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54828A -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 Google Patents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54828A
KR20160054828A KR1020140154327A KR20140154327A KR20160054828A KR 20160054828 A KR20160054828 A KR 20160054828A KR 1020140154327 A KR1020140154327 A KR 1020140154327A KR 20140154327 A KR20140154327 A KR 20140154327A KR 20160054828 A KR20160054828 A KR 20160054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hologram
glass fiber
fixing members
fiber ya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4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향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Priority to KR10201401543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54828A/ko
Publication of KR20160054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48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olo 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이용해 제조되는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대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은,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상,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시킨 세로선 일방향성을 갖는 하나의 유닛구조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화로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종래 방식에 비해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최소 인력으로도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크기를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늘이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스크린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은 스크린의 평편도(또는 평탄도) 작업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A screen for using hologram possible assembly}
본 발명은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이용해 제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상,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시킨 세로선 일방향성을 갖는 하나의 유닛구조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화로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종래 방식에 비해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최소 인력으로도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크기를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늘이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스크린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은 스크린의 평편도(또는 평탄도) 작업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기기용 스크린은 영사기기를 통해 영상광이 스크린에 투사되면서 맺히는 홀로그램 영상이 실내의 관람자 측으로 표시되느냐, 아니면 반대로 실외의 관람자 측으로 표시되느냐에 따라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구분되는 상기 프론트용 스크린의 경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스크린에서 일부는 그냥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실내측 관람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리어용 스크린의 경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스크린에서 일부는 그냥 통과하고, 일부는 투과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실외측 관람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스크린의 경우 투명한 재질의 필름 일면에 그라비아(gravure) 인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층을 인쇄(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32199호)하거나, 또는 메시형태로 직조된 스크린원단 즉, 투명망사에 광확산기능을 갖는 필름스크린을 결합(등록실용신안 20-0444192)시킨 구조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중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식에 의해 제조되는 스크린(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32199호)의 경우 해당 특허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을 살펴보면, "상기 패턴층은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20% ~ 65%의 면적 비율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패턴층의 면적 비율의 범위 자체가 큰 오류인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명시된 대로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패턴층의 면적 비율이 20% 이상 즉, 20% ~ 65% 일 경우 이는 메시형태로 인쇄된 패턴층의 메시선 두께가 그 만큼 커진다는 의미이며, 이와 같이 메시선 두께가 커지게 되면 상기 패턴층을 통한 스크린에 영상이 맺히는 선명도가 좋아지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상기 스크린 전방에서 패턴층의 천공홀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턴층의 천공홀의 통해 육안으로 스크린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패턴층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메시선의 두께 크기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패턴층을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패턴층의 면적 즉, 메시선의 두께를 넓게 인쇄할 경우 상기 패턴부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 양이 적어지면서 상기 패턴부의 맺히는 메시선 부분이 적어져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선과 정확히 대응되지 못한 상태로 넓게 퍼지면서 스크린에 흐릿한 영상이 맺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패턴부의 천공홀을 중심으로 육각모양의 메시형태로 인쇄되는 메시선의 사이간격 역시 좁아져 결국 메시선에 반사되는 빛(영상광)이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져 상기 메시선에 맺히는 영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는 모아레(jaggy) 현상을 통해 도 6a와 같은 상태의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등 상기 스크린의 패턴층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패턴층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턴층을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패턴층의 메시선을 20% 이상의 면적으로 넓게 형성시킬 경우 스크린 제조과정에서 안료의 사용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그 만큼 스크린 제조 및 판매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통해 상기한 패턴층을 상기한 면적 비율로 투명판재에 인쇄할 경우 목적한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그리고, 상기 메시형태로 직조된 투명망사에 광확산기능을 갖는 필름스크린을 결합하여 제조되는 스크린(등록실용신안 20-0444192)의 경우 이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안료나 도료, 또는 잉크를 이용해 그라비아 인쇄방식이 아닌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나일론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플라스틱소재에서 뽑아낸 원형의 플라스틱실로 직조(織造)한 투명망사에 광확산기능을 갖는 필름스크린을 결합하여 상기 투명망사에 의해 1차 산란된 빛을 상기 필름스크린을 통해 2차 산란시켜 난반사 처리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나, 이의 경우 앞서 밝힌 투명한 재질의 필름 일면에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층을 인쇄하는 스크린 보다 구조적으로 복잡함은 물론, 이에 따른 제조공정 및 제조시간 역시 오래 걸릴 뿐만 아니라, 제조 및 판매에 대한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결국 소비자에게 경제적 부담으로 작용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앞서 기술한 선행기술인 종래 홀로그램용 스크린들 모두 격자무늬로 이루어진 메시형태의 패턴부나 패턴층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러한 메시형태의 스크린은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 스크린으로 주문 제작되게 되고, 이와 같이 대형 스크린으로 제작된 종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다른 장소로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서는 대형 스크린의 크기에 맞는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와 같이 대형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격자무늬 중 세로선과 직교되는 가로선이 구겨지면서 상기한 격자무늬 상에 주름이 발생하게 되어 스크린의 해상도가 크게 저하되게 되는 등의 문제점 역시 있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 스크린으로 주문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배지롤의 경우 대형 사이즈인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감아 권취시키기 위해서는 그 만큼 장폭을 갖는 배지롤이 필요하게 되고, 이와 같은 장폭의 배지롤을 운반이나 배송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충격이나 이물질로부터 손상되지 않도록 콘테이너와 같은 운송박스에 넣어 운반해야 하지만 상기 배지롤의 장폭 길이가 운송박스의 길이 보다 더 길어 이를 운송박스에 넣어 포장하기가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에 맞는 운송박스나 포장박스를 별도로 제작하여야 하는 등 이에 따른 물류비가 크게 증가하게 되는 단점과 함께, 상기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으로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은 물론,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이와 아울러,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종래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경우 대형 스크린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설치 장소에 대형 스크린을 설치할 때 많은 인력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설치된 스크린의 일부가 구겨지거나 울지 않도록 평편도(또는 평탄도)(Flattness) 작업 역시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등 종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설치하는데 대한 많은 인력 소모와 함께 후작업으로 대형 스크린인 종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평평하게 하는 2차적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 또한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 고정시킨 일방향성 세로선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한 일방향성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장폭 배지롤에 감아 권취시킬 때 상기 배지롤의 장폭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성을 갖는 상태로 권취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격자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격자무늬 중 세로선과 직교되는 가로선이 구겨지면서 상기한 격자무늬 상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주름 발생의 원인 자체를 제거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관람자에게 비추어지는 스크린의 해상도에 큰 변화가 없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와 같이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시킨 일방향성을 갖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유닛구조로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고정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화로 주문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종래 방식에 비해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최소 인력으로도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크기를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늘이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스크린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은 스크린의 평편도(또는 평탄도) 작업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은,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상,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시킨 세로선 일방향성을 갖는 하나의 유닛구조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일방향성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장폭 배지롤에 감아 권취시킬 때 상기 배지롤의 장폭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성을 갖는 상태로 권취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격자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격자무늬 중 세로선과 직교되는 가로선이 구겨지면서 상기한 격자무늬 상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주름 발생의 원인 자체를 제거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관람자에게 비추어지는 스크린의 해상도에 변화가 없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를 통해 글라스화이버 원사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시킨 일방향성을 갖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유닛구조로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고정부재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함에 따라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 스크린으로 주문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종래 방식에 비해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최소 인력으로도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홀로그램용 스크린의 크기를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보다 간단하게 연장시키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스크린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은 스크린의 평편도(또는 평탄도) 작업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효과 역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개략적 구성도.
도 2는 도 1에 의해 유닛형태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3은 도 1에 의해 유닛형태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고정부재의 분해도 및 세부 상세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분해 및 포장하는 과정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 격자형태의 홀로그램용 스크린과 본 발명의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비교한 사진.
본 발명의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이하, 홀로그램용 스크린이라 함)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개략적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도 1에 의해 유닛형태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도 1에 의해 유닛형태로 제조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조립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대한 고정부재의 분해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은,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20)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짐과 아울러 실내,외 공연용 또는 행사용으로 사용되는 등 여러 스크린 중에서도 프론트용으로 사용되는 홀로그램 스크린(1)으로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 일렬로 배열 형성된 중공 원통형태의 원사고정보스(12)를 구비하면서 상,하 양측으로 이격되는 고정부재(10a,10b)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부재(10a,10b)에 글라스화이버(Glass-Fiber) 원사(21)를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결선하여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형성하되,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상,하로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 고정시킨 일방향성 세로선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특히 상기와 같이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도록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세로선 구조로 제작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유닛구조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10a,10b)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도록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세로선 구조로 제작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경우 이는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가로방향이 아닌 항상 세로방향으로 배열하여야 하는데, 그 이유는 중력에 영향을 받는 가로방향으로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배열하여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하게 되면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중력작용에 의해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가 전부 밑으로 쳐지게 되어 결국 스크린으로서 사용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함에 있어 상기 글라스화이버를 세로방향으로 배열하는데 대한 또 다른 이유로는 종래와 같이 격자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을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격자무늬 중 세로선과 직교되는 가로선이 구겨지면서 상기한 격자무늬 상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대한 주름 발생의 원인 자체를 제거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관람자에게 비추어지는 스크린의 해상도에 변화가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상기와 같이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도록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세로선 구조로 제작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하나의 유닛구조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10a,10b)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할 경우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 스크린으로 주문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등의 종래 방식에 비해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고, 또한 종래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과 함께,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최소 인력으로도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크기를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연장시키거나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스크린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은 스크린의 평편도(또는 평탄도) 작업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등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이와 같이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도록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세로선 구조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작하는데, 이때 상기 지그재그 형태로 배열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 간의 사이간격(T)은 2-3mm 로서,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 간의 사이간격(T)이 2mm 이하일 경우에는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대한 투명도가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3mm 이상일 경우에는 스크린에 영상으로 표시되는 홀로그램 화질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사항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바람직한 글라스화이버 원사(21) 간의 사이간격(T)은 2mm로 이루어져 있다.
이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표 1은 공연장 무대에서 사용되는 최소 스크린의 가로 사이즈(size)가 6m부터 12m까지의 사이즈에 픽셀이 형성되는 크기 즉, Full HD(1920), HD(1280), XGA(1024)로 구분한 해상도별로 단위 픽셀이 스크린에 형성되는 크기를 표시한 것이다.
표 1. 스크린 사이즈별 단위 픽셀 크기
[단위 : mm]
Figure pat00001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홀로그램 무대의 경우 대부분 Full HD의 해상도로 구성하므로, 단위 픽셀이 형성되는 크기는 3.13mm 이상이다.
보통의 무대 규모를 감안하여 평균 8m 로 산정할 때 이때의 픽셀의 크기는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4.17mm 이다. 즉, 4mm 이내에 상이 원사(21)와 원사(21) 사이를 투과하지 않고 상기 원사 두가닥 사이에 걸려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감안할 때 상기 원사(21)와 원사(21)에 대한 사이간격으로 2mm의 간격을 두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하겠다.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두께는 0.5-1.0mm 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역시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두께가 0.5mm 이하일 경우에는 스크린에 영상으로 표시되는 홀로그램 화질이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1mm 이상일 경우에는 원사(21)와 원사(21) 사이간격(T)이 좁아져 결국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대한 투명도가 저하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며, 이와 같은 사항에 따라 본 발명에서의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두께는 1.0mm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와 아울러,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에 대한 형광안료나 도료 또는 잉크의 도포 두께는 0.5mm 이하인데, 여기서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에 대한 도포두께가 0.5mm 이상일 경우 원사(21)의 두께가 두꺼워져 스크린(1)의 투명도가 낮아지고 이로 인하여 홀로그램 스크린(1)으로써의 효과가 반감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하는데 주된 구성요소인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경우 상기 글라스화이버를 스크린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원사(21) 상에 스프레이방식으로 형광안료나 도료, 잉크 중 어느 하나를 분사하여 도포시키는데, 이때 상기한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이용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제조방식으로는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 자체에 형광안료를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특허출원번호 제10-2014-0057584호)" 에 명시된 "스프레이 분사 도포 방식"을 이용해 도포한 다음 건조한 후 상기 형광안료가 도포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는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형광안료 도포 전(前)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는 세로선 구조의 스크린을 제조한 다음 스프레이 분사 도포 방식을 이용해 형광안료를 도포한 후 건조시켜 상기한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할 수 있으며, 이중 어느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하는데 큰 무리가 없음을 미리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되어 세로선 구조를 이루는 글라스화이버 원사(21) 대신에 나일론이나 면, 메탈 페브릭, 철 재질로 이루어진 원사(21)나 와이어를 사용하여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제조할 수 있음도 역시 미리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 중 상기 글라이스화이버 원사(21)가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되는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는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유닛구조로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10a,10b)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서로 연결하거나 또는 분리하여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줄일 수 있도록 하는데 사용되는 구성요소로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시키기 위한 중공 원통형태의 원사고정보스(12)가 일렬로 배열 형성된 몸체(11a)와; 상기 결선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몸체(11a)와 체결되며, 원사고정보스(12)에 대응 결착되도록 보스결합홀(13)이 일렬로 배열 관통된 덮개(11b)로 이루어지는 등 상기 몸체(11a)와 덮개(11b)가 상호 분할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원사고정보스(12)의 일측에는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결선을 위한 노치형태의 결선홈(1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각 원사고정보스(12)의 상단 중앙에는 상기 결선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절개된 원사고정홈(1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양측단에는 도 2의 세부 상세도와 같이 각각의 고정부재(10a,10b) 간에 끼움 결합을 위한 암,수 형태의 끼움홈(16)과 끼움돌기(17)가 각각 형성되어 도 3과 같은 형태로 각 고정부재(10a,10b) 간의 끼움 결합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길이를 연장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상측 고정부재(10a)의 상단에는 설치 장소의 무대에 구비된 결착고리(미도시)에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걸어 설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ㄷ"자 형태의 걸림부(18)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더불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 보다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세로길이가 길 경우 상기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세로길이를 조절하기 위해 상기 상,하측 고정부재(10a,10b) 중 하측 고정부재(10b)를 감아 무대 크기에 맞게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세로길이를 조절한 다음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이 상기 하측 고정부재(10b)에서 풀리지 않고 상기 하측 고정부재(10b)에 홀로그램용 스크린(1)이 감긴 상태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고정부재(10b)에 일단이 절개된 원형클립 형태의 결속부재(25)가 결착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각 유닛별로 단위 포장되어 제품에 손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조립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각각의 유닛 즉, 1m 간격으로 상,하측 고정부재(10a,10b) 모두를 분해함과 동시에 상기 각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에 고정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장폭의 밴드(31)를 이용해 감은 다음,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특성에 맞게 제작된 포장박스(30)가 사용되는데, 이때 상기 포장박스(30)의 경우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밴드(31)에 의해 글라스화이버 원사(21)가 감긴 상태에 있는 상,하측 고정부재(10a,10b) 중 상기 하측 고정부재(10b)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사각형태의 박스 내 하측에 구획 형성된 하단고정홈(32)과, 상기 장폭 밴드(31)에 의해 감겨진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8자 형태로 감아 권취시키기 위해 상기 사각형태의 박스 내 중앙에 구획 설치된 2개의 권취롤(33)과; 상기 상측 고정부재(10a)를 삽입 고정시키기 위해 사각형태의 박스 내 상측에 구획 형성된 상단고정홈(34)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포장박스(30) 내에 하나의 유닛으로 분리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넣은 후, 상기 포장박스(30)의 덮개를 덮어 열쇠와 같은 락킹수단(미도시)으로 잠금에 따라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대한 포장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상에서 밝힌 바와 같이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에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중력작용과 동일한 일방향성 세로선 구조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구성할 경우 상기한 일방향성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장폭 배지롤에 감아 권취시킬 때 상기 배지롤의 장폭 길이방향과 동일 방향성을 갖는 상태로 권취되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격자무늬 패턴으로 이루어진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을 권취시키는 과정에서 격자무늬 중 세로선과 직교되는 가로선이 구겨지면서 상기한 격자무늬 상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등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대한 주름 발생의 원인 자체를 제거함과 아울러, 이를 통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관람자에게 비추어지는 스크린의 해상도에 변화가 없으며, 더욱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다수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서로 연결(도 3 참조)하거나 또는 분리(도 5a 참조)시키는 등 최소 인력으로도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길이를 보다 간단하게 연장시키거나 줄일 수 있음과 함께, 상기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와 같이 격자형태의 패턴으로 생산되는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원단폭 크기의 한계로 인해 대형 스크린 구성 시 원단끼리 서로 이어붙여야 하는 번거로움 및 상기 원단끼리 이어붙힘으로 인한 이음새 발생 및 장기간 재사용에 따른 이음새가 벌어져 더 이상 대형 스크린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해소함과 아울러, 스크린 설치 시에도 종래와 같은 스크린의 평편도(또는 평탄도) 작업 없이 간단히 설치할 수 있는 등의 특징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을 분해 및 포장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6a 및 도 6b는 종래 격자형태의 홀로그램용 스크린과 본 발명의 세로선 구조의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분해 및 포장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각기 유닛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이 서로 유닛 체결 방식 즉,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양측단에 형성된 끼움홈(16)과 끼움돌기(17)를 이용해 서로 이웃한 상측 고정부재(10a)는 상측 고정부재(10a)끼리, 하측 고정부재(10b)는 하측 고정부재(10b)끼리 끼움 결합된 상태에서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기 끼움 결합된 고정부재(10a,10b) 간의 끼움홈(16)과 끼움돌기(17)의 분리과정을 통해 하나의 유닛씩으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분해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하나의 유닛씩 즉, 1m 간격으로 분해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은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에 고정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가 서로 엉키지 않도록 장폭의 밴드(31)를 이용해 감은 다음, 상기 하측 고정부재(10b)를 포장박스(30) 내에 구획된 하단고정홈(32) 측에 넣은 후, 상기 장폭 밴드(31)에 의해 감겨진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상기 포장박스(30) 내 중앙에 구획된 2개의 권취롤(33)에 8자 형태로 감아 권취시킨 다음, 마지막으로 상기 포장박스(30) 내에 구획된 상단고정홈(34) 측에 상측 고정부재(10a)를 넣은 후, 상기 포장박스(30)의 덮개를 덮어 열쇠와 같은 락킹수단으로 잠금으로써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의 포장작업이 완료되게 되는데,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포장할 경우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대형 스크린으로 주문 제작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운반이나 배송하기 위해 장폭의 배지롤에 감아 운반해야 하는 종래 방식에 비해 유닛 체결 방식으로 결합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다수의 유닛 형태로 분리하여 운반할 수 있음에 따른 물류비를 크게 절감시킬 수가 있다.
그 다음,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는 과정을 설명하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맞게 유닛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유닛 체결 방식 즉,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각 양측단에 형성된 끼움홈(16)과 끼움돌기(17)를 이용해 서로 이웃한 다수의 상측 고정부재(10a)들을 비롯해 하측 고정부재(10b)들 역시 끼움 결합하여 서로 연결시켜 공연장이나 행사장에 설치한 상태에서 영상기기(60)로부터 영상광이 방출되어 상기 홀로그램용 스크린(1)에 투사되게 되면, 스프레이 분사 도포 방식을 통해 형광안료가 분사 도포된 스크린(1) 즉, 상,하측 고정부재(10a,10b)의 원사고정보스(12)에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하여 중력작용과 동일한 세로방향으로 일방향성을 갖는 세로선 구조를 이루는 글라스화이버 원사(21)에 영상이 맺히게 되는데, 이때 상기 영상광 중 일부는 상기 원사(21)와 원사(21) 사이공간으로 방출되게 되고, 일부는 형광안료가 분사 도포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통해 관람자 측으로 반사되면서 홀로그램 영상이 상기 형광안료가 분사 도포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에 맺혀 표시되는 등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글라스화이버 원사(21)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관람자가 보다 선명하게 관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홀로그램 영상은 도 6b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홀로그램용 스크린 10a. 상측 고정부재
10b. 상,하측 고정부재 11a. 몸체
11b. 덮개 12. 원사고정보스
13. 보스결합홀 14. 결선홈
15. 원사고정홈 16. 끼움홈
17. 끼움돌기 18. 걸림부
20. 패턴부 21. 글라스화이버 원사
30. 포장박스 31. 밴드
32. 하단고정홈 33. 권취롤
34. 상단고정홈 T. 원사 간의 사이간격

Claims (5)

  1. 상,하 양측에 이격 위치되는 고정부재(10a,10b)에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중력작용과 동일방향인 세로로 결선하되, 상,하 지그재그 형태를 이루며 등간격으로 배열시킨 세로선 일방향성을 갖는 유닛구조로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다수 형성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고정부재(10a,10b)를 서로 이웃하게 끼움 결합하는 유닛 체결 방식을 통해 설치 장소의 무대 크기에 따라 유닛 형태의 각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서로 연결하여 길이를 연장시키거나 또는 분리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고정부재(10a,10b)의 양측단에는 각각의 고정부재(10a,10b) 간에 끼움 결합을 위한 암,수 형태의 끼움홈(16) 및 끼움돌기(17)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10a,10b)는 글라스화이버 원사(21)를 지그재그 형태로 결선시키기 위한 중공 원통형태의 원사고정보스(12)가 일렬로 배열 형성된 몸체(11a)와;
    상기 몸체(11a)와 체결되며, 원사고정보스(12)에 대응 결착되도록 보스결합홀(13)이 일렬로 배열 관통된 덮개(11b)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각 원사고정보스의 일측(12) 및 상단 중앙에는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결선을 위한 노치형태의 결선홈(14)과, 상기 결선된 글라스화이버 원사(21)의 일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절개된 원사고정홈(15)이 각각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고정부재의 상단(10a)에는 설치 장소의 무대에 구비된 결착고리에 홀로그램용 스크린(1)을 걸어 설치하기 위한 "ㄷ"자 형태의 걸림부(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KR1020140154327A 2014-11-07 2014-11-07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KR2016005482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27A KR20160054828A (ko) 2014-11-07 2014-11-07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4327A KR20160054828A (ko) 2014-11-07 2014-11-07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4828A true KR20160054828A (ko) 2016-05-17

Family

ID=561094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4327A KR20160054828A (ko) 2014-11-07 2014-11-07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5482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54A1 (ko) * 2020-10-28 2022-05-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354A1 (ko) * 2020-10-28 2022-05-05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투사막 없는 옥외용 라인 스크린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5195A1 (en) Flexible LED display screen
DE60205312T2 (de) Rückseiten-übertragungsschirm
CN1957297B (zh) 用于佩珀尔虚像幻影的投影设备和方法
JP2018522255A (ja) スプライシング後に画素フルカバレッジが実現されたフルシームレスビデオウォールシステム
CN102193301A (zh) 显示方法及显示装置
US20100251583A1 (en) Incident light management devices and related methods and systems
CN103744262A (zh) 由拼接的发光屏幕构成的组合屏幕
KR101217295B1 (ko) 영사용 원형 스크린
KR20160054828A (ko) 조립 가능한 홀로그램용 스크린
TW200413822A (en) Image display method and image display system
KR20160054827A (ko) 주름이 개선된 홀로그램용 스크린
KR20150130694A (ko)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CN113050294A (zh) 一种无彩色摩尔条纹的低串扰立体显示装置
US4215933A (en) Projection system for copying machines
KR20160079746A (ko)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US20120236267A1 (en) Screen Device and Rear Projection Apparatus
KR101480127B1 (ko) 무아레 현상을 이용한 잠상 인쇄물의 제조 방법
KR100981352B1 (ko) 원형회복강화 휴대용 디스플레이 스크린
KR101582164B1 (ko)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KR101704725B1 (ko) 홀로그램 영상 표출 장치
WO2017078572A1 (ru) Информационный плакат
JP7152322B2 (ja) スクリーン及びスクリーン装置
WO2015174807A2 (ko)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KR200448025Y1 (ko) 엘이디 표시장치
CN2590107Y (zh) 一种led像素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