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492B1 -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 Google Patents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492B1
KR102449492B1 KR1020200018427A KR20200018427A KR102449492B1 KR 102449492 B1 KR102449492 B1 KR 102449492B1 KR 1020200018427 A KR1020200018427 A KR 1020200018427A KR 20200018427 A KR20200018427 A KR 20200018427A KR 102449492 B1 KR102449492 B1 KR 1024494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door
base
insertion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4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3804A (ko
Inventor
최기영
Original Assignee
최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기영 filed Critical 최기영
Priority to KR10202000184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492B1/ko
Publication of KR20210103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3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4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4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3/00Window sashes, door leaves, or like elements for closing wall or like openings; Layout of fixed or moving closures, e.g. windows in wall or like openings; Features of rigidly-mounted outer frames relating to the mounting of wing frames
    • E06B3/70Door leaves
    • E06B2003/7049Specific panel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curing Of Glass Panes Or The Like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베이스와, 두께가 상기 베이스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되, 복수개의 타공홀을 가지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된 복수개의 삽입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Door with punching structure}
본 발명은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건물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실내 및 실외를 출입할 수 있도록 회동가능하게 일측이 힌지 결합되어 설치되는 것으로, 이러한 도어는 실내의 통풍과 환기를 위해 열어 놓을 경우 실내가 외부에 노출되어 생활하기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도어는 설치된 공간을 분리하기 위해서, 전면이 폐쇄되게 형성되며, 도어를 열어야만 공간이 연결된다. 종래의 도어에 소품들을 보관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후크 등을 설치 해야 하나, 무거운 소품들을 보관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85507호
본 발명은 활용할 수 있는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베이스와, 두께가 상기 베이스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되, 복수개의 타공홀을 가지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된 복수개의 삽입 부재를 포함하는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삽입 부재는 상부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타공홀의 일면에 삽입되는 제1 부재, 및 상기 타공홀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에 삽입되는 제2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삽입 부재에 지지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공부는 상기 타공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기 삽입 부재와 인력을 형성하여 상기 삽입 부재의 위치를 정렬하는 마그넷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는 타공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의 타공홀에 후크, 선반, 장식장과 같은 추가 소품이나 부품을 설치할 수 있는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도어의 타공부는 인테리어 효과나 수납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는 타공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도어는 타공 구조물을 이용하여, 분리된 공간을 연결할 수 있으며, 방음 효과를 높이고 분리된 공간을 통풍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는 사용자가 쉽고 간단하게, 삽입 부재를 장착 또는 탈착 할 수 있다. 삽입 부재의 위치가 타공부에 고정 및 정렬되므로, 사용자가 삽입 부재 중 어느 하나를 회전시켜서,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과 연관되어 기재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이 도면에 예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또는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되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개시(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또는"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의 어떠한,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A 또는 B"는, A를 포함할 수도, B를 포함할 수도, 또는 A 와 B 모두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실시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모두 사용자 기기이며,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100)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100)는 일부 영역에 타공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서 타공 구조물을 사용할 수 있다.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100)는 베이스(110), 타공부(120), 삽입 부재(130) 및 핸들(140)을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110)는 도어의 외관을 형성한다. 베이스(110)는 높이 방향, 폭 방향, 너비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일부 영역에 타공부(120)가 배치될 수 있다.
타공부(120)는 베이스(110)의 일측에 배치되어, 타공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타공부(120)는 베이스(110)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단차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타공부(120)는 베이스(110)에서 내측으로 D의 깊이로 단차 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베이스(110)의 양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타공부(120)의 두께는 베이스(110)의 두께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타공부(120)는 복수개의 타공홀(H)을 구비한다. 타공홀(H)에는 후술하는 삽입 부재(130)가 설치될 수 있다. 타공홀(H)은 타공부(120)를 관통하도록 배치되며, 필요에 따라 삽입 부재(130)가 삽입될 수 있다.
타공홀(H)의 형상은 삽입 부재(130)의 외형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타공홀(H)은 원형 홀이나 다각 홀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공홀(H)이 다각형으로 형성되어, 삽입 부재(130)를 타공홀(H)에 조립 시에, 추가적인 조립 장치(미도시) 없이, 삽입 부재(130) 중 어느 하나를 타공부(120)에 고정할 수 있다. 또한, 타공홀(H)과 삽입 부재(130)가 다각형으로 형성되면, 삽입 부재(130)가 타공홀(H)에서 헛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타공부는 베이스와 다른 별도의 부재로 설정될 수 있다. 타공부는 베이스와 두께나 재료가 다른 패널로 설정되고, 타공부를 베이스에 형성된 개구에 삽입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0)는 타공홀(H)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며, 타공홀(H)의 개수에 대응하도록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0)는 특정한 부품에 한정되지 않으며, 타공홀(H)에 장착 또는 탈착되는 부품으로 정의할 수 있다. 예컨대, 삽입 부재(130)는 나사, 볼트, 너트, 리벳, 조립 블록 등과 같은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삽입 부재(130)는 타공홀(H)의 일면에 삽입되는 제1 부재(121)와, 타공홀(H)의 타면에 삽입되는 제2 부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2)가 서로 조립되어, 타공홀(H)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2)는 나사 결합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제1 부재(121)는 샤프트의 외측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제2 부재(122)는 제1 부재(121)를 수용하는 홈의 내부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2)를 서로 회전하여, 삽입 부재(130)를 타공부(120)에 장착 또는 탈착 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2)를 하여, 제1 부재(121) 및 제1 부재(121) 중 적어도 하나를 타공부(120)에서 돌출되게 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부재(121)나 제2 부재(122)를 돌출시켜서, 필요에 따라 물건 등을 보관하는 고리로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2 부재(122)의 외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고, 타공홀(H)의 내주면에도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부재(121)를 회전시켜서, 제1 부재(121)를 타공부(120)의 일면에서 설정된 높이로 돌출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2 부재(122)를 회전 시켜서, 제2 부재(122)를 타공부(120)의 타면에서 설정된 높이로 돌출시킬 수 있다.
삽입 부재(130)는 타공홀(H)에 삽입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에 연결되는 헤드를 가질 수 있다. 도 1에서는 삽입 부재(130)의 헤드가 육각형을 가지는 것을 도시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0)가 타공부(120)에 장착되면, 상부 표면이 베이스(110)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도 2를 보면, 삽입 부재(130)의 제1 부재(121)와 제2 부재(122)가 완전하게 조립되면, 헤드의 상면은 베이스(110)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에 배치된다. 삽입 부재(130)가 타공부(120)에 조립될 때,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문을 사용시에 돌출된 삽입 부재(130)의 헤드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삽입 부재(130)에는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100)의 미관을 높이기 위한 장식 부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삽입 부재(130)의 헤드의 상면에 장식부재가 장착되어, 삽입 부재(130)가 타공부(120)에 조립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부에서 장식 부재를 관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100)는 타공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100)는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 부재(130)를 제거하면, 타공홀(H)에 후크나 선반, 수납장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타공홀(H) 중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선반이나 수납장을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도어(100)가 설치된 공간의 환기가 필요하다면, 삽입 부재(130)를 제거하여, 타공홀(H)을 통해서 실내를 환기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100)의 타공부(120)에 물건 등을 보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삽입 부재(130)를 회전시켜서, 타공부(120)에서 돌출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물건을 삽입 부재(130)에 걸어서 보관할 수 있다. 도어(100)의 타공 구조물을 이용하여, 방음 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2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200)는 베이스(210), 타공부(220), 삽입 부재(230, 230A, 230B), 핸들(240)을 가질 수 있다.
타공부(220)는 베이스(21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타공부(220)는 일부가 베이스(210)의 일면에서 소정의 깊이(D)만큼 단차지도록 형성되고, 다른 일부가 베이스(210)의 타면에서 삽입 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을 가질 수 있다.
제1 삽입 부재(230)는 제1 부재(231)와 제2 부재(232)를 구비하되, 제2 부재(230)는 베이스(210)의 타면에 형성된 홈에 삽입된다. 이때, 제2 부재(232)의 헤드와 홈이 다각형상을 가지면, 사용자는 제1 부재(231)만 회전시켜서, 제1 부재(231)의 돌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삽입 부재(230)는 타공부(220)에 겉돌지 않도록 지지되므로, 사용자가 제1 삽입 부재(230)의 높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제2 삽입 부재(230A)는 제1 부재(231A)와, 타공부(220)에 매립된 제2 부재(232A)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부재(232A)가 타공부(220)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제1 부재(231A)만 회전시켜서, 삽입 부재(230)의 돌출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3 삽입 부재(230B)는 제1 부재(231B), 제2 부재(232B) 및 마그넷(233B)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부재(231B) 및 제2 부재(232B)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나사 결합으로 조립될 수 있다.
마그넷(233B)은 타공홀(H)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삽입 부재(230)와 인력을 형성하여, 삽입 부재(230)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마그넷(233B)은 타공홀(H)의 외측에 배치되어, 타공홀(H)에 삽입되는 제2 부재(232)의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또한, 제2 부재(232)의 위치를 고정하여, 사용자는 제2 부재(232)를 고정할 필요 없이, 제1 부재(231)만 회전시켜서, 삽입 부재(230)의 돌출량을 조절 할 수 있다. 특히, 제2 부재(232)는 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여, 제2 부재(232)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200)는 타공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200)는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 부재(230)를 제거하면, 타공홀(H)에 후크나 선반, 수납장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타공홀(H) 중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선반이나 수납장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200)는 삽입 부재(230)의 위치를 정렬 및 고정하여, 사용자가 쉽게 타공 구조물을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3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300)는 베이스(310), 타공부(320), 삽입 부재(330), 핸들(340) 및 커버 부재(350)를 가질 수 있다.
베이스(310), 타공부(320), 삽입 부재(330), 핸들(340)은 전술한 베이스(110), 타공부(120), 삽입 부재(130), 핸들(140)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커버 부재(35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 부재(350)는 타공부(320)의 상부를 커버하며, 삽입 부재(330)에 지지될 수 있다. 커버 부재(350)는 타공부(320)의 단차진 높이를 커버하여, 타공 구조물을 미사용시에 삽입 부재(33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커버 부재(350)는 타공부(320)의 일면을 커버하는 제1 커버(351), 타공부(320)의 타면을 커버하는 제2 커버(352)를 자리 수 있다. 각각은 삽입 부재(330)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으며, 양단은 타공부(320)의 단차 진 측면에 삽입 및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300)는 타공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300)는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 부재(330)를 제거하면, 타공홀(H)에 후크나 선반, 수납장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타공홀(H) 중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선반이나 수납장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300)는 커버 부재(350)가 타공 구조물을 커버하여, 타공 구조물을 미사용시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400)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400)는 베이스(410), 타공부(420), 삽입 부재(430), 핸들(440)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410), 삽입 부재(430), 핸들(440)은 전술한 베이스(110), 삽입 부재(130), 핸들(140)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바, 이하에서는 타공부(420)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타공부(420)는 복수개의 블록으로 조립될 수 있다. 제1 블록(421)에는 타공홀(H)이 형성되어, 삽입 부재(4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블록(422)에는 타공홀(H)이 없이, 제1 블록(421) 사이를 연결할 수 있다.
타공부(420)가 제1 블록(421)과 제2 블록(422)의 조합으로 형성되며, 사용자는 제1 블록(421)과 제2 블록(422)의 배치를 조절하여, 타공부(420)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하게 타공홀(H)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400)는 타공된 구조물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기능을 수행하고, 사용자가 타공 구조물을 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도어(400)는 인테리어 효과를 향상시키거나, 다양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다. 사용자가 삽입 부재(430)를 제거하면, 타공홀(H)에 후크나 선반, 수납장 등을 장착할 수 있다. 복수개의 타공홀(H) 중에서 소정의 위치를 선택하여,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선반이나 수납장을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400)는 복수개의 블록을 조립하여, 타공부(420)가 형성되므로, 사용자가 다양하게 타공 구조물을 활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타공홀(H)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삽입 부재(430)의 위치도 조절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300, 400: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110, 210, 310, 410: 베이스
120, 220, 320, 420: 타공부
130, 230, 330, 430: 삽입 부재

Claims (5)

  1.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되고, 복수개의 타공홀을 가지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홀에 분리 가능하도록 조립되는 복수개의 삽입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 부재는,
    상기 타공홀의 일면에 삽입되는 제1 부재;
    상기 타공홀의 타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부재와 결합하는 제2 부재; 및
    상기 타공홀에 인접하게 배치되며, 제2 부재와 인력을 형성하여 삽입 부재의 위치를 정렬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타공부는,
    타공홀이 형성되는 제1 블록과 상기 제1 블록을 연결하는 제2 블록의 조합으로 형성되고, 제1 블록과 제2 블록의 배치를 조절하여 타공홀의 위치가 조절되는,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두께가 상기 베이스의 두께보다 작고, 베이스의 일면 또는 양면에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삽입 부재는, 상부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표면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의 상부를 커버하며, 상기 삽입 부재에 지지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는,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4. 삭제
  5. 삭제
KR1020200018427A 2020-02-14 2020-02-14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KR1024494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27A KR102449492B1 (ko) 2020-02-14 2020-02-14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427A KR102449492B1 (ko) 2020-02-14 2020-02-14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804A KR20210103804A (ko) 2021-08-24
KR102449492B1 true KR102449492B1 (ko) 2022-09-30

Family

ID=7750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427A KR102449492B1 (ko) 2020-02-14 2020-02-14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49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16Y1 (ko) * 1999-05-20 2002-07-23 이연숙 장식용 도어
KR200403722Y1 (ko) * 2005-10-04 2005-12-12 임창선 도어장식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8167Y2 (ja) * 1992-03-13 1997-12-17 新日軽株式会社
KR20040075633A (ko) * 2003-02-22 2004-08-30 이융복 도어
KR101785507B1 (ko) 2017-06-26 2017-10-17 주식회사 예인종합건축사사무소 통풍과 채광이 가능하고 화재시 문열림이 용이한 건축물용 현관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216Y1 (ko) * 1999-05-20 2002-07-23 이연숙 장식용 도어
KR200403722Y1 (ko) * 2005-10-04 2005-12-12 임창선 도어장식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3804A (ko) 2021-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789B2 (en) Enclosure mounting system
WO2003023925A1 (en) Electrical box with deflectable side walls
CN110615175A (zh) 用于产生扁轮廓的具有凹陷的门的组锁盒
KR102449492B1 (ko) 타공 구조물을 가지는 도어
JP2017515315A (ja) ネジなしスリーピースの垂直な電子デバイス
US20080129173A1 (en) Drawer with replaceable skin
KR102214744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US20040188293A1 (en) Bucket type tool box
JP6796453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CA2970076A1 (en) Rackmount case for the accommodation of optical equipment
KR101124410B1 (ko) 프런트 케이스의 체결구조
KR102199823B1 (ko) 가구와 천장 사이의 틈새 가림장치
KR200236762Y1 (ko) 조립식 진열장
KR200399063Y1 (ko) 수납장
JP5276296B2 (ja) 収納棚
KR102619584B1 (ko) 캐비넷 장치
JP6868373B2 (ja) 仏壇
JP2010193943A (ja) キャビネット
KR20170060969A (ko) 가구 환기구용 마감커버
JP6945988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JP6233964B2 (ja) 組立式ロッカー
JP2015104406A (ja) 組立式ロッカー、組立式ロッカーの構成方法
EP2676586A1 (en) Shower box with associated additional elements
KR200415730Y1 (ko) 벽걸이컴퓨터케이스
JP6796452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