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371B1 -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371B1
KR102449371B1 KR1020160034805A KR20160034805A KR102449371B1 KR 102449371 B1 KR102449371 B1 KR 102449371B1 KR 1020160034805 A KR1020160034805 A KR 1020160034805A KR 20160034805 A KR20160034805 A KR 20160034805A KR 102449371 B1 KR102449371 B1 KR 102449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hydraulic
increase
engine speed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10429A (ko
Inventor
안효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160034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37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4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4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9/00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 F02D29/04Controlling engines, such controlling being peculiar to the devices driven thereby, the devices being other than parts or accessories essential to engine operation, e.g. controlling of engines by signals external thereto peculiar to engines driving pu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40/00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 B60W40/02Estimation or calculation of non-directly measurable driving parameters for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 unit, e.g. by using mathematical models related to ambient conditions
    • B60W40/06Road conditions
    • B60W40/076Slope angle of the ro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52/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infrastructure
    • B60W2552/15Road slope, i.e. the inclination of a road segm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Abstract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는, 유압펌프,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토출라인, 유압토출라인으로부터 단속적으로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유압공급라인, ECU의 통제를 받아 상기 유압토출라인에서 유압공급라인으로 압유가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어 밸브, 유압 회로의 압력이 특정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유압토출라인과 유압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릴리프 밸브 및 센서들이 제공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엔진의 상태를 파악하고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ECU를 포함하며, 센서들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면, 회로압이 상승되어 엔진에 부하가 발생되도록 ECU의 통제에 따라 압유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어 밸브가 절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Control device and methods for a work vehicle in the engine speed increase protection}
본 발명은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내리막길 주행 시 악셀레이터 조작에 의한 엔진 회전수 상승이 아닌 반대로 바퀴에서 전달되는 동력으로 엔진이 회전함에 있어 그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리막길 주행 시(경사가 가파른 내리막 주행인 경우)에 따라서는, 액셀레이터(accelerator) 조작에 대응하여 설정된 회전수 보다 빠른 속도로 차량이 주행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엔진 동력으로 바퀴를 회전시키는 정상 주행상황과는 반대로 바퀴의 회전력으로 엔진이 회전하게 되는 상황이 연출될 수 있으며, 특히 저속단에서 경사가 급한 언덕길을 내려올 경우 엔진 회전수가 과도하게 높아질 수 있다.
이처럼 외부에서 역입력되는 물리적인 힘에 의해 엔진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될 경우, 실제 엔진의 출력 값과 센서 측정 값 사이의 오차로 제어에 있어 여러 문제가 발생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 계통에 피로가 누적되어 고장이 발생하거나 내구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29465호(공개일 2015. 03. 1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소정의 운전 조건이 만족될 경우 유압 회로 내 압유의 이동을 제한하여 회로압을 인위적으로 상승시키고 엔진에 부하가 걸리도록 제어함으로써, 내리막길 주행 시 바퀴에서 전달되는 동력으로 엔진의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 라인을 갖춘 작업차에 적용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토출라인;
상기 유압토출라인으로부터 단속적으로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유압공급라인;
ECU의 통제를 받아 상기 유압토출라인에서 유압공급라인으로 압유가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어 밸브;
유압 회로의 압력이 특정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유압토출라인과 유압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릴리프 밸브; 및
센서들이 제공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엔진의 상태를 파악하고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ECU;를 포함하며,
센서들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면, 회로압이 상승되어 엔진에 부하가 발생되도록 상기 ECU의 통제를 받아 압유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제어 밸브가 절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의 상기 특정 조건은, 키 온(KEY ON)상태에서 엔진이 러닝(RUNNING) 상태에 있고, 연료 유량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이면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설정 연료 유량 값(F)은 3mg/st 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회전수(R)는 2800RPM 일 수 있다.
과제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 라인을 갖춘 작업차에 적용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엔진 각부에 부착된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ECU가 상기 엔진의 상태를 파악하는 엔진상태 파악단계;
(b)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부합 판단단계;
(c)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회로압을 상승시켜 엔진 회전수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회전억제모드 전환단계; 및
(d) 회전억제모드로 운전 중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 밸브를 열어(OPEN) 회전억제모드를 해제하는 회전억제모드 해제단계;
를 포함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제어 방법에 적용된 상기 조건부합 판단단계에서는, 키 온(KEY ON)상태에서 엔진이 러닝(RUNNING) 상태에 있고, 연료 유량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이면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설정 연료 유량 값(F)은 3mg/st 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회전수(R)는 2800RPM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유압 회로 내 압유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를 통해 회로압을 인위적으로 상승시켜 엔진에 부하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퀴 동력으로 엔진이 회전할 때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으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
도 2a는 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 압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2b는 엔진 회전수 상승 억제를 위한 회전억제모드에서 압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를 위해 적용되는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작업차는,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 라인이 형성된 작업차량, 예들 들어 트랙터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작업차에 작용되는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를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의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는, 엔진(10)브레이크가 작동되는 상황에서와 같이 바퀴가 역으로 엔진(10)을 회전시키는 경우에 있어 엔진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것으로, 유압펌프(40), 제어 밸브(32), ECU(20) 및 압유 이동을 위한 유압 라인(45, 48)을 포함한다.
유압펌프(40)는 엔진(10)이 출력하는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며, 제어 밸브(32)는 상기 ECU(20)의 통제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40)에서 토출된 압유의 이동을 단속한다. 유압 라인에는 유압 회로의 과도한 압력 상승을 막기 위한 릴리프 밸브(34)가 설치되며, ECU(20)는 차량 각부 센서들로부터 제공된 정보를 토대로 상기 제어 밸브(32)의 개폐를 제어한다.
본 발명을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유압펌프(40)는 엔진(10)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구동된다. 이처럼 엔진(10)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40)는 유압 기기와 이들을 연결하는 유압 라인에 의해 작동 유체가 연속적으로 순환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유압 회로를 따라 작동 유체가 순환되도록 작동 유체에 압력을 부여한다(이하 압력이 부여된 작동 유체를 '압유'라 한다).
유압펌프(40)에서 토출된 압유는 유압토출라인(45)을 통해 제어 밸브(32)에 공급되며, ECU(20)의 통제를 받는 상기 제어 밸브(32)의 개폐상태에 따라 상기 유압공급라인(48)에 공급되거나 유압공급라인(48)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즉 유압공급라인(48)은 상기 제어 밸브(32) 개폐상태에 따라 단속(斷續)적으로 압유를 제공받아 필요 유압부(60)에 공급한다.
제어 밸브(32)는 상기 ECU(20)의 통제를 받아 유압펌프(40)가 토출하는 압유가 정상적인 경로(유압토출라인(45)->제어 밸브(32)->유압공급라인(48))를 통해 상기 필요 유압부(60)에 공급되도록 압유의 이동을 제어하거나, 유압펌프(40)가 토출하는 압유의 정상적인 이동을 제한하여 유압 회로 내 회로압이 상승되도록 하고 이를 통해 엔진(10)에 부하가 걸리도록 한다.
즉 제어 밸브(32)가 개방된 경우 압유는 유압토출라인(45), 제어 밸브(32), 유압공급라인(48)으로 이어지는 이동 경로를 통해 필요 유압부(60)에 공급되거나 오일탱크로 리턴되며, 특정 조건에서 ECU(20)의 통제로 제어 밸브(32)가 닫히면(CLOSE) 압유의 이동이 차단됨에 따라 회로압이 상승되고 유압펌프(40)의 구동부하가 커져 결국 엔진(10)에 부하가 걸리게 된다.
내리막길 주행과 같이 바퀴가 엔진(10)을 회전시키는 상황에서 ECU(20) 제어에 의해 위와 같이 유압 펌프의 구동부하가 커져 엔진(10)에 부하가 걸리면, 바퀴에서 전달된 회전력으로 엔진(10)이 회전됨에 있어 무부하 상태에 비하여 엔진(10) 회전이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엔진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ECU(20)는 차량 각부에 설치된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엔진(10)의 상태를 파악하고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 밸브(32)에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ECU(20)는 센서들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10)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될 경우에 한하여 압유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제어 밸브(32)를 절환하여 회로압을 상승시켜 엔진(10)에 부하가 걸리도록 한다.
즉 엔진(10)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될 경우 ECU(20)는 현재 차량의 주행상태가 바퀴가 엔진(10)을 회전시키는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며, 이 경우 압유의 흐름을 제한하여 유압펌프(40)의 구동부하가 커지게 함으로써, 바퀴로부터 반대로 엔진(10)에 전달되는 회전력이 상기 유압펌프(40)를 구동시키는데 소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제어 장치에서 상기 특정 조건은, 키 온(KEY ON)상태에서 엔진(10)이 러닝(RUNNING) 상태에 있고, 연료 유량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되는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이면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미도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10)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액셀레이터로 엔진 회전수를 제어하는 정상적인 상황에서의 운전인 경우에는 실린더에 공급되는 연료 량에 비례하여 엔진 회전수가 증가하게 된다. 그러나 액셀레이터를 조작을 수반하지 않는 내리막 주행과 같이 바퀴가 반대로 엔진(10)을 회전시키는 경우라면 실린더에 공급되는 연료 유량 값은 제한적인데 반해 엔진(10)은 빠르게 회전하게 된다.
즉 실린더에 공급되는 연료 유량 값에 비해 엔진(10)의 회전속도가 지나치게 빠를 경우를 바퀴가 엔진(10)을 회전시키는 상태로 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인데 크랭크 포지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10)의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를 특정 조건에 부합된 경우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서 상기 특정 조건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함에 있어 사용되는 상기 설정 연료 유량 값(F)은 3mg/st 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회전수(R)는 2800RPM 일 수 있다.
한편, 제어 밸브(32)의 입구와 출구 측 유압토출라인(45)과 유압공급라인(48)을 연결하는 우회라인(33) 상에는 릴리프 밸브(Relief valve, 34)가 설치된다. 릴리프 밸브(34)는 상기 제어 밸브(32)에 의해 압유의 이동이 제한되어 회로압이 설정 값보다 상승했을 때 개방되어 압유가 제어 밸브(32)를 통하지 않고 유압공급라인(48) 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즉 ECU(20)의 통제로 제어 밸브(32)가 닫혀 있는 상태라도 회로압이 특정 값(릴리프 밸브(34)에 의해 설정된 압력 값)에 도달하면, 상기 릴리프 밸브(34)가 개방되어 압유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유압공급라인(48) 측으로 이동됨으로써 회로압은 상기 특정 값 수준으로 유지되며, 이에 따라 회로압이 과도하게 상승하여 장치 오작동이나 고장 등이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의 작동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2a는 정상적인 운전상태(일반 모드)에서 압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으로, 정상적인 운전상황에서 제어 밸브(32)는 개방(OPEN) 상태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압유는 유압토출라인(45), 제어 밸브(32), 유압공급라인(48)으로 이어지는 유압 이동 경로를 따라 필요 유압부(60), 예컨대 액츄에이터에 공급되거나 리턴 유로를 거쳐 오일탱크로 리턴된다.
이와는 다르게 도 2b는 회전억제모드에서 압유의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를 참조하면, 엔진(10) 상태가 특정 조건을 만족하면 ECU(20)의 통제에 따라 제어 밸브(32)가 닫힘(CLOSE) 위치로 절환되고 압유 이동이 차단되며, 이에 회로압이 상승되고 유압펌프(40) 구동에 더 큰 힘이 요구된다. 결국 바퀴에서 반대로 엔진(10)에 전달되는 회전력의 대부분은 유압펌프(40)를 구동시키는데 소진되고 엔진 회전수의 과도한 상승이 억제된다.
물론 제어 밸브(32)가 닫혀 있는 상태라도 회로압이 특정 값에 도달한 경우, 안전장치 역할을 하는 상기 릴리프 밸브(34)가 개방되어 압유의 일부 또는 전부가 유압공급라인(48) 측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회로압은 상기 특정 값 수준으로 유지되어 장치 오작동이나 고장 등의 원인이 될 수 있는 과도한 회로압 상승은 막을 수 있다.
도 3은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를 위해 적용되는 순서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ECU가 엔진 각부에 부착된 센서(예컨대, 연료 유량 센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 등)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엔진의 운전상태를 파악한다(엔진상태 파악단계, S100). 그리고 상기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의 운전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한다(조건부합 판단단계, S110).
조건부합 판단단계(S110)에서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지의 판단은, 키 온(KEY ON)상태에서 엔진이 러닝(RUNNING) 상태에 있고, 연료 유량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이면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설정 연료 유량 값(F)은 3mg/st 일 수 있으며, 상기 설정 회전수(R)는 2800RPM 일 수 있다.
조건부합 판단단계(S110)에서 ECU가 만약 엔진의 현재 운전상태가 조건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면,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조건이 충족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반대로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된다고 판단한다면 엔진 회전수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회전억제모드로 전환한다(회전억제모드 전환단계, 120).
회전억제모드로 전환과 동시에 상기 ECU에 의해 제어 밸브를 닫힘(CLOSE) 위치로 절환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상기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제어가 행해지며, 이로 인해 유압 회로 내 압유의 이동이 제한되고 회로압이 상승되어 유압펌프의 구동부하가 커짐으로써 엔진 회전수의 과도한 상승이 억제된다.
엔진 회전수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는 모드로 운전 중에도 ECU는 상기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를 분석하여 엔진의 운전상태를 계속해서 모니터링 하며, 만약 엔진 상태가 상기 특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었다고 판단되면, 제어 밸브를 열어(OPEN) 회전억제모드를 해제(회전억제모드 해제단계, 130)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운전 조건이 만족되면 유압 회로 내 압유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어를 통해 회로압을 인위적으로 상승시켜 엔진에 부하가 걸리도록 함으로써, 엔진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바퀴 동력으로 엔진이 회전할 때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적으로 문제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엔진
20 : ECU
32 : 제어 밸브
33 : 우회라인
34 : 릴리프 밸브
40 : 유압펌프
45 : 유압토출라인
48 : 유압공급라인
60 : 필요 유압부

Claims (6)

  1.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 라인을 갖춘 작업차에 적용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장치로서,
    상기 유압펌프;
    상기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토출라인;
    상기 유압토출라인으로부터 단속적으로 압유를 공급받을 수 있도록 구비된 유압공급라인;
    ECU의 통제를 받아 상기 유압토출라인에서 유압공급라인으로 압유가 이동되는 것을 단속하는 제어 밸브;
    유압 회로의 압력이 특정 값 이하로 유지되도록 상기 유압토출라인과 유압공급라인을 연결하는 우회라인 상에 설치되는 릴리프 밸브; 및
    센서들이 제공하는 신호로부터 상기 엔진의 상태를 파악하고 소정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어 밸브에 전달하는 ECU;를 포함하며,
    센서들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면, 상기 ECU에 의해 상기 제어 밸브가 압유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절환되어 회로압이 상승되고, 회로압 상승에 따라 상기 유압펌프의 구동부하가 커지면서 엔진에 부하가 걸려 엔진 회전수 상승이 억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조건은,
    키 온(KEY ON)상태에서 엔진이 러닝(RUNNING) 상태에 있고,
    연료 유량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이면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연료 유량 값(F)은 3mg/st 이며,
    상기 설정 회전수(R)는 2800R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4. 엔진 동력으로 구동되는 유압펌프와 유압펌프에서 토출된 압유가 이동되는 유압 라인을 갖춘 작업차에 적용되어 상기 엔진의 회전수가 과도하게 상승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a) 엔진 각부에 부착된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ECU가 상기 엔진의 상태를 파악하는 엔진상태 파악단계;
    (b) 센서들이 보내온 신호로부터 파악된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지를 판단하는 조건부합 판단단계;
    (c)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되면 엔진 회전수의 과도한 상승을 억제하는 모드로 전환하는 회전억제모드 전환단계; 및
    (d) 회전억제모드로 운전 중 엔진 상태가 특정 조건에 부합하지 않는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 밸브를 열어(OPEN) 회전억제모드를 해제하는 회전억제모드 해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회전억제모드 전환단계에서는 상기 ECU가 상기 제어 밸브를 압유의 이동을 차단하는 방향으로 절환하여 회로압을 상승시켜 상기 유압펌프의 구동부하를 크게 하고 엔진에 부하가 걸리게 하여 엔진 회전수 상승을 억제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건부합 판단단계에서는,
    키 온(KEY ON)상태에서 엔진이 러닝(RUNNING) 상태에 있고,
    연료 유량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연료 유량 값이 설정 연료 유량 값(F) 이하이면서,
    크랭크 포지션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엔진 회전수가 설정 회전수(R) 이상인 경우 특정 조건에 부합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 연료 유량 값(F)은 3mg/st 이며,
    상기 설정 회전수(R)는 2800RP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방법.
KR1020160034805A 2016-03-23 2016-03-23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2449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05A KR102449371B1 (ko) 2016-03-23 2016-03-23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05A KR102449371B1 (ko) 2016-03-23 2016-03-23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29A KR20170110429A (ko) 2017-10-11
KR102449371B1 true KR102449371B1 (ko) 2022-10-04

Family

ID=60139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805A KR102449371B1 (ko) 2016-03-23 2016-03-23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37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378A (ja) * 2002-05-23 2003-12-03 Ishikawajima Constr Mach Co 建設機械のオーバーラン防止方法および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674A (ja) * 1989-02-10 1990-08-23 Hitachi Constr Mach Co Ltd 走行用油圧駆動装置
JPH0466455U (ko) * 1990-10-19 1992-06-11
JP3351838B2 (ja) * 1992-12-25 2002-12-0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駆動車のオーバーラン防止方法
JP3570751B2 (ja) * 1993-10-20 2004-09-2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車両のエンジンオーバラン防止装置
KR20120011564A (ko) * 2010-07-29 2012-0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배기가스 후처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시스템
KR20150029465A (ko) 2013-09-10 2015-03-18 현대 파워텍 주식회사 내리막에서 엔진브레이크를 사용하는 변속기 제어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41378A (ja) * 2002-05-23 2003-12-03 Ishikawajima Constr Mach Co 建設機械のオーバーラン防止方法および防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29A (ko) 2017-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63317B2 (ja) 産業車両
JP3650099B2 (ja) 油圧モータの故障検出装置
US10400659B2 (en) Coolant pump with integrated closed-loop control
EP2393995B1 (en) Swing system and construction machinery or vehicle comprising a swing system
KR101623488B1 (ko) 선회제어장치
EP2105638A1 (en) Traveling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210096606A (ko) 유압 준비 상태 설정 방법 및 유압 시스템
US9976649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the deceleration of a hydrostatic transmission
KR101716506B1 (ko) 건설중장비의 유압시스템 및 비상 운전 방법
KR102449371B1 (ko) 작업차의 엔진 회전수 상승 방지를 위한 제어 장치 및 방법
JP6204860B2 (ja) 産業車両
US10371253B2 (en) Power transmission control device, and power transmission or vehicle including the same
US11293319B2 (en) System for regenerating DPF during operation of engine-powered forklift and method therefor
EP2261427A1 (en) Hydraulic work vehicle
US20090159360A1 (en) Energy efficient power steering pump control system
JP6939710B2 (ja) 産業車両のブレーキシステム
JP4302017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2009036351A (ja) 油圧走行装置
CN110382786B (zh) 工程机械的控制系统及工程机械的控制方法
KR101481267B1 (ko) 차량의 페일 세이프 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848475B2 (ja) 自動車のスロットル制御装置および燃料制御装置
JP6594274B2 (ja) 車両の駆動力制御装置
JP6664273B2 (ja) 作業機械の油圧制御装置
JP2008223909A (ja) 油圧走行装置
JP6647116B2 (ja) 四輪駆動車両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