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01B1 - 회전동력 전달장치 - Google Patents

회전동력 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01B1
KR102453901B1 KR1020200179395A KR20200179395A KR102453901B1 KR 102453901 B1 KR102453901 B1 KR 102453901B1 KR 1020200179395 A KR1020200179395 A KR 1020200179395A KR 20200179395 A KR20200179395 A KR 20200179395A KR 102453901 B1 KR102453901 B1 KR 102453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shaft
reverse motor
locking
transmission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090A (ko
Inventor
황맹연
하경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Priority to KR1020200179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01B1/ko
Publication of KR20220089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1/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 F16H21/1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 F16H21/12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links or levers, with or without slides all movement being in, or parallel to, a single plane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6Roof structures with movable roof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0/00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 E04F10/02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 E04F10/06Sunshades, e.g. Florentine blinds or jalousies; Outside screens; Awnings or baldachins of flexible canopy materials, e.g. canvas ; Baldachins comprising a roller-blind with means for holding the end away from a build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018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 F16H57/0025Shaft assemblies for gearings with gearing elements rigidly connected to a shaft, e.g. securing gears or pulleys by specially adapted splines, keys or metho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광부재를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를 감아주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풀어주는 방향으로 공 회전되게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회전 바의 일측단에 동력전달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후단에 정역모터와 연결설치되어 정역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하여 동력전달수단과 함께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동력전달수단만 회전되게 하는 락커가 설치된 락킹수단을 연결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회전동력 전달장치{Rotation Power Delivering Equipment}
본 발명은 차광막을 포함하는 비닐, 시트, 와이어(이하 "차광부재" 라 통칭함) 등을 두루마리 형태로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를 감아주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풀어주는 방향으로 공 회전되게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동력전달장치는 구동모터의 회전동력을 벨트나 기어, 체인 등의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회전물에 전달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회전시켜야 할 회전물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회전 바의 수만큼 연결부재가 요구되어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기어나 체인 등의 회전마찰에 의한 동력손실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종래에는 동력전달장치에 자석을 이용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자석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는 동력원과 회전시키고자 하는 대상물 사이에 격리부재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에 유용한 것으로,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자석을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자석과 자기력에 의해 결합된 피동자석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방식의 동력전달장치는 기계장치의 동력전달장치뿐만 아니라 화학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스터링 머신(stirring machine) 및 완구에 이르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방식의 자석을 이용한 동력전달장치 또한 회전시키고자 하는 회전물이 복수 개인 경우에는 각각의 회전 물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구동자석이 필요하고, 복수 개의 구동자석을 회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축, 벨트, 기어 또는 체인 등의 부속품들의 개수도 회전물의 개수에 비례하여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장치의 구조가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장치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매우 나빠지고, 소음이 많아지며, 부속품 간의 기계적인 마모로 인한 고장이 빈번해진다.
또한, 상기 부속품들의 회전마찰에 의한 동력의 손실이 커지게 되므로 에너지 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셀프 세차장과 같은 옥외 지붕 구조물에 설치된 차광막을 개폐하도록 하는 장치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공되어 있으며, 그 도 1의 장치에서 동력전달장치는 차광막을 감거나 풀어주는 롤(510)이 지지프레임(520)에 의지 되게 설치되며, 그 지지프레임은, 차광막가이드바(540)와 천장프레임(210) 간에 차광막이 원활하게 입/출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며 상기 롤을 의지시킴과 동시에 차광막가이드바를 견고하게 지지 고정하도록 "F"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의 단부에는 롤구동수단(500)을 설치하되
상기 롤구동수단(500)은, 롤의 일 측단에 상부체인스프라켓(511)이 설치되고, 상기 상부체인스프라켓의 하부에는 하부체인스프라켓(531)이 설치된 감속모터(530)가 설치되며, 상기 상/하부체인스프라켓 간에는 체인(532)이 연결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520)의 상부 선단에는 차광막을 하부로 유도하는 차광막가이드바(54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롤구동수단(500)은, 구조적으로 복잡하고 설치면적이 넓으며 정역방향으로 회전시 전기공급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그에 따른 전기에너지소모가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10-2191247(2020.12.09.) 한국공개특허 10-2018-0087081(2018.08.01.)
본 발명은 상기의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소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고자 회전동력이 강하게 발휘해야 할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바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 바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고자 할 때에는 모터의 회전동력이 필요없이 상기 차광부재를 감은 회전 바의 반대쪽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공회전 되며 상기 회전 바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작동에 따른 전기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또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고 풀어줄 때에 원활하게 작동됨은 물론,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거나 풀어 줄 때에 정교하고 안전하게 감거나 풀어줄 수 있도록 한 회전동력 전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구성은,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100)의 일측단에 동력전달수단(210)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후단에 정역모터(220)와 연결설치되어 그 정역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하여 동력전달수단과 함께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동력전달수단만 회전되게 하는 락커(230)가 설치된 락킹수단(240)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고자 회전 바(1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상기 정역모터(2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락커(230)에 의해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이 락킹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회전동력이 락커와 락킹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회전 바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 바(10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줄 때는 정역모터(2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커(230)에 의해 락킹된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고 그 락킹 해제와 동시에 정역모터의 작동을 정시시켜 동력전달수단이 락킹수단으로부터 공 회전되며 그 공회전이 회전 바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킹수단(240)은, 상기 정역모터의 축과 연결설치되는 회전축(241)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베어링블럭(242)이 설치되며, 그 베어링블럭에는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추(243)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는 하부 일 측에 락킹 홀(244a)이 형성된 내부회전체(244)가 설치되고, 그 내부회전체와 상기 중심추 간에는 브래킷(245)을 매개로 상호 연결설치되어 상기 내부회전체와 중심추가 항상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부회전체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상기 락킹 홀을 관통하며 동력전달수단과 락킹 되거나 또는 락킹 홀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을 해제하는 락커(23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목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고자 회전동력이 강하게 발휘해야 할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바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 바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고자 할 때에는 모터의 회전동력이 필요없이 상기 차광부재를 감은 회전 바의 반대쪽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공회전 되며 상기 회전 바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작동에 따른 전기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또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고 풀어줄 때에 원활하게 작동됨은 물론,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거나 풀어 줄 때에 정교하고 안전하게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회전동력 전달장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에서 동력전달수단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에서 락커와, 락킹수단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발췌 분해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에서 모터의 회전동력이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에서 모터의 회전동력이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본 발명은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를 감아주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거나 또는 풀어주는 방향으로 공 회전되게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100)의 일측단에 동력전달수단(210)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후단에 정역모터(220)와 연결설치되어 그 정역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하여 동력전달수단과 함께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동력전달수단만 회전되게 하는 락커(230)가 설치된 락킹수단(240)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고자 회전 바(1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상기 정역모터(2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락커(230)에 의해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이 락킹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회전동력이 락커와 락킹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회전 바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 바(10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줄 때는 정역모터(2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커(230)에 의해 락킹된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고 그 락킹 해제와 동시에 정역모터의 작동을 정시시켜 동력전달수단이 락킹수단으로부터 공 회전되며 그 공회전이 회전 바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킹수단(240)은, 상기 정역모터의 축과 연결설치되는 회전축(241)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베어링블럭(242)이 설치되며, 그 베어링블럭에는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추(243)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는 하부 일 측에 락킹 홀(244a)이 형성된 내부회전체(244)가 설치되고, 그 내부회전체와 상기 중심추 간에는 브래킷(245)을 매개로 상호 연결설치되어 상기 내부회전체와 중심추가 항상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부회전체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상기 락킹 홀을 관통하며 동력전달수단과 락킹 되거나 또는 락킹 홀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을 해제하는 락커(23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의 구성에서 회전 바(100)는, 회전축 또는 회전파이프 중 어느 하나인 것으로, 상기 회전 바(100)에 감기거나 풀어주는 차광부재는, 시트, 필름, 와이어, 차광막 등 다양하다.
삭제
또 상기 정역모터(220)는, 브레이크 정역모터로써, 전자(電磁)브레이크가 모터 케이스 안에 내장한 것으로, 정역모터의 전기가 오프(off)인 때는 브레이크가 작용하고, 온(on)인 때는 브레이크가 풀리도록 설계된 일반적인 정역모터이다.
상기의 정역모터(220)를 이용하여 회전 바(100)에 차광부재를 감을 때에는 정역모터(2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락커(230)와 함께 락킹수단(240)이 회전하면서 상기 락커(230)에 의해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이 락킹되어 정역모터(220)의 회전동력이 락커(230)와 락킹수단(240) 및 동력전달수단(210)으로 전달되면서 상기 회전 바(1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차광부재를 감아주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회전 바(100)에 감긴 차광부재를 풀어줄 때는 상기 정역모터(220)를 역방향으로 약간만 회전시켜 락커(230)를 역회전시키게 되면 그 락커(230)에 의해 락킹된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의 락킹이 해제되고, 그 해제와 함께 제어부(도면미도시)에서 정역모터(2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면 전자(電磁)브레이크가 정역모터(220)의 축을 잡아주어 정역모터(220)을 작동을 정지시킨다.
따라서 상기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은 락킹이 해제된 상태이므로 동력전달수단(210)은 락킹수단(240)으로부터 공회전 되고 그와 함께 회전 바(100)도 동력전달수단(210)과 함께 연동하면서 회전 바(100)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단 상기 회전 바(100)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기 위하여 회전 바(100)와 동력전달수단(210)이 공회전할 때는 상기 차광부재를 감은 회전 바(100)의 반대쪽에서 당기는 힘이 발생해야 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상기 정역모터(220)와 락킹수단(240) 간의 연결은,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정역모터(220)의 축(221) 선단에 고정부(221a)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수단(240)의 축(241) 후단에 상기 고정부(221a)와 결합되는 결합부(241a)를 형성시켜 상기 고정부(221a)와 결합부(241a)가 상호 결합 된 후에는 공회전 되지 않고 상기 정역모터(220)의 회전동력이 상기 락킹수단(240) 전달되도록 연결된다.
상기의 정역모터(220)와 락킹수단(240) 간 연결 구성에서 상기 고정부(221a)는, 상기 정역모터(220)의 축(221) 선단에 키가 설치되거나 또는 4각 이상의 각형 중 어느 하나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41a)는, 상기 키 또는 4각 이상의 각형과 결합되는 키 홈 또는 각형 홈이 형성되어 그들이 상호 결합 됨으로써 상기 정역모터(220)의 회전동력이 상기 락킹수단(240) 전달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정역모터(220)와 락킹수단(240) 간 연결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이고, 그 외에도 정역모터(220)의 축(221)과 락킹수단(240)의 축(241)이 상호 연결된 후 정역모터(220)의 회전동력이 상기 락킹수단(240)으로 모두 전달될 수 있는 구성이면 모두 가능하다.
또 상기 락킹수단(240)은, 정역모터(220)의 축(221)과 연결설치되는 회전축(241)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241)에는 베어링블럭(242)이 설치되며, 그 베어링블럭(242)에는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추(243)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241)의 전방에는 하부 일 측에 락킹 홀(244a)이 형성된 내부회전체(244)가 설치되고, 그 내부회전체(244)와 상기 중심추(243) 간에는 브래킷(245)을 매개로 상호 연결설치되어 상기 내부회전체(244)와 중심추(243)가 항상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부회전체(244)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241)에는 상기 락킹 홀(244a)을 관통하며 동력전달수단(210)과 락킹 되거나 또는 락킹 홀(244a)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을 해제하는 락커(230)를 설치하여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락커(230)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41)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설치되는 고정구(231)와, 그 고정구(231)에 설치된 고정핀(232)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락킹 홀(244a)과 동력전달수단(210)에 형성된 장 홀(211a)을 관통하며 끼워 결합되어 락킹수단(240)인 내부회전체(244)와 동력전달수단(210)인 외부회전체(211)가 동시에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락킹 홀(244a)과 장홀(211a)로부터 이탈되어 외부회전체(211)만 내부회전체(244)로부터 공회전 되게 하는 락핀(23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락핀(233)은, 고정구(231)에 등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 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락킹수단(240) 구성에서 락커(230)에 의해 락킹수단(240)인 내부회전체(244)와 동력전달수단(210)인 외부회전체(211)가 락킹되는 원리는,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역모터(22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그와 함께 락킹수단(240) 및 락커(230)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락핀(233)이 자중에 의해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킹 홀(244a)과 장홀(211a)을 관통하며 끼워져 상기 락킹 홀(244a)과 장홀(211a)을 단부에 락핀(233)이 걸려 상기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이 연동하면서 회전 바(100)를 회전시켜 차광부재를 감게 되는 것이다.
또 상기 회전 바(100)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줄 때에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역모터(2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락핀(233)이 락킹 홀(244a)과 장홀(211a)로부터 빠져나오도록 하고 상기 락핀(233)이 락킹 홀(244a)과 장홀(211a)로부터 빠져나오면 그와 동시에 제어부(도면 미도시)에서 정역모터(220)의 전원공급을 차단하게 되면 정역모터(220)의 케이스 내에 내장된 브레이크(도면 미도시)가 정역모터(220)의 축(221)을 잡아줌으로 상기 정역모터(220)의 축(221)은 회전되지 않고 동력전달수단(210)인 외부회전체(211)가 내부회전체(244)로부터 공회전하여 회전 바(100)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동력전달수단(210)와 회전 바(100)가 공회전하는 원리는, 상기 차광부재를 감은 회전 바(100)의 반대 측에서 차광부재를 당기는 당김 력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이를 위하여 상기 차광부재를 감은 회전 바(100)의 반대 측에 차광부재를 당기는 당김수단(도면 미도시)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블럭(242)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241)이 회전할 때에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회전축(241)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베어링블럭(242)에 하부방향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추(243)를 설치하고, 그 중심추(243)에 브래킷(245)을 매개로 내부회전체(244)와 연결 설치한 이유는, 중심추(243)와 내부회전체(244)가 연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내부회전체(244)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락킹 홀(244a)이 원래의 위치를 항상 유지함으로 상기 락핀(233)의 결합 대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본 발명의 동력전달수단(210)은,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방은 개방되고 전방은 차폐판(211b)에 의해 밀폐되며 외주 면에는 복수 개의 장홀(211a)을 형성시켜 된 통형의 외부회전체(211)가 마련되고. 상기 차폐판(211b)의 중앙에는 동력전달축(212)이 설치되며, 그 동력전달축(212)의 일 측단에는 브래킷(213)을 매개로 상기 회전 바(100)의 일측 단부와 연결설치하여 정역모터(220)의 정방향 회전동력을 락커(230)와 락킹수단(240) 및 동력전달수단(210)을 통하여 회전 바(100)로 전달되게 하였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10)은 외부회전체(211)의 외부 면에 상기 락킹 홀(244a)의 길이와 준하는 크기의 장홀(211a)을 복수 개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외부회전체(211)의 장홀(211a)과 내부회전체(244)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락킹 홀(244a)이 불일치하더라도 상기 정역모터(220)의 작동과 함께 락킹수단(240)과 락커(230)가 약간만 회전하게 되면 락핀(233)은 락킹 홀(244a)과 장홀(211a)에 용이하게 자동으로 끼워 결합되어 락킹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하는 동력전달수단(210) 구성에서 상기 동력전달축(212)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213)은, "ㄷ"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축(212)과 브래킷(213) 간의 연결은, 고정핀(214)을 매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유동 가능한 구성은 동력전달축(212)에 상기 고정핀(214)의 외경보다 큰 고정핀관통 홀(215)의 형성시켜 브래킷(213)이 유동되게 함으로써, 회전 바(100)에 차광부재가 감기거나 또는 풀어줄 때에 충격이 발생할 경우 그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였고, 그와 동시에 차광부재가 회전 바(100)에 편중되게 감길 때에 그 편중되게 감기를 것을 보상하여 정확하게 감기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또 본 발명은 락킹수단(240)의 축(241) 선단부에 베어링(241b)이 설치되고, 그 베어링(241b)은 상기 동력전달수단(210)의 동력전달축(212) 후단부에 끼워 결합됨으로써 동력전달수단(210)이 공회전 될 때에 락킹수단(240)으로부터 용이하고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정역모터(220)의 축(221)과 락킹수단(240)의 회전축(241)이 상호 결합된 후 그 결합력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볼트로 회전축(241)을 관통하며 정역모터(220)의 축(221)을 고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회전동력 전달장치는 상기 효과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고자 회전동력이 강하게 발휘해야 할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동력에 의해 회전 바가 회전되게 하고, 상기 회전 바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고자 할 때에는 모터의 회전동력이 필요없이 상기 차광부재를 감은 회전 바의 반대쪽에서 당기는 힘에 의해 공 회전되며 상기 회전 바에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주도록 함으로써 모터의 회전작동에 따른 전기에너지 소모를 최소화하여 전기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고, 또 차광부재를 회전 바에 감고 풀어줄 때에 원활하게 작동됨은 물론, 물제를 회전 바에 감거나 풀어 줄 때에 정교하고 안전하게 감거나 풀어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삭제
100 : 회전 바 210 : 동력전달수단
211 : 외부회전체 211a : 장홀
211b : 차폐판 212 : 동력전달축
213 : 브래킷 214 : 고정핀
215 : 고정핀관통 홀 220 : 정역모터
221 : 축 221a : 고정부
230 : 락커 231 : 고정구
232 : 고정핀 233 : 락핀
240 : 락킹수단 241 : 회전축
241a : 결합부 241b : 베어링
242 : 베어링블럭 243 : 중심추
244 : 내부회전체 244a : 락킹 홀
245 : 브래킷

Claims (10)

  1.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거나 풀어주는 회전 바(100)의 일측단에 동력전달수단(210)이 설치되고,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후단에 정역모터(220)와 연결설치되어 그 정역모터의 회전동력을 상기 동력전달수단으로 전달하여 동력전달수단과 함께 회전되게 하거나 또는 동력전달수단만 회전되게 하는 락커(230)가 설치된 락킹수단(240)을 연결설치하여
    상기 차광부재를 두루마리 형태로 감고자 회전 바(10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킬 때는 상기 정역모터(220)를 정방향으로 회전시켜 락커(230)에 의해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이 락킹되어 상기 정역모터의 정방향 회전동력이 락커와 락킹수단 및 동력전달수단을 통하여 회전 바로 전달되고,
    상기 회전 바(100)에 두루마리 형태로 감겨진 차광부재를 풀어줄 때는 정역모터(220)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락커(230)에 의해 락킹된 락킹수단(240)과 동력전달수단(210) 간의 락킹을 해제시키고 그 락킹 해제와 동시에 정역모터의 작동을 정시시켜 동력전달수단이 락킹수단으로부터 공 회전되며 그 공회전이 회전 바로 전달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락킹수단(240)은, 상기 정역모터의 축과 연결설치되는 회전축(241)이 마련되고, 상기 회전축에는 베어링블럭(242)이 설치되며, 그 베어링블럭에는 자중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중심을 유지하는 중심추(243)가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전방에는 하부 일 측에 락킹 홀(244a)이 형성된 내부회전체(244)가 설치되고, 그 내부회전체와 상기 중심추 간에는 브래킷(245)을 매개로 상호 연결설치되어 상기 내부회전체와 중심추가 항상 연동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내부회전체의 내부에 위치한 회전축에는 상기 락킹 홀을 관통하며 동력전달수단과 락킹 되거나 또는 락킹 홀로부터 이탈되어 락킹을 해제하는 락커(23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역모터(220)와, 락킹수단(240) 간의 연결은, 상기 정역모터의 축(221) 선단에 고정부(221a)가 형성되고, 상기 락킹수단의 축(241) 후단에 상기 고정부와 결합되는 결합부(241a)를 형성시켜 상기 고정부와 결합부가 상호 결합 된 후에는 공회전 되지 않고 상기 정역모터의 회전동력이 상기 락킹수단에 전달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221a)는, 상기 정역모터의 축 선단에 키가 설치되거나 또는 4각 이상의 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241a)는, 상기 키 또는 4각 이상의 각형과 결합되는 키 홈 또는 각형 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커(230)는, 회전축과 일체가 되도록 고정설치되는 고정구(231)와, 그 고정구에 설치된 고정핀(232)을 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락킹 홀과 동력전달수단(210)에 형성된 장 홀을 관통하며 끼워 결합되어 내부회전체와 외부회전체를 동시에 회전되거나 또는 상기 락킹 홀과 장홀로부터 이탈되어 외부회전체만 내부회전체로부터 공회전 되게 하는 락핀(233)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락핀(233)은, 고정구에 등 간격을 유지하도록 복수 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10)은, 후방은 개방되고 전방은 차폐판(211b)에 의해 밀폐되며 외주 면에는 복수 개의 장홀(211a)을 형성시켜 된 통형의 외부회전체(211)가 마련되고. 상기 차폐판의 중앙에는 동력전달축(212)이 설치되며, 그 동력전달축의 일 측단에는 브래킷(213)을 매개로 상기 회전 바의 일측 단부와 연결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축(212)은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로 형성되고, 상기 브래킷(213)은, "ㄷ" 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동력전달축과 브래킷 간의 연결은, 고정핀(214)을 매개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하되, 그 유동 가능한 구성은 동력전달축에 상기 고정핀의 외경보다 큰 고정핀관통 홀(215)의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수단(210)의 외부회전체(211)는 상기 락킹수단(240)의 내부회전체(244)를 긴밀하게 수용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외부회전체에는 상기 락킹수단(240)의 내부회전체 하부 일측에 형성된 락킹 홀(244a)과 준하는 크기의 장홀(211a)을 일정 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킹수단(240)의 축(241) 선단부에는 베어링(241b)이 설치되고, 그 베어링은 상기 동력전달수단(210)의 동력전달축(212) 후단부에 끼워 결합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동력 전달장치.
KR1020200179395A 2020-12-21 2020-12-21 회전동력 전달장치 KR102453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395A KR102453901B1 (ko) 2020-12-21 2020-12-21 회전동력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395A KR102453901B1 (ko) 2020-12-21 2020-12-21 회전동력 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090A KR20220089090A (ko) 2022-06-28
KR102453901B1 true KR102453901B1 (ko) 2022-10-14

Family

ID=82268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395A KR102453901B1 (ko) 2020-12-21 2020-12-21 회전동력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854B1 (ko) * 2008-06-13 2010-08-25 유동현 일방향 래칫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구동장치
KR102167751B1 (ko) *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8690A (ko) * 2014-03-31 2015-08-03 주식회사 나라코퍼레이션 유성기어 감속기의 입력샤프트 추력방지장치
KR20180087081A (ko) 2017-01-23 2018-08-01 이광섭 박서엔진의 신동력전달장치
KR102191247B1 (ko) 2019-11-06 2020-12-15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세차장 차광막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854B1 (ko) * 2008-06-13 2010-08-25 유동현 일방향 래칫 클러치 및 이를 이용한 자전거의 구동장치
KR102167751B1 (ko) * 2020-05-25 2020-10-20 주식회사 동양워시텍 차광막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090A (ko) 2022-06-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6724B2 (ja) ドア開閉装置
JP6446723B2 (ja) ドア開閉装置
JP6446722B2 (ja) ドア開閉装置
US7360576B2 (en) Electric transmission module for module for window curtains having winding wheel
KR102453901B1 (ko) 회전동력 전달장치
KR100262999B1 (ko) 수동 체인 블록
KR200439469Y1 (ko) 롤 블라인드
JPH0742049B2 (ja) 天幕駆動装置
AU2006270591B2 (en) Door opener
ITTO980186A1 (it) Dispositivo di comando per una tenda a rullo.
KR200449680Y1 (ko) 롤 스크린의 스크린 회동장치
KR102424789B1 (ko) 옥외 시설물의 차광막 개폐장치
CN108119052B (zh) 卷帘门
CN215820542U (zh) 一种窗帘布控制装置
JPH09317324A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装置
JP6427822B2 (ja) ドア開閉装置
JP6331018B2 (ja) ドア開閉装置
KR200464525Y1 (ko) 호스릴용 공회전장치
CN221027309U (zh) 一种简便高效的柞园用运输装置
KR20100092995A (ko) 스크류 이동식 커튼월
JP2561335Y2 (ja) 車両ドアの開閉装置
KR20000061899A (ko) 출입문 자동 개폐장치
JP6427821B2 (ja) ドア開閉装置
JP4393183B2 (ja) シャッター装置
JPH07317427A (ja) 窓の開閉操作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