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810B1 -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 Google Patents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810B1
KR102451810B1 KR1020170051979A KR20170051979A KR102451810B1 KR 102451810 B1 KR102451810 B1 KR 102451810B1 KR 1020170051979 A KR1020170051979 A KR 1020170051979A KR 20170051979 A KR20170051979 A KR 20170051979A KR 102451810 B1 KR102451810 B1 KR 10245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girder
concrete
section
prestr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197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18493A (en
Inventor
정하동
Original Assignee
정하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하동 filed Critical 정하동
Priority to KR1020170051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810B1/en
Publication of KR2018011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4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81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2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I-girder typ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형 단면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강합성 거더의 상부 플랜지의 강판을 제거하여 ”ㅗ“ 형 단면으로 제작한후, 제거한 상부 플랜지의 압축부재를 콘크리트로 대체하되, 동바리위에서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 한 후, 동바리를 제거하고, 공용하중을 재하하여,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단계별로 긴장력을 가하여 하부 플랜지 강재의 효율을 높임으로서 강재를 절감하고, 슬래브 일체형 거더로서 고소작업에 따른 시공불량 및 추락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수 있으며, 아울러 교량 교각 작업과 별도로 상부 구조물 제작이 가능한바, 공사기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moves the steel plate of the upper flange of the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girder produced with an “I” cross-section and produces a “ㅗ” cross-section, then replaces the removed upper flange compression member with concrete, but assembles it on the After pouring concrete and integrating it, remove the copper bar, load the common load, and apply tension in stages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the lower flange steel material by applying the tension force step by step. It can fundamentally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and fall accidents due to work at height, and also can contribute to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as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upper structure separately from the bridge pier work.

Figure 112017039609874-pat00001
Figure 112017039609874-pat00001

Description

단계별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콘크리트를 상부 플랜지의 압축부재로 사용하는 강합성 거더 교량{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A steel girder bridge using concrete to introduce tension in stages as a compression member of the upper flange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본 발명은 단면이“ㅗ” 형태인 강재를 제작후, 상부 플랜지 부위를 콘크리트로 합성하여 형성하는 “I"형 강합성 거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거더 상부 플랜지에 배치한 콘크리트를 압축부재로 사용하고, 단계별로 긴장작업을 시행하여 강재 효율성을 높인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formed by synthesizing the upper flange with concrete after manufacturing a steel material having a cross section of "ㅗ", and in particular, using the concrete disposed on the upper flange of the girder as a compression member, , It relates to a method of constructing a steel composite girder that improves the efficiency of steel materials by carrying out tension work step by step.

강재는 압축보다는 인장에 강한 부재이다. 따라서 교량에서 강판 및 철근의 형태로 인장부위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다. 강판을 사용하는 강합성 거더는 일반적으로 “I" 형태의 단면을 구성하고 있다. 하부 플랜지의 강판은 인장력에 대응하고, 상부 플랜지의 강판은 압축력에 대응한다. 그러나 고가의 강재를 압축부재로 사용하는 것은 비경제적인 요소를 유발하고 있다. 아울러 종래의 기술은 상부 플랜지 상단에 거푸집과 동바리를 설치후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서 추락사고 및 시공성 불량, 공사기간 소요 등 많은 단점을 내포하고 있어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Steel is a member that is stronger in tension than compression. Therefore, it is widely used in tensile parts in the form of steel plates and reinforcing bars in bridges. A steel composite girder using a steel plate generally has an “I”-shaped cross section. The steel plate of the lower flange responds to the tensile force, and the steel plate of the upper flange responds to the compressive force. However, expensive steel is used as the compression member. In addition, the prior art has many disadvantages, such as fall accidents, poor workability, and construction period, by installing formwork and copper bars on the top of the upper flange and then pouring slab concrete, so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m. There is this.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강합성 거더의 압축력을 담당하던 상부플랜지의 강판대신 콘크리트를 압축부재로 사용하고, 단계별로 긴장하여 강재량을 절감하고자 하며, 슬래브를 거더와 일체화 하여 거치함으로서, 고소지역에서의 슬래브 작업을 없애서 안전과 시공성을 개선하고 공사기간을 단축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nstead of the steel plate of the upper flange that was responsible for the compressive forc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concrete is used as a compression member, and the amount of steel is reduced by tensioning step by step, and the slab is integrated with the girder. The purpose of this is to improve safety and constructability and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by eliminating slab work in the high-altitude area.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I" 형 단면으로 제작되는 종래의 강합성 거더의 상부 플랜지의 강판을 제거하여 ”ㅗ“ 형 단면으로 제작한후, 제거한 상부 플랜지의 압축부재를 콘크리트로 대체하되, 동바리위에서 조립하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일체화 한 후, 동바리를 제거하고, 공용하중을 재하하여, 콘크리트가 압축력을 담당하도록 하는 방법으로 단계별로 긴장력을 가하여 하부 플랜지 강재의 효율을 높임으로서 강재를 절감하고, 경제적이고 안전한 강합성 거더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to remove the steel plate of the upper flange of the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girder produced with an “I”-shaped cross-section to produce a “ㅗ”-shaped cross-section, and then convert the removed upper flange compression member into concrete. However, after assembling on the copper bar and pouring concrete to integrate it, remove the copper bar, apply a common load, and apply tension in stages so that the concrete takes on the compressive force,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the lower flange steel material. We aim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safe steel girder construction method.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래브가 일체화된 강합성 거더교는 이왕 타설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사하중으로만 작용하게 두지 않고 이를 활용하여 압축력을 담당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플랜지 강판을 삭제하여 강재량을 절감할수 있다. 또한 하부플랜지에 긴장력을 도입하여 단면 최적화를 이루어 추가로 강재절감이 가능하다. 슬래브 일체형 거더로서 고소작업에 따른 시공불량 및 추락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수 있으며, 아울러 교량 교각 작업과 별도로 상부 구조물 제작이 가능한바, 공사기간 단축에 기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in which the slab is integr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concrete to be poured does not act only as a dead load, but utilizes it to take charge of the compressive for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by eliminating the upper flange steel plate.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steel materials by optimizing the cross section by introducing a tension force to the lower flange. As a slab-integrated girder, it is possible to fundamentally prevent construction defects and fall accidents due to work at height.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the upper structure separately from the bridge pier work, which can contribute to shortening the construction period.

도 1은 종래의 강합성 거더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강합성 거더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3부터 도 12까지는 본원 발명의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는 측면및 단면도.
도 3은 본원 발명의 1단계과정으로, 단면이“ㅗ”형인 강재 거더의 측면도.
도 4은 본원 발명의 2단계과정으로,“ㅗ”형 강재 거더를 동바리를 설치한후, 그위에 조립한 측면도.
도 5은 본원 발명의 3단계과정으로, “ㅗ”형 강재 거더에 동바리와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한 모습의 측면도.
도 6은 본원 발명의 4단계과정으로, 동바리를 철거하여 제 1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모습의 측면도.
도 7은 본원 발명의 5단계과정으로, 상부 콘크리트 위에 공용하중인 중량물을 재하하여 제 2차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모습의 측면도.
도 8은 본원 발명의 6단계과정으로, 공용하중 재하로 제 2차 긴장력이 거더에 어느 정도 도입된 후, 프리스트레스를 가두는 과정의 측면도.
도 9와 도 10은 본원 발명의 7단계과정으로, "I"형 강합성거더를 교각에 거치한 후, 서로를 횡방향으로 결속한 모습의 측면및 단면도.
도 11와 도 12은 본원 발명의 8단계과정으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I"형 강합성거더를 교각에 거치한 후, 그 위에 슬래브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습의 측면및 단면도.
도 13은 본원 발명의 9단계과정으로,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 도입하는 "I"형 강합성거더에 강선을 추가 긴장한 모습의 측면및 단면도.
도 14은 연속교량에서 발생하는 응력도.
도 15은 종래의 강합성거더인 프리플렉스(Preflex) 교량의 긴장력 도입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rigid composite girder.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rigid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to 12 are side and cross-sectional views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for applying prestress step by step"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one-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a steel girder having a cross-section "ㅗ" type.
Figure 4 is a two-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the "ㅗ" type steel girder assembled thereon after installing the dongbari.
Figure 5 is a three-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the appearance of installing the dongbari and formwork on the "ㅗ" type steel girder and pouring the upper concrete.
Figure 6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first prestress is introduced by removing the dongbari as a four-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state in which a second prestress is introduced by loading a common load on the upper concrete in a five-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6-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of the process of confining the prestress after the secondary tension force is introduced to some extent in the girder under the common load.
9 and 10 are sid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the seven-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is mounted on the pier and then bound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11 and 12 are the eight-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ounting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on the pier, the side and cross-sectional views of pouring slab concrete thereon.
Figure 13 is a 9-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id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teel wire is added to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to introduce prestress step by step.
14 is a stress diagram that occurs in a continuous bridge.
Figure 15 is an explanatory view for explaining the tension force introduction process of the conventional rigid composite girder preflex (Preflex) bridge.

본 발명을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할수 있으므로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기술범위가 한정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여 이해를 돕도록 하겠습니다.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However, since it can be implemented in several different forms, the technical scope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 described here. And 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help understanding.

도 1은 종래의 강합성 거더를 설명하는 단면도로서 도 1a에서 종래 강재 재질의 거더는 "I" 형태를 이루고 있음을 보여준다. 먼저 거더 하부에 하부 플랜지(10), 그리고 중간부에 복부(20), 그리고 상부에 상부 플랜지(40) 및 전단 연결재(50)로 구성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10)는 인장력을 받아주고, 상부 플랜지(40)는 압축력을 받아주고, 복부(20)는 상부 플랜지(40)와 하부 플랜지(10)의 거리를 유지 시켜준다. 보와 거더의 구조적 원리는 보편적 지식에 해당하는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girder, and shows that the conventional steel girder in FIG. 1a forms an "I" shape. First, it is composed of a lower flange 10 in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an abdomen 20 in the middle part, and an upper flange 40 and a shear connector 50 in the upper part. The lower flange 10 receives a tensile force, the upper flange 40 receives a compressive force, and the abdomen 20 maintains a distance between the upper flange 40 and the lower flange 10 . Structural principles of beams and girders correspond to universal knowledge, and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도 1b는 하부 플랜지(10)에 하부 콘크리트(60)를 타설하고, 상부 플랜지(40)위에 슬래브(70)를 시공한 모습이다. 하부 콘크리트(60)는 강재를 피복하여 녹을 방지하는 목적도 있지만, 강재 거더를 프리스트레스(긴장력:Prestress)준 다음 프리스트레스를 가두어 두기 위하여 주로 타설한다. 프리스트레스(Prestress)는 강재에 하중을 가하여 내부에 응력을 도입하는 과정으로 “긴장력”과 같은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추후 대표적인 프리스트레스 교량인 프리플렉스(Preflex) 거더를 사례로 들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전단 연결재(50)는 상부 플랜지(40)위에 위치하며, 스터드 볼트(stud), 갈고리 철근, 기타 다양한 형태로 사용하며, 거더와 슬래브(7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본원 발명에서는 스터드 볼트 형태로 표시한다. 도 1c는 복부(20)와 상부 플랜지(40)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피복한 모습으로 대부분 강재 거더 교량은 사용성을 고려하여 이러한 형태로 완성한다.FIG. 1B is a view showing that the lower concrete 60 is poured on the lower flange 10 and the slab 70 is constructed on the upper flange 40 . The lower concrete 60 has the purpose of preventing rust by covering the steel, but is mainly poured to confine the prestress after giving the steel girder a prestress (tension: Prestress). Prestress is a process in which a load is applied to a steel material to introduce stress into the interior, and is used in the same sense as “tension force”. In the future, the representative prestress bridge, the Preflex gird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an example. The shear connecting material 50 is located on the upper flange 40, and is used in various forms such as stud bolts, hook reinforcing bars, and serves to connect the girder and the slab 70, and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 of a stud bolt. indicate 1c shows the abdomen 20 and the upper flange 40 also covered by pouring concrete, and most steel girder bridges are completed in this form in consideration of usability.

도 2는 본 발명의 거더를 설명하는 그림으로 도 2a에서 처럼 하부 플랜지(10), 복부(20), 전단 연결재(50)로 구성되며 상부 플랜지(40)가 없다. 상부 플랜지(40)가 없으면 거더가 하중이 가해질때 발생하는 압축력에 대응하지 못하여 거더가 부러지게 된다. 도 2b는 이러한 압축부재를 상부 콘크리트(30)로 대체한 것을 보여준다. 콘크리트는 휼륭한 압축부재로 고가의 상부 플랜지(40) 강재를 대체하여 공사비를 절감할수 있다. Figure 2 is a figure for explaining th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s in Figure 2a is composed of a lower flange (10), an abdomen (20), a shear connector (50), there is no upper flange (40). Without the upper flange 40, the girder cannot respond to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when a load is applied, and the girder is broken. Figure 2b shows that this compression member is replaced with the upper concrete (30). Concrete is an excellent compression member and can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by replacing the expensive upper flange 40 steel.

하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상부 플랜지(40)를 콘크리트로 대체하는 공법은 이미 공개된 기술로서 본원 발명은 대체공법을 청구하는 것이 아니며,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거더의 형태를 먼저 설명하는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이 적용되는 대상임을 규정하고 있다.However, the method of replacing the upper flange 40 with concrete in this way is a previously disclosed technology, and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claim an alternative method, but first describes the shape of the girder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it stipulates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pplicable subject.

여기에서 도 2a를 보면 강재재질로 하부 플랜지(10), 복부(20), 전단 연결재(50)로 구성되어 모양이 “ㅗ”형태를 이루고 있다. 물론 도 2b처럼 상부 콘크리트(30)를 타설해야만 제대로 기능이 가능한 거더가 된다. 편의상 본원 도 2b에 제시된 발명의 거더를 "I"형 강합성거더(100)라고 호칭하기로 한다. 도 2c는 그래픽 사시도로서 도 2b를 보다 이해가 쉽도록 하였다.Here, referring to FIG. 2a, it is composed of a lower flange 10, an abdomen 20, and a shear connector 50 made of a steel material, and thus has a “ㅗ” shape. Of course, it becomes a girder that can function properly only by pouring the upper concrete 30 as shown in FIG. 2B. For convenience, the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2b will be referred to as an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Figure 2c is a graphical perspective view to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Figure 2b.

도 3부터 도 12까지는 본원 발명의 주요내용으로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3 to 12 describe a construction method for applying a prestress step by step as the main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원 발명의 1단계과정으로, 단면이“ㅗ”형인 강재 거더를 측면에서 본 그림으로 일정부분 솟음(camber)이 있게 제작된 것을 보여준다.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거더는 대부분 솟음(camber)을 주어 제작한다. 이는 가하는 하중으로 발생하는 처짐을 미리 보정하기 위함이다. 프리스트레스를 주는 이유는 하부 플랜지(10)의 강재를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하여 강재량을 절감하기 위한 목적으로 보편적 지식으로 생략하도록 한다.Figure 3 is a one-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ㅗ" type steel girder is a figure viewed from the side, showing that a certain part of the camber is produced. Most prestressed girders are built with a camber. This is to correct in advance the deflection caused by the applied load. The reason for giving the prestress is to be omitted as a general knowledge for the purpose of reducing the amount of steel by using the steel of the lower flange 10 more efficiently.

도 4은 본원 발명의 2단계과정으로, 동바리(80)를 설치한 후, 그 위에 “ㅗ”형 강재 거더를 조립한 모습이다. 가운데가 위로 솟음(camber)지게 조립된 모습으로 동바리(80)위에 올려진 상태로 거더 내부에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고 응력발생이 없다. 즉 무응력 상태이다.Figure 4 is a two-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installing the dongbari 80, it is a view of assembling a "ㅗ" type steel girder thereon. As it is assembled so that the middle rises upward (camber), no force is applied inside the girder and there is no stress generated inside the girder while it is placed on the ridge 80. That is, it is in a non-stress state.

도 5은 본원 발명의 3단계과정으로, “ㅗ”형 강재 거더에 동바리(80)와 거푸집을 설치하고 상부 콘크리트(30)를 타설한 모습이다. 하지만 거더자중과 상부 콘크리트(30)의 하중을 동바리(80)가 지지하고 있어서 거더 내부에는 아무런 힘이 작용하지 않고 응력발생이 없다. 즉 무응력 상태이다. 바람직하게는 고강도 콘크리트를 타설하도록 한다. 이로써 비로소 본원 발명에 사용되는 거더형식인 "I"형 강합성거더(100)가 제작되었다.Figure 5 is a three-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ㅗ" type steel girder is installed with the copper bar 80 and the formwork and the upper concrete 30 is poured. However, since the girder weight and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30 are supported by the girder 80, no force acts inside the girder and there is no stress generation. That is, it is in a non-stress state. Preferably, high-strength concrete is poured. Thus,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which is a girder typ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was manufactured.

도 6은 본원 발명의 4단계과정으로, 동바리(80)를 철거한 모습이다. 하중을 지지하던 동바리(80)가 사라짐으로서 "I"형 강합성거더(100)에는 거더자중과 상부 콘크리트(30)의 하중이 작용하고, 거더내부에는 응력이 발생한다. 하부 플랜지(10)에는 인장응력이 상부 콘크리트(30)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한다. 하부 플랜지(10)의 인장응력에 대하여는 두꺼운 강판을 배치하여 대응하고, 상부에서 발생하는 압축응력에 대하여는 상부 콘크리트(30)가 대응한다. 종래에는 도 1에서처럼 두꺼운 강판을 배치하여 대응하였다. 즉 강판을 콘크리트로 대체함으로 강재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Figure 6 is a four-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the dongbari (80) is removed. As the copper bar 80 that supported the load disappears, the weight of the girder and the load of the upper concrete 30 act on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and stress is generated inside the girder. Tensile stress is generated in the lower flange 10 and compressive stress is generated in the upper concrete 30 . The tensile stress of the lower flange 10 is dealt with by arranging a thick steel plate, and the upper concrete 30 corresponds to the compressive stress generated at the upper part. Conventionally, as shown in FIG. 1, a thick steel plate was disposed to respond.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reduce steel materials by replacing steel plates with concrete.

이러한 기능을 가진 "I"형 강합성거더(100)를 사용하여 제 4단계 과정을 수행하면, 자체 하중에 의하여 프리스트레스를 가할수 있다. 제 1차 긴장력 도입과정이다. 강재 거더에 프리스트레스를 가하기 위해서는 대형 콤프레셔, 대형 유압기와 많은 인력과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본원 발명은 동바리(80)를 해체함으로서 간단히 프리스트레스를 가할 수 있다. If the fourth step process is performed using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having such a function, prestress can be applied by its own load. This is the first tension introduction process. To prestress the steel girder, a large compressor, large hydraulic pressure, and a lot of manpower and time are required. 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tress can be simply applied by disassembling the dongbari (80).

도 7은 본원 발명의 5단계과정으로, 상부 콘크리트(30)위에 공용하중을 상재 방식으로 재하하는 모습이다. 제 2차 긴장력 도입과정이다. 재하방법은 콘크리트 블록, 물통 등의 중량물(90)로 쉽게 재하할수 있다. 공용하중은 교량 사용시 차량하중을 말하며, 교량에서 발생하는 하중은 거더 자체하중, 슬래브 하중, 공용하중으로 크게 대별된다. 이로써 교량 사용시에 가해질수 있는 모든 하중이 재하되었으며, 이에 해당하는 응력이 하부 플랜지(10)와 상부 콘크리트(30)에 도입되었다.7 is a five-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state in which a common load is loaded on the upper concrete 30 in a superposed manner. This is the second tension introduction process. The loading method can be easily loaded with a heavy object 90 such as a concrete block or a bucket. The common load refers to the vehicle load when using the bridge, and the load generated by the bridge is largely divided into the girder self-load, slab load, and common load. Accordingly, all the loads that can be applied when using the bridge were loaded, and the corresponding stress was introduced to the lower flange 10 and the upper concrete 30 .

도 8은 본원 발명의 6단계과정으로, 공용하중 재하로 제 2차 긴장력이 거더에 어느정도 도입된 후, 프리스트레스를 가두는 과정이다. 하부 플랜지(10) 주변에 하부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인장된 하부 플랜지(10) 부재를 하부 콘크리트(60)로 구속하는 것으로 긴장력 도입과정을 마칠수 있다. 하부 콘크리트(60)를 타설하지 않으면 거더는 하중 제거시 복원력으로 다시 솟음상태로 돌아갈 것이다. 또한 하부 콘크리트(60)는 진동발생을 방지하는 목적이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보편지식으로 생략한다. 8 is a 6-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ocess of confining the prestress after the secondary tension force is introduced to a certain extent in the girder under the common load. By pouring the lower concrete 60 around the lower flange 10 to restrain the tensioned lower flange 10 member with the lower concrete 60, the tension force introduction process can be completed. If the lower concrete 60 is not poured, the girder will return to the rising state with restoring force when the load is removed. In addition, the lower concrete 60 has a purpose of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vibra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as general knowledge.

즉 본원 발명은 프리스트레스를 나누어 도입한다. 프리스트레스 도입은 최대한 나누어 시행하여야 강재 거더의 변형, 부당응력 발생, 콘크리트 균열, 복부 비틀림 등 여러 가지 문제를 방지할수 있다. 한번에 하중을 가하는 것 보다는 단계별로 조금씩 나누어, 구조물이 수렴할수 있는 구조적 상황에서 가하여야 한다. 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tress is introduced separately. Prestress introduction should be carried out as much as possible in order to prevent various problems such as deformation of steel girder, occurrence of undue stress, cracks in concrete, and torsion of the abdomen. Rather than applying the load all at once, it should be applied in small steps and in a structural situation where the structure can converge.

본원 발명은 총 2단계 긴장력 도입방식을 차례로 적용 하되, 자중과 상재하중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중으로 도입방식은 동바리를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수 있고, 상재하중 방식은 넓은 공간에 중량물을 올리는 것으로 간단히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프리스트레스 도입과정은 간단하면서 강재 거더의 변형을 막을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그 적용대상물이 "I"형 강합성거더(100)인 경우는 강재 절감까지 도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otal two-step tension force introduction method is sequentially applied, but the self-weight and the overload method are used. In the self-weight introduction method, prestress can be introduced simply by removing the moving bar, and in the superimposed load method, prestress can be introduced simply by placing a heavy object in a wide space. This series of prestress introduction process is simple and can prevent deformation of steel girder. In addition, when the applicable object is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eel material.

도 9와 도 10은 본원 발명의 7단계과정으로, 도 9는 "I"형 강합성거더(100)를 교각에 거치한 후의 측면도, 도 10은 서로를 횡방향으로 결속한 모습이다. 결속방법은 철근 연결후 접합 콘크리트 타설, 강선 긴장후 결속 등 다양한 방법으로 가능한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I"형 강합성거더(100)를 교각에 거치하는 것으로 교량시공이 완료되었다. 이는 압축부재인 상부 콘크리트(30)가 교량 슬래브(70) 역활을 하기 때문이다. 보는 바와 공중에서 슬래브 타설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즉 추락사고 방지와 시공불편을 해소할수 있다.9 and 10 are the seven-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after mounting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on the pier, and FIG. As for the binding method, various methods are possible, such as concrete pouring after connecting reinforcing bars, and binding after tensioning the steel wire, so th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he bridge construction was completed by mounting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on the pier. This is because the upper concrete 30, which is a compression member, serves as the bridge slab 70. There is no need to cast slabs in the air with the viewing bar.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prevent fall accidents and eliminate construction inconvenience.

이왕 타설해야하는 슬래브 콘크리트를 거더의 압축부재로 활용한 것이다. 도 1의 종래의 거더는 거더 상부 플랜지(40)에 압축부재인 강판을 배치하고, 슬래브(70)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슬래브 콘크리트는 단지 사하중으로만 작용하고 있다. 강재절감 효과를 누릴수 없다.The slab concrete that needs to be poured is used as a compression member for the girder. The conventional girder of FIG. 1 arranges a steel plate as a compression member on the girder upper flange 40, and pours the slab 70 concrete so that the slab concrete acts only as a dead load. You cannot enjoy the effect of reducing steel.

또한 "I"형 강합성거더(100) 제작 작업과 병행하여 교각 등 하부 기초 작업을 진행함으로서 공사기간 단축을 도모할 수 있다. 종래에는 기초작업후, 거더인상, 슬래브 작업이 진행되지만, 본원 발명은 슬래브 작업시간이 생략된다. 슬래브 작업시간은 위험하고 많은 시간을 소요하는바, 큰 장점이라 할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by performing lower foundation work such as piers in parallel with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manufacturing work. Conventionally, after the foundation work, the girder lifting and the slab work are in progress, bu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lab work time is omitted. Slab working time is dangerous and takes a lot of time, which is a big advantage.

도 11와 도 12은 본원 발명의 8단계과정으로, 본원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I"형 강합성거더(100)를 교각에 거치한 후, 그 위에 슬래브(70)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이다. 즉 상부 콘크리트(30) 위에 슬래브(70)를 추가 시공하는 방식이다. 슬래브(70) 콘크리트가 노후화 되어 이를 교체하는 경우, 도 9처럼 슬래브 일체식 거더는 슬래브 철거시 거더의 압축부재가 제거되어 붕괴될수 있다. 11 and 12 are the eight-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 mounting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on the pier, the slab 70 concrete is poured thereon to be. That is, the slab 70 is additionally constructed on the upper concrete 30 . When the concrete of the slab 70 deteriorates and is replaced, as shown in FIG. 9 , the slab integrated girder may collapse due to the removal of the compression member of the girder when the slab is dismantled.

따라서 유지관리 측면에서는 공사비 절감보다는 슬래브를 추가로 거더위에 시공하는 8단계 과정이 유리할수 있다. 즉 공법은 여러 목적에 따라 이용할수 있어야 한다. 그러한 측면에서 본원 발명의 단계별 프리스트레스방식을 적용하되, "I"형 강합성거더(100)를 이용하는 방법은 2가지 방법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Therefore, in terms of maintenance, the 8-step process of additionally constructing the slab on the girder may be more advantageous than reducing the construction cost. In other words, the public method should be usable for various purposes. In that aspect, the step-by-step prestress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but there are two methods of using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슬래브(70), 상부 콘크리트(30), 하부 콘크리트(60) 속에 배치되는 철근은 미 도시하였다. 또한 앞으로도 생략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중요하지 않고 일반적인 기술이해가 가능한 부위는 생략하여 중요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The reinforcing bars disposed in the slab 70 , the upper concrete 30 , and the lower concrete 60 are not shown. Also, it will be omitted in the future.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important and can be understood in general are omitted to help understanding of important technologies.

도 13은 본원 발명의 9단계과정으로,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 도입하는 "I"형 강합성거더(100)에, 강선(110)을 추가 배치하여, 추가 기능을 도모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하부 플랜지(10)에 하부 콘크리트(60) 타설시 강선(110)을 매설하도록 하고, 상기 "I"형 강합성거더(100)에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 도입 완료후, 추가로 긴장작업을 시행한다. 강선은 높은 인장력을 담당할수 있는 인장부재로서 콘크리트교, 강교, 강합성교 등 모든 교량에 널리 사용하고 있으며, 인장력이 요구되는 부위마다 배치하여 강재량을 절감하는 보편화된 기술이다. 하지만 이러한 보편화된 강선긴장 기술도 어느 구조물에 적용하였는지 가 또 다른 특허기술로 인정되며, 창출되고 있다. 현재 대부분의 특허교량에는 고유 특허기술이 있고, 그 고유 기술에 강선긴장 기술을 추가하여 또 다른 특허 청구항을 확보하고 있다. 13 is a 9-step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ws a state in which an additional function is achieved by additionally disposing a steel wire 110 in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for introducing prestress step by step. When the lower concrete 60 is poured into the lower flange 10, the steel wire 110 is buried, and after th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step by step, additional tension work is performed. Steel wire is a tensile member that can handle high tensile force and is widely used in all bridges such as concrete bridges, steel bridges, and composite bridges. However, this generalized steel wire tensioning technology is also recognized as another patented technology and is being created according to which structure it is applied. Currently, most of the patented bridges have their own patented technology, and another patent claim is secured by adding the steel wire tension technology to the original technology.

그 만큼 강선 긴장은 고유 특허기술을 쓸모있게 만든다 할수 있다. 사례가 너무 많아 나열이 힘들 정도이다. 대표적인 사례가 프리플렉스(Preflex)거더의 하부 플랜지에 강선을 추가 배치한 리프리플렉스(RePreflex)거더라고 할수 있다. 강선 추가로 프리플렉스(Preflex)거더의 하부 플랜지의 강재를 절감할수 있는 효과를 발생하며, 또 하나의 기술로 인정하고 있다. It can be said that the tension of the steel wire makes the unique patented technology useful. There are so many examples that it is difficult to list them. A typical example is the RePreflex girder, in which steel wire is additionally placed on the lower flange of the Preflex girder. The addition of steel wire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steel material of the lower flange of the preflex girder, and it is recognized as another technology.

이와 같이 상기한 본원 발명의 단계별 긴장의 고유 기술에 강선긴장 기술을 추가하여 보다 유용한 또 하나의 기술을 창안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도 연속교에서 인장력이 작용하는 구간마다 강선을 배치하여, 강재절감 등 보다 효율적인 교량을 구성하고자 한다. In this way, it is intended to create another more useful technology by adding the steel wire tensioning technology to the inherent technology of step-by-step tens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by arranging steel wires in each section where tensile force is applied in a continuous bridge, it is intended to construct a more efficient bridge such as steel material reduction.

단면A-A는 연속교량에서 정 모멘트구간으로 인장측인 하부 플랜지(10)의 강판이 두껍게 배치되지만 하부 플랜지(10) 주변에 강선(110)을 추가 배치하여 강판을 얇게 배치할수 있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단면B-B는 연속교의 지점부에서 상단부에 인장응력이 발생하여 슬래브(70)에 균열이 발생한다. 상부 콘크리트(30)에 강선(110) 배치 및 긴장하여 거더 상호간을 연결하여 인장응력에 대응하여 균열을 방지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처럼 강선 추가는 고유기술을 더 효용 있게 만든다. Section A-A explains that the steel plate of the lower flange 10, which is the tensile side, is thickly disposed in the positive moment section of the continuous bridge, but the steel wire 110 can be additionally disposed around the lower flange 10 to make the steel plate thin. In section B-B, tensile stress is generated at the upper end at the point of the continuous bridge, and cracks occur in the slab (70). It explains how to prevent cracking in response to tensile stress by arranging and tensioning the steel wire 110 in the upper concrete 30 to connect the girders to each other. In this way, the addition of steel wire makes the unique technology more useful.

도 14에서 연속교 응력도에서 보는바와 같이 (+) 정 모멘트 구간에는 거더 하부에 강선(110)을 배치가 필요하며, (-) 부 모멘트 구간에는 거더 상부에 강선(110)을 배치해야 한다. 따라서 하부 플랜지(10) 주변에 하부 콘크리트(60) 타설시 강선(110)을 배치후 긴장하여 정 모멘트를 상쇄시키며, 상부 콘크리트(30)에 강선(110)을 배치후 긴장하여 부 모멘트를 상쇄하도록 한다. 강선(110)을 추가 배치하여 사용시, 강판을 추가 절감할수 있다. 또한 교량 노후화로 하부 플랜지(10)의 인장력 부족, 처짐 등이 발생시 추가 긴장을 할수 있는 유지관리용 강선도 배치하도록 한다.As shown in the stress diagram of the continuous bridge in FIG. 14 , the steel wire 110 is required to be placed under the girder in the positive moment section (+), and the steel wire 110 must be placed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in the section (-) negative moment. Therefore, when the lower concrete 60 is poured around the lower flange 10, the steel wire 110 is tensioned to cancel the positive moment, and the steel wire 110 is placed in the upper concrete 30 to cancel the negative moment by tensioning it. do. When using the additional arrangement of the steel wire 110, it is possible to further reduce the steel plate. In addition, a maintenance steel wire capable of additional tension when insufficient tensile force of the lower flange 10, sagging, etc. occurs due to the aging of the bridge is also arranged.

도 15은 종래의 강합성거더(강재와 타 재질로 합성된 거더, 일반적으로 강재와 콘크리트를 결합하는 방식 사용)중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는 교량중 가장 대표적인 프리플렉스(Preflex) 교량의 긴장력 도입과정이다. 매우 복잡한 과정을 감수하면서 프리스트레스를 가하는 이유는 강재를 극한강도까지 올려서 강재의 효율을 최대화하여 강재량을 절감하기 위함이다, 이 상태에서 하부 콘크리트로 구속함으로서 더 이상 하부 플랜지가 늘어나지 못하게 하여 출렁거림 및 진동을 방지하여 사용성을 좋게한다. 하지만 그림에서 보는바와 같이 강재 거더를 고정하는 거대한 작업대와 대형 장비(콤프레셔, 유압잭), 회전작업, 많은 인력과 작업 시간 등 복잡한 과정을 수행하여야만, 그러한 효과를 비로소 얻을수 있다. 따라서 보다 긴장작업을 간단히 수행할수 있는 시공방법이 절실하다 하겠다. 15 is a process of introducing tension of a preflex bridge, which is the most representative among bridges that introduce prestress among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girder (a girder synthesized from steel and other materials, generally using a method of combining steel and concrete). The reason for applying prestress while undergoing a very complicated process is to reduce the amount of steel by maximizing the efficiency of the steel by raising the steel to the ultimate strength. Prevents vibration and improves usability. However, as shown in the figure, such an effect can only be achieved by performing complex processes such as a huge workbench fixing the steel girder, large equipment (compressor, hydraulic jack), rotating work, and a lot of manpower and work tim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a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perform tension work more easily.

본원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자중과 상재하중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중은 동바리(80) 철거만 하면 되고, 상재하중은 중량물(90)을 올리기만 하면 된다. 너무나 쉽고 간단하여 공법이라고 설명하기 힘들 정도로 간단하다. 특허공법은 이렇게 너무나 간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 만큼 효과적이라는 방증이 될 것이다. 또한 제 1 긴장력과 제 2긴장력 방식을 모두 수행하여야만 비로소, 교량시공시 발생할수 있는 모든 하중인 거더자중, 슬래브 하중, 공용하중이 프리스트레스로 도입된다. 일부만을 도입해서는 제대로 기능을 수행할수 없다. 본원 발명의 단계별 긴장작업은 모든 하중이 수렴되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its own weight and overload method to improve these disadvantages. Self-weight only needs to remove the dongbari (80), the surplus load only needs to raise the weight (90). It is so easy and simple that it is difficult to explain it as a construction method. I think the patenting method should be so simple like this. That will prove to be effective. In addition, only when both the first tension force and the second tension method are performed, all loads that can occur during bridge construction, such as girder weight, slab load, and common load, are introduced as prestresses. By introducing only a part, it cannot perform its function properly. In the step-by-step tension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loads are converged.

뿐만 아니라, 그 대상이 "I"형 강합성거더(100)임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종래의 거더는 프리플렉스 거더 사례처럼, 대부분 상부 플랜지(40)에 강판을 배치하고 있다. 본원 발명은 제 1 과 제 2 긴장력 방식을 반듯이 모두 수행하되, 그 적용대상물이 "I"형 강합성거더(100)에 한정하고 있다. 다른 대상물에 대하여는 권리 청구범위가 없다. 이렇게 대상범위를 스스로 한정하는 이유는 본원 발명의 단계별 프리스트레스 도입시 가장 적합한 거더이기 때문이다. 강재절감, 변형방지, 시공간단, 추락방지, 공기단축의 축약된 장점을 두루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In addition, the objec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type rigid composite girder (100). Conventional girder, as in the case of preflex girder, most of the steel plate is disposed on the upper flange (40). In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first and second tensioning methods must be performed, but the applicable object is limited to the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00). There are no claims for other objects. The reason for limiting the target range by itself in this way is that it is the most suitable girder when introducing the step-by-step prestress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it has the condensed advantages of reducing steel materials, preventing deformation, shortening time and space, preventing falls, and shortening construction period.

10: 하부 플랜지
20: 복부
30: 상부 콘크리트
40: 상부 플랜지
50: 전단 연결재
60: 하부 콘크리트
70: 슬래브
80: 동바리
90: 중량물
100: "I"형 강합성거더
110: 강선
10: lower flange
20: abdomen
30: upper concrete
40: upper flange
50: shear connector
60: lower concrete
70: slab
80: Dongbari
90: heavy
100: "I" type steel composite girder
110: liner

Claims (3)

단면이“ㅗ”형태인 강재 거더의 상단부에 상부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합성한 단면이“I”형태인 강합성 거더에 있어서,
1단계; “ㅗ”형 단면인 강재 거더를 위로 솟음을 주어 제작하는 과정, 2단계; 동바리(80)를 설치하고 그 위에 “ㅗ”형 단면인 강재 거더를 조립하는 과정, 3단계; “ㅗ”형 단면인 강재 거더 복부(20)의 상부에 연이어 수평으로 상부 콘크리트(30)를 타설 및 양생하여 “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제작하는 과정, 4단계; 동바리(80)를 제거하여 하부 플랜지(10)의 강재와 상부 콘크리트(30)에 제 1차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는 과정, 5단계; 제 1차 프리스트레스가 수렴된 후, 상부 콘크리트(30)위에 중량물(90)로 공용하중을 재하하여 하부 플랜지(10)의 강재와 상부 콘크리트(30)에 제 2차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는 과정, 6단계: 하부플랜지 주위에 철근조립 및 하부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긴장력을 가두어 고정하는 과정, 7단계:“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교대 및 교각에 거치하는 과정, 8단계: “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상호 결합하여 슬래브(70)를 구성하는 과정: 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이“ㅗ”형태인 강재 거더의 상단부에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한 “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
In a steel composite girder whose cross section is “I” shape, which is synthesized by pouring the upper concrete 30 on the upper end of the steel girder having a “ㅗ” cross-section,
Stage 1; The process of producing a steel girder with a “ㅗ”-shaped cross-section by soaring upward, step 2;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copper bar (80) and assembling a steel girder having a “ㅗ”-shaped cross-section thereon, step 3; The process of producing an “I”-shaped steel composite girder by continuously pouring and curing the upper concrete 30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ㅗ”-shaped cross-section of the steel girder abdomen 20, step 4;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first prestress (Prestress) to the steel material of the lower flange 10 and the upper concrete 30 by removing the copper bar 80, step 5; After the first prestress is converged, a common load is applied with a weight 90 on the upper concrete 30 to introduce a second prestress to the steel of the lower flange 10 and the upper concrete 30 , Step 6: Assembling reinforcing bars around the lower flange and pouring the lower concrete (60) to confine and fix the tension, Step 7: “I”-shaped steel composite girder to abutments and piers, Step 8: “ The process of composing the slab 70 by mutually combin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I” shape: Compositing by pouring the upper concrete at the upper end of the steel girder having the “ㅗ” shape in cross section, in which prestress is introduced step by step, characterized in that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 type rigid girder.
단면이“ㅗ”형태인 강재 거더의 상단부에 상부 콘크리트(30)를 타설하여 합성한 단면이“I”형태인 강합성 거더에 있어서,
1단계; “ㅗ”형 단면인 강재 거더를 위로 솟음을 주어 제작하는 과정, 2단계; 동바리(80)를 설치하고 그 위에 “ㅗ”형 단면인 강재 거더를 조립하는 과정, 3단계; “ㅗ”형 단면인 강재 거더 복부(20)의 상부에 연이어 수평으로 상부 콘크리트(30)를 타설 및 양생하여 “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제작하는 과정, 4단계; 동바리(80)를 제거하여 하부 플랜지(10)의 강재와 상부 콘크리트(30)에 제 1차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는 과정, 5단계; 제 1차 프리스트레스가 수렴된 후, 상부 콘크리트(30)위에 중량물(90)로 공용하중을 재하하여 하부 플랜지(10)의 강재와 상부 콘크리트(30)에 제 2차 프리스트레스(Prestress)를 도입하는 과정, 6단계: 하부플랜지 주위에 철근조립 및 하부 콘크리트(60)를 타설하여 긴장력을 가두어 고정하는 과정, 7단계:“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교대 및 교각에 거치하는 과정, 8단계: “I”형태인 강합성 거더 위에 슬래브(70)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 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이“ㅗ”형태인 강재 거더의 상단부에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한 “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
In a steel composite girder whose cross section is “I” shape, which is synthesized by pouring the upper concrete 30 on the upper end of the steel girder having a “ㅗ” cross-section,
Stage 1; The process of producing a steel girder with a “ㅗ”-shaped cross-section by soaring upward, step 2; The process of installing the copper bar (80) and assembling a steel girder having a “ㅗ”-shaped cross-section thereon, step 3; The process of producing an “I”-shaped steel composite girder by continuously pouring and curing the upper concrete 30 horizontally on the upper part of the “ㅗ”-shaped cross-section of the steel girder abdomen 20, step 4; The process of introducing the first prestress (Prestress) to the steel material of the lower flange 10 and the upper concrete 30 by removing the copper bar 80, step 5; After the first prestress is converged, a common load is applied with a weight 90 on the upper concrete 30 to introduce a second prestress to the steel of the lower flange 10 and the upper concrete 30 , Step 6: Assembling reinforcing bars around the lower flange and pouring the lower concrete (60) to confine and fix the tension, Step 7: “I”-shaped steel composite girder to abutments and piers, Step 8: “ The process of pouring concrete of the slab 70 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of the I” shape: A composite “ How to construct an I” type rigid composite girder.
상기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하부 플랜지(10)를 감싸는 하부 콘크리트(60) 타설시 강선(110)을 사전배치하여 하부 콘크리트(60)가 양생되면 긴장하고, 지점부 부모멘트 구간에서는 상부 콘크리트(30)에 강선(110)을 사전배치하여 긴장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단계별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단면이“ㅗ”형태인 강재 거더의 상단부에 상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합성한 “I”형태인 강합성 거더를 시공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n the lower concrete 60 surrounding the lower flange 10 is poured, the steel wire 110 is pre-arranged to become tense when the lower concrete 60 is cured, and the steel wire 110 to the upper concrete 30 in the negative moment section at the point. Pre-positioning and tensioning: A method of constructing an “I” shape steel composite girder synthesized by pouring the upper concrete on the upper part of a steel girder with a “ㅗ” cross-section, which is introduced step by step, characterized by .
KR1020170051979A 2017-04-22 2017-04-22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KR10245181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979A KR102451810B1 (en) 2017-04-22 2017-04-22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1979A KR102451810B1 (en) 2017-04-22 2017-04-22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93A KR20180118493A (en) 2018-10-31
KR102451810B1 true KR102451810B1 (en) 2022-10-05

Family

ID=640997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1979A KR102451810B1 (en) 2017-04-22 2017-04-22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810B1 (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2933B1 (en) * 2003-05-16 2006-04-24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Construction Method for PSC Girder Bridges
KR20060017949A (en) * 2004-08-23 2006-02-28 박상현 Field-fabricated prestressing steel-composed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continuous bridge using the girder
KR101678999B1 (en) * 2014-07-18 2016-11-25 (주)삼현피에프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493A (en) 201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48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thereby
EP1383962A1 (en)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KR100982974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pan continuous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US5305575A (en)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 and method of forming same
KR101064731B1 (en)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045929B1 (en) Pro-environment prestressed long span light-weight precast concrete panel and this construction technique
KR101678999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KR101108788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multi stage prestressed composite beam which composes precast concrete panel and steel girder and correction device used therein
KR10092340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sequence
KR20080103678A (en) Method for composite gird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composite girder
KR101200563B1 (en)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Steel Plates Connected by Using Concrete Cross Beams and Its Constructing Method
KR10152775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bridge
KR101240581B1 (en) End support apparatus using cross- shaped tendon anchorage plate,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5553439A (en) Composite, prestressed structural members and methods of forming same
KR102451810B1 (en)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KR101286112B1 (en)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rahm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670675B1 (en)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multi span prestressed steel composite beam
KR100546719B1 (en)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KR101286116B1 (en) Composite girder with steel pip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JP2020063598A (en) Hinge part reinforcement method and reinforcement structure in hinged girder bridge with pc
CN211446552U (en) Steel-concrete combined section structure of steel box arch bridge arch rib
KR200343468Y1 (en) Composite rigid-frame bridge installing prestressed compound beam to the contral point of the slab of rigid-frame bridge and connecting the beam to the steel member installed in the upper of pole
KR100561034B1 (en) Connecting method for segmental prestressed preflex steel composite beam
KR100402147B1 (en) The second Prestressing Method of Simple Composite Beam Using PS Steel Bar
KR100944005B1 (en) Pre-stressed Steel Girder and Method for introducing pre-stress into the steel gir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