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3409B1 -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923409B1 KR100923409B1 KR1020070076372A KR20070076372A KR100923409B1 KR 100923409 B1 KR100923409 B1 KR 100923409B1 KR 1020070076372 A KR1020070076372 A KR 1020070076372A KR 20070076372 A KR20070076372 A KR 20070076372A KR 100923409 B1 KR100923409 B1 KR 1009234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s
- point
- girder
- bridge
- spl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시공단계에 따른 단면력을 고려한 보강구조를 구비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더를 인양가능한 길이로 제작하여 이를 지점부의 교각 또는 임시 교각 위에 거치하며,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연속강선을 긴장하여 연속화 시키는 등의 일련의 시공단계마다 변화되는 거더의 작용 단면력과 단면의 변화에 맞추어, 적절한 긴장력을 도입하여 거더가 최적의 단면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최소 형고를 가지면서도 최상의 구조적인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e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age,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using a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It is manufactured to a salvable length and mounted on the pier or temporary pier at the point, and the bottom plate is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girder's action cross-sectional force and cross-sectional change that change every series of construction stages such as continually tensioning the continuous steel wir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have the best structural efficiency while having the minimum mold height by introducing an appropriate tension force so that the girder has an optimal cross-sectional size.
교량, 스프라이스, 단면력, 긴장, 합성, 형고 Bridge, splice, section force, tension, composite, mold heigh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시공단계에 따른 단면력을 고려한 보강구조를 구비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이하, “스플라이스 PSC 거더”라고 약칭함) 교량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스플라이스 PSC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거더를 인양가능한 길이로 제작하여 이를 지점부의 교각 또는 임시 교각 위에 거치하며, 상부에 바닥판을 설치하고, 연속강선을 긴장하여 연속화 시키는 등의 일련의 시공단계마다 변화되는 거더의 작용 단면력과 단면의 변화에 맞추어, 적절한 긴장력을 도입하여 거더가 최적의 단면 크기를 갖도록 함으로써, 최소 형고를 가지면서도 최상의 구조적인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교량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splice PSC girder") bridge with a reinforcing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the cross-sectional force according to the construction step, the bridge using a splice PSC gird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girders, the girders are made to a salvable length and mounted on the pier or temporary pier at the point, the bottom plate is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continuous girder is tensioned and continually change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and a construction method which can have the best structural efficiency while having the smallest height by introducing an appropriate tension force so that the girder has an optimal cross-sectional size in accordance with the change of the working cross-section force and the cross-section.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교량(이하, “PSC 거더 교량”이라고 약칭함)의 일종으로서, 교각이 위치하는 지점부에 놓이는 지점부 거더와, 중앙 경간 및 측경간 거더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도 1에는 종래의 일반적인 PSC 거더 교량과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모멘트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1의 (a)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고, 도 1의 (b)는 그 모멘트도이며, 도 1의 (c)와 도 1의 (d)는 각각 종래의 일반적인 PSC 거더 교량(200)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그 모멘트도이다. A bridge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ereinafter, abbreviated as “PSC girder bridge”), a splice PSC girder bridge formed by connecting the point girders placed at the point where the bridge is located, and the center span and side span girders. There is a growing interest in. FIG. 1 is a schematic side view and moment diagram of a conventional general PSC girder bridge and a splice PSC girder bridge. FIG. 1A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plice PSC girder bridge, and FIG. Is a moment diagram, and FIGS. 1C and 1D are schematic side views and moment diagrams of a conventional general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은 교각이 위치하는 지점부에 지점부 거더(110)가 위치하게 되고, 상기 지점부 거더(110)의 양측에 중앙경간 거더(120) 및 측경간 거더(130)가 각각 연결된다. 3경간 이상의 교량에서는 상기 지점부 거더(110)의 양측 모두에 중앙경간 거더(120)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에서는 지점부 거더(110)와 중앙 거더(120) 또는 측경간 거더(130)가 연결되는 이음부는 모멘트가 최소가 되는 변곡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에 비하여 종래의 일반적인 PSC 거더 교량(200)의 경우, 교각이 위치하는 지점부에서 양측의 PSC 거더(210)가 연결된다. 즉, 부모멘트가 가장 큰 지점인 지점부에 거더(210)의 이음부가 위치하게 되므로, 구조적으로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에 비하여 더 불리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에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에 대하여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splice
그런데, 이와 같은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의 경우, 시공과정에서 거더에 작용하는 단면력이 각각의 시공단계에 따라 크게 변화되어 큰 거더 단면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splice
도 2에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의 각 시공단계 및 모멘트도가 도시되어 있다. 우선 도 2의 (a)에 도시된 것처럼, 스플라이스 PSC 거더교의 시공단계를 살펴보면 지점부 거더(110)를 인양하는 단계에서는 지점부 거더(110)의 자중에 의하여 최대 M0의 정모멘트가 지점부 거더(110)에 작용하게 된다. 2 shows each construction step and moment diagram of the splice
다음 단계로 도 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교각(101) 위에 지점부 거더(110)가 거치되어 있는 단계에서는 교각(101) 직상부의 위치에서, 인양 단계에서 작용하는 모멘트와 반대방향으로 최대 M1의 부모멘트가 지점부 거더(110)에 작용하게 된다. Next, as shown in FIG. 2B, in the step where the
그 후속 작업으로 지점부 거더(110)의 양측에 거더를 연결하게 되면 도 2의 (c)에 도시된 모멘트도에서 알 수 있듯이, 교각(101) 직상부의 위치에서 M2의 부모멘트가 지점부 거더(110)에 작용하게 되고, 후속하여 연속된 거더의 상부에 바닥판 슬래브를 시공하면 바닥판의 자중에 의한 모멘트가 추가되고, 거더와 바닥판이 합성됨으로서 단면계수가 변화하게 된다. 그 후 교량 상면을 포장하고 활하중이 가해지게 되면, 상재 하중으로 인하여 도 2의 (d)에 도시된 것처럼, 최대 M의 부모멘트가 지점부 거더(110)에 작용하게 된다. When the girder i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결국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의 경우에는 도 2의 (e)에 도시된 것처럼, 지점부 거더(110)의 인양 단계에 작용하는 M0의 정모멘트로부터 사용 상태에서 지점부 거더(110)에 작용하는 M3의 부모멘트까지 큰 폭의 모멘트 변동이 있게 되고 시공단계에 따라 단면 계수가 변하는 것이다. After all, in the case of the splice
특히,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최종 사용 상태에서 지점부 거더(110)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방향과, 지점부 거더(110)를 인양할 때에 작용하는 모멘트의 방향이 반대가 되므로, 만일 최종 사용 상태에 대비하여 지점부 거더(110)의 하연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지점부 거더(110)의 상면으로 긴장력을 도입하는 경우, 지점부 거더(110)의 인양시에 거더 하면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다. In particular,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direction of the moment acting on the
따라서, 이러한 변화의 폭이 큰 모멘트 변동에 대응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지점부 거더의 단면을 크게 하여 교량의 형고가 과도하게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a large moment variation of such a chang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point girders is largely increased so that the height of the bridge is excessively increased.
또한, 이러한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100)은 장지간이 될수록 바닥판, 포장 등에 의한 고정 하중과 활하중에 의한 영향이 커지게 되어 거더에 많은 긴장력 도입이 필요하게 되므로, 거더의 단면이 과도하게 커지게 되며 그에 따라 교량의 형고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splice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에 있어서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일련의 시공단계마다 변화되는 거더의 작용 단면력, 그리고 합성과 비합성에 따라 변화하는 단면 계수에 맞추어, 적절한 긴장력을 도입하여 거더가 최적의 단면을 갖도록 함으로써, 최소 형고를 가지면서도 최상의 구조적인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교량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shortcomings in the splice PSC girder bridge as described above, in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using the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the action cross-sectional force of the girder changed in a series of construction steps In addition, in order to provide the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at can have the best structural efficiency with the smallest height, by introducing the appropriate tension force and the girder to have the optimum cross section according to the cross-sectional coeffici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synthesis and non-synthesis. The purpose i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교각이 위치하는 지점부에 설치되는 지점부 거더와 중앙경간 거더 또는 측경간 거더를 연결하여 구성되는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 거더가 인양되는 과정에서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지점부 거더에는 상기 가설 긴장재가 배치되어 긴장력이 도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이 제공된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configured by connecting the point girders and the center span girders or the side span girders installed in the point where the pier is located, the point girders The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is provided in the point girder so that the temporary tension member is disposed so that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so that cracking does not occur in the lifting process.
위와 같은 본 발명의 교량에 있어서, 상기 가설 긴장재는, 거더와 그 상부의 바닥판이 합성된 후에는 바닥판에 압축력에 도입되도록 긴장력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교량에 있어서, 상기 지점부 거더의 상부에는 바닥판이 일체로 합성되어 있으나, 중앙경간 거더 및 측경간 거더의 상부에는 바닥판이 합성되어 있어 있지 아니한 상태에서 상기 거더들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2차 긴장재를 긴장하여 2차 긴장력이 도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temporary tension material is released from the tension force so as to be introduced into the compressive force after th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of the upper portion are synthesized. Further, in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ottom plate is integrally synthesiz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int girders, but the bottom plate is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girder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late is not synthesized on the upper part of the center span girders and the side span girders. It is desirable to introduce a secondary tension by straining the secondary tension material.
또한, 본 발명에서는 교각이 위치하는 지점부에 놓이는 지점부 거더와 중앙경간 거더 및 측경간 거더를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 및 그 시공방법으로서, 지점부 거더의 인양 과정 중 거더 하면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지점부 거더에 가설 긴장재를 배치하고 상기 가설 긴장재를 긴장하여 지점부 거더의 단면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단계; 상기 압축력이 도입된 지점부 거더를 인양하여 거더가 교각의 직상부에 놓이도록 거치하고 상기 지점부 거더의 상부에는 바닥판을 설치하여 일체로 합성하여 더 많은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도록 합성구조로 만드는 단계; 상기 지점부 거더에 배치된 1차 긴장재를 긴장하여, 바닥판 이 설치된 상태에서의 하중을 지지하는 1차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 상기 지점부 거더에 하면에 압축력을 가해주고 있던 가설 긴장재의 긴장을 해제하여 상부 바닥판에 압축력을 도입하는 단계; 및 상기 지점부 거더와 중앙경간 거더 및 측경간 거더를 각각 연결하고 중앙경간 및 측경간 거더가 비합성된 상태에서 2차 긴장재를 긴장하여 교축 방향으로 거더 전체에 2차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plice PSC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at connects the point girders, the center span girders and the side span girders placed on the point where the piers are locat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girders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point girders Arranging a temporary tension member in the point girders so as not to occur, and tensioning the temporary tension member to introduce a compressive force to the cross section of the point girders; Lifting the point girders into which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s mounted so that the girder is placed directly on the top of the piers, and a bottom plate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point girders to synthesize the unit and introduce a more tension force into a composite structure. step; Tensioning the primary tension member disposed in the point girders to introduce a primary tension force supporting the load in a state where the bottom plate is installed; Releasing the tension of the temporary tension material that has applied the compressive force to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and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to the upper bottom plate; And connecting the point girders, the center span girders, and the side span girders, respectively, and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n a state in which the center span and the side span girders are unsynthesized, and applying a second tension force to the entire girder in the throttle direction. There is provided a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SC girder bridge.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 및 시공방법에서는 각 시공단계에서 적절한 긴장력의 도입과 해제를 통하여 단면력을 조절하게 되므로, 종래의 경우처럼 시공 중 모멘트 변동폭에 적절하게 설계하기 위하여 거더의 단면을 과도하게 키울 필요가 없어진다. 또한 구조물의 위치에 따라 바닥판에 압축력이 도입되면, 유리한 부분인 지점부에는 합성상태에서 긴장력을 도입하고, 그렇지 않은 측경간 및 중앙경간 중앙부는 비합성 상태에서 긴장력을 도입함으로써, 교량의 형고가 과도하게 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고 구조적 효율성을 추구할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즉, 최소 형고를 가지면서도 최상의 구조적인 효율성을 가질 수 있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In the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below, the cross-sectional force is adjusted by introducing and releasing an appropriate tension force at each construction stage, so that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 is excessively designed to properly design the moment variation during construction as in the conventional case. There is no need to grow. In addition, when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to the bottom plate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structure, the tension portion is introduced to the point portion, which is an advantageous part, while the tension force is introduced in the non-synthetic state of the side span and the center span, and the cross section of the bridge is excessiv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arge increase and to achieve structural efficiency.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splice PSC girder bridge with the minimum structural height and the highest structural efficiency.
아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splice PSC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제1단계로서 스플라이스 PSC 거더 중 지점부 거더(110)에 인양 과정 중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압축력을 도입하는 가설 긴장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3a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순화된 측면도이고, 도 3b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3c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에 작용하는 단면력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hypothesis tension step of introducing a compressive force to promote stability during a lifting process to the
도 3c에 도시된 것처럼, 지점부 거더(110)를 제작하여 인양할 때에는 지점부 거더(110)의 상연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고 지점부 거더(110)의 하연에는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단계로서 지점부 거더(110)에 가설 긴장재(10)를 배치하여 긴장하여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에 압축력을 도입함으로써, 지점부 거더(110)를 인양할 때 지점부 거더(110)의 하연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도 록 하거나 또는 그 인장력의 크기를 줄여 콘크리트의 허용 인장력 이내가 되도록 한다. 따라서, 지점부 거더(110)의 인양 과정 중에 인장력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As illustrated in FIG. 3C, when the
상기 가설 긴장재(10)로는 강봉 또는 강선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것처럼 상기 가설 긴장재(10)는 추후 그 긴장 상태를 해제하게 된다. 후술하겠지만, 이와 같이 가설 긴장재(10)의 긴장 상태가 해제되면, 거더와 합성되는 바닥판에 압축력이 도입되므로 영구구조물에 구조적으로 유리하게 작용된다. Steel rod or steel wire, etc. may be used as the
도 4a 및 도 4b에는 후속하는 제2단계를 보여주는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4a는 지점부 거더(110)가 교각(101) 위에 놓인 상태에서의 단순화된 측면도이고, 도 4b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에 작용하는 단면력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4A and 4B show a subsequent second stage, in which FIG. 4A is a simplified side view with the
지점부 거더(110)에 가설 긴장재에 의하여 긴장력을 가한 상태로 인양하여 도 4a에 도시된 것처럼 지점부 거더(110)가 교각(101)의 직상부에 놓이도록 거치하고 상기 지점부 거더(110)의 상부에는 바닥판(20)을 설치한다. 복수개의 지점부 거더(110)를 횡방향으로 나란하게 거치하는 경우, 지점부에서 가로보를 설치한다. 도 4a에서 부재번호 102는 지점부 거더(110)의 설치를 위한 가설 지지 설비(102)이다. 이와 같이, 교각(101) 위에 지점부 거더(110)를 설치하고 그 상부에 바닥판(20)을 설치하게 되면, 상기 제1단계의 단면력 상태에서, 바닥판에 의해 가해지는 하중으로 인한 단면력이 작용하게 된다. 도 4b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판의 하중으로 인한 단면력은 지점부 거더(110)의 상연에서 인장력으로 그리고 지점부 거 더(110)의 하연에서는 압축력으로 나타나게 된다. 결과적으로 지점부 거더(110)의 상단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감소하게 되고 지점부 거더(110)의 하단에 작용하는 압축력은 증가하게 된다. The
상기한 제2단계에 후속하여 제3단계로서 거더의 자중과 바닥판의 자중 등의 하중에 대해 지지하도록, 지점부 거더(110)에 배치된 1차 긴장재를 긴장하여 1차 긴장력을 부여한다. 도 5a 내지 도 5c에는 제3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5a는 지점부 거더(110)에 1차 긴장재의 긴장에 의한 1차 긴장력을 부여한 상태를 보여주는 단순화된 측면도이고, 도 5b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며, 도 5c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에 작용하는 단면력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Subsequently to the second step, the primary tension member disposed on the
바닥판(20)과 지점부 거더(110)가 일체로 합성된 상태에서 도 5a에 화살표로 도시된 것처럼 1차 긴장력을 부여하게 되면, 도 5c에 도시된 것처럼, 1차 긴장력에 의하여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과 바닥판(20)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부모멘트 구간에서 바닥판(20)에 압축력이 도입되므로 바닥판(2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어 지점부에서 교량의 형고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 When the
도 6a 및 도 6b에는 제4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는데, 도 6a는 지점부 거더(110)에서 가설 긴장재(10)의 긴장을 해제한 상태의 단순화된 측면도이고, 도 6b는 지점부 거더(110)의 단면에 작용하는 단면력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바닥판(20)과 지점부 거더(110)가 합성된 상태 에서, 제4단계로 진행하여 지점부 거더(110)에 긴장력을 가해주고 있던 가설 긴장재(10)의 긴장을 해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가설 긴장재(10)의 긴장을 해제하게 되면, 가설 긴장재(10)의 긴장에 의한 압축력이 해제되면서 바닥판에는 가설 긴장재(10)의 긴장해제에 따른 모멘트 효과로 인하여 1차 긴장재에 의한 압축력 이외의 추가적인 압축력이 도입되게 되어 지점부 바닥판의 균열을 억제하는데 매우 유리하게 된다. Figures 6a and 6b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fourth step, Figure 6a is a simplified side view of the tension release of the
후속하여 제5단계로서 지점부 거더(110)의 양측에 중앙경간 거더(120) 및 측경간 거더(130)를 각각 연결하고 연속화된 2차 긴장재(11)를 긴장한다. 3경간 이상의 교량에서는 상기 지점부 거더(110)의 양측 모두에 중앙경간 거더(120)가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는 일 실시예로서 3경간 연속 교량의 제5단계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거더가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연속화된 2차 긴장재(11)를 긴장하여 교축 방향으로 거더 전체에 2차 긴장력이 가해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지점부 거더(110)의 상부에는 바닥판(20)이 일체로 합성되어 있으나, 중앙경간 거더(120) 및 측경간 거더(130)의 상부에는 아직 바닥판이 합성되어 있지 않다. 이와 같이, 중앙경간 거더(120) 및 측경간 거더(130)의 상부에 바닥판이 합성되어 있지 아니한 비합성 상태에서 2차 긴장재(11)를 긴장하여 2차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므로, 압축력 도입이 불필요한 바닥판에는 긴장력이 도입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긴장력 도입 효율이 좋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Subsequently, as a fifth step, the
제6단계에서는 2차 긴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중앙경간 거더(120) 및 측경간 거더(130)의 상부에 바닥판을 일체로 합성한 후 포장, 도로 시설물 설치 등의 마무 리 작업을 수행하여 교량을 완성한다. 도 8에는 지점부 거더(110) 뿐만 아니라 중앙경간 거더(120) 및 측경간 거더(130)의 상부에도 바닥판이 일체로 합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교량의 개략적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In the sixth step, the bridge is completed by synthesizing the bottom plate integrally with the upper part of the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지점부 거더(110)에는 가설 긴장재(10)의 정착을 위한 정착단부 및 정착홀이 존재하는데, 가설 긴장재(10)를 제거한 후에는, 상기 정착단부 및 정착홀을 이용하여 추가 긴장재를 더 배치할 수도 있다. 즉, 교량의 공용 중에 구조물의 열화 및 추가 하중의 작용 등과 같이, 지점부 거더(110)에 추가적인 긴장력 도입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정착단부 및 정착홀을 이용하여 추가 긴장재를 배치함으로써, 이와 같은 추가적인 긴장력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교량의 유지관리를 매우 손쉽고 경제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fixing end and a fixing hole for fixing the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PSC 거더 교량과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와 모멘트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chematic side and moment diagram of a conventional general PSC girder bridge and splice PSC girder bridge.
도 2는 스플라이스 PSC 거더 교량의 각 시공단계 및 모멘트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2 is a view showing each construction step and moment diagram of the splice PSC girder bridge.
도 3a 내지 도 3c는 각각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스플라이스 PSC 거더로 이루어진 지점부 거더에 압축력을 도입하기 위하여 1차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3A to 3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a step of introducing a primary tension force to introduce a compressive force to the point girders made of splice PSC girders, respectively,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도 3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지점부 거더를 교각에 설치하고 그 상부에 바닥판을 합성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4A and 4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ep of installing the point girders on the piers and synthesizing the bottom plate on the top thereof, following the step shown in FIG. 3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5a 내지 도 5c는 각각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도 4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지점부 거더에 1차 긴장력을 도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5A to 5C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ep of introducing the primary tension force to the point girders, respectively, following the step shown in FIG. 4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 및 도 6b는 각각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도 5a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지점부 거더에 가설 긴장재에 의해 가해지던 압축력을 해제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6A and 6B are diagrams for explaining the step of releasing the compressive force applied by the temporary tension member to the point girders subsequent to the step shown in Fig. 5a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respectively.
도 7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 의하여 시공된 교량의 일 실시예로서 3경간 연속 교량의 도 6a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한 상태에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FIG. 7 is a schematic side view in a state following the step shown in FIG. 6A of a three span continuous bridge as one embodiment of a bridge constructed by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8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에서 도 7에 도시된 단계에 후속하여, 지점부 거더뿐만 아니라 중앙경간 거더 및 측경간 거더의 상부에도 바닥판이 일체로 합성된 상태를 보여주는 교량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FIG. 8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bridge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bottom plate is integrally synthesized not only at the point girders but also at the top of the center span girders and the side span girders following the step shown in FIG. 7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on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가설 긴장재 11 : 2차 긴장재10: temporary tension material 11: secondary tension material
20 : 바닥판 110 : 지점부 거더20: bottom plate 110: branch girders
120 : 중앙경간 거더 130 : 측경간 거더120: center span girders 130: side span girders
Claims (6)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6372A KR100923409B1 (en) | 2007-07-30 | 2007-07-30 |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70076372A KR100923409B1 (en) | 2007-07-30 | 2007-07-30 |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491A KR20090012491A (en) | 2009-02-04 |
KR100923409B1 true KR100923409B1 (en) | 2009-10-27 |
Family
ID=406832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70076372A KR100923409B1 (en) | 2007-07-30 | 2007-07-30 |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923409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482B1 (en) | 2016-03-17 | 2016-10-12 | 주식회사 장헌산업 | Method for Constructing Long Span Continuous Bridge of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without Temporary Supports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8517B1 (en) * | 2016-05-10 | 2016-12-22 |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
KR102025048B1 (en) * | 2019-05-29 | 2019-09-24 | 김희정 | Precast concrete deck module |
KR102009134B1 (en) * | 2019-06-21 | 2019-08-08 | 김희정 |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Girder Bridge |
CN110258353A (en) * | 2019-07-31 | 2019-09-20 | 河南省交通规划设计研究院股份有限公司 | And of Varying Depth steel-concrete composite beams bridge construction technique with support |
KR102203826B1 (en) * | 2020-03-26 | 2021-01-15 | (주)인터컨스텍 | Prestressed Concrete Spliced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227878B1 (en) | 2020-11-16 | 2021-03-15 | (주) 효성 |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Bridge Using PSC Girder |
KR102692347B1 (en) * | 2024-05-20 | 2024-08-07 | (주) 대현이엔씨 | Steel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Release and Prestress Introduced by Reinforcement Component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883B1 (en) * | 2000-11-15 | 2003-11-21 | (주)동천개발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stressed concrete beam installed anchorage apparatus for temporary tendon |
KR20040098995A (en) * | 2003-05-16 | 2004-11-26 |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 Construction Method for PSC Girder Bridges |
KR100529519B1 (en) | 2005-03-16 | 2005-11-21 | 우경건설 주식회사 |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the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this which the anchorage and the fixed member possessed |
KR20060056008A (en) * | 2004-11-19 | 2006-05-24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
2007
- 2007-07-30 KR KR1020070076372A patent/KR100923409B1/en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06883B1 (en) * | 2000-11-15 | 2003-11-21 | (주)동천개발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stressed concrete beam installed anchorage apparatus for temporary tendon |
KR20040098995A (en) * | 2003-05-16 | 2004-11-26 | 주식회사 비엔지컨설턴트 | Construction Method for PSC Girder Bridges |
KR20060056008A (en) * | 2004-11-19 | 2006-05-24 | 한국시설안전기술공단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KR100529519B1 (en) | 2005-03-16 | 2005-11-21 | 우경건설 주식회사 |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of having used the prestressed concrete beam and this which the anchorage and the fixed member possessed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65482B1 (en) | 2016-03-17 | 2016-10-12 | 주식회사 장헌산업 | Method for Constructing Long Span Continuous Bridge of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s without Temporary Support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012491A (en) | 2009-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2340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 |
CN1322202C (en) | Method for anti-cracking in hogging moment area of steel-concrete combined beam | |
KR100974305B1 (en) | Continuous beam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girder for multi-span | |
KR100982974B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ulti-span continuous re-prestressed preflex composite bridge | |
KR10094673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Jangji Bridge using PS Girder | |
KR101208231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PSC beam | |
KR101688517B1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 |
KR100720996B1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bridge deck | |
KR20090095727A (en) | truss girder prestress introduction method | |
KR101165572B1 (en) | Middle span plate girde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2227878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Long Span Bridge Using PSC Girder | |
KR100456471B1 (en) |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and Metod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bridge using of prestressed concret beam having it | |
KR101067717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20050095049A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sc girder | |
KR20120054832A (en) | Fcm construction method using i-girder | |
KR100944005B1 (en) | How to introduce prestressing to steel girders and steel girders made by them | |
KR10061653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
KR100474640B1 (en) | Method for protecting the loss of prestress in prestressed beam by temporary load | |
KR10072473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using anchorage with adjustable tension | |
KR20020067078A (en) | The method of preflex composite beam made by using the hunch concrete represtressing the lower casing concrete | |
KR100503855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apply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 |
KR100500382B1 (en) | Construction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onstruction continuous of precast girder | |
KR101331963B1 (en) | Prestress concrete girder capable of applying 3 steps tensions and installing method thereof | |
KR100720997B1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cast-in-place concrete bridge deck | |
KR100960091B1 (en) |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tressed steel girder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7073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9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910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910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21015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10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0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10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016 Year of fee payment: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10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12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016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10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07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