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921B1 -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921B1
KR102449921B1 KR1020200161128A KR20200161128A KR102449921B1 KR 102449921 B1 KR102449921 B1 KR 102449921B1 KR 1020200161128 A KR1020200161128 A KR 1020200161128A KR 20200161128 A KR20200161128 A KR 20200161128A KR 102449921 B1 KR102449921 B1 KR 102449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powder
packaging
sealing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1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3237A (ko
Inventor
김현균
Original Assignee
김현균
우리토탈디자인 주식회사
(주)에스원 리테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균, 우리토탈디자인 주식회사, (주)에스원 리테일 filed Critical 김현균
Priority to KR1020200161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921B1/ko
Publication of KR202200732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32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9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7/00Envelopes or like essentially-rectangular containers for postal or other purposes having no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 B65D27/12Closures
    • B65D27/14Closur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flaps
    • B65D27/18Closures using adhesive applied to integral parts, e.g. flaps using heat-activatable adhesiv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3/00Adhesives based on natural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thereof
    • C09J193/04Rosi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5/00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 C09J5/06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relating to primers involving heating of the applied adhesi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나 과자류 등의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이재의 포장 본체(10); 상기 포장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물품 투입부(20); 및 상기 포장 본체(10)의 내측면 상단(12a)(14a)에 형성되고, 물품 포장 후 열융착에 의해 물품 투입부(20)를 밀봉시키는 열융착층(15)을 포함하는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이고, 물품을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MULTIPURPOSE PACK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물품을 포장하는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나 과자류 등의 다양한 물품을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할 수 있는 친환경적인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물품은 포장지(Package)에 포장된다. 특히, 마스크나 과자류 등은 외부로부터의 보호는 물론 해당 물품의 위생을 위해 포장지(봉투 또는 봉지)에 포장된 다음 소비자에게 공급된다.
일반적으로, 마스크나 과자류 등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는 합성수지재로 구성되며, 이는 주로 비닐재로 구성되고 있다. 최근 이러한 포장지에 다양한 기능성이 부가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0151호에는 음료수 병의 목이나 도어(door)의 손잡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포장지에 걸이구를 형성한 일회용 마스크 포장지가 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등록특허 제10-1345745호에는 손잡이 부착형 과자를 포장할 수 있는 과자 포장지가 제시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278992호에는 정면에서 개방이 가능한 과자 포장지가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포장지는 포장 본체의 재질이 합성수지재(비닐재)로 구성되어 친환경적이지 않다. 구체적으로, 대부분의 포장지는 일회용으로서 물품을 꺼낸 후에는 폐기되는데, 종래의 포장지는 잘 썩지 않는 비닐재로 구성되어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종래의 비닐재 포장지는 소각 시 다이옥신 등의 인체 유해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20-0000151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345745호 한국 등록특허 제10-1278992호
이에,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종이재로 구성하여 종래의 비닐재보다 친환경적이고, 물품을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할 수 있는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로서,
포장 본체; 및
상기 포장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물품 투입부를 포함하고,
상기 포장 본체는 종이재인 다용도 포장지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로서,
종이재의 포장 본체;
상기 포장 본체의 일측에 형성된 물품 투입부; 및
상기 포장 본체의 내측면 상단에 형성되고, 물품 포장 후 열융착에 의해 물품 투입부를 밀봉시키는 열융착층을 포함하는 다용도 포장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열융착층은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융착성 분말은 송진 분말 2 ~ 12중량%와 탄소 분말 88 ~ 9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포장 본체를 구성하는 종이재 시트로서, 전면부와 배면부를 포함하는 종이재 시트를 준비하는 단계;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종이재 시트의 일측면에 상기 열융착성 분말을 코팅하여 열융착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용도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친환경적이고 물품을 간단한 방법으로 포장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열융착기에 의한 자동 포장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지의 펼쳐진 모습을 보인 평면도(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제1", "제2", "일측" 및 "타측"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및/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지를 보인 것으로서, 이는 펼쳐진 모습을 보인 평면도(전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포장지의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로서, 물품이 삽입(포장)되는 포장 본체(10); 및 상기 포장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물품 투입부(20)를 포함하는 포장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포장 본체(10)는 종이재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포장 본체(10)를 구성하는 종이재 시트(10A)를 준비하는 단계;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종이재 시트(10A)의 일측면(12a)(14a)에 상기 열융착성 분말을 코팅하여 열융착층(15)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는 다용도의 포장 봉투(또는 봉지)로서, 다양한 물품을 포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포장의 대상이 되는 물품은 제한되지 않으며, 이는 예를 들어 위생 마스크 및/또는 티슈 등의 일회용 제품이나 스낵, 캔디 및/또는 초코렛 등의 과자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는, 하나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마스크를 포장하기 위한 마스크 포장지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마스크는 공기 중의 먼지, 황사, 세균 및 바이러스 등이 호흡기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 입안의 비말이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목적; 및/또는 차가운 외기를 차단하고 보온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사용되는 마스크를 포함하며, 이는 예를 들어 바이러스, 비말 및/또는 미세먼지 등을 차단하기 위한 마스크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상기 포장 본체(10)는 종이재로서, 이는 예를 들어 사각형의 봉투(봉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포장 본체(10)는 전면부(12)와 배면부(14)를 포함하되, 일측(도 2에서 상측)에는 물품 투입부(20)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도 2에서 하측)은 밀봉되어 있다. 상기 물품 투입부(20)는 포장을 위한 물품이 투입되는 곳으로서, 이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개방되어 있으며, 물품이 포장된 후에는 밀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는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물품 투입부(20)에 형성된 열융착층(15)을 포함한다. 상기 열융착층(15)은 물품 포장 후 열융착에 의해 물품 투입부(20)를 밀봉시키는 것으로서, 이는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포장 본체(10)의 내측면 상단(12a)(14a)에 형성된다. 상기 열융착층(15)은 전면부(12)의 내측면 상단(12a)에 형성된 제1열융착층(15a)과, 배면부(14)의 내측면 상단(14a)에 형성된 제2열융착층(15b)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제1열융착층(15a)과 제2열융착층(15b)은 서로 마주하고 있으며, 이들(15a)(15b)은 물품을 포장한 후 열융착에 의해 접합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을 참고하면, 먼저 포장 본체(10)를 구성하는 종이재 시트(10A)를 준비한다. 상기 종이재 시트(10A)는 대략 직사각형의 전면부(12)와, 상기 전면부(12)로부터 연장된 대략 직사각형의 배면부(14)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종이재 시트(10A)는 전면부(12)의 측면(도 1에서 하측)에 연장 형성된 측면 부착부(16)와, 전면부(12)의 바닥(도 1에서 우측)에 연장 형성된 바닥 부착부(1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서 점선은 포장지의 조립 시 접어지는 접힘선(L)이다. 상기 측면 부착부(16) 및 바닥 부착부(18)는 접힘선(L)에서 접어진 후 배면부(14)의 측면 및 바닥에 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측면 부착부(16)의 부착에 의해 포장 본체(10)의 측면이 밀봉되고, 상기 바닥 부착부(18)의 부착에 의해 포장 본체(10)의 바닥이 밀봉된다. 그리고 포장 본체(10)의 일측(도 2에 상측)에는 개방된 물품 투입부(20)가 형성된다.
상기 열융착층(15)은 종이재 시트(10A)의 일측면(12a)(14a)에 열융착성 분말이 코팅되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종이재 시트(10A)를 펼친 상태에서 전면부(12)의 일측면(12a) 및 배면부(14)의 일측면(14a) 둘 모두에 열융착성 분말을 코팅하여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한다.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의 코팅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나, 이는 예를 들어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 방법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이 코팅된 면은 포장지의 조립 후 포장 본체(10)의 내측면 상단(12a)(14a)이 된다. 구체적으로,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포장지의 조립 후에는 포장 본체(10)의 내측면 상단(12a)(14a)에 띠 형상의 제1열융착층(15a)과 제2열융착층(15b)이 서로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물품을 포장한 후, 즉 포장 본체(10) 내에 물품을 투입한 후 열융착된다. 상기 열융착은 통상의 비닐계 봉투를 열융착(밀봉)하는 데에 사용되는 열융착기를 사용하여 진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물품의 포장 시, 물품 투입부(20)을 통해 해당 물품을 포장 본체(10) 내에 투입한 후, 물품 투입부(20)를 열융착기에 통과시키게 되면 서로 마주하는 띠 형상의 제1열융착층(15a)과 제2열융착층(15b)이 열융착되어 접합된다. 이러한 제1열융착층(15a)과 제2열융착층(15b)의 열융착(접합)에 의해 물품 투입부(20)는 밀봉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송진과 탄소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따라서,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바람직하게는 송진 분말 2 ~ 12중량%와 탄소 분말 88 ~ 98중량%를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사용하여 코팅하는 것이 좋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송진 분말 3 ~ 10중량%와 탄소 분말 90 ~ 97중량%를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코팅하여 형성하는 것이 좋다. 이때, 상기 코팅은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를 통해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함에 있어, 분말 형태로서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적정 함량으로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 열융착성 및 친환경성을 가지며, 이와 함께 사전 부착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송진 분말은 열융착을 위한 접착력을 제공한다. 그러나 송진 분말만을 사용하거나 송진 분말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 물품 포장 전에 포장지의 보관이나 이송 과정에서 열융착층(15)이 서로 사전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물품 투입부(20)에는 띠 형상의 제1열융착층(15a)과 제2열융착층(15b)이 서로 마주하고 있는데, 송진 분말만을 사용하거나 송진 분말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 열융착층(15)(15a)(15b)의 끈적임이 강하여 열을 가하지 않아도 서로 달라붙는 현상(사전 부착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사전 부착현상은 포장지의 보관이나 이송 과정 등에서 주위의 온도가 높은 경우에 심하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탄소 분말은 위와 같은 사전 부착현상을 방지한다. 즉, 탄소 분말의 사용에 의해 송진의 끈적임이 완화되어 사전 부착현상(물품 포장 전에 열융착층(15)(15a)(15b)이 달라붙는 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탄소 분말의 사용에 의해 송진의 끈적임이 완화되어,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 코팅이 가능하다. 즉, 송진 분말만을 사용하거나 송진 분말의 사용량이 너무 많은 경우,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 코팅 시 달라붙어 인쇄가 어렵다. 상기 탄소 분말은 식물계 및/또는 석유계 유래의 탄화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분말은, 예를 들어 흑연 분말 및/또는 숯 분말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의 사용 함량에 있어서, 송진 분말이 2중량% 미만이거나 탄소 분말이 98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열융착성이 떨어져 물품 포장(밀봉)이 어려울 수 있다. 그리고 송진 분말이 12중량%를 초과하거나 탄소 분말이 88중량%를 미만인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은 사전 부착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을 위한 재료로서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혼합 사용하되, 송진 분말 2 ~ 12중량%와 탄소 분말 88 ~ 98중량%의 함량으로 혼합 사용하는 경우, 양호한 열융착성(밀봉성)을 가지면서 사전 부착현상이 방지된다. 또한, 송진을 분말 형태로 사용함으로 인해 탄소 분말과의 균일한 혼합(분말 간의 혼합)이 도모될 수 있으며, 이는 또한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 코팅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의 입자 크기는 제한되지 않으나, 이들은 각각 20 ~ 300 메쉬(mesh)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위와 같은 열융착성 분말을 종이재 시트(10A)의 일측면(12a)(14a)에 1회 또는 2회 이상 코팅하여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한다. 이때,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 코팅 시, 프린터기에서 발생되는 소정의 열에 의해 송진 분말이 표면 용융되면서 탄소 분말과 함께 종이재 시트(10A)의 표면에 접착될 수 있다. 코팅 후에는 건조를 진행하여 열융착층(15)(15a)(15b)을 고착시킬 수 있다. 물품의 포장 시,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약 120 ~ 180℃의 온도에서 열융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이재로 구성되어 종래의 비닐재보다 친환경적이다. 무엇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포장 본체(10)의 내측면 상단(12a)(14a)에 형성된 열융착층(15)(15a)(15b)을 포함하여 종이재임에도 불구하고 열융착에 의한 간단한 방법으로 물품을 밀봉, 포장할 수 있다. 그리고 열융착에 의해 대량의 물품을 자동적으로 포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의 코팅을 위한 재료로서,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적정 함량으로 혼합한 열융착성 분말을 사용함으로써, 양호한 열융착성을 가지며 이와 함께 사전 부착현상을 방지하였다는 점에서 기술적 의의가 있다. 아울러, 상기 송진과 탄소는 천연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서, 이들은 수지 접착제에 비해 친환경적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는 포장 본체(10)의 상단 모서리에 형성된 경사 절단부(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 절단부(30)는 포장지의 개봉을 편리하게 위한 것으로서, 이는 상기 전면부(12) 및 배면부(14)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모서리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포장지는 매장에 걸어서 거치(진열)하기 위한 타공(도시하지 않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공은 포장 본체(10)의 상측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열융착층(15)(15a)(15b)과 관련된다.
[실시예]
열융착층을 위한 분말 재료로서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흑연 분말)을 준비하였다.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의 함량을 각각 0.5중량% 단위로 변경해가며 수십 번의 코팅을 진행하였다. 이때, 코팅은 흰색 종이 위에 프린터기를 이용하여 인쇄 코팅하였다. 이들 실시예들 중에서 대표적인 몇 가지의 실시예로서, 송진 분말의 함량에 따른 실시예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1]에서, 송진의 함량은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흑연 분말)을 합한 분말 재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 송진 분말의 함량(중량%)이다.
또한, 각 실시예에 따른 코팅 종이 시편에 대하여 사전 부착현상과 열융착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때, 사전 부착현상과 열융착성은 아래와 같이 평가하였다.
< 평가 1 > 사전 부착현상
인쇄 코팅 후의 종이 시편을 상온에서 1일 동안 자연 건조시키고, 코팅 면이 맞닿도록 코팅 종이를 반으로 접은 다음, 압착한 상태로 1일 동안 방치하였다. 이후 코팅 접합면이 달라붙어 있거나 코팅 면에 끈적임이 있는 경우에는 "있음", 코팅 접합면이 달라붙지 않고 쉽게 탈리되며 끈적임이 없는 경우에는 "없음"으로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평가 2 > 열융착성
인쇄 코팅 후의 종이 시편을 상온에서 1일 동안 자연 건조시켰다. 이후 코팅 면이 맞닿도록 코팅 종이를 반으로 접은 다음, 열융착기(약 160℃)에 통과시켜 코팅 면을 열융착(접합)시켰다. 열융착 후, 접합면이 너무 쉽게 분리되는 경우(접착력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불량", 분리가 쉽지 않거나 어려운 경우에는 "양호"로 평가하여 [표 1]에 나타내었다.
< 각 실시예에 따른 코팅 시편의 송진 분말 함량 및 특성 평가 결과 >
비고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송진의 함량
(중량%)
1.5 2.5 5 10 12.5 15
사전 부착현상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있음 있음
열융착성
불량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양호
상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이, 송진 분말의 함량에 따라 사전 부착현상이 발생되거나 열융착성이 달라짐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송진 분말의 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실시예 1)에는 열융착성이 떨어지고, 송진 분말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는 코팅 면이 서로 달라붙거나 끈적임이 남아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예들에 따르면, 송진 분말의 함량이 대략 2 ~ 12중량%인 경우에 사전 부착현상이 없고 양호한 열융착성(밀봉성)을 가짐을 알 수 있었다.
10 : 포장 본체 12 : 전면부
14 : 배면부 15 : 열융착층
20 : 물품 투입부 30 : 경사 절단부

Claims (4)

  1. 삭제
  2. 물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지로서,
    종이재의 포장 본체(10);
    상기 포장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물품 투입부(20); 및
    상기 포장 본체(10)의 내측면 상단(12a)(14a)에 형성되고, 물품 포장 후 열융착에 의해 물품 투입부(20)를 밀봉시키는 열융착층(15)(15a)(15b)을 포함하고,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이 코팅되어 형성되되,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은 물품 포장 후 열융착 시에는 열융착성을 가지면서 물품 포장 전에는 포장지의 보관이나 이송 과정에서 열융착층(15)(15a)(15b)이 서로 부착되는 사전 부착현상이 방지되도록, 상기 송진 분말 2 ~ 12중량%와 탄소 분말 88 ~ 98중량%를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이 코팅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
  3. 삭제
  4. 제2항에 따른 포장지의 제조방법이고,
    포장 본체(10)를 구성하는 종이재 시트(10A)로서, 전면부(12)와 배면부(14)를 포함하는 종이재 시트(10A)를 준비하는 단계;
    송진 분말과 탄소 분말을 포함하는 열융착성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종이재 시트(10A)의 일측면(12a)(14a)에 상기 열융착성 분말을 코팅하여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열융착성 분말은 송진 분말 2 ~ 12중량%와 탄소 분말 88 ~ 98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하는 단계는 프린터기를 이용한 인쇄 코팅으로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하되, 상기 프린터기에서 발생되는 열에 의해 송진 분말이 표면 용융되면서 탄소 분말과 함께 종이재 시트(10A)의 표면에 접착되게 하여 열융착층(15)(15a)(15b)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장지의 제조방법.
KR1020200161128A 2020-11-26 2020-11-26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KR1024499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128A KR102449921B1 (ko) 2020-11-26 2020-11-26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1128A KR102449921B1 (ko) 2020-11-26 2020-11-26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37A KR20220073237A (ko) 2022-06-03
KR102449921B1 true KR102449921B1 (ko) 2022-09-29

Family

ID=81983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1128A KR102449921B1 (ko) 2020-11-26 2020-11-26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92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79B1 (ko) 2015-06-30 2016-12-19 (주)홍익바이오텍 식물성 접착제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43615U (ko) * 1975-05-13 1976-11-18
JPH0648448A (ja) * 1992-07-20 1994-02-22 Adoheya Sansho Kk 封筒およびその封緘方法
KR100380617B1 (ko) * 2000-08-22 2003-04-23 씨제이 주식회사 지함, 지함의 제조방법 및 지함의 상부 밀봉방법
KR101278992B1 (ko) 2012-02-13 2013-07-02 김광현 정면 개방식 과자 포장지
KR101345745B1 (ko) 2012-06-08 2013-12-30 데코리아 제과 주식회사 손잡이 부착형 과자의 포장지
KR200490917Y1 (ko) 2018-07-11 2020-04-13 주식회사 신시대 일회용 마스크 포장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7379B1 (ko) 2015-06-30 2016-12-19 (주)홍익바이오텍 식물성 접착제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3237A (ko) 2022-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34001A (en) Liminated multilayer film composite and heat sealed bag made therefrom
AU737466B2 (en) Bag-in-bag packaging system
CA2688968C (en) Heat activated adhesives for bag closures
US4088264A (en) Multiwall pouch bags for detached packaging of commodities
US6109440A (en) Decorative padded giftmailer
US3734394A (en) Flexible package with double layered walls
JPH02238938A (ja) たわみ性シート材料及び非再封かん性剥離シールで構成される本体部材を有する種類の包装容器の作成方法
JP2016529176A (ja) 刻み煙草入れ
CA2786532A1 (en) Heat activated adhesives for bag closures
TWI294395B (en) Gusseted bags
KR102449921B1 (ko) 다용도 포장지 및 그 제조방법
US20040071902A1 (en) Biocide containing laminate as tape or packaging material
JP7267827B2 (ja) 包装袋の製造方法及び包装袋
JPH03288642A (ja) 易剥離性ポリプロピレン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CN109310150A (zh) 可收缩烟草容器
JPH10264330A (ja) 易開封性共押出複合フィルム
JP3711037B2 (ja) フィルム内袋入り紙袋
JP3442341B2 (ja) 食品包装用袋
JPH06183456A (ja) 溶解包装品
JP3642882B2 (ja) ボイル処理用包装体
JP3679908B2 (ja) 真空包装材料および真空包装用袋の製造方法
CA1235094A (en) Thermoplastic bag
JP2023056785A (ja) 自立性包装袋
JP2023056783A (ja) 自立性包装袋
JPH0939987A (ja) ジッパー付き包装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