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563B1 - 차량용 에어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563B1
KR102449563B1 KR1020180065003A KR20180065003A KR102449563B1 KR 102449563 B1 KR102449563 B1 KR 102449563B1 KR 1020180065003 A KR1020180065003 A KR 1020180065003A KR 20180065003 A KR20180065003 A KR 20180065003A KR 102449563 B1 KR102449563 B1 KR 102449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riction
wing
protrusion
sid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487A (ko
Inventor
강주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5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563B1/ko
Priority to US16/431,891 priority patent/US20190366808A1/en
Publication of KR20190138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64Details of hi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부와, 하우징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날개부와, 수평날개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와 접촉되어 곡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수평날개부를 고정시키는 마찰부를 포함하여, 풍량을 확보하면서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토출구의 풍량을 확보하면서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공기조화 시스템은 차실내를 냉, 난방 시키거나 차실 내부의 공기를 정화시키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하도록 설치되어 차실 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뿐만 아니라, 운전자의 시계가 확보되도록 유리창이 흐려지거나 서리가 끼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한편, 차량의 운전석 및 조수석의 대시 패널에는 에어벤트가 설치되어 실내에 승차한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더위 또는 추위를 느끼지 않고 쾌적한 상태로 차량 주행이 가능하도록 에어컨 및 히터 바람을 승객이 원하는 방향으로 토출한다.
종래의 에어벤트는 에어벤트 하우징에 조립된 윙(Wing)의 각도를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윙 및 수평윙의 하부에 배치되어 공기의 유동방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수직윙을 포함하고 있다.
수평윙과 수직윙은 각각 힌지편과 연동편으로 연결되어 구성되어 있고, 수평윙의 하나에는 이러한 수평윙과 수직윙을 회전시킬 수 있는 윙노브가 구비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벤트는 수평윙과 힌지편간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수평윙을 목적위치에 정지시키고 있으나, 부품간의 공차로 인해 마찰력을 유지하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두께가 얇은 수평윙을 적용할 때 수평윙과 힌지편간의 결합부위가 노출되어 풍량을 저감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1118호(2017.05.23. 등록, 발명의 명칭 : 에어벤트 장치)에 게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토출구의 풍량을 확보하면서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날개부; 및 상기 수평날개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되어 곡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수평날개부를 고정시키는 마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날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장착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유도부는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도돌기부; 및 상기 유도돌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가 삽입되는 유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날개부는 상기 가이드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돌기부를 커버하는 날개전단부; 상기 날개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날개전단부 보다 길이가 짧아 상기 가이드유도부와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마찰부가 형성되는 날개후단부; 및 상기 날개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장착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날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부는 상기 날개후단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마찰후돌기부; 상기 마찰후돌기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마찰측돌기부; 및 상기 마찰측돌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유도삽입부에 삽입되어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유도삽입부 보다 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찰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측돌기부는 상기 마찰밀착부를 관통하는 측돌기봉부; 및 상기 측돌기봉부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찰밀착부를 지지하는 측돌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측돌기부와 상기 마찰밀착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마찰밀착부의 직경은 상기 유도삽입부의 폭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마찰부가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밀착되므로, 외력이 제거되면 마찰부의 마찰에 의해 수평날개부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는 마찰부가 가이드부에 삽입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제한되므로,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부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승객 착좌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날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가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가 가이드유도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부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를 승객 착좌 상태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1)는 하우징부(10)와, 가이드부(20)와, 수평날개부(30)와, 마찰부(40)를 포함한다.
하우징부(10)는 차량에 장착되고, 가이드부(20)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 형성된다. 일 예로, 가이드부(20)는 하우징부(10)의 양측 내부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수평날개부(30)는 가이드부(20)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풍향을 상하로 조절한다. 일 예로, 수평날개부(30)는 상하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서로 연결되어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마찰부(40)는 수평날개부(30)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가이드부(20)와 접촉되어 곡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수평날개부(30)를 고정시킨다.
그 외, 차량용 에어벤트(1)는 상하로 길이를 가지며 풍향을 좌우로 조절하는 복수개의 수직날개부(50)가 배치될 수 있으며, 수평날개부(30)에는 조작을 위한 노브(6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0)는 가이드몸체부(21)와, 가이드장착부(22)와, 가이드유도부(23)를 포함한다.
가이드몸체부(21)는 하우징부(10)의 내측에 배치된다. 일 예로, 가이드몸체부(21)는 하우징부(10)의 양측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가이드장착부(22)는 가이드몸체부(21)에 형성되고, 수평날개부(30)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일 예로, 가이드장착부(22)는 수평날개부(30)의 개수와 대응되도록 가이드몸체부(21)에서 전방으로 복수개가 돌출될 수 있다.
가이드유도부(23)는 가이드몸체부(21)에 형성되고, 마찰부(40)가 삽입되어 이동된다. 일 예로, 가이드유도부(23)는 가이드몸체부(21)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유도부(23)는 유도돌기부(231)와 유도삽입부(232)를 포함한다.
유도돌기부(231)는 가이드몸체부(21)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유도삽입부(232)는 유도돌기부(231)에 형성되어 마찰부(40)가 삽입된다. 일 예로, 유도삽입부(232)는 기준이 되는 가이드장착부(22)에서 유도삽입부(232) 까지의 거리(R)가 반지름이 되는 원주 방향으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날개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평날개부(30)는 날개전단부(31)와, 날개후단부(32)와, 날개결합부(33)를 포함한다.
날개전단부(31)는 가이드몸체부(21)에 양단부가 근접되도록 좌우 길이를 가지며, 가이드몸체부(21)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도돌기부(231)를 커버한다.
날개후단부(32)는 날개전단부(31)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날개전단부(31) 보다 길이가 짧아 가이드유도부(23)와 간섭되지 않으며, 마찰부(40)가 형성된다. 일 예로, 날개후단부(32)의 양단부는 유도돌기부(231)에 근접 배치된다.
날개결합부(33)는 날개전단부(31)의 양측단부에서 돌출되고, 가이드장착부(22)와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된다. 이로 인해 수평날개부(30)는 날개결합부(33)를 회전축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가 가이드부에 안내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40)는 마찰후돌기부(41)와, 마찰측돌기부(42)와, 마찰밀착부(43)를 포함한다. 이때, 복수개의 수평날개부(30) 중 기준이 되는 가이드장착부(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수평날개부(30)에 마찰부(40)가 구비되고, 마찰부(40)가 구비된 수평날개부(30)가 복수개의 수평날개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마찰후돌기부(41)는 날개후단부(32)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마찰후돌기부(41)는 날개후단부(32)의 양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마찰후돌기부(41)와 날개후단부(32)를 연결하여 마찰후돌기부(41)의 강성을 보강하는 마찰보강부(49)가 형성될 수 있다.
마찰측돌기부(42)는 마찰후돌기부(41)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된다. 일 예로, 마찰측돌기부(42)는 마찰후돌기부(41)와 일체로 성형될 수 있다.
마찰밀착부(43)는 마찰측돌기부(42)에 장착되고, 유도삽입부(232)에 삽입되어 가이드유도부(23)와의 접촉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마찰밀착부(43)는 유도삽입부(232) 보다 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 예로, 마찰밀착부(43)는 링 형상을 하여 마찰측돌기부(42)를 감싸고, 고무 또는 탄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마찰측돌기부(42)는 측돌기봉부(421)와 측돌기고정부(422)를 포함할 수 있다. 측돌기봉부(421)는 마찰밀착부(43)를 관통하고, 측돌기고정부(422)는 측돌기봉부(421)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측돌기봉부(421)를 감싸는 마찰밀착부(4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마찰측돌기부(42)와 마찰밀착부(43)는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될 수 있다. 그 외, 마찰측돌기부(42)와 마찰밀착부(43)는 개별 부품으로 이루어져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찰부가 가이드유도부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마찰밀착부(43)의 직경(a)은 유도삽입부(232)의 폭(b) 보다 더 길게 형성된다. 이로 인해 마찰밀착부(43)는 유도삽입부(232)의 내측에 밀착되어 궁극적으로 수평날개부(30)의 각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때, 마찰밀착부(43)의 직경(a)과 유도삽입부(232)의 폭(b)과의 관계에 따라 조작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마찰밀착부(43)가 마찰측돌기부(42)에 일체로 사출 성형되고, 마찰밀착부(43)가 유도삽입부(232)에 삽입되며, 날개결합부(33)가 가이드장착부(22)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수평날개부(30)에 형성되는 노브(60)를 파지하여 외력을 가하면, 수평날개부(30)는 날개결합부(33)를 회전축으로 회전된다. 이때, 날개후단부(32)에 형성되는 마찰부(40)가 유도삽입부(232)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마찰부(40)의 마찰밀착부(42)는 유도삽입부(232)에 밀착되므로, 노브(60)에 대한 외력이 제거되면 수평날개부(30)가 회전된 상태로 고정되어 풍향을 조절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1)는 마찰부(40)가 가이드부(20)에 삽입되어 밀착되므로, 외력이 제거되면 마찰부(40)의 마찰에 의해 수평날개부(30)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벤트(1)는 마찰부(40)가 가이드부(20)에 삽입되어 외부로의 노출이 제한되므로, 풍량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하우징부 20 : 가이드부
21 : 가이드몸체부 22 : 가이드장착부
23 : 가이드유도부 30 : 수평날개부
31 : 날개전단부 32 : 날개후단부
33 : 날개결합부 40 : 마찰부
41 : 마찰후돌기부 42 : 마찰측돌기부
43 : 마찰밀착부

Claims (8)

  1. 하우징부;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부;
    상기 가이드부에 전단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풍향을 상하로 조절하는 수평날개부; 및
    상기 수평날개부의 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와 접촉되어 곡선 방향으로 이동되며, 외력이 제거되면 상기 수평날개부를 고정시키는 마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우징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몸체부;
    상기 가이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평날개부가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가이드장착부; 및
    상기 가이드몸체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가 삽입되어 이동되는 가이드유도부;를 포함하며,
    상기 마찰부는
    상기 수평날개부에서 후방으로 돌출되는 마찰후돌기부;
    상기 마찰후돌기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는 마찰측돌기부; 및
    상기 마찰측돌기부에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유도부에 삽입되어 접촉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가이드유도부 보다 연성 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마찰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마찰측돌기부와 상기 마찰밀착부는 일체로 사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유도부는
    상기 가이드몸체부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유도돌기부; 및
    상기 유도돌기부에 형성되고, 상기 마찰부가 삽입되는 유도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날개부는
    상기 가이드몸체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유도돌기부를 커버하는 날개전단부;
    상기 날개전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날개전단부 보다 길이가 짧아 상기 가이드유도부와 간섭되지 않으며, 상기 마찰부가 형성되는 날개후단부; 및
    상기 날개전단부에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장착부와 회전 가능하도록 핀결합되는 날개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측돌기부는
    상기 마찰밀착부를 관통하는 측돌기봉부; 및
    상기 측돌기봉부의 단부에서 측방향으로 돌출되고, 상기 마찰밀착부를 지지하는 측돌기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7. 삭제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밀착부의 직경은 상기 유도삽입부의 폭 보다 더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벤트.
KR1020180065003A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에어벤트 KR102449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03A KR102449563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에어벤트
US16/431,891 US20190366808A1 (en) 2018-06-05 2019-06-05 Air vent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003A KR102449563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에어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87A KR20190138487A (ko) 2019-12-13
KR102449563B1 true KR102449563B1 (ko) 2022-09-30

Family

ID=686930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003A KR102449563B1 (ko) 2018-06-05 2018-06-05 차량용 에어벤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90366808A1 (ko)
KR (1) KR10244956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22061B4 (de) * 2019-08-16 2023-10-19 Illinois Tool Works Inc. Bremsvorrichtung und Vorrichtung mit einer solchen Bremsvorrichtung
DE102020100322A1 (de) * 2020-01-09 2021-07-15 Dr. Schneider Kunststoffwerke Gmbh Luftdüse mit in einen Aufnahmeraum einer Lamelle eingesetztem Federelement
KR20220136743A (ko)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KR20220136744A (ko) 2021-04-01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KR20230017600A (ko) 2021-07-28 2023-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슬림 에어벤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98B1 (ko) * 2007-07-20 2008-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85555B1 (en) * 2002-09-11 2004-02-03 Lear Corporation Climate control system outlet
KR20080036883A (ko) * 2006-10-24 2008-04-2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레이드 작동력 규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498B1 (ko) * 2007-07-20 2008-10-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487A (ko) 2019-12-13
US20190366808A1 (en) 2019-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9563B1 (ko) 차량용 에어벤트
US10023021B2 (en) Air vent
US9278607B2 (en) Air outlet directional flow controller with integrated shut-off door
US11285785B2 (en) Air vent for automobile
US9046277B2 (en) Curved air vent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20190034731A (ko) 에어벤트의 노브 일체형 댐퍼 개폐 장치
KR20180070200A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WO2018030022A1 (ja) 空気吹出装置
EP0830961A2 (en) Damper door controller for automative air conditioner
KR10086249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구조
EP2104017B1 (en) Rotary switch assembly for air conditioner in vehicle
KR101305587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캠플레이트의 위치결정장치
KR101683508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장치
CN111791675A (zh) 通气装置
JP2009154783A (ja) 車両用空調装置における風向制御機構
KR101875792B1 (ko) 차량용 공조장치
KR101820792B1 (ko) 차량 공조장치용 컨트롤러
US20210316599A1 (en) Air vent for a vehicle
KR102131447B1 (ko) 차량의 에어벤트
EP1226991B1 (en) An air vent outlet unit for a ventilation and/or air conditioning system for the passenger compartment of a motor vehicle
CN218096252U (zh) 空调器的出风组件、安装结构及空调器
CN211032110U (zh) 用于车辆内部的通气装置
KR102106850B1 (ko) 자체텐션을 구비한 자동차용 에어벤트
KR100579058B1 (ko) 차량용 에어벤트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