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2164B1 -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 Google Patents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2164B1
KR101582164B1 KR1020140057583A KR20140057583A KR101582164B1 KR 101582164 B1 KR101582164 B1 KR 101582164B1 KR 1020140057583 A KR1020140057583 A KR 1020140057583A KR 20140057583 A KR20140057583 A KR 20140057583A KR 101582164 B1 KR101582164 B1 KR 1015821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area
pattern
pigment
transpa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7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0693A (ko
Inventor
인철 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홀로티브글로벌
Priority to KR1020140057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2164B1/ko
Priority to PCT/KR2015/007275 priority patent/WO2015174807A2/ko
Publication of KR201501306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06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21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21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2Holograms used as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은, 투명재질의 필름과, 상기 필름의 일면에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인쇄하여 형성된 패턴부로 이루어져 투명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상기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에 대한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패턴부의 메시선을 0.1mm - 0.162mm의 폭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변화없이 통상의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A transparent mesh screen for using hologram}
본 발명은 홀로그램용 스크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이루어진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0.1mm - 0.162mm의 폭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인쇄면적이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종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변화없이 통상의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한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기기용 스크린은 영사기기를 통해 영상광이 스크린에 투사되면서 맺히는 홀로그램 영상이 실내의 관람자 측으로 표시되느냐, 아니면 반대로 실외의 관람자 측으로 표시되느냐에 따라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구분된다.
이와 같이 구분되는 상기 프론트용 스크린의 경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스크린에서 일부는 그냥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실내측 관람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와 반대로 상기 리어용 스크린의 경우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스크린에서 일부는 그냥 통과하고, 일부는 투과되면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 영상을 실외측 관람자가 감상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상기 프론트용이나 리어용 스크린의 경우 그 재질이 투명한 필름을 이용한 투명스크린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이때 상기 투명스크린의 경우 투명한 재질의 필름 일면에 그라비아(gravure) 인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층이 인쇄되는 등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리어용 투명 스크린으로서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32199호에 게시된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이 제안되었다.
상기한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투명한 재질의 투명판재 일면에 그라비아(gravure) 인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층이 인쇄하여 스크린의 반대편에 위치된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이 패턴층을 투과하여 나오는 영상을 관람자가 감상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서, 상기한 패턴층의 경우 도료, 및 상기 도료 이외에도 무광 유성페인트, 무광 유성잉크, 무광 알루미늄 분말제, 미세 유리가루를 코팅용 소재로 사용함과 아울러,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직선, 사선, 곡선 등의 다양한 선 또는 도형이나 무늬 등과 같은 패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의 경우 해당 특허청구범위 및 상세한 설명에는 "상기 패턴층은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20% - 65%의 면적 비율로 이루어진 것"이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이는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패턴층의 면적 비율의 범위 자체가 큰 오류인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명시된 대로 전체 투명판재의 면적 대비 패턴층의 면적 비율이 20% 이상 즉, 20% - 65% 일 경우 이는 메시형태로 인쇄된 패턴층의 메시선 폭가 그 만큼 커진다는 의미이며, 이와 같이 메시선 폭가 커지게 되면 상기 패턴층을 통한 스크린에 영상이 맺히는 선명도가 좋아지는 반면에, 상대적으로 상기 스크린 전방에서 패턴층의 천공홀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턴층의 천공홀의 통해 육안으로 스크린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이 패턴층의 면적 즉, 메시선의 폭를 넓게 인쇄할 경우 상기 패턴부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 양이 적어지면서 상기 패턴부의 맺히는 메시선 부분이 적어져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선과 정확히 대응되지 못한 상태로 넓게 퍼지면서 스크린에 흐릿한 영상이 맺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패턴부의 천공홀을 중심으로 육각모양의 메시형태로 인쇄되는 메시선의 사이간격 역시 좁아져 결국 메시선에 반사되는 빛(영상광)이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져 상기 메시선에 맺히는 영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는 모아레(jaggy) 현상을 통해 도 6a와 같은 상태의 홀로그램 영상이 표시되는 등 상기 스크린의 패턴층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패턴층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패턴층을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는 것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패턴층의 메시선을 20% 이상의 면적으로 넓게 형성시킬 경우 스크린 제조과정에서 안료의 사용이 많아지게 됨에 따라 그 만큼 스크린 제조 및 판매 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통해 상기한 패턴층을 상기한 면적 비율로 투명판재에 인쇄할 경우 목적한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는 등 사용상에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한편, 최근 편광필름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선명하게 느낄 수 있는 투명스크린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러한 편광필름형 투명스크린은 특정한 빛만 통과시키는 편광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일반 투명소재에 비해 영상 표현력을 증대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는 있으나, 뚜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얻기에는 부족함이 있으며, 뿐만 아니라 특정 방향의 영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특수 기술을 이용한 스크린이기 때문에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공정의 난이도가 까다로운 문제점 등도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0.1mm - 0.162mm의 폭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지도록 투명 메시 스크린을 구성함에 따라 종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경우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의 변화없이 통상의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은, 투명재질의 필름과, 상기 필름의 일면에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인쇄하여 형성된 패턴부로 이루어져 투명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에 점착되어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하여, 상기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에 대한 상관관계에 따라 상기 패턴부의 메시선을 0.1mm - 0.162mm의 폭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는 영상광의 반사 또는 투과를 위해 각각 안료원액 25-40중량%, 수지 10-25중량%, 용제 40-50중량%의 성분비율로 이루어진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또는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를 각각 1 : 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필름 일면에 패턴부의 메시선을 0.1mm - 0.162mm의 폭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지도록 투명 메시 스크린을 구성함에 따라 종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에 비해 패턴부를 이루는 메시선의 폭 및 이를 통한 인쇄면적 범위로서 상관관계에 있는 필름의 투명도와 패턴부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각각 최적화시킬 수 있는 등의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 또는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 등 어떠한 종류의 안료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이를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또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으로 구분되기 때문에 제작과정의 변화없이 통상의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프론트용과 리어용으로 투명 메시 스크린을 보다 간편하게 제작할 수 있는 등의 효과 역시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의 단면도.
도 3은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
도 4a 및 도 4b는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광원과 관람자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중 팬턴부가 인쇄된 필름의 전체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필름의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투명 메시 스크린과 본 발명의 메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을 비교한 사진.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이하, 투명 메시 스크린이라 함)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세부 상세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대한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일반적인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이 제작되는 과정을 나타낸 상태도이다.
또한, 도 4a 및 도 4b는 영상기기로부터 발출되는 광원과 관람자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에 대한 사용 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프론트용, 리어용)를 나타낸 것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중 팬턴부가 인쇄된 필름의 전체 면적을 계산하기 위해 필름의 일부분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은,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점착되어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20)에서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하여 실내,외측에 위치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투명 메시 스크린(1)으로서,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크게 투명재질의 필름(10)과; 상기 필름(10)의 일면에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인쇄하여 형성된 패턴부(20)와; 상기 필름(10)의 배면(背面)에 도포되어 투명 광고판이나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필름(10)이 점착되도록 하는 점착제(30)와; 상기 필름(10)의 배면(背面)에 도포된 점착제(30)가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점착제(30) 위에 점착되는 이형지(4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의 제조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이는 그라비아방식을 이용해 투명 메시 스크린(1)이 제작되는 것으로, 여기서 그라바아방식 즉, 그라비아 인쇄방식의 경우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199호에 게시된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에서도 적용되는 등 각종 서적, 상업 인쇄물, 미술 인쇄물, 우표 인쇄, 포장 인쇄, 건축재료 인쇄, 그밖에도 각종 인쇄에 응용 범위가 넓음과 아울러 여러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음각인쇄의 한 종류인 인쇄방식으로서, 주로 비닐 등의 특수재질이나 포장재료 등에 사용되고 있고, 오목형태로 조각(부식)시킨 인쇄용 동판(그라비어: gravure)에 잉크를 묻혀 오목한 부분 이외의 것을 독타나이프로 제거하고, 오목한 부분에 채워진 잉크를 필름, 종이 등에 인쇄하는 공정으로 잉크의 폭로 명함을 나타내는 인쇄방식이다. 이에 대한 특징으로는 첫째 용지의 제한이 적으며, 표면이 평평하기만 하면 되고, 둘째 잉크 선택의 범위가 넓으며, 셋째 종이 이외에 셀로판, 비닐, 폴리에틸렌 필름, 알루미늄박, 나무 등에 인쇄하기 쉽다.
이러한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이루는 장치로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반되는 투명필름(10)의 상면과 면접촉하면서 원둘레면에 오목하게 조각(부식)된 모양에 수용된 잉크로 투명필름(10)의 상면에 인쇄하는 그라비아롤(51)과; 상기 그라비아롤(51)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그라비아롤(51)과 대향 회전하면서 투명필름(10)을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종동롤(52)과;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측면 상에 대향 회전되게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그라비아롤(51)과 함께 잉크 수용을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보조롤(53)과; 상기 투명필름(10)에 인쇄되는 잉크를 상기 그라비아롤(51)과 보조롤(53) 사이에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그라비아롤(51)의 길이방향으로 이송 가능하게 설치되는 잉크공급노즐(54)을 포함하여 구성된 통상의 그라비아 인쇄장치(50)를 사용하여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을 제작하게 되는데, 이의 제조과정을 간략히 설명하면, 도 3과 같이 그라비아롤(51)은 종동롤(52)과 함께 서로 대향 회전하면서 투명필름(10)을 진행방향으로 이송시킴과 동시에 상기 투명필름(10)의 상면에 그라비아롤(51)의 회전에 의한 패턴 무늬의 인쇄 즉,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인 형태로 오목하게 조각(부식)된 무늬 모양에 수용된 잉크로 상기 투명필름(10)의 상면에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조각된 무늬 모양과 동일한 모양의 패턴이 인쇄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형성된 오목한 무늬 모양에 수용된 잉크의 경우 그라비아롤(51)과 보조롤(53)의 상단에 설치된 잉크공급노즐(54)로부터 그라비아롤(51)과 보조롤(53) 사이의 잉크수용공간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그라비아롤(51)의 회전에 의한 오목한 부분 즉,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연속적이면서 반복적인 형태로 오목하게 조각(부식)된 무늬 모양에 잉크가 채워져 수용된 상태로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그라비아롤(51)과 종돌롤의 대향 회전에 의해 이송되는 투명필름(10)의 상면에 상기 그라비아롤(51)의 원둘레면에 조각된 무늬 모양과 동일한 모양이 인쇄되면서 설정된 모양의 패턴부(20)가 형성되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잉크공급노즐(54)로부터 공급되는 잉크 대신에 안료나 도료를 사용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두며, 이와 같은 그라비아 인쇄장치(5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을 제작할 경우 스크린 제조공정이 매우 단순함과 아울러 이에 따른 제조시간은 물론 제조비용 역시 절감할 수 있는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와 같은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제작된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의 경우 앞서 밝힌 바와 같이 필름(10) 일면에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패턴부(20)가 인쇄된 구조인데, 이때 상기한 패턴부(20)의 경우 필름(10)의 투명도와 패턴부(2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에 대한 상관관계와 관련된 요소로서,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0.1mm - 0.162mm의 폭(t)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10)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져 있다.
표 1. 패턴부의 메시선 폭가 0.1mm 일 때(도 5 참조) 필름 전체 면적 및 천공홀 타공면적 및 메시선 인쇄면적, 메시선 인쇄율 산출표.
Figure 112014045127424-pat00001
표 2. 패턴부의 메시선 폭가 0.12mm 일 때 필름 전체 면적 및 천공홀 타공면적 및 메시선 인쇄면적, 메시선 인쇄율 산출표.
Figure 112014045127424-pat00002
표 3. 패턴부의 메시선 폭가 0.15mm 일 때 필름 전체 면적 및 천공홀 타공면적 및 메시선 인쇄면적, 메시선 인쇄율 산출표.
Figure 112014045127424-pat00003
표 4. 패턴부의 메시선 폭가 0.162mm 일 때 필름 전체 면적 및 천공홀 타공면적 및 메시선 인쇄면적, 메시선 인쇄율 산출표.
Figure 112014045127424-pat00004
여기서,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 0.1mm - 0.162mm를 이용해 필름(10) 전체 면적에 대한 메시선(21) 인쇄면적이 11.88% - 19.39%를 간단히 산출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에 따른 메시선(21) 인쇄면적(메시선 인쇄율)을 산출하는 계산식은 다음과 같으며, 상기한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 범위인 0.1mm - 0.162mm 중 도 1의 상세도 중 (a)에 도시된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가 0.1mm를 하나의 예로서 상기 필름(10) 전체 면적에 대한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을 산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메시선(21) 인쇄율 계산식을 이용해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을 구하기에 앞서, 상기 메시선(21) 인쇄율 계산식에 대한 용어를 간략히 설명하면, "필름 전체면적"은 패턴부(20)가 인쇄된 필름(10)에 대한 전체 면적으로서 가로길이ㅧ세로길이를 나타낸 것이고, "패턴부 타공면적"은 패턴부(20)를 형성하는 각 모양의 천공홀(22) 1개 면적ㅧ개수의 합을 나타낸 것이며, "패턴부 인쇄면적"은 메시선(21)의 인쇄면적으로서 필름 전체면적에서 패턴부 타공면적을 뺀 값을 나타낸 것이며, 필름(10) 전체면적 대한 패턴부(20) 메시선(21)의 "인쇄면적 비율(메시선 인쇄율)"은 패턴부 인쇄면적을 필름 전체면적으로 나누어 100을 곱한 값이다.
먼저, 상기 필름(10)의 전체 면적을 구하기 위한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는 도 5에 도시된 필름(10)의 가로길이 및 세로길이를 일예로 대신하기로 하며, 이를 통한
① 필름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 29.3769×31.0947 = 913.465892㎟,
② 패턴부 타공면적: (육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사다리꼴 천공홀 1개 면적×개수)+(오각 천공홀 1개 면적×개수) = (2.0327×367)+(1.0164×22)+(1.0164×36) = 804.9521㎟,
③ 패턴부 인쇄면적: 필름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 913.465892-804.9521 = 108.514㎟
④ 필름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인쇄면적 비율 = 패턴부 인쇄면적/필름 전체면적×100 = (108.514/913.465892)×100 = 11.879 = 11.88%
따라서, 상기와 같이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가 0.1mm 이하 즉,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1.88%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패턴부(20)를 통한 스크린의 투명도가 좋아진 반면에, 상기 패턴부(20)를 형성하는 메시선(21)의 폭(t)가 얇아져 결국에는 영상이 스크린에 표출되지 못하고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그대로 통과하게 되어 상기 스크린에 영상이 제대로 맺혀지지 않게 됨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메시선(21)의 폭(t)가 매우 얇기 때문에 영상기기로부터 영상광이 투사된다 하더라도 상기 영상광을 반사하거나 또는 투과하는 메시선(21)의 밝기 자체가 불가능 하는 등 영상이 맺히는 패턴부(20)의 매질이 부족하게 되면서 스크린으로서의 기능이 상실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가 0.162mm 이상 즉,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9.39% 이상일 경우에는 상기 패턴부(20)를 통한 스크린에 영상이 맺히는 선명도가 좋아지는 반면에,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가 넓어질수록 역으로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 크기가 작아지게 되면서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의 통해 스크린 전방에서 육안으로 스크린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볼 수 없게 되는 등 상기 스크린의 투명성이 크게 떨어짐과 아울러, 상기 패턴부(2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하기 위해서는 메시선(21)의 폭(t) 크기에 좌우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패턴부(20)를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기 때문에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넓게 형성시킬 경우 스크린 제조과정에서 안료의 사용이 많아지게 됨과 아울러, 그 만큼 스크린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비용 역시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등 투명 메시 스크린(1)으로서의 본래 기능이 크게 떨어지게 된다.
이와 아울러, 상기 패턴부(20)를 이루는 메시선(21)의 폭(t)를 0.162mm 이상으로 할 시엔 굵어진 메시선(21)에 의해 어느 정도 영상의 선명도를 좋게 할 수는 있지만, 상기한 영상의 선명도 향상을 위해 메시선(21)의 폭(t)를 무한정으로 크게 할 수 없으며, 종래의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2199호)과 같이 패턴부(20)를 필름(10) 전체면적 대비 20% - 65% 로 인쇄할 경우 오히려 영상의 선명도가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는 스크린 즉, 패턴부(2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가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상기 패턴부(20)를 인쇄하는 안료의 농도와 관계되기 때문에 초기 농도의 안료를 이용해 메시형태의 패턴부(20) 인쇄에 따른 안료의 사용량 증가와 함께 스크린의 제조 및 판매에 대한 비용 상승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안료의 소비량을 증가시키지 않는 상태에서 안료를 초기 농도 보다 묽게 하여 메시선(21)의 폭(t)를 넓게 인쇄할 수는 있으나, 이의 경우 상기와 같이 폭(t)가 넓게 인쇄된 메시선(21)에 영상광이 유입된다하더라도 상기 메시선(21)의 인쇄 농도가 초기 농도에 비해 흐리기 때문에 결국 상기 흐린상태의 메시선(21)에 영상광에 의한 영상이 제대로 맺히지 못해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제공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고, 또한 초기 농도의 안료를 이용해 메시선(21)의 폭(t)를 넓게 인쇄할 경우 이는 앞서 밝힌 바와 같이 스크린의 투명성이 크게 떨어지는 단점은 물론, 상기 패턴부(20)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 양이 적어지면서 영상기기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이 패턴부(20)를 이루는 육각모양의 메시선(21)과 정확히 대응되지 못한 상태로 넓게 퍼지면서 스크린에 흐릿한 영상이 맺히게 됨과 아울러,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중심으로 육각모양의 메시형태로 인쇄되는 메시선(21)의 사이간격 역시 좁아져 결국 상기 메시선(21)에 반사되어 맺히는 영상광 간에 서로 간섭이 이루어지면서 겹쳐져 영상이 지그재그 형태로 고르지 못하고 흔들리게 되는 모아레(jaggy) 현상을 통해 도 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린의 패턴부(20)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을 표시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UHD 시대에 맞춘 4000 Pixel의 고화질 프로젝터와 스크린의 패턴부(20)에 대하여 상기 고화질 프로젝터의 Pixel 수와 상기 스크린의 메시 수를 일치시킬 경우 스크린의 패턴부(20)에 표시되는 영상 자체가 최적화가 되는 등 상기 스크린을 이루는 패턴부(20)의 메시 수가 많을수록 고화질 프로젝터의 Pixel 수가 빠지지 않고 상기 스크린의 메시부분과 모두 대응되는 인식범위가 커지게 되면서 상기 스크린의 패턴부(20)에 또렷하고 선명한 영상이 표시되게 되고, 상기 스크린의 메시 수와 상대적으로 패턴부(20)를 이루는 메시의 선 폭(t)가 얇아지되, 0.1mm - 0.162mm 의 메시선(21) 폭(t) 범위에서는 상기 패턴부(20)에서의 빛(영상광) 간섭이 일어나지 않아 모아레 현상이 방지되면서 상기 스크린에 대한 홀로그램 영상의 선명도와 함께 투명도 역시 크게 향상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 중 필름(10)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20)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로서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가 이루어지면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힐 수 있도록 형광안료나 무광안료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을 첨가한 혼합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의 경우 "KCC"에서 제조 판매되는 안료로서, 이는 대리점이나 제조사를 통해 구입한 상태 그대로 개봉하여 사용함과 아울러, 이의 기본적 구성으로는 안료원액 25-40중량%, 수지 10-25중량%, 용제 40-50중량%의 성분비율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상기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일부는 통과, 일부는 반사시키도록 패턴부(20)를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형광안료의 경우 이는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 또는 알루미늄분말과 동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이 포함된 안료로서, 상기와 같이 형광안료로 패턴부(20)가 인쇄된 투명 메시 스크린(1a)은 프론트용 즉, 실내에 위치된 영상기기(60)로부터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접착 고정된 스크린(1a)에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실외로 방출되고, 일부는 형광안료로 인쇄된 패턴부(20)의 메시선(21)에 반사되어 실내의 관람자가 스크린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는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1a)(도 4a 참조)으로 사용되지만, 이와 반대로 상기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을 일부는 통과, 일부는 투과시키도록 패턴부(20)를 인쇄하는데 사용되는 무광안료의 경우 이는 흰색이나 회색, 검은색을 띤 무채색 안료로서, 상기와 같이 무광안료로 패턴부(20)가 인쇄된 투명 메시 스크린(1b)은 리어용 즉, 실내에 위치된 영상기기(60)로부터 매장 쇼윈도 유리창(G)에 접착 고정된 스크린(1b)에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실외로 방출되고, 일부는 패턴부(20)의 메시선(21)에 흡수됨과 동시에 투과되면서 실외의 관람자가 스크린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볼 수 있는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1b)(도 4b 참조)으로 사용이 구분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 즉, 일명 MD(MEDIUM)를 각각 1 : 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안료를 제작하여 상기한 혼합안료를 이용해 필름(10)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20)를 인쇄하여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된 영상광 중 일부는 통과하고, 일부는 반사 또는 투과가 이루어지면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등의 프론트용 또는 리어용의 투명 메시 스크린(1a,1b)을 제작할 수도 있음을 미리 밝혀 둔다.
여기서, 상기 희석제(MD)의 경우 폴리계열의 에틸렌, 아마이드, 비닐, 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액상수지에 탄화수소계, 염소계, 알콜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가 2 : 8 로 혼합된 것으로서,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희석제를 상기와 같은 1 : 0.3의 비율로 첨가 혼합할 경우 상기 희석제가 첨가된 만큼 상대적으로 주원료인 형광안료나 무광안료가 진한 원액 상태에서 묽은 상태로 변화되면서 상기 필름(10) 일면에 인쇄되는 패턴부(20)의 메시선(21) 자체가 기설정된 0.1mm의 폭(t) 보다 더 굵어지는 등 본 발명에 적용되는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 범위인 0.1mm - 0.162mm 중 상한치인 0.162mm에 근접하도록 넓게 퍼진 상태가 되는데, 이때 상기와 같이 희석제(MD)의 첨가량을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대비 30% 이상으로 첨가하여 이에 따른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의 농도가 초기 개봉된 상태의 농도 보다 묽은 상태의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즉, 혼합안료를 이용해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가 0.162mm 이상으로 넓게 퍼져 인쇄될 경우 패턴부(20)를 통한 스크린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와 관계되는 혼합안료의 농도가 묽은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 혼합안료를 이용해 인쇄된 패턴부(20)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가 크게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과 아울러, 상기와 같이 농도가 묽은 혼합안료를 이용해 패턴부(20)를 인쇄하였기 때문에 결국 기설정된 폭(t)인 0.162mm로 패턴부(20)를 인쇄하였다 하더라도 상기 패턴부(20)의 메시선(21) 폭(t)가 0.162mm 이상으로 넓게 퍼져 인쇄됨에 따라 앞서 밝힌 바와 같이 결국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 크기가 상기 메시선(21)의 폭(t) 0.162mm 일 때 보다 상대적으로 작아지게 되어 관람자가 스크린 전방에서 상기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육안으로 스크린의 반대측 내부 인테리어를 자세히 볼 수 없고 답답하게 느끼는 등 상기 스크린에 맺히는 영상의 선명도와 상기 스크린의 투명도 모두에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을 구성하는 요소들 중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패턴부(20)가 형성되도록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또는 혼합안료가 인쇄되는 상기 필름(10)의 경우 PET(Polyethyleneterephtalate: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나 PC(Polycarbonate:폴리카보네이트), PE(Polyethylene:폴리에틸렌), PP(Polypropylene:폴리프로필렌), PVC(Polyvinyl Chloride:폴리염화비닐),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PET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그라비아 인쇄방식을 통해 필름(10)의 일면에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또는 혼합안료로서 인쇄되는 상기 패턴부(20)의 메시형태 역시도 벌집형태의 육각을 비롯해 삼각, 사각, 마름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이것 역시도 본 발명에서는 벌집형태의 육각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에 대한 작동과정을 첨부된 도면과 대비하여 그 실시예를 바람직하게 설명하되,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 중 프론트용으로 한정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6a 및 도 6b는 종래 투명 메시 스크린과 본 발명의 메시 스크린에 표시되는 홀로그램을 비교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투명 메시 스크린(1) 중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1a)을 매장 쇼윈도 유리창(G)의 실내측에 접착 고정시킨 상태에서 영상기기(60)로부터 영상광이 방출되어 상기 투명 메시 스크린(1a)에 투사되게 되면, 필름(10)의 일면에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이 포함된 형광안료로 인쇄된 패턴부(20)를 통해 상기 영상광 중 일부는 패턴부(20)의 천공홀(22)을 통해 스크린 뒤편인 실외로 방출되게 되고, 일부는 형광안료가 인쇄된 패턴부(20)의 메시선(21)을 통해 실내의 관람자 측으로 반사되면서 상기 투명 메시 스크린(1a) 일면에 인쇄된 패턴부(20)에 홀로그램 영상이 맺혀 표시되게 되는 등 상기와 같이 패턴부(20)를 통해 스크린에 맺힌 홀로그램 영상을 실내에 있는 관람자가 보다 선명하게 관람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한 홀로그램 영상은 도 4a에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투명 메시 스크린 1a.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
1b.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 10. 필름
20. 패턴부 21. 메시선
22. 천공홀 30. 점착제
40. 이형지 50. 그라비아 인쇄장치
51. 그라비아롤 52. 종동롤
53. 보조롤 54. 잉크공급노즐
60. 영상기기 G. 쇼윈도 유리창
t. 메시선 폭

Claims (7)

  1. 투명재질의 필름(10);
    상기 필름(10)의 일면에 안료를 통한 그라비아 방식을 이용해 메시형태로 인쇄하여 영상기기(60)로부터 투사되는 영상광 중 일부는 투사시키고 일부는 반사시켜서 관람자 측으로 홀로 그램 영상이 맺히도록 하는 패턴부(20);
    상기 패턴부(20)는 메시선(21)을 0.1mm - 0.162mm의 폭(t)으로 인쇄하여 상기 필름(10)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21)의 인쇄면적이 11.88% - 19.39%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0) 일면에 메시형태로 패턴부(20)를 인쇄하기 위한 안료는 영상광의 반사 또는 투과를 위해 각각 안료원액 25-40중량%, 수지 10-25중량%, 용제 40-50중량%의 성분비율로 이루어진 형광안료나 무광안료, 또는 상기 형광안료나 무광안료에 수지형태의 희석제(MD)를 각각 1 : 0.3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안료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의 반사를 위한 형광안료는 알루미늄분말이나 동분말, 또는 알루미늄분말과 동분말이 혼합된 혼합분말이 포함된 안료이며, 상기 형광안료로 패턴부(20)가 인쇄된 투명 메시 스크린(1a)은 프론트용 투명 메시 스크린(1a)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광의 투과를 위한 무광안료는 흰색이나 회색, 검은색을 띤 안료이며, 상기 무광안료로 패턴부(20)가 인쇄된 투명 메시 스크린(1b)은 리어용 투명 메시 스크린(1b)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희석제(MD)는 폴리계열의 에틸렌, 아마이드, 비닐, 우레탄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액상수지와 탄화수소계, 염소계, 알콜계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용제가 2 : 8 으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0)은 PET, PC, PE, PP, PVC, 아크릴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턴부(20)의 메시형태는 벌집형태의 육각이나 삼각, 사각, 마름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10)의 전체 면적 대비 메시선(21)의 인쇄면적 비율을 구하는 계산식은
    ① 필름 전체면적: 가로길이×세로길이
    ② 패턴부 타공면적: 각 모양의 천공홀(22) 1개 면적×개수의 합
    ③ 패턴부 인쇄면적: 필름 전체면적-패턴부 타공면적
    ④ 필름 전체면적 대비 패턴부 인쇄면적 비율 = 패턴부 인쇄면적/필름 전체면적×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KR1020140057583A 2014-05-14 2014-05-14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KR1015821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3A KR101582164B1 (ko) 2014-05-14 2014-05-14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PCT/KR2015/007275 WO2015174807A2 (ko) 2014-05-14 2015-07-14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7583A KR101582164B1 (ko) 2014-05-14 2014-05-14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93A KR20150130693A (ko) 2015-11-24
KR101582164B1 true KR101582164B1 (ko) 2016-01-04

Family

ID=5484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7583A KR101582164B1 (ko) 2014-05-14 2014-05-14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21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8642B1 (ko) * 2015-04-28 2019-05-15 류재하 옥외용 공기투과 망점 스크린
KR102462437B1 (ko) * 2017-07-10 2022-11-01 신우훈 홀로그램 스크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911A (ja) * 1993-07-15 1995-02-07 Nippon Carbide Ind Co Inc セル状反射シートの製造方法
KR101225889B1 (ko) * 2007-03-30 2013-01-24 강희범 컨트라스트 개선 스크린
KR101452435B1 (ko) * 2012-09-06 2014-10-23 최중선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0693A (ko) 201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4467B1 (en) High definition lenticular lens
US20100207961A1 (en) Multi view displays and methods for producing the same
CN103605258B (zh) 抗环境光投影屏幕
US11577504B2 (en) Manufacturing light field prints
KR101452435B1 (ko) 후면투사형 투명스크린
JP5802388B2 (ja) 対比色のライナを有する視覚制御パネルアセンブリ
JP2010113348A (ja) 情報表示パネ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582164B1 (ko) 홀로그램용 투명 메시 스크린
US8824046B2 (en) Projection screen with digitally printed overscan border
US20080271351A1 (en) Lenticular License Plate and Method
JP2006001153A (ja)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付き印刷物、印刷物の製造方法
US7688474B2 (en) Moiré-based auto-stereoscopic images by duplex printing on transparencies
US20040177540A1 (en) Image assembly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to produce backlit enhanced display
JP4785615B2 (ja) 透過光反射光両用の画像シート
KR20150130694A (ko) 프론트용 홀로그램 메시 스크린
JP2004122647A (ja) 立体・可変シルク印刷方法及び立体・可変印刷物
GB2204981A (en) Graphics display unit using ultraviolet light
KR102462437B1 (ko) 홀로그램 스크린
JP5703743B2 (ja) レンズシート体およびレンズシート体の製造方法
CN111183025A (zh) 片材构件以及片材构件的制造方法
WO2015174807A2 (ko) 홀로그램용 메시 스크린
JP2005208118A (ja) 図柄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2004306432A (ja) 画像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9211389A (ja) 偏光性の加工による潜像等を含む画像の作製法及び潜像等を含む画像の形成装置
JP2008185963A (ja) 光学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30

Year of fee payment: 5