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84459B1 - 변속형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변속형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84459B1
KR101484459B1 KR20120126330A KR20120126330A KR101484459B1 KR 101484459 B1 KR101484459 B1 KR 101484459B1 KR 20120126330 A KR20120126330 A KR 20120126330A KR 20120126330 A KR20120126330 A KR 20120126330A KR 101484459 B1 KR101484459 B1 KR 101484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driving
case
case body
mou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126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59654A (ko
Inventor
이우용
Original Assignee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20126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844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59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9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84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84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an orbital gear has an axis crossing the main axes of the gearing and has helical teeth or is a wor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23Mounting or installation of gears or shafts in the gearboxes, e.g. methods or means for assemb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1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characterised by covers or lids for gear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8General details of gearing of gearings with membe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57/082Planet carr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28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3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 F16H2001/327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 which the central axis of the gearing lies inside the periphery of an orbital gear with orbital gear sets comprising an internally toothed ring g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tarders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Abstract

변속형 구동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변속형 구동장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기어부와, 연결기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와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기어와 선기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유성기어를 구비하는 감속부와, 연결기어부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유성기어에 맞물리는 링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커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변속형 구동장치{CHANGE SPEED ACTUATOR}
본 발명은 변속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성이 향상되며, 변속이 이루어지는 공간이 축소되어 공간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속형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차양막의 승하강이나, 주차 브레이크장치의 제동 등에 구동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구동장치는,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아 기어가 회전하며, 모터의 동력을 전달받는 기어들이 변속되어 회전토크를 증대시킨다.
이러한 기어와 연결된 출력축이 회전하면서 차양막이나 주차 브레이크장치 등을 동작시킨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2010-0043776호(2010.04.29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의 선 쉐이드 구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모터에서 발생하는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경우, 변속을 이루기 위한 부품수가 증가되어 조립성이 저하된다.
또한 모터와 연결되는 기어의 설치공간이 증가하여 제품의 외형이 증가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이 발생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부품수의 감소로 조립성이 향상되는 변속형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토크를 증가시키는 기어의 설치공간이 감소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변속형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는: 케이스부와, 케이스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와, 구동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기어부와, 연결기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와, 종동기어와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기어와 선기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유성기어를 구비하는 감속부와, 연결기어부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유성기어에 맞물리는 링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커버부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스부는,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케이스와, 커버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와, 케이스몸체의 일측에 구동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부와, 케이스몸체의 타측에 링기어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장착부와, 케이스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결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장착부는, 케이스몸체의 하부에 구동부재의 상부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홈부와, 구동부재의 하부를 감싸며 케이스몸체에 고정되는 장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부재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축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기어부의 회전중심축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연결기어부는,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기어와, 종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기어와, 제1기어와 제2기어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구동기어의 직경보다 제1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기어의 직경보다 종동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감속부는, 종동기어와 선기어에 축 연결되는 회전축부재와, 회전축부재의 하측이 인입되는 중앙홈과 유성기어를 관통하는 고정축의 하측이 인입되는 사이드홀을 구비하며 선기어와 유성기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캐리어부재와, 캐리어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캐리어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커버부는,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기어커버몸체와, 기어커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제2장착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링기어가 내측에 구비되는 기어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받침부는, 기어커버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결기어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받침부재와, 기어커버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결기어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기어커버부는, 기어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장착부에 삽입되는 장착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는, 링기어와 받침부가 일체로 성형되어 케이스부에 고정되므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동기어와 제1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종동기어와 제2기어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2차 감속이 이루어지고, 종동기어와 축 연결되는 감속부에서 3차 감속이 이루어져서 제품의 외형이 축소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케이스가 케이스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의 일부가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자동차에 사용되는 변속형 구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의 외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버케이스가 케이스몸체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케이스몸체의 하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의 일부가 조립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1)는, 케이스부(10)와, 케이스부(10)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30)와, 구동부재(30)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40)와, 구동기어(40)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구동기어(4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기어부(50)와, 연결기어부(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기어부(50)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60)와, 종동기어(60)와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기어(80)와 선기어(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유성기어(82)를 구비하는 감속부(70)와, 연결기어부(5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96)와 유성기어(82)에 맞물리는 링기어(94)가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커버부(90)를 포함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속형 구동장치(1)의 외형을 형성하는 케이스부(10)는, 변속형 구동장치(1)의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케이스(11)와, 커버케이스(11)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12)를 포함한다.
케이스몸체(12)의 일측에는 구동부재(3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부(13)가 구비되며, 케이스몸체(12)의 타측에는 링기어(94)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장착부(16)가 구비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장착부(13)는, 케이스몸체(12)의 하부에 구동부재(30)의 상부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홈부(14)와, 구동부재(30)의 하부를 감싸며 케이스몸체(12)에 고정되는 장착케이스(15)를 포함한다.
제1장착부(13)에 설치되는 구동부재(30)는, 에너지원을 공급받아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재(30)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32)를 포함한다.
전기모터(32)의 외측으로 축부재(34)가 돌출되며, 전기모터(32)의 동작으로 축부재(34)의 회전이 이루어진다.
축부재(34)는 구동기어(40)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고정되므로, 축부재(34)와 함께 구동기어(40)가 회전한다.
구동기어(40)는 케이스몸체(12)의 상측으로 돌출되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다. 이러한 구동기어(40)는 봉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기어(40)의 외측에는 나선 형상으로 치형이 형성된다.
구동기어(40)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50)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연결기어부(50)는 회전지지부재(20)와 받침부(96)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구동기어(40)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연결기어부(50)는, 구동기어(4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구동기어(40)의 동력을 종동기어(60)로 전달하는 기술사상 안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기어부(50)는, 구동기어(4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기어(52)와, 종동기어(60)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기어(54)와, 제1기어(52)와 제2기어(54)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바(56)를 포함한다.
제1기어(52)를 관통하는 연결바(56)의 일측과 제2기어(54)를 관통하는 연결바(56)의 타측에는 제1베어링부재(57)가 설치되며, 이러한 제1베어링부재(57)는 고정부재(59)에 의해 연결바(56)의 양측에 설치된다.
제1기어(52)의 일측에는 제1베어링부재(57)가 설치되며, 제1기어(52)의 타측에는 제2베어링부재(58)가 설치된다.
회전지지부재(20)는, 케이스몸체(12)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연결기어부(50)의 일측(도 3 기준 우측)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케이스몸체(12)의 상측면이 수평으로 설치된 경우, 구동기어(40)와 종동기어(60)의 회전중심축은 수직방향으로 위치하며, 구동기어(40)와 종동기어(60)에 맞물려 돌아가는 연결기어부(50)의 회전중심축은 수평방향으로 위치한다.
즉, 구동기어(40)와 종동기어(60)의 회전중심축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기어부(50)의 회전중심축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므로, 구동부재(30)의 동력이 구동기어(40)와 연결기어부(50)와 종동기어(60)로 차례로 전달된다.
구동기어(40)는 제1기어(52)에 맞물려 돌아가며, 종동기어(60)는 제2기어(54)에 맞물려 돌아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제1기어(52)에는 윔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기어(52)에 맞물리는 구동기어(40)는 웜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종동기어(60)는 윔휠 형상으로 형성되며, 종동기어(60)에 맞물리는 제2기어(54)는 웜 형상으로 형성된다.
연결기어부(50)에 웜기어가 적용되므로, 1/300 정도의 큰 감속비를 얻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동기어(40)의 직경보다 제1기어(52)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제2기어(54)의 직경보다 종동기어(60)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바(56)와 제2기어(54)는 금속재질로 성형되며, 제1기어(52)는 사출작업으로 성형된다.
연결기어부(50)가 일체로 성형될 수 있으나, 무게와 가공의 어려움 등을 고려하여, 비교적 힘을 적게 받는 부분인 제1기어(52)는 플라스틱 재료를 이용해 사출성형한다. 그리고, 제1기어(52)보다 힘을 많이 받는 부분인 제2기어(54)와 연결바(56)는 금속재질로 성형한다.
연결바(56)와 제2기어(54)를 먼저 가공한 후, 연결바(56)를 사출성형기구로 이송시켜 연결바(56)의 외측에 제1기어(52)를 사출 성형한다.
구동기어(40)도 종동기어(60)에 비하여 힘을 많이 받으므로, 구동기어(40)는 금속재질로 성형하며, 종동기어(60)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해 사출 성형한다.
연결기어부(50)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연결기어부(50)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60)의 회전중심축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된다.
종동기어(60)의 회전중심축을 관통하는 회전축부재(75)는 종동기어(60)와 함께 회전한다.
종동기어(60)의 하측에는 원판형상의 차폐부재(78)가 설치되며, 차폐부재(78)와 종동기어(60)를 관통하여 설치된 회전축부재(75)의 하측에는 선기어(80)가 고정된다.
종동기어(60)와 회전축부재(75)는 일체로 회전되므로, 종동기어(60)와 함께 선기어(80)도 회전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동기어(60)와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기어(80)와 선기어(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유성기어(82)를 포함하는 감속부(70)는, 기어커버부(90)에 구비된 기어하우징(93)의 내측에 설치된다.
종동기어(60)로 입력된 동력을 감속시키는 감속부(70)는, 회전축부재(75)와 캐리어부재(85)와 출력기어(89)를 포함한다.
회전축부재(75)는, 종동기어(60)와 선기어(80)에 축 연결되며 종동기어(60)의 동력을 선기어(80)로 전달한다.
선기어(80)의 하측을 관통하는 회전축부재(75)와 유성기어(82)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는 고정축(8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부재(8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된다.
캐리어부재(85)는, 회전축부재(75)의 하측이 인입되는 중앙홈(87)과, 유성기어(82)를 관통하는 고정축(83)의 하측이 인입되는 사이드홀(88)을 구비한다.
선기어(80)와 유성기어(82)의 하측에 설치되는 캐리어부재(85)의 하측으로 출력기어(89)가 돌출되므로, 캐리어부재(85)와 함께 출력기어(89)가 회전하여 변속형 구동장치(1)의 외측으로 동력을 출력한다.
선기어(80)는 캐리어부재(85)의 중심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선기어(80)의 둘레를 따라 복수로 설치되는 유성기어(82)는 캐리어부재(85)의 테두리 부분을 따라 설치된다.
따라서, 유성기어(82)가 선기어(80)에 맞물려 회전하면, 유성기어(82)와 연결된 캐리어부재(85)가 회전하면서 감속이 이루어진다.
일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부재(85)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유성기어(82)의 하측에 위치하는 캐리어몸체(86)와, 캐리어몸체(86)의 상부 중앙에 회전축부재(75)의 하단이 삽입되는 중앙홈(87)이 구비된다.
중앙홈(87)의 외측 둘레에는 유성기어(82)의 개수와 대응하는 개수로 사이드홀(88)이 형성된다.
이러한 유성기어(82)의 외측 둘레를 따라 설치된 링기어(94)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며, 유성기어(82)는 링기어(94)의 내측에 맞물린 상태로 회전한다.
이러한 링기어(94)와 연결기어부(50)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96)는 일체로 형성되어 기어커버부(90)를 형성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기어커버부(90)는, 받침부(96)와 일체로 형성되어 케이스몸체(12)에 결합되는 기어커버몸체(92)와, 기어커버몸체(92)에서 연장되어 제2장착부(16)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링기어(94)가 내측에 구비되는 기어하우징(93)을 포함한다.
기어하우징(93)의 내측에는 오목한 형상으로 홈이 형성되며, 기어하우징(93)의 내측 둘레를 따라 링기어(94)가 구비된다.
기어커버몸체(92)의 상측으로 돌출된 받침부(96)는, 기어커버몸체(92)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결기어부(50)의 일측(도 3 기준 우측)을 지지하는 제1받침부재(97)와, 기어커버몸체(92)의 상부로 돌출되어 연결기어부(50)의 타측(도 3 기준 좌측)을 지지하는 제2받침부재(98)를 포함한다.
제1받침부재(97)는 제2베어링부재(58)의 하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제2받침부재(98)는 제2기어(54)에 접하여 설치되는 제1베어링부재(57)의 하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한편 케이스몸체(12)의 상측으로 돌출된 회전지지부재(20)는 제1기어(52)에 접하여 설치된 제1베어링부재(57)의 하측을 감싸는 형상으로 설치된다.
받침부(96)와 일체로 성형되는 기어커버부(90)는, 기어하우징(93)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제2장착부(16)에 삽입되는 장착돌기부재(95)를 포함한다.
기어하우징(93)의 외측에 장착돌기부재(95)가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장착돌기부재(95)는 제2장착부(16)의 내측 둘레를 따라 형성된 설치홈부(19)를 따라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속부(70)는, 회전축부재(75)와 축 연결되는 선기어(80)가 회전하면, 선기어(80)의 외측과 내측기어(94)에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82)는 선기어(80)의 외측 둘레를 따라 자전과 공전을 동시에 하며 감속이 이루어진다.
유성기어(8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유성기어(8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봉 형상의 고정축(83)은 판 형상으로 형성된 캐리어부재(85)에 고정되므로, 고정축(83)의 공전과 함께 캐리어부재(85)도 회전한다.
케이스몸체(12)와 감속부(70)는 플라스틱재질로 사출 성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변속형 구동장치(1)의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감속부(70)는 기어하우징(93)의 내측에 설치되며, 이러한 기어하우징(93)은 제2장착부(16)의 내측홈부(17)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내측홈부(17)의 가운데에는 연결공(18)이 형성되며, 이러한 연결공(18)을 통해 출력기어(89)가 케이스몸체(12)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내측홈부(17)의 둘레를 따라 복수개의 설치홈부(19)가 설정된 각도로 설치되며, 이러한 설치홈부(19)에 장착돌기부재(95)가 삽입되어 고정된다.
한편, 기어하우징(93)과 일체로 형성된 기어커버몸체(92)는 케이스몸체(12)의 상측면을 커버하는 형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케이스몸체(12)의 양측에 제1받침부재(97)와 제2받침부재(98)가 일체로 설치된다.
따라서, 받침부(96)와 기어하우징(93)은 일체로 성형되어 케이스몸체(12)의 상측에 조립되므로, 조립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1)의 작동상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전기모터(32)가 동작되어 축부재(34)가 회전하면, 축부재(34)에 연결된 구동기어(40)가 회전하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구동기어(40)에 맞물려 있는 제1기어(52)가 회전하면서 연결바(56)를 회전시키면, 연결바(56)에 고정된 제2기어(54)가 회전하면서 종동기어(60)를 회전시키므로, 2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종동기어(60)의 회전으로 감속부(70)의 선기어(80)가 회전하며, 선기어(80)와 내측기어(94)에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82)가 회전하면서 3차 감속이 이루어진다.
유성기어(82)의 회전으로 캐리어부재(85)가 회전하면, 캐리어부재(85)의 하측에 설치된 출력기어(89)도 같이 회전하므로, 변속형 구동장치(1)의 출력이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변속형 구동장치(1)는, 링기어(94)와 받침부(96)가 일체로 성형되어 케이스부(10)에 고정되므로, 조립이 이루어지는 부품수가 감소되어 조립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조립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기어(40)와 제1기어(52)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1차 감속이 이루어지며, 종동기어(60)와 제2기어(54)가 맞물려 돌아가면서 2차 감속이 이루어지고, 종동기어(60)와 축 연결되는 감속부(70)에서 3차 감속이 이루어져서 제품의 외형이 축소되므로, 다른 부품과의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변속형 구동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자동차가 아닌 다른 기계장치에도 본 발명에 의한 변속형 구동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변속형 구동장치 10: 케이스부
11: 커버케이스 12: 케이스몸체
13: 제1장착부 14: 장착홈부
15: 장착케이스 16: 제2장착부
17: 내측홈부 18: 연결공
19: 설치홈부 20: 회전지지부재
30: 구동부재 32: 전기모터
34: 축부재 40: 구동기어
50: 연결기어부 52: 제1기어
54: 제2기어 56: 연결바
57: 제1베어링부재 58: 제2베어링부재
59: 고정부재 60: 종동기어
70: 감속부 75: 회전축부재
78: 차폐부재 80: 선기어
82: 유성기어 83: 고정축
85: 캐리어부재 86: 캐리어몸체
87: 중앙홈 88: 사이드홀
89: 출력기어 90: 기어커버부
92: 기어커버몸체 93: 기어하우징
94: 링기어 95: 장착돌기부재
96: 받침부 97: 제1받침부재
98: 제2받침부재

Claims (12)

  1. 케이스부;
    상기 케이스부 일측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공급하는 구동부재;
    상기 구동부재에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서 회전하며, 상기 구동기어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기어부;
    상기 연결기어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어부에 맞물려서 회전하는 종동기어;
    상기 종동기어와 축 연결되어 회전하는 선기어와, 상기 선기어의 외측 둘레를 따라 회전하는 유성기어를 구비하는 감속부; 및
    상기 연결기어부의 양측 하부를 지지하는 받침부와, 상기 유성기어에 맞물리는 링기어가 일체로 형성되는 기어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의 회전중심축은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어부의 회전중심축은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며,
    상기 연결기어부는, 상기 구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1기어;
    상기 종동기어에 맞물려 돌아가는 제2기어; 및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를 연결하며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기어의 직경보다 상기 제1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며,
    상기 제2기어의 직경보다 상기 종동기어의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감속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감속부는,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선기어에 축 연결되는 회전축부재;
    상기 회전축부재의 하측이 인입되는 중앙홈과, 상기 유성기어를 관통하는 고정축의 하측이 인입되는 사이드홀을 구비하며, 상기 선기어와 상기 유성기어의 하측에 설치되는 캐리어부재; 및
    상기 캐리어부재의 하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캐리어부재와 함께 회전하는 출력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상측을 커버하는 커버케이스;
    상기 커버케이스의 하측에 결합되는 케이스몸체;
    상기 케이스몸체의 일측에 상기 구동부재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1장착부;
    상기 케이스몸체의 타측에 상기 링기어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제2장착부; 및
    상기 케이스몸체의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결기어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전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장착부는, 상기 케이스몸체의 하부에 상기 구동부재의 상부가 인입되는 홈부를 형성하는 장착홈부; 및
    상기 구동부재의 하부를 감싸며 상기 케이스몸체에 고정되는 장착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재는, 전기의 공급으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부는, 상기 받침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케이스몸체에 결합되는 기어커버몸체; 및
    상기 기어커버몸체에서 연장되어 상기 제2장착부의 내측으로 인입되며, 상기 링기어가 내측에 구비되는 기어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는, 상기 기어커버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기어부의 일측을 지지하는 제1받침부재; 및
    상기 기어커버몸체의 상부로 돌출되어 상기 연결기어부의 타측을 지지하는 제2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커버부는, 상기 기어하우징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2장착부에 삽입되는 장착돌기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형 구동장치.
KR20120126330A 2012-11-08 2012-11-08 변속형 구동장치 KR1014844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6330A KR101484459B1 (ko) 2012-11-08 2012-11-08 변속형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26330A KR101484459B1 (ko) 2012-11-08 2012-11-08 변속형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54A KR20140059654A (ko) 2014-05-16
KR101484459B1 true KR101484459B1 (ko) 2015-02-10

Family

ID=50889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126330A KR101484459B1 (ko) 2012-11-08 2012-11-08 변속형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84459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461A (ko) * 2017-06-08 2018-12-19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180134460A (ko) * 2017-06-08 2018-12-19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US20220185256A1 (en) * 2019-03-29 2022-06-16 Mando Corporation Actuator of electric parking brak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1493B1 (ko) * 2014-09-25 2022-10-11 주식회사 모아텍 엑츄에이터 및 이를 갖는 전자 기기
KR102402554B1 (ko) * 2015-09-18 2022-05-2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하우징, 파킹 액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KR102502525B1 (ko) * 2016-02-03 2023-02-22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전자식 디스크 브레이크
KR102067535B1 (ko) * 2018-03-16 2020-01-17 세일공업 주식회사 구동모터 통합 변속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47B1 (ko) 2005-12-29 2007-05-30 에스엘 주식회사 유성기어 조립체를 이용한 케이블 구동 장치 및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101185539B1 (ko) 2010-11-05 2012-09-24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용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2947B1 (ko) 2005-12-29 2007-05-30 에스엘 주식회사 유성기어 조립체를 이용한 케이블 구동 장치 및 주차브레이크 시스템
KR101185539B1 (ko) 2010-11-05 2012-09-24 동아전기부품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장치용 액추에이터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4461A (ko) * 2017-06-08 2018-12-19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20180134460A (ko) * 2017-06-08 2018-12-19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101950235B1 (ko) * 2017-06-08 2019-02-22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101950234B1 (ko) * 2017-06-08 2019-02-22 주식회사 유니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US20220185256A1 (en) * 2019-03-29 2022-06-16 Mando Corporation Actuator of electric parking brak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9654A (ko) 2014-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4459B1 (ko) 변속형 구동장치
CN107035792B (zh) 电子盘式制动器
CN106195070B (zh) 电动驻车系统的执行器
KR101757317B1 (ko) 인휠 구동장치
CN110529526B (zh) 用于制动装置的执行器
KR101930763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JP2012222902A (ja) 回転式アクチュエータ
JP2009101800A5 (ko)
KR101985878B1 (ko) 이중기어를 갖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츄에이터
JP5863764B2 (ja) 車両ブレーキトランスミッション
KR101433755B1 (ko) 변속형 구동장치
KR20160082233A (ko) 자기 잠금 메카니즘
KR20180133976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KR101307576B1 (ko) 다단 변속형 구동장치
CN203717739U (zh) 用于车辆制动系统的电子驻车执行机构
CN104343860A (zh) 车辆驻刹车传动装置
CN115053082A (zh) 用于制动装置的致动器
JP6011310B2 (ja) 動力伝達装置
CN103997158A (zh) 驱动设备
JP6396205B2 (ja) ブレーキ用アクチュエータおよびブレーキ装置
KR101433754B1 (ko) 선셰이드용 구동장치
KR102184440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moc 액츄에이터
CN218124493U (zh) 减速电机和新能源车
CN220199401U (zh) 转向结构和车辆
CN204161084U (zh) 电动轮毂内变速组装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