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8999B1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Google Patents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8999B1 KR101678999B1 KR1020140090875A KR20140090875A KR101678999B1 KR 101678999 B1 KR101678999 B1 KR 101678999B1 KR 1020140090875 A KR1020140090875 A KR 1020140090875A KR 20140090875 A KR20140090875 A KR 20140090875A KR 101678999 B1 KR101678999 B1 KR 1016789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rder
- steel
- concrete
- abdomen
- upper flang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31 composite material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3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3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1
- 210000001015 Abdomen Anatomy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3
- 230000002194 synthesiz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1264 neutral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065 m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008 shea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50 reinforced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75 correspond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44 upstream manufactu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Abstract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중앙부는 복부와 하부 플랜지로 형성된 'ㅗ'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단부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상기 복부로 연결하는 'I'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 강재 거더를 제작하는 강재거더 제작단계와; 상기 상부 플랜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는 전단연결재 설치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상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를 둘러싸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전단 연결재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로,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강합성 거더로 만드는 콘크리트 합성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케이싱 콘크리트에 쪼갬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단면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강합성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gird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overhead structure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wherein the center portion is formed in a cross-sectional shape formed by the abdomen portion and the lower flange portion and the end portion is formed by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 steel girder fabricating step of fabricating a steel girder having an I-shaped cross-section; A step of installing a front end connection member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flange; A mold setting step of installing a mold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upper flange; A concrete synthesizing step of placing the unhardened concrete in the mol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hear connector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to synthesize casing concrete in the steel girder to form a steel composite girder; A die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die; A steel composite girder which can prevent cracking of the casing concrete from cracking and improve the sectional efficiency and to make the synthesis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more robust and a bridge superstructure using the same Provides a construction method.
Description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재 거더의 상부를 감싸도록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쪼갬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단면의 효율을 향상시키고, 강합성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girder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uperstructure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composite girder which improves cross-sectional efficiency while preventing splitting cracks from being generated in casing concre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steel composite girder which can make the synthesis of a steel composite girder and a bottom plate concrete more robust and a construction method of a bridge upper structure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ed thereby.
일반적으로 강재는 인장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압축력에 대해서는 좌굴이 발생되어 갑작스런 붕괴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고, 콘크리트는 압축력에 대해서는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지만 인장력에 취약하여 인장력이 작용하면 균열이 쉽게 발생되어 구조물의 내하력이 급격히 감소하는 문제가 있다. Generally, steel can resist effectively tensile force, but there is a problem that buckling occurs in compressive force, causing sudden collapse. Concrete can resist effectively compressive force, but is vulnerable to tensile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ad-bearing capacity of the structure is rapidly reduced.
이에 따라, 도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상연에는 케이싱 콘크리트(20)로 저항하고 인장력이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에는 강재(10)로 저항하는 구조의 강합성 거더(1)를 제작하여, 교량의 구조 부재로 사용되고 있다. 1A, a
그런데, 강합성 거더(1)의 중립축 상연은 압축응력이 지배적으로 작용하므로 강재(10) 대신에 케이싱 콘크리트(20)에 의해 지지되지만,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부(10b)와 하부 플랜지(10a)가 결합한 강재 거더(10)에 케이싱 콘크리트(20)가 합성되면, 복부(10b)의 상단부의 상측으로 케이싱 콘크리트(20)에 쪼갬 균열(88)이 발생되어 단면 내하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However, since the neutral stiffness of the
쪼갬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강재 거더의 복부 상단부을 굴곡부와 오목부로 형성된 퍼즐 스트립(Puzzle-Strip) 형상(10x)으로 제작하고, 케이싱 콘크리트(20)의 내부를 둘러싸는 철근(25)이 강재 거더(10)의 복부 상연과 케이싱 콘크리트(20)의 상연 사이에 위치하게 배치하기도 하지만, 전단력이 크게 발생하는 지점부(거더 단부)의 경우에는 여전히 쪼갬 균열이 발생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전단력에 대한 저항 능력을 높이기 위하여 복부 두께를 증가시키는 방안도 모색해 볼 수 있지만, 이는 불필요한 강재 사용량이 증가되어, 단면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In order to prevent splitting cracks,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abdomen of the steel girder is formed into a puzzle-strip shape (10x) formed by a bent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and a reinforcing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강합성 거더(1)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바닥판 콘크리트(30)와 강합성 거더(1)를 견고하게 합성하기 위하여, 전단력이 크게 발생하는 교량 지점부에서 전단 철근(25, 도2)을 케이싱 콘크리트(20) 내부에 조밀하게 배근해야 하고, 또한 강재 거더(10)와 케이싱 콘크리트(20)를 합성하는 것을 보조하는 전단 연결재(미도시)도 설치해야 한다. 그래야만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합성되고, 전단 철근(25)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1)의 케이싱 콘크리트(20)와 상측에 합성되는 바닥판 콘크리트(30)가 상호 일체로 결합된다.Meanwhile, in order to firmly synthesize the
그러나, 강합성 거더(1)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바깥으로 돌출된 전단 철근(25)을 조밀하게 설치하는 공정은 그 자체가 매우 번잡하고 까다로우며 재료의 낭비가 되어 경제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전단 철근(25)을 배근한 이후에 케이싱 콘크리트(20)를 합성하기 위한 거푸집의 설치 및 타설, 양생 공정을 더디게 하는 원인이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단 철근(25)은 견고한 강재 거더(10)와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케이싱 콘크리트(20)에 매설되어 고정되므로, 케이싱 콘크리트(20)와 바닥판 콘크리트(30) 사이에서 작용하는 전단력에 취약한 문제도 야기된다. However, in the process of manufacturing the
따라서, 강합성 거더(1)와 바닥판 콘크리트(30)의 사이에 작용하는 전단력을 충분히 견딜 수 있을 정도로 견고하게 합성할 수 있는 방안의 필요성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Therefore, there is a desperate need for a method capable of forming a solid enough to withstand the shear force acting between th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강재 거더의 일부를 감싸도록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쪼갬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강합성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을 보다 견고하게 할 수 있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mposite concrete girder which can prevent cracking in a casing concrete synthesized to enclose a part of a steel girder, An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bridge overhead structure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ed by the method.
특히, 본 발명은 중앙부에 비하여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을 적은 양의 강재로도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여 단면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도 함께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make it possible to withstand a shearing force acting largely at the fulcrum portion of the steel pipe compared to the central portion with a sufficient amount of steel material, thereby improving the sectional efficiency and obtaining economical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전단 철근을 배근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하여 보다 적은 밀도로 배근하더라도,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 및 바닥판 콘크리트를 한번에 연결하여,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가 보다 견고하게 합성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lso,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eel girder, a casing concrete and a bottom plate concrete are connected at once by a shear connector to a steel girder, a casing concrete, and a bottom plate concrete To be more firmly synthesized.
그리고 본 발명은 제작단계에서 합성거더의 자중에 의한 압축 응력이 케이싱 콘크리트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강재 거더의 상연에 공용 중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상쇄시키는 인장 응력을 미리 도입하여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introduction of compressive stress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composite girder into the casing concrete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introduces a tensile stress to cancel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girder in advance, And the like.
또한, 본 발명은 강재 거더를 내민보 형식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거더의 중립축 상연에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거더의 중앙부 하연에 도입되어 있던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거더 중앙부의 하연에서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고, 동시에 강합성 거더의 강재 거더 상연에 미리 인장 응력을 도입하여 공용 중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미리 상쇄시켜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구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on the neutral axis of the girder while the steel girder is supported in the minbore type, and the tensile stress generated at the lower edge of the center of the girder is compensated by the compression prestress introduced at the lower edge of the center of the girder And at the same time introduces tensile stress in advance to the upper part of the steel girder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so as to cancel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joint in advance to realize a higher load carrying capacity.
그리고, 본 발명은 연속 교량의 상부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 연속 지점부에서 중립축 상연에 크게 작용하는 인장 응력과 중립축 하연에서 크게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시공 기간을 단축하여 구조계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동시에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the construction of the upper structure of the continuous bridge,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ort the tensile stress largely acting on the neutral axis upstanding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nd the compressive stress largely acting at the neutral axis lower edge, To achieve safety and economy at the same tim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중앙부는 복부와 하부 플랜지로 형성된 'ㅗ'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단부는 상부 플랜지와 상기 하부 플랜지를 상기 복부로 연결하는 'I'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된 강재 거더를 제작하는 강재거더 제작단계와; 상기 상부 플랜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는 전단연결재 설치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상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를 둘러싸는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전단 연결재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로,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강합성 거더로 만드는 콘크리트 합성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hieved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has as its object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pparatus. The apparatus includes an upper flange and a lower flange, A steel girder fabricating step of fabricating a steel girder formed in a shape of a " A step of installing a front end connection member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flange; A mold setting step of installing a mold surrounding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upper flange; A concrete synthesizing step of placing the unhardened concrete in the mold so that the upper end of the shear connector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to synthesize casing concrete in the steel girder to form a steel composite girder; A die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die;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el girder.
이는, 압축력 지지에 효율적인 케이싱 콘크리트를 압축 부재로 사용하고 인장력 지지에 효율적인 강재를 인장 부재로 사용하여 충분한 강성 확보를 하되, 강재 거더의 단부는 상부 플랜지를 형성하는 I자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을 견딜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강재 거더의 중앙부는 상부 플랜지가 형성되지 않는 ㅗ자형 단면으로 형성하여 낮게 작용하는 단면력을 적은 양의 강재 사용량으로 저항함으로써, 고가의 강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단면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This makes it possible to ensure a sufficient rigidity by using a casing concrete effective for supporting a compressive force as a compression member and a steel material effective for supporting a tensile force as a tensile member. The end of the steel girder is formed into an I- In addition to being able to withstand the shear force, the central portion of the steel girder is formed as a cross section having no upper flange, so that the low cross sectional force is resisted with a small amount of steel material usage, And to maximize economic efficiency.
이에 의하여 강재를 압축 부재로 활용하여 나타나는 좌굴에 따른 단면 강성 감소 영향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좌굴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보강재 설치를 하지 않더라도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ly, not only the effect of reducing the sectional rigidity due to the buckling caused by the use of the steel material as the compression member can be prevented in advance, but also the structural stability can be maintained without installing additional reinforcement to prevent buckling.
또한,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거더 단부에서는 복부의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결합된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영역에서 강재 거더에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쪼갬 균열이 발생되어 내하 능력이 저하되었던 종래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end portion of the girder where the shear force acts largely,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re respectively formed in an I-shaped cross section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bdomen, so that cracks in the casing concrete, which is synthesized on the steel girder, So that the conventional problems in which the load-carrying capacity is lowered can be solved.
이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하여 지점부에서 거더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연속 교량을 시공할 경우에는, 연속 지점부에서 중립축 상연에 크게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단부의 상부 플랜지의 강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므로, 재료의 효율성이 보다 향상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 continuous bridge connecting the gir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fulcrum portion is constructed by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bending moment largely acting on the neutral axis upstanding portion at the continuous fulcrum portion is formed as the upper flang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efficiency of the material is further improved.
한편, 상기 전단 연결재의 상단부는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된 상태에서도 상부 플랜지에 결합된 전단 연결재가 바깥으로 상방 돌출되어 있어서,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을 시공하는 공정 중에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된 전단 연결재가 교량의 바닥판 콘크리트에 직접 결합되어 강합성 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결합이 보다 견고하게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강합성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사이에 큰 전단력이 작용하더라도 강재에 고정된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 바닥판 콘크리트와 합성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안정된 일체 거동을 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강합성 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 내에 전단 철근을 별도로 배근하지 않거나 종래보다 적게 배근하더라도,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 및 바닥판 콘크리트를 한번에 연결되도록 합성하여 보다 견고한 합성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저렴하면서도 거더와 바닥판이 견고한 구조계를 구현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shear connection member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Accordingly, even when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on the steel girder, the shear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upper flange protrudes outwardly. Therefore, during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bridge using the manufactured steel composite girder,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is directly bonded to the bottom plate concrete of the bridge, so that the coupling between the casing concrete of the composite composit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more robust. Therefore, even if a large shear force acts between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it is possible to obtain stable integrated behavior by maintaining the composite state with the bottom plate concrete by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fixed to the steel material. In addition, even if shear reinforcing bars are not separately installed in the casing concret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or less than the conventional steel reinforced concrete girder,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steel girder, the casing concrete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by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at one time, , It is possible to realize a structure system which is more inexpensive and a rigid structure of th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can be realiz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be shortened.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 이전에, 상기 강재 거더를 내민보 형식으로 L/2~L/4 (여기서, L은 강재 거더의 길이)의 지지점에 2점 단순 지지되게 지지시키는 강재거더 지지단계와;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 이후에, 상기 강재 거더가 양단 지지되게 지지점을 이동시키는 지지점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girder is simply supported at a support point of L / 2 to L / 4 (where L is the length of the steel girder) A steel girder supporting step for supporting the steel girder; A supporting point moving step of moving the supporting point so that the steel girder is supported at both ends after the die removing step; And the like.
이와 같이, 강재 거더를 내민보 형식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거더의 중립축 상연에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강재 거더의 내민보 부분의 자중과 케이싱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하여 강재 거더의 중앙부 하연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한 후, 거더의 지지점을 교량에 시공되는 지지 상태와 동일하게 거더 양단부로 이동시킴으로써, 강재 거더의 자중 및 케이싱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의 중앙부 하연에 도입되어 있던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거더 중앙부의 하연에서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고, 동시에 강합성 거더의 강재 거더 상연에 미리 인장 응력을 도입함으로써 바닥판 콘크리트가 강합성 거더의 상측에 합성되고 활하중이 인가되는 동안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미리 상쇄시킬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In this way,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on the neutral axis of the girder under the condition that the steel girder is supported in the mining type, and compressive prestress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middle part of the steel girder due to the self weight of the inside portio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self weight of the casing concrete. The support prism of the girder is moved to both ends of the girder in the same manner as the support of the girder so that the compressive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lower edge of the center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due to the weight of the steel girder and the weight of the casing concrete, And by introducing tensile stress in advance to the upper part of the steel girder of the composite girder at the same time,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synthesized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during the live load application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 that it can be canceled in advance.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이 바닥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지만 상기 강재 거더에 지지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강재 거더에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의 자중이 강재 거더에 의해 지지되게 함으로써, 케이싱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한 압축 응력이 케이싱 콘크리트에 도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mold installation step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nstalled in a state where the formwork is supported on the floor, but it may be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steel girder. This makes it possible to prevent the compressive stress due to the weight of the casing concrete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by making the weight of the casing concrete synthesized in the steel girder supported by the steel girder.
더욱이, 거푸집이 강재 거더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되면서, 동시에 강재 거더가 내민보 상태로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는 경우에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자중에 의한 압축 응력이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강재 거더의 상연에 공용 중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상쇄시키는 인장 응력을 미리 도입하여 보다 높은 내하 능력을 구현할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Furthermore, when the casing is installed in a state in which the formwork is supported by the steel girder and at the same time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in the mining condition of the steel girder, the compressive stress due to its own weight is prevented from being introduced into the casing concrete,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vantageous effect that a higher load carrying capacity can be realized by previously introducing a tensile stress canceling the compressive stress acting on the joint.
이 때, 상기 강재거더 지지단계 이후에, 상기 강재 거더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임시 집중 하중을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 이후에, 상기 임시 집중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내민보 상태에서 자중에 의한 처짐 효과 이외에 임시 집중 하중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의 중립축 하연에 도입되는 압축 프리스트레스와 중립축 상연의 강재에 도입되는 인장 프리스트레스의 양을 보다 더 크게 조절할 수 있다.Introducing a temporary concentrated loa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fter the step of supporting the steel girder; After the concrete synthesis step, removing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tensile prestress introduced into the steel of the compression prestress and the neutral axis upstream introduced into the neutral axis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by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in addition to the deflection effect due to self weight in the mining condition have.
한편, 상기 강재 거더 중 'I'자 형태의 단면으로 이루어진 단부의 길이는 강합성 거더 길이(L)의 0.05L ~ 0.33L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는, 강합성 거더가 단순 지지되는 단순교의 경우에는 단부의 길이를 강합성 거더의 전체 길이(L)의 1/20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단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에도 쪼갬 균열이 발생되지 않고 견딜 수 있다. 또한, 강합성 거더가 (예를 들어, 교각 상측에서의) 연속 지지점 상에서 종방향으로 연결된 연속교인 경우에는, 연속 지점부의 상측에 위치하는 거더 단부에 부모멘트가 작용하여 중립축 상연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므로, 이를 확실하게 견딜 수 있기 위해서는 부모멘트가 작용하는 영역인 거더의 전체 길이(L)의 1/3배에 해당하는 길이 이하로 중립축 상연에 인장 응력을 견딜 수 있는 'I'자형 단면의 단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모멘트와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구간에만 중립축 상연에 높은 단면력에 견딜 수 있는 I자형 단면으로 형성함으로써, 강재의 사용 효율이 향상되면서 쪼갬 균열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 end portion of the steel girder having an I-shaped cross section has a length of 0.05L to 0.33L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length (L). Specifically, in the case of a simple bridge in which a steel composite girder is simply supported, by setting the length of the end portion at 1/20 times or more of the total length (L)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splitting cracks It can not withstand. Further, in the case where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a continuous joint connec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 continuous support point (for example, at the upper side of the pier), a tensile stress acts on the neutral axis at the end of the girder located above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n order to be able to withstand this, the end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which can withstand the tensile stress on the neutral axis up to a length equal to 1/3 times the total length L of the girder,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I-shaped cross section which can withstand a high sectional force on the neutral axis upstanding only in a section where the moment and the shearing force act largely, the use efficiency of the steel is improved and the splitting crack can be reliably prevented .
이 때, 상기 강재거더 제작단계는, 상기 강재 거더의 단면이 'ㅗ'자 형태로 형성된 중앙부에서는 상기 강재 거더의 단면이 'I'자로 형성된 단부에 비하여 상기 상부 플랜지의 높이만큼 더 높게 형성된 상기 복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복부의 상단 일부를 수용하는 홈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플랜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플랜지의 상기 홈에 상기 복부의 상단 일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기 상부 플랜지와 상기 복부를 결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강합성 거더를 제작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in the middle portion where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girder is formed in the shape of 'I' ',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girder is formed higher than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girder by the height of the upper flange, ; Preparing an upper flange having a longitudinal groove formed therein for receiving a top portion of the abdomen; Coupling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abdomen partially received in the groove of the upper flange; A steel composite girder may be manufactured.
이를 통해, 상부 플랜지가 강합성 거더의 단부에만 상부 플랜지가 결합되어 단면이 'I'자로 형성되고, 거더의 중앙부에는 상부 플랜지가 결합되지 않아 단면이 'ㅗ'자로 형성되지만, 거더의 높이가 전체에 걸쳐 균일해지고, 상부 플랜지와 복부의 결합 길이를 충분히 길게 확보할 수 있게 되어, 높은 단면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 플랜지와 복부가 서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구조 부재로서 저항 능력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As a result, the upper flange is joined to the end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to form an I-shaped cross section, and the upper flange is not joined to the center of the girder,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remain firmly engaged with each other even when a high sectio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The advantage can be obtained.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의 시공 방법은 강재 거더의 길이 전체에 대하여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게 할 수도 있지만, 강재 거더의 일부 길이에 대해서만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게 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거푸집은 상기 강재 거더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강합성 거더는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지 않은 단부를 구비하게 강합성 거더를 제작할 수 있다.
Meanwhile,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composit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such that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steel girder, but the casing concrete is synthesized only for a part of the length of the steel girder. For this purpose, the formwork is formed so as not to wrap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nd the steel composite girder can be manufactured to have an end portion where the casing concrete is not combined.
한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제작된 강합성 거더를 이용하여 교량의 상부 구조를 시공함에 있어서도, 양끝단 중 어느 하나 이상에는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지 않게 상기 강합성 거더를 제작하여, 상기 강합성 거더를 교량의 하부 구조 상에 단순 거치하되,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지 않은 끝단이 연속 지점부 상에 배치되도록 하는 거더거치단계와; 상기 연속 지점부를 가로질러 교축 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강합성 거더들을 상부 플랜지에 연결 강판을 부착하여 상호 연결하는 거더연결단계와; 상기 강합성 거더 들의 상측에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하되, 상기 강합성 거더들의 교축 방향으로의 연결 강판이 상기 바닥판 콘크리트에 의해 매립되게 바닥판 콘크리트를 상기 강합성 거더와 합성하는 바닥판 합성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upper structure of the bridge is constructed by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manufactured so that the casing concrete is not synthesized at any one of the both ends, A girder mounting step for simply placing the girder on the lower structure of the bridge, wherein the end of the casing concrete not being combined is disposed on the continuous fulcrum part; A girder connecting step of connect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s arranged in the throttle direction across the continuous focal point portion by attaching a connecting steel plate to the upper flange and interconnecting them; A bottom plate composite step of plac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on the upper sid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s and synthesizing the bottom plate concrete with the steel composite girder so that the connecting steel plate in the throttle direction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s is embedded by the bottom plate concrete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superstructure.
이와 같이, 강합성 거더의 단부가 연속 지점부를 형성하는 경우에, 단부에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지 않은 강합성 거더를 연속 지점부를 형성하는 교량 하부 구조에 거치시킨 상태로, 종방향으로 배열된 강합성 거더 단부의 노출된 상부 플랜지를 연결 강판으로 용접이나 볼트 연결하는 방식으로 부착하여 연결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연속 지점부의 강재 거더를 매립되게 함으로써, 연속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따른 인장응력을 연결 강판으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의 압축 응력에 대해서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타설과 동시에 그리고 일체로 합성되는 합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시공 방법에 의하여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단면력을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면서 시공 기간도 단축할 수 있으므로 경제성을 제고할 수 있는 잇점이 얻어진다.In this way, in the case where the end portion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forms the continuous fulcrum porti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without the casing concrete at the end portion is mounted on the bridge substructure forming the continuous focal point portion, The exposed upper flange of the girder end is welded or bolted to the connecting steel plate, and the steel girder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buried w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laid, It is possible to support the tensile stress according to the tensile stress to the connecting steel plate as well as the compressive stress of the neutral axis unde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simultaneously with the placement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and the composite concrete being integrally synthesized . By such a construction method, the sectional force acting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can be effectively cancel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can also be shortened, so that the economical efficiency can be improved.
또한, 연속 지점부에서 상부 플랜지가 형성된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된 단면이 함께 단면 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정모멘트부에서 발생하는 단면력(휨모멘트)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인장력에 잘 견디는 강재의 상부 플랜지가 함께 구성되어 고정하중 및 활하중에 의하여 발생되는 부모멘트도 효과적으로 저항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the cross sectio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casing concrete with the upper flange formed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ogether increases the section rigidity, thereby reducing the bending moment generated at the bottom portion, and the strength of the steel material And the upper flange are combined together, so that the effect of being able to effectively resist the moment generated by the fixed load and the live load can be obtained.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교량의 '하부 구조'라는 용어는 교량을 시공하는 데 있어서 지지하는 '교대' 또는 '교각'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용어이며, 교량의 '상부 구조'라는 용어는 교량의 하부 구조 상에 거치되어 통행할 수 있게 하는 '거더', '바닥판', '난간' 등을 통칭하는 의미로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정의하기로 한다.
The term " undercarriage " of the bridge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is used in the art to refer to the term " shift " or " bridge " The term "superstructure" is defined as a term used in the art to collectively mean "girder", "bottom plate", "railings" and the like, which are allowed to pass on the substructure of a bridge.
이상에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부는 복부의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결합된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복부의 하단에만 하부 플랜지가 결합된 'ㅗ'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단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을 뿐 아니라, 중앙부에서 낮게 작용하는 단면력을 적은 양의 강재로 지지함으로써, 고가의 강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단면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을 제공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end portion is formed in an I-shaped cross section in which the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abdomen, and the middle portion is formed into a " Sectional shape and can endure the shear force acting largely at the end portion and can be supported by a small amount of steel material which acts at a low level in the central portion to minimize the amount of expensive steel material while improving the sectional efficiency and maximizing the economical efficiency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el girder.
따라서, 본 발명은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거더 단부에서 강재 거더의 중립축 상연에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쪼갬 균열이 발생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 that splitting cracks are generated in the casing concrete which is synthesized at the edge of the neutral axis of the steel girder at the end of the girder where the shear force largely acts.
그리고, 본 발명은, 거더 단부의 상부플랜지에 전단 연결재가 케이싱 콘크리트의 바깥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됨으로써,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 강재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의 합성을 보다 견고히 할 뿐만 아니라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중에 강합성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을 보다 견고하게 하므로, 전단 철근에 의해 일체화하는 것에 비하여 강재 거더에 결합된 전단 연결재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와 케이싱 콘크리트를 일체화하므로 구조적으로 보다 안정된 일체 거동을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shear connection member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flange of the end portion of the girder toward the outer side of the casing concrete, the composite of the steel girder and the casing concrete i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shear connection member, Since the composite of the composit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made more rigid,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casing concrete are integrally formed by the shear connection member coupled to the steel girder, as compared with the integration by the shear reinforcement, Effect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은 강합성 거더의 케이싱 콘크리트 내에 전단 철근이 별도로 배근되지 않거나 종래에 비하여 보다 적게 배근되더라도, 바닥판 콘크리트와 강합성 거더를 일체로 합성하므로, 보다 저렴하면서도 거더와 바닥판이 견고한 구조계를 구현하고 시공 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bottom plate concrete and the steel composite girder are integrally synthesized, even if the shear reinforcement is not separately laid in the casing concret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or less than the conventional structure, th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are robust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그리고, 본 발명은 상부 플랜지의 높이 만큼 단부에서의 복부 높이를 낮게 형성함으로써, 강합성 거더의 단면이 거더 길이에 걸쳐 일정하지 않고 변동하더라도 강합성 거더의 높이가 전체적으로 균일해져 응력의 국부적인 집중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height of the abdomen at the end portion of the upper composite flange is reduced by the height of the upper flange, even if the cross section of the composite girder is not constant over the girder length, the height of the composite girder becomes uniform as a whole,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은 상부 플랜지의 홈이 복부의 일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부 플랜지와 복부가 상호 결합되게 강합성 거더를 형성함으로써, 강합성 거더의 단면이 'I'자 형태와 'ㅗ'자 단면으로 변동하더라도 견고하게 결합되어, 하나의 구조 부재로서 안정적으로 일체 거동할 수 있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formed such that the upper flange and the abdomen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groove of the upper flange accommodates a part of the abdomen, so that the cross- So that they can stably and integrally behave as one structural member.
그리고, 본 발명은 연속 지점부에서 강합성 거더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연속 교량을 시공함에 있어서, 단부에는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지 않은 강합성 거더를 연속 지점부에 거치 시키고, 거더 단부의 노출된 상부 플랜지를 연결 강판으로 용접이나 볼트 연결하는 방식으로 부착하여 연결한 후, 바닥판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에 연속 지점부의 강재 거더를 매립되게 시공함으로써, 연속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부모멘트를 연결 강판으로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의 압축 응력에 대해서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타설과 동시에 그리고 일체로 합성되는 합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으며, 시공 기간도 단축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Further, in the construction of the continuous bridge connect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the steel composite girder without the casing concrete is mounted o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at the end portion, When the flange is welded or bolted to the connecting steel plate, the steel girder of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buried when the bottom plate concrete is poured, so that the momentum acting on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is effectively applied to the connecting steel plate The compressive stress of the neutral axis under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can be supported by the composite concrete that is integrally synthesized simultaneously with the placement of the bottom plate concrete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shortened to improve the workability An advantageous effect can be obtained.
즉, 본 발명은 연속 지점부에서 중립축 상연에 크게 작용하는 휨 모멘트를 단부의 상부 플랜지의 강재에 의하여 효과적으로 상쇄시킬 수 있으면서, 강재의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되며, 단면이 변동하는 강재 거더의 제작 공정과 강합성 거더와 바닥판 콘크리트의 합성 공정에서 결합 특성이 우수하여 안정된 일체 거동을 구현하는 구조계를 구현하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ding moment largely acting on the neutral axis upstanding at the continuous point portion can be effectively canceled by the steel material of the upper flange of the end portion, the efficiency of the steel material can be further improved, the workability is improved,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steel composite girder and the bottom plate concrete can be advantageously used to realize a structural system which realizes a stable integral behavior.
도1a는 종래의 강합성 거더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1b는 도1의 횡단면도,
도2는 도1a의 강합성 거더에 바닥판 콘크리트가 합성된 구성의 횡단면도,
도3a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의 분해 사시도,
도3b는 도3a의 결합 사시도,
도3c는 도3b의 절단선 A-A에 따른 단면도,
도3d는 도3b의 절단선 B-B에 따른 단면도,
도4a 내지 도4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에 따른 순차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5a는 도4g의 절단선 C-C에 따른 단면도,
도5b는 도4g의 절단선 D-D에 따른 단면도,
도6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작 방법에 따라 제작된 강합성 거더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6b는 도6a의 절단선 F-F에 따른 단면도,
도6c는 도6a의 절단선 G-G에 따른 단면도,
도6d는 도6a의 절단선 H-H에 따른 단면도,
도7a 내지 도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 따른 순차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onventional steel composite girder,
1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FIG. 1,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omposite structure of bottom plate concrete and steel composite girder of Fig.
FIG. 3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mposite steel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B is an assembled perspective view of FIG. 3A,
FIG. 3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AA in FIG. 3B,
FIG. 3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BB in FIG. 3B,
4A to 4G are views showing a sequential construction according to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steel gir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CC in FIG. 4G,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DD of FIG. 4G,
FIG. 6A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ructure of a steel composite girder fabricated according to a manufacturing metho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B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cutting line FF in FIG. 6A,
FIG. 6C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section line GG in FIG. 6A,
FIG. 6D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HH in FIG. 6A,
FIGS. 7A through 7C illustrate a sequential construction of a bridge overhead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의 제작 방법을 상술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는, 중앙부(110c)는 복부(112)와 하부 플랜지(111)가 결합하여 'ㅗ'자형 단면이고 단부(110e)는 복부(112)와 상,하부 플랜지(111, 113)이 결합하여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된 강재 거더(110)와, 강재 거더(110)의 중립축 상연에 합성된 케이싱 콘크리트(120)와, 상부 플랜지(113)의 상면에 고정되어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된 전단 연결재(114)로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강재 거더(110)는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10c)에는 'ㅗ'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단부(110e)에는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복부(111)는 거더 전체 길이(L)에 걸쳐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도 있지만, 도3a 및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플랜지(113)의 두께(t)에 해당하는 높이의 단턱(112a)이 복부(112)에 형성되고, 상부 플랜지(113)에는 복부(112)의 단턱(112a)진 상단부를 수용하는 홈(113a)이 소정의 길이(s)로 형성되어, 복부(112)의 상단부 일부가 홈(113a)에 수용되게 한 상태로 결합된다. 여기서, 홈(113a)의 길이(s)는 거더의 길이(L)에 비례하여 길게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부 플랜지(113)와 복부(112)의 견고한 결합을 확보할 수 있는 길이로 정해진다. 그리고 상부 플랜지(113)는 거더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진 면(113s)이 형성되어, 'ㅗ'자형 단면과 'I'자형 단면의 변곡부에서의 급격한 단면 변화를 최소화한다.As shown in FIGS. 3A to 3D, the
이에 따라, 강재 거더(110)의 단부(110e)와 중앙부(110c)의 단면 형상이 서로 다르지만, 상부 플랜지(113)의 두께(t)만큼의 단턱(112a)을 복부(112)에 형성함으로써, 전체 길이(L)에 걸쳐 동일한 높이(H)로 형성되므로, 공용 중에 작용하는 고정 하중 및 활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응력 전달의 불연속 지점을 없앨 수 있으므로 국부적 응력이 집중되지 않는 구조 부재로 활용될 수 있다. The
또한, 강재 거더의 상부 플랜지(113)에 홈(113a)을 형성하여 복부(112)의 상단부를 수용한 상태로 상부 플랜지(113)와 복부(112)가 결합되므로, 복부(112)와 상부 플랜지(113)의 결합 길이가 충분히 길게 확보되어, 높은 단면력이 작용하더라도 상부 플랜지(113)와 복부(112)가 서로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하여 구조 부재로서 저항 능력을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게 되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Since the
여기서, 단부(110e)는 거더 길이(L)의 0.05L ~ 0.33L로 정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강합성 거더(100)가 단순교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단부(110e)의 길이를 강합성 거더의 전체 길이(L)의 1/20배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에 의하여 전단력에 의한 쪼갬 균열을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경제성을 위하여 거더 길이(L)의 1/20 내지 1/5 정도로 정해진다. 이에 반하여, 강합성 거더(100)가 연속교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부모멘트가 작용하여 중립축 상연에 인장 응력이 작용하는 영역이 길게 분포되므로, 단부(110e)의 길이를 강합성 거더의 전체 길이(L)의 1/5 내지 1/3로 배치함으로써, 강재의 사용량을 최소화하여 단면 효율을 높이면서도,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높은 단면력에도 케이싱 콘크리트의 쪼갬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Here, the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120)는 도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길이 전체에 걸쳐 중립축 상연에 합성될 수도 있고, 도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단부의 일부를 제외한 중립축 상연에 합성될 수도 있다. The
상기 전단 연결재(114)는 종래에 비하여 보다 높은 높이(114h)로 형성되어,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복부(112)의 일부와 상부 플랜지(113)를 감싸는 형태로 강재 거더(110)의 중립축 상연에 합성되더라도,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상면 바깥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114)의 돌출 높이는, 교량의 시공 시 강합성 거더(100) 위에 합성되는 바닥판 콘크리트(105)와 충분한 결합을 보조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정해지며, 바닥판 콘크리트(105)의 두께보다는 작게 정해진다.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는, 단부(110e)가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교량 지점부에 작용하는 높은 전단력을 견딜 수 있으며, 중앙부(110c)가 ㅗ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중립축 상연에 지배적으로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케이싱 콘크리트로 지지하여, 고가의 강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단면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고,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교량 지점부에서 강재 거더와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에 발생하던 쪼갬 균열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
The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의 제작 방법을 상술한다.
Hereinafter,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단계 1: 도3a 내지 도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110c)는 복부(112)와 하부 플랜지(111)로 형성된 'ㅗ'자 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고, 단부(110e)는 상부 플랜지(113)와 하부 플랜지(111)를 복부(112)로 연결하게 형성된 강재 거더(110)를 제작한다. Step 1: As Figures 3a shown in Figure 3d, the central part (110c) is formed in a 'ㅗ "shaped cross section formed in the abdomen 112 and the
여기서, 하부 플랜지(111)와, 복부(112)와, 상부 플랜지(113)는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접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제작되는 강재 거더(110)가 단순교에 사용될 예정이면 단부(110e)는 거더 전체 길이(L)의 1/20 ~ 1/5 의 길이로 정해지고, 제작되는 강재 거더(110)가 연속교에 사용될 예정이면 단부(110e)는 거더 전체 길이(L)의 1/5~1/3의 길이로 정해진다. Here, the
이 때, 도3a에 도시된 단턱(112a)이 복부(112)에 형성되어 강재 거더(110)의 전체 높이(H)를 일정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그리고, 제작된 강재 거더(110)의 상부 플랜지(113)의 상면에는 전단 연결재(114)가 이후 단계에서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두께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교량 시공 공정 중에 합성되는 바닥판 콘크리트(105)의 두께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두께의 합친 두께보다는 더 짧은 길이로 고정 설치한다.
The upper end of the
단계 2: 단계 1에서 제작된 강재 거더(110)에 대하여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점(55)의 위치를 강재 거더(110)의 중앙부로 이동(66)시킨다. 이 때, 지지점(55)의 위치는 단부로부터 L/4~L/2만큼 이격된 위치가 되게 한다. 다만, 지지점(55) 사이의 간격(Li)이 작아지면 강재 거더(110)가 불안정한 상태로 거치되므로, 강재 거더(110)가 안정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을 마련하거나 Li를 L/4보다 크게 설정한다. Step 2 : The position of the
이에 따라, 강재 거더(110)는 단부가 내민보 형태로 거치되어, 자중에 의하여 중앙부가 볼록하게 위로 향하고 양단부가 아래로 처지게 된다.
As a result, the ends of the
단계 3: 경우에 따라서는 도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양단부에 임시 집중 하중(Fa)을 부가하여, 강재 거더(110)의 중앙부가 상향 볼록한 휨 변위를 보다 크게 할 수도 있다. Step 3 : Depending on the case, a temporary concentrated load Fa may be applied to both ends of the
여기서, 임시 집중 하중(Fa)은 예를 들어 강재 거더(110)의 양단부를 유압잭(미도시)을 설치하여 아래로 잡아당기는 등의 수단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Here,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Fa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by means of pulling down both ends of the
단계 4: 도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120)를 합성시키고자 하는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130)을 설치한다. 즉, 거푸집(130)은 강재 거더(110)의 상부 플랜지(113) 및 복부(112)의 상단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한다. Step 4 : As shown in FIG. 4C, a
이 때, 거푸집(130)은 지면에 동바리로 지지되게 설치될 수도 있지만, 거푸집(130)이 강재 거더(110)에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한다. 예를 들어, 거푸집(130)은 동바리(135)에 의하여 강재 거더(110)의 하부 플랜지(111)에 지지되는 형태로 설치한다. 이와 같이, 거푸집(130)이 강재 거더(110)에 지지되게 설치함으로써, 거푸집(130)에 타설하여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자중이 강재 거더(110)에 지지되므로 자중에 의한 응력이 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작용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단계 5: 단계 4를 행한 이후에, 도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기(60)로부터 거푸집(130)에 굳지않은 콘크리트(120x)를 타설하여 양생시킨다. 이때,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두께는 강재 거더(110)의 전단 연결재(114)의 일부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표면 바깥으로 드러나도록 정해진다. Step 5 : After step 4, the uncured concrete 120x is poured into the
굳지않은 콘크리트(120x)의 타설에 의하여 콘크리트 자중만큼 내민보 형태의 강재 거더(110)의 양단부의 처짐량은 보다 커지고 중앙부의 볼록한 힘 변위도 더 커진다.
The amount of deflection of both end portions of the
단계 6: 거푸집(130)에 타설된 굳지 않은 콘크리트(120x)가 충분히 양생되면, 도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130)을 탈형하고, 거푸집(130)을 지지하고 있던 동바리(135)도 모두 제거한다. 이에 따라, 중앙부가 상향 볼록한 강재 거더(110)에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된 상태가 된다.
Step 6 : When the unhardened concrete 120x laid on the
단계 7: 그리고 나서, 도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양단부에 하방으로의 임시 집중 하중(Fa)을 제거하고, 도4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점(55)을 교량에서의 지지 조건과 동일하게 양단부로 이동(66')시키는 것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100)의 제작을 완료한다. Step 7 : Then,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Fa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이와 같이, 강재 거더(110)의 양단부에 도입하였던 임시 집중 하중(Fa)을 제거하고 지지점(55)의 위치를 양단부로 이동(66')시키는 것에 의하여, 강재 거더(110)의 중앙부 하연에 도입되었던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거더 중앙부의 하연에서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키게 된다. The provisional concentrated load Fa introduced at both ends of the
즉, 강재 거더(110)를 내민보 형식으로 지지하고, 경우에 따라 임시 집중 하중(Fa)을 도입한 상태에서 거더의 중립축 상연에 케이싱 콘크리트(120)를 합성하여, 강재 거더(110)의 내민보 부분의 자중과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자중에 의하여 강재 거더(110)의 중앙부 하연에 압축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게 한 후, 거더의 지지점(55)을 교량에 시공되는 지지 상태와 동일하게 거더 양단부로 바깥 이동시킴으로써, 강재 거더의 자중 및 케이싱 콘크리트의 자중에 의하여 강합성 거더의 중앙부 하연에 도입되어 있던 압축 프리스트레스에 의하여 거더 중앙부의 하연에서 발생되는 인장 응력을 상쇄시킬 수 있고, 동시에 강합성 거더의 강재 거더 상연에 미리 인장 응력을 도입함으로써 바닥판 콘크리트가 강합성 거더의 상측에 합성되고 활하중이 인가되는 동안에 작용하는 압축 응력을 미리 상쇄시킬 수 있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That is, the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임시 집중 하중(Fa)을 인가하였다가 제거하는 도4b 및 도4f의 구성을 제외하고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강재 거더(110)를 내민보 형태로 지지점(55)을 위치시킨 후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는 단계 2, 단계 3, 단계 7을 제외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clude the configurations of Figs. 4B and 4F for applying and removing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Fa. Fur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teps 2, 3, and 7 may be omitted, in which the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100)는 단부는 복부의 상,하단에 각각 상부 플랜지와 하부 플랜지가 결합된 'I'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는 복부의 하단에만 하부 플랜지가 결합된 'ㅗ'자형 단면으로 형성되어, 단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전단력을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을 뿐 아니라, 중앙부에서 낮게 작용하는 단면력을 적은 양의 강재로 지지함으로써, 고가의 강재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도 단면 효율을 향상시키고 경제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단력이 크게 작용하는 교량 지점부(거더 단부)에서 강재 거더의 중립축 상연에 합성되는 케이싱 콘크리트(120)에 쪼갬 균열(88)이 발생되던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The end of the
한편, 도6a 내지 도6d에 도시된 강합성 거더(100')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120)는 거더 길이의 양단부 중 하나 이상의 끝단에서는 합성되지 않고 상부 플랜지(113)가 외부로 노출된 빈 영역(E)이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후술하는 연속교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6A to 6D, the
이하, 첨부된 도7a 내지 도7c를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제작된 본 발명에 따른 강합성 거더를 이용한 교량의 상부 구조의 시공 방법에 관한 제1실시예를 2경간 연속교를 예로 들어 상술한다.
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structing an upper structure of a bridge using the steel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nufact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7A to FIG.
단계 1: 도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일단에 형성되지 않아 강재 거더(110)의 상부 플랜지가 드러난 빈 영역(E)이 구비된 강합성 거더(100")를 교량의 하부 구조(51, 52; 50) 상에 거치한다. 여기서, 연속 지점부를 형성하는 교각(52)의 상측에는 거더(100")의 빈 영역(E)이 위치하게 하고, 연속 지점부가 아닌 교대(51)의 상측에는 거더(100")의 채워진 영역(케이싱 콘크리트가 끝단까지 합성된 영역)이 위치하게 한다. Step 1 : As shown in FIG. 7A, the
따라서, 2경간 연속교인 경우에는 강합성 거더(100")의 하나의 끝단에만 빈 영역(E)이 형성되지만,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3경간 이상의 연속교인 경우에는 양 끝단에 빈 영역(E)이 형성된 거더(도6a)가 사용된다.
Therefore, in the case of two consecutive spans, the empty area E is formed at only one end of the
단계 2: 그리고 나서, 도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 지점부인 교각(52)의 상측에 위치한 강합성 거더(100")의 빈 영역(E)의 상부 플랜지(113)를 연결 강판(190)으로 연결한다. 이 때, 연결 강판(190)은 리벳, 볼트, 용접 등의 수단에 의하여 연속 지점부에서 종방향으로 인접한 상부 플랜지(113)를 연결한다. Step 2 : Then, as shown in Fig. 7B, the
이에 따라, 교량 시공이 완료되어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의하여 중립축 상연에 작용하는 인장 응력을 연결 강판(190)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connecting
단계 3: 그리고 나서, 강합성 거더(100")의 상측에 바닥판 콘크리트(105)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미도시)과, 강합성 거더(100")의 드러난 상부 플랜지(113)를 포함하여 거더(100")의 종방향의 사잇 공간을 채우는 합성 콘크리트(106)를 타설하기 위한 거푸집(미도시)를 함께 설치한다. 그 다음,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시킴으로써, 도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 콘크리트(105)와 합성 콘크리트(106)를 강합성 거더(100")에 한번에 합성시킨다. 그 다음 거푸집을 탈형하여 제거한다. Step 3 : Thereafter, a mold (not shown) for placing the
이 때, 강합성 거더(100")의 상부 플랜지(113)에 고정된 전단 연결재(114)는 강재 거더(110)와 케이싱 콘크리트(120)의 합성을 보조하였지만, 교량의 상부 구조의 시공 중에는 강합성 거더(100")와 바닥판 콘크리트(105)의 합성을 보조하여, 강합성 거더(100")와 바닥판 콘크리트(105)가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시키며 일체 거동을 하게 한다.
At this time, the front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교량 상부구조의 시공방법은, 강합성 거더(100")의 상연에 케이싱 콘크리트(120)가 합성되어 있음에도, 상부 플랜지(113)가 외부에 드러난 빈 공간(E)이 마련됨에 따라, 외부에 드러난 강합성 거더(100")의 상부 플랜지(113)를 연결 강판(190)으로 연결 설치함에 따라, 연속 지점부에서 크게 작용하는 부모멘트에 의한 인장 응력을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속 지점부에서 작용하는 중립축 하연의 압축 응력에 대해서는 바닥판 콘크리트의 타설과 동시에 그리고 일체로 합성되는 합성 콘크리트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고, 시공 기간도 단축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키는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although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55: 지지점 88: 쪼갬 균열
100, 100': 강합성 거더 110: 강재 거더
112: 복부 113: 상부 플랜지
113a: 홈 120: 케이싱 콘크리트
130: 거푸집 105: 바닥판 콘크리트55: Support point 88: Split crack
100, 100 ': Steel composite girder 110: Steel girder
112: abdomen 113: upper flange
113a: groove 120: casing concrete
130: Form 105: Bottom plate concrete
Claims (8)
상기 상부 플랜지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전단 연결재를 설치하는 전단연결재 설치단계와;
상기 강재 거더의 복부 상부와 상기 상부 플랜지를 둘러싸는 형태로 거푸집을 설치하는 거푸집 설치단계와;
상기 거푸집에 굳지 않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강재 거더에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되, 상기 전단 연결재의 상단부가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높이가 되도록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를 합성하여 강합성 거더로 만드는 콘크리트 합성단계와;
상기 거푸집을 제거하는 거푸집 제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Shaped end section formed by an abdomen and a lower flange at a central portion and an I-shaped cross-section steel girder connecting an upper flange and the lower flange to the abdomen at an end portion thereof, Wherein the abdomen of the abdomen is provided with the abdomen which is higher than the abdomen at the end by a height of the upper flange, a groove for accommodating a part of the upper end of the abdomen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groove of the upper flange is welded to the groove of the upper flange to join the upper flange and weld the lower flange to form the steel girder , The length of the end portion of the I-shaped cross section of the steel girder is 0.05L to 0.33L of the girder length (L) A steel girder manufacturing step of manufacturing a washer;
A step of installing a front end connection member protruding upward on the upper flange;
A mold setting step of setting a mold in a form to surround the upper part of the abdomen of the steel girder and the upper flange;
A concrete synthesis step of synthesizing the casing concrete by placing the unhardened concrete in the mold to synthesize the casing concrete so that the upper end portion of the shear connection material is a height protruding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casing concrete, Wow;
A die removing step of removing the die;
Where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made of steel.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 이전에, 상기 강재 거더를 내민보 형식으로 L/2~L/4의 지지점에 2점 단순 지지되게 지지시키는 강재거더 지지단계와;
상기 거푸집 제거단계 이후에, 상기 강재 거더가 양단 지지되게 지지점을 이동시키는 지지점 이동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teel girder supporting step for supporting the steel girder in simple numerical form so as to be supported at two points of support of L / 2 to L / 4 prior to the molding step;
A supporting point moving step of moving the supporting point so that the steel girder is supported at both ends after the die removing step;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composite composite girder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상기 거푸집 설치단계는 상기 거푸집이 상기 강재 거더에 지지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rming step is provided such that the formwork is supported by the steel girder.
상기 강재거더 지지단계 이후에, 상기 강재 거더의 양단부에 하방으로 임시 집중 하중을 도입하는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합성단계 이후에, 상기 임시 집중 하중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3. The method of claim 2,
Introducing a temporary concentrated loa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after the step of supporting the steel girder;
After the concrete synthesis step, removing the temporary concentrated load;
Where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made of steel.
상기 거푸집은 상기 강재 거더의 양끝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감싸지 않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강합성 거더는 상기 케이싱 콘크리트가 합성되지 않아 상기 상부 플랜지가 외부로 노출되는 단부가 형성되어, 상기 노출되는 단부가 연속 강합성 거더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합성 거더의 제작 방법.
5.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Wherein the mold composite is formed so as not to cover at least one of both ends of the steel girder, wherein the steel composite girder is formed with an end portion where the upper flange is exposed to the outside because the casing concrete is not synthesized, Characterized in that a continuous steel composite girder is provid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875A KR101678999B1 (en) | 2014-07-18 | 2014-07-18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90875A KR101678999B1 (en) | 2014-07-18 | 2014-07-18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0783A KR20160010783A (en) | 2016-01-28 |
KR101678999B1 true KR101678999B1 (en) | 2016-11-25 |
Family
ID=55309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90875A KR101678999B1 (en) | 2014-07-18 | 2014-07-18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899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51810B1 (en) * | 2017-04-22 | 2022-10-05 | 정하동 | steel girder bridge of slab concrete section used as compression member and progreprestressed |
KR102123273B1 (en) * | 2018-12-13 | 2020-06-16 | (주)지승씨앤아이 | Pseudo jointless bridge construction made of steel plate girder with overhanged end extended seat plate |
KR102202618B1 (en) * | 2018-12-13 | 2021-01-14 | (주)지승씨앤아이 | Pseudo jointless bridge construction made of steel plate girder with overhanged end widen and extended flange composed of concrete block |
KR102352543B1 (en) * | 2019-11-01 | 2022-01-19 | 한국도로공사 | Reinforcement device for approach slab and approach slab construction methods using thereof |
KR102206262B1 (en) * | 2020-07-09 | 2021-01-22 | 에스오씨기술지주 주식회사 | Construction method of steel composite girder bridg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396B1 (en) * | 2009-02-03 | 2011-03-15 | 유호산업개발(주) | Composite girder used steel-concrete |
KR101383057B1 (en) * | 2013-08-27 | 2014-04-08 | 주식회사 르네코 | Composite girder for brid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
2014
- 2014-07-18 KR KR1020140090875A patent/KR10167899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22396B1 (en) * | 2009-02-03 | 2011-03-15 | 유호산업개발(주) | Composite girder used steel-concrete |
KR101383057B1 (en) * | 2013-08-27 | 2014-04-08 | 주식회사 르네코 | Composite girder for bridg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0783A (en) | 2016-0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78999B1 (en) |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
KR100978882B1 (en) | Cantilever precast deckplate for composite slab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0947306B1 (en) | Composite bridge structure with concrete shear connector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 |
KR101064731B1 (en) | Steel-concrete composite girder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833373B1 (en) | Precast modula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101052305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composite ramen bridge which is manufactured in simple beam form and minimizes bending moment generated at the point | |
KR20100121866A (en) | Pc slave for building having reinforcement structure as a set | |
KR20020086506A (en) | Composite structural framing system | |
KR101768056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prestressed concrete girder for bridge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ame | |
KR101742046B1 (en) | Composite gird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omposite girder and of constructing birdge upper structure using same | |
KR101200563B1 (en) | A Steel Composite Bridge Having Steel Plates Connected by Using Concrete Cross Beams and Its Constructing Method | |
KR101062719B1 (en) | Psc girder increasing section rigidity and bridge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205761B1 (en) | Upper structure of composite girder bridge having low-weighed and high resistance capabilit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705002B1 (en) | Prefabricated double composite plate girder bridg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40125754A (en) |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forming continuous point part of pier using copping for connecting girder | |
KR101270733B1 (en) | Prestressed Concrete Box Girder Integrated with Steel Deck and Constructing Method of Bridge using Such Girder | |
KR101527752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prestressed composite girder bridge | |
KR101458435B1 (en) | Half precast concrete column manufacturing method using saddle-type ties and dual hoops and constructing method using the same | |
KR20080111973A (en) | Prestressed steel composite beam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KR20130090709A (en) |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plate web-psc composite beam | |
KR101688440B1 (en) | Reinforcement Member for Beam, Beam Equipped with the Reinforcement Member, Construction Structure Using the Beam | |
KR101878762B1 (en) | Coupling structure of double type for girder and column capable of reducing girder height | |
KR20210158372A (en) | Composite girder for long distance bridge | |
KR101698807B1 (en) | Manufacturing method of the psc girder using the corrugated steel plate and the psc girder manufactured thereby | |
KR20090055935A (en) | Segment type composite box girder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