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805B1 - 화장 브러시용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 - Google Patents

화장 브러시용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0805B1
KR102450805B1 KR1020207016246A KR20207016246A KR102450805B1 KR 102450805 B1 KR102450805 B1 KR 102450805B1 KR 1020207016246 A KR1020207016246 A KR 1020207016246A KR 20207016246 A KR20207016246 A KR 20207016246A KR 102450805 B1 KR102450805 B1 KR 102450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brush
makeup
twist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16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3579A (ko
Inventor
와타루 에노모토
쇼코 이치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Publication of KR20200083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3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0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08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21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arranged like in cosmetics brushes, e.g. mascara, nail polish, eye shadow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07Bristles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e.g. metal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38Bristles with non-round cross-section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69Monofilament bristle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76Bristles having pointed end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DMANUFACTURE OF BRUSHES
    • A46D1/00Bristles; Selection of materials for bristles
    • A46D1/02Bristles details
    • A46D1/0292Bristles having split en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46Brush used for applying cosmetic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62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9/00Medical; Hygi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및 그것을 사용한 화장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S 꼬임 또는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 브러시용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
본 발명은 화장 브러시용 모재,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및 화장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장 브러시용 모재에는 다람쥐털, 말털, 산양모 등의 천연수모가 사용되어 왔다. 천연수모는 액상 또는 분말상 화장료에 대한 포함성과 방출성이 좋고, 털이 유연하여 감촉 등의 사용감이 양호하다고 하여 애용자도 많다. 특히, 다람쥐털의 화장 브러시나 산양모의 화장 브러시는 수모의 화장 브러시의 최고급품으로서 소비자로부터 높은 평가를 얻고 있다. 그러나, 천연수모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지만 천연자원이기 때문에 공급량에 한계가 있을 뿐 아니라, 동물 애호나 지구생태 보호 등의 관점에서, 점차 그 입수가 곤란해지고 있다. 이에, 최근 들어서는 천연수모의 대체품으로서 합성섬유로 만들어진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를 주성분으로 하고, 특정 굴곡 회복률을 나타내는 화장 브러시 등의 브러시용 모재가 제안되어 있다. 폴리프로필렌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용 모재는 선단을 테이퍼 형상으로 한 것이더라도,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만으로 이루어지는 브러시용 모재보다도 내구성이 우수하고, 더 나아가서는 종래의 브러시용 모재보다도 유연성이 있는 소프트한 느낌을 갖는 소재인 것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2에는 심초(Core-Sheath) 구조 복합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그 일단에 테이퍼부를 형성한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제안되어 있다. 테이퍼부의 단면 형상을 원형 단면으로 하고, 테이퍼부 이외의 본체부의 단면 형상을 팔엽형으로 함으로써, 액체 화장료에 대한 우수한 도포성능과 천연수모에 필적하는 사용감을 겸비한, 화장 브러시 용도에 적합한 모재인 것이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2 참조).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3-245133호 공보 일본국 특허공개 제2009-201794호 공보
천연수모는 미묘하게 권축(捲縮)되어 있어, 모를 묶은 상태에서는 도포부 선단이 퍼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특히, 블러셔나 아이섀도 등의 분말상 화장료를 넓게 펼쳐 묻힌 상태에서 도포하는 것에 적합하다. 한편,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브러시용 모재는 합성섬유 자체가 직선상이어서, 모를 묶은 상태에서는 도포부 선단은 퍼지지 않고 스트레이트한 상태이기 때문에, 아이라이너나 립스틱 등의 고체상, 반죽상 또는 액상의 화장료를 도포하는 것에 적합하나, 분말상 화장료의 도포에는 적합하지 않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분말상 화장료 및 액상 화장료 각각의 도포에 적합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이 양호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및 그것들을 사용한 화장 브러시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특정 단면 형상을 갖는 S 꼬임 또는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브러시용 모재가,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발견하고,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는 다음 사항을 요지로 한다.
1. S 꼬임 또는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2. 상기 모노필라멘트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3. 상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가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4. 상기 합성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5.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4.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6. S 꼬임 및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혼합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7. 1. 내지 5.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6.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꼬임과 특정 단면 형상이라고 하는 2개의 특이적인 입체 형상을 가짐으로써, 각각의 입체 형상의 조합에 의해 상승(相乘)효과를 발휘하여,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에 있어서 천연수모보다 우수한 성능을 실현한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구비함으로써, 천연수모에 필적하는 감촉과 유연성을 겸비한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에 있어서의 누에고치형 형상의 단면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누에고치형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 개략도이다.
도 3의 (A)∼(C)는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단면 형상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광학현미경 사진(150배)이다.
도 5는 테이퍼부가 분기되어 있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광학현미경 사진(100배)이다.
도 6은 실시예의 「화장 브러시의 사용성능 평가 1:파우더 캐치성 평가」의 평가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실시예의 「화장 브러시의 사용성능 평가 2:파우더 릴리스성 평가」의 평가시험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S 꼬임 또는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인 화장 브러시용 모재,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및 화장 브러시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S 꼬임 또는 Z 꼬임의 꼬임구조를 갖는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진다. 즉, 「S 꼬임 모재(오른 꼬임)」 또는 「Z 꼬임 모재(왼 꼬임)」 중 어느 하나의 나선구조를 가지고 있어, 스트레이트한 섬유나 파도 형상의 섬유와 달리, 나선축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3차원적인 퍼짐을 갖는다.
이러한 꼬임에 의한 나선구조를 갖는 1 가닥의 모재가 차지하는 부피는, 종래 공지의 기어 클램프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평면적인 지그재그 구조의 모재인 경우에 비해서도 커서,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나 화장 브러시는 정치상태에서도 모재끼리의 겹침이나 밀착이 억제되어 내부에 공극부를 많이 포함하는, 푹신한 양감(量感)이 높은 것이 된다. 또한, S 꼬임과 Z 꼬임을 조합하면, 내부의 공극부가 보다 많아져 입체감을 높일 수 있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꼬임 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나 화장 브러시로 했을 때,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를 보유하기 위한 공극부를 인접하는 모재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S 꼬임, Z 꼬임 어느 경우도 30 T/m(턴/m) 이상 100 T/m(턴/m) 이하의 범위 내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0 T/m(턴/m) 이상 90 T/m(턴/m) 이하의 범위 내가 보다 바람직하다. 꼬임 수가 상기 범위 내라면,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10 ㎜를 초과하고 35 ㎜ 이하인 파장 폭으로 나선구조를 부여할 수 있다.
통상, 모노필라멘트에 입체감을 주기 위해서는, 보다 파장 폭을 짧게 하기 위해 강한 꼬임으로 해야 하는 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경우는 꼬임 수를 작게 (약한 꼬임)으로 함으로써 파장 폭을 길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꼬임 수를 작게 함으로써, 보다 입체감이 있는 브러시용 모재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모노필라멘트를 몇 가닥 합하여 꼰 후, 빗음으로써 용이하게 개섬(opening)시킬 수 있어, 제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하는 효과도 나타낸다. 또한, 강한 꼬임의 경우, 모재가 단단해져 감촉도 나빠지기 쉽다.
한편, 파장 폭이 35 ㎜를 초과하면, 꼬임이 약해져 모재가 직선상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모재의 3차원적인 퍼짐이 적어져, 모재 사이의 공극이 줄기 때문에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의 포집량과 보유량이 저하되기 쉬워진다. 또한, 파장 폭이 10 ㎜ 미만인 경우, 모재끼리가 얽히기 쉬워져 제조효율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파장 폭은 바람직하게는 11 ㎜ 이상 25 ㎜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2 ㎜ 이상 20 ㎜ 이하의 범위이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S 꼬임 또는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 도 1∼3에 따라 설명한다. 도 1, 2 모두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단면 형상 개략도이다. 도 3의 (A)∼(C)는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단면 형상 개략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누에고치형 형상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에가 만드는 누에고치와 같이 긴 모양으로 중앙부분(몸통부분)에 완만한 잘록한 부분이 있는 섬(俵)형 형상을 의미하고, 도 3(A)와 같은 중앙부분(몸통부분)에 잘록한 부분이 없는 단면 형상은 포함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누에고치형 형상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중앙부분(몸통부분)에 커다란 잘록한 부분을 갖는 것도 포함되는데, 도 3(B), (C)와 같은 예각의 홈과 같은 잘록한 부분을 갖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누에고치형 형상은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록한 부분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완만한 잘록한 부분을 따른 2개의 접선(점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누에고치형 형상은 이 「각도」가 100도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20도 이상이 보다 바람직하며, 130도 이상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포함되지 않는 태양은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잘록한 부분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잘록한 부분을 따른 2개의 접선(점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작아, 예각인 세로 홈이 구성되어 있다.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섬유의 길이방향으로 세로 홈이 존재하면,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포함성)이 향상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 세로 홈이 예각(90도 이내)의 각도를 갖는 것인 경우,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포함한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가 이 세로 홈에 보유되게 되어, 릴리스성(방출성)이 저하되는 것을 본 발명자들은 이번에 처음으로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그의 단면을 완만한 유선형, 즉, 상기 「각도」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은 각도로 이루어지는 잘록한 부분을 갖는 누에고치형 형상으로 함으로써,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 특히 릴리스성(방출성)이 우수한 성능을 발휘하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단면 형상에 대해서 도 1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있어서의 a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장경(이하, 장경(a)라 한다.), b는 우묵한 곳 폭(이하, 우묵한 곳 폭(b)라 한다.), c는 단경(이하, 단경(c)라 한다.), d는 우묵한 곳 지름(이하, 우묵한 곳 지름(d)라 한다.)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에 있어서는, 장경(a)는 100 ㎛ 이상 200 ㎛ 이하의 범위에 있고, 그 중에서도 110 ㎛ 이상 170 ㎛ 이하의 범위가 바람직하며, 120 ㎛ 이상 160 ㎛ 이하의 범위가 보다 바람직하다. 우묵한 곳 폭(b)는 장경(a)의 50% 이상 75% 이하의 범위에 있고, 단경(c)는 10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에 있으며, 우묵한 곳 지름(d)는 단경(c)의 40% 이상 90% 이하이다. 장경(a)와 우묵한 곳 지름(d)의 애스펙트비(a/d)는 1.1 이상 8.0 이하의 범위에 있고, 그 중에서도 2.0 이상 7.8 이하의 범위면 바람직하다. 또한, 단경(c)와 우묵한 곳 지름(d)의 애스펙트비(c/d)는 1.1 이상 3.0 이하의 범위에 있고, 1.1 이상 2.5 이하의 범위에 있으면 바람직하다.
장경(a), 우묵한 곳 폭(b), 단경(c), 우묵한 곳 지름(d)가 상기 범위에 있으면,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에 있어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S 꼬임 또는 Z 꼬임의 꼬임구조를 가지며, 또한 그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이라고 하는, 2개의 특이적인 입체 형상의 조합에 의해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에 있어서, 특히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릴리스성(방출성)에 있어서, 초기 릴리스성이 매우 우수하다고 하는 성능을 발휘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 있어서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수모의 화장 브러시의 최고급품으로서 소비자로부터 높은 평가를 얻고 있는 산양모의 화장 브러시에 비해, 분말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포함성)이 1.3∼1.8배 정도 높아,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또한,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릴리스성(방출성)에 대해서는, 산양모의 화장 브러시와 비교하여 초기 릴리스성(방출성)이 1.2배 정도 높아,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이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발휘하는,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의 효과, 즉, 포함성과 방출성 두 성능이 우수한 것은, 본 발명자들이 처음 확인한 각별히 현저한 효과이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진다. 이 합성수지로서는,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폴리아크릴로니트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합성수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선택 또는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들 중에서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서 적당한 강성과 내구성을 갖는 동시에, 압출 가공, 꼬임 가공, 테이퍼 가공 등이 우수하기 때문에 적합하다. 그 중에서도,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락트산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적당한 유연성과 탄성을 구비하는 점에 있어서,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는 본 발명의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라면, 내열제, 내후제, 가소제, 착색제 등의 관용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화장 브러시용 모재 전체의 1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25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 중량% 이상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화장 브러시용 모재 전체의 10 중량% 이상 100 중량% 이하의 범위에 있어서 함유함으로써,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에 있어서, 천연수모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보다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감촉과 유연성에 있어서도 천연수모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에 근사한 것으로 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화장 브러시용 모재 전체의 30 중량% 이상 함유하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는 본 발명의 효과를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이외는, 나일론 섬유나 폴리에스테르 섬유 등의 합성섬유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에 있어서는,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구비하도록 가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가 분기되듯이 가공되어 있으면 보다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선단부를 가공함으로써, 화장료의 도포 시에 있어서 감촉이 좋아져, 천연수모에 보다 가까운 우수한 촉감이 얻어진다.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제조방법>
다음으로,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등의 합성수지 펠릿 또는 분말과, 필요에 따라 첨가제를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혼합 교반한 후, 압출형 방사기의 호퍼에 공급하여, 가열 용융된 합성수지 혼합물을 본 발명의 모재 단면 형상에 대응하는 누에고치형 형상의 노즐로부터 압출하고, 방사구로부터 방사해서 3단의 가열 연신에 의해 4∼5배의 연신을 행하여,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인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를 제조한다.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를 전술한 꼬임 수로 꼰 후, 꼬아 합친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를 합성수지 융점 이하의 온도에서 가열하여 열세팅한다. 열세팅 시간은 온도에 따라서도 다른데, 예를 들면 185℃에서 5분간 정도이다. 이것에 의해, 꼬인 구조가 고정화되어 사용환경의 영향을 받지 않아 형상이 안정해진다. 그리고 열세팅한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를 소정의 길이, 예를 들면 길이 25 ㎜ 이상, 바람직하게는 50 ㎜ 이상 100 ㎜ 이하의 범위로 절단한다.
절단한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는 필요에 따라 선단에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를 형성해도 된다. 이를 위해서는, 강알칼리 용액(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가수분해 촉진용 촉매를 첨가하여 일정 온도 조건으로 유지한 속에, 절단한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선단부터 중앙부 부근까지를 침지한다. 소정 시간 침지한 후, 끌어올림으로써,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선단이 테이퍼 형상으로 가늘어져, 뾰족한 테이퍼부가 형성된다. 이 방법으로 얻어진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는 거의 완전한 테이퍼 형상의 테이퍼부를 구비한 것이 된다. 또한, 침지시간을 적당히 설정함으로써,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 단면의 누에고치형 형상의 잘록한 부분이 용해되어, 테이퍼부의 선단이 2개로 분기되고 또한 첨예화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를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은 테이퍼부가 분기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 테이퍼부의 길이는 사용 목적이나 용도에 따라 1∼30 ㎜의 범위로, 분기된 부분의 길이는 0.1∼20 ㎜의 범위로 하면 된다.
이어서, 이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다발을 수세하고, 건조한다. 그리고,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다발을 빗어 꼬아 합친 것을 1가닥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누에고치형 형상이며, 또한 열세팅된 꼬임의 흔적이 남아,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특정 단면 형상과 나선구조를 가진 상태가 된다. 또한, 알칼리 처리를 행함으로써,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테이퍼부가 분기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얻어진다.
추가로 필요에 따라 염색 처리를 행하여도 된다. 염료는 분산 염료를 사용할 수 있는데, 내후 견뢰도가 5급 이상인 것이 화장 브러시의 사용 시에 변색이나 퇴색이 적은 것으로부터 바람직하다. 또한, 염료는 공지의 염색 캐리어제를 병용해도 되는데, 염색 캐리어제를 필요로 하지 않는 고압 염색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모노필라멘트의 제조 원료에 카본 블랙이나 각종 안료 등을 첨가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염색 시의 염료를 절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용도에 따라서는 염색을 행할 필요가 없는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는 S 꼬임 및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혼합 집합체이다. S 꼬임과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혼재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사용하여 화장 브러시로 하면, 그 도포부 선단의 모재의 흐름이 랜덤이 되어,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의 포집량과 보유량이 균일해져 바람직하다. 화장 브러시는 사용자의 사용방법이나 사용습관에 따라, 일정 방향으로 비틀어져 도포부에 굴곡이 생길 가능성도 있는데, S 꼬임과 Z 꼬임의 것이 혼재함으로써, 이 굴곡이 생기기 어려워 화장 브러시의 내구성이 한층 향상되어 적합하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에 있어서,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4:6∼6:4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4:6∼6:4로 혼합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화장 브러시의 도포부에 사용함으로써, 내부의 공극부가 보다 많아져 입체감이 있는 도포부가 형성되어, 천연의 수모를 사용한 도포구에 한층 근사한 것이 되어,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를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는 것이 된다. 또한,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거의 균일하게 혼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거의 균일하게 혼합된다」는 것은,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각각이 굳어 국재화하는 것이 아니라, 분산된 상태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옆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배치되고, 반대로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의 옆은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존재하듯이, 화장 브러시 도포부의 거의 전체에 걸쳐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거의 번갈아 배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거의 균일하게 혼합됨으로써, 서로 인접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끼리가 서로 밀착하여 밀집하는 것이 저해되기 때문에, 화장 브러시용 모재 사이에 공극부가 형성되기 쉬워져, 푹신한 양감이 높은 화장 브러시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S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와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가 거의 균일하게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의 도포부는 0.3 g/㎤∼0.5 g/㎤의 모 밀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화장 브러시 도포부의 모 밀도가 전술한 범위라면, 도포부에 입체감이 있고, 도포부의 선단 부분이 퍼져 볼륨감이 생김으로써, 천연의 수모를 사용한 도포구에 근사한 것이 되어,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의 도포에 적합한 것이 된다.
<화장 브러시의 제조방법>
전술한 제조방법 등에 의해 얻어진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의 제조방법의 일례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화장 브러시용 모재 전체의 적어도 일부에,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상 함유시킨 것을 브러시 끝 형성용 단지에 투입하고, 진동을 부여하면서 단지의 내부 형상에 따라 중앙부가 솟아오른 끝부분을 성형하고, 이어서, 성형된 끝부분을 화장 브러시 핸들부 끝에 설치한 원통 형상 구금 내에 삽입하여 화장 브러시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는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를 균일하게 도포하기에 적합하여, 각종 화장 브러시, 예를 들면 리퀴드 브러시, 립 브러시, 네일 케어 브러시, 파운데이션 브러시, 파우더 브러시, 섀도우용 브러시, 블러셔용 브러시, 하이라이트용 브러시 또는 컨실러 브러시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분말상 화장료를 피부면 상에서 얇게 펴면서 도포하는 사용법, 소위 펴바르기에 특히 적합하여, 이러한 도포법을 다용하는 페이스용 브러시, 블러셔용 브러시, 하이라이트용 브러시 또는 아이섀도 등의 섀도용 브러시로서 사용할 때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실시예
아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및 화장 브러시의 제조예>
(화장 브러시 A)
누에고치형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모노필라멘트(장경(a)=156 ㎛, 우묵한 곳 폭(b)=100 ㎛, 단경(c)=56 ㎛, 우묵한 곳 지름(d)=25 ㎛에 상당.)×60 가닥을, 합연기(合撚機)로 80 T/m(턴/m)의 꼬임 수를 S자 방향으로 넣은 것(S 꼬임)과, Z자 방향으로 넣은 것(Z 꼬임)을 각각, 120℃에서 40분간의 증기처리에 의해 꼬임 멈춤을 행하여, 파장 폭이 11 ㎜인 S 꼬임 및 Z 꼬임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얻었다. 이어서,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의 S 꼬임과 Z 꼬임을 1:1의 비율로 섞으면서 엮어서 직경 4 ㎝의 섬유다발을 만들고, 종이를 감아 보호하였다. 이 섬유다발을 8 ㎝의 길이로 커트하여 직경 4 ㎝, 길이 8 ㎝의 수속체로 하였다. 또한, 수산화나트륨 100 g/L, 제4급 아민(잇뽀샤 유지 공업 주식회사 제조, 상품명 「DYK-1125」) 6 g/L의 수용액을 만들어, 그 용액에 섬유다발의 일단을 침지하고, 130℃에서 130분간 처리를 행하여, 테이퍼 가공한 섬유다발을 염색한 후, 꼬임을 빗으로 빗어 우묵형 단지에 모 끝을 아래로 하여 진동을 부여하여, 모형(毛型)을 정돈한 화장 브러시 A를 제작하였다.
(화장 브러시 B)
상기 「화장 브러시 A」의 제조예에 있어서, 누에고치형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모노필라멘트(장경(a)=126 ㎛, 우묵한 곳 폭(b)=76 ㎛, 단경(c)=54 ㎛, 우묵한 곳 지름(d)=46 ㎛에 상당.)×60 가닥을, 합연기로 80 T/m(턴/m)의 꼬임 수를 S자 방향으로 넣은 것(S 꼬임)과, Z자 방향으로 넣은 것(Z 꼬임)을 사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화장 브러시 B를 만들었다.
(비교예 브러시)
상기 「화장 브러시 A」의 제조예에 있어서, 원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는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모노필라멘트 75 ㎛(0.075 ㎜:「섬유 직경」에 상당.)×60 가닥을, 합연기로 80 T/m(턴/m)의 꼬임 수를 S자 방향으로 넣은 것(S 꼬임)과, Z자 방향으로 넣은 것(Z 꼬임)을 사용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브러시를 만들었다.
<화장 브러시의 사용성능 평가 1:파우더 캐치성 평가>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에 있어서의 파우더 캐치성(포함성)에 대해서 평가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우더 캐치성(포함성)이란, 화장 브러시에 대한 분말상 화장료의 가루 부착을 나타내는 것이다.
(시험 검체)
상기 제조예에 의해 제조한 화장 브러시 A, B, 비교예 브러시 외에, 수모의 화장 브러시의 최고급품으로서 소비로부터 높은 평가를 얻고 있는 시판의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를 사용하여, 분말상 화장료(주식회사 시세이도 제조:인테그레이트 미네랄 글로우 프레스트 파우더)의 파우더 캐치성(포함성)을, 표면성 시험기(주식회사 트리니티 라보 제조, 상품명:트리라보 핸디 러브 테스터 Type:TL701)를 사용해서 평가하였다.
(시험방법)
분말상 화장료가 충전된 원형 용기(직경:5.5 ㎝)를, 상기 표면성 시험기의 접촉자에 거의 수직으로 양면 테이프로 첩부하였다. 분말상 화장료의 표면에 시험 검체인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이 거의 직각으로 접하도록, 각 시험 검체를 회전대에 장착하고, 시험대에 대해 수평이 되도록 고정하였다.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을 분말상 화장료의 표면에 대해 10회 스위핑시켜서(속도:6 rpm, 회전반경:100 ㎜, 회전각도:90도),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에 분말상 화장료를 픽업시켰다.
각 시험 검체의 파우더 캐치성은 시험 종료 전후의 화장 브러시의 중량을 계측하여, 그 중량차를 10회 파우더 캐치량(포함량)으로서 평가하였다.
또한, 미사용의 화장 브러시에 대해서는, 상기 시험방법에 의해 분말상 화장료의 표면을 10회 스위핑시켜서 분말상 화장료를 포집시킨 후, 당해 화장 브러시를 티슈에 스위핑시켜서 티슈에 분말상 화장료가 부착되지 않게 될 때까지 방출시킨 것을 시험 검체로서 사용하였다.
시험은 2회 행하고, 각 시험 검체의 평균값을 도 6에 나타내었다.
도 6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 A, B는 단면 형상이 원형상인 비교예 브러시에 비해, 파우더 캐치량이 약 2.6∼3.4배 많은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시판되고 있는 산양모의 화장 브러시와 비교하면, 파우더 캐치량이 약 1.3∼1.8배 많아지는 것도 확인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꼬임과 특정 단면 형상이라고 하는 2개의 특이적인 입체 형상의 조합에 의해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파우더 캐치성(포함성)이 우수한 화장 브러시로 할 수 있는 것이, 이 평과결과로부터 명확해졌다.
<화장 브러시의 사용성능 평가 2:파우더 릴리스성 평가>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에 있어서의 파우더 릴리스성(방출성)에 대해서 평가하는 시험을 행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파우더 릴리스성(방출성)이란, 화장 브러시로부터 도포면으로의 분말상 화장료의 토출성능을 나타내는 것이다.
(시험 검체)
상기 「화장 브러시의 사용성능 평가 1」과 동일한 화장 브러시 A와 시판의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를 사용하였다. 산양모, 특히, 목에서 가슴에 걸친 마모가 적은 유연한 원모를 원료로 하는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는 분말상 화장료를 많이 포함하고 방출성도 양호하기 때문에, 파운데이션이나 블러셔 등의 넓은 범위의 도포부터, 아이섀도와 같은 가느다란 부분의 도포까지 대응할 수 있는 화장 브러시로서, 소비자로부터 높은 평가를 얻고 있는 것이다.
(파우더 릴리스성 평가시험의 준비)
시험대 위에 수평하게 고정한 분말상 화장료(주식회사 시세이도 제조:인테그레이트 미네랄 글로우 프레스트 파우더) 표면에, 시험 검체인 각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이 거의 직각으로 접하도록 각 시험 검체를 회전대에 장착하고, 시험대 위에 대해 수직이 되도록 고정하였다.
각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을 분말상 화장료의 표면에 대해 스위핑시켜서(속도:6 rpm, 회전반경:100 ㎜, 회전각도:90도), 각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에 분말상 화장료를 개략 0.01 g 픽업시켰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 A는 5회의 스위핑에 의해 분말상 화장료를 0.01 g 포집할 수 있었던 것에 대해,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는 15회 스위핑시켜야만 분말상 화장료를 0.01 g 포집할 수 있었다.
이 결과로부터도,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 A는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에 비해, 분말상 화장료의 캐치성(포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 확인되었다.
(파우더 릴리스성 평가시험)
도포면으로서 화장 스펀지를 원주대(직경:47 ㎜)에 첩부하였다. 화장 스펀지 표면에 시험 검체인 분말상 화장료를 픽업시킨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이 거의 직각으로 접하도록 각 시험 검체를 지그에 장착 고정하였다.
화장 브러시의 끝부분을 도포면에 대해 5, 10, 15, 20회 움직여(속도:6 rpm, 회전반경:100 ㎜), 도포면에 분말상 화장료를 도포하였다.
각 시험 검체의 파우더 릴리스성은 5, 10, 15, 20회 움직인 후의 화장 브러시의 중량을 계측하여, 평가시험 전 화장 브러시와의 중량차를 각 회의 파우더 릴리스량으로 하고, 이 파우더 릴리스량을 평가시험 전 포집 화장료로 제한 값을 파우더 릴리스율(%)로서 평가하였다.
시험은 3회 행하고, 각 시험 검체의 파우더 릴리스율(%)의 평균값을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이루어지는 화장 브러시 A는, 분말상 화장료의 캐치성&릴리스성이 양호한 것이 알려져 있는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에 비해, 릴리스성(방출성), 특히, 시험 개시부터 5회 도포한 초기의 릴리스성(방출성)이 1.2배 이상 우수한 것이 명확해졌다. 이 초기 릴리스성(방출성)이 우수한 것은, 화장 브러시로 피부를 여러번 터치하는 것만으로 화장료를 피부에 도포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고, 블러셔냐 아이섀도 등의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료를 사용하는 경우에, 우수한 기능성이 용이하게 얻어지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화장 브러시로서는 매우 우위성이 높은 효과이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꼬임과 특정 단면 형상이라는 2개의 특징적인 입체 형상의 조합에 의해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산양모(조광봉)의 화장 브러시에 비해 파우더 캐치성(포함성)이 우수하여, 용이하게 많은 화장료를 포함할 수 있는 화장 브러시로 할 수 있는 것이며, 또한, 파우더 릴리스성(방출성)에 있어서도, 특히 초기의 파우더 릴리스성(방출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를 발휘하여, 포함한 화장료를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방출하는 화장 브러시로 할 수 있는 것이, 이 「화장 브러시의 사용성능 평가 2」의 결과로부터 명확해졌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캐치성(포함성)과 릴리스성(방출성)의 두 성능이 우수하기 때문에, 액상 또는 분말상 화장료를 허비하지 않고 남김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다른 액상 또는 분말상 화장료와 색혼합을 일으킬 염려가 적은 등의, 사용자에게 있어서 매우 사용하기 편리한 화장 브러시로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 브러시용 모재는 꼬임, 즉 S 꼬임 또는 Z 꼬임과, 누에고치형 형상의 특정 단면 형상이라는 2개의 특이적인 입체 형상을 가짐으로써, 각각의 입체 형상의 조합에 의해 상승효과를 발휘하여, 분말상 또는 액상 화장료에 대한 캐치성&릴리스성이 천연수모에 비해 매우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특히, 초기 릴리스성(방출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포함한 화장료를 신속하게 피부에 도포할 수 있어, 화장 브러시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구비함으로써, 천연수모에 필적하는 감촉과 유연성을 겸비한 화장 브러시용 모재로 할 수 있다.

Claims (7)

  1. S 꼬임 또는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아래 도 1에 나타내는 잘록한 부분을 갖는 누에고치형 형상이고, 상기 누에고치형 형상은 잘록한 부분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잘록한 부분을 따른 2개의 접점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도 1에 있어서의 「우묵한 곳 지름(d)」에 대한 「단경(c)」의 비(c/d)가 1.1 이상, 54/46 이하의 범위이고,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우묵한 곳 폭(b)」는 「장경(a)」의 50% 이상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도 1]
    Figure 112022062009353-pct00008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노필라멘트가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된 테이퍼부가 분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수지가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6. S 꼬임 및 Z 꼬임의 합성수지제 모노필라멘트의 혼합 집합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모노필라멘트의 섬유축과 수직방향의 단면이, 아래 도 1에 나타내는 잘록한 부분을 갖는 누에고치형 형상이고, 상기 누에고치형 형상은 잘록한 부분 중앙부를 기점으로 하여, 잘록한 부분을 따른 2개의 접점이 이루는 각도가 90도보다 크고 180도보다 작으며, 도 1에 있어서의 「우묵한 곳 지름(d)」에 대한 「단경(c)」의 비(c/d)가 1.1 이상, 54/46 이하의 범위이고, 또한, 도 1에 있어서의 「우묵한 곳 폭(b)」는 「장경(a)」의 50% 이상 75%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
    [도 1]
    Figure 112022062009353-pct00009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또는 제6항에 기재된 화장 브러시용 모재 집합체를 적어도 일부에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브러시.
KR1020207016246A 2017-12-05 2018-12-04 화장 브러시용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 KR1024508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33847 2017-12-05
JPJP-P-2017-233847 2017-12-05
PCT/JP2018/044472 WO2019111868A1 (ja) 2017-12-05 2018-12-04 化粧ブラシ用毛材、その毛材を用いた化粧ブラシ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3579A KR20200083579A (ko) 2020-07-08
KR102450805B1 true KR102450805B1 (ko) 2022-10-04

Family

ID=66750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16246A KR102450805B1 (ko) 2017-12-05 2018-12-04 화장 브러시용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153641A1 (ko)
EP (1) EP3721752A4 (ko)
JP (2) JP7141575B2 (ko)
KR (1) KR102450805B1 (ko)
CN (1) CN111447858B (ko)
WO (1) WO20191118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9143A (ko) * 2020-08-07 2023-02-07 가부시키가이샤 타이키 화장 브러시용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 브러시
WO2023006359A1 (en) 2021-07-26 2023-02-02 Unilever Ip Holdings B.V. Filaments for oral care implemen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544A (ja) * 1999-07-22 2001-03-13 L'oreal Sa 捻れ繊維を具備する液状、ペースト状又は微粉状の製品のアプリケータ及びこれを装備したアプリケータ装置
JP2007260199A (ja) * 2006-03-29 2007-10-11 Toray Monofilament Co Ltd 工業ブラシ用毛材および工業ブラシ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27068B1 (fr) * 1988-02-12 1990-12-07 Oreal Brosse pour l'application d'un produit de maquillage, notamment de mascara, et reservoir de produit equipe d'une telle brosse
JP2002058538A (ja) 2000-06-05 2002-02-26 Toray Monofilament Co Ltd ブラシ用毛材およびその用途
JP2003245133A (ja) 2002-02-22 2003-09-02 Toray Monofilament Co Ltd ブラシ用毛材およびその用途
JP2007135964A (ja) * 2005-11-21 2007-06-07 Toray Monofilament Co Ltd 化粧ブラシ用毛材および化粧ブラシ
JP5223056B2 (ja) * 2007-09-12 2013-06-26 東レ・モノフィラメント株式会社 ブラシ用毛材およびブラシ
JP5288098B2 (ja) 2008-02-28 2013-09-11 東レ・モノフィラメント株式会社 ブラシ用毛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シ
JP5228191B2 (ja) * 2008-03-07 2013-07-03 憲司 中村 化粧用ブラシ
US8136536B2 (en) * 2008-09-24 2012-03-20 Elc Management Llc Shape memory polymer mascara brush
MX365226B (es) * 2012-12-14 2019-05-27 Henkel Ag & Co Kgaa Herramienta de aplicacion.
JP2015006227A (ja) * 2013-06-25 2015-01-15 東レ・モノフィラメント株式会社 ブラシ用毛材およびブラシ
JP2017000369A (ja) * 2015-06-09 2017-01-05 三菱鉛筆株式会社 塗布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61544A (ja) * 1999-07-22 2001-03-13 L'oreal Sa 捻れ繊維を具備する液状、ペースト状又は微粉状の製品のアプリケータ及びこれを装備したアプリケータ装置
JP2007260199A (ja) * 2006-03-29 2007-10-11 Toray Monofilament Co Ltd 工業ブラシ用毛材および工業ブラ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40604A (ja) 2022-09-26
EP3721752A1 (en) 2020-10-14
JP7141575B2 (ja) 2022-09-26
KR20200083579A (ko) 2020-07-08
EP3721752A4 (en) 2021-08-11
WO2019111868A1 (ja) 2019-06-13
CN111447858B (zh) 2022-07-26
CN111447858A (zh) 2020-07-24
JP7352246B2 (ja) 2023-09-28
US20210153641A1 (en) 2021-05-27
JPWO2019111868A1 (ja) 2020-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37512B2 (en) Methods of providing a cosmetic brush
JP7352246B2 (ja) 化粧ブラシ用毛材、その毛材を用いた化粧ブラシ
CN107568888B (zh) 仿动物毛聚酯丝化妆刷毛及其生产工艺
KR102126098B1 (ko) 항균성 화장용 브러시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항균성 화장용 브러시 및 그 제조방법
JP4823237B2 (ja) 人工毛髪、人工毛髪を有するかつら並びに人工毛髪の製造方法
KR20140020940A (ko) 화장용 필라멘트, 그 필라멘트를 사용한 화장용 브러시 모재, 그 모재를 사용한 화장용 브러시
JP5288098B2 (ja) ブラシ用毛材、その製造方法およびブラシ
CN101278777A (zh) 具有多种特性的单纤维刷子及其制造方法
JP2008109990A (ja) 化粧ブラシ用毛材の製造方法
WO2012111106A1 (ja) パウダー化粧料用ブラシ
JPH11235230A (ja) 化粧用筆毛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80199700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 for making a cosmetic applicator
JP5707827B2 (ja) 筆穂
WO2022030180A1 (ja) 化粧ブラシ用毛材、その毛材を用いた化粧ブラシ
JP5228191B2 (ja) 化粧用ブラシ
JP4296394B2 (ja) 化粧製品などの塗布具および当該塗布具の製造方法
JP2006136523A (ja) 化粧ブラシ用毛材および化粧ブラシ
JP2004174891A (ja) 筆穂
ES2155392A1 (es) Cepillo para aplicacion de mascara para pestañas
JPS60187542A (ja) 制電性立毛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6184545B1 (ja) 化粧筆、化粧筆の製造方法および化粧筆による化粧方法
KR20190021788A (ko) 미세 칫솔모 및 이의 제조방법
JP5386697B2 (ja) パウダー化粧料用ブラシ
JP6268575B2 (ja) 抗菌性化粧用ブラシ毛材、その毛材を用いた抗菌性化粧用ブラシ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299545A (ja) 人工毛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