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493B1 -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 Google Patents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493B1
KR102451493B1 KR1020150128389A KR20150128389A KR102451493B1 KR 102451493 B1 KR102451493 B1 KR 102451493B1 KR 1020150128389 A KR1020150128389 A KR 1020150128389A KR 20150128389 A KR20150128389 A KR 20150128389A KR 102451493 B1 KR102451493 B1 KR 10245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ctuator
reinforcing
bearing
ax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83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7078A (ko
Inventor
박인용
최윤
박성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모아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모아텍
Priority to US14/863,483 priority Critical patent/US20160091052A1/en
Priority to CN201520755687.XU priority patent/CN205089946U/zh
Publication of KR201600370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70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2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more than two intermeshing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1Shaft support structures, e.g. partition walls, bearing eyes, casing walls or covers with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Gears, Ca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우징 부와; 상기 하우징 부에 설치되며, 회전되는 샤프트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 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서로 기어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부; 및 상기 다수의 기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보강력을 형성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엑츄에이터를 갖는 전자 기기도 제공한다.

Description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ACTU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엑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출 및 성형 시 편차를 방지하여 작동각 오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나 트럭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는 그 전방에 전조등이 구비되어 있어 야간이나 날씨가 나빠 시야가 좋지 않을 때 점등시켜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전조등은 종래에는 전향램프와 하향램프를 별도로 구비하여 평소에는 하향램프를 점등시켜 주행하다가 특별히 잘 안보이는 상황에서는 전향램프를 켜고 주행을 하게 된다.
따라서, 차량용 헤드 램프는 상하로의 회전 위치가 설정되고, 이는 별도의 엑츄에이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위치가 제어된다.
또한, 램프 어셈블리는 엑츄에이터에 구비되어 회전되는 샤프트에 연결되고, 샤프트의 회전 동작에 연동되어 회전 위치가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의 샤프트의 회전력은 서로 기어 연결되는 다수의 기어들로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기어들은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는 기어는 고온 분위기에 방치하는 경우 곡률 방향으로 편심되어 기어 누적 피치 오차가 발생됨에 따라, 기어의 정밀도가 하락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편심되는 오차를 갖는 기어들이 서로 기어 물림되어 회전되면, 작동각의 오차를 발생시키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선행문헌으로는 대한민국 공개실용 공개번호 제20-1999-0015589호(공개일 : 1999년 05월 15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출 성형 기어의 사출 성형시의 편차 및, 고온 분위기에서의 열변형을 방지하여 작동각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어의 회전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하우징 부와; 상기 하우징 부에 설치되며, 회전되는 샤프트를 갖는 구동부와; 상기 하우징 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서로 기어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부; 및 상기 다수의 기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보강력을 형성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엑츄에이터를 제공한다.
상기 다수의 기어부는, 제 1축을 따르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축과 직교되는 제 2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기어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 2기어와, 상기 제 2축과 직교되는 제 3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 3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기어는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다단 기어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다단 기어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기어는, 상단 기어와, 상기 상단 기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기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단 기어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단 기어의 중앙에는 설치홀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설치홀에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인 것이 좋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2단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일 수도 있다.
상기 보강부의 높이는, 기어를 회전 지지하도록 관통되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면을 밀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강부의 일부 영역은, 서로 기어 연결되는 상대측 기어부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축 상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상기 보강 부재의 구심력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하단 기어의 두께 보다 두텁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 부재는, 볼 베어링 또는 슬리브 베어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는, 압입 공정, 융착 공정, 코킹 공정, 인서트 사출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상기 기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기어의 일단에는 베어링이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베어링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베어링 수납부에는, 상기 베어링을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은 상술한 엑츄에이터를 갖는 전자 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사출 성형 기어의 사출 성형시의 편차 및, 고온 분위기에서의 열변형을 방지하여 작동각 편차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기어의 회전축의 회전을 안내하는 베어링 부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어부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기어와 보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보강부와 제 2기어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보강부와 제 2기어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7의 보강부와 제 2기어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1,2기어의 기어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제2,3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커버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보강 부재 미 적용시 제 2기어와, 보강 부재 적용시 제 2기어의 각도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는 크게 하우징 부(100)와, 구동부(200)와, 다수의 기어부(300)와, 보강부(400)로 구성된다.
하우징 부(100)
본 발명에 따르는 하우징 부(100)는 하부 하우징(110)과, 상기 하부 하우징(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120)으로 구성된다.
구동부(200)
본 발명에 따르는 구동부(200)는 모터(210)와, 샤프트(220)로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220)는 모터(210)의 중심축에 형성되어, 모터(210)의 구동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여기서, 상기 샤프트(220)는 수평 방향을 따르는 제 1축(?)을 따라 회전된다.
다수의 기어부(3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르는 기어부들의 배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 하면, 상기 다수의 기어부(300)는 제 1기어(310)와, 제 2기어(320)와, 제 3기어(33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기어(310)는 상기 샤프트(220)에 설치되고, 샤프트(220)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상기 제 1기어(310)는 제 1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된다.
여기서, 상기 하부 하우징(110)에는 구동부(200)와 제 1기어(30)가 안착되는 제 1설치 영역(A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기어(320)는 제 1기어(310)와 기어 연결되도록 세워져 배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10)에는 제 2기어(320)가 설치되는 제 2설치 영역(A2)이 형성된다. 상기 제 2설치 영역(A2)에는 제 1축(?)과 직교를 이루는 제 2축(?)을 따르는 회전축(111)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기어(320)는 상기 회전축(111)에 끼워져 회전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 2기어(320)는 제 1기어(310)와 연동되어 회전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기어와 보강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2기어(320)를 설명한다.
상기 제 2기어(320)는 단차를 이루는 형상의 다단 기어로 형성된다.
상기 제 2기어(320)는 상단 기어(321)와, 상단 기어(321)의 하단에 형성되는 하단 기어(322)로 구성된다.
상기 하단 기어(322)의 직경은 상단 기어(321)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단 기어(322)의 하단 내측 중앙에는 설치홀(322a)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3기어(330)는 제 2기어(320)의 상단 기어(321)와 기어 물림되도록 하부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 3기어(330)는 제 2기어(32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차량에 사용되는 전조등과 같은 다른 외부 구조물을 일정 회전각 범위 내에서 왕복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보강부(400)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400)는 상술한 제 2기어(320)의 내측 중앙에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400)는 링 형상의 보강 부재(410)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 부재(4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강 부재(410)는 제 2기어(320)의 내측 중앙에 압입 공정, 융착 공정, 코킹 공정, 인서트 사출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강 부재(410)는 제 2기어(320)의 하단 기어(322)에 형성되는 설치홀(322a)에 압입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 보강 부재(410)는 구심력 방향으로의 두께는 제 2기어(320)의 하단 기어(322)의 두께 보다 더 두텁게 형성되는 것이 좋다.
실질적으로, 상기 보강 부재(410)의 외측 둘레는 제 2기어(320)의 하단 기어(322) 설치홀(322a) 내측 둘레에 밀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보강 부재(410)는 볼 베어링 또는 슬리브 베어링 중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보강 부재(410)의 외측 둘레에는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돌기들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하단 기어(322)의 설치홀(322a)의 내측 둘레에는 상기 돌기들이 끼워져 고정되는 다수의 돌기홈이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보강 부재(410)가 설치홀(322a)에 삽입 설치되는 경우, 돌기들이 돌기홈들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력을 추가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
더하여, 돌기들의 형상을 곡면 돌기로 형성하고, 돌기홈들을 곡면 돌기홈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하단 기어(322)가 외부 온도 분위기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과 같은 열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곡면 접촉을 통한 수축 또는 팽창에 따르는 변형력을 분산시켜 최종적으로 제 2기어(320)의 변형량을 최소화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작용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사출 성형기어 변형량 보정용 부품인 보강 부재를 제 2기어에 삽입 설치하여 지지하도록 함으로써, 기어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기어물림 편차가 향상되어 제품 성능의 작동각 오차의 편차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기어를 고온에 방치하는 경우, 보강 부재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경 부분에서 지지하기 때문에, 열변형 방지가 되어 기어정밀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의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보강부와 제 2기어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600)는 2단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610,620)이다.
2단의 보강 부재(610,620)는, 단차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2기어(320)에는 회전축(111)이 관통되는 회전홀(3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기어(320)의 하단에는 보강부(600)가 압입되는 2단 형상의 설치홀(322b)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600)에는, 회전축(111)이 관통되는 관통홀(600a)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600)는 제 2기어(320)의 설치홀(322b)에 압입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600)의 관통홀(600a)을 관통하는 회전축(111)은, 상기 관통홀(600a)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사출기어인 제 2기어(320)의 내측에 압입된 상기 보강부(600)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 2기어(320)를 지지하는 회전축(111)의 클리어런스가 최소화된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111)의 유동이 방지되어 기어 흔들림에 따른 작동각 오차가 개선된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의 또 다른 예를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보강부와 제 2기어와의 결합관계를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7의 보강부와 제 2기어와의 결합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700)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710,720,730)이다. 바람직하게, 3단으로 형성된다.
3단의 보강 부재(710,720,730)는, 단차지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제 2기어(320)에는 회전홀(320a)이 형성된다. 상기 제 2기어(320)의 하단에는 보강부(700)가 압입되는 3단 형상의 설치홀(322c)이 형성된다.
3단의 보강 부재(710,720,730) 중, 상단측의 '730' 보강 부재는, 제 2기어(320)의 회전홀(320a)에 위치되고, 상기 회전홀(320a)의 내면에 밀착된다.
상기 보강부(700)에는, 회전축(111)이 끼워지는 관통홀(700a)이 형성된다.
상기 보강부(700)는 제 2기어(320)의 설치홀(320c)에 압입 설치된다.
상기 보강부(700)의 관통홀(700a)을 관통하는 회전축(111)은, 상기 관통홀(700a)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700)는 3단으로 형성되고, 제 2기어(320)에 형성되는 회전홀(320a) 및 설치홀(322c)에 압입 설치된다.
더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보강부(700)의 높이는 제 2기어(320)를 회전 지지하도록 관통되는 상기 회전축(111)의 길이에 포함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700)는, 상기 회전축(111)의 외면을 밀착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보강부(600,700)에서와 같이, 보강부(600,700)가 회전축(111)의 일부 또는 전체 외면을 밀착할 수 있는 높이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출기어인 제 2기어(320)의 내측에 압입된 상기 보강부의 길이가 길수록 상기 제 2기어(320)를 지지하고 있는 회전축(111)의 클리어런스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축(111)의 유동이 방지됨으로써, 제 2기어(320)의 흔들림에 따른 작동각 오차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0은 제 1,2기어의 기어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1은 제2,3기어의 맞물림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부(600,700)의 일부 영역은 서로 기어 연결되는 상대측 기어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축(C) 상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은 제 2기어(320)에 설치되는 보강부(600)의 일부 영역이 제 1기어(310)의 축선(C)에 포함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도 11은 제 2기어(320)에 설치되는 보강부(700)의 일부 영역이 제 3기어(330)의 축선(C)에 포함되는 경우를 보여준다.
따라서, 상기 보강부(700)의 위치를 기어 연결되는 상대 기어인 제 1기어(310) 또는 제 3기어(330)의 축선(C)과 대응되는 위치에 위치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제 2기어(32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르는 베어링 커버의 설치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는 하부 하우징(110)에는 베어링 수납부(11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제 1기어(310)의 단부에는 베어링(311)이 설치된다.
상기 하부 하우징(110)에서 제 1설치 영역(A1)에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격벽으로 형성되는 베어링 수납부(112)가 형성된다.
상기 제 1기어(310)의 베어링(311)은 상기 베어링 수납부(112)의 내부 공간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베어링 수납부(112)의 상단에는 베어링 커버(500)가 설치된다.
상기 베어링 커버(500)는 베어링(311)이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베어링(311)을 커버함과 아울러, 베어링(311)의 설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 커버(500)는 베어링 수납부(112)의 상단에서 탈착 가능할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커버(500)는 베어링 수납부(112)의 상단에 배치 및, 베어링 수납부(112)의 내부 공간을 커버하는 커버 몸체(510)와, 커버 몸체(510)의 측부에서 하방으로 벤딩되는 걸림 고리(520)로 구성된다.
상기 걸림 고리(520)는 베어링 수납부(112)의 격벽 외면에 형성되는 걸림 돌기(미도시)에 걸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버 몸체(510)는 베어링 수납부(112)에 스크류 볼트(530)에 의해 스크류 체결되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제 1기어의 단부에 설치되는 베어링을 커버함과 아울러, 설치 위치를 고정함으로서, 안정적인 기어 구동을 안내할 수 있다.
도 13은 보강 부재 미 적용시 제 2기어와, 보강 부재 적용시 제 2기어의 각도 변화량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한편. 도 13을 참조 하여, (a)보강 부재 미 적용시 제 2기어와, (b)보강 부재 적용시 제 2기어의 회전각에 따른 진동 결과 보면, (a)의 경우 각도 변화량이 큰 반면, (b)는 각도 변화량이 일정한 상태를 이룬다.
즉, (a)는 제 2기어의 변형이 발생되어 원래 형상을 유지하는 정도가 낮고, (b)는 제 2기어의 원래 형상이 유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의 결과를 기초로, 본 발명에 따르는 보강 부재를 채용한 경우의 제 2기어의 변형량은 최소화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하우징 부
110 : 하부 하우징
111 : 회전축
112 : 베어링 수납부
120 : 상부 하우징
200 : 구동부
210 : 모터
220 : 샤프트
300 : 기어부
310 : 제 1기어
311 : 베어링
320 : 제 2기어
321 : 상단 기어
322 : 하단 기어
322a, 322b, 322c : 설치홀
330 : 제 3기어
400, 600, 700 : 보강부
410 : 보강 부재
500 : 베어링 커버
510 : 커버 몸체
520 : 걸림 고리
530 : 스크류 볼트
A1 : 제 1설치 영역
A2 : 제 2설치 영역

Claims (14)

  1. 하우징 부;
    상기 하우징 부에 설치되며, 샤프트를 갖는 구동부;
    상기 하우징 부에 설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회전력에 의해 서로 기어 연결되어 회전되는 다수의 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기어부의 기어들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서로 연결되고,
    상기 다수의 기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내측부에 설치되어 보강력을 형성하는 보강부와,
    상기 다수의 기어부 중 하나의 기어는 상부와 하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는 상기 상부와 다른 직경을 가지며,
    구심력 방향의 상기 보강부의 두께는 상기 내측부에 설치된 상기 보강부가 상기 다수의 기어부 중 적어도 하나의 기어의 상기 하부의 두께보다는 크게 형성되고,
    구심력 방향에 직각인 방향에서의 상기 보강부의 높이는 상기 하부의 높이보다는 낮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기어부는,
    제 1축을 따르는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 1기어와,
    상기 제 1축과 직교되는 제 2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1기어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 2기어와,
    상기 제 2기어와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 2축과 동일축선을 이루는 제 3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제 2기어와 연동하여 회전되는 제 3기어를 구비하되,
    상기 제 2기어는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다단 기어이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다단 기어의 하단부 내측에 삽입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부는 서로 결합되는 상부 하우징과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하우징에는 상기 제 2기어가 설치되는 제 2설치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설치 영역에는 상기 제 2축을 따르는 회전축이 형성되고,
    상기 제 2기어는,
    상단 기어와, 상기 상단 기어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상단 기어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하단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하단 기어의 중앙에는 설치홀이 형성되고,
    상기 보강부는, 상기 설치홀에 삽입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링 형상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2단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다단으로 형성되는 보강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높이는,
    기어를 회전 지지하도록 관통되는 상기 회전축의 길이에 포함되도록 형성되되,
    상기 보강부는, 상기 회전축의 외면을 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의 일부 영역은,
    서로 기어 연결되는 상대측 기어부의 회전 축선으로부터 직교를 이루는 축 상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9.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의 구심력 방향으로의 두께는,
    상기 하단 기어의 두께 보다 두텁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10. 제 4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부재는,
    볼 베어링 또는 슬리브 베어링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압입 공정, 융착 공정, 코킹 공정, 인서트 사출 공정 중 어느 하나의 공정을 통해 상기 기어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12.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기어의 일단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베어링이 수납되는 베어링 수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수납부에는,
    상기 베어링을 커버하는 베어링 커버가 탈착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엑츄에이터.
  14. 제 1항의 엑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
KR1020150128389A 2014-09-25 2015-09-10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4514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63,483 US20160091052A1 (en) 2014-09-25 2015-09-24 Actu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CN201520755687.XU CN205089946U (zh) 2014-09-25 2015-09-25 作动器及具有其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128580 2014-09-25
KR1020140128580 2014-09-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78A KR20160037078A (ko) 2016-04-05
KR102451493B1 true KR102451493B1 (ko) 2022-10-11

Family

ID=55800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8389A KR102451493B1 (ko) 2014-09-25 2015-09-10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4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439A (ja) 2002-11-29 2004-07-02 Seiko Epson Corp 現像カートリッジにおける放熱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6070961A (ja) * 2004-09-01 2006-03-16 Oriental Motor Co Ltd トルクリミッタ付き歯車減速機
JP2007146970A (ja) * 2005-11-28 2007-06-14 Aisin Ai Co Ltd インナレース固定装置
JP2010159786A (ja) * 2009-01-07 2010-07-22 Hitachi Ltd 歯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4459B1 (ko) * 2012-11-08 2015-02-10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변속형 구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4439A (ja) 2002-11-29 2004-07-02 Seiko Epson Corp 現像カートリッジにおける放熱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現像カートリッジ
JP2006070961A (ja) * 2004-09-01 2006-03-16 Oriental Motor Co Ltd トルクリミッタ付き歯車減速機
JP2007146970A (ja) * 2005-11-28 2007-06-14 Aisin Ai Co Ltd インナレース固定装置
JP2010159786A (ja) * 2009-01-07 2010-07-22 Hitachi Ltd 歯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7078A (ko) 2016-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1052A1 (en) Actuator and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US8579444B2 (en) Modular rear view mirror and method to assemble it
KR101074282B1 (ko) 자동차용 윈드실드 와이퍼 장치
US20160159284A1 (en) Vehicle visual recognition device
US9853521B2 (en) Actuator incorporating a casing having a motor mounting structure
CN109964052B (zh) 调节螺栓
US7575351B2 (en) Vehicular headlamp
CN110650868B (zh) 车辆用灯具
US7222386B2 (en) Wiper pivot and vehicle wiper device having the same
KR102451493B1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JP4775589B2 (ja) ダイアル式操作スイッチ
KR100868711B1 (ko) 자동차용 팬 모터를 하우징에 연결하는 마운트
US8721143B2 (en) Actuator
CN108223630A (zh) 离合力调节器机构
WO2009064186A1 (en) Mounting construction for an outside mirror unit
KR101680600B1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기기
JP2006193144A (ja) 短寸のレベリングアクチュエータを備えるヘッドライト
KR102302534B1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JP2008114829A (ja) 自動車のラックストローク可変装置
KR20140127939A (ko) 수직 방향의 모터 체결 구조를 갖는 엑츄에이터
JP7041074B2 (ja) 外部ミラー、カメラ及び/又はディスプレイといった外部視覚要素のための調節装置を自動車の外部視覚ユニットの保持フレームに固定するための固定構造並びに外部視覚ユニット
CN108533723B (zh) 变速器驱动装置和带有变速器驱动装置的舒适驱动装置
KR20160099787A (ko)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US20230400090A1 (en) Assembly structure of dust cap and steer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JP7179606B2 (ja) 電動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ドアラ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