 5(c)는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별 유동홀(112) 입구의 속도 프로파일이며, 도 5(d)는 모따기부(113) 각도에 따른 유동홀(112) 입구의 출구 속도 프로파일이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임계 강하각도를 전후하여 유동박리점이 이동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a)에서 임계 강하각도를 전후한 45°와 15°의 속도 등치선을 비교하였을 때 유동박리점이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고, 도 5(b) 및 도 5(c)의 45°와 30°에서도 동일한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임계 강하각도가 보다 작은 값을 갖는 경우 유동의 박리점이 유동홀(112)의 입구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임계 강하각도가 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 유동의 박리점이 모따기부(113)의 출구 첨단(Sharp Edge)에서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임계 강하각도는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이 증가함에 따라 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은 1.11일 때, 모따기부(113) 각도가 감소할수록 유동홀(112)을 통과한 유동의 저압인 영역과 접촉하는 지점에서의 속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임계 강하각도를 기점으로 의 값이 음수인 영역이 발생하는 것을 통해 유동의 박리가 발생하여 유동의 재순환 영역이 유동홀(112) 입구의 출구 이전에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임계 강하각도를 기준으로 모따기부(113) 각도가 증가하는 경우 첨단의 두께가 얇아지는 효과가 압력 강하량에 미치는 영향이 더 높게 작용하지만, 임계 강하각도를 기준으로 모따기부(113) 각도가 감소하는 경우 유동박리점이 유동홀(112) 입구의 입구 부분으로 이동하여 재순환 영역에 의한 압력 강하 효과가 더 높게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동홀의 두께 대비 홀 직경별 레이놀즈수에 따른 압력강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6(a)는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이 1.67, 도 6(b)는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이 1.11, 도 6(c)는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이 0.83일 때이다.
도 6 (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레이놀즈수 범위 내에서 압력 강하량의 차이는 동일 모따기부(113, 114) 각도에서 평균 0.05%로 차이가 없어 레이놀즈수의 변화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별에서도 레이놀즈수가 바뀌어도 영향성이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모따기부(113, 114)의 각도가 변하여도 바렐 판넬(111)을 통과한 유동의 압력이 안정화되는 거리는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임계 강하각도가 보다 압력강하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임계 강하각도를 기준으로 유동박리점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되어, 이로 인하여 바랠 판넬(111)의 압력강하 특성에 미치는 물리적 영향 요인이 바뀌는 것으로 예측된다.
또한, 유동 박리점이 유동홀(112) 입구의 출구에 위치한 경우 모따기부(113) 첨단의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가 압력 강하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예측되며, 유동박리점이 유동홀(112) 입구의 입구에 위치한 경우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와 재순환 영역이 압력 강하의 주된 요인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동일 개공률(f) 조건하에서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는 1.67, 패턴은 삼각패턴, 유동홀(112) 입구의 모따기부(113) 각도는 45°, 유동홀(112) 출구의 모따기부(114) 각도는 30° 일 때 압력강하 특성의 영향을 가장 적게 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표 1]은 굽힘 및 압축 하중에 대한 바렐 판넬(111)의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에 따른 값이며, [표 2]는 바렐 판넬(111)의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에 따른 고유진동 분석 값이다.
Model | Weight (g) |
굽힘하중(0.1 MPa) | 압축하중 (0.1 MPa) | |
처짐량(mm) | 폰미제스응력 (MPa) | 압축강성 비 | ||
t/d 7.0% | 510.6 | 3.953 (0.96) | 12.6 | 0.98 |
t/d 8.5% | 505.9 | 3.815 (0.98) | 13.5 | 0.99 |
t/d9.7% | 503.8 | 3.712 (1.00) | 14.4 | 1.00 |
t/d11.0% | 504.3 | 4.054 (0.91) | 11.7 | 0.99 |
t/d12.8% | 491.7 | 3.638 (1.02) | 11.1 | 1.00 |
※ ( ) 굽힘 강성 비
Mode Shapes | Frequency(Hz) | |||||||||
t/d7.0% | t/d8.5% | t/d9.7% | t/d11.0% | t/d12.8% | ||||||
1st longitudinal bending mode | 1 | 145.3 | 1 | 141.5 | 1 | 135.8 | 1 | 130.1 | 1 | 128.7 |
1sttwisting mode | 2 | 132.9 | 2 | 134.5 | 2 | 135.8 | 2 | 137.7 | 2 | 132.2 |
2ndtwisting mode | 3 | 317.1 | 3 | 315.8 | 3 | 316.9 | 3 | 317.6 | 3 | 307.5 |
2ndlongitudinal bending mode | 4 | 388.6 | 4 | 374.1 | 4 | 367.5 | 4 | 355.2 | 4 | 348.7 |
1stlateral bending mode | 5 | 359.5 | 5 | 364.4 | 5 | 369.8 | 5 | 377.1 | 5 | 360.1 |
[표 1] 및 [표 2]를 참조하면, 굽힘 하중에 대한 굽힘 강성 비는 7.0% 0.96, 8.5% 0.98, 9.7% 1.00, 11.0% 0.91, 12.8% 1.02로 굽힘 강성은 바렐 판넬(111)의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 12.8%이 가장 우수하며, 11.0%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응력도 12.8%가 가장 낮게 발생했다.
압축 하중에 대한 압축 강성 비는 7.0% 0.98, 8.5% 0.99, 9.7% 1.00, 11.0% 0.99, 12.8% 1.00으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고유진동을 분석한 결과 첫 번째 모드는 길이방향 굽힘 모드이고 두 번째 모드는 비틀림 모드가 발생한다.
바렐 판넬(111)의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 9.7%는 횡방향 굽힘 모드가 길이방향 2차 굽힘 모드보다 먼저 발생하지만, 나머지의 경우는 길이방향 2차 굽힘 모드보다 횡방향 굽힘 모드보다 먼저 나타난다.
또한, 굽힘 동강성 비는 7.0% 0.96, 8.5% 0.98, 9.7% 1.00, 11.0% 0.96, 12.8% 0.95로 9.7%가 가장 우수하며, 12.8%가 가장 낮은 수준인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틀림 동강성 비는 7.0% 0.98, 8.5% 0.99, 9.7% 1.00, 11.0% 1.01, 12.8% 0.97로 11.0%가 가장 우수하며, 12.8%가 가장 낮은 수준이다.
이처럼 굽힘 및 압축하중 작용시의 강도 및 강성을 분석한 결과 바렐 판넬(111)의 유동홀(112)의 두께 대비 홀 직경(t/d) 9.7%가 가장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할 것이다.
110 : 몸체 120 : 회전부
Claims (5)
- 도금액의 유동을 위해 유동홀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렐 판넬로 이루어진 도금용 바렐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의 입구와 출구는 모따기(chamfering)된 모따기부를 가지되,
상기 유동홀 입구의 모따기부는 42° 내지 47° 범위의 각도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렐.
- 도금액의 유동을 위해 유동홀이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바렐 판넬로 이루어진 도금용 바렐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의 입구와 출구는 모따기(chamfering)된 모따기부를 가지되,
상기 유동홀 출구의 모따기부는 27° 내지 33° 범위의 각도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렐.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 출구의 모따기부는 27° 내지 33° 범위의 각도를 갖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렐 판넬의 전체 면적에서 상기 유동홀이 차지하는 개공률은 9 내지 10%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렐.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홀의 두께 대비 홀 직경은 1.6 내지 1.7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용 바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256A KR102454081B1 (ko) | 2021-03-26 | 2021-03-26 | 도금용 바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9256A KR102454081B1 (ko) | 2021-03-26 | 2021-03-26 | 도금용 바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4083A KR20220134083A (ko) | 2022-10-05 |
KR102454081B1 true KR102454081B1 (ko) | 2022-10-14 |
Family
ID=8359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9256A KR102454081B1 (ko) | 2021-03-26 | 2021-03-26 | 도금용 바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4081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16287B2 (ja) | 1996-10-24 | 2004-04-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複合メッキ装置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31917B2 (ja) * | 2011-06-30 | 2015-06-10 | 上村工業株式会社 | 表面処理装置およびめっき槽 |
KR20180120292A (ko) * | 2017-04-26 | 2018-11-06 | (주)진합 | 도금용 바렐의 도금액 유동홀 구조 |
KR20210117073A (ko) * | 2020-03-18 | 2021-09-28 | 새한솔루텍 주식회사 | 도금용 바렐 |
-
2021
- 2021-03-26 KR KR1020210039256A patent/KR102454081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16287B2 (ja) | 1996-10-24 | 2004-04-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複合メッキ装置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34083A (ko) | 2022-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857757B2 (en) | Reinforcing article | |
JP4859260B2 (ja) | ガラス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成形品 | |
KR102454081B1 (ko) | 도금용 바렐 | |
JPWO2008029870A1 (ja) |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成形品 | |
US20170058115A1 (en) | Heat-Shrinkable Tube Having Tearability | |
JP3646316B2 (ja) | 繊維強化熱可塑性樹脂構造物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用押出機 | |
KR20180021073A (ko) | 금형의 표면처리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처리된 금형 | |
KR101536338B1 (ko) | 사출 성형품의 제조방법 | |
Bass et al. | Exploring variability in material properties of multi-material jetting parts | |
US5110274A (en) | Metallic mold for cogged v-belt | |
JP2012081716A (ja) | ゴム押出成形装置 | |
CN107443706B (zh) | 改进的十字头模具 | |
KR20210117073A (ko) | 도금용 바렐 | |
KR100804672B1 (ko) | 그물코필터용 금형 및 그 성형품 | |
KR100834509B1 (ko) | 타이어용 고무 압출기의 최종 압출다이 구조 | |
KR102142700B1 (ko) | 편심 토출구를 포함하는 3d 프린터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터 | |
WO2009026973A1 (de) | Dichtungsring | |
US7740789B2 (en) | Method for eliminating detrimental effects of flash on cups used for sport stacking | |
CN104772359A (zh) | 铝合金挤压模具 | |
DE10347679A1 (de) | Wärmeübertrager für ein Kraftfahrzeug, insbesondere Kühlmittel/Luft-Kühler | |
JP6098183B2 (ja) | シート成形口金およびシート成形方法 | |
JP7192405B2 (ja) | 金型及び金型の設計方法 | |
EP3904037A1 (en) | Manipulation of warpage and/or stiffness in injection-moulded polymer products | |
EP3922452A1 (de) | Mehrschichtverbundwerkstoff | |
CN218058867U (zh) | 树脂发泡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