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7829B1 -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 Google Patents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7829B1
KR102447829B1 KR1020220075292A KR20220075292A KR102447829B1 KR 102447829 B1 KR102447829 B1 KR 102447829B1 KR 1020220075292 A KR1020220075292 A KR 1020220075292A KR 20220075292 A KR20220075292 A KR 20220075292A KR 102447829 B1 KR102447829 B1 KR 1024478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arton
adhesive end
waterproof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752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락
Original Assignee
김경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락 filed Critical 김경락
Priority to KR10202200752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78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7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7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5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living organisms, articles or materials sensitive to changes of environment or atmospheric conditions, e.g. land animals, birds, fish, water plants, non-aquatic plants, flower bulbs, cut flowers or folia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specially constructed to contain liquid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1/00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 D21H21/14Non-fibrous material added to the pulp,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Paper-impregnating or coat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form or properties characterised by function or properties in or on the paper
    • D21H21/16Sizing or water-repelling agent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27/00Special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made by multi-step processes
    • D21H27/10Packing pa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Toxicology (AREA)
  • Zoology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층의 물성이 개선되어 활 해산물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으며, 종래 비닐팩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플라스틱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성도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에 관한 것으로서,
살아있는 해산물이 해수와 함께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종이판재를 절첩하고 단부를 열접착시켜 형성되며, 상기 종이판재는 내부방수층(10); 펄프로 이루어져서 외측면에는 인쇄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방수층(10)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제1기재(20); 펄프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부방수층(10)의 내측면에 적층되는 제2기재(30); 상기 제1기재(20)의 외측면과 제2기재(30)의 내측면에 각각 적층되는 표면방수층(40) 및 이면방수층(50);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Paper pack for live seafood}
본 발명은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 해산물을 신선하게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으며, 재활용성도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에 관한 것이다.
전복이나 조개 등과 같이 살아있는 해산물을 소포장하여 유통 시키는 경우에는 대부분 비닐팩을 사용한다. 즉, 비닐팩에 해산물과 함께 해수를 담고, 필요에 따라 산소를 주입한 후 비닐팩을 밀봉시킨다.
그런데 비닐팩으로 살아있는 해산물을 포장하는 경우에는 유통과정에서 비닐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해산물이 포장된 비닐팩을 플라스틱 용기에 다시 담아서 스티로폼박스로 포장하여 소비자들에게 배송한다. 이와 같이 비닐팩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라스틱 용기에 다시 담아야 하므로, 해산물 유통에 포장재가 과도하게 사용되어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량이 증가되므로 환경오염이 유발된다.
한편, 흔히, 종이팩이라 불리는 '게이블 탑 카톤(Gable top carton)'은 우유나 주스 등의 포장에 사용되는 종이용기로서, 펄프로 된 종이판지의 양면에 PE방수층이 코팅된 원단을 절첩하고 단부를 열접착시켜 제조된다. 이러한 종이팩은 고급펄프를 사용하기 때문에, 폐 종이팩에서 PE방수층을 분리, 제거하여 펄프를 재생하여 화장지 등 다양한 제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00621호(2020. 04. 0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00245호(2012. 10. 3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2715호(2021. 09. 09)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59816호(2013. 04. 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방수층의 물성이 개선되어 활 해산물을 신선하고 안전하게 포장하여 유통시킬 수 있으며, 종래 비닐팩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플라스틱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으면서도 재활용성도 우수하여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는 새로운 구성의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살아있는 해산물이 해수와 함께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종이판재를 절첩하고 단부를 열접착시켜 형성되는 종이팩(100)으로서,
상기 종이판재는 내부방수층(10); 펄프로 이루어져서 외측면에는 인쇄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방수층(10)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제1기재(20); 펄프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부방수층(10)의 내측면에 적층되는 제2기재(30); 상기 제1기재(20)의 외측면과 제2기재(30)의 내측면에 각각 적층되는 표면방수층(40) 및 이면방수층(5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방수층(10), 표면방수층(40) 및 이면방수층(50)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아미드(acrylic amid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이 7:1:1:1 중량비로 혼합된 단량체혼합물 100중량부,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10~15중량부, 스테아르산 나트륨(sodium stearate) 0.5~10중량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0.01~10중량부로 제조된 아크릴계 수지 30~40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 20~4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10~30중량부; 스테아르산 아연(zink stearate) 0.1~5중량부; 실리카(silica) 1~5중량부;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0.01~5중량부; 및 질화알루미늄(alumium nitride)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종이팩은 게이블 탑 카톤(Gable top carton)형태를 가지며, 상기 종이판재는 종이팩(100)의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을 형성하는 정면부(101), 배면부(102), 좌측면부(103), 우측면부(104)가 좌우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정면부(101), 배면부(102), 좌측면부(103) 및 우측면부(104)의 하단에는 상호 중첩되도록 절첩되고 열접착되어 종이팩(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2, 3 및 4바닥부(105,106,107,108)가 연장되고, 상기 정면부(101), 배면부(102), 좌측면부(103) 및 우측면부(104)의 상단에는 상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첩되어 종이팩의 상면을 형성하는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0), 좌측경사부(111), 우측경사부(112)가 연장되고, 상기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0), 좌측경사부(111). 우측경사부(112)의 상단에는 상호 중첩되게 절첩되어 열접착되는 정면접착단부(113), 배면접착단부(115), 좌측접착단부(114), 우측접착단부(116)가 연장되며,
상기 정면부(101) 및 배면부(103)는 상기 좌측면부(102) 및 우측면부(104)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정면접착단부(113) 및 배면접착단부(115)의 중앙부위에는 각각 정면접착단부(113) 및 배면접착단부(115)를 가로지르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의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들이 형성되며,
상기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들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는 상기 이면방수층(50) 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층(60)이 코팅되어,
상기 정면접착단부(113), 배면접착단부(115), 좌측접착단부(114), 우측접착단부(116)가 중첩되게 절첩되어 열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융점층(60)들은 미 접착되고 상기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의해 절첩되어 외향으로 벌어져서 상기 수용공간에 산소를 주입할 수 있는 산소주입구(130)를 형성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다층으로 라미네이팅된 종이판재로 이루어지므로 종래 해산물 포장에 사용된 비닐팩과 달리 쉽게 찢어질 우려가 없으므로 해산물 유통시에 플라스틱용기로 추가 포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닐팩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플라스틱 포장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수층의 방수성, 방유성, 열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해산물의 포장, 유통시에 수분이나 유분에 의해 손상될 우려 없어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또한, 방수층이 알칼리용해도를 가지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장점을 가지며, 더욱이, 방수층의 알칼리해리도가 높아서 폐 종이팩의 재활용시에 펄프와 방수층들의 해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종이팩의 재활용비용도 절감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 사용된 종이판재의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전개도
도 4는 상기 실시예의 포장과정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상기 실시예의 사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을 각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사용된 종이판재의 확대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살아 있는 해산물을 해수를 포장하는 종이팩(100)으로서, 해산물이 해수가 함께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종이판재를 절첩선을 따라 절첩하고 열접착하여 제조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지된 게이블 탑 카톤(Gable top carton)형태를 가지며, 상기 종이판재는 본 발명, 즉, 종이팩(100)의 전개도형태를 가지는데, 종이팩의 전개도는 주지된 것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종이판재는 표면방수층(40), 제1기재(20), 내부방수층(10), 제2기재(30) 및 이면방수층(50)이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종이판재는 이면방수층(50)이 내향되도록 절첩되며. 따라서 표면방수층(40)이 종이팩(100)의 외측면을 형성하고, 이면방수층(50)이 종이팩(100)의 내측면을 형성한다.
상기 내부방수층(10)은 방수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며, 캘린더가공(calendering)을 통해 제1, 2기재(20,30)와 접착된다. 즉,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어 이송되는 제1, 2기재(20,30) 사이에서 필름형태로 성형되어 제1, 2기재(20,30)와 라미네이팅된다.
그리고 상기 제1, 2기재(20,30)는 펄프로 이루어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소정 두께를 가지도록 펄프 초지를 다수장 부착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제1, 2기재(20,30) 중에서 제1기재(20)의 표면방수층(40)이 부착된 외측면에는 로고, 제품설명 등으로 이루어진 인쇄부(22)가 형성된다. 이러한 인쇄부(22)는 본 발명의 취지와 부합되도록 콩기름 등과 같은 친환경 성분으로 이루어진 잉크로 형성된다.
상기 제1, 2기재(20,30)를 부착시킨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1장의 기재를 사용할 수 있으나, 상대적으로 두꺼운 1장의 기재를 사용하는 것 보다 제1, 2기재(20,30)를 내부방수층(10)으로 접착시키면 제1, 2기재(120,30) 사이에 개재된 내부방수층(10)에 의해 한층 더 향상된 방수성을 기대할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내구성도 향상된다.
한편, 상기 표면방수층(40)과 이면방수층(50)은 각각 방수성 수지조성물을 캘린더가공(calendering)하여 형성된다. 표면방수층(40)과 이면방수층(50) 역시 캘린더가공을 통해 성형하면서 상기 제1, 2기재(20,30)에 부착된다.
이러한 표면방수층(40)과 이면방수층(50)은 내부방수층(10)과 동일한 방수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방수성 수지조성물을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진다.
상기 방수성 수지조성물은 부틸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산이 7:1:1:1 중량비로 혼합된 단량체혼합물을 공중합하여 제조된 아크릴계 수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스테아르산 아연, 실리카, 할로이사이트, 질화알루미늄을 포함한다.
상기 아크릴계 수지는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아미드(acrylic amid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이 7:1:1:1 중량비로 혼합된 단량체혼합물 100중량부,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10~15중량부, 스테아르산 나트륨(sodium stearate) 0.5~10중량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0.01~10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는 메틸알코올에 상기 당량체혼합물을 용해시킨 용액을 이온교환수에 스테아르산 나트륨, 과황산칼륨을 용해시킨 것에 조금씩 적하하여 중합시켜서 에멀젼을 수득하고 이 에멀젼을 고형화시켜 제조된다. 이와 같이 제조되는 아크릴계 수지는 방수성과 내유성을 가지며, 아울러 알칼리용해성도 가진다. 아크릴계 수지의 알칼리용해성 개선 측면에서 볼 때 아크릴계 수지는 수평균분자량이 3,000~50,000g/mol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는 방수층의 신율을 향상시켜서 종이판재의 절첩시 방수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종이판재가 유연하게 절첩되도록 한다. 또,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는 방수층의 부착력과 열봉합성을 개선시킨다.
상기 스테아르산 아연(zink stearate)은 방수층의 강도, 내마모성, 분산성, 방수성 개선에 도움을 주며, 실리카(silica)는 방수층의 강도 및 내수성 향상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할로이사이트(halloysite)는 방수층의 방수성 및 내화성을 개선시키고, 질화알루미늄(alumium nitride)은 방수층의 내식성을 개선시킨다.
이러한 방수성 수지조성물은 방수성, 방유성, 열접착성, 알칼리용해성 등의 전체적인 물성을 고려할 때 아크릴계 수지 30~40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 20~4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10~30중량부, 스테아르산 아연 0.1~5중량부, 실리카 1~5중량부, 할로이사이트 0.01~5중량부, 질화알루미늄 0.1~5중량부의 비율로 조성된다. 이러한 방수성 수지조성물에는 소포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들이 통상적인 사용량으로 추가될 수 있다.
상기 내부방수층(10), 표면방수층(40) 및 이면방수층(50)이 이러한 조성을 가지는 방수성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들 방수층들은 우수한 방수성, 방유성, 열접착성 및 알칼리용해성을 가진다.
실험예
<아크릴계 수지 제조>
: 이온교환수 30g에 스테아르산 나트륨 6g, 과황산칼륨 5.6g을 용해시킨다. 메틸알코올 3.8g에 부틸아크릴레이트 70g,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10g, 아크릴아미드 10g, 메타크릴산 10g을 용해시킨 것을 상기 이온교환수 용액에 천천히 적하하여 중합시키고,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중합을 완료시켜 에멀젼을 만들 다음, 숙성 후에 냉각시켜서 수평균분자량이 3,000~50,000g/mol인 아크릴계 수지를 만들었다.
<방수성 수지조성물 제조>
상기 아크릴계 수지를 이용하여 아래 표 1과 같은 조성으로 5종류의 방수성 수지조성물을 만들었다.
성 분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아크릴계 수지 30 35 40 20 45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 30 30 25 51 26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25 20 20 15 15
스테아르산 아연 3 3 3 2 2
실리카 4 4 4 4 4
할로이사이트 3 3 3 3 3
질화알루미늄 4 4 4 4 4
레벨링제 0.5 0.5 0.5 0.5 0.5
산화방지제 0.5 0.5 0.5 0.5 0.5
<시편제조>
240㎛ 두께의 펄프로 된 제1, 2기재와 상기 방수성 수지조성물을 사용하여 전술한 실시예와 같이, 표면방수층, 제1기재, 내부방수층, 제2기재, 이면방수층이 적층된 구성을 가지도록 라미네이팅하여 시편을 만들었다. 이때 각 방수층의 60㎛ 두께로 형성하였다.
<물성테스트>
(1) 내수성 테스트
- 한국표준협회에서 발행한 KS M 7025:2012:12의 방법으로 시험
(2) 내유성 테스트
- 한국표준협회에서 발행한 KS M 7124:2008의 방법으로 시험
(3) 열접착(열실링)강도
- ASTM D 903, 열실링기를 사용하여 실링강도 5에 맞춰 열접착하고 상온에서 24시간 방치 후에 인장속도 200mm/min으로 접착결합에 대한 박리측정
(4) 알칼리해리성 테스트
- 환경표지인증기준 EL 606의 방법으로 시험
항 목 실험예 1 실험예 2 실험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내수성
내유성
열접착성(gf/inch) 535 533 531 320 200
알칼리해리도
알칼리해리시간(분) 32 32 30 50 30
* ◎ : 매우우수, ○ : 우수, △ : 보통, × : 부족
표 2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험예들이 비교예들에 비해 모든 물성에서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본 발명은 알칼리해리도가 우수하여 재활용성이 좋으며, 알칼리해리시간도 단축되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적층구조를 가지는 종이판재를 절첩하고 단부를 열접착시켜서 상단이 개구된 형태로 종이팩을 1차 조립하고, 1차 조립된 종이팩에 활 수산물과 해수를 투입한 다음, 1차 조립된 종이팩의 개구된 상단을 열접착시켜서 포장을 완성한다. 이러한 종이팩의 조립과정은 공지된 종이팩의 조립과정과 동일하며, 당연히 자동화설비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유통과정에서 활 해산물의 폐사를 방지하고 신선도를 유지시키기 위해 용존산소도가 높은 해수를 사용할 필요가 있는데, 이를 위해 마이크로버블 장치를 통해 산소가 공급된 해수를 사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유기물이나 병원균 등이 거의 없어서 청정성이 우수하고 부영양성도 우수한 해양심층수를 사용하면 해산물을 한층 더 신선하게 유통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다층으로 라미네이팅된 종이판재로 이루어지므로 종래 해산물 포장에 사용된 비닐팩과 달리 쉽게 찢어질 우려가 없으므로 해산물 유통시에 플라스틱용기로 추가 포장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비닐팩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포장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방수층의 방수성, 방유성, 열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해산물의 포장, 유통시에 수분이나 유분에 의해 손상될 우려 없어 수산물을 안정적으로 유통시킬 수 있다. 더욱이,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방수층의 알칼리해리도가 우수하고 해리시간도 단축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은 방수층들의 두께를 통상적인 종이팩의 방수층보다 두껍게 형성하여도 소요되는 수준의 재활용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종이팩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 방수층 두께를 좀 더 두껍게 형성할 수도 있는 장점도 가진다.
또한, 방수층이 알칼리용해도를 가지기 때문에 재활용이 가능하므로 환경친적인 장점을 가진다. 더욱이, 방수층의 알칼리해리도가 높아서 폐 종이팩의 재활용시에 펄프와 방수층들의 해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므로 종이팩의 재활용비용도 절감되는 장점도 가진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 및 효과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전개도 및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수산물의 포장시 산소를 주입하기 위한 산소주입구(130)가 추가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100)은 좌우 폭이 전후 폭 보다 다소 넓게 형성되어, 평단면이 직사각형인 게이블 탑 카톤(Gable top carton)형태를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해 종이팩을 형성하는 종이판재는 다음과 같은 전개도형태를 가진다. 도 3을 참고하여 종이판재의 형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종이팩의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을 형성하는 정면부(101), 배면부(102), 좌측면부(103), 우측면부(104)가 좌우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정면부(101), 배면부(102), 좌측면부(103) 및 우측면부(104)의 하단에는 상호 중첩되도록 절첩되고 열접착되어 종이팩(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2, 3 및 4바닥부(105,106,107,108)가 연장되며, 상기 정면부(101), 배면부(102), 좌측면부(103) 및 우측면부(104)의 상단에는 상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첩되어 박공지붕형태의 종이팩 상부를 형성하는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0), 좌측경사부(111), 우측경사부(112)가 연장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종이팩(100)의 좌우 폭이 전후 폭보다 넓기 때문에 상기 정, 배면부(101,103)의 폭이 좌, 우측면부(102,104)의 폭보다 넓게 형성된다. 미 설명부호 117은 정면부(101)의 단부를 우측면부(104)에 연결시키기 위한 측면플랩이다.
그리고 상기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0), 좌측경사부(111), 우측경사부(112)의 상단에는 상호 열접착되어 종이팩을 밀봉시키는 정면접착단부(113), 배면접착단부(115), 좌측접착단부(114), 우측접착단부(115)가 연장형성된다.
한편, 상기 정면접착단부(113) 및 배면접착단부(115)의 중앙부위에는 각각의 접착단부를 가로지르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의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이 형성되며, 이들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들에 구획되는 영역에는 상기 이면방수층(50) 보다 높은 융점을 가지는 고융점층(60)이 코팅된다. 고융점층(60)은 이면방수층(50) 보다 융점이 높으며 열접착성을 가지는 어떠한 재질로 이루어져도 무방하다. 고융점층(60)의 면적이 그다지 크기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고융점층(60)은 알칼리용해도 등의 물성이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본 실시예에 따른 종이팩의 조립방법 및 해산물을 포장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상기 종이판재의 양측 단부를 상기 측면플랩(117)을 이용하여 사각통체형태로 조립하고, 제1, 2, 3 및 4바닥부(105,106,107,108)를 중첩되게 접고 열접착시켜서 상부가 개방된 형태로 종이팩을 1차 조립한다. 이러한 과정은 종래의 종이팩조립과정과 동일하다.
1차 조립된 종이팩의 수용공간에 해산물과 해수를 담은 다음,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0), 좌측경사부(111), 우측경사부(112)를 접고 정면접착단부(113), 배면접착단부(115), 좌측접착단부(114), 우측접착단부(116)를 열접착하여 종이팩의 상단부를 1차 열접착시킨다. 이때에는 상기 고융점층(60)이 연화되어 부착되지 않도록 열접착온도를 조절한다. 이와 같이 종이팩의 상단부를 1차 열접착시키면, 상기 고융점층(60)이 형성된 부위는 접착되지 않는다.
이 상태에서 종이팩의 상측 좌우 단부를 내향으로 살짝 가압하면 종이팩 상단의 미 접착부위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들에 의해 외향으로 V형태로 접혀서 벌어지고, 이에 따라 종이팩의 상단에는 해산물이 수용된 수용공간과 연통되는 산소주입구(13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 중에서 좌우 양측에 위치되는 절첩선(121,123)이 경사진 것으로 도시되었는데, 이와 같이 좌우 양측의 절첩선(121,123)이 경사지게 형성되면 산소주입구(130)가 상광하협의 형태를 가지게 되어 산소를 좀 더 효율적으로 용이하게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절첩선들은 상호 나란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종이판재의 상단부를 접어서 열접착시키면 좌, 우측면부(110,112)의 상단에 연장된 좌측접착단부(114) 및 우측접착단부(116)는 반으로 중첩되게 절첩되어 전, 후면접착단부(113,115) 사이에 접착되는데, 종이팩의 평단면이 정사각형이여서 정, 배면부(101,103)와 좌, 우측면부(102,103)의 폭이 동일한 경우에는 좌, 우측접착단부(114,116)가 전면 및 배면접착단부(113,115)의 중앙부위에서 만나게 되므로 산소주입구의 형성이 곤란해진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종이팩(100)은 좌우 폭이 전후 폭보다 넓게 형성되므로 종이팩의 상단부를 1차 열접착시키면 좌, 우측접착단부(114,116)가 상호 이격되기 때문에 전면 및 배면접착단부(113,115)에 형성된 고융점층(60)이 상호 접하게 되며, 이에 따라 산소주입구(13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하여 산소주입구(130)를 형성시킨 다음, 산소주입구(130)를 통해 산소를 주입한다. 그리고 전, 후면접착단부(113,115)를 가압하여 고융점층(60)을 열접착시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이팩을 밀봉시킨다.
이러한 본 실시예는 산소를 주입하여 해산물을 포장함으로써 해산물을 살아 있는 상태로 좀 더 장기간 유통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특히, 종이팩은 입구가 넓어서 산소를 주입하기 곤란한 구성이며, 이러한 종이팩에 산소를 주입하기 위해서는 종이팩에 구멍을 천공하고 비닐소재의 주입구를 만들고, 주입구를 폐쇄시키는 복잡한 공정이 요구되나, 본 실시예는 간단한 구성으로 종이팩에 산소를 주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10. 내부방수층 20. 제1기재
30. 제2기재 40. 표면방수층
50. 이면방수층 60. 고융점층
100. 종이팩 101. 전면부
102. 좌측면부 103. 배면부
104. 우측면부 105. 제1바닥부
106. 제2바닥부 107. 제3바닥부
108. 제4바닥부 109. 전면경사부
110. 좌측경사부 111. 배면경사부
112. 우측경사부 113. 전면접착단부
114. 좌측접착단부 115. 배면접착단부
116. 우측접착단부 121.122.123. 산소주입구절첩선
130. 산소주입구

Claims (2)

  1. 살아있는 해산물이 해수와 함께 수용되는 수용공간이 형성되도록 종이판재를 절첩하고 단부를 열접착시켜 형성되는 종이팩(100)으로서,
    상기 종이판재는,
    내부방수층(10);
    펄프로 이루어져서 외측면에는 인쇄부가 형성되어 상기 내부방수층(10)의 외측면에 적층되는 제1기재(20);
    펄프로 이루어져서, 상기 내부방수층(10)의 내측면에 적층되는 제2기재(30);
    상기 제1기재(20)의 외측면과 제2기재(30)의 내측면에 각각 적층되는 표면방수층(40) 및 이면방수층(50);을 포함하며,
    상기 내부방수층(10), 표면방수층(40) 및 이면방수층(50)은,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아크릴아미드(acrylic amide),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이 7:1:1:1 중량비로 혼합된 단량체혼합물 100중량부, 메틸알코올(methyl alcohol) 10~15중량부, 스테아르산 나트륨(sodium stearate) 0.5~10중량부,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0.01~10중량부로 제조된 아크릴계 수지 30~40중량부;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공중합체(ethylene-propylene diene copolymer) 20~40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ethylene-vinyl acetate) 10~30중량부;
    스테아르산 아연(zink stearate) 0.1~5중량부;
    실리카(silica) 1~5중량부;
    할로이사이트(halloysite) 0.01~5중량부; 및
    질화알루미늄(aluminum nitride) 0.1~5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이팩은 게이블 탑 카톤(Gable top carton)형태를 가지며,
    상기 종이판재는,
    종이팩(100)의 정면, 배면, 좌측면, 우측면을 형성하는 정면부(101), 배면부(103), 좌측면부(102), 우측면부(104)가 좌우로 나란하게 연결되고,
    상기 정면부(101), 배면부(103), 좌측면부(102) 및 우측면부(104)의 하단에는 상호 중첩되도록 절첩되고 열접착되어 종이팩(100)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제1, 2, 3 및 4바닥부(105,106,107,108)가 연장되고,
    상기 정면부(101), 배면부(103), 좌측면부(102) 및 우측면부(104)의 상단에는 상단부가 상호 근접되도록 내향으로 경사지게 절첩되어 종이팩의 상면을 형성하는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1), 좌측경사부(110), 우측경사부(112)가 연장되고,
    상기 정면경사부(109), 배면경사부(111), 좌측경사부(110). 우측경사부(112)의 상단에는 상호 중첩되게 절첩되어 열접착되는 정면접착단부(113), 배면접착단부(115), 좌측접착단부(114), 우측접착단부(116)가 연장되며,
    상기 정면부(101) 및 배면부(103)는 상기 좌측면부(102) 및 우측면부(104)에 비해 폭이 넓게 형성되고, 상기 정면접착단부(113) 및 배면접착단부(115)의 중앙부위에는 각각 정면접착단부(113) 및 배면접착단부(115)를 가로지르도록 상하로 연장되어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3개의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들이 형성되며,
    상기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들에 의해 구획되는 영역에는 상기 이면방수층(50) 보다 융점이 높은 고융점층(60)이 코팅되어,
    상기 정면접착단부(113), 배면접착단부(115), 좌측접착단부(114), 우측접착단부(116)가 중첩되게 절첩되어 열접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융점층(60)들은 미 접착되고 상기 산소주입구절첩선(121,122,123)의해 절첩되어 외향으로 벌어져서 상기 수용공간에 산소를 주입할 수 있는 산소주입구(13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KR1020220075292A 2022-06-21 2022-06-21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KR102447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92A KR102447829B1 (ko) 2022-06-21 2022-06-21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75292A KR102447829B1 (ko) 2022-06-21 2022-06-21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7829B1 true KR102447829B1 (ko) 2022-09-27

Family

ID=83452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75292A KR102447829B1 (ko) 2022-06-21 2022-06-21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7829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329A (ko) * 2006-05-17 2007-11-21 커우드 인코포레이티드 고기의 바람직한 색채를 발현하거나 보존하는 포장재, 필름및 방법
KR20120087596A (ko) * 2011-01-28 2012-08-07 벌룬스틱스 코리아 주식회사 어패류 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200245B1 (ko) 2010-12-07 2012-11-09 주식회사 현대켐 물빼기 노즐을 갖는 해산물 포장필름
KR101232715B1 (ko) 2012-02-07 2013-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매열 방법에 의한 글래시 카본 자석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06644A (ko) * 2011-12-06 2014-09-03 바스프 에스이 장벽 코팅을 포함한 종이 및 판지 패키징
KR101601686B1 (ko) * 2014-12-02 2016-03-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리식 재활용 종이팩
WO2016087597A1 (en) * 2014-12-04 2016-06-09 Basf Se Paper or cardboard equipped with a barrier layer
KR102100621B1 (ko) 2019-11-06 2020-04-14 이어빈 살아 있는 해산물 포장용기
CN211869943U (zh) * 2019-11-22 2020-11-06 上海永盛包装有限公司 一种防水海鲜纸箱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329A (ko) * 2006-05-17 2007-11-21 커우드 인코포레이티드 고기의 바람직한 색채를 발현하거나 보존하는 포장재, 필름및 방법
KR101200245B1 (ko) 2010-12-07 2012-11-09 주식회사 현대켐 물빼기 노즐을 갖는 해산물 포장필름
KR20120087596A (ko) * 2011-01-28 2012-08-07 벌룬스틱스 코리아 주식회사 어패류 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KR101259816B1 (ko) 2011-01-28 2013-04-30 벌룬스틱스 코리아 주식회사 어패류 포장팩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06644A (ko) * 2011-12-06 2014-09-03 바스프 에스이 장벽 코팅을 포함한 종이 및 판지 패키징
KR101232715B1 (ko) 2012-02-07 2013-02-13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용매열 방법에 의한 글래시 카본 자석 및 그 제조 방법
KR101601686B1 (ko) * 2014-12-02 2016-03-09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해리식 재활용 종이팩
WO2016087597A1 (en) * 2014-12-04 2016-06-09 Basf Se Paper or cardboard equipped with a barrier layer
KR102100621B1 (ko) 2019-11-06 2020-04-14 이어빈 살아 있는 해산물 포장용기
CN211869943U (zh) * 2019-11-22 2020-11-06 上海永盛包装有限公司 一种防水海鲜纸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4476B1 (en) Adhesive resin compositions, laminates, production method thereof and oriented films
CN100410071C (zh) 用于饮料包装的阻隔叠层结构
JP2012086857A (ja) 紙容器用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用紙容器
CN102725371A (zh) 改进的粘合剂组合物
US6534171B1 (en) Gas-tight laminating film and packaging material produced therefrom
JP4923688B2 (ja) 易開封性多層フィルム
KR102447829B1 (ko) 활 해산물 포장용 친환경 종이팩
JP2015061795A (ja) 紙容器用積層体およびこれを用いた液体用紙容器
JP2009096153A (ja) 易開封性及びガスバリア性を有する多層積層フィルム
JPH0671823A (ja) 積層包装材
JP2006117267A (ja) 液体用紙容器
KR20110035974A (ko) 가스 차단 포장용 보드
JP2004017993A (ja) 紙容器
JP6086137B2 (ja) 包装材料及びそれよりなる紙容器
US5532028A (en) Easily openable package of photographic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producing the same
JP6476597B2 (ja) 紙容器用包装材料
JP4666991B2 (ja) 分配パッケージの蓋材用共押出フィルム
JP2017056722A (ja) 積層体及びそれよりなる蓋材
JP6136270B2 (ja) 液体用紙容器
JP5152634B2 (ja) 酸素吸収性共押出多層積層シート
JPH10286871A (ja) 積層体の製造方法
JP7419088B2 (ja) フィルム、共押出フィルム、および、包装体
JPH04246446A (ja) 接着性樹脂組成物
JPH05330560A (ja) バッグ・イン・ボックス及びそれに用いるバッグ
JP3565635B2 (ja) 積層構造体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