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607B1 -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607B1
KR102451607B1 KR1020220026884A KR20220026884A KR102451607B1 KR 102451607 B1 KR102451607 B1 KR 102451607B1 KR 1020220026884 A KR1020220026884 A KR 1020220026884A KR 20220026884 A KR20220026884 A KR 20220026884A KR 102451607 B1 KR102451607 B1 KR 102451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ivery
information
terminal
occurrence
z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남희
최진
김향은
Original Assignee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쿠팡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쿠팡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2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607B1/ko
Priority to PCT/KR2022/095049 priority patent/WO2023167400A1/ko
Priority to KR1020220125344A priority patent/KR20230129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607B1/ko
Priority to TW112107309A priority patent/TW202336655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6Schedule adjustment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8Staff planning in a project environ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06Q10/08355Rout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배달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 업무 할당 요청 수신 이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RELATED TO DELIVERY}
본 개시는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배달 업무 집중 현상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과 통신 기술의 발달로 온라인으로 음식을 비롯한 다양한 아이템을 주문하고 배송 받는 형태의 서비스가 보편화되면서, 고객 주문과 대응하는 아이템에 대한 배송을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안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하고 있다. 신속한 배송 수행을 위하여 인력 확충이 제안될 수 있으나, 단순한 인력 확충만으로는 유동적으로 발생하는 배송 업무에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없다.
이에 효율적인 배송 업무 수행을 위하여 배송원의 위치 정보, 이동 정보 및 선호도 정보와 같은 배송원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원에 대하여 배송 업무를 할당하는 방식이 제안되었다. 배송원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배송 업무를 할당하는 방식은 특정 구역 내에서의 신속하고 효율적인 배송 업무 수행을 가능케하나, 산발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배송 집중 구역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관련하여, KR1020200023207A 및 KR1020140016053A 등의 선행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
본 개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일정 시간 동안 배달 업무를 할당 받지 못한 배달원에 대하여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의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의 실시 예들로부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유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에 의한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제1 배달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 업무 할당 요청 수신 이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제1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1 아이콘이 표시됨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의 밝기가 변화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아이콘과 대응하는 텍스트 표시 영역을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 중 주문 집중 구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아이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의 최인접 구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표시된다.
예로서, 상기 제1 페이지에 포함되는 상기 최인접 구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기본 배달 금액 정보, 배달 건 수 정보 및 배달 요청 현황을 나타내는 히트 맵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제1 서브 정보 중 상기 최인접 구역 외의 제1 구역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제1 구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제1 서브 정보에 기반한 배달원의 이동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하여 배달 업무 할당의 우선 순위를 부여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서브 정보에 기반한 배달원의 이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의 제공을 철회하고, 상기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제2 배달원 단말에 제공한다.
예로서,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원 할당 가능성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상기 배달원 할당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수치 이상으로 산출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하여 필요한 배달원 수를 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산출된 배달원 수에 대응하는 수의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제공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은 상기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 발생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레벨을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레벨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한다.
예로서, 상기 배달 업무 발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구역 넓이 대비 배달 건 수, 총 배달 건 수, 주문량 대비 구역 내 배달원 수 및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한 시간당 예상 배달 건 수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서, 상기 전자 장치는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배달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배달 업무 할당 요청 수신 이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한다.
본 개시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배달원 이동을 촉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은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배달원에 대한 배달 할당 가능성을 높이고, 배달원의 배달 업무 수행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해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제1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제2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배달 업무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제3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제3 페이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로부터 제1 정보를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은 명확하고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개시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특정한 경우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기재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단독’, ‘b 단독’, ‘c 단독’,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b,c 모두’를 포괄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될 뿐, 해당 용어로 지칭되는 구성요소로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으며, 제2 구성요소 또한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기능적인 블록 구성들 및 다양한 처리 단계들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 블록들은 특정 기능들을 실행하는 다양한 개수의 하드웨어 또는/및 소프트웨어 구성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실시 예는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제어 또는 다른 제어 장치들에 의해서 다양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메모리, 프로세싱, 로직(logic), 룩 업 테이블(look-up table) 등과 같은 직접 회로 구성들을 채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구성 요소들이 소프트웨어 프로그래밍 또는 소프트웨어 요소들로 실행될 수 있는 것과 유사하게, 본 개시의 실시 예는 데이터 구조, 프로세스들, 루틴들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구성들의 조합으로 구현되는 다양한 알고리즘을 포함하여, C, C++, 자바(Java), 어셈블러(assembler) 등과 같은 프로그래밍 또는 스크립팅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측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서 실행되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는 전자적인 환경 설정, 신호 처리, 및 데이터 처리 중 적어도 하나를 위하여 종래 기술을 채용할 수 있다.“매커니즘”, “요소”, “수단”, “구성”과 같은 용어는 넓게 사용될 수 있으며, 기계적이고 물리적인 구성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어는 프로세서 등과 연계하여 소프트웨어의 일련의 처리들(routines)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이 가능하며,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네트워크를 통해 서버나 타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은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의 통신 기반 단말,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전자 장치" 또는 "단말"은 프로세서, 프로그램 데이터를 저장하고 실행하는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영구 저장부(permanent storage),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포트, 터치 패널, 키(key), 버튼 등과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등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알고리즘으로 구현되는 방법들은 프로세서상에서 실행 가능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들 또는 프로그램 명령들로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상에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마그네틱 저장 매체(예컨대, ROM(read-only memory), RAM(random-Access memory),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등) 및 광학적 판독 매체(예컨대, 시디롬(CD-ROM), 디브이디(DVD: Digital Versatile Dis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에 분산되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전문에 걸쳐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 요소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10)을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시스템(10)은 전자 장치(110) 및 배달원 단말(12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10) 및 배달원 단말(120)은 상호간 네트워크(130)를 통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예로서, 네트워크는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 Band Network), 인터넷 중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는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또는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 및 배달원 단말(120) 간의 통신 방식은 상술한 네트워크의 종류에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 뿐 아니라 기기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트랜시버,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네트워크 서버로 구현되는 다수의 컴퓨터 시스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110)는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과 같은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다른 네트워크 서버와 통신할 수 있는 하위 장치와 연결되어 작업 수행 요청을 접수하고, 그에 대한 작업을 수행하여 수행 결과를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컴퓨터 소프트웨어를 지칭할 수 있다.
이외에도, 전자 장치(110)는 네트워크 서버 상에서 동작할 수 있는 일련의 응용 프로그램 및 내부에 구축되어 있는 각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110)는 도스(DOS), 윈도우(Windows),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또는 맥OS(MacOS)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는 네트워크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다양한 정보를 페이지로 구성하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로서, 전자 장치(110)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서비스일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을 통하여 배달원으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으며, 배달원의 배달 업무 할당 요청에 응답하여,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에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배달원의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이 전자 장치(110)에 수신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 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 전반에서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은 배달원이 배달원 단말(120)에서 전자 장치(110)와 통신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기능을 활성화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기능이 활성화된 경우, 전자 장치(110)는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원의 정보를 기반으로 배달 업무를 배달원에게 할당할 수 있다.
본 개시를 통해 일정 시간 동안 배달 업무를 할당 받지 못한 배달원에 대하여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10)로부터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배달 관련 정보는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에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인접 지역 내의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배달원 이동을 촉진할 수 있고, 배달원에게 배달 업무가 할당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에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배달원에 대한 배달 할당 가능성을 높이고, 배달원의 배달 업무 수행에 대한 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배달 관련 정보 및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10에서 후술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21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로서,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에 기반하여 획득될 수 있으며, 배달원 단말(120)은 GPS 수신기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원 단말(120)은 사용자의 승인을 기반으로 획득된 위치 정보를 전자 장치(110)에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전자 장치(110)에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배달 관련 정보는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도출된 인접 지역의 배달 관련 정보일 수 있다.
S22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한 경우,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에 대한 배달 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배달 업무의 할당은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된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스토어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배달원에 대하여 해당 스토어와 관련된 배달 업무가 할당될 수 있다. 스토어로부터 일정 반경 내에 위치하는 배달원이 복수인 경우, 전자 장치(110)는 스토어와 배달원 간의 거리, 배달 업무 유형 및 배달 업무 할당 우선 순위 중 적어도 하나를 고려하여 배달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S23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배달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이상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배달원의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이상 경과한 경우, 절차는 S240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배달원의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절차는 S23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S24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 이상 경과한 배달원의 배달원 단말(120)에 대하여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1 정보는 배달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와 인접한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해당 구역의 배달 업무 발생 레벨 정보, 기본 배달 금액 정보 및 구역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공되는 배달 관련 정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4a 내지 도 8에서 후술한다.
한편,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원 할당 가능성을 산출할 수 있다. 배달원 할당 가능성을 산출함에 있어서, 해당 구역 내 배달 업무량 및 해당 구역 내 배달원 수를 고려할 수 있으며,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한 배달원 할당 가능성이 특정 수치 이상으로 산출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제1 정보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또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110)는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하여 구역 별로 요구되는 배달원 수를 산출할 수 있다. 구역 별로 요구되는 배달원 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해당 구역 내 배달 업무 량 및 해당 구역 내 배달원 수를 고려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10)는 각 구역 별로 산출된 배달원 수에 대응하는 수의 배달원 단말(120)에 대하여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S31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 발생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배달 업무 발생 정보는 해당 구역에 대한 주문량 정보 및 기본 배달 금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업무 발생 정보는 고객으로부터 획득된 주문 정보에 기반할 수 있다. 각각의 구역은 전자 장치(110)의 관리자에 의하여 미리 구분될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하여 구역의 구분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배달 업무 발생량, 배달원들의 배치 상태를 기반으로 구역의 구분이 적응적으로 변경될 수도 있다.
S32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을 복수의 레벨들로 분류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구역 넓이 대비 배달 업무 발생 건 수, 총 배달 건 수, 해당 구역 내 배달원 수 대비 배달 업무 발생 건 수 및 해당 구역의 교통 상황 중 적어도 하나를 기반으로 복수의 구역들 각각을 복수의 레벨들로 분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복수의 구역들 각각은 4개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으며, 낮음, 보통, 많음 및 매우 많음과 같은 4개의 레벨로 분류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구역들에 대한 분류 레벨의 수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S33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하기 위한 제1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2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정보는 배달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와 인접한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S320 단계에서 도출된 배달 업무 발생 레벨 정보 및 각 구역에 대한 기본 배달 금액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S34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배달원 단말(120)에 대한 위치 정보와 인접한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중 주문 집중 구역을 분류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주문 집중 구역은 S320 단계에서 상위 레벨로 분류된 구역이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서, 상위 레벨은 많음 및 매우 많음 레벨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 예일 뿐, 상위 레벨을 분류하는 기준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주문 집중 구역으로의 분류 기준은 전자 장치(110)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S320 단계에서 복수의 구역들이 5개의 레벨로 분류된 경우, 상위 3개 레벨에 대응하는 구역이 주문 집중 구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주문 집중 구역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제1 서브 정보로 지칭된다.
도 4a 및 도 4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1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4a 및 도 4b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이 수신되기 전, 전자 장치(110)로부터 배달원 단말(120)로 제공되는 제1 페이지(P11 또는 P12)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된 경우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1 페이지(P11)를 도시하고, 도 4b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1 페이지(P12)를 도시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10)에 의하여 배달원 단말로 제공되는 제1 페이지(P11)는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지도 정보 상에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구역들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제1 내지 제5 마커(M11, M12, M13, M14, M15)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마커(M11, M12, M13, M14, M15) 각각은 해당 구역 정보, 해당 구역의 기본 배달 금액 정보 및 배달 업무 발생 레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주문 집중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아이콘(ICON)이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많음 및 매우 많음 레벨에 해당하는 구역이 주문 집중 구역으로 분류되는 경우, 도 4a에 표시된 제1 마커(M11), 제3 마커(M13) 및 제4 마커(M14)와 대응하는 구역이 주문 집중 구역으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도 4b를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10)에 의하여 배달원 단말로 제공되는 제1 페이지(P12) 또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정보 상에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가 표시될 수 있으며, 각 구역들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제1 내지 제5 마커(M21, M22, M23, M24, M25)로 표시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5 마커(M21, M22, M23, M24, M25) 각각은 해당 구역 정보, 해당 구역의 기본 배달 금액 정보 및 배달 업무 발생 레벨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되지 않으므로, 주문 집중 구역과 관련된 배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아이콘은 표시되지 않는다.
도 5a 및 도 5b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제2 페이지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5a 및 도 5b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이 수신된 후, 전자 장치(110)로부터 배달원 단말(120)로 제공되는 제2 페이지(P21 또는 P22)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된 경우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2 페이지(P21)를 도시하고, 도 5b는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2 페이지(P22)를 도시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된 경우, 전자 장치(110)에 의하여 배달원 단말로 제공되는 제2 페이지(P21)는 상술한 도 4a와 마찬가지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정보 상에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가 제1 내지 제5 마커(M11, M12, M13, M14, M15)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주문 집중 구역과 관련된 배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아이콘(ICON) 및 배달원의 수익 정보(C1)가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도 5b를 참조하면,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주문 집중 구역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전자 장치(110)에 의하여 배달원 단말로 제공되는 제2 페이지(P22)는 상술한 도 4b와 마찬가지로 지도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정보 상에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획득한 위치 정보의 인접 지역에 포함되는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가 제1 내지 제5 마커(M21, M22, M23, M24, M25) 및 배달원의 수익 정보(C1)가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주문 집중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아이콘(ICON)은 표시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일정 시간 동안 배달 업무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배달원 단말에 제공되는 시각적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전자 장치(110)가 배달원 단말(120)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하였으나, 일정 시간 동안 해당 배달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제공되는 시각적 효과를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일정 시간 동안 배달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주문 집중 구역과 관련된 배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제1 아이콘(ICON)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제1 아이콘(ICON)에 대응하여 텍스트 영역으로 표시되는 배너(BN)가 제2 페이지(P21)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페이지(P21)에 포함된 지도 정보,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된 제1 내지 제5 마커(M11, M12, M13, M14, M14) 및 배달원의 수익 정보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동일하나, 지도 정보 영역의 밝기가 변화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지도 정보 영역의 밝기는 어둡게 변화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아이콘(ICON)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3 페이지(P3)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아이콘(ICON)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도 5a에 도시된 제2 페이지(P21) 상의 배달 수익 정보 및 주문 집중 구역에 해당하지 않는 구역과 대응하는 마커(M12, M15)를 제외한 주문 집중 구역과 대응하는 마커(M11, M13, M14)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지도 정보 상의 제1 아이콘(ICON)은 활성화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10)는 주문 집중 구역 중 배달원 단말(120)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최인접 구역으로 확인되는 구역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페이지(P3)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으며, 인접 구역은 가장 인접한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서, 제3 페이지(P3)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실시 예에서, 제4 마커(M14)와 대응하는 구역이 최인접 구역으로 확인되고, 제4 마커(M14)와 대응하는 구역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가 제3 페이지(P3)에 포함될 수 있다. 제3 페이지(P3)의 구성은 후술할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한편, 주문 집중 구역과 대응하는 복수의 마커들(M11, M13, M14) 중 최인접 구역에 대응하는 제4 마커(M14)가 아닌 제1 마커(M11) 또는 제3 마커(M13)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3 페이지(P3)는 해당 마커와 대응하는 구역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제1 마커(M1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제1 마커(M11)와 대응하는 구역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3 페이지(P3)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되는 제3 페이지(P3)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최인접 구역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로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기본 배달 금액 정보, 배달 건 수 정보, 배달 업무 레벨 정보 및 배달 요청 현황을 나타내는 히트 맵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배달 업무 레벨 정보는 도 3에서 상술한 바에 따라 분류된 배달 업무 레벨과 대응할 수 있으며, 히트 맵 정보는 해당 구역 내에서 발생한 배달 업무량을 열 분포 형태로 표현한 것을 지칭한다.
한편, 주문 집중 구역 중 최인접 구역을 제외한 나머지 구역과 대응하는 마커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제3 페이지(P3)는 해당 마커와 대응하는 구역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상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라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1 정보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9에서 제공되는 제1 정보는 상술한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 지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91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전송한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도 5a 및 도 5b에서 도시한 제2 페이지(P21 또는 P22)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취지에 따라, 전자 장치(110)에 의하여 제1 배달원 단말에 도 5a에서 도시한 제2 페이지(P21)가 제공됨을 전제한다.
S92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1 임계 시간은 전자 장치(110)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절차는 S93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배달 업무 할당 대기 시간이 제1 임계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절차는 S920 단계를 반복할 수 있다.
S93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배달원 단말의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인접 지역에 대한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정보를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제1 정보의 제공과 더불어,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시각적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시각적 효과는 도 6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아이콘(ICON) 및 배너(BN)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고, 지도 정보에 대한 밝기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S94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배달원 단말에 대응하는 배달원이 제1 정보에 포함된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구역으로 이동을 수행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배달원이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구역으로의 이동을 수행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절차는 S95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배달원이 주문 집중 구역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구역으로의 이동을 수행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절차는 S97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S95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부여된 이동 유예 시간이 제2 임계 시간을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2 임계 시간은 전자 장치(110)의 관리자에 의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부여된 이동 유예 시간이 제2 임계 시간을 경과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절차는 S960 단계로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부여된 이동 유예 시간이 제2 임계 시간을 경과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절차는 S940 단계로 회귀할 수 있다.
S96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제1 정보의 제공을 철회하고, 제2 배달원 단말에 제1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배달원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는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위치 정보와 대응할 수 있으며, 전자 장치(110)는 제2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할 것을 전제로 한다.
S970 단계에서, 전자 장치(110)는 주문 집중 구역으로의 이동이 확인된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배달 업무를 할당할 수 있다. 할당되는 배달 업무는 이동지인 주문 집중 구역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일 수 있다. 한편, 배달원이 전자 장치(110)로부터 제공된 주문 집중 구역과 관련된 정보를 기반으로 주문 집중 구역으로의 이동을 수행함이 확인되는 경우, 전자 장치(110)는 해당 배달원에 대하여 배달 업무 할당의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실시 예의 방법에 따라 주문 집중 구역을 확인하고, 그를 기반으로 이동을 수행한 배달원에 대해서는 해당 구역에서 배달 업무를 할당할 때 보다 높은 우선 순위를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우선 순위를 높임으로써 배달원이 장기간 배달 업무를 할당 받지 못할 가능성을 낮출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달원이 안정적으로 배달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110)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10)는 트랜시버(1010), 프로세서(1020) 및 메모리(103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10)는 트랜시버(1010)를 통하여 배달원 단말(120)과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1020)는 상술한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통하여 설명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02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전자 장치(110)를 제어할 수 있다.
메모리(103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또한, 메모리(1030)는 프로세서(102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 않았으나, 전자 장치(110)로부터 배달 관련 정보를 배달원 단말(120)에 제공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된 내용은 본 개시를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들이다. 본 개시는 상술된 실시 예들뿐만 아니라, 단순하게 설계 변경되거나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실시 예들 또한 포함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상술된 실시 예들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기술들도 포함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상술된 실시 예들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본 개시의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전자 장치에 의한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배달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구분된 복수의 구역들을 확인하는 단계;
    배달 업무 발생 정보 및 배달원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배달 업무 할당 요청 수신 이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구역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응하는 배달원 할당 가능성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배달원 할당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수치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배달 업무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한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를 기반으로 지도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제1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아이콘은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되며, 상기 제1 아이콘이 표시됨에 대응하여 상기 지도 정보가 표시되는 영역의 밝기가 변화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과 대응하는 텍스트 표시 영역을 상기 지도 정보 상에 표시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한 레벨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레벨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전자 장치의 관리자에 의한 설정 정보에 따라 상위 레벨로 분류되는 적어도 하나의 구역을 주문 집중 구역으로 분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 아이콘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정보 중 상기 주문 집중 구역의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서브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아이콘에 대한 제1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서브 정보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구역으로부터 가장 가까이 인접한 제2 구역의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페이지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페이지는 사용자의 스크롤 입력을 기반으로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표시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페이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2 구역의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는 기본 배달 금액 정보, 배달 건 수 정보 및 배달 요청 현황을 나타내는 히트 맵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정보 중 상기 제2 구역과 상이한 제3 구역에 대응하는 제2 사용자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페이지는 상기 제3 구역의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9.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정보에 기반한 배달원의 이동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배달원에 대하여 배달 업무 할당의 우선 순위를 부여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0. 제5 항에 있어서,
    제2 시간 동안 상기 제1 서브 정보에 기반한 배달원의 이동이 확인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한 상기 제1 정보의 제공을 철회하고, 상기 제1 서브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정보를 상기 위치 정보와 대응하는 제2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구분된 복수의 구역들을 확인하는 단계는 배달 업무 발생 정보 및 배달원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수행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하여 필요한 배달원 수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달원 수에 대응하는 수의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1 정보를 제공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3. 삭제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달 업무 발생 정보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구역 넓이 대비 배달 건 수, 총 배달 건 수, 주문량 대비 구역 내 배달원 수 및 실시간 교통 상황을 반영한 시간당 예상 배달 건 수와 관련된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배달 관련 정보 제공 방법.
  15. 배달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서,
    트랜시버, 명령어를 저장하는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트랜시버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는 상기 프로세서는,
    제1 배달원 단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배달 업무 할당 요청을 수신하고,
    설정된 기준을 기반으로 구분된 복수의 구역들을 확인하고,
    배달 업무 발생 정보 및 배달원 배치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복수의 구역들 각각에 대응하는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배달 업무 할당 요청 수신 이후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배달 업무가 할당되지 않은 시간이 제1 시간 이상인 경우, 상기 제1 배달원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제1 구역과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구역의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를 기반으로 산출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응하는 배달원 할당 가능성을 확인하고,
    상기 배달원 할당 가능성 중 적어도 하나가 특정 수치 이상으로 확인되는 경우, 배달 업무와 관련된 제1 정보를 상기 제1 배달원 단말에 제공하되,
    상기 제1 정보는 상기 복수의 구역들 중 상기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제1 구역 및 상기 제1 구역과 인접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역에 대한 상기 배달 업무 발생 빈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0220026884A 2022-03-02 2022-03-02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1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84A KR102451607B1 (ko) 2022-03-02 2022-03-02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CT/KR2022/095049 WO2023167400A1 (ko) 2022-03-02 2022-03-04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125344A KR20230129903A (ko) 2022-03-02 2022-09-30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TW112107309A TW202336655A (zh) 2022-03-02 2023-03-01 提供與運送相關之資訊的電子設備及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6884A KR102451607B1 (ko) 2022-03-02 2022-03-02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344A Division KR20230129903A (ko) 2022-03-02 2022-09-30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607B1 true KR102451607B1 (ko) 2022-10-06

Family

ID=835973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6884A KR102451607B1 (ko) 2022-03-02 2022-03-02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1020220125344A KR20230129903A (ko) 2022-03-02 2022-09-30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344A KR20230129903A (ko) 2022-03-02 2022-09-30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2) KR102451607B1 (ko)
TW (1) TW202336655A (ko)
WO (1) WO2023167400A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458A (ko) * 1998-08-14 2001-07-31 샌제이브 사이두 공급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1267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아이원맥스 대기시간기준 용역배정방법
KR20170125756A (ko) * 2017-06-19 2017-11-15 김학해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KR20180042598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배달주문 분배시스템 및 방법
JP2019016008A (ja) * 2017-07-03 2019-01-31 三菱ロジスネクスト株式会社 配車システム
KR20200023207A (ko) * 2018-08-24 2020-03-04 황인혁 배달기사의 상태에 기초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92590A (ko) * 2019-01-25 2020-08-04 류성헌 실시간 배달기사 중개시스템
KR20200109220A (ko) * 2019-03-12 2020-09-22 쿠팡 주식회사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기주도적 할당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2265A (ko) * 2019-03-21 2020-10-05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20210124939A (ko) * 2019-09-23 2021-10-15 쿠팡 주식회사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동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2458A (ko) * 1998-08-14 2001-07-31 샌제이브 사이두 공급망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81267A (ko) * 2008-01-23 2009-07-28 주식회사 아이원맥스 대기시간기준 용역배정방법
KR20180042598A (ko) * 2016-10-18 2018-04-26 주식회사 우아한형제들 배달주문 분배시스템 및 방법
KR20170125756A (ko) * 2017-06-19 2017-11-15 김학해 배달중개시스템 및 배달중개방법
JP2019016008A (ja) * 2017-07-03 2019-01-31 三菱ロジスネクスト株式会社 配車システム
KR20200023207A (ko) * 2018-08-24 2020-03-04 황인혁 배달기사의 상태에 기초한 배달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00092590A (ko) * 2019-01-25 2020-08-04 류성헌 실시간 배달기사 중개시스템
KR20200109220A (ko) * 2019-03-12 2020-09-22 쿠팡 주식회사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기주도적 할당을 위한 모바일 디바이스 기반의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12265A (ko) * 2019-03-21 2020-10-05 씨제이대한통운 (주) 배송 서비스 시스템
KR20210124939A (ko) * 2019-09-23 2021-10-15 쿠팡 주식회사 플렉서블 배달 작업의 자동 할당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67400A1 (ko) 2023-09-07
TW202336655A (zh) 2023-09-16
KR20230129903A (ko) 202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70163B2 (en) Digital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utomatic relationship recognition in tables of collaborative work systems
CN108415921B (zh) 供应商推荐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748097B2 (en) Permitted assignment user interface
US11442139B2 (en) Clinic wait-time visibility and reservations
KR102250745B1 (ko) 배달원의 배정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20150142490A1 (en) Schedule manager
US10957109B2 (en) Dynamic partition of augmented reality region
KR101999185B1 (ko) 일정의 유무를 표시하는 일정 제공 방법 및 장치
Geng et al. Optimal patient assignment for W queueing network in a diagnostic facility setting
KR102451607B1 (ko) 배달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20130110568A1 (en) Assigning work orders with conflicting evidences in services
KR102429437B1 (ko) 배송 업무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JP6411024B2 (ja) データ格納装置、データ格納方法およびデータ格納プログラム
US11429330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10354313B2 (en) Emphasizing communication based on past interaction related to promoted items
WO2017090610A1 (ja) 予約処理装置、予約処理方法および予約処理プログラム
CN110068351B (zh) 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11076544A (ja) 作業手順策定支援システム、作業手順策定支援方法、および作業手順策定支援プログラム
US20200333155A1 (en) Client and prospect app
US20140114719A1 (en) Allocating Service Consumers into Compatible Resource Pools
US20120110492A1 (en) Method and system for time sheet messaging
JP6499044B2 (ja) タスク管理装置、タスク管理方法、タスク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提供方法
CN113763104A (zh) 用于订单收货地址的处理方法和装置以及电子设备和介质
KR20230151678A (ko) 전자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JP2016095706A (ja) 事業所設置候補駅提示プログラム、事業所設置候補駅提示方法及び事業所設置候補駅提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