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9205B1 -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9205B1
KR102609205B1 KR1020220136016A KR20220136016A KR102609205B1 KR 102609205 B1 KR102609205 B1 KR 102609205B1 KR 1020220136016 A KR1020220136016 A KR 1020220136016A KR 20220136016 A KR20220136016 A KR 20220136016A KR 102609205 B1 KR102609205 B1 KR 1026092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apnuts
houttuynia cordata
soapnut
hours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6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시호
Original Assignee
정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시호 filed Critical 정시호
Priority to KR10202201360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92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92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92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1/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oxygen or sulfur compounds
    • A01N31/02Acycl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0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 A01N43/14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 A01N43/1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one or more oxygen or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with one hetero atom six-membered rings with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PBIOCIDAL, PEST REPELLANT, PEST ATTRACTANT OR PLANT GROWTH REGULATORY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PREPARATIONS
    • A01P1/00Disinfectants; Antimicrobial compounds or mixtures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Toxi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넛, 어성초, 노니, 레블린산 및 히알루론산을 원료로 제조되는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프넛 및 어성초를 세절하여 가열 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각 원료에 대한 증류 추출 및 배합을 수행함으로써, 향취를 비롯한 상품성이 향상된 항균 제제 원액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소프넛 및 어성초 등이 주 원료로 제조되는 식물성 항균 항균 제제에 쾌적한 향취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항균 제제의 품질 및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ANTI-BACTERIAL HERBAL AGENT COMPOSITION}
본 발명은 소프넛, 어성초, 노니, 레블린산 및 히알루론산을 원료로 제조되는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소프넛 및 어성초를 세절하여 가열 하는 전처리 과정을 거친 후, 각 원료에 대한 증류 추출 및 배합을 수행함으로써, 향취를 비롯한 상품성이 향상된 항균 제제 원액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생활수준 향상에 따라 개인위생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을 뿐 아니라, 도시화 및 세계화로 인하여 각종 감염병에 대한 고도의 대처가 요구됨에 따라, 위생용품 등 다양한 생활용품에 항균성 및 방부성을 부여하는 항균 제제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항균 제제는 항균성 및 방부성 등 그 근본적 기능상 약간의 생체 독성이 수반될 수 밖에 없으나, 전통적인 방식의 화학적 방부제의 경우 장기 사용시 인체에 치명적인 약영향을 미칠 수 있을 뿐 아니라,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바, 사용상 상당한 제약이 불가피하며, 특히, 물티슈를 비롯한 각종 위생용품은 물론 의류, 침구류, 식기 및 의료기구 등 빈번한 인체 접촉이 이루어지는 물품에 직접 적용되는 항균 제제의 경우 고독성 화학 방부제의 적용시 심각한 피해가 야기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상대적으로 인체 독성이 미미하고 환경친화적인 식물성 천연 항균 제제에 대한 연구, 개발 노력이 경주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서 특허 제1975284호를 들 수 있다.
특허 제1975284호는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로서 그 원액은 소프넛(soapnut), 어성초, 노니, 레불린산 및 히알루론산을 원료로 제조되며, 더욱 상세하게는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넛 농축 추출물 5~10 중량부, 어성초 증류 추출물 45~60 중량부, 노니 증류 추출물 3~7 중량부, 레블린산 20~30 중량부, 히알루론산 10~15 중량부가 혼합된 것으로, 구체적인 물성으로는 비중 0.95~0.97 및 pH 2.5~5.5의 특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이란 소프넛과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수득된 맑고 투명한 액체이고, 이후 추출기에 잔존된 점성이 높은 액상 농축물이 상기 소프넛 농축 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어성초 증류 추출물이란 어성초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수득된 맑고 투명한 액체이며, 상기 노니 증류 추출물 역시 노니 열매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수득된 맑고 투명한 액체이다.
이러한 특허 제1975284호에 있어서 전술한 각 구성 요소의 혼합을 통한 보존제 조성물 원액의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증류 추출물 45~60 중량부와 노니 증류 추출물 3~7 중량부를 혼합하고, 70~8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서서히 자연 냉각하는 A단계와, 상기 A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을 30~35℃로 냉각하고, 여기에 레불린산 20~30 중량부와 히알루론산 10~15 중량부를 혼합하는 B단계로 진행되며, 이후 원액을 희석하여 희석액을 형성하는 단계로서, 상기 B단계에서 수득된 혼합물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0.05~0.4Vol%의 농도로 희석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또한, 특허 제1975284호에서 제안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의 보존제 조성물 원액은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넛 농축 추출물 8 중량부, 어성초 증류 추출물 53 중량부 및 노니 증류 추출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80℃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35℃로 자연 냉각하고, 여기에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불린산 26 중량부와 히알루론산 13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형성되며, 형성된 원액은 비중이 0.96이고, pH는 4.2 인 것으로 측정되었다.
이후, 필요에 따라 조성물 원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0.2Vol%의 농도로 희석하여 희석액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렇듯 특허 제1975284호는 식물성 천연물을 주 원료로 제조된 항균 제제로서, 항균 제제 원액의 희석액이 물티슈 직물용 보존제로 적용된 특허 제1975284호 등록특허공보상의 실험결과를 통하여도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우수한 항균성 및 방부성을 가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식물성 천연 보존제 조성물인 특허 제1975284호를 통하여, 전통적인 화학적 방부제에 비하여 인체 독성이 완화되고 환경오염 유발이 미미한 항균 제제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으나, 이러한 안전성 및 환경친화성에도 불구하고 특허 제1975284호는 특유의 향취로 인하여 상품성에 있어서 상당한 문제가 있었다.
이는 특허 제1975284호의 주 원료 중 소프넛 및 어성초에 의하여 야기되는 현상으로, 소프넛 특유의 청취(靑臭) 즉, 풋내(grass odor)와 어성초 특유의 성취(腥臭) 즉, 비린내가 조합되면서 독특하고 불쾌한 향취가 발산되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항균 제제로서 활용시 사용자에게 불쾌감을 유발할 수 밖에 없으며, 이는 항균 제제의 주 용처가 일상 생활용품 및 위생용품 등 사용자는 물론 불특정 다수의 밀접 접촉이 빈번한 물품인 점을 감안할 때, 특허 제1975284호 관련 제품의 품질 및 상품성을 심각하게 저해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식물성 항균 제제의 주 원료인 소프넛 및 어성초의 불쾌한 향취를 완화할 수 있도록 창안된 것으로,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세절된 소프넛을 교반 및 가열하여 소프넛 배전체를 형성하고, 세절된 어성초를 교반 및 가열하여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넛 배전체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소프넛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기에 잔존된 소프넛 농축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어성초 배전체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어성초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분쇄된 노니 열매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노니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증류 추출물 45~60 중량부, 소프넛 농축 추출물 5~10 중량부, 노니 증류 추출물 3~7 중량부를 혼합하고, 70~8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30~35℃로 자연 냉각하는 단계와, 자연 냉각되어 수득된 혼합물에 레불린산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여 원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세절된 소프넛을 교반 및 가열하여 소프넛 배전체를 형성하고, 세절된 어성초를 교반 및 가열하여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세절된 소프넛 및 세절된 어성초를 각각 110℃로 가열된 팬에 각각 투입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지속적으로 교반 및 가열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소프넛 및 어성초 등이 주 원료로 제조되는 식물성 항균 항균 제제에 쾌적한 향취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로써 항균 제제의 품질 및 상품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원료의 약리 효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도 특유의 원료별 불쾌취를 저감시킴으로써, 사용자의 기호를 만족시킴과 동시에, 적용 가능한 물품 및 용도를 대폭 확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흐름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 및 수행과정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원료에 대하여 설명하면, 소프넛(soapnut)은 무환자(無患子, Sapindaceae)의 열매껍질(soapberry shells)로서, 사포닌이 다량 함유될 뿐 아니라, 우수한 항균력과 세정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또한, 약모밀로도 불리는 어성초(魚腥草, Houttuvniae Herba)는 삼백초과 다년생초의 지상부로서, 생약학(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공저, 동명사)에 따르면 항세균, 항진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며, 본 발명에서 그 열매가 활용되는 노니는 꼭두서니과의 쌍떡잎 식물로서 생약학(생약학교재 편찬위원회 공저, 동명사)에 따르면 고초균의 성장을 억제하고 항염작용이 우수하다.
또한, 상대적으로 미량 첨가되는 레불린산(levulic acid) 및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은 각각 방부 기능 및 피부 보호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원료 배합비 중 대부분의 비율을 차지하는 주 원료는 소프넛 및 어성초라 할 수 있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소프넛 및 어성초는 특유의 불쾌한 향취를 발산하며, 완성된 항균 제제에서도 이러한 불쾌한 향취는 상당 수준 잔존될어 완성품의 품질 및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된다.
특히, 소프넛 특유의 청취(靑臭) 즉, 풋내(grass odor)와 어성초 특유의 성취(腥臭) 즉, 비린내는 개별적으로도 불쾌감을 유발함은 물론, 이들 향취가 조합됨에 따라 일층 악화된 불쾌 이취(異臭)를 형성하게 되는 바, 항균 제제 자체로서의 상품성은 물론, 항균 제제로 처리되는 섬유, 위생용품 및 각종 생활용품 등 피처리 물품에 전술한 이취가 상당 기간 잔존함으로써 사용상 상당한 불편을 초래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이취 초래 원료인 소프넛 및 어성초를 추출전 전처리함으로써, 후속 추출 과정에서 발산 및 잔존되는 이취를 완화하였으며, 이러한 본 발명은 첨부된 도 1에서와 같이, 소프넛 및 어성초 세절물을 배전하여 각각 소프넛 배전체 및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는 단계로 개시된다.
배전(焙煎)은 물이나 기름 등을 첨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타지 않도록 볶는 처리로서, 소프넛 및 어성초를 팬(pan)에 투입한 후 가열하면서 지속적으로 교반하거나, 커피 원두 또는 견과류의 로스팅 처리에서와 같이, 드럼에 투입한 후 가열하면서 드럼을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는 방식을 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배전 처리에서는 세절된 소프넛 및 어성초를 100℃ 내지 120℃의 온도로 약 5분간 타지 않도록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가열하여 소프넛 배전체 및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게 되는데, 처리 온도가 120℃를 초과하거나 처리 시간이 5분을 초과할 경우, 이취 유발 물질 뿐 아니라 항균 효과를 발현하는 유익 성분이 동반 파괴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소프넛의 경우 장시간 배전할 경우 함유된 유지(油脂)가 과도하게 용출되면서 조직이 변성되고 유효 성분이 누출 및 소실될 수 있으므로, 더욱 세심한 처리가 요구되는데, 배전 온도는 100℃ 내지 120℃로 유지한 상태에서 총 배전 시간은 5분으로 설정하되, 배전과 냉각을 반복하여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100℃ 내지 120℃로 예열된 팬에 소프넛을 투입하여 1분간 지속 교반하면서 배전한 후, 소프넛을 팬에서 취출하여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상온으로 완전히 냉각된 소프넛을 100℃ 내지 120℃의 온도가 유지되는 팬에 다시 투입하여 1분간 지속 교반하면서 배전하는 과정을 반복하되, 반복 과정에서 합산된 총 배전 시간은 5분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적절한 온도 및 시간의 배전 처리를 통하여 소프넛 및 어성초내 유익 성분 파괴는 최소화하면서도 이들 원료내 함유된 다양한 독성 화합물을 분해 내지 휘발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특히, 알데히드(aldehyde)류 화합물을 휘발시킴으로써 청취 및 성취 등 불쾌한 향취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렇듯 소프넛 배전체와 어성초 배전체가 완성되면, 이어서 소프넛 증류 추출물, 소프넛 농축 추출물, 어성초 증류 추출물, 노니 증류 추출물을 형성한다.
소프넛 증류 추출물은 상기 소프넛 배전체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수득된 맑고 투명한 액체이고, 이후 추출기에 잔존된 점성이 높은 액상 농축물이 상기 소프넛 농축 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어성초 증류 추출물은 어성초 배전체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수득된 맑고 투명한 액체이며, 노니 증류 추출물은 분쇄된 노니 열매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수득된 맑고 투명한 액체이다.
이렇듯, 각 원료의 증류 추출물 및 소프넛 농축 추출물이 완성되면 이들 각 구성 요소 및 첨가물을 혼합하여 항균 제제 조성물 원액의 조성하게 되는데,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증류 추출물 45~60 중량부, 소프넛 농축 추출물 5~10 중량부, 노니 증류 추출물 3~7 중량부를 혼합하고, 70~8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가열한 후, 가열이 완료되면 서서히 30~35℃로 자연 냉각하는 단계가 수행된다.
이후, 자연 냉각되어 수득된 혼합물에 레불린산 20~30 중량부와 히알루론산 10~15 중량부를 혼합하여 본 발명 적용 항균 제제의 원액을 형성한다.
이어서, 수득된 상기 원액에 정제수를 첨가하여 0.05~0.4Vol%의 농도로 희석함으로써 희석액을 제조하는 단계가 수행되어 본 발명이 완료된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 적용 항균 제제 희석액 제조
세절된 소프넛을 110℃로 예열된 팬에 투입하여 온도를 유지하면서 1분간 지속적으로 교반 및 가열하고, 가열된 소프넛을 취출하여 25℃로 냉각시킨 후, 110℃의 온도가 유지되는 팬에 냉각된 소프넛을 다시 투입하여 1분간 지속적으로 교반 및 가열하는 과정을 반복하되, 소프넛의 총 가열 시간이 5분이 되도록 교반 및 가열하여 소프넛 배전체를 형성하였다.
세절된 어성초를 110℃로 예열된 팬에 투입하고 온도를 유지하면서 5분간 지속적으로 교반 및 가열하여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였다.
이후, 소프넛 배전체와 정제수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10 시간 동안 증류하면서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서 맑고 투명한 소프넛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기에 잔존된 고점성 액상 농축물을 소프넛 농축 추출물로서 수득하였다.
어성초 배전체와 정제수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10 시간 동안 증류하면서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서 맑고 투명한 어성초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분쇄된 노니 열매와 정제수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다시 80℃의 온도에서 10 시간 동안 증류하면서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서 맑고 투명한 노니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소프넛 농축 추출물 8 중량부와, 어성초 증류 추출물 53 중량부와, 노니 증류 추출물 5 중량부를 혼합하여 80℃의 온도로 교반하면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가열된 혼합물을 35℃로 자연 냉각한 후,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레불린산 26 중량부와 히알루론산 13 중량부를 혼합 교반하여 본 발명의 항균 제제 원액을 형성하였다.
이후, 항균 제제 원액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0.2Vol%의 농도의 희석액 즉, 희석액내 원액의 함량이 0.2부피%인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희석액 제조
본 발명 실시예1의 항균 제제 희석액에 대한 비교예로서 전술한 실시예1의 과정에서 배전 처리를 배제하고, 소프넛 배전체 및 어성초 배전체를 각각 세절된 소프넛 및 세절된 어성초로 대체한 후, 실시예1의 전 과정을 수행하였으며, 이로써 비교예로서의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1 희석액 및 비교예 희석액의 항균 효과 실험
전술한 실시예1의 항균 제제 희석액 및 비교예의 희석액에 대하여 항균 효과를 실험하였으며, 실험은 본 발명 항균 제제가 주로 생활용품에 사용되는 점을 감안하여 텍스타일 재료의 항균성 시험 방법인 KS K 0693:2016을 통하여 수행하였다.
시험체로는 가로 10cm, 세로 10cm, 중량 2g의 표준면포를 실시예1의 희석액과 비교예의 희석액 각각에 대하여 별도로 준비하여 적용하였으며, 실시예1의 희석액에 표준면포를 충분히 침지하여 희석액을 흡수시킨 후 건조한 시험체와, 비교예의 희석액에 표준면포를 충분히 침지하여 희석액을 흡수시킨 후 건조한 시험체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균종은 총 2종의 시험균에 대하여 실시되었으며, 시험균 1은 폐렴간균인 Klebsiella pneumoniae ATCC 4352이고, 시험균 2는 병원 감염 유발 메티실린 내성균으로 알려진 Staphylococcus aureus ATCC 33591이다.
접종균액의 농도는 시험균 1에 대하여는 0.7×105CFU/㎖가 적용되었고, 시험균 2에 대하여는 1.0×105CFU/㎖가 적용되었으며, 비이온계면활성제로서 접종균액의 0.05%의 Tween 80이 첨가되었다.
실험결과, 실시예1이 적용된 시험체와 비교예가 적용된 시험체 공히 시험균 1에 대한 정균감소율은 99.9%인 것으로 나타났고, 시험균 2에 대한 정균감소율은 99.9%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나, 실시예1 및 비교예2 공히 우수한 항균성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1 희석액 및 비교예 희석액의 향취 관능시험
상기 실시예1의 희석액과 비교예의 희석액에 대하여 관능평가 패널 10명을 대상으로 정량평가(blind test)를 실시하였다.
각 패널이 전술한 실시예1의 희석액에 침지된 후 취출된 직후의 표준면포와 전술한 비교예의 희석액에 침지된 후 취출된 직후의 표준면포에 대한 냄새를 맡는 시험을 실시하되, 실시예1 및 비교예의 냄새를 맡는 순서는 무작위로 설정하였다.
즉, 실시예1의 표준면포와 비교예의 표준면포를 각 1개씩 패널에게 제공하되 사전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실시예1 및 비교예의 냄새를 맡는 순서를 해당 패널이 임의로 정하도록 하였으며, 이러한 정량평가에는 7점 척도법이 적용되었고, 그 결과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향취 평가
구분 평점(최저1, 최고7) 패널 10명 평균치
청취(풋내) 성취(비린내) 선호도
실시예1 2.1 3.3 3.1
비교예 5.2 5.7 1.2
상기 표 1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악취인 청취 및 성취에 있어서, 실시예1이 비교예에 비하여 상당히 완화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선호도 역시 실시예1이 비교예에 비하여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2)

  1.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세절된 소프넛을 교반 및 가열하여 소프넛 배전체를 형성하고, 세절된 어성초를 교반 및 가열하여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넛 배전체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소프넛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기에 잔존된 소프넛 농축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어성초 배전체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어성초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분쇄된 노니 열매와 정제수를 1대1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기에 투입하고 60℃에서 15시간 동안 가열한 후, 80℃의 온도에서 8~10시간 동안 증류하여 기화된 휘발성 유효물질을 액화시켜 노니 증류 추출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소프넛 증류 추출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어성초 증류 추출물 45~60 중량부, 소프넛 농축 추출물 5~10 중량부, 노니 증류 추출물 3~7 중량부를 혼합하고, 70~85℃의 온도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한 후, 30~35℃로 자연 냉각하는 단계와, 자연 냉각되어 수득된 혼합물에 레불린산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여 원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세절된 소프넛을 교반 및 가열하여 소프넛 배전체를 형성하고, 세절된 어성초를 교반 및 가열하여 어성초 배전체를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세절된 소프넛을 100℃ 내지 120℃의 팬에 투입하여 타지 않도록 볶는 배전 처리와 소프넛을 팬에서 취출하여 상온으로 냉각시키는 처리를 반복하되, 100℃ 내지 120℃로 예열된 팬에 소프넛을 투입하여 1분간 지속 교반하면서 배전한 후, 소프넛을 팬에서 취출하여 상온으로 냉각시키고, 상온으로 완전히 냉각된 소프넛을 100℃ 내지 120℃의 온도가 유지되는 팬에 다시 투입하여 1분간 지속 교반하면서 배전하는 과정을 반복하며, 반복 과정에서 합산된 총 배전 시간이 5분으로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삭제
KR1020220136016A 2022-10-20 2022-10-20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6092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16A KR102609205B1 (ko) 2022-10-20 2022-10-20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6016A KR102609205B1 (ko) 2022-10-20 2022-10-20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09205B1 true KR102609205B1 (ko) 2023-12-01

Family

ID=8912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6016A KR102609205B1 (ko) 2022-10-20 2022-10-20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9205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16A (ko) * 2000-12-30 2002-07-12 김탁 약모밀 건조분말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20180113255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웰빙라이프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 조성물
KR20190078194A (ko) * 2017-12-26 2019-07-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스팅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기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1099A (ko) * 2019-06-26 2021-01-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이취가 제거된 한방재료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20028223A (ko) * 2020-08-28 2022-03-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돋움 풋내가 제거된 대추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9116A (ko) * 2000-12-30 2002-07-12 김탁 약모밀 건조분말을 이용한 식품 제조방법
KR20180113255A (ko) * 2017-04-06 2018-10-16 주식회사 웰빙라이프 물티슈용 식물성 보존제 조성물
KR20190078194A (ko) * 2017-12-26 2019-07-04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로스팅된 불가사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해충 기피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01099A (ko) * 2019-06-26 2021-01-06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힐릿 이취가 제거된 한방재료 추출액의 제조방법
KR20220028223A (ko) * 2020-08-28 2022-03-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돋움 풋내가 제거된 대추를 이용한 차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990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청결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물티슈
KR101407051B1 (ko) 부추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탈취제와 그 제조방법
KR20170021573A (ko) 편백잎 추출물 및 레몬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외용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497094A (zh) 一种含蓖麻油酸锌的鞋袜除臭抗菌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2609205B1 (ko) 식물성 항균 제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870562B1 (ko) 반려동물용 귀세정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675086A (zh) 一种百香果免洗手凝胶洗手液及其制备方法
KR102123830B1 (ko) 제올라이트와 숯을 이용한 편백수 제조방법
CN113207915A (zh) 一种精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0918941B1 (ko) 미용황토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29345A (ko) 화산석 추출물의 미네랄 복합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탈취제 조성물
KR101385257B1 (ko) 탈취용 조성물
KR20170071727A (ko) 숙성된 원료를 이용한 천연비누의 제조방법
KR20170014494A (ko) 그라비올라 추출액을 포함하는 물티슈 제조방법
KR20180078814A (ko) 천연자원을 이용한 항균 비누 조성물
KR101897978B1 (ko) 손 세정제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1875036B1 (ko) 기능성 비누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기능성 비누
KR101873519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955594B1 (ko) 기능성 천연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81421B1 (ko) 천연 진주의 살균 및 함유된 중금속의 제거방법
KR100697045B1 (ko) 황토솔림욕 이미용제(얼굴용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62838B1 (ko) 다시마 추출물을 이용한 1종 주방세제 제조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1종 주방세제
KR20180067806A (ko) 천연 섬유탈취제 및 그 제조방법
KR102271989B1 (ko) 편백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468716B1 (ko) 가구용 친환경 천연가죽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