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1726Y1 - 내·외피 착탈형 매트 - Google Patents

내·외피 착탈형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1726Y1
KR200321726Y1 KR20-2003-0003143U KR20030003143U KR200321726Y1 KR 200321726 Y1 KR200321726 Y1 KR 200321726Y1 KR 20030003143 U KR20030003143 U KR 20030003143U KR 200321726 Y1 KR200321726 Y1 KR 20032172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llet
skin
detachable
shell
outer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03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 호 김
Original Assignee
윤 호 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 호 김 filed Critical 윤 호 김
Priority to KR20-2003-0003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172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17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17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7/00Floor fabrics; Fastenings therefor
    • A47G27/02Carpets; Stair runners; Bedside rugs; Foot mats
    • A47G27/0293Mat modules for interlocking engagement

Abstract

본 고안은 직물지로 제조되는 외피와, 고무재를 비롯하여 PVC FOAM 및 PE FOAM으로 제조되는 내피깔판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피가 더러워졌을 때에 외피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된 내·외피 착탈형 매트에 관한 것으로써, 외피와 내피깔판을 각각 분리 형성하고 대응면에 착탈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착탈미끄럼방지수단에 의해 착탈시켜 주므로, 외피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외피만을 벗겨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탈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된 외피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오피를 극세사 또는 초극세사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게 되면 흡수력이 매우 양호한 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피를 자주 세탁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피갈판을 장방형의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여 조립/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하게 되면 부피를 줄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내·외피 착탈형 매트 {A Matte}
본 고안은 주로 실내의 바닥에 깔아 사용하는 매트, 카펫, 깔판(이하 '매트'로 통칭함)에 있어서, 외피와 내피깔판을 착탈시킬 수 있도록 된 내·외피 착탈형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직물지로 제조되는 외피와, 고무재를 비롯하여 PVC FOAM 및 PE FOAM으로 제조되는 내피깔판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여 외피가 더러워졌을 때에 외피만을 분리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매트를 포함하는 종래의 매트는 직물지로 제조된 상피의 저면에 고무재(라텍스 및 루버)와 PVC발포폼(FOAM)으로 성형되는 깔판(받침판)을 접착제 또는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일체형으로 접착시켜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체형으로 된 종래 매트의 대표적인 것으로서는,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00001호 "주방용 바닥깔판"과,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9450호 "카펫"과,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40991호 "전천후 레자 카펫"과,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55795호 "고흡착성 매트"가 알려져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1999-00001호 "주방용 바닥깔판"은 쿠션 소성재의 상하면에 천이 부착된 합성수지 지를 일체형으로 접착시키되 상면의 합성수지지에는 돌기를 무수히 돌출시켜 지압판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고,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09450호 "카펫"은 고무재의 상면에 옥함유코팅재를 도포하고그 위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폴리에스터 지를 일체형으로 접착시켜서 된 것이며,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40991호 "전천후 레자 카펫"은 두께가 두꺼운 스펀지재의 상면과 저면에 상부레자와 하부레자를 접착제에 의해 일체형으로 접착시켜서 된 것이며, 국내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255795호 "고흡착성 매트"는 두께가 두꺼운 완충소재의 상면과 저면에 루프파일과 트리코트 지를 일체형으로 접착시켜서 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상피와 깔판(받침판)이 일체형으로 된 종래의 카펫들은 상피가 더러워졌을 때에 상피와 하측의 깔판을 분리시킬 수 없었고 두께가 너무 두꺼워 부드럽지 못하였으며, 두께가 두껍고 딱딱하여 용이하게 세척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세탁을 실시할 때에도 카펫을 세탁기를 이용하여 세탁하지 못하고 손수 손세탁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으며, 세탁을 실시하였더라도 건조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두께가 두꺼웠을 뿐만 아니라 딱딱하여 사용이 불편하였고, 거실에 깔아 사용하는 것과 같이 크기가 큰 카펫인 경우에는 세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없었으므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므로 먼지가 많이 발생하게 되고 진드기와 세균이 많이 번식하게 되어 위생적이지 못하고 건강을 해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상피(외피)와 깔판(받침판)을 별도로 제조하고 이들을 다시 일체형으로 결합시켜 주어야 했으므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제조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와 폐단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된 내·외피 착탈형 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은 직물지로 제조되는 외피와, 고무재를 비롯하여 PVC FOAM 및 PE FOAM 등에 의해 쿠션 제조되는 내피깔판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내·외피 착탈형 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외피와 내피깔판을 결합시켰을 때에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외피와 내피깔판을 용이하게 수납 및 인출하여 착탈시킬 수 있도록 하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제조원가도 절감할 수 있도록 된 내·외피 착탈형 매트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외피가 더러워졌을 때에 외피와 내피깔판을 분리하여 외피만을 세탁할 수 있도록 하고,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며, 특히 넓이가 넓은 매트도 용이하게 세탁하고 건조시킬 수 있도록 하여 매트를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외피는 극세사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여 흡수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내·외피 착탈형 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목적은,
외피(2)와 내피깔판(3)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피(2)와 내피깔판(3)을 각각 분리 형성하고, 외피(2)의 저면과 내피깔판(3)의 상면에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피(2)와 내피깔판(3)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착탈형카페트(1)에 의해 달성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를 보인 일예시
분리사시도 및 정면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 및 분해단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에 사용되는
외피깔판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내·외피착탈형카페트 2. 외피 3. 내피깔판
4. 착탈미끄럼방지수단 5. 결속편 6. 결속홈
7. 결속밴드 8. 상층재 9. 하층재
10. 조립형내피깔판 11. 요철부
본 고안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 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도면 도 1a 내지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의 구체적인 실현 예를 보인 것으로써, 도 1a 및 도 1b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를 보인 일예시 분리사시도 및 정면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와 결합단면도 및 분해단면도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5 및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에 사용되는 외피깔판의 각기 다른 실시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내·외피착탈형카페트(1)는 본 고안의 기본형을 보인 예시도로써, 직물지로 직조되는 외피(2)와 고무재를 비롯하여 PVC FOAM 및 PE FOAM으로 제조되는 내피깔판(3)을 각각 분리시켜 별개로 형성하였고, 이들의 대향면 즉, 외피(2)의 저면과 내피깔판(3)의 상면에는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이들에 의해 외피(2)와 내피깔판(3)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외피(2)는 수분을 양호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통상의 직물지로 형성하였고, 특히 수분의 흡수력을 크게 강화시키고 부드럽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폴리에스테르단사 또는 나일론사 등의 극세사 또는 초극세사로 직조된 직물지를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 내피깔판(3)은 고무재(라텍스 및 루버)를 비롯하여 PVC FOAM 및 PEFOAM으로 제조하되 너무 두껍지 않게 조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내피깔판(3)의 내면에는 미끄럼방지편(3-1)을 돌출되게 형성하여 내·외피착탈형카페트(1)가 설치되는 바닥면에서 슬립 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외피(2)의 저면과 내피깔판(3)의 상면에 구비되는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으로서는 벨크로테이프(일명 찍찍이)를 비롯하여 고무재, 실리콘 등을 도포시켜줄 수 있으며, 내피깔판(3)의 재질에 따라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의 재질을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선택하여 결합시켜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된 내·외피착탈형카페트(1)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내피깔판(3)은 도 1a 및 도 1b에 예시된 바와 같이 동일하게 형성하였고, 외피(2)를 다소 변형시킨 것으로써, 내피(2)를 형성하되 사면의 외주연에 결속편(5)을 하측으로 형성하여 결속편(5)의 내측에 결속홈(6)이 형성되어지도록 하였고, 상기 내피(2)의 내부에 내피깔판(3)을 결합시키되 내피(2)의 결속홈(6)에 내피깔판(3)의 외측 가장자리를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외피(2)의 저면과 내피깔판(3)의 상면에는 기히 설명한바와 같이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피(2)가 내피깔판(3)에서 미끄러지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착탈형카페트(1)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내피깔판(3)과 외피(2)를 도 2a 내지 도 2c에 예시된바와 같이 형성하되, 다만 외피(2)를 형성함에 있어 외피(2)의 저면 또는 대응되는 결속편(5)에 결속밴드(7)를 구비하여 외피(2)의 하측에 내피깔판(3)을 결합시킬 때에 결속밴드(7)가 내피깔판(3)을 받쳐 지지해 주도록 하였다.
도 4에 예시된 내·외피착탈형카페트(1)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내피깔판(3)은 기히 설명한 바와 같이 형성하고 외피(2)를 다소 변경시켜서 된 것으로써, 상기 외피(2)를 형성함에 있어 지퍼(8)에 개폐할 수 있도록 된 포지형외피(2-1)로 형성하여서 된 것으로써, 지퍼(8)를 개방한 상태에서 포지형외피(2-1)의 내부(2-2)에 내피깔판(3)을 수납시킨 후에 지퍼(8)를 닫아 폐쇄시켜 주고, 닫힌 지퍼(8)를 개방하여 수납된 내피깔판(3)을 인출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착탈형카페트(1)에서 내피깔판(3)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내피깔판(3)을 형성함에 있어 통상의 폴리우레탄과 PVC를 상층재(9)와 하층재(9-1)로 사용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였으며, 사용되는 장소와 각 조건에 따라 상층재(9)또는 하층재(9-1)가 상면을 향하도록 적절하게 변경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착탈형카페트(1)에서 내피깔판(3)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써, 내피깔판(3)을 형성함에 있어 내피깔판(3)을 여러 조각의 장방형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조각의 외주에는 요철부(1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요철부(11)에 의해 각 조각을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와 같이 내피깔판(3)을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여 주게 되면 적층시킬 수 있고 보다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으며, 또한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내·외피착탈형카페트(1)를 절첩시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내·외피 착탈형 매트는 외피와 내피깔판을 각각 분리 형성하고 대응면에 착탈미끄럼방지수단을 구비하여 착탈미끄럼방지수단에 의해 착탈시켜 주므로, 외피의 오염이 심한 경우에는 외피만을 벗겨 세탁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세탁하고 동시에 탈수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세탁된 외피를 보다 신속하게 건조시킬 수 있고, 오피를 극세사 또는 초극세사로 직조된 직물지를 사용하게 되면 흡수력이 매우 양호한 매트를 제공할 수 있으며, 오피를 자주 세탁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내피갈판을 장방형의 여러 조각으로 분할하여 조립/분리시켜 줄 수 있도록 하게 되면 부피를 줄여 보다 용이하게 운반 및 보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외피(2)와 내피깔판(3)을 일체형으로 결합시켜서 된 것에 있어서,
    상기 외피(2)와 내피깔판(3)을 각각 분리 형성한 것과,
    외피(2)와 저면외주에 결속편(5)을 형성하여 내피깔판(3)을 수납시킬 수 있도록 한 것과,
    외피(2)의 저면과 내피깔판(3)의 상면에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을 대응되게 형성하여 외피(2)와 내피깔판(3)을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외피(2)는 폴리에스테르단사 또는 나일론사의 극세사또는 초극세사로 직조된 직물지로 형성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착탈미끄럼방지수단(4)은 벨크로테이프, 고무재, 실리콘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내피(2)의 외주연에 결속편(5)을 하측으로 형성하여 결속편(5)의 내측에 결속홈(6)이 형성되어지도록 하고, 상기 결속홈(6)에 내피깔판(3)의 외측 가장자리를 삽탈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외피(2)의 저면 양측 또는 대응되는 결속편(5)에 결속밴드(7)의 양단을 고정시켜 외피(2)의 하측에 결합되는 내피깔판(3)을 받쳐 지지해 주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내피깔판(3)은 통상의 폴리우레탄과 PVC를 상층재(9)와하층재(9-1)로 하여 일체형으로 형성하여서 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내피깔판(3)을 여러 조각의 장방형으로 분할하고, 분할된 각 조각의 외주에는 요철부(11)를 대응되게 형성하여 요철부(11)에 의해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피 착탈형 매트.
KR20-2003-0003143U 2003-02-03 2003-02-03 내·외피 착탈형 매트 KR2003217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143U KR200321726Y1 (ko) 2003-02-03 2003-02-03 내·외피 착탈형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03143U KR200321726Y1 (ko) 2003-02-03 2003-02-03 내·외피 착탈형 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1726Y1 true KR200321726Y1 (ko) 2003-07-31

Family

ID=49336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03143U KR200321726Y1 (ko) 2003-02-03 2003-02-03 내·외피 착탈형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172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125277A1 (en) Mat
WO2011049649A1 (en) Rugs with a mat portion
US11202524B1 (en) Stowable and deployable rug
US20190374069A1 (en) Rapid drying absorption mat
US20100247841A1 (en) Mat configuration
US6114002A (en) Portable hygienic mat
US6134741A (en) Absorbent cleaning slippers
KR200472005Y1 (ko) 차량용 바닥매트
KR200494366Y1 (ko) 슬리퍼용 걸레
US5804279A (en) Detailing towel
KR200321726Y1 (ko) 내·외피 착탈형 매트
KR200296321Y1 (ko) 내·외피 착탈형 카펫
KR20040014074A (ko) 내·외피 착탈형 카펫
KR101010263B1 (ko) 걸레가 부착된 실내화
KR100697033B1 (ko) 내ㆍ외피착탈형 매트
KR200386449Y1 (ko) 내ㆍ외피착탈형 매트
KR102451050B1 (ko) 밀착성 및 방음성이 개선된 차량 바닥재
KR101010262B1 (ko) 걸레가 부착된 실내화
KR200345204Y1 (ko) 내외피 분해결합형 매트
KR200325356Y1 (ko) 내/외피 분해결합형 매트
AU2002100695B4 (en) A mat
JP3184087U (ja) 生地を有するフロアマット
JP2007032082A (ja)
KR200483688Y1 (ko) 탈착이 용이하도록 고정지퍼 및 탄성밴드가 구비된 물매트
JP3142967U7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