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8517B1 -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 Google Patents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8517B1
KR101688517B1 KR1020160056758A KR20160056758A KR101688517B1 KR 101688517 B1 KR101688517 B1 KR 101688517B1 KR 1020160056758 A KR1020160056758 A KR 1020160056758A KR 20160056758 A KR20160056758 A KR 20160056758A KR 101688517 B1 KR101688517 B1 KR 101688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rder
main head
continuous
head girder
sp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태무
원태건
이현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드로코리아
Priority to KR102016005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8517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8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851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 E01D2101/285Composite prestressed concrete-metal

Abstract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and a tendon of a continuous point is disclosed. The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enables main head girders to be held to be spaced from each other by a pier which is a continuous point and efficiently applies a prestressed effect for a load action in accordance with a construction step to enable lateral span and central span plate girders to be connected to the held main head girder. Moreov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use a temporary facility such as a temporary vent to enable a continuous bridge to be rapidly constructed with economic efficiency.

Description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TECHNICAL FIELD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ridg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a head girder and a continuous point portion tension member,

본 발명은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연속지점부인 교각에 주두부 거더를 서로 이격 거치하고, 거치된 주두부 거더에 측경간 및 중앙경간 플레이트 거더를 연결 시공함에 있어 시공단계에 따른 하중작용에 있어 효율적으로 프리스트레스 도입효과를 가질 수 있으며 거더 시공에 있어 가시설을 이용하지 않아 경제적이고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and a continuous branch tie. More specifically, when the main head girder is separated from the pier at the continuous point and the sideways and central span plate girders are connected to the mounted main head girder, the effect of the prestress introduc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toe girder and continuous tie tension material which can be economically and quickly constructed without using the temporary construction in girder construction.

도 1a 내지 도 1c는 종래 “시공단계에 따른 단면력을 고려한 보강구조를 가진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대한민국 특허 제 10-0923409호)Figs. 1A to 1C are flowcharts showing a conventional method of constructing a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having a reinforcing structure in consideration of a sectional force according to a construction step (Korean Patent No. 10-0923409).

즉, 교각이 위치하는 지점부의 지점부 거더(11)와 중앙경간 거더(12) 또는 측경간 거더(13)를 연결하여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을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That is, a method for constructing a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by connecting a fulcrum portion girder 11 of a fulcrum where a bridge pier is located to a center span girder 12 or a sidewall girder 13,

도 1a와 같이 지점부 거더(11)에 가설 긴장재(10)를 배치하여 긴장함으로써 상기 지점부 거더(11)가 인양될 때 지점부거더(11)의 단면에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A, the temporary tension member 10 is disposed on the fulcrum girder 11 so that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end face of the fulcrum bottom girder 11 when the fulcrum girder 11 is lifted.

이로서 지점부 거더(11)를 인양할 때 하연에 인장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그 인장력의 크기를 줄여 콘크리트의 허용 인장력 이내가 되도록 하여 지점부 거더(11)의 인양 과정 중에 인장력으로 인한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When the fulcrum girder 11 is lifted, tensile force is not generated on the lower girder or the tensile force is reduced to be within the allowable tensile force of the concrete, so that cracks due to tensile force are generated during the lifting of the fulcrum girder 11 To prevent them from doing so.

다음으로는 도 1b와 같이, 상기 지점부 거더(11)를 교각(20)에 중앙부가 지지되도록 거치하게 된다. 이때, 양 단부 저면에는 지반과의 사이에 가설벤트(21)를 설치하여 지점부 거더(11)가 안정적으로 거치된 상태에서 상부에는 일체로 합성된 바닥판(30)을 시공함에 있어 시공하중을 지지하도록 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B, the fulcrum portion girder 11 is mounted on the pier 20 so that the center portion thereof is supported. At this time, when a bottom plate (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bottom part girder (11) in a state where the temporary part girder (11) is stably installed by providing a temporary vent (21) .

이로서 지점부 거더와 바닥판의 자중에 의하여 지점부 거더(11)의 상연에서 인장력으로 그리고 지점부 거더(11)의 하연에서는 압축력으로 나타나게 된다.In this case, due to the self-weight of the fulcrum girder and the bottom plate, it appears as tensile force at the upper end of the fulcrum girder 11 and compressive force at the lower end of the fulcrum girder 11. [

이에 도 1b와 같이, 바닥판(30)에 압축력이 도입되도록 상기 지점부 거더(11)에 배치된 1차 긴장재를 긴장함으로써, 1차긴장력이 지점부 거더(11)에 도입되도록 하게 된다.As shown in FIG. 1B, the primary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fulcrums 11 is introduced into the fulcrum portion girder 11 by tensing the primary torsional members disposed on the fulcrums 11 so that a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plate 30.

이로서 1차 긴장력에 의하여 지점부 거더(11)의 단면과 바닥판(30)에는 압축력이 작용하게 된다. 즉, 부모멘트 구간에서 바닥판(30)에 압축력이 도입되므로 바닥판(30)에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바닥판에 의한 지점부 거더의 단면이 커지기 때문에 큰 긴장력을 도입할 수 있어 지점부에서 교량의 형고를 축소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a compressive force acts on the end face of the fulcrum girder 11 and the bottom plate 30 by the primary tension force. That is, since the compressive force is introduced to the bottom plate 30 in the moment of the moment,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ottom plate 30 from being cracked, and a large tensional force can be introduced because the cross-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hape of the bridge at the focal point.

다음으로는 지점부 거더(11)의 상부에 바닥판(30)을 설치하여 일체로 합성되면 가설긴장재(10)에 의한 긴장력을 해제시키게 된다.Next, when the bottom plate 30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ulcrum girder 11 and integrated together, the tension caused by the temporary tension member 10 is released.

이에 가설 긴장재(10)의 긴장에 의한 압축력이 해제되면서 바닥판에는 가설 장재(10)의 긴장해제에 따른 모멘트 효과로 인하여 1차 긴장재에 의한 압축력 이외의 추가적인 압축력이 도입되게 되어 지점부 바닥판의 균열을 억제하는데 매우 유리하게 된다.As the compressive force due to the tension of the temporary tension member 10 is released, additional compressive force other than the compressive force due to the primary tension member is introduced into the bottom plate due to the moment effect due to the release of the tension of the temporary root member 10, It becomes very advantageous to suppress the cracks.

다음으로는 도 1c와 같이 상기 지점부 거더(11)와 중앙경간 거더(12) 또는 측경간 거더(13)가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거더들에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배치된 2차 긴장재(23)를 긴장하여 교축 방향으로 거더들 전체에 2차 긴장력을 가하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 1C, in the state where the fulcrum portion girder 11 and the center span girder 12 or the sidewall girder 1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disposed second tension member 23 continuously disposed on the girders And the second tension is applied to the entire girders in the direction of the throttle.

이때 중앙경간 거더(12) 및 측경간 거더(13의 상부에는 아직 바닥판이 합성되어 있지 않은 비합성 상태에서 2차 긴장재(23)를 긴장하여 2차 긴장력을 도입하게 되므로, 압축력 도입이 불필요한 바닥판(중앙경간, 측경간)에는 긴장력이 도입되지 않게 되며, 그에 따라 긴장력 도입 효율이 좋아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secondary tension is introduced by tensing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23 in the non-composite state where the bottom plate is not yet synthesiz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enter span girder 12 and the sidewall girder 13, The central span, and the sidewall spacing), there is an effect that the introduction efficiency of the tensional force is improved.

다음으로는 도 1c와 같이 2차 긴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중앙경간 거더(12) 및 측경간 거더(13)의 상부에 바닥판을 일체로 추가 합성한 후 포장, 도로 시설물 설치 등의 마무리 작업을 수행하여 교량을 완성한다.Next, as shown in FIG. 1C, a bottom plate is integrally synthesized with the secondary span of the central span girder 12 and the sidewall girder 13 in the state where the secondary tension is applied, and finishing work such as packing and installation of road facilities is performed Complete the bridge.

이로서 거더들의 합성, 비합성 상태의 긴장재 도입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 다경가 교량의 형고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지점부 거더 설치과정에서 가설벤트(21)를 설치함에 있어 현장여건에 따라서는 이러한 가설벤트(21) 설치가 어려운 경우에 지점부 거더 거치 자체가 어렵게 되어 적용에 한계가 있을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shape of the multi-span bridges 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introducing the composite material in the non-composite state of the girders. However, in installing the temporary vent 21, If it is difficult to install such a temporary vent 21, it may be difficult to mount the end portion girder, which may limit the application.

또한, 2차 긴장재를 교량의 전경간에 걸쳐 긴장함에 있어 거더와 바닥판의 합성 및 비합성 상태에 의한 단면력을 효과적으로 이용한다는 장점은 있으나 거더들의 종방향 일체화를 위해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한다는 것과 이로서 교량의 연장이 길어지게 되면 긴장재 사용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게 되고, 이에 따른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In addition, it is advantageous to utilize the sectional force due to the composite and non-composite state of th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when tilting the secondary tension material over the foreground of the bridge, but it is necessary to use it unavoidably for longitudinal integration of the girders, If the extension is prolonged, the use amount of the taut material is inevitably increased, and the quality control according to the taut material may not be easy.

도 1d는 교량 상부구조인 강거더(40)를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인 교량 하부구조로서 교각(20)에 강결시키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대한민국 특허 제 10-1072259)FIG. 1D shows an example in which a steel girder 40, which is a bridge overhead structure, is bridged to a bridge pier 20 as a bridge underlay structure that is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Korean Patent No. 10-1072259).

상기 강거더(40)는 교량 하부구조 상면에서 서로 종방향으로 연결된 상태로 연장 설치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 steel girder 40 is exten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bottom structure, and it is understood that it is composed of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이러한 강거더(40)는 엑스(X)자 형태의 강결부용 가로보(50)를 이용하여 횡방향으로 서로 구속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ese steel girders 40 are constrained to each other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using the cross beams 50 for the X-shaped strong steel joints.

이에 상기 교량 하부구조 상면 공간, 바닥판(30) 하부공간 및 강거더(40)의 연결단부 측면공간에는 강결부콘크리트(60)에 의해 강결부가 형성되도록 하여 결국 교량 하부구조(20)와 상부 강거더(40)를 일체화시켜 강결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steel bridge structure 20 is formed by the steel bridge concrete 60 in the upper space of the bridge substructure, the space below the bottom plate 30 and the side space of the connecting end portion of the steel girder 40, It can be seen that the steel girder 40 is unified and tightened.

이때 상기 강결부콘크리트(60)와 상부 강거더(40)의 일체화를 위해 일종의 전단연결재로써 관통홀이 형성된 유공강판 및 주철근(70)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this case, it can be seen that a perforated steel plate and a cast iron (70) having a through hole as a kind of shear connection material are used for integrating the steel joint concrete (60) and the upper steel girder (40).

결국 이러한 강거더나 PSC 거더는 교량 하부구조(20) 상면에서 부가적인 주철근, 유공강판 등을 이용하여 교량 하부구조(교각)와 거더가 콘크리트 타설에 의하여 합성시켜 강결시킬 수 있지만 거더와 교량 하부구조의 일체성 확보는 쉽지 않고, 특히 주두부 거더에 있어 적용은 달리 제시된 바가 없었다.As a result, such a steel girder or a PSC girder can be used to reinforce the bridge substructure (bridge) and the girder by using additional cast iron and steel plate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substructure (20) It is not easy to secure the integrity of the toe girder.

이에 본 발명은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에 있어서 교각에 캔틸레버 형태로 거치되는 주두부 거더 거치에 있어 달리 가설벤트가 필요 없이 안정적으로 거치되도록 하면서, 전 경간에 걸친 긴장재를 이용하지 않고서도 주두부 거더와 측경간, 중앙경간 거더를 서로 연속화 시킨 후, 바닥판을 일체로 타설 시공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ntilever-type main head girder which is mounted on a bridge pier in a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and a continuous tie tension member,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ottom girder, the side girder and the middle girder with each other continuously, and then the bottom plate can be integrally laid,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conomical and efficient technique for continuously providing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ain girder and a tension member. We will do it.

또한 종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어 연속화된 주두부 거더,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들의 연속지점부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되 거더들의 단면을 최적화 시켜 제작비용 및 긴장재 도입 효율을 극대화 시킬 수 있는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t is also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control the flexural moments occurring in successive points of the main head girder, side girder and mid span girder connected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ut by optimizing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s, This is another technical task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and a tension material.

또한, 주두부 거더와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들을 서로 연속화 시킴에 있어 시공성 및 안정성이 담보되어 효율적이며 신속한 시공이 가능한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로 한다.In addition, as another technical task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ain girder and a tension member capable of efficient and quick construction because of ensuring workability and stability in serializing the main head girder, sideways girder and central girder girder do.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은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and a continuous tie-

(a) 영구긴장재인 1차 긴장재를 이용하여 하부플랜지와 양 측벽부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U형 단면의 주두부거더 상연에는 인장력, 하연에는 압축력이 도입시킨 주두부 거더를 준비하는 단계;(b) 상기 주두부 거더를 인양하여 자중에 의하여 상연에 발생된 압축력, 하연에 발생된 인장력이 1차 긴장재)에 의한 인장력과 압축력에 의하여 상쇄되도록 하면서, 교각 상부에 중앙 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c) 상기 주두부 거더를 교각에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를 타설하여 강결(라멘화)시키는 단계;(d) 상기 교각에 강결된 주두부 거더의 양 단부에 인양된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를 연결시켜 거더들을 연속화시키는 단계;(e) 상기 거더들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속지점부의 휨 부모멘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주두부 거더에 설치된 하향 만곡되어 포물선 형태로 설치된 2차 긴장재를 주두부 거더의 양 단부에서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두부 거더에 도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주두부 거더, 측경간 거더와 중앙경간 거더의 상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주두부 거더가 교각에 강결되어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됨에 있어 거더들의 연속화로 인하여 연속지점부에는 휨 부모멘트가 발생하고 측경간 거더 및 중앙경간 거더에는 휨 정모멘트가 발생하되, 연속지점부의 휨 부모멘트보다 휨 정모멘트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에 따라, 측경간 거더와 중앙경간 거더는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거거더를 이용하고,
상기 (e)단계에서, 주두부 거더, 측경간 거더 및 중앙경간 거더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2차 긴장재를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2차 긴장재에 의한 주두부 거더의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하여 주두부 거더의 상연에는 압축력, 하연에는 인장력을 도입하여 상기 휨 부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2차 긴장재를 통한 휨 부모멘트 제어에 의하여 측경간 거더 및 중앙경간 거더 중앙부들에 발생되는 휨 정모멘트도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a) preparing a main girder with a tensile force at the upper part of the main head girder and a compressive force at the lower part of the U-shaped section with the lower flange and both side walls using the first tension, which is a permanent tension; A step of lifting the main head girder so that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its upper portion due to its own weight and a tensile force generated in a lower portion of the main girder are canceled by a tensile force and a compressive force generated by primary tension members; (c) placing the continuous cantilever concrete at the pier of the main head girder and casting continuous continuous concrete (C1) into the cantilever, (d) raising and lowering the cantilevered and center span girder 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E) continuously controlling the bending moments of the continuous fulcrums generated by the girders by connecting the downwardly curved parabolic curves Fixing the second tension member installed 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so that a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main head girder; And (f) installing a bottom plate integrally with an upper portion of the main head girder, sidewall girder and center span girder,
In the step (d), since the main head girder is installed in a cantilever structure in which the main head girder is rigidly connected to a bridge pier, bending moment is generated in the continuous fulcrum due to the sequential operation of the girders, and bending moment is generated in the sidewall girder and the central span girder , The bending moments are smaller than the bending moments of the continuous spans. The sideways girders and the center span girders are made of I-shaped steel girders including upper flanges, abdomen and lower flanges,
In the step (e), the prestressing of the main head girder by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may be carried out without using a secondary tension member over the entire extension length of the main head girder, side girder girder and center span girder, And the bending moments generated in the sidewall girders and the central span girder center portions by the bending moment control through the second tension member are also applied to the bending moments Control .

본 발명은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에 있어 거더들의 단면을 지점부에서는 U형 단면으로, 측경간과 중앙경간에서는 합성 플레이트거더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여 서로 연속화시켜 단면을 최적화 시킬 수 있어 보다 경제적인 거더들 제작이 가능하며, 연속지점부에 발생하는 휨 부보멘트에 대한 저항성능을 높일 수 있어 연속교 시공 효율성이 증진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section of the girders is continuously optimized by using the U-shaped cross-section at the fulcrum portion and the composite plate girder cross-section at the sidewall cross section and the central cross section in the continuous cros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nufacture more economical girders,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sistance performance against the flexural vibration occurring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또한 주두부 거더 설치를 위한 가설벤트를 사용하지 않도록 함으로서 교량 가설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 경제적인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by not using the temporary vent for the main head girder installa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cost of the bridge installation, an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economical main head girder and the tension member.

또한 연속화된 거더들에 종방향 프리스트레스 도입에 따른 긴장재 사용량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면서도 교량의 연속화에 따른 연속 지점부의 휨 부모멘트 제어의 시공성이 증진되어 보다 효율적인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mount of tension material due to the introduction of longitudinal prestress to the continuous girders, but also to improve the workability of the control of bending moment control of continuous span due to the succession of bridges, thus providing a more efficient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main girder and tension material. Lt; / RTI >

또한 본 발명의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는 2차 긴장재를 설치하지 않고 연속화될 수 있으며, 주두부 거더는 교각과 강결되어 라멘화 구조가 되므로 달리 교량받침을 사용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idewall and mid-span girder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tinuous without installing a secondary tension member, and since the main head girder is stronger than the bridge pier and becomes a laminated structure, a more efficient and economical main head gird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a tension material.

도 1a, 도 1b 및 도 1c는 종래 스플라이스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예시도,
도 1d는 종래 강거더와 교량하부구조의 강결구성도,
도 2a,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주두부 거더,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의 구성사시도, 교각과의 연결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d 및 도 2e는 본 발명의 주두부 거더와 교각의 강결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주두부 거더와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의 연결 구성도,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순서도이다.
FIGS. 1A, 1B, and 1C are diagram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nstruction method of a conventional splice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FIG. 1 (d) is a view showing the steel bridg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teel girder and a bridge substructure,
FIGS. 2A,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of a main head girder, a sidewall spacer, and a center span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d and 2e are schematic views showing the strength and rigidity of the main head girder and pier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main head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ideways and middle span girders,
FIGS. 4A and 4B are flowcharts of a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the main head gird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continuous tie portion tensions.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주두부 거더(100),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Main head girder 100, Sidewalk girder 200 and Central span girder 300]

도 2a, 도 2b 및 도 2c는 주두부 거더(100), 측경간 거더(200), 중앙경간 거더(300)의 구성사시도 및 교각(410)과의 연결구성도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FIGS. 2A, 2B and 2C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ral span girder 300, respectively, and a connection diagram to the bridge pier 410, respectively.

먼저 도 2a와 같이, 주두부 거더(100)는 U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First, as shown in FIG. 2A, the main head girder 100 is formed to have a U-shaped cross section.

이에 상기 주두부 거더(100)는 하부플랜지(110)와 양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되어 있으며, 1차 긴장재(140)가 양 측벽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향 만곡되어 포물선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다. The main head girder 100 is composed of a lower flange 110 and both side walls 120 and is opened at an upper portion thereof. The primary tension member 140 is curved upwar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 side walls to form a parabolic shape And a prestress is introduced.

또한 상기 하부플랜지(110)에는 교각(4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수직지점부철근(411)이 관통하여 양 측벽부(120) 내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수직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 vertical through hole 150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110 so that the vertical fulcrum 411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 410 can penetrate and extend into the side walls 120 .

또한 양 측벽부(120)에는 교각(410)의 상면에서 수평으로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수평지점부철근(412)이 관통하여 교각(410) 상면에 거치된 주두부 거더(100)를 횡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수평관통홀(16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A horizontal head portion reinforcement 412 passing horizont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penetrates the both side walls 120 and the main head portion girder 10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It can be seen that the horizontal through hole 160 is formed so as to be connected.

이에 주두부 거더(100)는 도 2c와 같이 교각(410)에 중앙 저면이 지지되도록 하는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되는데 이는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가 연속지점부로부터 벗어나 후술되는 측경간 거더(200)와 중앙경간 거더(300)와 연결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거더들의 연결부위가 연속지점부로부터 벗어날 수 있도록 하여 연속지점부에 작용하는 휨 부모멘트 영향을 작게 받도록 한 것이다.As shown in FIG. 2C, the main head girder 100 is installed in a cantilever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bottom face is supported by the pier 410, so th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re separated from the continuous fulcrum portion, And the mid-span girder 300. [0031] As shown in FIG. In other words, the connecting part of the girders can be moved away from the continuous point part, so that the influence of the bending moment acting on the continuous point part is small.

이에 도 2a를 참조하면 주두부 거더(100)의 중앙부 단면높이는 양 단부로 갈수록 작아지는 변단면 형태로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U형 단면이므로 연속지점부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에 대한 휨 강성 확보에 유리한 형태로 형성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it can be seen that the height of the central section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s formed into a cross-sectional shape that becomes smaller as it goes to both ends, and since it is a U-shaped section, the flexural stiffness It can be seen that it is formed in a form advantageous for securing it.

이러한 주두부 거더(100)의 중앙 저면은 교각(410)에 지지되어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에 의하여 교각(410)에 주두부 거더(100)가 강결(라멘화)시키게 된다.The central bottom surfac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s supported by the bridge pier 410 so that the main head bridge girder 100 is strengthened by the continuous point concrete C1.

즉 교각(410)에 주두부 거더(100)가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됨에 있어 양 단부에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가 연결되면 거더들의 연속화로 인하여 연속지점부에는 휨 부모멘트가 발생하고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에는 휨 정모멘트가 발생하는 데 연속지점부의 휨 부모멘트보다 휨 정모멘트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된다.When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n a cantilever structure in the bridge pier 410, And the flexural moment is generated in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ral span girder 300. The magnitude of the flexural moment is relatively smaller than the flexural moment of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이에 본 발명은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를 주두부 거더(100)와 달리 U형 단면이 아닌 합성 플레이트거더로 제작된 것을 이용하게 된다.Thus,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made of composite plate girders rather than a U-shaped section, unlike the main head girder 100.

즉, 도 2b와 같이, 상기 측경간 거더(200)는 교대(420)에 일측이 교량받침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하면서 타측이 교각(410)에 강결된 주두부 거더(100)의 일측과 연결되는 합성 플레이트거더로서 상부플랜지(210), 복부(220) 및 하부플랜지(230)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거거더를 이용하되,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상부플랜지에는 상부플랜지 횡방향 폭과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가진 합성블록(240)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합성블록(240)을 추후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합성에 의하여 2중 합성 구조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단면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강재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2B, the sideward girder 20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the other side of which is supported on the pillar 410 while one side of the sideways girder 200 is supported by the bridge support, Shaped girder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n upper flange 210, an abdomen portion 220 and a lower flange 230. The upper flange of the central portion excluding both ends is provided with a lateral direction And the composite block 240 is integrated with a double composite structure by a combination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pouring, thereby ensuring sufficient section rigidity and reducing the steel material. It can be seen that

나아가 측경간 거더(200)의 타측 단부는 주두부 거더(100)의 일측에 서로 도 2c와 같이 스플라이스 연결이 되도록 강재가 노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에는 스플라이스 연결을 위한 연결빔(170)을 형성시키고, 연결빔이 측경간 거더(20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 이는 후술하기로 한다.Further, the other end of the sidewise girder 200 is exposed at one sid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so that the steel material is spliced as shown in FIG. 2C. 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So that the connecting beams are connected to the ends of the sideward girder 200. As shown in FIG. This will be described later.

다음으로 상기 중앙경간 거더(300)는 도 2b와 같이, 교각(410)과 교각(410) 사이에 양 단부가 주두부 거더(100)의 단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합성 플레이트거더로서 앞서 살펴본 측경간 거더(200)의 동일한 것을 이용하게 된다.2B, the center span girder 300 is a composite plate girder installed between the bridge pier 410 and the bridge pier 410 so that both ends of the main bridge girder 1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200).

이에 역시 상부플랜지(310), 복부(320) 및 하부플랜지(330)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거거더를 이용하되,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상부플랜지에는 역시 상부플랜지 횡방향 폭과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가진 합성블록(340)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형성시킨 후, 합성블록(340)을 추후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합성에 의하여 2중 합성 구조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단면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강재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lso, the upper flange 310, the abdomen 320, and the lower flange 330 are formed using an I-shaped cross-section of a steel girder, The composite block 340 having a direction width is integrally formed and then formed, and then the composite block 340 is integrated with a double-composite structure by composing with a bottom plate concrete, And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teel material.

나아가 역시 중앙경간 거더(300)의 양 단부도 주두부 거더(100)의 일측과 타측에 서로 스플라이스 연결이 되도록 강재가 노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주두부 거더(100)에는 스플라이스 연결을 위한 연결빔(170)을 형성시키고, 연결빔(170)과 중앙경간 거더(200)의 단부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게 된다.Further, both ends of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exposed to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so that the steel material is spliced to each other. Thus, the main head girder 100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Beams 170 are formed so that the connecting beams 170 and the ends of the center span girder 2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이때 상기 단부들은 단차(A)를 단부에 형성시켜 인양 중 스플라이스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end portions are formed at the end portion of the step (A) so that the splice connection is possible in the lifting.

[ 주두부거더(100)와 교각(410)의 강결(라멘화)방법][Method of strengthening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the pier 410]

도 2d 및 도 2e는 주두부거더(100)와 교각(410)의 강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s 2d and 2e illustrate the method of strengthening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the bridge pier 410.

즉, 본 발명의 주두부 거더(100)는 교각(410)에 강결되도록 시공한 후, 측경간 거더(200)와 중앙경간 거더(300)를 서로 스플라이스 연결에 의하여 연속화시키게 되는데 주두부 거더(100)는 교각(410)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되므로 안정성 확보도 중요하게 된다.That is, the main head girder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o as to be strong against the bridge pier 410, and then the sidewise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successively connected to each other by splice connection. Is installed in the cantilever structure of the pier 410, it is important to secure stability.

이에 본 발명은 주두부 거더(100)는 교각(410)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되도록 함에 있어서 서로를 강결시켜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는 결국 일종의 라멘화 구조로도 볼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main head girder 100 is installed in the cantilever structure of the bridge 410,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stability of the main head girder 100 by tightening each other. This can eventually be seen as a kind of framing structure.

즉, 도 2d와 같이, 교각(4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수직지점부철근(411)이 형성되어 있고, 주두부 거더(100)의 하부플랜지(110)에는 수직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2D, a vertical fulcrum 411 extending upward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and a vertical through hole 150 is formed in the lower flange 110 of the main head girder 100. [ As shown in FIG.

이에 수직관통홀(150)에 수직지점부철근(411)이 관통되어 양 측벽부(120)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vertical fulcrum 411 penetrates through the vertical through-hole 150 and extends into the both side walls 120,

도 2e와 같이 주두부 거더(100)의 양 측벽부(120)에 형성된 수평관통홀(160)이 형성되어 교각(410)의 상부에서 수평지점부철근(412)이 관통하여 교각(410) 상면에 거치된 주두부 거더(100)들이 횡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 horizontal through hole 160 formed in both side wall portions 120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s formed as shown in FIG. 2E so that the horizontal point portion reinforcing bars 412 penetrate the upper portion of the bridge pier 410, It can be seen that the main head girders 100 mounted on the main head girder 100 can be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나아가 상기 수평지점부철근(412)들은 주두부 거더(100) 내부로 연장되지 않도록 형성된 교각(410) 상면의 수직지점부철근(411)들과 결속시키게 된다.Further, the horizontal point portion reinforcing bars 412 are connected to the vertical point portion reinforcing bars 41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ierred portion 410 formed so as not to extend into the main head girder 100.

이에 상기 수직지점부철근(411)과 수평지점부철근(412)이 교각(410) 상면에 거치된 주두부 거더(100) 각각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거푸집(미도시)을 이용하여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에 의하여 교각(410)에 주두부 거더(100) 모두가 강결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 vertical fulcrum reinforcement 411 and the horizontal fulcrum reinforcement 412 are passed through each of the main head girders 10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It can be seen that all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s strongly urged to the bridge pier 410 by the auxiliary concrete C1.

[ 교각에 강결된 주두부거더와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의 연결][Connection of the main head girder and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도 3은 주두부 거더(100)와 측경간(200), 중앙경간 거더(300)의 연결예시도를 도시한 것이다.3 shows an example of connection between the main head girder 100, the sidewall spac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상기 주두부 거더(100)는 다경간 교량(연속교)의 연속지점부의 교각(410) 상면에 강결되도록 시공되므로 별도의 가시설 없이 안정적인 캔틸레버 구조로 시공되어 있으며, 다경간 교량에 있어 연속지점부에 발생하는 휨 부모멘트에 충분히 저항하도록 시공되어야 한다.Since the main head girder 100 is constructed so as to be rigi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of the multi-span bridge (continuous bridges), it is constructed with a stable cantilever structure without any additional explanation. It should be constructed so that it is resistant enough to the bending moments that occur.

이러한 휨 부모멘트는 주두부 거더(100)에 플레이트 거더인 측경간,중앙경간 거더(200,300)를 연결하게 되어 발생되는데 앞서 살펴본 것 같이 본 발명의 측경간, 중앙경간 거더(200,300)는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재거더를 이용하되 합성블록(240,340)을 서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단면강성을 충분히 확보하면서 강재 절감이 가능하도록 하는 합성 플레이트거더를 이용하고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ideways and mid-span girders 200 and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med by connecting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girder, A composite plate girder is used which can reduce the steel material while sufficiently securing the sectional rigidity in such a manner that the composite blocks 240 and 340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by using a steel girder having an I-shaped section including the lower flange.

이에 U형 중공거더인 주두부 거더(100)는 합성 플레이트거더인 측경간, 중앙경간 거더(200,300)와 직접 연결될 수 없어 연결빔(170)을 이용하게 된다.Therefore, the main head girder 100, which is a U-shaped hollow girder, can not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side girder 200, 300, which is a composite plate girder, and uses the connecting beam 170.

도 3에 의하면 상기 연결빔(170)은 미리 주두부 거더(100)의 연결단부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매입시키게 된다. 이러한 연결빔(170)은 플레이트 거더(200)의 단면형상과 동일한 것을 이용하면 되는데 달리 제한될 이유는 없다.3, the connecting beam 170 is horizontally protruded from the connecting end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n advance so as to be exposed. The connecting beam 170 may be the same as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late girder 20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이로서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는 도 2a와 같이 U형 단면이 아닌 구체 콘크리트로 형태로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both end portion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rete instead of a U-shaped cross-section as shown in FIG. 2A.

도 3에서는 주두부 거더(100)의 연결단부에 일측이 매입되어 있고, 타측은 노출되도록 하되 단차(A)가 형성되어 합성 플레이트거더인 측경간,중앙경간 거더(200,300)가 상방에서 하방으로 걸쳐지면서 안착(초기 세팅)될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n FIG. 3, one side is embedded in the connection end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the other side is exposed. A step (A) is formed so that the saddle-width intermediate girder (200, 300) (Initial setting) can be achieved.

이에 상기 단차(A)에 의하여 합성 플레이트거더인 측경간,중앙경간 거더(200,300)와 주경간 거더(100)의 연결빔(170)은 서로 스플라이스 연결방법을 채택하는데 이는 간단한 스플라이스용 덧댐판과 연결볼트를 이용하게 된다.The connecting beams 170 of the sidewall spacers, the central span girders 200, 300 and the spindle girder 100, which are the composite plate girders according to the step (A), adopt a splice connection method with each other, Bolt will be used.

나아가 주두부 거더(100)는 1차 긴장재(140)와 2차 긴장재(180)가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양 단부면에서 긴장 후 정착되는데 시공도 용이하고, 단차를 이용하므로 안정적이고 연결빔(170)은 긴장재들(140,180)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한 국부응력 저항에도 매우 효과적이게 된다. 이에 상기 1차, 2차 긴장재(140,180)는 연속지점부에서만 거더들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킨다는 의미에서 연속지점부 긴장재로 지칭하게 된다.Further, the main head girder 100 is disposed inside the primary tension member 140 and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80, and is fixed after the tension at both end surfaces. ) Is also very effective for local stress resistance due to the tensions and settlement of the tensile members 140,180. The primary and secondary tensions 140,180 are thus referred to as continuous torsional tensions in the sense that they introduce prestressing to the girders only at the continuous fulcrum portion.

[ 주두부거더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main head girder and tension material]

도 4a 및 도 4b는 주두부거더(100)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4A and 4B show a flowchart of a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100 and a tension member.

먼저, 도 4a와 같이 주두부 거더(100)는 개구 중공박스 거더로서 이미 제작된 것을 교각(410, 연속지점부) 상면에 인양하여 거치되도록 준비하게 된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main head girder 100 is prepared as an open hollow box girder by lifting i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consecutive fulcrum portion).

이러한 주두부 거더(100)에는 중립축 상부로 상향 만곡되도록 포물선 배치된 1차 긴장재(140)가 미리 배치되어 있어 1차 긴장재(140)를 긴장 후 주두부 거더(100) 단부면에서 정착시켜 상연(중립축 상부)에는 인장력, 하연(중립축 하부)에는 압축력이 도입되게 된다. 이러한 1차 긴장재(140)는 영구긴장재이다.The primary tensile member 140 is preliminarily disposed on the main head girder 100 so as to be upwardly curved upwardly above the neutral axis so that the primary tension member 140 is fixed on the end surfac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fter the tension,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neutral axis, and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neutral axis. These primary tensions 140 are permanent tensions.

상기 교각(410)은 연속지점부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다경간 교량에서는 다수개가 종방향으로 이격 시공되며 2개 이상이 설치된다.The bridge pier 410 refers to a continuous point portion. In a multi-span bridge, a plurality of bridge portions ar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wo or more bridge portions are installed.

또한 교대(420)가 교량 시점 및 종점부에 시공되어 결국 교대(420)와 교각(410) 사이는 측경간부가 되며 교각과 교각 사이는 중앙경간부가 된다.In addition, an alternation 420 is install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the bridge so that the interchange 420 and the bridge 410 are sideways spaced and the bridge between the bridge and the bridge is a central span.

이에 도 2a와 같이 크레인등과 같은 인양장치로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를 걸어 인양하게 되면 자중에 의하여 상연(중립축 상부)에는 압축력, 하연(중립축 하부)에는 인장력이 도입되므로 1차 긴장재(140)에 의한 인장력과 압축력이 상쇄되도록 하여 주두부 거더(100)의 단면을 최적화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As shown in FIG. 2A, when lifting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with a lifting device such as a cran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edge (upper portion of neutral shaft) and lower portion (lower portion of neutral shaft)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cross-section of the main head girder 100 by canceling the tensile force and compressive forc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이러한 주두부 거더(100)는 교각(410) 상부에 중앙 저면이 지지되면서 캔틸레버 구조로 시공되며, 이로서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에서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200,300)가 연결되도록 하되, 주두부 거더(100)를 교각(410)에 먼저 강결시키게 된다.The main head girder 100 is constructed in a cantilever structure with a central bottom suppor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ridge pier 410 so that the sidewall and center span girders 200 and 300 are connected 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The toe girder 100 is first pulled into the bridge pier 410.

이는 도 2b와 같이 교각(410)에 미리 형성시킨 수직지점부철근(411)과 수평지점부철근(412)이 교각(410) 상면에 거치된 주두부 거더(100) 각각을 관통하도록 한 상태에서, 거푸집(미도시)을 이용하여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에 의하여 교각(410)에 주두부 거더(100) 모두가 강결되도록 하게 된다.This is because the vertical post portion reinforcement 411 and the horizontal post portion reinforcement 412 previously formed on the bridge pier 410 pass through each of the main head portion girders 100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as shown in FIG. So that all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s made strong by the continuous fulcrum concrete C1 by using the formwork (not shown).

이에 본 발명은 캔틸레버 구조의 주두부 거더(100)를 별도의 가설벤트 없이 거치하도록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erefore, it can be seen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adapted to mount the cantilevered main head girder 100 without a separate vent.

다음으로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합성 플레이트거더인 측경간 거더(200)와 중강경간 거더(300)를 주두부 거더(100)와 연결시켜 거더들을 연속화 시키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S. 4A and 4B, the saddle-stitch girder 200 and the mid-span girder 300, which are composite plate girders, are connected to the main head girder 100 to make the girders continuous.

이러한 연속화는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에 노출된 연결빔(170)과 측경간 거더(200)와 중강경간 거더(300)의 단부에 노출된 강재거더를 스플라이스 연결 방식으로 간단하게 단차(A)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게 된다.This sequential operation is performed by simply splicing the steel girder exposed at the end of the connecting beam 170,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mid-span girder 300 exposed 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

이에 연속화된 주경간 거더(100),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는 서로 연결되어 연속화 됨으로서 교각(410)이 형성된 연속지점부들에는 휨 부모멘트가 발생하고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 중앙부들에는 휨 정모멘트가 발생하게 된다.The continuous spindle girder 100,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continuous so that bending moment is generated in the continuous spots where the piers 410 are formed, A flexural moment is generated in the central portions of the span girder 300.

이에 상기 휨 부모멘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4b와 같이 주두부 거더(100)에 설치된 하향 만곡되어 포물선 형태로 설치된 2차 긴장재(180)를 이용하게 되며, 이를 통한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하여 주두부 거더(100)의 상연에는 압축력, 하연에는 인장력을 도입하여 상기 휨 부모멘트를 보다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도록 하되, 종래와 달리 연속화된 거더들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2차 긴장재를 배치하지 않아 긴장재 작업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게 된다.In order to control the bending moment,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secondary tension member 180 installed on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curved downwardly in a parabolic shape as shown in FIG. 4B. By using the prestress, The tension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part of the girder 100 and th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part of the girder 100 so that the bending moment can be more effectively resisted. Can be maximized.

또한 상기 2차 긴장재(180)를 통한 휨 부모멘트 제어에 의하여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 중앙부들에 발생되는 휨 정모멘트도 함께 제어되므로 합성 플레이트거더의 단면강성에 의하여 상기 휨 정모멘트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거더들의 단면을 최적화 시킬 수 있게 된다.Since the bending moments generated in the center portions of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also controlled by the bending moment control through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180, It is possible to optimize the cross section of the girders because the moment can be easily controlled.

다음으로는 서로 연석화된 주두부 거더(100)의 상면,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200,300) 상면에 바닥판 콘크리트(C2)를 타설하여 교량의 바닥판을 일체로 형성시켜 신속한 바닥판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Next, the bottom plate concrete (C2) is laid on the upper surface, the sidewall spacing,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central span girders (200, 300) of the curbed main head girder (100) .

이로서 주두부 거더(100) 상면에는 바닥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측경간 거더와 중앙경간 거더는 합성블록과 바닥판이 일체화되는 2중합성 구조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As a result, it can be seen that the bottom plate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the sidewall girder and the center span girder are formed of a bi-polymeric structure in which the composite block and the bottom plate are integrated.

나아가 본 발명은 가설벤트를 사용하지 않고서 주두부 거더를 시공하게 되며,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는 2차 긴장재를 설치하지 않고 연속화될 수 있으며, 주두부 거더는 교각과 강결되어 라멘화 구조가 되므로 달리 교량받침을 사용하지 않아 보다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연속교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main head girder without using a temporary vent, and the sideways and middle span girders can be continuous without a secondary tension member, and the main head girder is stronger than the pier, It can be seen that continuous and efficient bridge construction is possible because the bridge supports are not us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주두부 거더
110: 하부플랜지 120: 양 측벽부
140: 1차 긴장재
150: 수직관통홀 160; 수평관통홀
170: 연결빔 180: 2차 긴장재
200: 측경간 거더 210: 상부플랜지
220: 복부 230: 하부플랜지
240: 합성블록
300: 중앙경간 거더 310: 상부플랜지
320: 복부 330: 하부플랜지
340: 합성블록
410: 교각 411: 수직지점부철근
412: 수평지점부철근 420: 교대
C1: 연속지점부 콘크리트
C2: 바닥판 콘크리트
100: Main head girder
110: lower flange 120:
140: Primary tension
150: vertical through hole 160; Horizontal through hole
170: connecting beam 180: secondary tension member
200: Sidewall girder 210: Upper flange
220: abdomen 230: bottom flange
240: Composite block
300: center span girder 310: upper flange
320: abdomen 330: bottom flange
340: Composite block
410: Pier 411:
412: Horizontal point side reinforcement 420: Shift
C1: Continuous-point concrete
C2: Concrete floor plate

Claims (10)

(a) 영구긴장재인 1차 긴장재(140)를 이용하여 하부플랜지(110)와 양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U형 단면의 주두부거더(100) 상연에는 인장력, 하연에는 압축력이 도입시킨 주두부 거더(100)를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주두부 거더(100)를 인양하여 자중에 의하여 상연에 발생된 압축력, 하연에 발생된 인장력이 1차 긴장재(140)에 의한 인장력과 압축력에 의하여 상쇄되도록 하면서, 교각(410) 상부에 중앙 저면이 지지되도록 설치하는 단계;
(c) 상기 주두부 거더(100)를 교각(410)에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를 타설하여 강결(라멘화)시키는 단계;
(d) 상기 교각(410)에 강결된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에 인양된 측경간 및 중앙경간 거더(200,300)를 연결시켜 거더들(100,200,300)을 연속화시키는 단계;
(e) 상기 거더들(100,200,300)에 의하여 발생하는 연속지점부의 휨 부모멘트를 제어하기 위하여 주두부 거더(100)에 설치된 하향 만곡되어 포물선 형태로 설치된 2차 긴장재(180)를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에서 정착시켜 프리스트레스를 주두부 거더(100)에 도입되도록 하는 단계; 및
(f) 상기 주두부 거더(100), 측경간 거더(200)와 중앙경간 거더(300)의 상부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여 바닥판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d)단계에서, 상기 주두부 거더(100)가 교각에 강결되어 캔틸레버 구조로 설치됨에 있어 거더들의 연속화로 인하여 연속지점부에는 휨 부모멘트가 발생하고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에는 휨 정모멘트가 발생하되, 연속지점부의 휨 부모멘트보다 휨 정모멘트의 크기는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됨에 따라, 측경간 거더(200)와 중앙경간 거더(300)는 상부플랜지, 복부 및 하부플랜지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거거더를 이용하고,
상기 (e)단계에서, 주두부 거더(100),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 전체 연장길이에 걸쳐 2차 긴장재를 배치하지 않으면서도, 상기 2차 긴장재(180)에 의한 주두부 거더(100)의 프리스트레스를 이용하여 주두부 거더(100)의 상연에는 압축력, 하연에는 인장력을 도입하여 상기 휨 부모멘트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기 2차 긴장재(180)를 통한 휨 부모멘트 제어에 의하여 측경간 거더(200) 및 중앙경간 거더(300) 중앙부들에 발생되는 휨 정모멘트도 함께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a)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edg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having a U-shaped cross section and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edge of the lower flange 110 and the lower side wall 120 using the primary tensile member 140, Preparing a main head girder (100) having the introduced main head girder (100);
(b) While the main head girder 100 is lifted, the compressive force generated in the upper portion due to its own weight and the tensile force generated in the lower portion are canceled by the tensile force and compressive force by the primary tension member 140, So as to support the center bottom;
(c) reinforcing the main head girder (100) by pouring the continuous fulcrum concrete (C1) at the pier (410);
(d) continuing the girders (100, 200, 300) by connecting the sideways and middle span girders (200, 300) to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tightened to the bridge pier (410);
(e) a secondary curved member 180 installed on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provided in a curved downwardly curved parabolic shape to control the bending moment of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generated by the girders 100, 200, ) So that a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f) installing a bottom plate integrally with the bottom plate concrete on the upper part of the main head girder 100,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ral span girder 300,
In the step (d), since the main head girder 100 is installed in a cantilever structure in which the main head girder 100 is rigidly connected to the bridge pier, a bending moment is generated in the continuous fulcrums due to the sequential operation of the girders, and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re formed in the upper flange, the abdomen, and the lower flange 300, respectively, since the bending moment is generated in the longitudinal span 300, Shaped cross-section of the steel sheet,
In the step (e), even if the secondary tension member is not disposed over the entire extended length of the main head girder 100, the sideward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 compressive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edg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edge of the main head girder 100 by using the prestress of the head girder 100 to resist the flexural moment,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in the center portions of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is also controlled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main toe girder and continuous tension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의 주두부 거더(100)는 하부플랜지(110)와 양 측벽부(120)로 이루어져 상부가 개방된 U형 단면으로 형성된 것으로서 1차 긴장재(140)가 양 측벽부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상향 만곡되어 포물선 형태로 배치된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head girder 100 in the step (a) is composed of a U-shaped cross section having an open upper part composed of a lower flange 110 and both side wall parts 120, and a primary tension member 140 is formed inside the both side wall parts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the main head girder and continuous tie tension material arranged in a parabolic shape with upward curvature in the direction of.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에는 스플라이스 연결을 위한 연결빔(170)을 더 형성시키고, 연결빔(170)이 (d) 단계에서, 측경간 거더(200)와 중앙경간 거더(300)의 단부가 서로 스플라이스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거더들의 스플라이스 연결은 단차(A)에 의하여 서로 세팅된 상태에서 스플라이스 연결되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A connecting beam 170 for splice connection is further formed at both end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nd the connecting beams 170 are connected to both the sidewall girder 200 and the center span girder 300, And the splice connections of the gird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splicing in a state where they are mutually set by the step difference (A).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빔(170)은 미리 주두부 거더(100)의 연결단부에 수평으로 돌출되어 노출되도록 매입되도록 주두부 거더(100)의 단부는 구체 콘크리트로 형태로 형성되어 연결빔(170)의 일측이 매입되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The method of claim 3,
The end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oncrete concrete so that the connecting beam 170 is horizontally protruded horizontally at the connecting end of the main head girder 100 in advance so as to be exposed so that one side of the connecting beam 170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main girder and continuous tie tension material to be embedded.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측경간 거더(200)는 상부플랜지(210), 복부(220) 및 하부플랜지(230)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거거더를 이용하되,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상부플랜지에는 상부플랜지 횡방향 폭과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가진 합성블록(240)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상기 합성블록(240)이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합성에 의하여 2중 합성 구조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시공되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sidewall girder 200 uses a steel girder of I-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n upper flange 210, an abdomen 220 and a lower flange 230. In the upper flange of the central portion except for both ends, The composite block 240 having the width of the width equal to the width of the composite block 240 is integrally formed and then the composite block 240 is integrally formed into a double composite structure by combin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girder and continuous tie tension material.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경간 거더(300)는 상부플랜지(310), 복부(320) 및 하부플랜지(330)를 포함하는 I형 단면의 강거거더를 이용하되, 양 단부를 제외한 중앙부의 상부플랜지에는 상부플랜지 횡방향 폭과 동일한 횡방향 폭을 가진 합성블록(340)을 일체로 형성시킨 후, 상기 합성블록(340)이 바닥판 콘크리트 타설에 의한 합성에 의하여 2중 합성 구조로 일체화시키는 방식으로 시공되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5. The method of claim 4,
The center span girder 300 uses a steel girder of I-shaped cross section including an upper flange 310, a waist portion 320 and a lower flange 330. In the upper flange of the central portion excluding both ends, A composite block 340 having a transverse width equal to the direction width is integrally formed and then the composite block 340 is integrally formed into a double composite structure by synthesis by bottom plate concrete casting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head girder and continuous tension part.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의 강결은
(c-1) 교각(410)의 상면에는 상방으로 연장 돌출되는 수직지점부철근(411)이 주두부 거더(100)의 하부플랜지(110)에 형성된 수직관통홀(150)을 관통하여 양 측벽부(120) 내부로 연장되도록 하는 단계; 및
(c-3) 상기 수직지점부철근(411)이 매립되도록 거푸집을 이용하여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에 의하여 교각(410)에 주두부 거더(100)가 강결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ength of the step (c)
(c-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pier 410, a vertical fulcrum 411 extending upward is passed through a vertical through-hole 150 formed in the lower flange 110 of the main head girder 100, (120); And
(c-3) so that the main head girder (100) is strong on the bridge pier (410) by the continuous fulcrum concrete (C1) by using the form so that the vertical fulcrum reinforcement (411)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main head girder and continuous tie tension material.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 및 (c-3) 단계 사이에는
(c-2) 주두부 거더(100)의 양 측벽부(120)에 형성된 수평관통홀(160)에 수평지점부철근(412)이 관통하여 교각(410) 상면에 거치된 주두부 거더(100)들이 횡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상기 수평지점부철근(412)과 수직지점부철근(411)이 연속지점부 콘크리트(C1)에 매립되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8. The method of claim 7,
Between steps (c-1) and (c-3)
(c-2) A horizontal head girder 100 (see FIG. 1) which is horizontally connected to a horizontal through hole 160 formed in both side wall portions 120 of the main head girder 100, So that they can be connected in the lateral direction,
Wherein the horizontal point portion reinforcing bars 412 and the vertical point portion reinforcing bars 411 are embedded i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concrete C1.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의 주두부 거더(100)는 1차 긴장재(140)와 2차 긴장재(180)가 주두부 거더(100)의 양 단부면에서 긴장 후 정착되어도 연결빔(170)이 1차 및 2차 긴장재들(140,180)의 긴장 및 정착에 의한 국부응력 저항할 수 있도록 하는 주두부거더와 연속지점부 긴장재를 이용한 연속교 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head girder 100 in the step (e) is configured such that even if the first tension member 140 and the second tension member 180 are fixed after they are tensed at both end surfaces of the main head girder 100, A continuous bridging method using a main head girder and a continuous tie tension material to resist local stresses due to tension and settlement of the car and secondary tensions 140,180.





KR1020160056758A 2016-05-10 2016-05-10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KR101688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758A KR101688517B1 (en) 2016-05-10 2016-05-10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758A KR101688517B1 (en) 2016-05-10 2016-05-10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8517B1 true KR101688517B1 (en) 2016-12-22

Family

ID=577238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758A KR101688517B1 (en) 2016-05-10 2016-05-10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8517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78B1 (en) * 2017-09-18 2018-07-24 우경기술주식회사 Bridge comprising monolithic structure of girder an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N112853912A (en) * 2021-01-12 2021-05-28 中南林业科技大学 Structure of wood-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simply supported variable continuous fulcrum hogging moment area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91A (en) * 2007-07-30 2009-02-04 (주)한맥기술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sequence
KR101072259B1 (en) * 2011-04-29 2011-10-12 씨티씨 주식회사 Rigid connecting method betwe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substructure of bridge
KR20130081606A (en) * 2012-01-09 2013-07-17 권희재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101440434B1 (en) * 2013-09-24 2014-09-25 지엘콘(주)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Type Rahmen Brid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91A (en) * 2007-07-30 2009-02-04 (주)한맥기술 Spliced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in consideration of the construction sequence
KR101072259B1 (en) * 2011-04-29 2011-10-12 씨티씨 주식회사 Rigid connecting method betwe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substructure of bridge
KR20130081606A (en) * 2012-01-09 2013-07-17 권희재 Method for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KR101440434B1 (en) * 2013-09-24 2014-09-25 지엘콘(주)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Type Rahmen Bridg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1578B1 (en) * 2017-09-18 2018-07-24 우경기술주식회사 Bridge comprising monolithic structure of girder and pier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CN112853912A (en) * 2021-01-12 2021-05-28 中南林业科技大学 Structure of wood-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simply supported variable continuous fulcrum hogging moment area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6489B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and prestressed steel composite girder thereby
KR101208231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continuous supporting structure of corrugated steel web PSC beam
KR20130036890A (en) Tied arched p.s.c girder for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for bridge by it
US20070119004A1 (en) Longitudinally offset bridge substructure support system
KR20090001261A (en) Prestressed concrete girder bridge having connecting structure using steel ba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JP3844743B2 (en) Box girder bridg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CN110512530A (en) A kind of combination beam binodal section Cantilever Construction Method
KR100823448B1 (en) The improved seismic resistant continuation structure of prestressed concrete composite beam bridge and method thereof
KR100720996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precast slab
KR101688517B1 (en) Continuous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upport pier girder and continuous tendon of pier
KR20090100537A (en) Continuous construction method for composite bridge using prestressed i-type girder
KR100984249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strength connector detail and composite curing pannel
KR100462966B1 (en) Prestressed Concrete U-Girder of compositive girder bridge
JP3877995B2 (en) How to build a string string bridge
KR100724739B1 (en) Construction method of PSC Girder bridge using Retensionable and Detensionable anchorage with unbonded tendon
KR101589063B1 (en) Psc girder with end blockout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KR100691664B1 (en) Method of construction for girder bridge
KR101998394B1 (en) Precast concrete girder composed of upper structure and bridge containing girder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bridge
KR102033052B1 (en) Method for constructing truss bridge support with infilled tube using src girder
KR100458046B1 (en) Struture for continuing intermediate support of compositive girder bridge
KR200278091Y1 (en) Devices to shrengthen a bridge by exfermal presfressing cable
KR101618200B1 (en) Girder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emporary support member and tendon and the girder bridge therewith
KR102536770B1 (en)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made of steel and concrete and method thereof
KR102575432B1 (en) Construction Method of Ramen Bridge Using Partial Rigid Composite Box Girder
KR102471342B1 (en) Steel-concrete gird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