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6119B1 -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 Google Patents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6119B1
KR102446119B1 KR1020200141320A KR20200141320A KR102446119B1 KR 102446119 B1 KR102446119 B1 KR 102446119B1 KR 1020200141320 A KR1020200141320 A KR 1020200141320A KR 20200141320 A KR20200141320 A KR 20200141320A KR 102446119 B1 KR102446119 B1 KR 102446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s
threads
image
line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1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56598A (ko
Inventor
류재하
Original Assignee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141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6119B1/ko
Priority to PCT/KR2020/014907 priority patent/WO2022092354A1/ko
Publication of KR20220056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6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6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6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8Projection screens collapsible, e.g. foldable; of variable area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562Screens moving during proj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투사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물리적인 영상투사 스크린막 없이 다수의 선이 왕복운동을 반복하여 생기는 잔상을 영상 투사 스크린막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은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옥외공간에서 대형 영상 구현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한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은 영상 투사막을 형성하기 위해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실 또는 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연결되는 가이드선; 상기 가이드선을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장치; 상기 동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되면서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막의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르면, 빔 프로젝트에 의한 옥외의 영상투사에 있어, 물리적인 평면 스크린막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람의 저항과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과도한 구조물의 설치 없이 옥외에서 대형의 영상투사를 가능케 하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Outdoor line screen system without projection screen}
본 발명은 옥외의 공간에서 대형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고 설치가 용이한 옥외용 스크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빔 프로젝트의 사용빈도가 늘어나고 밝기가 증폭되어, 빔 프로젝트는 실내사용을 넘어 옥외광고, 야외공연 등과 같이 옥외사용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옥외에 설치되는 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빔 프로젝트에서 투사된 영상을 맺게 하는 매질로서의 스크린은 대다수가 반사물질이 도포된 직물로 이루어져 있다. 그 외에 엄밀한 의미의 홀로그램은 아니지만 홀로그램의 시각적 느낌만 가지는 일종의 유사홀로그램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빛이 투과되는 반투명의 필름막을 사용한다.
일반 스크린 뿐만 아니라 유사홀로그램에 사용되는 스크린은 바람이 투과되지 않는 물리적인 평면의 투사막(11)을 형성함으로 바람의 저항으로 인해 대다수가 실내사용으로 제한될 수 밖에 없다.
옥외에서 스크린을 사용하려면 바람의 풍압을 견딜 수 있는 대형구조물이 필요하며, 대형구조물로 지지를 유지해도 스크린이 풍압에 의해 찢어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종래의 천이나 필름막 형태의 스크린은 옥외에서 대형으로 사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40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 바람의 저항을 받는 물리적인 스크린막 없이 스크린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은 영상 투사막을 형성하기 위해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실 또는 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연결되는 가이드선; 상기 가이드선을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장치; 상기 동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되면서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막의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은 불투명한 난반사성 재질을 꼬거나 엮어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선이 연결되는 복수의 도르래; 상기 도르래를 지지하는 지지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력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릴 및 제2 와이어 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선의 일측 단부는 제1 와이어 릴에 감겨지고, 상기 가이드선의 타측 단부는 제2 와이어 릴에 감겨져서,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선과 연결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선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와이어 릴에 감겨지는 방향과, 상기 가이드선의 타측 단부가 제2 와이어 릴에 감겨지는 방향은 반대로 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선의 일측은 상기 제1 와이어 릴에 감겨지고, 상기 가이드선의 타측은 상기 제2 와이어 릴에서 풀리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르래에는 상기 가이드선이 양방향으로 연결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선에는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각각 연결되어,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막이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동력장치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함께 이동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에는 다수의 보조 날개선이 부착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장치의 속도 또는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에 의한 투사막의 크기, 영상의 밝기, 영상의 선명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빔 프로젝트에 의한 옥외의 영상투사에 있어, 물리적인 평면 스크린막으로 인해 발생되는 바람의 저항과 스크린을 지지하기 위한 과도한 구조물의 설치 없이 옥외에서 대형의 영상투사를 가능케 하고 경비를 절감할 수 있는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옥외에 설치되는 스크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서 모터에 장착되는 2개의 와이어 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서 도르래를 90°회전하고 투사막을 이중으로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서 모터에 장착되는 2개의 와이어 릴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서 도르래를 90°회전하고 투사막을 이중으로 설치한 예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에 영상이 표시되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은 바람의 저항을 받는 물리적인 스크린막과 과도한 구조물의 설치 없이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스크린의 역할을 하여 옥외에서 대형의 영상 구현이 가능하게 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이하, 스크린 시스템)은 복수의 실 또는 선(110), 연결 보조선(130), 가이드선(120), 도르래(140), 지지부(101), 모터(150), 와이어 릴(160), 제어부(170) 등을 포함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투사막(210)을 형성하기 위해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열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예를 들어, 가로로 배열되거나, 세로로 배열되거나, 격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동력장치에 의해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되면서 투사막(210)의 역할을 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투사막(210)의 역할을 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사각형, 삼각형, 원, 타원 등의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반사율이 높은 어떠한 재질이든 무난하나, 난반사를 일으켜 영상을 표시하기에 용이하도록 원사를 꼬거나 엮어서 형성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에는 다수의 보조 날개선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 날개선은 복수의 실 또는 선(110)과 함께 이동하면서 난반사를 일으켜 영상이 선명하게 표시되게 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가이드선(120)에 연결된다. 가이드선(120)은 하나의 연결된 선으로 이루어지지만, 구분을 위해 제1 와이어 릴(161)에 연결되는 부분을 가이드선(121)으로, 제2 와이어 릴(162)에 연결되는 부분을 가이드선(122)으로 표시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을 가이드선(120)에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연결보조선(130)이 제공될 수 있다. 연결보조선(130)은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직접 연결되는 세로 보조선(132)과, 이러한 세로 보조선(132)이 연결되는 가로 보조선(131)으로 이루어지고, 가로 보조선(131)이 가이드선(12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이드선(120)은 복수의 도르래(140)에 연결되고, 이러한 도르래(140)는 지지부(101)에 의해 지지된다. 가이드 선(120)은 신축성을 배재하도록 와이어를 사용할 수 있다.
도르래(140)는 가이드선(120)의 이동을 안내하여,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의 이동방향을 전환하고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 도르래(140)는 6개로 구성된다. 도르래(141, 146)는 가이드선(120)의 수직이동을 좌우이동으로 전환하고, 도르래(142, 145)는 좌우이동을 수직이동으로 전환하고, 도르래(143, 144)는 수직이동의 방향을 역으로 전환하여, 가이드선(121, 122)의 감김과 풀림으로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이동되게 한다.
동력장치는 가이드선(12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시킨다. 동력장치는 모터(150)와, 이러한 모터(150)의 축에 연결되는 와이어 릴(160)을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릴(160)은 제1 와이어 릴(161)과 제2 와이어 릴(162)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이드선의 일측 단부(121)는 제1 와이어 릴(161)에 감겨지고, 타측 단부(122)는 제2 와이어 릴(162)에 감겨져서,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선(121, 122)과 연결된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이드선의 일측 단부(121)가 제1 와이어 릴(161)에 감겨지는 방향과, 가이드선의 타측 단부(122)가 제2 와이어 릴(162)에 감겨지는 방향은 반대로 되고, 모터(150)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선의 일측은 감겨지고 타측은 풀리는 방식으로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모터(150)가 반대로 회전하면, 가이드선의 일측은 풀리고 타측은 감기는 방식으로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반대로 이동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동력장치를 제어한다. 모터(150)의 정역 회전수에 따라 가이드선(120)의 이동 폭이 결정되어 투사막(2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고, 모터(150)의 회전 속도에 따라 영상의 밝기, 영상의 선명도가 조절될 수 있다.
모터(150)의 회전 속도는 와이어 릴(160)의 크기나 가이드선(120)의 길이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대략 150rpm 내외가 빛의 밝기에 관련한 영상의 가독성에 유리하다. 투사막(210)의 크기를 형성하는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의 상하 왕복 이동거리는 제한이 없으나, 영상의 목적과 용도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를 통해 2개의 와이어 릴(160)을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투사막(210)을 생성하는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상하로 위치이동을 한다. 본 발명에서, 모터(150)의 회전운동을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의 직선운동으로 바꿔주는 구동장치는 크랭크, 체인, 기어 등으로 대체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프로젝터(220)에 의해 영상이 투사되고, 모터(150)가 회전하면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상하로 반복 이동되면서 잔상과 난반사로 투사막(210)을 형성하고, 이러한 투사막(210)에 영상이 표시된다.
잔상을 일으키는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반사율이 높은 어떠한 재질이든 무난하나, 난반사를 일으켜 영상을 표시하기에 용이하도록 원사를 꼬거나 엮어서 형성된다. 즉, 난반사율이 높은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을 왕복이동 시킴으로써, 잔상 투사막(210)을 형성하고, 여기에 투사된 빛의 잔상과 산란으로 영상을 구현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에는 다수의 보조 날개선이나 비드(bead)를 부착하여 잔상효과와 빛의 산란효과를 더 높일 수 있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의 이동할 때 추력에 의해 보조 날개선이 펼쳐지게 하고, 이러한 보조 날개선의 추가로 난반사율이 증가된 잔상 투사막을 형성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도르래(140)가 지지부(101)에 장착되는 방향을 90°회전하고 방향전환을 위한 보조 도르래를 장착하면, 도르래(140)에 가이드선(120)이 양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가이드선(120)에는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각각 연결된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막(210)을 형성하여, 투사막(210)이 중첩되게 형성된다. 동력장치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함께 이동되면, 두 개의 투사막(210)이 동시에 이동되는 효과를 나타내어, 잔상 효과를 배가하고 반사율을 증폭하여 더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시스템에서, 왕복이동을 위한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나 구동장치를 다중으로 설치하여 선명도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을 복층으로 할 경우, 앞뒤, 전후의 잔상 효과가 정배수로 증폭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선(120)의 장력을 유지하기 위해 가이드선(120)에 스프링을 부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스크린 시스템은 건물이나 구조체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벽면이나 기타 구조물을 이용할 경우, 구조물 없이 독립적인 가이드선과 동력시스템으로 설치 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을 왕복이동하여 잔상으로 이루어진 막을 발생시키고, 잔상막에 빛을 투사하여 빛의 잔상과 난반사로 영상을 구현함으로써, 바람의 저항을 최소화하여 옥외의 대형 영상 구현이 가능하고, 유사 홀로그램의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므로 무대 및 광고 분야에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가이드선(120), 도르래(140), 모터(150)에 의해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을 상하로 이동시키지만,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형성하는 투사막(210)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함으로써 잔상효과에 의해 투사막(210)을 형성할 수 있고, 이러한 투사막(210)은 종래의 스크린막에 비해 바람의 저항이 없고, 가벼우면서, 설치가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1 : 투사막
100 :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110 : 복수의 실 또는 선
120, 121, 122 : 가이드 선
130, 131, 132 : 연결보조선
140, 141~146 : 도르래
150 : 모터
160 : 와이어 릴
161 : 제1 와이어 릴
162 : 제2 와이어 릴
170 : 모터부
210 : 투사막
220 : 프로젝터

Claims (7)

  1. 영상 투사막을 형성하기 위해 이격되어 배열되는 복수의 실 또는 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연결되는 가이드선(120);
    상기 가이드선(120)이 연결되는 복수의 도르래;
    상기 복수의 도르래를 지지하는 지지부;
    상기 가이드선(120)을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시키는 동력장치;
    상기 동력장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상하 또는 좌우로 왕복이동되면서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막의 역할을 하고,
    상기 동력장치는 모터와, 상기 모터의 축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 릴 및 제2 와이어 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선(120)의 일측 단부는 제1 와이어 릴에 감겨지고, 상기 가이드선(120)의 타측 단부는 제2 와이어 릴에 감겨지고,
    상기 가이드선(120)의 일측 단부가 상기 제1 와이어 릴에 감겨지는 방향과, 상기 가이드선(120)의 타측 단부가 제2 와이어 릴에 감겨지는 방향은 반대로 되어,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선(120)의 일측은 상기 제1 와이어 릴에 감겨지고, 상기 가이드선(120)의 타측은 상기 제2 와이어 릴에서 풀리는 방식으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이 전체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도르래 중에는 상기 가이드선(120)이 양방향으로 연결되는 도르래(140)가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가이드선(120)에는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각각 연결되고,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각각 영상을 표시하는 투사막을 형성하여 투사막이 중첩되게 형성되고,
    상기 동력장치의 구동에 의해 각각의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이 함께 이동되면서 두 개의 투사막이 동시에 이동되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110)은 원사를 꼬거나 엮어서 형성되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110)에는 다수의 보조 날개선이 부착되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력장치의 속도 또는 회전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실 또는 선(110)에 의한 투사막의 크기, 영상의 밝기, 영상의 선명도를 조절할 수 있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KR1020200141320A 2020-10-28 2020-10-28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KR102446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20A KR102446119B1 (ko) 2020-10-28 2020-10-28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PCT/KR2020/014907 WO2022092354A1 (ko) 2020-10-28 2020-10-29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1320A KR102446119B1 (ko) 2020-10-28 2020-10-28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6598A KR20220056598A (ko) 2022-05-06
KR102446119B1 true KR102446119B1 (ko) 2022-09-21

Family

ID=81383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1320A KR102446119B1 (ko) 2020-10-28 2020-10-28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46119B1 (ko)
WO (1) WO2022092354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2823A (zh) * 2019-07-30 2019-11-05 苏州金双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振动网状投影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75949A (ja) * 2009-01-30 2010-08-12 Seiko Epson Corp スクリーンおよび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20160054828A (ko) * 2014-11-07 2016-05-17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KR101978642B1 (ko) * 2015-04-28 2019-05-15 류재하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KR20160079746A (ko) * 2016-06-24 2016-07-06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KR102094060B1 (ko) 2016-08-10 2020-03-26 최해용 실탄 사격용 가상훈련 영상 스크린 장치
KR102005522B1 (ko) * 2017-07-12 2019-07-30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12823A (zh) * 2019-07-30 2019-11-05 苏州金双宇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振动网状投影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2354A1 (ko) 2022-05-05
KR20220056598A (ko) 2022-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108396T2 (de) Leuchtsichtvorrichtung ,anzeigesystem mit derselben und verfahren zur visualisierung dafür
US20070159413A1 (en) Display system
US20060218829A1 (en) Moving-loop advertisement device with self stopping and smoothing elements
KR102446119B1 (ko)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KR101682585B1 (ko) 구동부를 내장한 승하강 바텐 장치
CN113641070B (zh) 投影设备
US20120236267A1 (en) Screen Device and Rear Projection Apparatus
US10317788B1 (en) Outdoor air-permeable dot screen
CN209821582U (zh) 一种可以调节角度的球幕
KR20170059200A (ko) 모션 사인보드
US2956359A (en) Animated display
CN113641073B (zh) 投影设备
KR101678032B1 (ko) 세트 틸트 배튼
CN208922661U (zh) 一种广告屏
CN210514925U (zh) 一种振动网状投影幕
US6593906B2 (en) Display apparatus and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KR200187903Y1 (ko) 투명창 광고표시장치
US2322838A (en) Display sign
CN205428393U (zh) 一种显示装置
KR102407462B1 (ko) 자동 절첩식 그늘막 유닛 및 그늘막 장치
KR200329639Y1 (ko) 광고간판
CN218350701U (zh) 投影屏幕及激光投影系统
JP3233598B2 (ja) 映写用スクリーン
KR950009549Y1 (ko) 애드버룬 영상 스크린 광고장치
JPH1013772A (ja) 背面投写型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