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0032B1 -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450032B1 KR102450032B1 KR1020220054989A KR20220054989A KR102450032B1 KR 102450032 B1 KR102450032 B1 KR 102450032B1 KR 1020220054989 A KR1020220054989 A KR 1020220054989A KR 20220054989 A KR20220054989 A KR 20220054989A KR 102450032 B1 KR102450032 B1 KR 1024500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vapor
- membrane separation
- unit
- line
- valv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7/049—Vapour recovery methods, e.g. condensing the vapou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8—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sediment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9—Integrated processes (Diffusion and at least one other process, e.g. adsorption, absorp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68—Drying gases or vapours by diffus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22—Safety features
- B65D90/30—Recovery of escaped vapou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4—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for transferring fuels, lubricants or mixed fuels and lubricants
- B67D7/0476—Vapour recovery systems
- B67D7/0478—Vapour recovery systems constructional features or components
- B67D2007/0494—Means for condensing the vapours and reintroducing them into the storage tank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시스템 전자기기제품의 정상운전을 유지 및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액화되지 않은 나머지 유증기를 2차적으로 분리 및 응결시켜 99%이상의 높은 효율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원상복귀시켜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저하 없이 항상 최적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증기의 함량을 최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년 이내 A/S가 필요없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 유류 저장탱크의 유증기가 흡입되는 냉각챔버와; 기상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기상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냉각챔버 내에 액화된 액체를 공급받아 비중차에 의해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를 포함하고,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와;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응결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증기를 분리 및 응결시키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투과시키는 막분리부와, 상기 막분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발암물질을 흡착제거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막분리처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시스템 전자기기제품의 정상운전을 유지 및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액화되지 않은 나머지 유증기를 2차적으로 분리 및 응결시켜 99%이상의 높은 효율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원상복귀시켜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저하 없이 항상 최적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증기의 함량을 최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년 이내 A/S가 필요없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유증기는 휘발유·중유·윤활유 등의 유류나 0.02psi 이상의 증기압을 갖거나 끓는점이 100℃ 미만인 휘발성 유기화합물질[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揮發性有機化合物 ]이 휘발하여 1~10㎛ 크기의 입자로 공기 중에 액체 또는 기체상으로 섞여 있는 상태를 말한다.
대기 중에서 질소산화물과 공존하면 햇빛의 작용으로 광화학반응을 일으켜 오존 및 팬(PAN:퍼옥시아세틸 나이트레이트) 등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시켜 광화학스모그를 유발한다.
대기 오염 뿐만 아니라 발암성 물질이며, 지구온난화의 원인물질이며 악취를 일으킴으로 국가마다 배출을 줄이기 위해 정책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벤젠, 아세틸렌, 휘발유 등을 비롯하여 산업체에서 사용되는 용매 등 다양하다.
주유소에서 발생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이하 VOCs)인 유증기는 벤젠, 1,3-부타디엔 등 발암물질이 포함돼 있다.
유증기는 호흡을 통해 인체에 유입될 경우 현기증이나 마취 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중추신경을 마비시키거나 암과 빈혈 등을 유발하는 등 인체에 많은 해를 끼칠 수 있다.
대기 중에서는 광화학반응을 통해 미세먼지와 오존과 같은 광화학 산화성 물질을 생성하여 광화학 스모그를 유발하고 대기 오염을 가중시킨다.
또한, 유증기는 발화점이 낮아 밀폐된 공간에서 농도가 높을 경우 작은 불꽃에도 폭발을 일으켜 화재를 발생시킬 가능성이 높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643712호 등으로 제안된 유증기회수장치는 인체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환경보호를 함과 동시에 에너지를 회수/재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익까지 창출할 수 있는 신기술이다.
보편적인 유증기회수방법에는 흡수, 흡착, 응축과 막분리 등 시스템이 있다.
현재 시장에는 저온응축기술을 이용한 유증기회수 기술 및 제품은 비교적 성숙되어 있다.
그러나, 현재 어떠한 기술을 이용한 유증기 회수시스템을 막론하고 저온응축기술을 이용한 유중기회사 제품의 회수율이 아무리 높다고 하여도 일정한 부분의 유증기는 회수되지 않은 상태 그대로 대기 중으로 방출되어 인체에 영향을 끼치고 대기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유증기 저장 또는 운송과정 중에 대량의 정전기를 보유하고 있으며, 유증기의 회수과정에서도 정전기가 발생하는데, 현재 어떠한 유증기회수시스템도 정전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가 없다.
저온액화회수기술에 막분리회수&분자체흡착분리회수방식을 추가한 고효율 방식으로 유증기회수율을 최대한 높이고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증기양을 최소한으로 줄여 환경오염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정전기의 완전 제거함으로써, 시스템의 전자기기제품의 정상적인 작동/운행 및 화재 발생을 유발할 수 있는 안전위험을 해결하는 것이 유증기회수시스템에 있어서 해결해야 할 문제이고 과제이다.
본 발명은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시스템 전자기기제품의 정상운전을 유지 및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액화되지 않은 나머지 유증기를 2차적으로 분리 및 응결시켜 99%이상의 높은 효율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원상복귀시켜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저하 없이 항상 최적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증기의 함량을 최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년 이내 A/S가 필요없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유류 저장탱크의 유증기가 흡입되는 냉각챔버와; 기상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기상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냉각챔버 내에 액화된 액체를 공급받아 비중차에 의해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를 포함하고,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와;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응결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증기를 분리 및 응결시키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투과시키는 막분리부와, 상기 막분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발암물질을 흡착제거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막분리처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정전기 제거부를 통해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어 시스템 전자기기제품의 정상운전을 유지 및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고, 나아가, 액화되지 않은 나머지 유증기를 막분리처리부를 통해 2차적으로 분리 및 응결시켜 99%이상의 높은 효율로 유증기를 회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공상태에서 흡착제에 흡착되어 있는 발암물질을 회수하여 상기 흡착제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원상복귀시켜 흡착제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저하 없이 항상 최적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아울러,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증기의 함량을 최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년 이내 A/S가 필요없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일예의 정전기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막분리처리부의 상부부위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막분리처리부의 하부부위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예의 압력측정센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로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 및 응결된 유증기의 배출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로부터 배출된 응결된 유증기가 보조회수라인을 통해 유수분리기로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흡착제로부터 분리된 발암물질의 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3웨이밸브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는 일예의 정전기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3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막분리처리부의 상부부위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막분리처리부의 하부부위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6은 다른예의 압력측정센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7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로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 및 응결된 유증기의 배출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8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로부터 배출된 응결된 유증기가 보조회수라인을 통해 유수분리기로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흡착제로부터 분리된 발암물질의 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3웨이밸브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1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냉각챔버(10), 열교환부(20), 유수분리기(30), 정전기 제거부(40) 및 막분리처리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냉각챔버(10)는 주유소 등의 유류 저장탱크(9)와 연결되어 상기 유류 저장탱크(9)로부터 흡입된 유증기를 냉각시켜 액체로 액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열교환부(20)는 상기 냉각챔버(10)에 흡입된 유증기를 냉각시켜 액체로 액화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기상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기상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유수분리기(30)는 상기 냉각챔버(10)내에 액화된 액체를 공급받아 비중차에 의해 오일과 물을 분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냉각챔버(10), 상기 열교환부(20) 및 상기 유수분리기(30)는 공지된 사항이므로, 이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는 일예의 정전기 제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정전기 제거부(40)는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되는 정전기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시스템 전자기기제품의 정상운전을 유지 및 정전기 발생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을 용이하게 차단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정전기 제거부(40)의 용이한 설치를 위해,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막분리처리부(50)는 후술할 막분리부(510)와 흡착부(520)를 일정높이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프레임(53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정전기 제거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5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530)은 일예로, 크게, 지지판(531)과 지지다리(5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판(531)에는 상기 막분리부(510)와 상기 흡착부(520)가 상기 지지판(53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532)는 상기 지지판(531)의 하부 가장자리에 방사형으로 일정간격으로 수직설치될 수 있다.
상기 지지다리(532)의 하부는 상기 지지다리(532)의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평절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제거부(40)는 일예로, 크게 고무절연판(410), 동판(420), 고정금속판(430), 정전기 전도판(440), 볼트부재(450), 케이블(460) 및 접지봉(4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무절연판(410)은 상기 지지프레임(530)의 지지다리(532)의 하부에 수평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판(420)은 상기 지지프레임(530)의 지지다리(532)의 하부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동판(420)은 상기 지지프레임(530)의 지지다리(5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고무절연판(410)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되어 상기 지지프레임(530)의 지지다리(53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고무절연판(410)부위를 각각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고정금속판(430)의 상부에 상기 동판(420)의 하부가 접합된 상태로 상기 고정금속판(430)은 상기 고무절연판(410)의 하부에 수평으로 고정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판(420)의 하부는 전기 전도성 접착제 등 다양한 종류의 접착제에 의해 상기 고정금속판(430)의 상부에 접착접합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전도판(440)은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정전기 전도판(440)은 상기 동판(420)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동판(420)의 외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고무절연판(410)의 상부 일측 또는 상부 타측에 각각 수평안착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50)는 금속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50)는 상기 정전기 전도판(440), 상기 고무절연판(410) 및 상기 고정금속판(430)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정전기 전도판(440)과 상기 고정금속판(430)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볼트부재(450)는 상기 정전기 전도판(440)과 상기 고정금속판(430)에 각각 나사결합 및 상기 고무절연판(410)을 수직관통할 수 있다.
상기 케이블(460)은 전선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정전기 전도판(4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접지봉(470)은 상기 케이블(46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정전기를 대지로 흘려 방출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무절연판(410)과 상기 고정금속판(430) 사이의 진동 및 미끄러움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고무절연판(410)의 하부에는 미끄럼 방지무늬(410a)가 상기 고무절연판(4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미끄럼 방지무늬(410a)는 단면형상이 요철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4는 일예의 막분리처리부의 상부부위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고, 도 5는 일예의 막분리처리부의 하부부위를 확대한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막분리처리부(50)는 상기 냉각챔버(10)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나머지 유증기를 2차적으로 분리 및 응결시켜 99%이상의 높은 효율로 유증기를 회수 및 진공상태에서 발암물질을 회수하여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원상복귀시켜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저하 없이 항상 최적의 발암물질 흡착제거효율을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크게, 도 3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막분리부(510)와 흡착부(5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막분리부(510)는 상기 냉각챔버(10)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511a) 및 응결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분리부(510)는 상기 흡입구(511a)를 통해 흡입된 유증기를 분리 및 응결시키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는 상기 막분리부(510)의 내측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막분리부(510)는 일예로, 크게, 몸체(511), 상부플랜지(512), 상부판(513), 하부플랜지(514), 분리막(515) 및 보조몸체(5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몸체(511)의 일측면 상부에 상기 냉각챔버(10)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되는 상기 흡입구(511a)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11)의 상기 흡입구(511a)와 상기 냉각챔버(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중간부 사이에는 상기 냉각챔버(10)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를 상기 몸체(511)의 흡입구(511a)로 안내하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안내라인(8)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11)의 일측면 하부에는 응결된 유증기를 상기 몸체(5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511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512)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11)의 흡입구(511a)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511)의 내측 상부에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512)의 내측과 외측 사이의 상기 상부플랜지(512) 부위에 는 상기 흡입구(511a)를 통해 상기 몸체(511)의 내측 상부로 흡입된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를 상기 몸체(511)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공(512a)이 복수개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판(513)은 상기 상부플랜지(512)의 내측에 일체형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랜지(514)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몸체(511)의 배출구(511b)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511)의 내측 하부에 일정높이로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515)은 상기 몸체(5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511)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판(513)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플랜지(514)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515)의 상부는 상기 상부판(513)의 하부에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515)의 하부는 상기 하부플랜지(514)의 내측에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리막(515)은 상기 상부플랜지(512)의 안내공(512a)을 통해 상기 몸체(511)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안내된 유증기를 분리 및 응결시키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상기 분리막(515)의 내측으로 투과시킬 수 있다.
상기 보조몸체(516)는 상기 몸체(511)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 및 상기 분리막(515)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511)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514)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511)의 내부 바닥면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랜지(512)의 안내공(512a)을 통해 상기 몸체(511)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안내된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는 상기 분리막(515)에 의해 분리 및 응결되어 상기 분리막(515)의 외주면을 따라 자중에 의해 낙하하면서 흘러내려 상기 몸체(511)의 배출구(511b)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몸체(511) 및 상기 분리막(515)은 수직방향의 원통형 구조 또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20)는 상기 막분리부(5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510)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부(5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벤젠, 1, 3-부타디엔 등 다양한 종류의 발암물질을 흡착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52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흡착부(520)는 일예로,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복수의 연결몸체(521)와 복수의 흡착제(5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는 수직방향의 원통형 구조 또는 직육면체 구조로 형성될 수 있는 등 다양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는 상기 막분리부(510)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510)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의 내측 상부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다공(524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부연결판(524)이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의 내측 하부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복수의 다공(525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하부연결판(525)이 용접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수평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는 상기 상부연결판(524)와 상기 하부연결판(525) 사이의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막분리부(510)로부터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의 내부로 각각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발암물질을 흡착제거할 수 있다.
상기 흡착제(522)는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활성탄 또는 품질이 안정적이고 흡착력이 높은 NaA분자체원료로 생산한 3mm ~ 5mm 입자크기의 결정규소알루미네이트금속수화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막분리부(510)로부터 복수의 상기 흡착부(520)로 유입되는 발암물질이 포함된 공기는 복수의 상기 흡착부(520)를 2회 이상으로 지그재그로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발암물질이 포함된 공기로부터 발암물질이 2회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흡착제거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흡착부(52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의 내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연결몸체(5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라인(70),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 회수라인(90),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 및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가 구비될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7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상기 막분리부(510)와 상기 흡착부(520)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510)와 복수의 상기 흡착부(520)를 연결 및 상기 막분리부(510)에서 복수의 상기 흡착부(520)로 공기를 순차적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70) 또한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복수개의 상기 가이드라인(70)은 하부가이드라인(70a)과 상부가이드라인(70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라인(70a)의 일측은 상기 막분리부(510)의 몸체(511)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510)의 몸체(511)의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라인(70a)의 타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과 연통되도록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라인(70b)의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상부연결판(524)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상부 타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라인(70b)의 타측은 다른 하나의 연결몸체(521)이 상부연결판(524)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다른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상부 일측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는 상기 가이드라인(70)의 하부가이드라인(70a)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라인(70)의 하부가이드라인(70a)을 자동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수라인(9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회수라인(90)은 주회수라인(910)과 보조회수라인(9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일측은 상기 막분리부(510)의 배출구(511b)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은 후술할 배출라인(610)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내부로는 상기 막분리부(510)를 통해 응결된 유증기가 유입될 수 있다.
상기 보조회수라인(920)는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중간부에서 분기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는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일측을 자동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는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을 자동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를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60)는 일예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배출라인(610), 진공펌프(620) 및 배출라인 개폐밸브(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610)은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610)의 일단부는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521) 중 상기 상부가이드라인(70b)이 기밀하게 연결된 다른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하부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612)은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2회이상으로 순차적으로 흡착제거된 공기를 상기 막처리분리부(50)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진공펌프(620)는 상기 지지프레임(530)과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배출라인(612)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막분리처리부(50)로부터 발암물질이 2회이상흡착제거된 공기를 상기 배출라인(612)의 내부로 흡입 및 상기 배출라인(612)의 타단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는 상기 진공펌프(620)와 상기 배출라인(612)의 타단부 사이의 상기 배출라인(612) 부위에 구비되어 상기 배출라인(612)을 개폐하는 전자식 솔레노이드 밸브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523)의 일측면 또는 타측면에 상기 막분리부(510)로부터 유입되는 공기 일부를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하부 내측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523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연결몸체(523)의 배출공(523a)과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측면 하부 부위에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하부 내측방향으로 배출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일예의 압력측정센서(400)의 일측이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다른예의 압력측정센서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또는, 다른예로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압력측정센서(400)의 일측은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521)의 측면 하부 부위를 관통하여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523)와 연통되도록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523)에 측면부위에 기밀하게 연결고정될 수도 있다.
도 7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로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 및 응결된 유증기의 배출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그리고, 상기 압력측정센서(400)의 압력측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 및 상기 진공펌프(620)를 제어하는 제어부(도 12의 5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센서(400)의 압력측정값이 상기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압력측정값 초과인 경우, 전원공급부(도 12의 5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를 개방,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를 개방,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를 폐쇄 및 상기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진공펌프(6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610)을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출라인(610)을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압력측정센서(400)의 압력측정값이 상기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압력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진공펌프(620)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
도 8은 일예의 막분리처리부로부터 배출된 응결된 유증기가 보조회수라인을 통해 유수분리기로 안내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주회수라인(910)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주회수라인(910)으로부터 분기된 상기 보조회수라인(920)의 하부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냉각챔버(1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하부에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냉각챔버(10)의 하부와 상기 유수분리기(30)의 상부에는 파이프, 호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보조안내라인(7)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수밀하게 연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막분리부(510)의 몸체(511)의 배출구(511b)를 통해 상기 막분리부(510)의 몸체(5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된 응결된 유증기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회수라인(910)과 상기 보조회수라인(920) 및 상기 냉각챔버(10), 상기 보조안내라인(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수분리기(30)로 안내될 수 있다.
도 9는 흡착제로부터 분리된 발암물질의 이동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폐시간대를 설정하기 위한 타이머(도 12의 450)가 상기 제어부(500)에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타이머(450)에 설정된 개폐시간대에 따라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 및 상기 진공펌프(6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상기 타이머(450)에 설정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폐시간대 중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폐쇄시간대에는 상기 제어부(500)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를 폐쇄,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를 폐쇄,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를 개방,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를 개방상태로 제어 및 상기 진공펌프(6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막분리부(510)의 몸체(5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된 응결된 유증기가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일측과 상기 보조회수라인(920)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에 흡착된 발암물질이 상기 진공펌프(620)의 흡입력에 의해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로부터 강제분리되어 상기 배출라인(610),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과 상기 보조회수라인(920) 및 상기 냉각챔버(10), 상기 보조안내라인(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수분리기(3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450)에 설정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폐시간대 중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방시간대에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를 개방,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를 개방,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를 폐쇄 및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를 폐쇄상태로 제어 및 상기 진공펌프(620)가 작동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3웨이밸브의 작동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확대단면도이다.
다음으로, 다른예로서,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630)와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200)를 설치할 필요없이 1개의 3웨이밸브(300)를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출라인(610)을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 및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에 흡착된 발암물질이 상기 배출라인(610),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과 상기 보조회수라인(920) 및 상기 냉각챔버(10), 상기 보조안내라인(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수분리기(30)로 안내될 수 있다.
1개의 상기 3웨이밸브(300)는 상기 진공펌프(620)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과 상기 배출라인 (6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측정센서(400)의 압력측정값이 상기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압력측정값 초과인 경우, 전원공급부(도 12의 501)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제어부(500)는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3웨이밸브(300)가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을 폐쇄 및 상기 배출라인(610)을 개방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를 개방,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610)을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가 상기 배출라인(610)을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되는 과정 중에 상기 압력측정센서(400)의 압력측정값이 상기 제어부(500)에 설정된 기준압력값 이하인 경우, 상기 진공펌프(620)를 작동중지시킬 수 있다.
상기 타이머(450)에 설정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폐시간대 중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폐쇄시간대에는 상기 제어부(500)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3웨이밸브(300)가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을 개방 및 상기 배출라인(610)을 폐쇄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를 폐쇄 및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를 개방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막분리부(510)의 몸체(511)의 일측 외부방향으로 배출된 응결된 유증기가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일측과 상기 보조회수라인(920)으로 순차적으로 통과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에 흡착된 발암물질이 상기 진공펌프(620)의 흡입력에 의해 복수의 상기 흡착제(522)로부터 강제분리되어 상기 배출라인(610),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과 상기 보조회수라인(920) 및 상기 냉각챔버(10), 상기 보조안내라인(7)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상기 유수분리기(30)로 안내될 수 있다.
상기 타이머(450)에 설정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폐시간대 중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의 개방시간대에는 상기 제어부(500)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3웨이밸브(300)가 상기 주회수라인(910)의 타측을 폐쇄 및 상기 배출라인(610)을 개방하도록 제어함과 더불어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80)를 개방,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100)를 폐쇄상태로 제어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출라인(610)을 통해 상기 막분리처리부(50)의 외부방향으로 배출될 수 있다.
도 1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유증기의 함량을 최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5년 이내 A/S가 필요없는 이점이 있다.
9; 유류 저장탱크, 10; 냉각 챔버,
20; 열교환부, 30; 유수분리기,
40; 정전기 제거부, 50; 막분리처리부.
20; 열교환부, 30; 유수분리기,
40; 정전기 제거부, 50; 막분리처리부.
Claims (17)
- 유류 저장탱크의 유증기가 흡입되는 냉각챔버와;
기상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로부터 압축된 기상 냉매를 응축하는 콘덴서와, 상기 콘덴서로부터 응축된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밸브와, 상기 팽창밸브로부터 감압된 냉매를 증발시켜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를 냉각시키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열교환부와;
상기 냉각챔버 내에 액화된 액체를 공급받아 비중차에 의해 오일과 물을 분리하는 유수분리기;를 포함하고,
유증기를 액화하여 회수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를 제거하기 위한 정전기 제거부와;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응결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유증기를 분리 및 응결시키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투과시키는 막분리부와, 상기 막분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발암물질을 흡착제거하는 흡착부를 포함하는 막분리처리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처리부는 상기 막분리부와 상기 흡착부를 일정높이로 지지하는 지지프레임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정전기 제거부는 상기 지지프레임의 하부에 구비되는 고무절연판과;
상기 고무절연판을 수직관통하는 동판과;
상기 동판과 접합된 상태로 상기 고무절연판의 하부에 고정구비되는 고정금속판과;
상기 동판과 일정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상기 고무절연판의 상부에 구비되는 정전기 전도판과;
상기 정전기 전도판, 상기 고무절연판 및 상기 고정금속판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상기 정전기 전도판과 상기 고정금속판을 연결시키는 볼트부재와;
상기 정전기 전도판과 연결되는 케이블과;
상기 케이블에 연결되는 접지봉;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절연판의 하부에 미끄럼 방지무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부는 상기 냉각챔버 내에 흡입된 유증기 중 액화되지 않은 유증기가 흡입되는 흡입구 및 응결된 유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가 측면 상부와 측면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흡입구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에 수평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상기 몸체의 내측 상부로 흡입된 유증기를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안내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상부플랜지와;
상기 상부플랜지의 내측에 수평형성되는 상부판과;
상기 몸체의 배출구의 상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수평형성되는 하부플랜지와;
상기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된 상태로 상기 몸체의 내측에 배치되도록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서 상기 하부플랜지의 내측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의 안내공을 통해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안내된 유증기를 분리 및 응결시키며, 수증기를 포함한 공기를 투과시키는 분리막과;
상기 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 및 상기 분리막과 연통되어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플랜지의 하부에서 상기 몸체의 내부 바닥면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보조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막분리부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몸체와;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의 내부로 각각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공기에 포함된 발암물질을 흡착제거하는 흡착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흡착제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의 내주면으로부터 일정거리로 이격되어 복수의 상기 연결몸체의 내측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복수의 보조연결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처리부를 통해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라인과, 상기 배출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막분리처리부로부터 발암물질이 흡착제거된 공기를 상기 배출라인으로 흡입하는 진공펌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출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배출라인을 개폐하는 배출라인 개폐밸브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부와 상기 흡착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와 상기 흡착부를 연결 및 상기 막분리부에서 상기 흡착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을 개폐하는 가이드라인 개폐밸브와;
상기 막분리부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라인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막분리부를 통해 응결된 유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주회수라인과, 상기 주회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주회수라인으로 유입된 응결된 유증기를 상기 유수분리기로 안내하는 보조회수라인으로 구성되는 회수라인과;
상기 주회수라인의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주회수라인의 일측과 타측을 각각 개폐하는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및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막분리부와 상기 흡착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막분리부와 상기 흡착부를 연결 및 상기 막분리부에서 상기 흡착부로 공기를 안내하는 가이드라인과;
상기 가이드라인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라인을 개폐하는 가이드라인 개폐밸브와;
상기 막분리부의 배출구와 상기 배출라인에 일측과 타측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막분리부를 통해 응결된 유증기가 내부로 유입되는 주회수라인과, 상기 주회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주회수라인으로 유입된 응결된 유증기를 상기 유수분리기로 안내하는 보조회수라인으로 구성되는 회수라인과;
상기 주회수라인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주회수라인의 일측을 개폐하는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와;
상기 주회수라인의 타측과 상기 배출라인 사이에 구비되는 3웨이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의 측면에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상기 흡착부로 유입되는 공기 일부를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의 하부 내측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연결몸체의 배출공과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의 측면 부위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의 하부 내측방향으로 배출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센서의 압력측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센서의 압력측정값에 따라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의 측면에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상기 흡착부로 유입되는 공기 일부를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의 하부 내측 방향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공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상기 보조연결몸체의 배출공과 대향되는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의 측면 부위에 구비되어 어느 하나의 연결몸체의 하부 내측방향으로 배출된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센서의 압력측정값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상기 3웨이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와 연결되어 상기 막분리부로부터 상기 흡착부의 어느 하나의 보조연결몸체로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측정센서와;
상기 압력측정센서의 압력측정값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상기 3웨이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의 개폐시간대를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개폐시간대에 따라 상기 배출라인 개폐밸브,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상기 타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의 개폐시간대를 설정하는 타이머와;
상기 타이머에 설정된 개폐시간대에 따라 상기 가이드라인 개폐밸브, 상기 일측 주회수라인 개폐밸브, 상기 3웨이밸브 및 상기 진공펌프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989A KR102450032B1 (ko) | 2022-05-03 | 2022-05-03 |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54989A KR102450032B1 (ko) | 2022-05-03 | 2022-05-03 |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50032B1 true KR102450032B1 (ko) | 2022-10-04 |
Family
ID=83600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54989A KR102450032B1 (ko) | 2022-05-03 | 2022-05-03 |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450032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37362A (ko) * | 2006-10-26 | 2008-04-30 | 장준표 | 런닝머신용 저소음 및 저마찰의 도전성 폴리머 런닝데크 |
KR20100016497A (ko) * | 2007-04-13 | 2010-02-12 | 시야오동 후앙 | 연료 가스 회수 장치을 가지는 이동가능한 연료 주입 시설 |
JP2011078973A (ja) * | 2004-12-22 | 2011-04-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方法 |
KR20110081268A (ko) * | 2009-03-31 | 2011-07-13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가스상 탄화수소의 회수 장치 및 방법 |
KR101643712B1 (ko) | 2015-12-17 | 2016-07-28 | 김보경 | 유증기 회수장치 |
-
2022
- 2022-05-03 KR KR1020220054989A patent/KR1024500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1078973A (ja) * | 2004-12-22 | 2011-04-21 | Mitsubishi Electric Corp | ガス状炭化水素の処理・回収装置及び方法 |
KR20080037362A (ko) * | 2006-10-26 | 2008-04-30 | 장준표 | 런닝머신용 저소음 및 저마찰의 도전성 폴리머 런닝데크 |
KR20100016497A (ko) * | 2007-04-13 | 2010-02-12 | 시야오동 후앙 | 연료 가스 회수 장치을 가지는 이동가능한 연료 주입 시설 |
KR20110081268A (ko) * | 2009-03-31 | 2011-07-13 |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 가스상 탄화수소의 회수 장치 및 방법 |
KR101643712B1 (ko) | 2015-12-17 | 2016-07-28 | 김보경 | 유증기 회수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1997020618A1 (fr) | Procede pour traiter ou recuperer des hydrocarbures gazeux contenus dans des gaz de rejet | |
GB2393923A (en) | A device for purifying air by alternating pressure adsorption in molecular sieve beds. | |
KR20150004387A (ko) | 흡착된 천연 가스 저장 설비 | |
JP2004042013A (ja) | 揮発性炭化水素含有排ガスの処理方法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 |
KR101196932B1 (ko) | 희박한 휘발성 탄화수소를 포함하는 대량의 배기가스 정화방법 | |
KR102450032B1 (ko) | 정전기 제거가 가능한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
DE69406979D1 (de) | Lufttrennung | |
CN111171868A (zh) | 一种油气回收装置 | |
CN111171867A (zh) | 一种油气回收方法 | |
KR102502499B1 (ko) | 고효율 유증기 액화 회수장치 | |
JP5109028B2 (ja) | 希薄な揮発性炭化水素を含む大量の排ガス浄化方法 | |
JP4575673B2 (ja) | ガソリンベーパーの回収方法及び回収装置 | |
KR100266479B1 (ko) | 휘발성석유화합물의흡착식포집및회수장치 | |
CN205379781U (zh) | 一种常温柴油吸收-非钝化吸附有机气体处理装置 | |
CN104289072A (zh) | 苯类挥发性气体的复叠回收装置和方法 | |
KR20210026077A (ko) | 유증기 회수 시스템 | |
KR20010114209A (ko) | 폐기 가스 중에 포함되는 희박한 가스상태 탄화 수소의처리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치 | |
CN106310869A (zh) | 一种大处理量油气回收方法 | |
CN105737517A (zh) | 一种储油罐排放气净化方法和装置 | |
CN213668552U (zh) | 压缩冷凝膜吸附组合式油气回收装置 | |
CN105771552A (zh) | 一种油气回收装置及其回收方法 | |
CN113060432B (zh) | 一种节能减排储罐及储存系统 | |
CN211585903U (zh) | 油气回收系统 | |
KR100378946B1 (ko) | 주유소용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분리회수장치. | |
KR100713633B1 (ko) | 주유 가스 처리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