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16533B1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Google Patents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616533B1 KR100616533B1 KR1020040095222A KR20040095222A KR100616533B1 KR 100616533 B1 KR100616533 B1 KR 100616533B1 KR 1020040095222 A KR1020040095222 A KR 1020040095222A KR 20040095222 A KR20040095222 A KR 20040095222A KR 100616533 B1 KR100616533 B1 KR 10061653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bottom plate
- bridge
- notch
- constructing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513 prestress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5 sag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2차 긴장재가 고정되는 정착구가 수용되는 노치부를 거더 상단부에 형성하여 단속교 또는 연속교을 용이하게 2차 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는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을 제공함에 있다. 이는 복수의 1차 긴장재(11)가 삽입되었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양단부 상측에 2차 긴장재(12)가 고정되는 정착구(13)가 수용되는 노치부(14)가 형성되어진 거더(10)를 제작하는 단계; 상기 거더(10)를 교각(20)위에 거치하는 단계; 상기 거더(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15a)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15b)이 형성된 크로스빔(15)을 상기 거더(10)에 설치하는 단계; 상기 정착구(13)에 2차 긴장재(1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 상기 노치부(14)를 제외한 상기 거더(10) 위에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 상기 노치부(14)의 정착구(13)를 통하여 설치된 2차 긴장재(12)를 긴장하는 단계; 및 상기 노치부를 포함한 바닥판(40)을 콘크리트 등으로 매립하여 마무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복수의 1차 긴장재(11)가 삽입되었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2경간 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간의 최외측 단부 상측에 2차 긴장재(12)가 고정되는 정착구(13)가 수용되는 노치부(14)가 형성되어진 거더(10)를 제작하는 단계(S10); 상기 거더(10)를 복수개 교각(20)위에 거치하는 단계(S20); 상기 거더(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15a)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15b)이 형성된 크로스 빔(15)을 각 거더(10)에 설치하는 단계(S30); 상기 정착구(13)에 2차 긴장재(12)를 전경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삽입 배치하는 단계(S40); 상기 거더(1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S50); 상기 노치부(14)를 제외한 상기 거더(10) 위에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S60); 상기 노치부(14)의 정착구(13)를 통하여 설치된 2차 긴장재(12)를 긴장하는 단계(S70); 및 상기 노치부(14)를 포함한 바닥판(40)을 콘크리트 등으로 마무리 하는 단계(S80); 를 포함한 것이다.
또한, 상기의 시공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인 것이다.
피에스씨, 거더교, 노치부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S girder bridge and a bridg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an object thereof is to form a notch portion at an upper end of a girder to accommodate a fixing device to which a secondary tension member is fixed, so that the secondary bridge or the continuous bridge can be easily secondary tensioned. In order to provide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PSC girder bridge, and to provide a bridge manufactured by the method This is made of a plurality of primary tension member 11 is inserted or can be inserted, the girders 10 is formed with a notch portion 14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unit 13 is fixed to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2 on the upper end of both ends (10) Producing a; Mounting the girder (10) on the piers (20); Installing a crossbeam (15) in the girder (10) having a post-maintenance fixing unit (15a) and a hole (15b) through which steel wires pass through to connect the girder (10) laterally; Inserting and fixing a secondary tension member (12) in the anchorage (13); Constructing a bottom plate 40 on the girder 10 except for the notch 14;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2 installed through the fixing unit 13 of the notch 14; And finishing the bottom plate 40 including the notch part by embedding it with concrete or the like.
In addition, a plurality of primary tension members (11) is inserted or made to be inserted, disposed in two or more spans, the fixing fixture 13 is fixed to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2 is fixed above the outermost end of the span. Manufacturing a girder 10 in which the notched portion 14 is formed (S10); Mounting the girder (10) on a plurality of piers (20) (S20); Installing a cross beam (15) formed in each girder (10) having a post-maintenance fixing unit (15a) and a hole (15b) through which steel wires pass to connect the girder (10) in the lateral direction (S30); Continuously insert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2 into the anchorage 13 over the foreground (S40); Connecting each of the girder 10 (S50); Constructing a bottom plate 40 on the girder 10 except for the notch 14 (S60);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2 installed through the fixing hole 13 of the notch portion 14 (S70); And finishing the bottom plate 40 including the notch 14, such as concrete (S80); It will include.
In addition, it is a PS C continuous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the above construction method.
CS, girder bridge, notch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단순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거더를 나타낸 정면도.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S simple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P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거더의 요부 사시도.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P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1의 피에스씨 거더를 교각에 거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FIG. 4 is a view showing the PS girder of FIG. 1 mounted on a pier; FIG.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거더에 크로스 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installing a cross beam in the girder in the state of FIG.
도 6는 도 5의 상태에서 2차 긴장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of fixing by inserting the secondary tension material in the state of FIG.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 노치부를 제외한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of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except the notch in the state of FIG.
도 8은 도 6의 상태에서 노치부를 제외한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의 다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8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except the notch in the state of FIG.
도 9는 도 8의 횡단면도.9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8.
도 10은 도 6의 상태에서 노치부를 제외한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의 또 다 른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0 is a view for explaining another example of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except the notch in the state of FIG.
도 11은 도 10의 횡단면도.1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0.
도 12는 도 7 내지 도 11 상태에서 노치부의 정착구를 통해 2차 긴장재를 긴장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of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aterial through the fixing unit of the notch in the state of FIGS.
도 13은 도 8 상태에서 노치부를 포함한 바닥판을 콘크리트 등으로 매립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inishing by embedding a bottom plate including notches in concrete in FIG. 8; FIG.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의 지점부에 형성된 크로스 빔에 장착구를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요부사시도.1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mounting hole is installed in a cross beam formed at a point portion of a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의 중앙부에 형성된 크로스 빔에 홀을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Figure 15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hole is formed in the cross beam formed in the center portion of th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S continuou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
10: 거더 11: 1차 긴장재10: Girder 11: Primary Tension
12: 2차 긴장재 13: 정착구12: secondary tension material 13: anchorage
14: 노치부 15: 크로스 빔14: notch 15: cross beam
20: 교각 30: 교좌장치20: bridge 30: bridge device
40: 바닥판40: bottom plate
본 발명은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2차 긴장재가 고정되는 정착구가 수용되는 노치부를 거더 상단부에 형성하여 단속교 또는 연속교을 용이하게 2차 긴장할 수 있고, 장시간 경과하여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도록 크로스 빔에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 설치와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을 형성하도록 하는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S girder bridge and a bridge manufactured by the method, and more particularly, to form a notch portion in which an anchorage to which a secondary tension member is fixed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a girder to easily tension the severed bridge or a continuous bridg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SC gird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and a bridge fabricated by the method for installing post-maintenance anchorages in a cross beam and forming a hole through which steel wires pass to reinforce an aging bridge after a long time.
일반적으로 교량은 여러종류가 있으며, 그 중에서 거더교는 교각 교각 사이에 거더를 길이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거더의 상면에 바닥판(슬래브 이라고도 함)을 설치하고, 상기 바닥판에 콘크리트 등을 타설하게 된다.In general, there are several types of bridges, among which girder bridges are instal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tween the bridge piers, a bottom plate (also called slab)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girder, and concrete is placed on the bottom plate. do.
또한, 교각과 교각 사이를 경간 또는 지간(span)이라고 하는데 각 경간의 주형이 분리된 교량을 단순교라 하고, 경간의 주형이 연속된 것을 연속교라 하며, 연속된 경간수에 따라 3경간, 4경간, 5경간 연속교라 부른다.In addition, bridges and bridges are called spans or spans. Bridges in which the molds of each span are separated are called simple bridges, and continuous bridges are called continuous bridges. Three spans and four spans depending on the number of continuous spans. It is called 5 span continuous bridge.
상기와 같은 거더교를 시공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종래의 예로서는, 공개특허 2001-0000430의 "노출된 정착장치 및 이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에서 찾아 볼수 있다.Various methods for constructing the girder bridge as described above are known, and as a conventional example thereof, it can be found in the "Construction method of a continuous bridge using an exposed fixing device and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having the same" of Patent Publication No. 2001-0000430.
상기에서 개시된 내용을 살펴보면, "거더마다 설치되는 적어도 한 조의 단순강선과, 다수개의 거더를 통과하는 적어도 한 조의 연속강선 및/또는 거더와 거더를 연결하는 한 조 이상의 연결강선을 포함하고 노출된 정착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에 있어서, 거더 제작후 단순 강 선을 긴장시키고, 거더를 교각에 거치시킨 후, 연결부의 쉬스 연결 및/또는 연속, 연결 강선을 배치하고, 연결부와 슬래브를 동시 타설하고, 연속 및/또는 연결강선을 긴장하여 거더에 긴장력을 가하는 단계; 및 상기 거더에 활하중이 작용하고, 사용중 거더 노후화에 따라 과도한 처짐 및 균열 발생시 연속, 연결 강선을 재긴장하여 처짐이나 균열을 보완하고, 거더의 내하력을 증대시켜 주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된 정착 장치를 갖는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를 이용한 연속교의 건설방법"이 공개되어 있다.Looking at the above disclosure, "an exposed settling comprising at least one pair of simple steel wires installed per girder, at least one continuous steel wire passing through a plurality of girders and / or one or more connecting steel wires connecting girder and girder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a continuous bridge using a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a device, after the girder is fabricated, the simple steel wire is tensioned, the girders are mounted on the piers, and the sheath connection and / or the continuous, connecting steel wire are arranged, Placing and slab simultaneously, and applying tension to the girder by tensioning the continuous and / or connecting wires; and the live load acting on the girder, and re-tensioning the continuous, connecting wires when excessive sagging and cracking occur due to aging of the girder during use. Compensating for sag and cracks, and increasing the load capacity of the girder; Continuous tenets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with exposed fixing device "may be made public.
상기에서 노출된 정착장치는 1차 긴장된 다수의 거더를 교각에 거치시키고, 2차 긴장용 연속, 연결강선을 배치한 후 연결부콘크리트와 바닥판을 동시에 타설하고 양생된 후에 2차 긴장을 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연결부와 바닥판을 동시에 타설하여 공사기간을 줄일수 있고, 교량의 장시간에 걸쳐 노후화되거나 설계하중을 초과하는 대형 차량에 의한 과도한 처짐, 균열 발생시 및 설계 내하력의 증대가 필요한 경우에도 대대적인 보수 보강 공정 없이도 거더에 내장된 비부착 강선을 노출된 정착장치에서 유압 긴장기를 이용하여 재긴장, 또는 추가긴장을 함으로써 매우 작은 비용으로 보수 보강을 할 수 있다.The exposed fixing device mounts a plurality of first-tensioned girders on the piers, arranges the secondary tension continuous and connecting wires, and then casts the connecting concrete and the bottom plate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secondary tension can be made after curing. As one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nstruction period by placing the joints and the bottom plate at the same time, and even in case of excessive deflection, crack occurrence and increase in the design load capacity by the large vehicles that are aged over the bridge or exceeding the design load. Even without the repair and reinforcement process, the unattached steel wire built into the girder can be repaired and reinforced at a very low cost by retensioning or additional tensioning using a hydraulic tensioner in the exposed fixing device.
그러나, 상기와 같은 2차 긴장용 연속, 연결강선을 긴장하는 정착구가 외부에 노출되어 긴장이 용이할 수 있으나, 상기의 2차 긴장용 연속, 연결강선은 교량의 시공 보다는 노후화된 교량의 보수용으로 많이 사용되고, 거더의 단부에서 긴장하는 것이 아닌 거더의 양측면에서 긴장하기 때문에 이미 실시된 바다판으로 인하여 시공성이 떨어지고 풀질관리가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secondary tension continuous, the anchorage tensioning the connecting wire is exposed to the outside can be easily tensioned, but the secondary tension continuous, the connecting wire is for the repair of the aging bridge rath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As it is used a lot, the tension on both sides of the girder rather than tension at the end of the girder due to the already carried out the sea plate has a problem of poor workability and easy to manag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2차 긴장재가 고정되는 정착구가 수용되는 노치부를 거더 상단부에 형성하여 단속교 또는 연속교을 용이하게 2차 긴장할 수 있도록 하는 는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을 제공함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its purpose is to form a notch por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to accommodate the anchorage to which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s fixed to facilitate the secondary tension of the intermittent bridge or continuous bridge easily It is to provid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girder bridge and the bridge manufactured by this metho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장시간 경과하여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도록 크로스빔에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 설치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을 형성하도록 하는 피에스씨 거더교 시공방법 및 이 방법으로 제작된 교량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st-maintenance fixing fixture in the cross beam to form a hole through which the steel wire passes through to install the post-maintenance fixture to reinforce the old bridge after a long time, and to provide a bridge manufactured by the method Is in.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복수의 1차 긴장재가 삽입되었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양단부 상측에 2차 긴장재가 고정되는 정착구가 수용되는 노치부가 형성되어진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를 교각위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크로스빔을 상기 거더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정착구에 2차 긴장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노치부를 제외한 상기 거더 위에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노치부의 정착구를 통하여 설치된 2차 긴장재를 긴장하는 단계와, 상기 노치부를 포함한 바닥판을 콘크리트 등으로 매립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is object is made to be inserted or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primary tension material, the step of manufacturing a girder is formed in the notch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fixing fixture is fixed to the secondary tension material on both ends, and the girder Mounting a cross beam on the pier, and installing a cross beam having a hole through which a post-maintenance anchorage and a steel wire pass through the girder to connect the girder laterally, and inserting a secondary tension member into the anchorage. Fixing the step,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on the girder except for the notch part,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nstalled through the fixing part of the notch part, and finishing the bottom plate including the notch part by embedding it with concrete or the like. It includes the steps.
또한, 상기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을 현장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is to place and curing the bottom plate.
또한, 상기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을 프리캐스트로 시공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by precast.
또한, 상기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을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cast bottom plate installed in the bottom plate is to cast and curing concrete on the top surface of the precast floor plate.
삭제delete
또한, 복수의 1차 긴장재가 삽입되었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2경간 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간의 최외측 단부 상측에 2차 긴장재가 고정되는 정착구가 수용되는 노치부가 형성되어진 거더를 제작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를 복수개 교각위에 거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이 형성된 크로스 빔을 각 거더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정착구에 2차 긴장재를 전경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삽입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거더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노치부를 제외한 상기 거더 위에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와, 상기 노치부의 정착구를 통하여 설치된 2차 긴장재를 긴장하는 단계와, 상기 노치부를 포함한 바닥판을 콘크리트 등으로 마무리 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primary tension members are inserted or inserted, and are arranged in more than two spans, the girder for manufacturing a girder formed in the notch portion is accommodated in the upper part of the outermost end of the span fixed to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s fixed. And mounting the girder on a plurality of piers on the bridge, and installing a cross beam having a hole through which a post-maintenance anchorage and a steel wire pass through each girder to connect the girder laterally, Continuously insert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over the foreground, connecting each of the girders, constructing a bottom plate on the girder except the notch portion, and install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through the fixing hole of the notch portion. Tensioning and finishing the bottom plate including the notch with concrete or the like. The.
또한, 상기의 시공방법으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인 것이다.In addition, it is a PS C continuous girder bridge, characterized in that produced by the above construction method.
또한, 상기 거더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 후 2차 긴장재를 일부 긴장하여 거더를 구조적으로 연속화하기 위한 보조 긴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ension step for structurally continuizing the girder by partially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after each connecting the girder.
또한, 상기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을 현장 타설 및 양생하 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is to place and curing the floor plate.
또한, 상기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을 프리캐스트로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struction of the bottom plate by precast.
또한, 상기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을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In addition,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in the state in which the precast bottom plate is installed in the bottom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ite is cast and cured concre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ecast bottom pla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노치부를 포함한 바닥판을 콘크리트 등으로 마무리 하는 단계후 익스팬션 조인트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다.In addition, after the step of finishing the bottom plate including the notch with concrete or the like will further comprise an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step.
또한, 장시간 사용하여 노후된 교량에서 상기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에 강선재를 삽입하여 인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teel wire rod is inserted into the hole through which the post-maintenance fixing fixture and the steel wire pass through the old bridge for a long time to be tensioned.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단순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거더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 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거더의 요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부호 10은 거더, 20은 교각, 30은 교좌장치, 40은 바닥판을 나타낸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S simple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ront view showing a PS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of Figure 1, Figure 3 It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main part of PS girder which concerns on this invention. Hereinafter,
도시한 바와 같이 피에스씨 단순 거더교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거더(10)를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게 되는데, 상기 거더(10)는 복수의 1차 긴장재(11)가 삽입되었 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양단부 상측에 2차 긴장재(12)가 고정되는 정착구(13)가 수용되는 노치부(14)가 형성되도록 제작하게 된다.In order to construct the PS simple girder bridge as shown, the
또한, 상기 1차 긴장재는 거더(10)의 제작시에 긴장하여 거더(10)의 압축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rimary tension member is preferably tensioned at the time of manufacture of the
도 4는 도 1의 피에스씨 거더를 교각에 거치시키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면상에는 한쌍의 거더(10)를 교각(20)에 거치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교량의 폭에 따라 복수개의 거더(10)를 거치시킬 수 있는 것이다.FIG. 4 is a view showing the PS girder of FIG. 1 mounted on a pier.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pair of
도 5는 도 4의 상태에서 거더에 크로스 빔을 설치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상기 크로스 빔(15)은 한쌍의 거더(10) 사이를 현장에서 철근 등을 배근하여 현장에서 타설하게 된다.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installing a cross beam in a girder in the state of FIG. 4, wherein the
또한, 상기 크로스 빔(15)은 거더(10)의 중앙부와 양단부에 형성된 지점부에 형성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또한, 도 1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10)의 지점부에 형성된 크로스 빔(15)에 장착구(15a)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5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거더(10)의 중앙부에 형성된 크로스 빔에 홀(15b)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내며, 장시간 사용되어 노후화된 교량을 보수할 때 상기 장착구(15a)와 홀(15b)에는 강선재를 삽입하여 인장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FIG. 14 shows a state where the mounting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2차 긴장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노치부(14)에 설치된 정착구(13)에 2차 긴장재(12)를 삽입하여 고정하게 된다.FIG. 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of inserting and fix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n the state of FIG. 5, and inserting and fixing the
또한, 상기 거더(10)에 크로스 빔(15)을 설치하는 단계와 2차 긴장재(12)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는 순서에 상관없이 시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거더(10)에 크로스 빔(15)을 설치하는 단계를 먼저 시행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tep of installing the
도 7 내지 도 11은 도 6의 상태에서 노치부를 제외한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7 to 11 are views showing various embodiments of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bottom plate except the notch in the state of FIG.
즉, 도 7은 상기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40a)을 현장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고, 도 8 및 도 9는 상기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40b)을 프리캐스트로 시공하는 것이며, 도 8은 상기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상기 바닥판(40c)을 프리캐스트 바닥판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 및 양생하는 것이다.That is, FIG. 7 is to place and cure the
도 12는 도 7 내지 도 11 상태에서 노치부(14)의 정착구(13)를 통해 2차 긴장재를 긴장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에서 노치부(14)를 제외하고, 바닥판(40)을 시공함으로서, 노치부(14)는 개방된 상태이며, 이 노치부(14)에 수용되어진 정착구(13)에 고정되어진 2차 긴장재(12)를 거더(10)의 양측에서 긴장하게 된다.(도면상 화살표 참고)FIG. 12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step of tension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through the fixing
도 13은 도 7 상태에서 노치부를 포함한 바닥판을 콘크리트 등으로 매립하여 마무리 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노치부(14)에 고정된 정착구(13)를 통해 2차 긴장재(12)를 양측에서 긴장한 후에는 노치부(14)를 포함한 바닥판(40)을 콘크리트 등으로 매립하여 바닥판(40)을 마무리 하게 되는 것이다.FIG. 13 is a view for explaining a step of finishing by filling a bottom plate including notches in concrete in FIG. 7 with concrete, etc., both sides of the
상기에서는 피에스씨 단순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살펴보았으며, 이하에서는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In the above,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S simple girder bridge has been examined,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S continuous girder bridg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의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6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CS continuous girder bridg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는 복수의 1차 긴장재(11)가 삽입되었거나 삽입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고, 2경간 이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경간의 최외측 단부 상측에 2차 긴장재(12)가 고정되는 정착구(13)가 수용되는 노치부(14)가 형성되어진 거더(10)를 제작하는 단계(S10)와, 상기 거더(10)를 복수개 교각(20)위에 거치하는 단계(S20)와, 상기 거더(10)를 횡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한 크로스 빔(15)을 각 거더(10)에 설치하는 단계(S30)와, 상기 정착구(13)에 2차 긴장재(12)를 전경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삽입 배치하는 단계(S40)와, 상기 거더(1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S50)와, 상기 노치부(14)를 제외한 상기 거더(10) 위에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S60)와, 상기 노치부(14)의 정착구(13)를 통하여 설치된 2차 긴장재(12)를 긴장하는 단계(S70)와, 상기 노치부(14)를 포함한 바닥판(40)을 콘크리트 등으로 마무리 하는 단계(S80)를 포함한 것이다.As shown, the CS continuous girder bridge is formed so that a plurality of
또한, 상기의 시공 방법으로 제작된 피에스씨 연속교 거더교도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CS continuous bridge girder bridge produced by the above-mentioned construction method belongs to the right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상기 거더(10) 사이를 각각 연결하는 단계 후 2차 긴장재(12)를 일부 긴장하여 거더(10)를 구조적으로 연속화하기 위한 보조 긴장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n auxiliary tension step for structurally continuing the
즉, 2경간 사이에 설치된 거더(10)를 연속화 하기 위해 거더(10) 사이를 각각 연결한 후 2차 긴장재(12)을 일부 긴장하여 압축력을 향상시키게 된다.That is, after connecting each between the
또한, 상기 노치부(14)를 제외한 상기 거더(10) 위에 바닥판(40)을 시공하는 단계는 단순 거더교와 마찬가지로 상기 바닥판(40)을 현장 타설 및 양생할 수도 있고, 상기 바닥판(40)을 프리캐스트로 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바닥판(40)을 프리캐스트 바닥판(40)을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프리캐스트 바닥판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현장 타설 및 양생할 수 도 있다.In addition, the step of constructing the
또한, 상기 거더(10)의 크로스 빔(15)에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15a) 설치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15b)을 형성하도록 하여 장시간 사용하여 노후된 교량에서 상기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15a) 설치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15b)에 강선재를 삽입하여 인장하도록 하여 노후된 교량을 보수하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또한, 본 발명의 피에스씨 연속 거더교는 거더(10)와 거더(10) 사이의 연결부위에 노치부(14)를 포함한 바닥판(40)을 콘크리트 등으로 마무리 하는 단계 후 익스팬션 조인트 설치 단계(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S continuous girder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expansion joint installation step after the step of finishing the
상기 익스팬션 조인트는 주지의 기술임으로 여기에서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expansion joint is a well-known techniqu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한 것이나,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에게는 다양한 변형 및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이 이해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2차 긴장재가 고정되는 정착구가 수용되는 노치부를 거더 상단부에 형성하여 단속교 또는 연속교를 용이하게 2차 긴장할 수 있고, 장시간 경과하여 노후화된 교량을 보강하도록 크로스빔에 사후 유지 보수용 정착구 설치와 강선재가 통과하는 홀을 형성하도록 하여 시공성과 사후 보수가 용이하게 이루어 질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detail above can form a notch portion in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to accommodate the anchorage to which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s fixed, so that the intermittent bridge or the continuous bridge can be easily secondary tensioned and cross beam to reinforce the aged bridge after a long time. The installation and post-maintenance fixture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the steel wire can be formed to pass through the construction and the post-maintenance.
Claims (14)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5222A KR100616533B1 (en) | 2004-11-19 | 2004-11-19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40095222A KR100616533B1 (en) | 2004-11-19 | 2004-11-19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6008A KR20060056008A (en) | 2006-05-24 |
KR100616533B1 true KR100616533B1 (en) | 2006-08-29 |
Family
ID=37151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95222A KR100616533B1 (en) | 2004-11-19 | 2004-11-19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616533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739B1 (en) | 2007-08-28 | 2010-03-11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Jangji Bridge using PS Girder |
KR100991869B1 (en) | 2010-02-09 | 2010-11-04 | 추태헌 | Single and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23409B1 (en) * | 2007-07-30 | 2009-10-27 | (주)한맥기술 | Construction method of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with reinforcement structure considering section force according to construction stage |
KR100885663B1 (en) * | 2008-05-09 | 2009-02-26 | 주식회사 오케이컨설턴트 |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of PS composite girder using cross beam as fixing unit and its structure |
KR101682923B1 (en) * | 2016-06-15 | 2016-12-06 | 주식회사 노빌테크 | Manufacturing method of channel type prestressed girder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girder manufactured thereb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00430A (en) * | 2000-09-28 | 2001-01-05 | 한만엽 |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and Metod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bridge using of prestressed concret beam having it |
KR20010036486A (en) * | 1999-10-08 | 2001-05-07 | 박상일 |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
-
2004
- 2004-11-19 KR KR1020040095222A patent/KR10061653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36486A (en) * | 1999-10-08 | 2001-05-07 | 박상일 | Method for designing and fabricating multi-step tension prestressed girder |
KR20010000430A (en) * | 2000-09-28 | 2001-01-05 | 한만엽 |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and Metod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bridge using of prestressed concret beam having it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46739B1 (en) | 2007-08-28 | 2010-03-11 | 이엔이건설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Jangji Bridge using PS Girder |
KR100991869B1 (en) | 2010-02-09 | 2010-11-04 | 추태헌 | Single and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60056008A (en) | 2006-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91869B1 (en) | Single and continuous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 |
KR100349864B1 (en) | The Structural Continuity Method for Prestreseed Concrete Bridge of Composite I-Beam | |
KR20040098995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PSC Girder Bridges | |
KR100836079B1 (en) | Half precast slab unit girder structure and upp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20100025161A (en) | Girder bridge connected to abutment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0823448B1 (en) | Structure and Method of Continuous Construction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s with Improved Sheen | |
KR100704055B1 (en) | Steel casting continuous composite bridge with precast concrete deck and construction method | |
KR100720996B1 (en)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bridge deck | |
KR100785634B1 (en) | Continuous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Its Method | |
KR10061653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
KR100456471B1 (en) | Open-type steel wire holding device and Metod for construction of continuous bridge using of prestressed concret beam having it | |
KR101067717B1 (en) | Prestressed concrete girder structur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KR100547485B1 (en) | Multi-span continuum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using unit bridge girder fabricated to reduce surplus bending moment size through bridge continuity | |
KR100712622B1 (en) | Continuous Preflex Girder Structure Using Prestress in Parent Section Using Expanded Concret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060017949A (en) | Field prefabricated prestressing girder with reinforced load capacity due to increased eccentric distance and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724739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using anchorage with adjustable tension | |
JP2003138523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tension string girder bridge | |
KR101081502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S girder using end formwork integrally formed with fixing plate and Construction method of PS girder bridge using end formwork integrally formed with fixing plate | |
KR100582563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temporary bridge and bridge made by this method | |
KR20100137749A (en) | Slab Integral Precast Concrete Girder | |
KR100503855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by applying prestressed concrete girder | |
KR100500382B1 (en) | Construction method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construction continuous of precast girder | |
KR100406883B1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prestressed concrete beam installed anchorage apparatus for temporary tendon | |
JP2003064621A (en) | Hanging floor slab bridge and reinforcing method of hanging floor slab | |
KR100669860B1 (en) | Left and Right Asymmetric Pretensioned Precast Beam Girder for Bridge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0505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06051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0411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6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60818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6082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06082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0907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0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106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207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3060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406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630 Year of fee payment: 10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50630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027 Year of fee payment: 11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61027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7 Year of fee payment: 12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708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13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814 Year of fee payment: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814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82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809 Start annual number: 16 End annual number: 1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802 Start annual number: 17 End annual number: 1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808 Start annual number: 18 End annual number: 1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613 Start annual number: 19 End annual number: 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