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9260B1 -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 Google Patents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9260B1
KR102449260B1 KR1020200098155A KR20200098155A KR102449260B1 KR 102449260 B1 KR102449260 B1 KR 102449260B1 KR 1020200098155 A KR1020200098155 A KR 1020200098155A KR 20200098155 A KR20200098155 A KR 20200098155A KR 102449260 B1 KR102449260 B1 KR 1024492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leaning composition
weight
parts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761A (ko
Inventor
전수형
한수환
이임건
임판석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98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926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92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92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12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 C11D1/123Sulfonic acids or sulfuric acid esters; Salts thereof derived from carboxylic acids, e.g. sulfosucci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02Anionic compounds
    • C11D1/36Anionic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38Cationic compounds
    • C11D1/64Cationic compounds of unknown constitu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4Mixtures with anionic, cationic or non-ion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7/00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 C11D17/04Detergent materials or soap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hysical properties combined with or containing other objects
    • C11D17/049Cleaning or scouring pads; Wip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75Carboxylic acids-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해균의 항균력 및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에 의하면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자극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피부에 장시간 및 잦은 사용에도 안전한 동시에, 유해균의 세정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Cleaning composition with excellent antibacterial and cleaning power of harmful bacteria, hand cleaner, mist, and antibacterial SHEET using it}
본 발명은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자극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피부에 장시간 및 잦은 사용에도 안전한 동시에, 유해균의 세정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손세정제, 미스트, 및 향균 시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형의 제품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를 비롯해 신종 인플루엔자(novel swine-origin influenza A(H1N1))등과 같이 전국적으로 바이러스 또는 세균에 의한 질병이 확산되어지는 시점에서 가장 중요시되는 감염 예방법으로 손의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손 씻는 습관의 필요가 매번 설명되곤 한다.
특히 손의 세균감염 및 식품의 미생물 오염은 미생물에 오염된 타인과의 접촉, 환경요소, 오염된 식품 자체 및 원재료에 의해서 주로 매개된다. 소위 “세균(germs)” 및 세균 전이의 개념은 소비자에게 잘 알려져 있으며, 이러한 세균 및 병의 전염을 방지하는 가장 좋고 그리고 가장 쉬운 방법 중 하나는 일상적으로 손을 자주 씻는 것이다. 특히, 식품 또는 생체에 민감한 제품을 제조하는 종사자에 있어서는 이러한 미생물 오염의 전파를 방지하기 위하여 손의 세척 및 소독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잦은 세척 및 소독은 피부 각질층의 수분이 감소하여 피부가 건조해지고 표면이 거칠게 되며 피부가 윤기를 잃어 칙칙하게 보이는 등의 형상이 발생한다. 때문에 피부 건조, 자극, 알러지 등의 발생으로 피부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손 세정제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손 세정제는 크게 고형 세제(비누), 크림/페이스트 세제 등 어려 종류의 제형으로 판매되고 있으며, 널리 사용되고 있는 고형 세제인 비누를 제외하고는 클렌징 폼 또는 폼 클렌징으로 판매되고 있는 크림/페이스트 상 세제가 사용이 간편하고 부드럽기 때문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크림/페이스트 상 등의 제형은 충분한 거품으로 손의 세균과 노폐물 등을 제거하는 것을 주요기능으로 하기 때문에 지방산 비누를 포함한 계면활성제를 주성분으로 하여 피부자극을 감소시키면서 우수한 세정력을 갖도록 조성되어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여행 조건 및 시간 제약과 같은 특정한 환경 하에서 손 세정의 불편함 또는 불가능을 인식하고, 많은 제조사들은 물 및 건조 타월의 필요성이 없이 피부 표면을 위생적으로 하는 손 세정 제품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세정제는 알코올 및 알코올 함유 세정제로 살균 활성을 보유하며, 병원 시설(hospital settings)에서 메티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감염과 같은 감염을 방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러한 세정제가 효과적이기 위해서는 전형적으로 어떠한 경우라도 60% 내지 95%의 에탄올과 같은 알코올의 사용을 필요로 하며, 피부를 매우 건조하게 할 수 있다. 예컨대, 이러한 제품을 계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사용자의 피부 건조를 남길 수 있으며, 종종 피부를 붉게 하고, 트게 하고, 그리고 갈라지게 하는 결과를 야기한다.
상기와 같은 사용자의 피부를 개선하기 위해, 많은 회사들은 통상적으로, 습윤제, 연화제와 같은 보습제를 추가적인 성분으로서 이들 알코올계 손 세정제에 함유시키나, 피부의 건조에 대한 일정한 보호를 제공해주는 반면, 이들 통상적인 세정제는 몇 가지 단점이 있다. 예를 들어, 보습제 또는 기타 소수성 피부 보호제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세정제는 불안정하며, 시간 주기의 연장에 대하여 분리되는 경향이 있다. 결과적으로, 추가된 보습제 또는 피부 보호제는 세정제 전체에 걸쳐 균일하게 분산되어 존재하지 않고, 세정제의 보습력을 악화시킨다. 또한, 세정제의 불안정성은 피부에 거대한 오일층의 형성을 야기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세정제는 미끄러운 느낌을 주며, 피부에 미적으로 유쾌하지 않다. 연화제와 같은 보습제 또는 피부 보호제를 세정제에 직접 혼합하는 것은 추가적인 처리단계를 필요로 하며, 이는 제조 공정의 복잡화 및 비용을 증가시킨다.
또한, 최근 환경 문제의 심각성 및 세정제의 주요 화학성분이 사용 후 분해되기 어려워 환경오염의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으며 친환경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대두됨에 따라 자연 친화적인 제품의 개발 및 사용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천연물질을 활용한 손 세정제의 경우, 손 세정제 자체의 독성이나 피부질환 유발의 요인들이 대다수 배제되는 반면 손에 묻은 다양한 세균에 대한 충분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정도의 세정력을 갖추지 못하였으며,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만을 주목하여 각종 내성균에 대한 충분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손 세정제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화학성분 사용으로 인한 부작용 및 환경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자연 친화적인 성분을 포함하여, 잦은 손 세척 및 소독에도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고 항균 효과까지 나타낼 수 있는 손 세정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10-1835098 B1 KR 10-2018-0084378 A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자극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피부에 장시간 및 잦은 사용에도 안전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부에 장시간 및 잦은 사용에도 안전한 동시에, 유해균의 세정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세정용 조성물이 적용된 손세정제, 미스트, 및 향균 시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형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은 민트(Mentha) 추출물, 레몬(Citruslimonum) 추출물, 유칼립투스(Eucalyptusglobulu)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해 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기산, 중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젖산, 초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중화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aureth sulfosuccinate; LES), 코코베타인(Coco-betaine), 애플 계면활성제, 올리브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상기 세정용 미스트는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상기 향균 시트는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당업계에서 조추출물(crude extract)로 통용되는 의미를 갖지만, 광의적으로는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분획(fractionation)한 분획물도 포함한다. 즉, 천연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얻은 것뿐만 아니라, 여기에 정제과정을 추가적으로 적용하여 얻은 것도 포함한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을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 외 여과막을 통과시켜 얻은 분획, 다양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도 본 발명의 천연 추출물에 포함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은 민트(Mentha) 추출물, 레몬(Citruslimonum) 추출물, 유칼립투스(Eucalyptusglobulu) 추출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민트(Mentha)는 쌍떡잎식물 통화식물목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숙근초에 관한 것으로, 품종에 따라 향, 풍미 잎의 색, 형태는 다양하다. 정유의 성질에 따라 페퍼민트, 스피어민트, 페니로열민트, 캣민트, 애플민트, 보울스민트, 오데콜론민트로 구분된다. 지중해 연안의 다년초이며, 전 유럽에서 재배된다.
상기 레몬(Citruslimonum)은 운향과에 속하며, 꽃은 연 분홍색이고 열매는 밝은 노란색, 연 노란색이다. 향유는 레몬 껍질을 짜서 추출하고 진하고, 톡 쏘는 감귤류의 향 때문에 전통적으로 향수에 사용되어 왔다. 레몬 오일의 냄새는 상큼하고 기분 좋은 독특한 향을 풍기는데 품질이 좋은 오일 일수록 더욱 신선하고 상큼한 향이 나고 품질이 낮거나 시일이 오래 경과된 오일은 쾨쾨하고 불쾌한 냄새가 나기도 한다. 과실즙과 껍질은 음식의 양념으로 많이 쓰여 지고 많은 영양소를 함유하며 비타민 A, B, C가 풍부하다. 스페인과 다른 유럽국가에서는 치유제로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전염성 질환에 좋다.
상기 유칼립투스(Eucalyptusglobulu)는 도금양과에 속하고 유칼립투스 나무의 잎과 잔가지에서 증기 증류추출법에 의해 추출되어진다. 유칼립투스 향은 무색의 달콤한 향과 멘톨향이 나며 유효기간이 지난 오일은 노랗게 변색된다. 유칼립투스 나무는 호주와 타스마니아가 원산지이며, 스페인, 포르투갈과 같은 지중해 지역과 중국에서도 재배한다. 또한, 유칼립투스 오일은 기침, 천식, 포진이나 유행성 감기에 대한 항바이러스 작용, 부비강염(축농증), 기관지염, 폐결핵, 위막성 후두염, 경련성 인후염, 디프테리아 등의 호흡기 질환자들에게 유칼립투스 오일을 증기 흡입제로 사용할 경우 가장 효과가 좋다. 특히 점액의 배출을 용이하게 해주기 때문에 인후염에 좋으며, 이외에도 무통성 소화불량, 설사, 콜레라, 담석에도 사용된다. 유칼립투스의 일부 테르펜이 공기 중에 산화하여 발생한 오존은 강한 살균 효과를 가지며, 이러한 살균 성질은 감염에 의한 열성질환에 효과적이어서 유칼립투스 오일을 화농성, 열성 패혈증, 유행성감기 등의 열병에 사용 시 체온을 떨어뜨려주며, 오한을 없애는 효과가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버들취(Saussurea amurensis) 추출물,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ey) 추출물 및 선등갈퀴(Vicia heptajuga Nakai)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물질인 버들취 추출물, 갯금불초 추출물 및 선등갈퀴 추출물을 세정용 조성물의 일 성분으로 포함시킴으로써, 상기 천연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 성분의 상승 작용으로 인해, 세정용 조성물의 세정력 및 항균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민트 추출물, 레몬 추출물 및 유칼립투스 추출물만을 포함하는 것 보다 더 우수한 세정 및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버들취(Saussurea amurensis)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근경은 짧고 가늘며 가로 뻗는다. 줄기는 곧추 자라며 높이는 30~100cm 정도이고 거미줄모양의 털이 덮여 있거나 거의 없고 때로는 날개가 있는 것도 있다. 잎은 약간 혁질(革質)이며 잎 앞면은 거의 털이 없고 녹색이며 뒷면은 거미줄모양의 흰털이 덮여 있거나 청백색을 띤다. 꽃은 관상화(管狀花)이며 자주색이고 길이는 1~1.2cm 정도이며 화상(花床)에는 인편(鱗片)이 있다. 관모(冠毛)는 2줄로 붙는데 바깥쪽의 것은 길이 2~3mm 정도이고 안쪽의 것은 길이 10mm 정도이다. 여름과 가을에 꽃이 피고 열매를 맺는다. 민간에서 전초(全草)를 다려 해열약으로 쓴다. 씨앗으로 번식한다. 함경남도 함흥시, 부전군(문암), 장진군 등 지역의 깊은 산, 누기 진 풀밭에서 많이 자란다.
상기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ey)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무리를 지어 자란다. 높이는 30∼60cm로 자라고, 땅을 기면서마디에서 뿌리를 내리며 가지가 갈라져 비스듬히 선다. 잎은 마주나고 달걀모양으로 짧으며 억센 털이 있다. 잎 표면은 짙은 녹색이고 뒷면은 연두색이며, 길이는 1.3∼3.7cm, 나비는 4∼14mm이다. 잎자루는 길이 2∼8mm이다. 8∼10월에 노란 꽃이 피고 두화(頭花)는 지름이 2cm 정도이며 꽃자루의 길이는 1∼7cm이다. 총포는 반구형이고 포조각은 1줄로 배열하며 달걀 모양 또는 달걀 모양 타원형으로 뒷면에 털이 많고 녹색이다. 설상화는 암꽃이고 화관 뒤쪽에 털이 약간 있다. 열매는 수과로서 길이는 3.5∼4mm, 지름은 2 mm이며 세모나거나 네모나 있다. 수과에는 관모가 있는데 관모는 끝이 관처럼 돋아 있으며 짧다. 제주도에 분포한다.
상기 선등갈퀴 (Vicia heptajuga Nakai)는 산지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어긋나기하고 4~6쌍의 소엽으로 구성된 짝수깃모양겹잎이며 끝에 덩굴손의 흔적이 있으며 밑은 둔하고 끝은 길게 뽀족하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6~7월에 홍자색으로 피며 잎겨드랑이에서 2~4cm의 화경이 나와 총상꽃차례로 한쪽으로 치우쳐 달린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물, C1 내지 C6의 저급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천연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건조 후 천연물을 분쇄하는 단계;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상기 분쇄물을 침출시키는 단계; 시료를 침출 후 건조시키는 단계; 물을 이용하여 침출시키는 단계; 및 침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천연 추출물을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천연 추출물은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분획을 실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초음파 추출법, 침출법 및 환류 추출법 등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 방법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세척 및 건조로 이물질이 제거된 천연물을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으며, 상기 용매들을 순차적으로 시료에 적용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다.
상기 환류 추출법은 물,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30g, 환류 시간 1 내지 3시간 및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100 mL 또는 물 100 mL 기준으로, 천연물의 분쇄물 10 내지 20g, 환류 시간 1 내지 2시간 및 70 내지 90%의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또는 물에 의한 것이다.
상기 침출법은 15 내지 30℃, 24 내지 72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로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을 이용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20 내지 25℃, 30 내지 54시간 동안 진행하며, 추출 용매는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30 내지 50℃, 0.5 내지 2.5시간 동안 반응을 진행하며, 추출용매는 물 또는 50 내지 10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40 내지 50℃, 1 내지 2.5시간 동안 추출하며, 추출용매로 물 또는 70 내지 80%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에 의한 것이다.
상기 추출 용매는 시료의 중량 기준으로 2 내지 50배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2 내지 20배이다. 추출을 위해 시료는 추출 용매에서 추출을 위해 1 내지 72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24 내지 48시간 동안 방치될 수 있다.
추출 후, 추출물은 새로운 분획 용매를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분획할 수 있다. 분획 시 사용하는 분획 용매는 상기 용매는 물, 헥산, 부탄올, 에틸아세트산,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메틸렌클로라이드이다.
추출물 또는 분획물을 얻은 후에는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방법을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유해 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유해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 선택되는 균이다.
상기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은 사람이게 감염되어 난치병을 일으키는 세균으로, 다제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은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상구균(MRSA) 또는 옥사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ORSA) 등처럼 2가지 이상에서 페니실린 계열등 여러 항생제에 황색 포도상구균이 내성을 보이는 경우이다.
상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은 인간이나 동물의 피부, 소화관에 상재하는 포도상 구균의 하나로 인간에게 농양 등 다양한 표피 감염, 식중독, 폐렴, 수막염, 패혈증 등을 일으키는 원인균이다.
상기 대장균(Escherichia coli)은 사람 및 동물의 대장에서 서식하는 세균 중 하나로, 가장 먼저 발견된 장내 세균이다. 분변에 의해 오염된 환경에서는 쉽게 발견할 수 있기 때문에 식품, 음료, 식당과 같은 청결을 필요로 하는 대상의 오염의 지표로 사용되는 세균이다.
상기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은 자연환경에서 쉽게 발견되는 호기성 그람 음성세균으로 간균에 속하며 아포(spore)를 형성하지 않는다. 이 균은 식물이나 동물, 사람을 감염시킬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젖산, 초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유기산, 중화제 및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젖산, 초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유기산이란, 산성을 나타내는 유기 화합물을 일컫는 말로, 구연산, 사과산, 초산, 주석산, 호박산 등의 유기화합물을 의미한다. 유해균에 대한 살균효과 및 장내 세균 밸런스 조정작용을 하며 신진대사를 도움으로써 체력을 증진시켜 주며, 피로회복 및 미용에도 효과가 있다. 유기산 중 alpha hydroxy acid(AHA) 성분은 피부 노화 방지, 여드름 개선, 색소 침착 방지 등의 효능이 있어 최근 이 AHA 성분을 함유한 화장품 등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상기 구연산은 귤 속 과일에서 주로 발견되는 약한 유기산으로써 환경친화적인 세척제로 많이 사용되며, 커피포트 등에 굳은 석회질을 녹이는데도 쓰인다. 식품 첨가물로서 세척력 및 살균력이 뛰어나고 친환경적 물질로 생태계에서 자연 분해되며 특히 구연산을 탄산수소나트륨 및 커피 부산물 추출물과 적정량 혼합하여 사용하면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살균 능력이 매우 탁월하다.
따라서, 유기산으로 상기 구연산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해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세정용 조성물의 일 구성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모든 유기산을 포함하며, 상기 기재된 유기산의 예시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중화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중화제란, 특정 화학물질의 영향을 중화시키는 물질 또는 약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전하를 중성화 시키는 임의의 제제를 뜻한다. 설거지, 세탁, 락스, 기름 때 제거제 등 세제의 대부분은 알칼리성 세제에 해당한다. 다만, 알칼리성과 정반대의 성격을 갖는 얼룩이나 오염 등은 산성 성분을 이용하여 제거해야 하며, 이러한 문제는 산성성분의 중화제를 첨가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한편, 산성의 세제로 세척하는 경우에는 산성세제를 사용 후 물로 충분히 린스를 하지 않으면 부식작용이 일어나거나, 황변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 린스 시, 물에 알칼리성 중화제를 소량 희석하여 린스를 하면 중화작용을 통해 상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한 가지 성질로만 이루어진 세제의 경우 해당 성질로 인해 문제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첨가되는 것이 상기 중화제이다.
중탄산나트륨은 물에도 잘 녹고, 생분해성이 높으며 생명을 유지시키는 중요한 성분 중의 하나로 인체에도 자연적으로 일정량이 존재한다. 그렇기 때문에 제산제와 같은 의약품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은 납 등의 중금속, 아황산가스 등의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특성도 지니고 있고, 액체나 기체 상태의 산성 물질을 중화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중탄산나트륨 수용액은 흡착, 탈취, 중화, 연수 기능이 있으며 사용 후 완전히 분해되어 독성이 전혀 없는 친환경 물질이다.
탄산나트륨은 백색 분말의 흡습성이 강한 소다회이며, 1수화물, 7수화물 및 10수화물이 알려져 있다. 유리, 비누 등의 제조원료로 사용되며, 알칼리로서 종이 제조 등에 사용된다. 탄산나트륨은 베이킹 소다, 세스퀴 탄산소다와 비교해서 pH가 높고, 가정용 알칼리제 중에는 가장 강력한 알카리제이다. 물론 베이킹 소다나 세스퀴 탄산소다와 같은 무기물이므로, 생분해가 필요 없고 유기물과 달리 하천의 유기오염을 일으키지 않기 때문에 환경에 부담을 주지 않는 친환경 물질이다.
탄산수소나트륨은 베이킹소다라는 이름으로 불리는데 상온에서는 백색 분말 상태이며 탄산가스 발생제이기도 하다. 각종 식품첨가물 즉, 빵, 떡, 견과류, 과자, 쵸코렛, 커피 등 식품첨가물로서 주로 이용된다. 또한 액체 상태에서 산성물질을 중화하는 기능이 있으며 수용액은 흡착 및 탈취, 세척 효과가 탁월하며 사용 후 완전분해 독성이 전혀 없는 친환경적 물질이다. 특히 단백질과 섬유질의 분해력이 탁월하고 세척 후에 오염물질 및 악취 제거의 기능도 발휘된다.
본 발명의 중화제로서 탄산수소나트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예시한 중화제 외에도 본 발명의 통상의 기술자가 세정용 조성물의 일 구성으로 포함시킬 수 있는 중화제에 해당하는 한,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aureth sulfosuccinate; LES), 코코베타인(Coco-betaine), 애플 계면활성제, 올리브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다.
계면활성제란,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이런 성질 때문에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계면활성제는 일정 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끼리 모여 미셀(micelle)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미셀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이고 온도가 임계 미셀 온도 (critical micelle temperature, 또는 Kraft 온도) 이상에서 형성된다. 미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은 중심부에 모여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접촉하는 외곽 부분을 형성한다. 기름과 같이 소수성 물질은 미셀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화되고 물에 녹게 되는데 이를 용해화(solubilization)라 하며 이는 세제 작용의 기본 원리이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약간의 화학구조를 변형시킨 것만으로도 특성이 크게 달라져 종류도 다양하다. 대체로 계면활성제는 물에서 해리되었을 때 친수성 부분의 전하에 따라 음이온성, 양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특수 계면활성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세제의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 것 외에도, 식품과 화장품의 유화제 및 보습제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코코베타인(Coco-betaine)은 코코넛 지방산(coconut fatty acid)에서 유래한 계면활성효과가 있는 물질이다. 또한, 코코베타인은 1960년대 시장에 소개된 이래 저독성, 친환경의 특성이 알려지며 현재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2차 계면활성제(secondary surfactant) 중 하나이다. 또한,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aureth sulfosuccinate; LES)는 천연 점도증점용 계면활성제로서 야자와 호박산으로부터 얻어지고, 상기 애플 계면활성제는 사과로 만든 천연 계면활성제이며, 상기 올리브 계면활성제는 올리브로 만든 천연 계면활성제로, 우수한 기포성과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피부와 눈에 자극이 적은 원료로서, 환경을 해치지 않는 빠른 생물 분해성을 가지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천연 계면활성제인 코코베타인(Coco-betaine)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나 상기 예시한 계면활성제로 국한되지 않으며, 세정용 조성물에 관한 당업자가 적용할 수 있는 계면활성제인 한 제한 없이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세정용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하며, 상기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트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에 대하여, 레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유칼립투스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버들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갯금불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선등갈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유기산 1 내지 5 중량부, 중화제 1 내지 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량부 범위 미만인 경우, 천연 추출물, 유기산, 중화제 및 계면활성제의 혼합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의 세정력 및 기포 발생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중량부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계면활성제로 포함되는 화학물질에 의해 피부가 자극되어 피부에 붉은 반점 등이 생기는 문제가 있으며, 기호성 측면에서도, 상기 세정용 조성물로 세척을 마친 후, 손에 미끈거림 등이 남아 기호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는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상기 세정용 미스트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미스트는 액상이며, 분사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스프레이 제형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미스트는 보습효과 및 피부 진정효과를 나타내는 유효성분이 추가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세정제는 상기 향균 시트는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향균 시트는 부직포, 섬유제 또는 종이제 시트에 상기 세정용 조성물이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접착층이 형성되어 패치 제형으로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주방용 세제는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주방용 세제 및 손 세정제에 상기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함에 따라, 새로운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된 유기산, 아스파트산 등의 아미노산, 수용성 미네랄 및 미량원소 등의 영양성분에 의해 주방용 세제 및 손 세정제의 세정력 및 항균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상기 천연 추출물 등을 추가적으로 포함시켜 주방용 세제 및 손 세정제의 사용 후, 손에 남는 미끈거림을 감소시키고 피부에 대한 자극을 줄이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은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여 피부 자극 및 부작용을 최소화하는 것으로, 피부에 장시간 및 잦은 사용에도 안전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피부에 장시간 및 잦은 사용에도 안전한 동시에, 유해균의 세정력 및 항균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세정용 조성물이 적용된 손세정제, 미스트, 및 향균 시트를 포함하는 다양한 제형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조예 1: 천연 추출물의 제조]
1. 민트 추출물의 제조
민트를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완전히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민트를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각각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하여 민트 추출물(ME)을 제조하였다.
2. 레몬 추출물의 제조
레몬을 흐르는 물에 깨끗이 세척한 다음 껍질을 완전히 제거한 후, 자연 건조시켰다. 건조된 레몬을 믹서기로 분쇄한 다음 70% 에탄올을 사용하여 각각 상온에서 48시간 동안 침출시킨 후 시료를 여과(filter)하여 레몬 추출물(LE)을 제조하였다.
3. 유칼립투스 추출물의 제조
상기 민트 추출물(ME)과 동일한 방법으로 유칼립투스 추출물(EE)을 제조하였다.
4. 기타 천연 추출물의 제조
상기 민트 추출물(ME)과 동일한 방법으로 버들취 추출물(SE), 갯금불초 추출물(WE) 및 선등갈퀴 추출물(VE)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세정용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된 상기 천연 추출물들을 정제수, 유기산(구연산), 중화제(중탄산나트륨), 계면활성제(코코베타인)과 하기 표 1과 같은 함량 범위로 혼합하여, 세정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HW1 HW2 HW3 HW4 HW5 HW6 HW7 HW8 HW9 HW10 HW11 HW12 HW13 HW14
정제수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구연산 0.5 1 3 5 5.5 5 5 5 5 5 5 5 5 5
중탄산나트륨 0.5 1 3 5 5.5 5 5 5 5 5 5 5 5 5
코코베타인 0.5 1 3 5 5.5 5 5 5 5 5 5 5 5 5
ME - - - - - 30 40 50 60 70 60 60 60 60
LE - - - - - 30 40 50 60 70 60 60 60 60
EE - - - - - 30 40 50 60 70 60 60 60 60
SE - - - - - - - - - - 10 20 30 40
WE - - - - - - - - - - 10 20 30 40
VE - - - - - - - - - - 10 20 30 40
(단위: 중량부)
[실험예 1: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세정력 및 기포 발생력 실험]
세정력을 평가하기 위해, KS M 2716 방법에 의해, 우지(Tallow)와 대두유를 주성분으로 하는 오염물질을 제조하여 슬라이드 글라스에 균일하게 입힌 후, 교반 혼합식 세정력 시험기 (회전수 100rpm)를 사용하여 3분 동안 세정하고, 잔여오염을 녹여 각각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오염 제거율(%)로서 판정하였다.
한편, 기포 발생력의 평가를 위해, 상기 오염물질이 도포된 슬라이드 글라스에 물기가 없는 스펀지를 놓고, HW1 내지 HW14의 세정용 조성물 및 물을 일정량 투여한 후, 스펀지를 손으로 눌러 발포시킨 후 육안으로 기포량을 하기의 판정 부호로 평가하였다.
(◎ : 매우 우수, ○ : 우수, △ : 보통, X : 불량)
상기 세정력 및 기포 발생력에 대한 평가결과를 하기의 표 2에 나타내었다.
세정용 조성물 세정율(%) 기포 발생력
HW1 75 X
HW2 80
HW3 83
HW4 85
HW5 88
HW6 90
HW7 94
HW8 95
HW9 96
HW10 95
HW11 97
HW12 98
HW13 99
HW14 98
상기 표 2의 결과를 바탕으로 살펴보면, 천연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HW6 내지 HW10의 경우, 세정력 및 기포 발생력이 비교적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HW11 내지 HW14는 세정용 조성물의 성분으로 버들취 추출물, 갯금불초 추출물 및 선등갈퀴 추출물을 포함하는 경우로 우수한 세정력과 기포 발생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HW11 내지 HW14의 경우 가장 우수한 세정 효과 및 기포 발생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버들취 추출물, 갯금불초 추출물 및 선등갈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에 따라 미세 입자의 마찰로 인해 세정 효과와 기포 발생력이 극대화됨을 알 수 있다.
[실험예 2: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항균 효과 실험]
항균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외용소독제(의약외품)의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험대상 균주 4종을 각각 멸균된 TSB 배지 5 mL가 담긴 round bottom tube에 접종하여 37℃에서 18~22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배양정도를 확인하였다.
그 후, 시험대상 균주 4종의 초기 배양액을 TSB 배지(4℃ 냉장보관)로 10배씩 계열 희석하여 균액 mL 당 1x105 CFU가 되도록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균액(1x105 CFU) 0.1 mL를 새로운 eppendorf tube에 넣고 원심분리(9,300 RCF, 1분)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여 균액을 조제하였다.
다음으로 시험군과 대조군의 조제를 위해 시험군은 균액에 평가하고자하는 세정제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대조군은 균액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액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하였다.
그리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배지도말을 위해 1~5분간 방치된 시험군(균액/세정제) 및 대조군(균액) 각각을 원심분리(9,300 RCF, 1분)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다시 PBS 배지 또는 PBS 완충액 1mL를 넣어 침전물을 잘 현탁하였다.
앞서 설명한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다시 원심분리를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2회 반복한 다음 최종으로 침전물에 TSB 배지 또는 PBS 완충액 1 mL를 넣어 잘 현탁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마련된 균액 0.1 mL씩을 3개 이상의 TSA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0~24 시간 배양하여 각군에서 형성된 집락(colony)수를 계수하고, 세정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기 실험식에 따라 세정제 처리군의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저해율(%) = [대조군 균수(CFU)-시험군 균수(CFU)]/대조군 균수(CFU)X100
HW1 HW2 HW3 HW4 HW5 HW6 HW7 HW8 HW9 HW10 HW11 HW12 HW13 HW14
MRSA 82 88 89 86 85 87 95 96 98 98 98 99 100 99
S.aureus 83 87 89 91 90 91 92 92 99 98 99 100 100 98
E.coli 85 86 88 91 91 92 92 95 99 98 99 100 100 100
P.aeruginosa 83 85 85 88 87 90 91 91 97 98 99 99 99 98
(단위: %)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HW11 내지 HW14에서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 뿐 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해서도 항균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버들취 추출물, 갯금불초 추출물 및 선등갈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에 따라 이들 성분이 함유하고 있는 유효성분들의 상호작용에 따라 세정 효과와 동시에 항균력이 극대화됨을 나타내는 결과에 해당한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피부자극성 평가]
폐첩포 시험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 중량% 실험용액의 첩포 시료를 상박 내측에 붙인 후, 48시간이 경과한 다음 떼어냈다. 시료를 떼어낸 후 4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의 홍반 정도를 육안으로 판별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세정용 조성물 피부자극성
HW1
HW2
HW3
HW4
HW5
HW6
HW7
HW8
HW9
HW10
HW11
HW12
HW13
HW14
(◎ : 홍반 없음, ○ : 주변보다 약간 붉음, △ : 1/3 이상 붉은 증상을 보임, X : 붉은색, 갈변, 수포 발생 등)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HW6 내지 HW10의 경우 주변보다 약간 붉은 증상을 나타내어, 피부자극성과 관련하여 다른 조성물과 비교하여 비교적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포함하는 경우 세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학물질에 대한 피부 자극성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HW11 내지 HW14의 경우, 피부에 아무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바, 가장 우수한 피부자극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버들취 추출물, 갯금불초 추출물 및 선등갈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에 따라 미세 입자의 마찰로 인해 해당 유효성분이 피부에 스며들어 화학물질의 자극을 줄여주는 결과를 나타낸다.
[실험예 4: 본 발명의 세정용 조성물의 관능 평가]
관능 검사는 상기 실험예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 손 세정제 조성물 HW1 내지 HW14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및 손 세정제를 대상으로 하여 각각 남녀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각 주방용 세제 및 손 세정제를 사용한 후, 손에 남는 미끈거림과 향에 대한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1점 : 매우 나쁘다.
2점 : 나쁘다.
3점 : 보통이다.
4점 : 좋다.
5점 : 매우 좋다.
상기 평가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평가 결과는 평균 점수로 나타내었다.
구체적인 결과는 하기 표 5과 같다.
세정용 조성물 미끈거림 종합 기호도
HW1 3.4 3.5 3.3
HW2 3.3 3.1 3.2
HW3 3.7 3.7 3.7
HW4 4.1 4.3 4.2
HW5 4.1 4.1 4.1
HW6 4.3 4.1 4.2
HW7 4.7 4.5 4.6
HW8 4.8 4.8 4.8
HW9 4.5 4.7 4.6
HW10 4.9 4.9 4.9
HW11 5.0 4.9 5.0
HW12 5.0 5.0 5.0
HW13 5.0 5.0 5.0
HW14 4.8 4.8 4.8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HW11 내지 HW14의 경우 주방용 세제 및 손 세정제의 사용 후, 손에 남는 미끈거림이 가장 적을 뿐만 아니라, 향도 가장 좋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버들취 추출물, 갯금불초 추출물 및 선등갈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함에 따라 이들 유효성분들의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로 계면활성제 성분에 의한 미끈거림을 감소시키고, 천연물질 특유의 향이 부가되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9)

  1. 민트(Mentha) 추출물, 레몬(Citruslimonum) 추출물, 유칼립투스(Eucalyptusglobulu) 추출물을 포함하며,
    버들취(Saussurea amurensis) 추출물, 갯금불초(Wedelia prostrata Hemsley) 추출물, 선등갈퀴(Vicia heptajuga Nakai) 추출물, 유기산, 중화제 및 계면활성제을 더 포함하는 것으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민트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레몬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유칼립투스 추출물 40 내지 60 중량부, 버들취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갯금불초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선등갈퀴 추출물 20 내지 30 중량부, 유기산 1 내지 5 중량부, 중화제 1 내지 5 중량부 및 계면활성제 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하는
    세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해 균에 대한 우수한 항균력을 나타내는
    세정용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산은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젖산, 초산, 글루콘산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화제는 중탄산나트륨, 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디소듐 라우레스 설포석시네이트(Disodium aureth sulfosuccinate; LES), 코코베타인(Coco-betaine), 애플 계면활성제, 올리브 계면활성제 및 이들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세정용 조성물.
  7. 제1항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손 세정제.
  8. 제1항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균 미스트.
  9. 제1항에 따른 세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향균 시트.
KR1020200098155A 2020-08-05 2020-08-05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KR1024492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155A KR102449260B1 (ko) 2020-08-05 2020-08-05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155A KR102449260B1 (ko) 2020-08-05 2020-08-05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61A KR20220017761A (ko) 2022-02-14
KR102449260B1 true KR102449260B1 (ko) 2022-09-30

Family

ID=80254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155A KR102449260B1 (ko) 2020-08-05 2020-08-05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926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781B1 (ko) * 1998-06-09 2001-05-02 최영신 항균및항진균작용이있는정유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0304B1 (ko) * 2014-11-24 2016-09-27 이기혁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35098B1 (ko) 2016-01-22 2018-04-1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KR101897978B1 (ko) 2017-01-17 2018-10-29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5781B1 (ko) * 1998-06-09 2001-05-02 최영신 항균및항진균작용이있는정유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761A (ko) 2022-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85711B1 (en) Organic toothpaste containing saponin
JP2003113013A (ja) 植物性抗菌防腐剤
CN104173250B (zh) 一种含有天然抑菌成分的润肤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2106644B1 (ko) 천연재료를 활용한 유아용 바디샤워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53282B1 (ko) 세정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9387B1 (ko) 향균성 치약 조성물
CN106906084A (zh) 婴幼儿抑菌洗衣液及其生产方法
KR102226774B1 (ko) 황기, 황정 및 솔잎 추출물이 포함되는 주방세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92707B1 (ko) 천연물 유래 물질 및 미산성 차아염소산수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 조성물
CN105030613B (zh) 一种抗菌缓解疲劳的天然植物精油洗脚液
CN104490679B (zh) 一种复合型抗菌洗手液及其制备方法
CN106318707A (zh) 一种环保洗涤剂及其制备方法
KR20070065926A (ko)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220105712A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항균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항균 조성물
CN105154257A (zh) 具有抑菌功能的清香型天然植物精油皂及其制备方法
KR102449260B1 (ko)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CN107714526A (zh) 一种茉莉花女性专用沐浴露及其制备方法
CN106929183A (zh) 高效抑菌洗衣液及其生产方法
KR20140111537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101898060B1 (ko) 가습기 살균제용 천연 아로마 에센셜 오일의 수용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19142B1 (ko)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29031B1 (ko) 담자균류로 발효시킨 장미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0344B1 (ko) 피부 보습, 항균 및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 세정제
KR20150006243A (ko) 피톤치드를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