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837B1 - 축사 악취제거기 - Google Patents

축사 악취제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837B1
KR102453837B1 KR1020220060849A KR20220060849A KR102453837B1 KR 102453837 B1 KR102453837 B1 KR 102453837B1 KR 1020220060849 A KR1020220060849 A KR 1020220060849A KR 20220060849 A KR20220060849 A KR 20220060849A KR 102453837 B1 KR102453837 B1 KR 1024538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dor
cleaning liquid
space
air
sh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0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범섭
Original Assignee
신창엔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창엔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신창엔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0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8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5Multi-step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52Arrangement of fan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76Arrangement of heaters or heat exchanger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047Air-conditioning, e.g. ventilation, of animal housings
    • A01K1/0082Water misting or cool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61L9/14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air-liquid contact processes, e.g. scrubb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5Drying gases or vapours by refrigeration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9Injecting react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8/00Sources of waste gases
    • B01D2258/02Other waste gases
    • B01D2258/0266Other waste gases from animal farm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Zo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축사 악취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축사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축사의 악취공기가 유입되는 악취공기유입관(111)이 구비되고, 타측에 악취가 제거된 악취제거공기가 배출되는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이 연결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악취공기유입관(111) 측에 구비되어 악취공기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공기에 포함된 수용성 악취성분을 물에 용해시켜 제거하는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에서 악취성분이 제거된 1차처리공기를 세정액이 분사되는 제1냉각기(133)와 접촉시켜 악취성분이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케이싱(110) 하부로 분리되게 하는 냉각샤워공간(131)과, 상기 냉각샤워공간(131)를 경유한 2차처리공기(A2)를 세정액이 분사되는 발열기(138)와 접촉시켜 습도를 낮추는 발열샤워공간(137)을 갖는 습식악취제거부(130)와; 상기 발열샤워공간(137)를 경유한 2차처리공기를 제2냉각기(143)와 접촉시켜 온도를 낮추는 냉각공간(141)와, 상기 냉각공간(141)를 경유한 3차처리공기를 내부발열기(148)와 접촉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내부발열공간(147)을 갖는 온도조절부(140)와; 상기 내부발열공간(147)을 경유한 4차처리공기(A4)에 잔류하는 수분과 분진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수분제거제(151)가 충진된 1차수분제거공간(150)과; 상기 1차수분제거공간(150)을 경유한 5차처리공기(A5)의 수분을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161)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2차수분제거공간(160)과; 상기 2차수분제거공간(160)을 경유한 악취제거공기를 상기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으로 배출하는 송풍팬(171)이 구비된 송풍공간(170)과;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로부터 배출된 폐세정액(W1)이 수용되며, 정량의 중화제를 희석하여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로 세정액을 순환공급하는 세정액순환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축사 악취제거기{Deodorizer for both air cooler and hot fan}
본 발명은 축사 악취제거기에 관한 것으로서, 돈사 또는 우사와 같이 동물을 사육하는 축사에 설치되어 축사 내부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고 축사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축사 악취제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돈사(豚舍), 계사(鷄舍) 또는 축사(畜舍) 등과 같은 가축의 사육장소(이하 "축사"라 함)에서는 가축의 배설물 또는 오물 등의 처리를 제때에 수행하지 않을 경우, 상기 배설물로부터 발생되는 황화수소, 암모니아, 메틸메르캅탄, 황화메틸, 이황화메틸, 아민류, 아세트알데히드 등과 같은 가스에 의해 악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악취는 가축의 호흡기로 장기간 흡입될 경우 가축의 폐사를 유발하게 되며, 가축에게 스트레스를 유발시켜 가축의 성장, 임신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일정 수준 이상의 가스가 발생하기 이전에 악취의 원인이 되는 암모니아, 메틸메캅탄, 황화수소 등과 같은 악취 가스를 탈취하여 악취를 제거할 수 있는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게 된다.
한편, 2005년 2월부터 시행된 악취방지법(환경부)에 의하면 2006년 1월 1일부터 돼지 사육시설 면적이 50㎡ 이상되는 축산시설에 대해서 암모니아, 황화수소 등 지정 악취물질의 배출에 대한 규제가 실시되고 있다.
돈사가 위치한 부지의 경계선에서 측정한 지정 악취물질의 농도가 각각의 배출허용기준을 만족해야 하는 법령으로 돈사에 인접한 지역에서 악취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법이다. 이러한 악취방지법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돈사내의 공기에 존재하는 악취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방법이 절실히 요구된다.
한편, 돈사와 같은 축사는 악취가 심하므로 내부에 에어컨이나 온풍기와 같은 공조시설의 설치가 어려운 한계가 있었다. 즉, 축사 내부에 공조시설을 설치할 경우 황화수소, 암모니아 같은 악취성분이 공조시설을 구성하는 내부구성들을 부식시켜 얼마 사용하지 못하고 고장이 발생되므로 돈사에 공조시설을 설치하기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하절기에 돈사 내부 온도가 40℃를 초과하면 돼지가 폐사하게 되므로 축사 내부의 온도를 계절에 맞게 조절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축사 내부의 악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축사 악취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공기의 악취를 제거함과 동시에 온도를 조절하여 축사로 재공급하여 축사 온도를 조절할 수 있는 축사 악취제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축사 악취제거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축사 악취제거기는, 축사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축사의 악취공기가 유입되는 악취공기유입관(111)이 구비되고, 타측에 악취가 제거된 악취제거공기가 배출되는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이 연결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악취공기유입관(111) 측에 구비되어 악취공기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공기에 포함된 수용성 악취성분을 물에 용해시켜 제거하는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에서 악취성분이 제거된 1차처리공기를 세정액이 분사되는 제1냉각기(133)와 접촉시켜 악취성분이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케이싱(110) 하부로 분리되게 하는 냉각샤워공간(131)과, 상기 냉각샤워공간(131)를 경유한 2차처리공기(A2)를 세정액이 분사되는 발열기(138)와 접촉시켜 습도를 낮추는 발열샤워공간(137)을 갖는 습식악취제거부(130)와; 상기 발열샤워공간(137)를 경유한 2차처리공기를 제2냉각기(143)와 접촉시켜 온도를 낮추는 냉각공간(141)와, 상기 냉각공간(141)를 경유한 3차처리공기를 내부발열기(148)와 접촉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내부발열공간(147)을 갖는 온도조절부(140)와; 상기 내부발열공간(147)을 경유한 4차처리공기(A4)에 잔류하는 수분과 분진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수분제거제(151)가 충진된 1차수분제거공간(150)과; 상기 1차수분제거공간(150)을 경유한 5차처리공기(A5)의 수분을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161)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2차수분제거공간(160)과; 상기 2차수분제거공간(160)을 경유한 악취제거공기를 상기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으로 배출하는 송풍팬(171)이 구비된 송풍공간(170)과;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로부터 배출된 폐세정액(W1)이 수용되며, 정량의 중화제를 희석하여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로 세정액을 순환공급하는 세정액순환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온도조절부(140)는 상기 케이싱(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발열기(146)를 더 포함하고, 축사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내부발열기(148) 또는 상기 외부발열기(146)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1차수분제거공간(150)으로 이동되는 4차처리공기(A4)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냉각샤워공간(131) 및 상기 발열샤워공간(137)의 상부에는 하부로 세정액(W)를 분사하는 샤워노즐(123,135,139)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액순환부(180)는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정액탱크(181)와, 상기 세정액탱크(181)와 상기 샤워노즐(123,135,139)을 연결하는 세정액공급관(185)과, 세정액탱크(181)의 폐세정액을 상기 세정액공급관(185)으로 배출되게 하는 세정액펌프(183)와, 중화제를 상기 세정액공급관(185)으로 정량 공급하는 중화제정량펌프(189)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의 제1냉각기(133)와 상기 발열기(138)는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게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부(140)의 제2냉각기(143)는 동절기에는 상기 내부발열기(148)와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게 연결되고, 하절기에는 상기 외부발열기(146)와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게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기는 세정액을 이용해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냉각기와 발열기를 이용해 처리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축사 내부 온도조절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을 분사하며 악취공기가 냉각기 또는 발열기와 접촉하게 하여 악취성분에 의해 냉각기 또는 발열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축사 악취제거기가 돈사에 적용된 일례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기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기의 세정액샤워부와 습식악취제거부의 동작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기의 온도조절과정과 습기제거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1차수분제거공간에 충진된 수분제거제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 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축사 악취제거기(100)가 적용된 축사(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축사 악취제거기(100)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기(100)는 돈사(豚舍), 계사(鷄舍) 또는 우사(牛舍) 등과 같은 가축의 재배장소(이하 "축사"라 함)에 구비되어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공기 중에 포함된 악취성분을 제거한 후 대기 중에 배출되거나 축사로 재공급한다.
이 과정에서 본 발명의 축사 악취제거기(100)는 축사로 재공급되는 악취제거공기의 온도를 계절에 맞게 난방 또는 냉방하여 별도의 공조시설 없이 축사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도 1에는 돼지(P)를 키우는 돈사를 일례로 들었으나, 이 외에도 다양한 축사에 적용될 수 있다.
축사(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축이 사육되는 공간의 하부에 분뇨배출판(11)이 구비되고, 바닥에는 분뇨배출조(13)가 구비된다. 분뇨배출조(13)의 분뇨는 분뇨저장조(15)로 분뇨를 배출한다.
분뇨와 오물 등의 악취가 포함된 악취공기(A)는 축사 벽면에 연결된 악취공기유입관(111)을 통해 축사 악취제거기(100)로 유입되고, 축사 악취제거기(100)에서 악취성분이 제거되고 온도가 조절된 악취제거공기(A7)가 악취제거공기순환관(115)을 통해 축사(10)로 재유입된다. 이에 의해 축사(10) 내부의 악취성분 농도가 조절되고, 내부 온도가 조절될 수 있다.
축사 악취제거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악취공기유입관(111)과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이 결합된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악취공기유입관(111) 측에 구비되어 악취공기(A)의 악취성분을 세정액을 분사하여 제거하는 샤워공간(121)과, 샤워공간(121)의 후단에 결합되어 1차처리공기(A1)에 세정액을 분사하며 제1냉각기(133)와 발열기(138)에 악취공기(A)가 접촉되게 하여 응축에 의해 악취성분이 제거되게 하는 습식악취제거부(130)와, 습식악취제거부(130)의 후단에 구비되어 3차처리공기(A3)의 온도를 조절하는 온도조절부(140)와, 5차처리공기(A5)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는 1차수분제거공간(150) 및 2차수분제거공간(160)과, 2차수분제거공간(160)을 경유한 악취제거공기(A7)를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으로 배출시키는 송풍공간(170)과, 악취성분을 세정한 폐세정액에 중화제를 혼합하여 세정액(W)을 순환시키는 세정액순환부(180)를 포함한다.
케이싱(110)은 내부로 유입된 악취공기(A)가 순차적으로 샤워공간(121), 습식악취제거부(130), 온도조절부(140), 1차수분제거공간(150), 2차수분제거공간(160) 및 송풍공간(170)을 경유한 후 악취성분이 제거된 상태로 배출될 수 있게 각 구성들을 지지한다.
케이싱(1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사(10)의 외부에 배치되거나, 축사(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일단에는 축사(10)와 연결되어 축사(10) 내부의 악취공기(A)를 샤워공간(121) 측으로 유입시키는 악취공기유입관(111)이 구비된다. 케이싱(110)의 타단에는 송풍공간(170)과 연통되게 구비되어 악취성분이 제거된 악취제거공기(A7)를 배출하는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이 구비된다.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에는 악취제거공기(A7)를 축사(10)로 재공급하는 악취제거공기순환관(115)이 연결된다.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과 악취제거공기순환관(115)의 분기영역에는 배출경로조절밸브(117)가 구비되어 악취제거공기의 배출공기를 조절한다.
샤워공간(121), 습식악취제거부(130), 온도조절부(140), 1차수분제거공간(150), 2차수분제거공간(160) 및 송풍공간(170)은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며, 처리공기들이 순차적으로 진행될 수 있게 서로 개방된 상태로 구비된다.
악취공기유입관(111)에 구비된 송풍팬의 송풍압력에 의해 악취공기(A)는 케이싱(110) 내부에서 역행하지 않고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을 향해 순차적으로 이동한다.
한편, 케이싱(110)의 하부에는 샤워공간(121)과 습식악취제거부(130)와 온도조절부(140)로부터 떨어지는 폐세정액(W1)와 응축수(E)를 세정액순환부(180)의 세정액탱크(181)로 배출시키는 세정액배출판(119)이 구비된다.
세정액샤워부(120)는 악취공기유입관(111)을 통해 내부로 유입된 악취공기(A)에 세정액(W)을 분사하여 악취공기(A)에 포함된 수용성 악취성분을 용해하여 제거한다. 세정액샤워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워공간(121)과, 샤워공간(121) 상부에 구비되어 세정액(W)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제1샤워노즐(123)을 포함한다.
제1샤워노즐(123)은 세정액(W)을 저속 및 낮은 압력으로 분사하여 습식악취제거부(130)를 향해 이동되는 악취공기(A)에 포함된 수용성 악취성분을 용해시킨다. 대부분의 악취를 유발하는 황화수소, 암모니아는 세정액(W)과 접촉되며 대부분 용해되어 제거된다.
악취성분이 용해된 악취성분용해수(B)는 세정액배출판(119)으로 낙하된 후 세정액탱크(181)에 저장된다.
습식악취제거부(130)는 세정액(W)과 접촉되며 악취성분이 1차적으로 제거된 1차처리공기(A1)의 악취성분을 추가로 제거한다. 습식악취제거부(130)는 냉매(C)가 이동되는 제1냉각기(133)가 높이방향으로 복수개가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된 냉각샤워공간(131)과, 냉각샤워공간(131)과 이웃하게 배치되며 제1냉각기(133)에서 1차처리공기(A1)와 접촉하며 온도가 상승된 냉매(C)가 이동되는 발열기(138)가 구비된 발열샤워공간(137)을 포함한다.
냉각샤워공간(131)과 발열샤워공간(137)의 상부에는 각각 제1냉각기(133)와 발열기(138)로 세정액(W)를 분사하는 제2샤워노즐(135)과 제3샤워노즐(139)이 구비된다. 제2샤워노즐(135)과 제3샤워노즐(139)로부터 분사된 세정액(W)는 도 3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제1냉각기(133)와 발열기(138)의 표면을 감싸 1차처리공기(A1)에 잔류하는 악취성분에 의해 제1냉각기(133)와 발열기(138)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냉각기(133)와 발열기(138)는 냉각사이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냉매(C)가 순환된다. 이 과정에서 제1냉각기(133)의 표면은 차갑게 냉각되고, 발열기(138)의 표면은 뜨겁게 유지된다.
1차처리가스(A1)가 냉각샤워공간(131)으로 유입되어 제1냉각기(133)와 접촉되면, 1차처리가스(A1)의 온도(T2)가 제1냉각기(133) 보다 높으므로 제1냉각기(133) 표면에서 응축이 발생된다. 이렇게 발생된 응축수(E)에 악취성분이 용해되어 함께 하부로 떨어지고 악취성분이 2차로 제거된다.
제1냉각기(133)와 접촉되며 온도가 낮아진 2차처리공기(A2)는 발열샤워공간(137)으로 이동된 후 발열기(138)와 접촉된다. 발열기(138)의 온도는 2차처리공기(A2)의 온도(T3) 보다 높으므로 2차처리공기(A2)는 발열기(138)와 접촉되며 샤워공간(121)에서 흡수된 세정액(W)이 증발된다. 이 과정에서 3차처리공기(A3)의 습도가 낮아지게 된다.
온도조절부(140)는 발열샤워공간(137)을 거치며 습도가 낮아진 3차처리공기(A3)의 온도를 조절한다. 온도조절부(140)는 하절기에는 3차처리공기(A3)를 냉각시켜 상온보다 온도가 낮은 냉풍이 축사(10)로 공급되게 하고, 동절기에는 상온보다 온도가 높은 온풍이 축사(10)로 공급되게 한다. 또한, 봄과 가을에는 상온에 대응되는 온도로 악취제거공기(A7)의 온도가 조절되게 한다.
온도조절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샤워공간(137)에서 온도가 높아진 3차처리공기(A3)의 온도를 낮추는 냉각공간(141)과, 냉각공간(141)에서 온도가 낮아진 4차처리공기(A4)가 경유하는 내부발열공간(147)과, 케이싱(110)의 외부에 구비된 외부발열기케이싱(145)을 포함한다.
냉각공간(141)에는 냉매가 유동되는 제2냉각기(143)가 수용되고, 내부발열공간(147)과 외부발열기케이싱(145)에는 각각 내부발열기(148)와 외부발열기(146)가 수용된다.
여기서, 제2냉각기(143)는 계절에 따라 내부발열기(148) 또는 외부발열기(146)와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즉, 축사 내부의 냉각이 필요한 계절에는 제2냉각기(143)는 외부발열기(146)와 연결되고, 축사 내부의 난방이 필요한 계절에는 제2냉각기(143)는 내부발열기(148)와 연결된다.
여름철에 축사 내부의 온도(T1)가 높을 경우, 냉각공간(141)에서 3차처리공기(A3)는 제2냉각기(143)와 접촉하며 온도가 하강한다(T5<T4). 이 과정에서 제2냉각기(143)와 접촉하며 발생된 응축수(E)는 바닥으로 하강한다.
온도가 하강된 4차처리공기(A4)는 내부발열공간(147)으로 이동된다. 이 때, 내부발열기(148)가 동작되면 4차처리공기(A4)의 온도가 다시 높아지게 된다. 이에 하절기에는 냉매경로조절밸브(144b)를 개폐하여 제2냉각기(143)의 냉매가 외부발열기케이싱(145)의 외부발열기(146)와 외부냉매순환관(144,144a)에 의해 순환되게 한다.
내부발열기(148)는 냉매가 순환되지 않으므로 내부발열공간(147)을 경유한 5차처리공기(A5)의 온도(T6)는 4차처리공기(A4)의 온도(T5)와 동일하게 된다. 그리고, 냉각공간(141)에서 냉각된 온도(T5)는 이후 계속 유지되어 축사 내부를 냉방하게 된다(T1>T5).
반면, 겨울철에 축사 내부의 온도(T1)가 낮을 경우, 내부발열기(148)를 동작시켜 냉매가 내부발열기(148)로 순환하게 된다. 이에 의해 냉각공간(141)에서 제2냉각기(143)와 접촉하며 온도가 하강된 4차처리공기(A4)는 내부발열기(148)와 접촉하며 온도가 상승된다. 이에 의해 5차처리공기(A5)의 온도(T6)는 4차처리공기(A4)의 온도(T5) 보다 높고 축사 실내온도(T1) 보다 높아진다.
또한, 이 과정에서 5차처리공기(A5)는 내부발열기(148)와 접촉된 후 습도가 더 낮아지게 된다.
1차수분제거공간(150)은 내부에 수분제거제(151)를 충진하여 5차처리공기(A5)에 포함된 습기를 제거한다. 도 5는 1차수분제거공간(150)에 충진된 수분제거제(151)의 일례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분제거제(151)는 링형태로 형성되며 표면에 섬유형상이 구비되어 이동되는 5차처리공기(A5)에 포함된 습기와 분진 등을 제거한다.
2차수분제거공간(160)은 1차수분제거공간(150)에서 1차로 수분이 제거된 6차처리공기(A6)에 포함된 수분을 다시 제거한다. 2차수분제거공간(160)은 엘리미네이터(161)를 이용해 수분을 제거한다.
도 4의 하부에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2차수분제거공간(160)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161)가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고, 이웃하는 엘리미네이터(161) 사이로 6차처리공기(A6)가 이동된다.
이 때, 엘리미네이터(161)는 상하고 절곡된 형태로 구비되고, 경사방향이 변환되는 꺽임점(161a)이 존재하게 된다. 6차처리공기(A6)는 엘리미네이터(161)의 경사면과 닿으며 응축이 발생되고, 응축수가 경사면을 따라 이동된 후 꺽임점(161a)에서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송풍공간(170)은 내부에 복수개의 송풍팬(171)이 수용되며, 케이싱(110)의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과 연통된다. 송풍공간(170)은 2차수분제거공간(160)을 경유한 악취제거공기(A7)를 송풍팬(171)을 이용하여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으로 송풍한다.
이 때,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에 결합된 배출경로조절밸브(117)의 조작방향에 따라 악취제거공기(A7)는 대기중으로 방출되거나, 악취제거공기순환관(115)을 따라 축사(10)에 재공급된다.
세정액순환부(180)는 케이싱(110) 내부에서 악취공기(A)의 세정에 사용되는 세정액이 순환될 수 있게 한다. 세정액순환부(18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며 폐세정액(W1)이 수용되는 세정액탱크(181)와, 세정액탱크(181) 내부에 수용되어 폐세정액을 세정액노즐(123,135,139)로 공급하는 세정액공급관(185)과, 세정액탱크(181)의 폐세정액(W1)을 세정액공급관(185)으로 방출하는 세정액펌프(183)와, 세정액공급관(185)으로 폐세정액(W1)을 중화시키는 중화제를 정량공급하는 중화제정량펌프(189)를 포함한다.
중화제정량펌프(189)는 중화제저장조(187)로부터 중화제를 세정액공급관(185)으로 공급한다.
이에 의해 중화제(D)와 희석되어 악취성분을 중화한 세정액(W)이 샤워노즐(123,135,139)을 통해 샤워공간(121)과 습식악취제거부(130)로 공급되고, 악취공기(A)의 세정에 사용된 폐세정액(W1)은 세정액탱크(181)로 배출된다.
그리고, 폐세정액(W1)은 다시 중화제(D)와 혼합되어 샤워노즐(123,135,139)로 공급되는 순환과정을 거치게 된다.
여기서, 세정액탱크(181)의 바닥면에는 폐세정액(W1)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세정액배출구(181a)와, 세정액배출구(181a)를 개폐하는 배출캡(182)이 구비된다.
폐세정액(W1)의 순환이 반복되면 중화제(D)로도 중화되지 않는 악취성분이 존재할 수 있으므로, 일정 시간별로 폐세정액(W1)을 배출하고 새로운 세정액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축사 악취제거기(100)를 이용한 축사 악취제거 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축사 악취제거기(100)는 축사(10)의 외부 또는 내부에 선택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케이싱(110)의 악취공기유입관(111)은 축사(10)의 일단에 연결되고 악취제거공기순환관(115)은 축사(10)의 타단에 연결된다.
악취공기유입관(111)에 구비된 송풍팬(미도시)이 동작되면 축사(10) 내부의 악취공기(A)가 악취공기유입관(111)을 따라 케이싱(110)의 샤워공간(121)으로 유입된다. 샤워공간(121)으로 유입된 악취공기(A)는 세정액(W)과 접촉되며 수용성 악취성분이 제거된다.
샤워공간(121)에서 수용성 악취성분이 제거된 1차처리공기(A1)는 이웃한 냉각샤워공간(131)으로 이동되고 제1냉각기(133)와 접촉된다. 제1냉각기(133)와 접촉된 1차처리공기(A1)는 온도차에 의해 제1냉각기(133) 표면에서 응결되고, 악취성분이 용해된 응축수(E)는 케이싱(110) 바닥으로 떨어진다.
이렇게 악취성분이 2차로 제거된 2차처리공기(A2)는 발열샤워공간(137)에서 발열기(138)와 접촉하며 수분이 증발되어 습도가 낮아지고 온도는 다시 상승한다. 발열샤워공간(137)을 경유한 3차처리공기(A3)는 온도조절부(140)의 냉각공간(141)으로 이동된 후 제2냉각기(143)와 접촉되고 온도(T5)가 다시 낮아진다.
냉각공간(141)에서 냉각된 4차처리공기(A4)는 내부발열공간(147)으로 이동된다. 내부발열공간(147)에 구비된 내부발열기(148)는 동절기에만 동작되고 나머지 계절에는 동작되지 않는다.
내부발열공간(147)을 거치면서 5차처리공기(A5)는 하절기에는 냉각된 온도 그대로 1차수분제거공간(150)으로 이동되고, 동절기에는 내부발열기(148)에 의해 온도가 상승되어 이동된다.
1차수분제거공간(150)에서 6차처리공기(A6)는 수분제거제(151)에 의해 1차로 수분이 제거되고, 2차수분제거공간(160)에서 엘리미네이터(161)를 이동하며 2차로 수분이 제거된다.
이렇게 악취성분과 수분이 제거된 악취제거공기(A7)는 온도가 조절된 상태로 대기로 방출되거나 축사(10)로 다시 공급되어 축사(10)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축사 악취제거기는 세정액을 이용해 악취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고, 냉각기와 발열기를 이용해 처리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축사 내부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세정액을 분사하며 악취공기가 냉각기 또는 발열기와 접촉하게 하여 악취성분에 의해 냉각기 또는 발열기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기기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축사 악취제거기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축사 11 : 분뇨배출판
13 : 분뇨배출조 15 : 분뇨저장조
100 : 축사 악취제거기 110 : 케이싱
111 : 악취공기유입관 113 : 악취제거공기배출관
115 : 악취제거공기순환관 117 : 배출경로조절밸브
119 : 세정액배출판 120 : 세정액샤워부
121 : 샤워공간 123 : 제1샤워노즐
130 : 습식악취제거부 131 : 냉각샤워공간
133 : 제1냉각기 135 : 제2샤워노즐
137 : 발열샤워공간 138 : 발열기
139 : 제3샤워노즐 140 : 온도조절부
141 : 냉각공간 143 : 제2냉각기
144,144a : 외부냉매순환관 144b : 냉매경로조절밸브
145 : 외부발열기케이싱 146 : 외부발열기
147 : 내부발열공간 148 : 내부발열기
150 : 1차수분제거공간 151 : 수분제거제
160 : 2차수분제거공간 161 : 엘리미네이터
161a : 꺽임점 170 : 송풍공간
171 : 송풍팬 180 : 세정액순환부
181 : 세정액탱크 181a : 세정액배출구
182 : 배출캡 183 : 세정액펌프
185 : 세정액공급관 187 : 중화제저장조
189 : 중화제정량펌프
A : 악취공기
A1 : 1차처리공기
A2 : 2차처리공기
A3 : 3차처리공기
A4 : 4차처리공기
A5 : 5차처리공기
A6 : 6차처리공기
A7 : 악취제거공기
B : 악취성분용해수
C : 냉매
D : 중화제
P : 돼지
W : 세정액
W1 : 폐세정액

Claims (4)

  1. 축사에서 배출되는 악취를 제거하는 축사 악취제거기에 있어서,
    축사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축사의 악취공기가 유입되는 악취공기유입관(111)이 구비되고, 타측에 악취가 제거된 악취제거공기가 배출되는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이 연결되는 케이싱(110)과;
    케이싱(110)의 악취공기유입관(111) 측에 구비되어 악취공기에 세정액을 분사하여 악취공기에 포함된 수용성 악취성분을 물에 용해시켜 제거하는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에서 악취성분이 제거된 1차처리공기를 세정액이 분사되는 제1냉각기(133)와 접촉시켜 악취성분이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켜 케이싱(110) 하부로 분리되게 하는 냉각샤워공간(131)과, 상기 냉각샤워공간(131)를 경유한 2차처리공기(A2)를 세정액이 분사되는 발열기(138)와 접촉시켜 습도를 낮추는 발열샤워공간(137)을 갖는 습식악취제거부(130)와;
    상기 발열샤워공간(137)를 경유한 2차처리공기를 제2냉각기(143)와 접촉시켜 온도를 낮추는 냉각공간(141)와, 상기 냉각공간(141)를 경유한 3차처리공기를 내부발열기(148)와 접촉시켜 온도를 상승시키는 내부발열공간(147)을 갖는 온도조절부(140)와;
    상기 내부발열공간(147)을 경유한 4차처리공기(A4)에 잔류하는 수분과 분진을 흡수하여 제거하는 수분제거제(151)가 충진된 1차수분제거공간(150)과;
    상기 1차수분제거공간(150)을 경유한 5차처리공기(A5)의 수분을 복수개의 엘리미네이터(161)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2차수분제거공간(160)과;
    상기 2차수분제거공간(160)을 경유한 악취제거공기를 상기 악취제거공기배출관(113)으로 배출하는 송풍팬(171)이 구비된 송풍공간(170)과;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로부터 배출된 폐세정액(W1)이 수용되며, 정량의 중화제를 희석하여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로 세정액을 순환공급하는 세정액순환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140)는 상기 케이싱(110)의 외부에 구비되는 외부발열기(146)를 더 포함하고, 축사 내부의 온도에 따라 상기 내부발열기(148) 또는 상기 외부발열기(146)를 선택적으로 동작시켜 상기 1차수분제거공간(150)으로 이동되는 4차처리공기(A4)의 온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액샤워부(120)와 상기 냉각샤워공간(131) 및 상기 발열샤워공간(137)의 상부에는 하부로 세정액(W)를 분사하는 샤워노즐(123,135,139)이 구비되고,
    상기 세정액순환부(180)는 상기 케이싱(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세정액탱크(181)와, 상기 세정액탱크(181)와 상기 샤워노즐(123,135,139)을 연결하는 세정액공급관(185)과, 세정액탱크(181)의 폐세정액을 상기 세정액공급관(185)으로 배출되게 하는 세정액펌프(183)와, 중화제를 상기 세정액공급관(185)으로 정량 공급하는 중화제정량펌프(18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습식악취제거부(130)의 제1냉각기(133)와 상기 발열기(138)는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게 연결되고,
    상기 온도조절부(140)의 제2냉각기(143)는 동절기에는 상기 내부발열기(148)와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게 연결되고, 하절기에는 상기 외부발열기(146)와 냉각사이클에 의해 냉매가 순환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사 악취제거기.
KR1020220060849A 2022-05-18 2022-05-18 축사 악취제거기 KR102453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849A KR102453837B1 (ko) 2022-05-18 2022-05-18 축사 악취제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0849A KR102453837B1 (ko) 2022-05-18 2022-05-18 축사 악취제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837B1 true KR102453837B1 (ko) 2022-10-14

Family

ID=83599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0849A KR102453837B1 (ko) 2022-05-18 2022-05-18 축사 악취제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8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90B1 (ko) * 2022-11-02 2023-05-12 신창엔텍 주식회사 악취가스처리장치
KR102644797B1 (ko) * 2023-07-14 2024-03-08 주식회사 팜인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281A (ja) * 1998-04-17 1999-11-05 Daikin Ind Ltd 冷温熱発生装置
KR20190060365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금강인더스트리 악취처리장치
KR102127434B1 (ko) * 2019-11-07 2020-06-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고농도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약액세정과 바이오필터가 병합된 친환경 복합 탈취기
KR20210009052A (ko) * 2019-07-16 2021-01-26 최낙운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KR102331251B1 (ko) * 2020-09-11 2021-12-02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04281A (ja) * 1998-04-17 1999-11-05 Daikin Ind Ltd 冷温熱発生装置
KR20190060365A (ko) * 2017-11-24 2019-06-03 주식회사 금강인더스트리 악취처리장치
KR20210009052A (ko) * 2019-07-16 2021-01-26 최낙운 히팅코일과 열매체유를 이용하는 건조장치
KR102127434B1 (ko) * 2019-11-07 2020-06-26 주식회사 유성엔지니어링 고농도 악취가스를 처리하는 약액세정과 바이오필터가 병합된 친환경 복합 탈취기
KR102331251B1 (ko) * 2020-09-11 2021-12-02 주식회사 대성환경이엔지 내부공기 순환공급식 탈취정화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2290B1 (ko) * 2022-11-02 2023-05-12 신창엔텍 주식회사 악취가스처리장치
KR102644797B1 (ko) * 2023-07-14 2024-03-08 주식회사 팜인 공기 정화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 정화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837B1 (ko) 축사 악취제거기
CN112568133B (zh) 一种环保猪舍
KR101876955B1 (ko) 가금류용 공조시스템
JPWO2019087335A1 (ja) 家畜舎システム
KR101978427B1 (ko) 축사시설 배출가스의 악취 및 분진 방제시스템
JP7245781B2 (ja) 家畜舎システム
KR102505271B1 (ko) 악취가스 제거장치
KR102188829B1 (ko) 악취기체의 냄새저감장치
KR20180031648A (ko) 축사 지붕 설치용 탈취장치
KR20170035717A (ko) 액비악취 저감장치
KR100740167B1 (ko) 가습장치
KR102556633B1 (ko) 환기시스템을 갖는 양돈 축사
KR20180046106A (ko) 악취 및 폐사 저감 친환경 축사
CN109772125A (zh) 一种造纸厂烘干部废气脱白除臭循环一体化设备
KR102096029B1 (ko) 냉각식 스크러버
CN102679486A (zh) 水空调
EP0966201A1 (en) A method for scalding carcasses, preferably pig carcases,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NL2019965B1 (nl) Warmtewisselaar, alsmede een werkwijze voor het fokken van dieren in een veestal
KR101183514B1 (ko) 공기조화기
JPH04367706A (ja) 空気清浄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548898B1 (ko) 분뇨처리조 냄새 제거장치
KR102532290B1 (ko) 악취가스처리장치
KR102565932B1 (ko) 공기순환형 미스트 기화식 탈취장치
CN219879532U (zh) 一种除臭装置
JP2022030824A (ja) 畜舎の空気調和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