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1050B1 -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 Google Patents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1050B1
KR102451050B1 KR1020180008591A KR20180008591A KR102451050B1 KR 102451050 B1 KR102451050 B1 KR 102451050B1 KR 1020180008591 A KR1020180008591 A KR 1020180008591A KR 20180008591 A KR20180008591 A KR 20180008591A KR 102451050 B1 KR102451050 B1 KR 102451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oam
vehicle
adhesive layer
adh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8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0139A (ko
Inventor
황재필
Original Assignee
황재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재필 filed Critical 황재필
Priority to KR1020180008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050B1/ko
Publication of KR20190090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01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8Net structure, e.g. spaced apart filaments bonded at the crossing p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45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being a foam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32B9/0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comprising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8Insulating elements, e.g. for sound insulation
    • B60R13/0815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 B60R13/083Acoustic or thermal insulation of passenger compartments for fire walls or fl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71/00Floor coverings
    • B32B2471/04M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바닥에 대한 밀착성과 방음성이 개선되는 차량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조 또는 천연 가죽으로 이루어진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하면에 접착된 메모리폼 스펀지; 상기 스펀지층의 하면에 접착된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 접착된 보강재 폼; 및 상기 방음재층의 하부에 접착된 돌기형 메쉬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바닥재는 차량 바닥에 밀착되어, 발이나 손으로 밀었을 때, 쉽게 밀리지 않으며, 또한,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고 있어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Description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Vehicle flooring with improved adhesion and soundproofing}
본 발명은 차량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바닥에 대한 밀착성과 방음성이 개선되는 차량 바닥재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7-0002153호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재질로 이루어진 표면부재(1)와, 상기 표면부재 하면에 구비되면서 완충성을 부여하는 완충부재(2)와, 상기 완충부재의 저면에 구비되면서 섬유천으로 이루어진 저면부재(3)를 서로 스티치(4) 처리하여 일체화된 차량 내장 바닥재가 제공되며, 이를 통해 시공과 사용 중에 스티치(4)가 풀려 전체가 훼손되지 않도록 교차부위를 누빔(41) 처리하여 차량 바닥이 오염되었을 경우 간편하게 청소가 가능하며 실내가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한 차량 내부 바닥재가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의 바닥재는 차량 바닥에 고정되지 않아 청소를 하거나 사용중에 바닥을 발로 밀칠 경우, 바닥재가 밀려서 움직이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차량 바닥재를 차량 바닥에 고정해야 하는데, 고정을 위해서는 과도한 비용이 필요하게 되며, 또한, 고정될 경우 청소를 위해 분리하기가 어렵다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또한, 이러한 차량 바닥재를 강도가 약해 실질적으로 방음 효과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차량 바닥에 밀착되면서도 쉽게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차량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차량 바닥에 밀착되면서도 쉽게 분리할 수 있으며, 또한 방음 효과가 우수한 새로운 차량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인조 또는 천연 가죽으로 이루어진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하면에 접착된 메모리폼 스펀지;
상기 스펀지층의 하면에 접착된 부직포;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 접착된 보강재 폼; 및
상기 방음재층의 하부에 접착된 돌기형 메쉬천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바닥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외관 장식을 위해서 스티치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보강재 폼까지 스티치될 경우, 보강재 폼의 하부 표면에 표면재층의 패턴에 상응하는 패턴이 형성되어 돌출부와 함몰부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보강재 폼의 방음성과 바닥면에 밀착하는 것을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표면재층은 스펀지층 및 부직포와 함께 스티치 처리된 후, 스티치 처리된 표면재층, 스펀지층, 및 부직포가 상기 보강재 폼에 접착 고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표면층은 가죽 질감의 소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인조 가죽 또는 레자 소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폼 스펀지는 노란색을 띠는 화학 스펀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계 발포 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1.0 kg/㎠의 인장강도 및 0.1~0.5 kg/cm의 인열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잡음의 제거와 연질의 메모리폼 스펀지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되며, 바람직하게는 1mm 이하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0.5 mm 이하의 두께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폼은 기본적으로 바닥재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수지 발포폼이며, 바닥재의 사용과정에서 사용자의 발이 실내바닥재를 밀칠 경우, 실내 바닥재가 구부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를 제공하는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상기 메모리 스펀지폼에 비해서 강도가 강한 압축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모리 스펀지 폼에 비해서 2배 이상의 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배,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5배 이상의 압축 강도를 가지는 발포 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 폼은 폴리에틸렌계 발포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폼이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가교처리된 폴리에틸렌 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압축 발포폼은 5~10 kg/㎠의 인장강도 및 5~10 kg/cm의 인열강도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돌기형 메쉬천은 다수의 구멍들이 형성된 메쉬형태의 천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메쉬천은 방음층이 차량의 바닥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얇은 두께를 가지며, 바닥면 방향으로 돌기들이 형성되어, 상기 돌기들이 섬유로 이루어진 차량의 실내 바닥에 바닥재가 차량 바닥에 고정되면서, 강한 밀착력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 있어서, 상기 돌기형 메쉬천은 수벨크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바닥재는 차량 바닥에 밀착되어, 발이나 손으로 밀었을 때, 쉽게 밀리지 않으며, 또한, 충분한 강성을 보유하고 있어 쉽게 구부러지지 않는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바닥재는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어, 손으로 들어올릴 경우, 바닥에서 쉽게 분리할 수 있어, 청소가 용이하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른 차량 실내 바닥재는 단단한 탄성방음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층 단면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의 바닥면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가 차량 내부 바닥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에 스티치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바닥재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내부 바닥재(100)는 인조 또는 천연 가죽으로 이루어진 표면층(10); 상기 표면층(10)의 하부에 형성된 제1 접착층(11); 상기 제1 접착층(11)에 의해서 상기 표면층(10)의 하부에 접착되는 메모리폼 스펀지층(20); 상기 메모리폼 스펀지층(20)의 하부에 형성된 제2 접착층(21); 상기 제2 접착층(21)에 의해서 상기 메모리폼 스펀지층(20)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층(30); 상기 부직포층(30)의 하부에 형성된 제3 접착층(31); 상기 제3 접착층(31)에 의해서 상기 부직포층(30)의 하부에 접착된 보강재폼(40); 상기 보강재폼(40)의 하부에 형성된 제4 접착층(41); 및 상기 제4 접착층(41)에 의해서 상기 보강재폼(40)의 하부에 접착된 돌기형 메쉬층(5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표면층(10)은 바닥재의 고급화와 청소의 용이성을 위해서 사용되면, 물에 의한 청소가 용이하도록 방수처리된 인조 또는 천연 가죽을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PVC로 이루어진 인조가죽을 사용할 수 있다. 인조 가죽의 두께는 가격적인 면을 고려하여 1 mm 이하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착층은 표면층과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펀지층(20)을 접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표면층(10)의 하부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박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스펀지층(20)은 바닥재에 쿠션감을 제공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노란색의 일반 화학 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으며, 충분한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도록 3mm 이상의 두께, 보다 바람직하게는 4 mm 이상의 두께, 가장 바람직하게는 5~8mm 두께의 일반 화학 스펀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접착층(21)은 쿠션을 제공하기 위한 스펀지층(20)과 부직포층(30)을 접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스펀지층(20)의 하부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박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부직포층(30)은 자동차의 실내에서 발생하는 잡소리를 방지할 수 있는 신슐레이터로 기능하는 흡음용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부직포층(30)은 메모리폼 스펀지(20)를 관통한 스티치(60)을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3 접착층(31)은 부직포층(30)의 하면에는 보강재폼(40)을 접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부직포층(30)의 하부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박막으로 형성된다.
상기 보강재폼(40)은 바닥재의 방수성, 보온성, 및 난연성과 같은 특성과 물성 보강을 위해서 사용되며, 가교처리된 폴리에틸렌계 발포시트, 예를 들어, XPE폼을 사용한다. 보강재폼(40)은 충분할 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3~6mm의 두께를 사용한다.
상기 제4 접착층(41)은 보강재폼(40)의 하면에 돌기형 메쉬천(50)을 접착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돌기형 메쉬천(50)의 상부면에 폴리우레탄계 접착제를 스프레이 도포하여 형성된다.
상기 돌기형 메쉬천(50)은 섬유로 이루어진 메쉬천의 일부 표면으로 파이버가 돌출되는 제품이며, 예를 들어, 수 밸크로를 사용할 수 있으며, 0.1~0.5mm 두께의 메쉬천에 1~2 mm 길이의 돌기를 가진다.
표면층(10)에 형성된 스티치(60)는 메모리폼 스펀지(20)와 부직포(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재(100)는 섬유가 도포된 차량의 내부 바닥(200)에 수밸크로로 이루어진 돌기형 메쉬천(50)의 돌기들이 걸려서 걸레로 닦거나 발로 밀칠 경우에도 움직이지 않게 된다.
100: 바닥재
10: 표면층
20: 메모리폼 스펀지
30: 부직포층
40: 보강재 폼
50: 돌기형 메쉬천

Claims (2)

  1. 인조 가죽 또는 천연 가죽으로 이루어진 표면층;
    상기 표면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에 의해 표면층의 하부에 접착된 메모리폼 스펀지층;
    상기 메모리폼 스펀지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2 접착층;
    상기 제2 접착층에 의해 메모리폼 스펀지의 하부에 접착된 부직포층;
    상기 부직포층의 하면에 형성된 제3 접착층;
    상기 제3 접착층에 의해 부직포층의 하면에 형성된 보강재폼, 상기 보강재폼은 상기 메모리폼 스펀지층에 비해 2배 이상의 압축강도를 가지는 가교된 폴리에틸렌 폼이며;
    상기 보강재폼의 하면에 형성된 제4 접착층;
    상기 제4 접착층에 의해서 상기 보강재폼의 하부에 접착된 돌기형 메쉬천; 및
    상기 표면층과, 제1 접착층, 메모리폼 스펀지층, 제2 접착증, 및 부직포층을 선택적으로 처리한 스티치를 포함하고,
    상기 돌기형 메쉬천의 돌기가 섬유가 도포된 차량의 바닥면에 분리가능하게 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실내 바닥재.
  2. 삭제
KR1020180008591A 2018-01-24 2018-01-24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KR102451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91A KR102451050B1 (ko) 2018-01-24 2018-01-24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8591A KR102451050B1 (ko) 2018-01-24 2018-01-24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39A KR20190090139A (ko) 2019-08-01
KR102451050B1 true KR102451050B1 (ko) 2022-10-05

Family

ID=6761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591A KR102451050B1 (ko) 2018-01-24 2018-01-24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0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575B1 (ko) * 2021-03-22 2024-03-11 김정윤 적층 구조의 기능성 원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44Y1 (ko) 1995-06-23 1999-09-01 김형진 자동차 바닥재
JP2001301539A (ja) * 2000-04-19 2001-10-31 Inoac Corp 車両用成形天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6195B1 (ko) 2015-05-06 2016-10-13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자동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2513U (ko) * 2017-04-13 2017-07-10 황정호 차량 내장 바닥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55644Y1 (ko) 1995-06-23 1999-09-01 김형진 자동차 바닥재
JP2001301539A (ja) * 2000-04-19 2001-10-31 Inoac Corp 車両用成形天井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666195B1 (ko) 2015-05-06 2016-10-13 주식회사 하도에프앤씨 자동차 매트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0139A (ko)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59105730D1 (de) Sitz, insbesondere für fahrzeuge.
KR102451050B1 (ko)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JP6093961B2 (ja) 床構造及びアンダーレイシート
CN101001562A (zh) 用于清洁难以接近位置的清刷体
KR20170002513U (ko) 차량 내장 바닥재
US5876825A (en) Customized cushioned floor ma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JP6780810B2 (ja) ボール
JP5053703B2 (ja) 清掃具
JP3174220U (ja) フロアマット
JP2007032082A (ja)
KR200266404Y1 (ko) 싱크대 매트
JP2003191426A (ja) 自動車用内装材
JP2016221117A (ja) ボール
US20180117391A1 (en) Exercise mat
KR102645575B1 (ko) 적층 구조의 기능성 원단
JPH02252416A (ja) マット
KR102405975B1 (ko) 우븐원단과 폴리염화비닐 발포원단을 이용한 실내생활용 합성수지 매트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실내생활용 합성수지 매트
KR100697033B1 (ko) 내ㆍ외피착탈형 매트
KR101445523B1 (ko) 낙하물이 튀어오르지 않아 층간소음방지를 위한 유아용 놀이매트 및 그 제조방법.
JP3100474U (ja) スポンジクリーナ
JP2006291444A (ja) 織物をオーバーエッジする方法
JP3134553U (ja) フロアマット
JP6701844B2 (ja) シートパッド
KR200321726Y1 (ko) 내·외피 착탈형 매트
JP3067655U (ja) 肌擦りパ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