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978B1 -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978B1
KR101897978B1 KR1020170007909A KR20170007909A KR101897978B1 KR 101897978 B1 KR101897978 B1 KR 101897978B1 KR 1020170007909 A KR1020170007909 A KR 1020170007909A KR 20170007909 A KR20170007909 A KR 20170007909A KR 101897978 B1 KR101897978 B1 KR 1018979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ushroom
organic solven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7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4378A (ko
Inventor
변예진
강주이
홍승복
Original Assignee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07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978B1/ko
Publication of KR20180084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4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9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9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11D3/382Vegetable products, e.g. soya meal, wood flour, sawdu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Abstract

본 발명은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천연물질에 탈이온 증류수(Deionized distilled water) 또는 제1유기용매를 혼합한 후 가열하는 추출 단계; 상기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필터링하는 여과 단계; 상기 여과 단계에서 필터링된 여과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상기 농축 단계에서 완료된 농축물을 분말화하도록 동결 건조시키는 분말 제조 단계; 및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분말과 제2유기용매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천연물질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고, 그로 인해 손 세정제 사용간 피부상의 질병 유발 가능성이나 각종 부작용 등을 미연에 방지하며, 항균력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자의 피부 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손 세정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며, 각종 병원균 뿐만 아니라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을 가진 손 세정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상의 질병 유발 가능성이나 각종 부작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HAND WASH COMPOSITION}
본 발명은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유행하는 호흡기 질환이나 식중독, 눈병 등은 사람의 손 접촉에 의해 바이러스 또는 세균이 전파되어 확산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이러한 질병을 예방하기 위하여 손의 청결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을 정도이며, 특히 식품 제조업 종사자나, 의료 관계자 등에게는 세균오염 전파를 방지하기 위한 손의 세척 및 소독이 더욱 중요시되고 있다.
종래에는 비누를 이용하여 손을 세척하는 방법이 많이 활용되었으나, 항균 용도로 개발되고 있는 손 세정제에 비해서 세균 제거 효과가 미미하였고, 최근에는 세척 및 살균이 간편한 액상형 손 세정제가 많이 출시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6-0133228호에는 여러 물질을 혼합하여 제조한 손 세정제 조성물에 대해 제시된 바 있다.
그런데, 손 세정을 위한 항균성 물질이 세정제 내에 다량 함유될 경우에는 항균력을 유지할 순 있으나, 장기적으로 사용하게 되면 피부에 자극성을 나타내거나 염증 등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항균력이 우수하면서도 장기적으로 사용해도 피부에 무해한 손 세정제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었다.
아울러, 기존의 손 세정제는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만을 주목하여 각종 내성균에 대한 충분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수 있는 손 세정제의 개발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려는 개발 노력이 계속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항균력이 우수하면서도 사용자의 피부 질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손 세정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각종 병원균 뿐만 아니라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을 가진 손 세정제를 제조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전술한 과제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아니한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후술할 내용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태양으로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천연물질에 탈이온 증류수(Deionized distilled water) 또는 제1유기용매를 혼합한 후 가열하는 추출 단계; 상기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필터링하는 여과 단계; 상기 여과 단계에서 필터링된 여과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상기 농축 단계에서 완료된 농축물을 분말화하도록 동결 건조시키는 분말 제조 단계; 및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분말과 제2유기용매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천연물질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마련될 수 있다.
삭제
또한, 추출 단계에서 상기 천연물질과 상기 제1유기용매가 혼합될 경우, 상기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유기용매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황버섯 및 어성초와 같은 천연물질로부터 항균성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손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피부상의 질병 유발 가능성이나 각종 부작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추출 단계에서 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와 혼합되는 천연물질의 함량 비율을 15~17 중량부로 설정함에 따라, 손 살균 및 세정에 필요한 충분한 수준의 항균 성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셋째,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에 대한 항균 성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되어진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도5에 도시된 흐름도를 따라 설명하고, 나머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편의상 순서를 붙여 설명한다.
1. 추출 단계<S101>
본 단계에서는 천연물질에 탈이온 증류수(Deionized distilled water) 또는 제1유기용매를 혼합한 후 가열하여 천연물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천연물질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로 적용될 수 있다.
삭제
한편, 일 실시예에서의 천연물질이 상황버섯일 경우, 상황버섯을 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와 혼합하고 일정 시간동안 가열하여 천연물질로부터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천연물질이 상황버섯과 어성초일 경우에는 각 성분별로 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와 혼합하고 가열하여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단계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유기용매로는 70~100%(v/v)의 에탄올 또는 메탄올이 적용될 수 있다. 만일, 제1유기용매의 용매 농도가 70%(v/v) 미만일 경우에는 용매에 천연물질이 충분히 용해되지 않을 우려가 있으므로 전술한 범위 이내의 농도로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천연물질을 용해시키는 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의 끓는점을 고려하여 60~100℃로 설정할 수 있고, 가열 시간은 천연물질로부터 유효성분이 충분히 추출되도록 2~3시간 범위 내에서 추출이 진행될 수 있다.
만일,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이 전술한 수치 미만일 경우, 용매가 천연물질 내에 충분히 침투되지 못하며, 유효성분인 항균물질의 추출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해 전체 수율이 낮아지고 추출시간이 길어질 수 있고, 가열 온도 및 가열 시간이 전술한 수치를 초과할 경우에는 항균물질 외의 무효성분, 특히 항균성을 오히려 격감시킬 수 있는 성분 역시 과량 추출되어 항균성을 제공함에 있어서 이상이 발생할 수 있고, 항균물질의 수율 증가폭이 미미해질 우려가 있으므로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추출 과정이 진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단계에서 천연물질과 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가 혼합될 경우,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이것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천연물질의 항균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다수의 실험을 통해 가장 최적의 추출 조건을 도출한 결과로서, 만일,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용매가 20 중량부 미만이거나 2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에는 병원균이나 내성균에 대한 항균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전술한 비율로 혼합되는 것이 높은 항균성을 보유하기 위한 면에서 바람직하다.
한편, 본 단계에서 추출이 진행되는 동안에 일정한 시간 간격(일 예로, 30분 단위)으로 추출액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으며, 가열이 2~3시간 경과된 이후에 추출액의 농도에 변화가 없을 경우에는 본 단계를 종료하고 여과 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2. 여과 단계<S102>
단계 S101에서 천연물질의 추출이 완료되면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1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필터링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필터지를 이용하여 추출액을 여과할 수 있다.
3. 농축 단계<S103>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2에서 필터링된 여과물을 농축시키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단계에서는 여과물을 농축기에 투입하고, 여과물에 포함된 용매(탈이온 증류수 또는 제1유기용매)가 전부 증발될 때까지 가열시켜 농축할 수 있다.
여기서, 좀 더 효과적인 농축을 위해 농축기의 가열 온도를 30~100℃로 설정하고, 10~800Torr 압력과 30분~1시간 동안 가열할 수 있다.
4. 분말 제조 단계<S104>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3에서 완료된 농축물을 분말화하도록 동결 건조시키는 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영하에서 영상의 온도로 일정 시간동안 승온 동결 건조의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50℃에서 40℃까지 10~20시간 동안 승온 동결 건조하여 농축물을 분말화시킬 수 있다.
5. 분말 혼합 단계<S105>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4에서 제조된 분말을 제2유기용매와 혼합하는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제2유기용매로는 전술한 분말의 항균 성능을 저해하지 않으면서도 분말의 액상화가 잘 이루어지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가 적용되어 분말과 혼합될 수 있다.
즉, 항균성 유효성분의 농축이 완료된 분말은 본 단계에서 제2유기용매인 디메틸설폭사이드와 혼합됨으로써 액상의 손 세정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는 디메틸설폭사이드 1ml 당 100mg의 분말이 용해되도록 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만일, 디메틸설폭사이드 1ml 당 분말의 양이 100mg 미만일 경우에는 항균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어려울 수 있고, 분말의 양이 100mg을 초과할 경우에는 액상의 손 세정제를 제조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전술한 농도 비율로 용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6. 추가 혼합 단계<S106>
액상의 손 세정제로서의 기능성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본 단계에서는 단계 S105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추가적인 구성들이 첨가될 수 있다.
먼저, 조성물의 농도 및 용해성의 용이한 조절을 위해 증류수 30~35 중량부가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전체 조성물의 흡습성, 유화성, 분산 및 발포성 및 세정성능의 부가 등을 위해 계면활성제 15~1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이나 계면활성제의 함량 수준이 전술한 범위를 기준으로 미만 혹은 초과하여 마련될 경우, 상황버섯이나 어성초 추출물과 같은 천연추출물을 통한 항균성능의 온전한 제공이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적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피부에 충분한 보습력을 제공하기 위해 글리세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글리세린은 10~13 중량부로 마련되어 보습성능을 부가하되,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의 항균성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기능성 첨가제로써, 유카(Yucca) 추출물, 방향유(Essential Oil) 및 비타민 첨가제 등의 추가로 첨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유카 추출물 2~3 중량부, 방향유 1~2 중량부, 비타민 첨가제 1~2 중량부로 첨가될 수 있다.
여기서, 유카시디게라(Yucca schidigera)로부터 열수 추출을 통해 수득되는 유카 추출물은 항염증성 및 습윤성을 전체 조성물에 부가함과 동시에 전체 조성물의 사용 시 풍부한 거품이 형성되도록 하는 천연 거품제로써, 전체 조성물의 pH 수준을 과도하게 낮추지 않고 충분한 습윤성 및 거품 형성이 제공될 수 있도록 전술한 범위 이내에서 실시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방향유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라벤더, 카모마일, 라일락 등 각종 식물들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추출하여 사용 가능하고, 허브류의 식물로부터 추출되는 식물성 방향유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단계에서 단계 S105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증류수,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유카 추출물, 방향유 및 비타민 첨가제가 첨가될 때 각 첨가물이 잘 배합되도록 수상층부터 기름층 순으로 순차적으로 혼합할 수 있다.
일 예로, 단계 S105에서 제조된 조성물과 증류수를 혼합하고, 계면활성제, 글리세린, 비타민, 라벤더 등의 순서로 혼합할 수 있다. 여기서, 증류수는 단계 S105에서 제조된 조성물과 혼합되기 이전에 수용성인 유카 추출물과 미리 혼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조성물은 아래와 같은 다양한 실험 방법들을 통해 일반 병원세균 및 내성균에 대한 항균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서, 각각의 실시예에 적용된 손 세정제 조성물은 여러 종류의 배합비로 시험한 후, 항균성을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정 배합을 검증하고자 구성한 바람직한 실시예이다.
우선,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증류수 함량을 33 중량부에, 글리세린 1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7.5 중량부, 유카 추출물 2.35 중량부, 방향유 1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중량부로 함량을 고정시켜 배합하되,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서는 어성초 추출물의 함량을 16.5 중량부로 고정한 뒤 상황버섯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고, 실시예4 내지 실시예6에서는 상황버섯 추출물의 함량을 16.5 중량부로 고정한 뒤 어성초 추출물의 함량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 내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의 적정 함량비를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을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의 비율로 마련된 70v/v% 에탄올에 첨가하고, 추출기를 이용해 78℃의 온도환경에서 2 시간동안 추출한 뒤, 여과, 농축, 분말화의 과정을 거쳐 100mg/ml의 농도를 갖추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된 상태로 제조되었으며, 이것은 앞서 설명한 함량 수준에 따라 배합 실시된 것이다.
이상의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배합비율을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Unit : 조성물 함량 (중량부)
상황버섯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증류수 글리세린 계면활성제 유카 추출물 방향유 비타민첨가제
실시예1 14 16.5 33 11.5 17.5 2.35 1 1
실시예2 16 16.5 33 11.5 17.5 2.35 1 1
실시예3 18 16.5 33 11.5 17.5 2.35 1 1
실시예4 16.5 14 33 11.5 17.5 2.35 1 1
실시예5 16.5 16 33 11.5 17.5 2.35 1 1
실시예6 16.5 18 33 11.5 17.5 2.35 1 1
표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배합 형태로 제조된 실시예1 내지 실시예6의 손 세정제 조성물은 하기 제시된 시험방법으로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우선,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에서 제시하는 외용소독제(의약외품)의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험대상 균주 4종을 각각 멸균된 TSB 배지 5mL가 담긴 round bottom tube에 접종하여 37℃에서 18~22시간 동안 배양한 후, 60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균의 배양정도를 확인한다.
그 후, 시험대상 균주 4종의 초기 배양액을 TSB 배지(4℃ 냉장보관)로 10배씩 계열 희석하여 균액 mL 당 1x105 CFU가 되도록 준비한다.
다음으로 균액(1x105 CFU) 0.1 mL를 새로운 eppendorf tube에 넣고 원심분리(9,300 RCF, 1분)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여 균액을 조제한다.
다음으로 시험군과 대조군의 조제를 위해 시험군은 균액에 평가하고자 하는 세정제 1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대조군은 균액에 PBS(Phosphate Buffer Saline) 완충액 1 mL를 넣고 잘 현탁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다.
그리고 시험군과 대조군의 배지도말을 위해 1~5분간 방치된 시험군(균액/세정제) 및 대조군(균액) 각각을 원심분리(9,300 RCF, 1분)한 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다시 PBS 배지 또는 PBS 완충액 1mL를 넣어 침전물을 잘 현탁한다.
앞서 설명한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다시 원심분리를 한 후 상등액을 제거하는 세척 과정을 2회 반복한 다음 최종으로 침전물에 TSB 배지 또는 PBS 완충액 1 mL를 넣어 잘 현탁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마련된 균액 0.1 mL씩을 3개 이상의 TSA 배지에 도말한 후, 37℃에서 20~24 시간 배양하여 각 군에서 형성된 집락(colony)수를 계수하고, 세정제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하기 실험식에 따라 세정제 처리군의 저해율(%)을 계산한다.
-저해율(%)=[대조군 균수(CFU)-시험군 균수(CFU)]/대조군 균수(CFU)X100
Unit : 저해율(%)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MRSA 82 98 95 85 98 96
S.aureus 83 98 92 90 99 92
E.coli 85 98 90 91 100 95
P.aeruginosa 83 97 91 87 97 91
상기 표2의 항균성 시험의 결과를 보면 손 세정 조성물은 실시예2 및 실시예5와 같이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 각각이 15 내지 17 중량부 내에서 마련될 경우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 뿐만 아니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해서도 항균성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에 대한 실험 결과는 도1 내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다. 도1은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아울러, 도2는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다음으로 도3은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대장균(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도4는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의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력을 검사에 대한 항균성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검사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으로 왼쪽이 대조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며, 오른쪽이 실험군에 해당하는 배지 상태이다.
천연 추출물의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항균성에 대해 앞서 진행된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해 항균성을 가장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적정 추출 조건을 검증하고자 바람직한 실시예를 구성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을 구성하는 각각의 배합 형태는 상황버섯 추출물 16.5 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16 중량부에 증류수 함량을 33 중량부, 글리세린 11.5 중량부, 계면활성제 17.5 중량부, 유카 추출물 2.35 중량부, 방향유 1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 중량부로 함량을 고정시켜 배합하되,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을 추출하기 위한 천연물질 대비 유기용매에 해당되는 70v/v% 에탄올의 중량 수준을 달리하여 본 발명의 손 세정제 조성물 내 포함되는 천연 추출물의 적정 추출 조건을 확인하였다.
여기서,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을 70v/v% 에탄올에 첨가하여 추출기를 이용해 78℃의 온도환경에서 2 시간가량 추출한 뒤, 여과, 농축, 분말화의 과정을 거쳐 100mg/ml의 농도를 갖추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된 상태로 제조되었으며, 이것은 앞서 설명한 조건에 따라 배합 실시된 것이다.
이상의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 내 천연 추출물의 추출 조건을 하기 표3에 나타내었다.
70v/v% EtOH 추출
천연물질 : 유기용매 배합비 추출시간 추출온도
실시예5 1 : 20 2시간 78℃
비교예1 1 : 18 2시간 78℃
비교예2 1 : 19 2시간 78℃
비교예3 1: 21 2시간 78℃
표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은 추출 조건에 의해 추출된 천연 추출물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합하여 제조된 실시예5 및 비교예1 내지 비교예3의 손 세정제 조성물은 상기 제시된 시험방법으로 항균성을 측정하였으며, 그에 대한 결과를 하기 표4에 나타내었다.
Unit : 저해율(%)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5 비교예3
MRSA 87 93 98 96
S.aureus 82 90 99 91
E.coli 87 93 100 93
P.aeruginosa 84 91 97 90
표4의 항균성 평가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손 세정제 조성물 내 상황버섯 추출물 및 어성초 추출물은 실시예5과 같이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20 중량부의 비율로 마련된 70v/v% 에탄올에 상황버섯 및 어성초 각각이 첨가되어 78℃의 온도환경에서 2 시간가량 추출된 후, 여과, 농축, 분말화의 과정을 거쳐 100mg/ml의 농도를 갖추도록 디메틸설폭사이드에 용해된 상태로 제조된 것이 가장 높은 항균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천연물질로부터 항균성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세정제 조성물을 제조하기에 매우 적합한 방법이며, 이에 의해 제조된 손 세정제 조성물은 천연물질을 활용하여 충분한 수준의 항균성을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과 같은 일반 병원세균을 비롯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과 같은 내성균에 대한 항균 성능까지도 제공할 수 있으며, 주성분으로 천연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화학물질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피부상의 질병 유발 가능성이나 각종 부작용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에 의해서 이루어졌지만,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을 뿐이기 때문에, 본 발명이 상기의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 및 그 균등개념으로 이해되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천연물질인 상황버섯 및 어성초를 각 성분별로 제1유기용매인 70v/v% 에탄올에 혼합한 후, 60~100℃로 2~3시간 동안 가열하는 추출 단계;
    상기 추출 단계에서 얻어진 추출액을 필터링하는 여과 단계;
    상기 여과 단계에서 필터링된 여과물을 농축시키는 농축 단계;
    상기 농축 단계에서 완료된 농축물을 분말화하도록 동결 건조시키는 분말 제조 단계;
    상기 분말 제조 단계에서 제조된 분말과 제2유기용매를 혼합하는 분말 혼합 단계; 및
    상기 분말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조성물에 증류수 30~35 중량부, 계면활성제 15~18 중량부, 글리세린 10~13 중량부, 유카(Yucca) 추출물 2~3 중량부, 방향유(Essential Oil) 1~2 중량부 및 비타민 첨가제 1~2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첨가하는 추가 혼합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에서 상기 천연물질 1 중량부에 대해 상기 제1유기용매가 20 중량부의 비율로 혼합되며,
    상기 분말 혼합 단계에서 제조된 조성물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Pseudomonas aeruginosa) 및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에 대한 항균 성능을 제공하도록 상황버섯 추출물 15~17 중량부 및 어성초 추출물 15~17 중량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KR1020170007909A 2017-01-17 2017-01-17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979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09A KR101897978B1 (ko) 2017-01-17 2017-01-17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7909A KR101897978B1 (ko) 2017-01-17 2017-01-17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78A KR20180084378A (ko) 2018-07-25
KR101897978B1 true KR101897978B1 (ko) 2018-10-29

Family

ID=63058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7909A KR101897978B1 (ko) 2017-01-17 2017-01-17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9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260B1 (ko) 2020-08-05 2022-09-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균의 항균력과 세정력이 우수한 세정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손세정제, 미스트, 그리고 향균 시트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98B1 (ko) 2011-08-12 2012-01-12 주식회사 예지미인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1680869B1 (ko) 2015-10-01 2016-11-30 양천 유한회사농업법인 천연 성분이 포함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4898B1 (ko) 2011-08-12 2012-01-12 주식회사 예지미인 강화사자발쑥 등의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효과를 갖는 피부세정제 조성물
KR101680869B1 (ko) 2015-10-01 2016-11-30 양천 유한회사농업법인 천연 성분이 포함된 피부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피부 세정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4378A (ko) 201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25112B1 (de) Photosensibilisator-dispersion und verwendung derselben
KR101555341B1 (ko) 항균 물티슈 및 그 제조방법
EP1278420B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formulated with essential oils
CN111685134A (zh) 一种含有植物精油的除螨抑菌功效组合物及应用
KR20160079473A (ko)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항바이러스 활성을 가지는 세정 또는 소독용 조성물 제조방법
KR102196541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친환경 살충 및 기피제 및 그의 제조 방법
CN104434669A (zh) 一种中药消毒液及其制备方法
US20210204552A1 (en) Antimicrobial composition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5098B1 (ko) 천연추출물을 활용한 손 세정제 조성물
KR101897978B1 (ko)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566223B1 (ko)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물티슈
CN110477792A (zh) 一种可用于呼吸面罩清洁消毒的不含酒精的湿巾及其制备方法
JP5346455B2 (ja) 抗菌性洗浄剤組成物
RU2760876C2 (ru) Сильнодействующая антимикроб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бактерицидной обработки биопленок
CN107737290A (zh) 一种中药组合物、药物制剂及其应用
KR20180062495A (ko) 도라지 추출물을 함유한 항균 물티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251580A (zh) 一种复合抗菌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US20150099020A1 (en) Aqueous disinfectant composition
CN104250592A (zh) 天然野菊花婴儿防敏除菌洗衣液
KR102176712B1 (ko)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CN108728261B (zh) 一种环保物理抑菌洗液及其用途
KR101889273B1 (ko)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장례용품
KR102609205B1 (ko)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518838B1 (ko) 어린이용품 전용 살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